KR102262238B1 -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 Google Patents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238B1
KR102262238B1 KR1020210005985A KR20210005985A KR102262238B1 KR 102262238 B1 KR102262238 B1 KR 102262238B1 KR 1020210005985 A KR1020210005985 A KR 1020210005985A KR 20210005985 A KR20210005985 A KR 20210005985A KR 102262238 B1 KR102262238 B1 KR 10226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spindle
water
valve
pa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5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영호
윤은애
Original Assignee
엄영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엄영호 filed Critical 엄영호
Priority to KR1020210005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10Preventing damage by freezing or excess pressure or insufficient pressu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9/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drawing-off water
    • E03B9/02Hydrants; Arrangements of valves therein; Keys for hydra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00Lift valves or globe valves, i.e. cut-off apparatus with closure members having at least a component of their opening and closing motion perpendicular to the closing 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01Means for regulating or setting the meter for a predetermined quant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의 상부에는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일측 하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을 갖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의 타측 하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을 갖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몸체부의 내측 수용공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끼움돌기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수가 이송되는 이송로가 형성되며, 이송로의 상부에는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수가 이송됨과 아울러 타측이 배출공과 연결되는 경사로가 형성되고, 이송로와 경사로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로와 경사로를 구획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공을 갖는 격벽이 형성되며, 경사로의 상부에는 격벽과 수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결합공을 갖는 밸브수용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외측 상에는 돌출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봉인공을 갖는 봉인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밸브결합공 상에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의 하부가 나사산에 의해 밸브결합공 상에 결합되고, 결합부의 상부에는 결합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헤드부가 형성되며, 헤드부의 상부에는 헤드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의 상부에는 제1연장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인 제2연장부가 형성되며, 결합부 및 헤드부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중공부 상에 상부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입 고정 구비되며, 외주연 상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반원형으로 내입되는 경사홈부가 형성되고, 제1관통공과 슬라이딩공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딩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축이 슬라이딩공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고, 스핀들축의 하부에는 스핀들축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연장부가 형성되며, 스핀들연장부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부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베이스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연장축이 형성되며, 스핀들연장축의 하부에는 상부 직경이 스핀들연장축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좁은 원뿔형의 스핀들헤드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축 상에 내측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이 형성되며, 제1패킹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아지는 제2패킹이 형성되고, 제1패킹의 하부에는 제2패킹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패킹돌기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핀들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공 상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하부가 끼움돌기 상에 끼움 구비되고, 상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라 및 임펠라의 회전에 따라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갖는 미터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미터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가 몸체부의 외측 상부에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찰공이 형성된 걸림판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각각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을 갖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외주연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 및 외주연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관찰커버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Water meter for preventing counterflow}
본 발명은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케이스 상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상수의 정상 흐름시에는 상수의 흐름에 따라 상수가 이동하는 통로인 밸브공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상수의 역류시에는 신속하고 확실하게 밸브공을 차단함과 아울러 밸브공을 신속하게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슬라이딩가이드와 스핀들을 산화 및 부식 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내구성 및 사용 신뢰성이 향상되는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수(수돗물)를 공급받아 사용하고 있는 각 가정이나 건물 등에는 수도 미터기를 설치하여 상수의 흐름 및 사용량을 계측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수도 미터기는 양측에 상수(수돗물)가 유입/유출되는 유입구와 유출구가 형성된 하부 외갑체 내부에 임펠라가 장착된 내갑체와, 상기 임펠라와 연동하여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내장하고, 상부에 상부 외갑체를 밀폐 결합하므로 상수가 하부 외갑체 유입구와 유출구를 통과하면서 내부 임펠라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계측부에서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도 미터기는 단수 또는 부압, 역압 등이 발생하는 경우 역류에 의해 상수가 오염되거나 상수의 사용량 계측에 오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2007년 이후 수도법시행령 제53조 및 상수도시설기준에서 수도 미터기 후단에 역류방지밸브를 설치하도록 규정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수도 미터기 후단에 수도 미터기와 별도로 역류방지밸브를 연결 설치하는 경우에 상수의 출수량이 감소되고, 수압이 약해져 사용자의 민원 증대가 예상되고, 수도 미터기와 별도로 역류방지밸브를 연결 설치하기 때문에 많은 예산이 추가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수도 미터기에 역류방지수단을 직접 마련하는 역류방지용 수도 미터기가 다수 개시되었다.
