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1328B1 -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 Google Patents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1328B1
KR102171328B1 KR1020190005814A KR20190005814A KR102171328B1 KR 102171328 B1 KR102171328 B1 KR 102171328B1 KR 1020190005814 A KR1020190005814 A KR 1020190005814A KR 20190005814 A KR20190005814 A KR 20190005814A KR 102171328 B1 KR102171328 B1 KR 102171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m
ball
fastening means
meter
dis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5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89125A (ko
Inventor
김종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스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스텐
Priority to KR1020190005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71328B1/ko
Publication of KR20200089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1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1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asuring Volume Flow (AREA)
  • Taps Or Coc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의 우측은 이음관의 입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계량기의 좌측은 밸브에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일단이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계량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Water meter for easily attachment and separation}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수도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700974호의 수도계량기의 연결장치에 의하면, 상수를 공급하는 공급관(80)과 배출하는 배출관(90) 사이에 수도계량기(50)를 설치하는 수도계량기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80)에 연설되어 공급되는 상수를 조절하는 밸브(30)를 이동가능하도록 설치하는 이동용 연결구(20)와, 상기 이동용 연결구(20)를 안내하는 가이드홈(11)과, 상기 가이드홈(11) 측으로 암나사(12)가 형성되고, 타측으로 고정용 연결구(13)가 설치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암나사(12)에 결합되고 이동용 연결구(20)와 연설되어 이동용 연결구(20)를 가이드홈(11)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고정부재(7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도계량기의 연결장치가 공개되어 있다.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214677호의 동결지연용 수도계량기에 의하면, 임펠러가 형성된 계측부와, 상기 계측부의 임펠러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다수의 기어를 통해 수돗물의 현재 사용량 및 누적 사용량을 지시하는 지시부와, 내부에 상기 계측부와 상기 지시부를 적층된 상태로 안착시키며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결합되는 보호부로 구성되는 수도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지시부는 상기 다수의 기어와 연결되어 수돗물의 현재 사용량 및 누적 사용량을 숫자로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표시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상기 표시부를 지지 및 고정시키되,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제 1지지체; 상기 제 1지지체의 상부에 상기 제 1지지체와 일정거리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 2지지몸체와, 상기 제 2지지 몸체의 테두리를 따라 일정한 두께로 형성되되 내측에 단차지게 걸림턱을 형성하는 제 2지지테두리를 포함하되, 상기 제 2지지몸체와 상기 제 2지지테두리의 내부에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진공캡; 상기 제 2지지테두리의 걸림턱에 안착되어 상기 제 2지지몸체와 상기 제 2지지테두리를 포함한 진공캡과 상기 진공공간을 형성하는 제 2지지체; 및 상기 제 1지지체 및 상기 제 2지지몸체의 외측면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 1지지체와 상기 제 2지지몸체 사이의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밀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 1지지체와 상기 제 2지지몸체 사이의 일정거리만큼 이격된 공간에 알코올을 포함하는 부동액을 투입하며, 상기 제 2지지몸체와 상기 제 2지지테두리를 포함하는 진공캡은 투명함과 동시에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재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결지연용 수도계량기가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수도 계량기들은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없어 계량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일단이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계량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의 우측은 이음관의 입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계량기의 좌측은 밸브에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이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계량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발명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수도계량기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상세도
도 3은 본발명 유지보수가 용이한 앵글밸브 외관도
도 4는 도1의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볼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된 유체가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출되는 상태도(평상시 사용도)
도 6은 본발명의 볼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된 유체가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도(평상시 사용도)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계량기의 우측은 이음관의 입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계량기의 좌측은 밸브에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20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200)에는 일단에 밸브가 나사결합되고, 타단에는 계량기의 좌측이 설치되어 체결수단(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계량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수단(200)의 좌측부(210)는 체결수단(200)의 중심부(220)와 내, 외경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200)의 우측부(230)는 체결수단(200)의 중심부(220)보다 외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 내부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 밸브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발명 수도계량기의 사시도, 도 2는 본발명 수도계량기에 설치되는 체결수단 상세도, 도 3은 본발명 유지보수가 용이한 앵글밸브 외관도, 도 4는 도1의 단면도, 도 5는 본발명의 볼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된 유체가 디스크가 개방된 상태에서 유출되는 상태도(평상시 사용도), 도 6은 본발명의 볼이 개방된 상태에서 유입된 유체가 디스크가 폐쇄된 상태에서 정지된 상태도(평상시 사용도)이다.
