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949B1 -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949B1
KR102261949B1 KR1020140054170A KR20140054170A KR102261949B1 KR 102261949 B1 KR102261949 B1 KR 102261949B1 KR 1020140054170 A KR1020140054170 A KR 1020140054170A KR 20140054170 A KR20140054170 A KR 20140054170A KR 102261949 B1 KR102261949 B1 KR 1022619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touch panel
area
mesh structure
patter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4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7410A (ko
Inventor
김용석
박봉준
엄성수
유영선
이진웅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4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49B1/ko
Priority to CN201520291441.1U priority patent/CN205015856U/zh
Priority to US14/706,244 priority patent/US20150324047A1/en
Publication of KR20150127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7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시 구조의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서의 메시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뷰 영역의 시인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구현하고, 패널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가능케 한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TOUCH PANEL HAVING MESH STRUCTURED PATTERN}
본 발명은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메시 구조의 패턴을 형성함에 있어 상기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서의 메시 밀도를 증가시킴으로써 뷰 영역의 시인성을 개선시킴과 동시에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구현하고, 패널 제조 공정의 간소화를 가능케 한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터치 패널은 디스플레이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하는 경우 이를 수신하는 장치를 일컫는다. 구체적으로, 터치 패널은 교차 구조를 갖는 두 개의 전도성 패턴으로 구성되는데, 최근에는 두 개의 패턴이 각각 개별 시트에 형성되고 두 개의 시트가 글라스에 적층되어 배열되도록 한 GFF구조, 두 개의 패턴을 모두 하나의 글라스에 배치시키되 두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에는 브릿지 등의 연결구조를 활용하는 G2구조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를 보면서 화면에 표시된 메뉴를 터치하여 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하는 구성으로서 일정 수준 이상의 광투과성 또는 투명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는 투명한 플레이트 표면에 투명한 전도성 패턴을 형성시켜 제조함으로써 광투과성이 좋은 터치 패널을 구현하고 있다.
한편, 터치 패널을 구현함에 있어 상기 전도성 패턴을 기판 위에 형성시키는 방법은 터치 패널의 시인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최근 다양한 방식의 패턴 형성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특히 그 중에서도 전도성 패턴을 금속 세선들로 이루어진 금속 메시 구조로 구성하는 기술이 새롭게 제안되고 있다.
본 발명은 패턴 형성 방법을 개선시키기 위한 다양한 방안 중의 하나로서 두 개의 패턴이 교차되는 지점에서의 선폭을 조절하고, 메시 구조의 패턴으로 구현하되 교차 지점에서의 격자 밀도를 높임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고 제조 공정을 보다 간소화 시킬 수 있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국내공개특허 제2013-0138487호(“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가 존재한다. 위 선행기술은 전극 패턴을 메시 구조로 형성하여 터치 스크린의 두께를 슬림하게 만들고, 공정 단계를 간소화 한다는 등의 효과를 개시하고 있어 이 건 출원발명과 일부 공통되는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단순히 전도성 패턴을 메시 구조로 형성시킬 수 있음을 기재하고 있을 뿐, 메시로 된 전도성 패턴의 선폭, 메시 구조의 밀도 조절 등 메시 구조를 기판상에 형성하는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138487호 (2013.12.19. 공개)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메시 구조 패턴이 교차함에 있어 교차되는 영역의 메시 밀도와 교차되지 않는 영역의 메시 밀도가 다른 값을 가지도록 구현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두 개의 패턴이 교차함에 있어 어느 하나의 패턴 선폭을 다른 패턴보다 좁게 형성시킨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다만, 이러한 발명의 카테고리들은 단어 그 자체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살펴볼 기술 사상을 포함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확장 해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제1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이 단선되어 있는 제2패턴;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을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패턴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구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메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보다 큰 값을 갖도록 패턴을 구현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의 1.7 내지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은 제2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의 선폭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제2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의 제1패턴 선폭은 1㎛ 내지 3㎛ 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한편, 상기 터치 패널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제2패턴은, 구동(Tx)전극 또는 수신(Rx)전극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제1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이 단선되어 있는 제2패턴;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을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패턴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구조;