상기 역류방지용 수도 미터기는 유출구에 수평으로 밸브공을 관통 형성하고, 상기 밸브공에 등록특허 제10-0700933호에서와 같이 역류방지밸브를 힌지축으로 축 설치하여 회동 개폐하도록 하는 스윙식, 체크식으로 구성하거나, 등록특허 제10-0817755호에서와 같이 역류방지밸브를 스프링에 의해 탄발 설치하여 전후로 탄발 이동하면서 개폐하도록 하는 스프링 체크식 등의 기술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역류방지용 수도 미터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역류 방지를 위해 다수의 부품을 복잡하게 조립하는 조립 구조에 의해 조립 생산성 저하는 물론 제조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둘째, 유출구에 수평으로 관통되는 밸브공에 역류방지밸브를 수평으로 삽입 설치하여 개폐하기 때문에 상수의 정상 흐름시 상수의 흐름에 따라 밸브공을 쉽게 개방하지 못하여 물의 흐름을 원활히 제공하지 못하고, 역류시 밸브공을 신속하고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상수의 오염 및 상수 공급량의 정확한 계측이 곤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셋째, 상기 역류방지밸브가 스윙식, 체크식으로 적용된 경우에 역류시 역류방지밸브가 밸브공을 확실하게 차단하지 못하여 누수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스프링 체크식이나 볼 형태로 적용된 경우에 역류시 스프링의 탄성으로 인해 수도 미터기의 정밀도(감도)를 충족하기 어렵고, 그 밖에 스프링의 녹 발생, 스프링의 탄성 약화 등에 의해 내구성이 저하되어 제품의 신뢰도가 크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넷째, 무엇보다 상기 역류방지형 수도 미터기는 수도 미터 기술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류방지 시험(역류를 방지하는 미터에 1분간 역류방향으로 최대허용 압력(1MPa)을 가한다)에는 부합되나, 이는 상수 사용량의 정확한 계측을 위한 수단일 뿐 수도용 한국상하수도협회 단체표준의 수도용 역류방지밸브 역류시험에는 대부분 만족하지 못하므로, 종래 수도 미터기 후방에 추가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는 한계를 갖고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한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0933호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81775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서, 하부케이스에 간단하게 결합되어 상수의 정상 흐름시에는 상수의 흐름에 따라 상수가 이동하는 통로인 밸브공을 신속하게 개방하고, 상수의 역류시에는 신속하고 확실하게 밸브공을 차단함과 아울러 밸브공을 신속하게 개방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슬라이딩가이드와 스핀들을 산화 및 부식 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함으로써, 상수의 오염 방지 및 상수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 신뢰성을 우수하게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체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의 상부에는 개방된 삽입공이 형성되고, 몸체부의 일측 하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을 갖는 유입부가 형성되며, 몸체부의 타측 하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을 갖는 배출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내측 하부에는 유입공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이 형성되며, 몸체부의 내측 수용공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가 형성되고, 끼움돌기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부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수가 이송되는 이송로가 형성되며, 이송로의 상부에는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수가 이송됨과 아울러 타측이 배출공과 연결되는 경사로가 형성되고, 이송로와 경사로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로와 경사로를 구획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공을 갖는 격벽이 형성되며, 경사로의 상부에는 격벽과 수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결합공을 갖는 밸브수용부가 형성되고, 몸체부의 외측 상에는 돌출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봉인공을 갖는 봉인돌기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밸브결합공 상에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의 하부가 나사산에 의해 밸브결합공 상에 결합되고, 결합부의 상부에는 결합부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헤드부가 형성되며, 헤드부의 상부에는 헤드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제1연장부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의 상부에는 제1연장부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인 제2연장부가 형성되며, 결합부 및 헤드부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중공부가 형성되는 마개와, 상기 마개의 중공부 상에 상부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입 고정 구비되며, 외주연 상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반원형으로 내입되는 경사홈부가 형성되고, 제1관통공과 슬라이딩공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관통공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딩가이드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의 하부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축이 슬라이딩공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고, 스핀들축의 하부에는 스핀들축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연장부가 형성되며, 스핀들연장부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부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베이스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연장축이 형성되며, 스핀들연장축의 하부에는 상부 직경이 스핀들연장축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좁은 원뿔형의 스핀들헤드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축 상에 내측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이 형성되며, 제1패킹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아지는 