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969B1 - Tools for plastering work - Google Patents
Tools for plastering work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61969B1 KR102261969B1 KR1020200188726A KR20200188726A KR102261969B1 KR 102261969 B1 KR102261969 B1 KR 102261969B1 KR 1020200188726 A KR1020200188726 A KR 1020200188726A KR 20200188726 A KR20200188726 A KR 20200188726A KR 102261969 B1 KR102261969 B1 KR 1022619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lastering
- disposed
- rail
- indoor
- horizontal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2—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applying plasticised masses to surfaces, e.g. plastering walls
- E04F21/06—Implements for applying plaster, insulating material, or the like
- E04F21/08—Mechanical imp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실내면의 미장 작업에서 표면 마무리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에 관한 것이다.[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a surface finishing operation in a plastering operation of an interior surface.
미장 작업은, 콘크리트 건축물이나 벽돌 등을 이용한 조적식 건축물의 내벽을 시멘트 모르타르(또는 레미탈)로 마감하는 작업이다. Plastering is an operation of finishing the inner wall of a concrete building or a masonry building using bricks with cement mortar (or remital).
미장작업은 먼저, 미장면에 레미탈을 소정의 두께로 초벌로 바르고, 레미탈에 물기가 남은 동안 흙손등으로 표면을 문질러 자국을 없애고 보양한다. 이후, 초벌 바름면을 물로 적시고, 초벌을 너무 두껍게 바른 곳이 있으면 고름질하고, 모르타르로 전체를 바르고 흙손등으로 표면을 문지른다.In the plastering operation, first, the remital is first applied to the plastered surfac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while the water remains on the remital, the surface is rubbed with a trowel to remove the marks and nourish the surface. Afterwards, wet the primed surface with water, and if there is a place where the primer is applied too thickly, purify it, apply the entire surface with mortar and rub the surface with a trowel or the like.
다음으로, 재벌 바름이 건조하고 경화된 후, 물적시기를 하고 정벌바르기를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쇠흙손이나 기타 마무리 장비를 통해 표면 마무리를 수행한다.Next, after the chaebol application is dry and hardened, wet it and perform the chaebol application. Finally, the surface is finished with an iron trowel or other finishing equipment.
작업자가 표면 마무리를 수행할 때, 작업자의 육안이나 직감으로 미장면의 수평을 맞춘다. 미장면의 수평을 맞추는 작업은 높은 숙련도를 필요하기 때문에, 숙련도가 낮은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하는 경우, 미장 품질이 크게 떨어지고,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When the operator performs the surface finishing, the surface is leveled by the operator's eyes or intuition. Since the leveling of the plastering surface requires a high level of skill, when a worker with low skill level performs the work, there is a problem that the plastering quality is greatly deteriorated and a lot of work time is required.
또한, 작업자에 숙련도에만 의지하는 경우, 미장면의 두께를 균일하게 유지하는 것이 매우 어렵고, 미장작업 중 미장면의 두께를 측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In addition, when relying only on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it is very difficult to keep the thickness of the plastered surface uniform, and there is a inconvenience of measuring the thickness of the plastering surface during plastering work.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미장면의 수평을 쉽게 맞추고 미장면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를 제공함에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lastering tool used for plastering work that can easily level the plastered surface and maintain a constant thickness of the plastered surface regardless of the skill level of the operator.