를 포함하되, 상기 제1패턴 및 제2패턴은 메시 구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 구조의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높이고, 특히 패턴이 교차되는 영역에서의 시인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턴이 교차되는 영역과 교차되지 않는 영역에서의 메시 밀도를 조절함으로써 연결구조의 구비는 용이하게 하되, 그 외의 터치 패널 영역은 시인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메시 구조의 패턴을 활용함으로써 종래 투광성 전도체에 비해 우수한 전기적 특성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 투광성 전도체를 기판 위에 형성시키던 공정을 크게 간소화 할 수 있어 제품 생산 기간 및 생산 비용 측면에서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투광성 전도체를 기판위에 형성시킨 모습을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시 구조로 된 패턴이 기판에 형성되어 있는 모습 및 두 개의 패턴이 교차하는 구조를 도식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2의 터치 패널에 있어 메시 구조의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과 교차하지 않는 영역의 메시 밀도를 비교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거나 이용되지 않아야 할 것이다. 이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포함한 설명은 다양한 응용을 갖는다는 것이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임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보다 잘 설명하기 위한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도면에 표시되고 아래에 설명되는 기능 용어들은 가능한 표현의 예들일 뿐이다. 다른 실시예들에서는 상세한 설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용어들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것의 의미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나아가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종래의 터치 패널 구현예를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하였듯 최근에는 사용자가 신체 일부를 터치함에 따른 전류를 감지하는 정전용량방식의 터치 패널이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정전식 터치 패널은 투명한 기판(50) 상에 투광성 전도체 패턴을 구비시켜 정전용량의 변동에 따라 위치 좌표를 검출해 내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한편, 현재까지도 많은 터치 패널들이 도 1과 같이 투광성 전도체, 대표적으로는 ITO(Indium Tin Oxide)를 이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도 1(a)에는 특정 방향으로 배치된 제1패턴(10)과, 상기 특정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배치된 제2패턴(20), 상기 제1패턴(10) 및 제2패턴(20) 간 절연 및 연결을 위한 절연체(40) 및 연결구조(30)가 개시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제1패턴(10) 및 제2패턴(20)은 투광성 전도체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메시구조가 아닌 평면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도 1(b)는 상기 도 1(a)의 터치 패널을 전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터치 패널의 가장 하단은 투명 기판(50)이 위치하고, 그 위로 제1패턴(10), 제2패턴(20), 절연체(40) 및 연결구조(30)가 차례로 적층이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메시 구조가 아닌 일반 평면 구조의 투광성 전도체를 이용한 터치 패널을 사용하는 경우, 비록 기판(50) 및 패턴 자체는 투광성 물질을 사용하여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일정 수준까지는 유지할 수 있으나, 상기 패턴이 교차하는 영역, 즉 연결구조(30)가 다수 형성되어 해당 면적이 증가하게 되는 경우 시인성이 반감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 다른 한편, 전기적 특성 향상을 위해 투광성 전도체의 저항을 개선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패턴의 시인성이 떨어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이 밖에도, 도 1과 같은 구조의 터치 패널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제조 공정에 있어서도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구체적으로, 투광성 전도체를 패터닝 하기 위해서는 우선 기판(50)을 라미네이팅 하는 단계, 노광 단계, 현상 단계, 에칭 단계 등 4단계의 공정이 필요하며, 이러한 단계를 거쳐 형성된 기판(50) 상의 패턴 위로는 절연체(40) 및 연결구조(30)를 형성시켜 최종적인 터치 패널이 완성되는바, 도 1과 같은 구조의 터치 패널을 제조하는 데에는 복잡 다단의 공정을 요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기본적으로 기판(50), 제1패턴(100) 및 제2패턴(200), 절연체(400) 및 연결구조(300)를 포함한다.
우선 터치 패널의 기초를 구성하는 기판(50)은 투명한 재질로 된 부재를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기판(50)은 유리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PET, PEN 등의 고분자 중합체로 된 비전도성 투명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50)은 일반적으로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판형의 부재는 유연한 재질의 부재를 활용하여 벤딩(bending), 커빙(curving)이 가능한, 즉 플렉서블하도록 구현할 수 있다.
다른 한편, 절연체(400)는 상기 기판(50) 표면의 제1패턴(100)과 제2패턴(200)을 절연시키는 역할을 하는 구조체로서, 비전도성의 투명 절연 물질(clear insulation)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도 2(b)에 의하면, 상기 절연체(400)는 메시 구조로 형성된 패턴의 빈 격자 공간 내에 절연물질을 채워 넣음으로써 구성할 수 있으며, 이 때 상기 절연물질은 제1패턴(100)과 제2패턴(200)이 접선되지 않도록 제1패턴(100)과 제2패턴(200)의 사이 공간에 채워지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의 또 다른 구성인 연결구조(300)는 제2패턴(200)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는 구조체를 일컫는다.