제2패킹이 형성되고, 제1패킹의 하부에는 제2패킹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패킹돌기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핀들과, 상기 하부케이스의 삽입공 상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하부가 끼움돌기 상에 끼움 구비되고, 상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라 및 임펠라의 회전에 따라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갖는 미터기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상부에 미터기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가 몸체부의 외측 상부에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찰공이 형성된 걸림판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각각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을 갖는 고정돌기가 형성되고, 외주연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와, 상기 상부케이스의 상부 및 외주연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관찰커버로 이루어지는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는, 하부케이스 상에 나사 결합하는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해 상수의 정상 흐름시에는 상수의 흐름에 따라 상수가 이동하는 통로인 밸브공이 신속하게 개방되며, 상수의 역류시에는 신속하고 확실하게 밸브공을 차단됨과 아울러 밸브공을 신속하게 개방 또는 차단하는 슬라이딩가이드와 스핀들이 산화 및 부식 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상수의 오염 방지 및 상수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이 종래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해 조립 생산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됨은 물론 종래 보다 소음 감소 등의 효과도 있음과 아울러 수도 미터 기술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류방지 시험(역류를 방지하는 미터기에 1분간 역류 방향으로 최대허용 압력(1MPa)을 가한다)에 부합되며, 수도용 한국상하수도협회 단체표준의 수도용 역류방지밸브 역류시험에도 만족하므로 상수의 정확한 계측과 아울러 종래 수도계량기 후단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대체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과 경제성 등이 더욱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의 개략 단면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가이드 및 스핀들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개략 사시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마개, 슬라이딩가이드 및 스핀들의 개략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스핀들의 개략 단면도,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가이드의 개략 사시도,
도 13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의한 슬라이딩가이드의 개략 단면 사시도,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에 의한 상부케이스의 개략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는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체부(10)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개방된 삽입공(12)이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일측 하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4)을 갖는 유입부(15)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타측 하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16)을 갖는 배출부(18)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내측 하부에는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20)이 형성되며, 몸체부(10)의 내측 수용공(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22)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부(1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수가 이송되는 이송로(24)가 형성되며, 이송로(24)의 상부에는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수가 이송됨과 아울러 타측이 배출공(16)과 연결되는 경사로(26)가 형성되고, 이송로(24)와 경사로(26)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로(24)와 경사로(26)를 구획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공(28)을 갖는 격벽(30)이 형성되며, 경사로(26)의 상부에는 격벽(30)과 수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결합공(32)을 갖는 밸브수용부(34)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외측 상에는 돌출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봉인공(36)을 갖는 봉인돌기(38)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40)와, 상기 하부케이스(40)의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42)의 하부가 나사산에 의해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되고, 결합부(42)의 상부에는 결합부(42)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헤드부(44)가 형성되며, 헤드부(44)의 상부에는 헤드부(44)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제1연장부(46)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46)의 상부에는 제1연장부(46)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인 제2연장부(48)가 형성되며, 결합부(42) 및 헤드부(44)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중공부(50)가 형성되는 마개(52)와, 상기 마개(52)의 중공부(50) 상에 상부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입 고정 구비되며, 외주연 상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5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56)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딩가이드(58)와,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의 