실시예는, 실내 벽면의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로서,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일단을 포함하는 관형 제1 바디와,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형 제2 바디와,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레일과,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 및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수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제3 면과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미장면 부근의 설치벽에 접촉하는 면이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하되, 상기 제3 면보다 소정의 거리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끝단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3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의 밀대에 접촉함으로써, 미장의 표면 마무리의 기준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의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The embodiment is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of an indoor wall, the tubular first body including one end in contact with any one of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other one of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A tubular second body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 rail disposed on the body,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upon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the a first body and a horizontal plane disposed on any one of the second body, wherein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facing the first surface, and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It includes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that are vertically coupled to two surfaces, wherein the first surface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an installation wall in the vicinity of a plastered surface, and the rail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but more than the third surface It is arranged to protrud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disposed on the end surface, and the guide surfac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and by contacting the worker's pusher, becomes a reference surface of the surface finish of the plastering. It is possible to provide a plastering tool used for the plastering of the interior wall characterized in that.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은 제3 면에 접촉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2 수평부에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ail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in contact with a third surface, a vertical portio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the guide surface is It may be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disposed on the second horizontal p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수평부의 폭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폭은 상기 제3 면의 폭보다 작은 미장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width of the first horizontal portion and the width of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may be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hird surface.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면에서 상기 가이드면까지 거리는 상기 밀대의 폭보다 적어도 큰 미장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distance from the third surface to the guide surface may be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that is at least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push bar.
바람직하게는, 상기 레일은 제1 면에 연장되는 제3 수평부와, 상기 제3 면과 직접 연결되는 경사부와, 상기 제3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교차부분에 상기 가이드면이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rail has a third horizontal portion extending to the first surface, an inclined portion directly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guide surface is disposed at an intersection where the third horizontal portion and the inclined portion meet Can be used for plastering work.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바디의 끝단에는 걸이홈이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Preferably, the end of the second body may be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in which a hook groove is disposed.
실시예에 따르면, 표면 마무리 작업에 사용되는 밀대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여,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미장면의 수평을 쉽게 맞출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cluding the guide surface for guiding the push rod used for surface finishing,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easily align the level of the surface regardless of the skill of the operator.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디에 배치된 수평계를 통해, 가이드면의 정확한 수직 상태를 구현함으로써, 미장 품질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quality of the plastering can be improved by implementing an accurate vertical state of the guide surface through the leveler disposed on the first body.