본 발명은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으로,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수도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계량기의 우측은 이음관의 입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계량기의 좌측은 밸브에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부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수단(200)에는 일단에 밸브가 나사결합되고, 타단에는 계량기의 좌측이 설치되어 체결수단(200)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계량기가 결합된다.
상기 체결수단(20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되, 내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의 좌측부(210)는 체결수단의 중심부(220)와 내, 외경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230)는 체결수단의 중심부보다 외졍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 내부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 밸브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체결수단은 중심부의 외주연에 체결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장방형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체결수단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우측부(230) 끝단 외주연에 제1삽입홈(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관의 끝단 외주연에도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 외주연에 형성된 제1삽입홈은 체결수단의 우측부 외주연을 절단한 것이다. 이에,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에 삽입되는 계략기의 좌측부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이음관(30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 외경은 이음관의 몸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 내부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 이음관과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이음관의 좌측부 외주연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된다. 이에,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에 삽입되는 계략기의 좌측부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수도 계량기는 흐르는 물의 속도를 측정하여 수량으로 환산하는 유속식과, 물의 체적을 측정하는 용적식으로 크게 분류되며, 수도 계량기의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한다. 곧 이러한 통상기술은 등록특허 10-0700974호, 10-1214677호에 종래기술로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수도 계량기의 통상적인 기술은 생략한다.
한편, 상기 계량기의 좌측에 설치되는 밸브는 앵글밸브를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앵글밸브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몸체(100)와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로 이루어져서 유체의 유로 각도를 직각으로 변경하여 흐르게 하는 앵글밸브이다.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디스크부(10)와 볼부(20)에 의해 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두 개의 개폐수단이 함께 설치된다.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유출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 하부에는 볼부(20)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며, 상기 몸체(100) 상부에는 디스크부(10)가 설치되어 상기 유출되는 유체를 개폐한다.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방향은 밸브의 설치위치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디스크부(10)에는 상부방향으로 스템(30)이 연결되며 상기 스템(30) 상단에는 핸들(40)이 몸체(100) 밖으로 연결되어 핸들(40)을 좌우로 돌리면 스템(30)이 승하강하여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것이다.
상기 스템(30)은 하부는 원통형의 스템몸체(31)가 결합되어 상기 스템몸체(31) 외주연의 나사부가 몸체 상부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템(30) 하단은 디스크 상부 삽입용 스템구멍(32)이 형성되어, 상기 스템이 디스크와 상대운동하며 승하강한다.
상기 디스크부(10)는 하부(11)는 면적이 작은 기둥형태이며, 중간은 디스크판(12)으로서 원판형상이며 면적이 크고, 디스크부 상부(13)는 작은 기둥형태이므로, 상기 상부(13)가 상기 스템(30) 하부와 연결되어 승하강되면 상기 디스크판(12)이 몸체(100) 내부의 유출 유로를 개폐한다.
상기 하부(11) 선단은 하부걸림부(11-1)가 형성되어, 하부걸림부(11-1)와 디스크판 (12)사이에는 밸브씰(80)이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밸브씰이 디스크부와 함께 승하강한다. 밸브씰은 합성수지 내지 연질의 금속으로 제조된다.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스템(30)이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구멍(31)이 형성되고, 몸체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스템 하부 외주연에도 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템(30)을 회전하면 스템구멍(31)에 대해 승하강하는 것이다.
상기 몸체 스템구멍(31) 상부에는 본넷(50)이 설치되어 내부를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스템구멍(31)과 본넷(50) 사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와셔(60)와 패킹(70)이 순차적으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볼부(20)는 구슬형태의 볼(21)과, 볼스템(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볼(21)은 내부에 볼구멍(21-1)이 형성되어 몸체 하부 유입구(101)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볼구멍(21-1)을 통과하여 상부의 밸브씰(40)의 구멍을 통해 상부로 유출된 후, 디스크판 사이를 통과한 후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볼(21)에는 수평방향으로 볼스템(22)이 부착되어 상기 볼스템(22)을 좌우로 회전하여 볼(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볼구멍(21-1)의 위치가 달라져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한다.