하부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축(60)이 슬라이딩공(56)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고, 스핀들축(60)의 하부에는 스핀들축(60)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연장부(62)가 형성되며, 스핀들연장부(62)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부(62)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베이스(64)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연장축(66)이 형성되며, 스핀들연장축(66)의 하부에는 상부 직경이 스핀들연장축(66)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좁은 원뿔형의 스핀들헤드(68)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축(66) 상에 내측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70)이 형성되며, 제1패킹(70)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아지는 제2패킹(72)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핀들(74)과,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삽입공(12) 상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하부가 끼움돌기 상에 끼움 구비되고, 상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라 및 임펠라의 회전에 따라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갖는 미터기(76)와,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상부에 미터기(7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가 몸체부(10)의 외측 상부에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찰공(78)이 형성된 걸림판(80)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각각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82)을 갖는 고정돌기(84)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86)와, 상기 상부케이스(86)의 상부 및 외주연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관찰커버(88)가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먼저,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체부(10)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개방된 삽입공(12)이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일측 하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4)을 갖는 유입부(15)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타측 하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16)을 갖는 배출부(18)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내측 하부에는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20)이 형성되며, 몸체부(10)의 내측 수용공(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22)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부(1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수가 이송되는 이송로(24)가 형성되며, 이송로(24)의 상부에는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수가 이송됨과 아울러 타측이 배출공(16)과 연결되는 경사로(26)가 형성되고, 이송로(24)와 경사로(26)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로(24)와 경사로(26)를 구획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공(28)을 갖는 격벽(30)이 형성되며, 경사로(26)의 상부에는 격벽(30)과 수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결합공(32)을 갖는 밸브수용부(34)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외측 상에는 돌출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봉인공(36)을 갖는 봉인돌기(38)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40)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유입공(14)을 통해 하부케이스(40) 내측으로 유입되는 상수는 수용공(20)을 지나 후술되는 미터기(76)를 통과함으로써, 상수의 사용량이 계측되는 것이며, 미터기(76)를 통과한 상수는 이송로(24), 밸브공(28), 경사로(26) 및 배출공(16)을 순차로 거쳐 상수가 필요한 곳으로 공급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밸브공(28)은 후술되는 스핀들(74)의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개폐되는 것이며, 밸브공(28)은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격벽(30) 상에 격벽(30)과 수직되게 관통되는 것이고, 밸브공(28)이 관통된 형태는 후술되는 스핀들(74)의 제2패킹(72)에 대응되게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40)에 형성된 봉인공(36)은 후술되는 상부케이스(86)의 고정공(82)과 함께 수도미터기를 임의로 철거하거나 조작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되는 미터기(76)를 새로 설치하거나 교체할 때 수도 사업소에서 하는 공식적인 봉인을 설치하기 위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40)의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42)의 하부가 나사산에 의해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되고, 결합부(42)의 상부에는 결합부(42)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헤드부(44)가 형성되며, 헤드부(44)의 상부에는 헤드부(44)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제1연장부(46)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46)의 상부에는 제1연장부(46)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인 제2연장부(48)가 형성되며, 결합부(42) 및 헤드부(44)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중공부(50)가 형성되는 마개(5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마개(52)의 결합부(42)는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되는 것이며, 헤드부(44) 및 제1연장부(46)는 직경이 상호 상이한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마개(52)의 착탈로 인한 헤드부(44) 또는 제1연장부(46) 중 어느 하나의 외측 뭉그러짐에도 남은 다른 하나로 마개(52)의 착탈 또는 교체가 용이한 것이다.