실시예에 따르면, 길이가 가변되고, 신축 시, 복원력을 갖는 미장용 기구를 실내 천정 및 바닥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length is variable, and when it expands and contracts, a cosmetic appliance having a restoring force can be easily installed on the ceiling and floor of the room.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바디와 제2 바디의 상하방향 위치를 변경하여, 실내 천정 및 바닥에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미장면의 위치에 대응하여, 가이드면의 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upper and lower positions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can be changed and fixed to the indoor ceiling and floor, the position of the guide surface can be easily changed in response to the position of the decorative surface There is this.
실시예에 따르면, 미장작업의 속도가 신속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양생 속도가 빠른 뿌리는 레미탈을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뿌리는 레미탈을 사용하는 경우, 벽면의 벽돌과 벽돌 사이를 채우기 용이하며, 양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레미탈이 흘러내리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embodiment, since the speed of the plastering operation proceeds quickly,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root can use the fast curing speed Remital. When using Remital for rooting, it is easy to fill between the bricks and bricks on the wall, and since the curing speed is fast, Remita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r cracking.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의 평면도,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의 평면도,
도 5는 변형례에 따른 레일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욕실 부근의 실내벽의 미장면에 배치되는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문틀 부근의 실내벽의 미장면에 배치되는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가 설치된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가 설치된 다른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
도 10은 밀대와 미장용 기구를 통해 표면 마무리 작업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미장용 기구를 이용한 표면 마무리 작업으로 미장 표면이 평탄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2는 래미탈을 뿌리는 방식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2 is a plan view of the cosmetic appliance shown in Figure 1,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ure 4 is a plan view of the cosmetic appliance shown in Figure 3,
5 is a view showing a rail according to a modification;
6 is a view showing a plastering appliance disposed on a plastering surface of an indoor wall near a bathroom;
7 is a view showing a plastering apparatus disposed on a plastering surface of an indoor wall near a door frame;
8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 area in which the cosmetic appliance shown in FIG. 6 is installed;
9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nother area in which the cosmetic apparatus shown in FIG. 6 is installed;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urface finishing operation through a pusher and a plastering tool;
11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lastering surface is flattened by a surface finishing operation using a plastering tool;
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a ramital by spraying.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to more complete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and the following embodiments can be modified in various other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It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examples. Rather, these examples are provided so that this disclosure will be more thorough and complete, and will fully conve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not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form may include the plural form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Also,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the recited shapes, numbers, steps, action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of those specified. and does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shapes, numbers, movements, members, elements and/or groups. As used herein,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ne and any combination of one or more of those listed items.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됨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herein to describe various members, regions, and/or regions, these members, parts, regions, layers, and/or region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Do. These terms do not imply a specific order, upper and lower, or superiority, and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member, region or region from another. Accordingly, a first member, region, or region described below may refer to a second member, region, or reg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aching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schematically illustrat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drawings, variations of the illustrated shape may be expected, for example depending on manufacturing technology and/or tolerances. Accordingl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specific shape of the region shown herein, but should include, for example, changes in shape caused by manufacturing.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cosmetic applia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는,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와, 레일(300)과, 탄성부재(400) 및 수평계(5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 the plas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include a