연결구조(300)는 상기 절연체(400)의 상부에 위치하며 제2패턴(200)의 단선 부분을 연결한다. 즉, 연결구조(300)는 구조상 절연체(400)의 상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제1패턴(100)과는 단절되어 있으며, 제2패턴(200)을 연결하기 위한 구조로만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연결구조(300)는 금속성 물질 또는 투광성 전도체, 전도성 고분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패턴(100)은 상기 기판(50)의 표면에 생성되는 패턴 중 하나의 패턴을 일컫는 것으로, 터치를 감지하기 위해 송신하는 전류신호가 통과하는 Tx 또는 되돌아 오는 전류신호를 수신하는 Rx 패턴 중 어느 하나에 해당할 수 있다.
한편, 제2패턴(200)은 상기 기판(50)의 표면에 기 형성되어 있는 제1패턴(100)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100)과 교차되는 영역은 단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패턴(200)은, 제1패턴(100)이 Tx 인 Rx의 속성을, 제1패턴(100)이 Rx인 경우에는 Tx의 속성을 가지게 함으로써, 기판(50) 표면에는 최종적으로 Tx와 Rx 속성의 각기 다른 패턴이 반복적으로 교차되어 형성되도록 한다.
한편 이 때, 상기 제1패턴(100) 및 제2패턴(200)은 금, 은, 백금, 구리, 니켈, 크롬, 몰리브덴 및 이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한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외 전기 전도도를 가지는 금속 산화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패턴(100) 및 제2패턴(20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아연 산화물(zinc oxide), 티타늄 산화물(titanium oxide) 등의 금속 산화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나노와이어, 감광성 나노와이어 필름, 탄소나노튜브(CNT), 그래핀(graphene), 전도성 폴리머 또는 그 외의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상기 제1 및 제2패턴(200)을 메시 구조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및 제2패턴(100, 200)은 각 방향으로 복수개의 격자 무늬를 가지는 메시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메시 구조가 마름모 형상으로 구현된 예시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 메시 구조는 마름모 형상에 한하지 않으며 다각형, 원형, 타원형 및 기타 불규칙한 교차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패턴을 메시 구조로 형성하는 경우, 종래 평면의 패턴에 비해 패턴이 차지하는 총 면적이 줄어들게 되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또한 공정상에 있어서도 메시 구조의 패턴은 오프셋 인쇄 방식으로 간이하게 기판(50) 표면에 구현이 가능한바, 종래 4개 이상의 단계를 거쳐야 했던 패턴에 비해 공정이 간소화 되고 비용절감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도 2의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패턴(100) 및 제2패턴(200)은 특정 영역에서의 선폭을 조절하거나 메시 구조의 밀도, 즉 단위 면적당 형성되는 격자무늬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시인성 개선 및 전기적 특성 개선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한편, 상기 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를 조밀하게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1패턴(100)과의 연결부분에 있어 단락이 발생할 가능성을 최소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터치 패널의 전기적 특성, 저항 특성을 최대한 확보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1패턴(100)과 제2패턴(200)이 상호 교차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은 비교적 조밀한 형태의 메시 구조로 형성되어 있고, 그외의 영역에서는 넓은 간격의 메시 구조로 형성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를 조밀하게 구성하는 것은 상기 교차 영역, 즉 연결구조(300)의 면적을 최소화 하기 위함이며, 동시에 상기 연결구조(300)를 구비시키기에 보다 용이하도록 적절한 적층 환경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일반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의 터치 패널, 특히 하나의 기판(50)면에 두 방향의 패턴을 모두 형성시키는 방식의 터치 패널은 각 패턴이 상호 교차하는 영역에서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연결구조(300)의 면적, 개수에 따라 장치의 시인성이 달라지며, 이 때문에 최근에는 상기 연결구조(300)에 따른 시인성 감소를 최소화 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즉, 제1패턴과 제2패턴이 교차하는 영역을 메시 구조가 아닌 일반 평면(plane)으로 구현하는 경우 시인성 측면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바,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패턴의 선폭 또는 메시 구조의 밀도를 조절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패턴 형성 방식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교차영역에서의 패턴 구조를 보다 용이하게 파악하기 위해 도 2의 D영역 내 패턴 구조만을 확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앞서도 언급하였듯 교차 영역에서 제1패턴(100)의 메시 구조 밀도는 비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 밀도에 비해 조밀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이 때, 메시의 밀도를 구분하는 기준은 다양하게 정해질 수 있다.