한편, 상기 마개(52)에 형성되는 중공부(50)는 후술되는 슬라이딩가이드(58)의 안착을 위해 내입 형성되는 것이며, 중공부(50) 상에는 상부에서 이격되어 도 5에서와 같이 방사상으로 다수개의 걸림돌기(98)가 형성되어 슬라이딩가이드(58)의 상부와 중공부(50)의 상부가 이격되도록 함과 아울러 중공부(50)의 상부 상에 에어가 잔존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한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부(50)의 상부 형상은 반원형 또는 사각형으로 도 5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나 워터 또는 에어의 압력 분산 및 원활한 흐름을 위해 반원형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상기 마개(52)의 중공부(50) 상에 상부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입 고정 구비되며, 외주연 상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5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56)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딩가이드(58)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의 제1관통공(54)과 슬라이딩공(56)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관통공(92)이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한 것이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는 마개(52)의 중공부(50) 상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나 슬라이딩가이드(58)의 외주연 및 중공부(50)의 내주연 상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호 결합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한편,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의 상부에는 제1관통공(54) 및 제2관통공(92)을 통해 이동되는 워터 및 에어의 압력이 중앙으로 집중되어 슬라이딩공(56) 상으로 더욱 원활히 이동될 수 있도록 도 4에서와 같이 반원형으로 내입되는 경사홈부(90)가 형성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경사홈부(90)는 도 6 내지 도 7에서와 같이 제1관통공(54) 및 제2관통공(92)을 통해 이동되는 워터 및 에어의 압력이 중앙으로 집중되도록 함은 물론 후술되는 스핀들(74)의 상승으로 인한 워터 및 에어의 압력을 제1관통공(54) 및 후술되는 제2관통공(92)으로 용이하게 전달하는 역할도 하는 것이다.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의 하부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축(60)이 슬라이딩공(56)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고, 스핀들축(60)의 하부에는 스핀들축(60)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연장부(62)가 형성되며, 스핀들연장부(62)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부(62)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베이스(64)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연장축(66)이 형성되며, 스핀들연장축(66)의 하부에는 상부 직경이 스핀들연장축(66)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좁은 원뿔형의 스핀들헤드(68)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축(66) 상에 내측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70)이 형성되며, 제1패킹(70)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아지는 제2패킹(72)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핀들(74)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스핀들(74) 및 슬라이딩가이드(58)는 산화 및 부식 저항성을 가지도록 합성수지재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스핀들(74) 및 슬라이딩가이드(58)의 산화 및 부식으로 인한 상수의 오염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핀들(74) 및 슬라이딩가이드(58)가 산화 및 부식되지 않으므로 스핀들(74)이 슬라이딩가이드(58) 상에서 지속적으로 원활히 슬라이딩 이동됨과 아울러 밸브공(28)이 신속 정확하게 개폐됨으로써, 상수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이 보다 우수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핀들(74)의 제1패킹(70) 하부에는 제2패킹(72)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패킹돌기(94)가 형성됨으로써, 제1패킹(70)의 사용 수명이 늘어나게 되는 것이며, 패킹돌기(94)는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삽입공(12) 상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하부가 끼움돌기 상에 끼움 구비되고, 상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라 및 임펠라의 회전에 따라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갖는 미터기(76)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미터기(76)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상부에 미터기(7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가 몸체부(10)의 외측 상부에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찰공(78)이 형성된 걸림판(80)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각각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82)을 갖는 고정돌기(84)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86)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86)의 외주연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96)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86)의 고정돌기(84)는 도 15 내지 도 16에서와 같이 지면과 수평된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상부케이스(86)에 형성되는 돌기부(96)는 도 17에서와 같이 다수개가 형성되어 