제1 바디(100)는, 관형 부재로서, 실내 천정 또는 실내 바닥에 끝단이 접촉한다. 제1 바디(1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단면이 사각형인 부재일 수 있다. 제1 바디(10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제2 바디(200)는 관형 부재로서, 실내 천정 또는 실내 바닥에 끝단이 접촉한다. 제1 바디(100)가 실내 천정에 접촉하는 경우, 제2 바디(200)는 실내 바닥에 접촉할 수 있다. 제1 바디(100)가 실내 바닥에 접촉하는 경우, 제2 바디(200)는 실내 천정에 접촉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제1 바디(100)의 내측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내부가 비어 있는 단면이 사각형인 부재일 수 있다. 제2 바디(200)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레일(300)은 제1 바디(100)에 배치될 수 있다. 레일(300)은 제1 바디(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300)은 미장작업 중에 미장면을 수평하게 맞추는데 기준을 제공한다. 레일(300) 또한 금속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탄성부재(400)는 길이방향으로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시 복원력을 가진다. 탄성부재(400)의 변형을 통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의 중첩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미장용 기구의 전체 길이를 조절하고, 탄성부재(400)의 복원력을 통해,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에 대한 미장용 기구의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다. 탄성부재(400)의 일단은 제1 바디(100)에 고정되는 고정핀(F)에 고정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400)의 타단은 제2 바디(200)에 배치되는 고정핀(F)에 고정될 수 있다.The elastic member 400 is disposed between the
수평계(500)는 제1 바디(100)에 배치될 수 있다. 수평계(500)를 통해,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에 수직하게 설치되어 있는지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The
한편, 제2 바디(200)의 끝단에는 걸이홈(210)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바디(200)의 끝단이 실내 천정에 접촉하고, 제1 바디(100)의 끝단이 실내 바닥에 접촉한 경우, 작업자는 걸이홈(210)에 고리를 걸어 제2 바디(200)를 잡아 당김으로써, 필요에 따라 미장용 기구의 길이를 줄일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
도 2는 도 1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의 평면도이다.FIG. 2 is a plan view of the cosmetic apparatus shown in FIG. 1 .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바디(100)는 제1 면(110)과, 제2 면(120)과, 제3 면(130)과, 제4 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면(110)과, 제2 면(120)과, 제3 면(130)과, 제4 면(140)은 모두 평면일 수 있다. 1 and 2 , the
여기서, 제1 면(110)은 미장면 부근의 설치벽에 접촉하는 면으로 정의된다.Here, the
제2 면(120)은 제1 면(110)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면이다. 제3 면(130)과 제4 면(140)은 각각 제1 면(110)과 제2 면(120)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면이다.The
레일(300)은 제1 면(110) 즉, 설치벽에 접촉하는 면에 수직한 제3 면(130)에 배치되어, 제3 면(130)보다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레일(300)은 제3 면(130)보다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는 가이드면(G)을 제공한다. 가이드면(G)은 작업자의 밀대가 슬라이딩되는 곳으로, 미장면의 수평을 맞추는 기준이 되는 면이다. The
이러한 가이드면(G)은 제3 면(130)과 평행한 면이다. 그리고 제1 바디(100)와 제2 바디(200)가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에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면, 가이드면(G)은 미장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This guide surface (G) is a surface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130). And when the
레일(300)의 일례로서, 레일(300)은 제1 수평부(310)와, 수직부(320)와, 제2 수평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평부(310)와, 수직부(320)와, 제2 수평부(330)를 구분하여 설명하나, 그 기능 및 형상에 의해 구분될 뿐, 서로 연결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As an example of the
제1 수평부(310)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3 면(130)에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평부(310)는 제3 면(130)의 일측에 치우쳐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320)는 평판형 부재로서, 제1 수평부(310)에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수직부(320)는 제1 수평부(310)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수평부(330)는 평판형 부재로서, 수직부(320)에 수직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수평부(330)의 중앙에 수직부(320)가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평부(330)는 가이드면(G)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면(G)은 제2 수평부(330)의 일면 중 제1 바디(100)를 바라보는 면 중 일부일 수 있다.The first
제1 수평부(310)의 폭(W1)과 제2 수평부(330)의 폭(W2)은 동일하며, 제1 수평부(310)의 폭(W1)과 제2 수평부(330)의 폭(W2)은 제3 면(130)의 폭(W3)보다 작을 수 있다.The width W1 of the first
도 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의 평면도이다.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applia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and FIG. 4 is a plan view of the cosmetic appliance shown in FIG. 3 .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의 레일(300B)은, 제3 수평부(340)와, 경사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에서, 제2 면(120)과 제3 면(130)과 제4 면(140)은 하나의 부재에서 형성되고, 제1 면(110)과 제3 수평부(340)와 경사부(350)는, 제2 면(120)과 제3 면(130)과 제4 면(140)과 다른 어느 하나의 부재에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3 and 4 , the