통상 볼구멍(21-1)은 열려 있어서, 볼구멍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유출구를 막거나 개방하며, 디스크가 고장일 시 상기 볼을 회전하여 유입구를 막고, 상기 본넷과 패킹과 와셔를 해체한 후, 스템을 해체하고 디스크를 해체하여 수리하는 것이다.
수리후 재조립할때는 앞서 기재한 바와 거꾸로 역순서로 조립하면 된다.
상기 캡너트는 볼스템이 보이지 않도록 가려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일단이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계량기 몸체를 원터치 형식으로 간편하게 탈부착할 수 있어 계량기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시 신속하고 빠르게 교체할 수 있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 몸체 101 : 유입구
102 : 유출구 10 : 디스크부
11 : 하부 12 : 디스크
11-1 : 하부걸림부 13 : 상부
20 : 볼부
21 : 볼 21-1 : 볼구멍
22 : 볼스템
30 : 스템 31 : 스템몸체
32 : 스템구멍 40 : 핸들
50 : 본넷
60 : 와셔 70 : 패킹
80 : 밸브씰
200 : 체결수단 210 : 좌측부
220 : 중심부 221 : 돌기
230 : 우측부 231 : 제1삽입홈
300 : 이음관

Claims (3)

  1. 일단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의 공급을 개폐하는 밸브에 설치되고, 타단은 이음관에 설치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로서, 상기 계량기의 우측은 이음관의 입구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상기 계량기의 좌측은 밸브에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200)은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된 파이프 형상이되, 내면에는 나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의 좌측부(210)는 체결수단의 중심부(220)와 내, 외경직경이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230)는 체결수단의 중심부보다 외졍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 내부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 밸브와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며,
    중심부의 외주연에 체결수단의 길이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장방형 돌기(221)가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체결수단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할 시 미끄러지지 않도록 방지할 수 있으며,
    우측부(230) 끝단 외주연에 제1삽입홈(231)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이음관의 끝단 외주연에도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 외주연에 형성된 제1삽입홈은 체결수단의 우측부 외주연을 절단한 것으로, 상기 체결수단의 우측부에 삽입되는 계략기의 좌측부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이음관(300)은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 외경은 이음관의 몸체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 내부에는 패킹이 설치되어 있어, 이음관과 계량기를 통과하는 유체가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이음관의 좌측부 외주연에는 제2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이음관의 좌측입구에 삽입되는 계략기의 좌측부를 더욱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계량기의 좌측에 설치되는 밸브는 앵글밸브를 사용하는 것으로, 상기 앵글밸브는 스테인레스 스틸 재질의 몸체(100)와 유입구(101) 및 유출구(102)로 이루어져서 유체의 유로 각도를 직각으로 변경하여 흐르게 하는 앵글밸브로서 상기 몸체(100) 내부에는 디스크부(10)와 볼부(20)에 의해 유로를 각각 개폐하는 두 개의 개폐수단이 함께 설치되며,
    상기 몸체(100)의 하부에 유입구(101)가 형성되고, 수평방향으로 유출구(102)가 형성되며, 상기 몸체(100) 하부에는 볼부(20)이 설치되어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며, 상기 몸체(100) 상부에는 디스크부(10)가 설치되어 상기 유출되는 유체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유입구, 유출구 방향은 밸브의 설치위치에 따라 변경할 수 있을 것이며,
    상기 디스크부(10)에는 상부방향으로 스템(30)이 연결되며 상기 스템(30) 상단에는 핸들(40)이 몸체(100) 밖으로 연결되어 핸들(40)을 좌우로 돌리면 스템(30)이 승하강하여 배출유로를 개폐하는 것으로,
    상기 스템(30)은 하부는 원통형의 스템몸체(31)가 결합되어 상기 스템몸체(31) 외주연의 나사부가 몸체 상부 내주연에 형성되는 나사부와 결합되며, 상기 스템(30) 하단은 디스크 상부 삽입용 스템구멍(32)이 형성되어, 상기 스템이 디스크와 상대운동하며 승하강하며,