사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상부케이스(86)의 상부 및 외주연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관찰커버(88)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관찰커버(88)는 미터기(76)를 관찰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하부케이스(40)의 하부 상에는 하부로 돌출 연장됨과 아울러 양측으로 길게 형성되는 주물돌기(99)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주물돌기(99)는 돌기부(96)와 함께 주물로 하부케이스(40) 및 상부케이스(86)를 각각 형성할 시에 각각의 하부케이스(40) 및 상부케이스(86) 전체로 쇳물이 용이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는,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해 상수의 정상 흐름시에는 상수의 흐름에 따라 상수가 이동하는 통로인 밸브공(28)이 신속하게 개방되며, 상수의 역류시에는 신속하고 확실하게 밸브공(28)을 차단됨과 아울러 밸브공(28)을 신속하게 개방 또는 차단하는 슬라이딩가이드(58)와 스핀들(74)이 산화 및 부식 저항성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됨으로써, 상수의 오염 방지 및 상수의 사용량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이 종래보다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조립 구조에 의해 조립 생산이 간편하고 제조 비용을 절감하게 됨은 물론 슬라이딩가이드(58) 및 스핀들(74)이 합성수지재로 형성되어 금속재로 형성된 종래 보다 소음 감소 등의 효과도 있음과 아울러 수도 미터 기술 기준에서 제시하고 있는 역류방지 시험(역류를 방지하는 미터기에 1분간 역류 방향으로 최대허용 압력(1MPa)을 가한다)에 부합되며, 수도용 한국상하수도협회 단체표준의 수도용 역류방지밸브 역류시험에도 만족하므로 상수의 정확한 계측과 아울러 종래 수도계량기 후단에 설치되는 역류방지밸브를 대체할 수 있어 사용 신뢰성과 경제성 등이 더욱 극대화되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10 : 몸체부 12 : 삽입공
14 : 유입공 15 : 유입부
16 : 배출공 18 : 배출부
20 : 수용공 22 : 끼움돌기
24 : 이송로 26 : 경사로
28 : 밸브공 30 : 격벽
32 : 밸브결합공 34 : 밸브수용부
36 : 봉인공 38 : 봉인돌기
40 : 하부케이스 42 : 결합부
44 : 헤드부 46 : 제1연장부
48 : 제2연장부 50 : 중공부
52 : 마개 54 : 제1관통공
56 : 슬라이딩공 58 : 슬라이딩가이드
60 : 스핀들축 62 : 스핀들연장부
64 : 스핀들베이스 66 : 스핀들연장축
68 : 스핀들헤드 70 : 제1패킹
72 : 제2패킹 74 : 스핀들
76 : 미터기 78 : 관찰공
80 : 걸림판 82 : 고정공
84 : 고정돌기 86 : 상부케이스
88 : 관찰커버 90 : 경사홈부
92 : 제2관통공 94 : 패킹돌기
96 : 돌기부

Claims (5)

  1. 내측에 수용 가능한 공간을 갖는 몸체부(10)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상부에는 개방된 삽입공(12)이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일측 하부에는 일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상수가 유입되는 유입공(14)을 갖는 유입부(15)가 형성되며, 몸체부(10)의 타측 하부에는 타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내측에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배출되는 배출공(16)을 갖는 배출부(18)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내측 하부에는 유입공(14)을 통해 유입된 상수가 수용되는 수용공(20)이 형성되며, 몸체부(10)의 내측 수용공(20)의 상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되는 끼움돌기(22)가 형성되고, 끼움돌기(22)의 상부 타측에는 배출부(18)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상수가 이송되는 이송로(24)가 형성되며, 이송로(24)의 상부에는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측으로 상수가 이송됨과 아울러 타측이 배출공(16)과 연결되는 경사로(26)가 형성되고, 이송로(24)와 경사로(26) 사이에는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송로(24)와 경사로(26)를 구획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공(28)을 갖는 격벽(30)이 형성되며, 경사로(26)의 상부에는 격벽(30)과 수평되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에는 관통된 밸브결합공(32)을 갖는 밸브수용부(34)가 형성되고, 몸체부(10)의 외측 상에는 돌출됨과 아울러 내측에 관통된 봉인공(36)을 갖는 봉인돌기(38)가 형성되는 하부케이스(40);
    상기 하부케이스(40)의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결합부(42)의 하부가 나사산에 의해 밸브결합공(32) 상에 결합되고, 결합부(42)의 상부에는 결합부(42)에 비해 직경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헤드부(44)가 형성되며, 헤드부(44)의 상부에는 헤드부(44)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다각형인 제1연장부(46)가 형성되고, 제1연장부(46)의 상부에는 제1연장부(46)에 비해 직경이 작게 형성됨과 아울러 단면이 원형인 제2연장부(48)가 형성되며, 결합부(42) 및 헤드부(44)의 내측에는 하부가 개방됨과 아울러 상부측으로 내입되는 중공부(50)가 형성되는 마개(52);
    상기 마개(52)의 중공부(50) 상에 상부에서 이격됨과 아울러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입 고정 구비되며, 외주연 상에는 상하로 길게 형성됨과 아울러 내측으로 내입되는 다수개의 제1관통공(54)이 형성되고, 중앙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슬라이딩공(56)이 형성되며, 상부에는 반원형으로 내입되는 경사홈부(90)가 형성되고, 제1관통공(54)과 슬라이딩공(56) 사이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형성됨과 아울러 상하로 관통되는 다수개의 제2관통공(92)이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슬라이딩가이드(58);
    상기 슬라이딩가이드(58)의 하부에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축(60)이 슬라이딩공(56)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 구비되고, 스핀들축(60)의 하부에는 스핀들축(60)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연장부(62)가 형성되며, 스핀들연장부(62)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부(62)의 외측으로 단턱지게 연장되는 스핀들베이스(64)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는 스핀들연장축(66)이 형성되며, 스핀들연장축(66)의 하부에는 상부 직경이 스핀들연장축(66)에 비해 크게 형성됨과 아울러 하부가 좁은 원뿔형의 스핀들헤드(68)가 형성되고, 스핀들베이스(64)의 하부에는 스핀들연장축(66) 상에 내측이 축 연결됨과 아울러 원판형으로 형성되는 제1패킹(70)이 형성되며, 제1패킹(70)의 하부 내측에는 원통형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부에 비해 하부 직경이 좁아지는 제2패킹(72)이 형성되고, 제1패킹(70)의 하부에는 제2패킹(72)의 외측으로 이격되어 하부로 돌출되는 링 형상의 패킹돌기(94)가 형성되는 합성수지재의 스핀들(74);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삽입공(12) 상에 삽입 구비되며, 외측 하부가 끼움돌기 상에 끼움 구비되고, 상수의 흐름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라 및 임펠라의 회전에 따라 상수의 사용량을 적산하여 표시하는 계측부를 갖는 미터기(76);