제3 수평부(340)는 제1 면(110)에서 연장되는 평판형 부재일 수 있다. 경사부(350)는 제3 면(130)과 직접 연결되는 평판형 부재일 수 있다. 제3 수평부(340)와 경사부(350)가 만나는 교차부분에 가이드면(G)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면(G)은 제3 면(130)과 평행한 면이다.The third
도 5는 변형례에 따른 레일(300)를 도시한 도면이다.5 is a view showing a
도 5의 (a)와 같이, 단면이 사각형인 기둥이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와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5의 (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례에 따른 레일(300C)에서, 수직부(320)가 제1 수평부(310) 및 제2 수평부(330)의 에지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c)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례에 따른 레일(300D)에서, 수직부(320)가 제1 바디(100)에서 직접 연장되어 실시되며, 수직부(320)가 제2 수평부(330)의 일측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 도 5의 (d)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변형례에 따른 레일(300E)에서, 수직부(320)가 제1 바디(100)에서 직접 연장되어 실시되며, 수직부(320)가 제2 수평부(330)의 중앙에 배치되도록 실시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a), a column having a rectangular cross-section may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las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As shown in (b) of FIG. 5 , in the
도 6은 욕실 부근의 실내벽의 미장면에 배치되는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문틀 부근의 실내벽의 미장면에 배치되는 미장용 기구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가 설치된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6에서 도시한 미장용 기구가 설치된 다른 영역을 도시한 확대도이다.6 is a view showing a plastering apparatus disposed on a plastering surface of an indoor wall near a bathroom, FIG. 7 is a view showing a plastering apparatus disposed on a plastering surface of an indoor wall near a door frame, and FIG. 6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 area in which a cosmetic appliance is installed, and FIG. 9 is an enlarged view illustrating another area in which the plastering apparatus shown in FIG. 6 is installed.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욕실 부근의 실내벽의 코너 부근에 도 2에서 도시한 레일(300A)을 포함하는 미장용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00)가 실내 천정에 접촉되고, 제2 바디(200)를 실내 바닥에 접촉되도록 미장용 기구의 길이를 줄여, 고정한 후, 미장면의 기준면(L)에 가이드면(G)이 위치하도록 미장용 기구를 이동시킨다, 이때, 제1 면(110)이 설치벽(S)에 접촉한다. 그리고 가이드면(G)은 미장 두께(t)만큼 시공벽(W)에서 제1 거리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여기서, 제1 거리는 미장면의 기준면(L)과 시공벽(W)의 최단 직선거리로서 미장 두께(t)에 해당한다.Referring to FIGS. 6 and 8 , a cosmetic appliance including the
이후, 수평계(500)를 통해 미장용 기구가 수직이 되도록 위치를 잡는다. 미장용 기구가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에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면, 가이드면(G)은 미장면의 기준면(L)에 평행하게 배치된다.Thereafter, the position is positioned so that the cosmetic appliance is vertical through the
레일(300A)의 길이(D)는 미장용 기구의 설치환경에 대응하여 다양하게 변경 설정될 수 있다.The length D of the
밀대(10)의 접촉면(11)을 가이드면(G)에 접촉시키고, 상측에서 하측 또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가이드면(G)을 따라 밀대(10)를 이동시키면서 표면 마무리 작업이 진행된다.The
도 7을 참조하면, 도 2에서 도시한 레일(300A)이 포함된 2개의 미장용 기구가 일측과 타측에 각각 배치되어, 2개의 미장용 기구의 각각의 가이드면(G)이 미장면의 기준면(L)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 two plastering instruments including the
도 7 및 도 9를 참조하면, 각진 코너벽 부근에 도 4에서 도시한 레일(300B)미장용 기구가 설치될 수 있다. 제3 수평부(340)와 경사부(350)의 교차부근에 배치된 가이드면(G)이 미장 두께(t)만큼 시공벽(W)에서 이격되도록 미장용 기구가 배치된다.Referring to Figures 7 and 9, the
도 10은 밀대(10)와 미장용 기구를 통해 표면 마무리 작업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미장용 기구를 이용한 표면 마무리 작업으로 미장 표면이 평탄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urface finishing operation through the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표면 마무리 작업에서, 작업자가 밀대(10)를 가이드면(G)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밀대(10)를 가이드면(G)을 따라 이동시키면, 미장면의 기준면(L)보다 돌출된 레미탈(R1)은 밀대(10)에 밀려 제거되고, 해당 영역은 밀대(10)에 의해 평탄화가 진행된다. 또한, 레미탈이 부족하여 미장면의 기준면(L)보다 오목한 부분(R2)에 레미탈을 채워가면서 표면 마무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0 and 11 , in the surface finishing operation, when the operator moves the
도 12는 래미탈을 뿌리는 방식으로 도포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12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pplying a ramital by spraying.
도 12를 참조하면, 래미탈을 뿌리는 방식으로 시공벽(W)에 도포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미장용 기구를 사용하면, 미장 작업의 속도가 크게 높일 수 있다. 때문에, 양생 속도가 빠른 뿌리는 레미탈(R)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뿌리는 레미탈을 사용하는 경우, 시공벽(W)의 벽돌과 벽돌 사이(k)를 채우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또한, 래미탈의 양생 속도가 빠르기 때문에 레미탈이 흘러내리거나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Referring to FIG. 12 , it may be applied to the construction wall W by spraying a ramital. If the plaster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s used, the speed of the plastering operation can be greatly increased. Therefore, the fast curing speed roots can use Remital (R). In particular, when using Remital for root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easy to fill the space (k) between the bricks and the bricks of the construction wall (W). In addition, since the curing speed of the ramital is fast,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ramital can be prevented from flowing down or cracks are generated.