    상기 디스크부(10)는 하부(11)는 기둥형태이며, 중간은 디스크판(12)으로서 원판형상이며, 디스크부 상부(13)는 기둥형태이므로, 상기 상부(13)가 상기 스템(30) 하부와 연결되어 승하강되면 상기 디스크판(12)이 몸체(100) 내부의 유출 유로를 개폐하는 것이며,
    상기 하부(11) 선단은 하부걸림부(11-1)가 형성되어, 하부걸림부(11-1)와 디스크판 (12)사이에는 밸브씰(80)이 삽입되어 기밀을 유지하면서 상기 밸브씰이 디스크부와 함께 승하강하며,
    상기 몸체(100)의 상부에는 스템(30)이 외부로 돌출되는 스템구멍(31)이 형성되고, 몸체 내주연에는 나사부가 형성되고, 스템 하부 외주연에도 나사부가 형성되어 스템(30)을 회전하면 스템구멍(31)에 대해 승하강하는 것이며,
    상기 몸체 스템구멍(31) 상부에는 본넷(50)이 설치되어 내부를 기밀을 유지하며, 상기 스템구멍(31)과 본넷(50) 사이에는 하부에서 상부로 와셔(60)와 패킹(70)이 순차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볼부(20)는 구슬형태의 볼(21)과, 볼스템(22)으로 구성되며, 상기 볼(21)은 내부에 볼구멍(21-1)이 형성되어 몸체 하부 유입구(101)에서 유입되는 유체가 볼구멍(21-1)을 통과하여 상부의 밸브씰(40)의 구멍을 통해 상부로 유출된 후, 디스크판 사이를 통과한 후 유출구로 배출되는 것이며,
    상기 볼(21)에는 수평방향으로 볼스템(22)이 부착되어 상기 볼스템(22)을 좌우로 회전하여 볼(21)을 회전시키게 되면 볼구멍(21-1)의 위치가 달라져 유입되는 유체를 개폐하며,
    볼구멍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디스크의 회전에 의해 유출구를 막거나 개방하며, 디스크가 고장일 시 상기 볼을 회전하여 유입구를 막고, 상기 본넷과 패킹과 와셔를 해체한 후, 스템을 해체하고 디스크를 해체하여 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2. 삭제
  3. 삭제
KR1020190005814A 2019-01-16 2019-01-16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KR102171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4A KR102171328B1 (ko) 2019-01-16 2019-01-16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5814A KR102171328B1 (ko) 2019-01-16 2019-01-16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25A KR20200089125A (ko) 2020-07-24
KR102171328B1 true KR102171328B1 (ko) 2020-10-28

Family

ID=71892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5814A KR102171328B1 (ko) 2019-01-16 2019-01-16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7132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51Y1 (ko) * 2004-12-09 2005-03-16 안병환 수도관의 이음 연결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319U (ko) * 2008-02-27 2008-03-18 이규환 도수방지용 수도미터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8651Y1 (ko) * 2004-12-09 2005-03-16 안병환 수도관의 이음 연결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125A (ko) 2020-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2570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US10174856B2 (en) Main valve with grooved rigid internal structure
US10415216B2 (en) Two-valve mixer with separate control of water temperature and pressure
CN201827444U (zh) 三通专用阀
AU621340B2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valves
CN203403478U (zh) 卫生嵌装件、嵌装件系统和卫生配件
KR101739892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0915391B1 (ko) 소방용 개폐밸브
KR102171328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CN208281577U (zh) 带磁性装卸功能的伸缩闸阀
KR101187045B1 (ko) 유량 조절용 볼 밸브
CN108061170A (zh) 伸缩带防干扰闸阀
KR102262238B1 (ko) 역류 방지용 수도 미터기
KR102081532B1 (ko) 탈부착이 용이한 수도 계량기
CN208281529U (zh) 伸缩带防干扰闸阀
CZ287458B6 (en) Flow meter for liquids and gases
KR102229181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앵글밸브
KR101871612B1 (ko) 날개차 지지 부재, 이것을 사용한 날개차 지지 구조 및 수도 미터
CN103727269A (zh) 一种新型的组合球阀
CN209484111U (zh) 一种中心旋转接头
JP2020056459A (ja) ボール型逆止弁
CN201696681U (zh) 低阻力自泄式倒流防止器
CN205756158U (zh) 农田灌溉用给水栓
CN204114182U (zh) 具有多种功能的截止阀
CN210800106U (zh) 一种厨卫角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