    상기 하부케이스(40)의 상부에 미터기(76)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부가 몸체부(10)의 외측 상부에 나사산에 의해 결합되고, 상부에는 내측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중앙에 상하로 관통된 관찰공(78)이 형성된 걸림판(80)이 형성되며, 외주연 상에는 방사상으로 다수개가 각각 상호 이격되어 외측으로 돌출됨과 아울러 각각의 내측에는 상하로 관통된 고정공(82)을 갖는 고정돌기(84)가 형성되고, 외주연 하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기부(96)가 형성되는 상부케이스(86);
    상기 상부케이스(86)의 상부 및 외주연 상측을 감싸도록 형성됨과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는 관찰커버(88);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10005985A 2021-01-15 2021-01-15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26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85A KR102262238B1 (ko) 2021-01-15 2021-01-15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5985A KR102262238B1 (ko) 2021-01-15 2021-01-15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238B1 true KR102262238B1 (ko) 2021-06-07

Family

ID=763747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5985A KR102262238B1 (ko) 2021-01-15 2021-01-15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23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048B1 (ko) 2021-12-16 2022-04-04 신한정밀 주식회사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수도 미터기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059A (ja) * 1999-08-17 2001-02-27 Kane Kogyo Kk 弁シール構造
KR200425706Y1 (ko) * 2006-06-20 2006-09-13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플레이트 체크 방식의 역류방지용 계량기 밸브 구조
KR100700933B1 (ko) 2006-12-15 2007-03-28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용 수도미터기
KR100817755B1 (ko) 2007-12-24 2008-03-31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밸브 부착형 수도미터기
KR20120004521U (ko) * 2010-12-15 2012-06-25 김정춘 역류방지장치를 수용하는 상부체결캡을 갖는 수도계량기
KR101739892B1 (ko) * 2016-09-09 2017-05-24 (주)대한계기정밀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172570B1 (ko) * 2020-07-01 2020-11-02 윤은애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56059A (ja) * 1999-08-17 2001-02-27 Kane Kogyo Kk 弁シール構造
KR200425706Y1 (ko) * 2006-06-20 2006-09-13 한국아이치 주식회사 플레이트 체크 방식의 역류방지용 계량기 밸브 구조
KR100700933B1 (ko) 2006-12-15 2007-03-28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용 수도미터기
KR100817755B1 (ko) 2007-12-24 2008-03-31 (주)대한계기정밀 역류방지밸브 부착형 수도미터기
KR20120004521U (ko) * 2010-12-15 2012-06-25 김정춘 역류방지장치를 수용하는 상부체결캡을 갖는 수도계량기
KR101739892B1 (ko) * 2016-09-09 2017-05-24 (주)대한계기정밀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172570B1 (ko) * 2020-07-01 2020-11-02 윤은애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048B1 (ko) 2021-12-16 2022-04-04 신한정밀 주식회사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수도 미터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570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1739892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262238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US20140182717A1 (en) System for Increasing the Efficiency of a Water Meter
KR102305369B1 (ko) 역류방지용 수도미터
KR200448968Y1 (ko) 체크밸브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101003768B1 (ko) 듀얼 체크밸브를 구비한 역류방지장치
KR102381048B1 (ko)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수도 미터기
KR101248796B1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JP2008224646A (ja) 水道メータの逆流防止部品
CN210216677U (zh) 磁平衡管道排水芯子
KR101453686B1 (ko) 역류방지밸브를 구비한 수도계량기
KR10217132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KR100954381B1 (ko) 삽입식 역류방지장치가 구비된 수도계량기
KR10208153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RU2010138975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спытания трубопроводов на герметичность
KR102492704B1 (ko) 역류방지밸브가 구성된 수도미터기
KR102354480B1 (ko) 역류방지용 수도미터
CN218444027U (zh) 一种水表壳
CN204114182U (zh) 具有多种功能的截止阀
JP4859017B2 (ja) 水道メータシステム
KR102433827B1 (ko) 잠금 기능이 있는 수도 미터
CN109899557B (zh) 水龙头装置
KR102137546B1 (ko) 수도 배관 장치
KR100402446B1 (ko) 급수장치용 역지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