이상, 본 발명의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In the above,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lastering apparatus used in the plastering work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but it is obvious that various implementation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limits that do not depart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fined by the following claims as well as the claims and equivalents.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That i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concept of equivalents thereof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제1 바디
110: 제1 면
120: 제2 면
130; 제3 면
140: 제4 면
200: 제2 바디
300: 레일
400: 탄성부재
500: 수평계 100: first body
110: first side
120: second side
130; 3rd side
140: the fourth side
200: second body
300: rail
400: elastic member
500: level
Claims (6)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 중 어느 하나에 접촉하는 일단을 포함하는 관형 제1 바디;
실내 천정 및 실내 바닥 중 다른 하나에 접촉하는 타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바디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하는 관형 제2 바디;
상기 바디에 배치되는 레일;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 배치되어 신축 시 복원력을 가지는 탄성부재;및
상기 제1 바디 및 상기 제2 바디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는 수평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바디는 제1 면과, 상기 제1 면과 마주보고 배치되는 제2 면과,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에 수직하게 결합하는 제3 면과 제4 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면은 미장면 부근의 설치벽에 접촉하는 면이고,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바디에 결합하되, 상기 제3 면보다 소정의 거리로 돌출되게 배치되며, 끝단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3 면과 평행하게 배치되어, 작업자의 밀대에 접촉함으로써, 미장의 표면 마무리의 기준면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벽면의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As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plastering of interior walls,
a tubular first body including an end contacting any one of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a tubular second body including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other one of the indoor ceiling and the indoor floor and slidably coupled to the first body;
a rail disposed on the body;
An elastic member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and having a restoring force upon expansion and contraction; And
Including a leveler disposed on any one of the first body and the second body,
The first body includes a first surface, a second surfac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urface, and a third surface and a fourth surface that are perpendicularly coupled to the first surface and the second surface,
The first surface is a surface in contact with the installation wall in the vicinity of the unpainted surface,
The rail is coupled to the first body, is disposed to protrude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third surface, and includes a guide surface disposed on the end surface,
The guide surface is arranged parallel to the third surface, and by contacting the worker's push bar,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of an indoor wall, characterized in that it becomes a reference surface of the surface finish of plastering.
상기 레일은 제3 면에 접촉하는 제1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 수직하게 연결되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에 수직하게 배치되는 제2 수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면은 상기 제2 수평부에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includes a first horizontal portion in contact with the third surface, a vertical portion vertically connected to the horizontal portion, and a second horizontal portion disposed perpendicular to the vertical portion,
The guide surface is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disposed on the second horizontal portion.
상기 제1 수평부의 폭 및 상기 제2 수평부의 폭은 상기 제3 면의 폭보다 작은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3. The method of claim 2,
The width of the first horizontal part and the width of the second horizontal part are smaller than the width of the third surface.
상기 제3 면에서 상기 가이드면까지 거리는 상기 밀대의 폭보다 적어도 큰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4. The method of claim 3,
The distance from the third surface to the guide surface is at least greater than the width of the push bar.
상기 레일은 제1 면에 연장되는 제3 수평부와, 상기 제3 면과 직접 연결되는 경사부와, 상기 제3 수평부와 상기 경사부가 만나는 교차부분에 상기 가이드면이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is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in which the guide surface is disposed at an intersection where a third horizontal part extending to the first surface, an inclined part directly connected to the third surface, and the third horizontal part and the inclined part meet a cosmetic appliance.
상기 제2 바디의 끝단에는 걸이홈이 배치되는 미장 작업에 사용되는 미장용 기구.6. The method of claim 1 or 5,
A plastering instrument used for a plastering operation in which a hook groove is disposed at the end of the second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726A KR102261969B1 (en) | 2020-12-31 | 2020-12-31 | Tools for plastering wor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88726A KR102261969B1 (en) | 2020-12-31 | 2020-12-31 | Tools for plastering work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61969B1 true KR102261969B1 (en) | 2021-06-07 |
Family
ID=76374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88726A KR102261969B1 (en) | 2020-12-31 | 2020-12-31 | Tools for plastering work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61969B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8158U (en) * | 1996-11-26 | 1997-06-06 | ミナト工業株式会社 | Ceiling board support |
JP2004124535A (en) * | 2002-10-03 | 2004-04-22 |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 Guide jig |
KR101627467B1 (en) * | 2015-09-08 | 2016-06-03 | 이헌구 | Apparatus for installing floor |
KR101643551B1 (en) * | 2015-05-07 | 2016-11-23 | 송우석 | The wall auto spread machine and method for spreading wall using this same |
KR20180001130U (en) | 2016-10-14 | 2018-04-24 | 박상욱 | Tools for Plastering Work |
KR101924184B1 (en) * | 2018-02-05 | 2018-12-03 | 김용대 | Floor Mortar Planarization Regulator |
-
2020
- 2020-12-31 KR KR1020200188726A patent/KR102261969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038158U (en) * | 1996-11-26 | 1997-06-06 | ミナト工業株式会社 | Ceiling board support |
JP2004124535A (en) * | 2002-10-03 | 2004-04-22 | Asahi Kasei Construction Materials Co Ltd | Guide jig |
KR101643551B1 (en) * | 2015-05-07 | 2016-11-23 | 송우석 | The wall auto spread machine and method for spreading wall using this same |
KR101627467B1 (en) * | 2015-09-08 | 2016-06-03 | 이헌구 | Apparatus for installing floor |
KR20180001130U (en) | 2016-10-14 | 2018-04-24 | 박상욱 | Tools for Plastering Work |
KR101924184B1 (en) * | 2018-02-05 | 2018-12-03 | 김용대 | Floor Mortar Planarization Regulat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004522024A (en) | Leveling rods for building construction | |
KR101100258B1 (en) | Wall solid plastering device and wall solid plastering machine using the same | |
GB2462670A (en) | Surface levelling apparatus | |
CN202090569U (en) | Plastering screed template | |
KR102261969B1 (en) | Tools for plastering work | |
KR102339511B1 (en) | Method for plastering using tools for plastering work | |
US20240068245A1 (en) | System and method for shotcrete construction | |
EP4177417A1 (en) | A method and a robotic device for applying plaster mass | |
KR20210002301A (en) | Sludge-type mortar with a plaster finish on the screed vibration dapple bar | |
CN208137367U (en) | A kind of wall plastering strickle | |
CN111502171A (en) | Ground leveling method adopting dotting and rib punching system | |
RU131825U1 (en) | LIGHTHOUSE MOUNTING DEVICE | |
CN114482478B (en) | Plastering leveling method and sleeve set | |
CN206091238U (en) | Instrument of making level of plastering | |
CN213774572U (en) | Wall building auxiliary equipment | |
RU2270304C1 (en) |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guide strips adapted for leveling underlay arrangement | |
US3123352A (en) | Plumb stick and guide for corner beading | |
CN214834436U (en) | Plastering device for wall brick and floor tile | |
RU194426U1 (en) | LASER PLASTER | |
RU106277U1 (en) | ADJUSTABLE FASTENING FOR THE BEACON PROFILE | |
CN203430000U (en) | Multifunctional steel wire quick movable elevation bar | |
CN211499639U (en) | Device for controlling precision of plastering mortar cake | |
KR100694176B1 (en) | Indoor wall of building | |
RU31588U1 (en) | Lighthouse profile beam for construction work | |
RU2272112C2 (en) | Method for wall surface forming and profiled screed bar for method realiza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