하나의 예로서, 메시 구조의 밀도는 단위 면적당 포함되어 있는 격자무늬의 개수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패널의 가로 세로 일정 길이의 면적을 정한 후, 해당 면적 내 포함된 패턴의 격자무늬를 비교함으로써 메시 구조의 밀도를 설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메시 구조의 밀도는 격자무늬의 대각선 길이를 기준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메시 구조는 사각형의 격자무늬가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구조를 의미하며 따라서 격자무늬의 특정 방향 대각선 길이를 기준으로 상기 메시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사용자가 원하는 밀도의 메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 밀도는 비교차 영역에서의 밀도에 비해 1.2배 내지 5배, 1.5배 내지 3배 또는 1.7배 내지 2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 밀도는 비교차 영역에서의 밀도에 비해 최소 1.2배 내지 최대 5배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1.2배 미만이 되는 경우 교차영역에서 제1패턴의 메시선이 단선 될 가능성이 급격히 높아지며, 5배 초과가 되는 경우 교차영역을 올바른 메시구조로 형성할 수 없게됨과 동시에 시인성이 크게 감소하기 때문이다.
또 다른 한편,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 선폭을 조절함으로써 터치 패널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 선폭을 최소화하는 경우 제2패턴(200)의 단선 간격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절연체(400) 및 연결구조(300)의 부피 역시 감소시킬 수 있는바,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 선폭을 줄이기 위한 방법론이 요구된다.
다만 이 때,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 선폭을 과도하게 협소화 하는 경우 제1패턴(100)의 저항 특성에 부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으므로, 교차 영역에서의 메시 구조 밀도의 비율을 고려하여 비교차 영역에 비해 약 1/2배 내지 1/1.7배 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로서, 제1패턴(100)의 선폭은 0.1㎛ 내지 10㎛, 1㎛ 내지 5㎛, 또는 2㎛ 내지 3㎛로 구현할 수 있다. 즉, 제1패턴(100)의 선폭은 최소 0.1㎛ 내지 최대 10㎛에 이를 수 있으며, 이는 0.1㎛미만으로는 선폭 구현이 불가능하고, 1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시인성이 크게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편, 이와 같이 교차 영역에서의 제1패턴(100) 선폭을 줄이는 경우 터치 패널의 총 면적 대비 연결구조(300)의 총 평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디스플레이 장치의 시인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절연체(400) 및 연결구조(300)를 형성하기 위한 원재료의 부피도 크게 줄일 수 있어 생산 비용 측면에서도 유리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은 터치 기능을 수반하는 모든 디스플레이 장치에 포함되어 다양한 응용예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마트폰, PDA, 태블릿 등의 이동통신 단말기, 운송 수단 내 계기판(50) 또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단말기 등과 같이 터치 기능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종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본 발명에 따른 터치 패널을 구비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구별되어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0: 제1패턴 20: 제2패턴
30, 300: 연결구조 40, 400: 절연체
50: 기판
100: 제1패턴(메시 구조) 200: 제2패턴(메시 구조)

Claims (7)

  1.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제1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이 단선되어 있는 제2패턴;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을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패턴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은 메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는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의 1.2 내지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은 제2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의 선폭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의 선폭보다 좁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제2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의 제1패턴 선폭은 0.1㎛ 내지 10㎛ 인 터치 패널.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패턴 또는 제2패턴은,
    구동(Tx)전극 또는 수신(Rx)전극인 터치 패널.
  7. 기판 표면에 형성되는 제1패턴;
    상기 기판 표면에 상기 제1패턴과 상이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패턴과 교차되는 영역이 단선되어 있는 제2패턴;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을 절연하는 절연체; 및
    상기 제2패턴의 단선 영역을 연결하는 연결구조;
    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패턴과 제2패턴은 메시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가 상기 제1 및 제2패턴이 교차되지 않는 영역 내 단위 면적당 격자 개수보다 큰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패널이 포함된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40054170A 2014-05-07 2014-05-07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KR1022619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70A KR102261949B1 (ko) 2014-05-07 2014-05-07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CN201520291441.1U CN205015856U (zh) 2014-05-07 2015-05-07 包括网格结构图案的触摸面板
US14/706,244 US20150324047A1 (en) 2014-05-07 2015-05-07 Touch panel including patterns of mesh structur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4170A KR102261949B1 (ko) 2014-05-07 2014-05-07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10A KR20150127410A (ko) 2015-11-17
KR102261949B1 true KR102261949B1 (ko) 2021-06-08

Family

ID=54786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4170A KR102261949B1 (ko) 2014-05-07 2014-05-07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94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29842B2 (en) * 2008-07-11 2014-01-1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101395195B1 (ko) 2012-06-11 2014-05-15 양희봉 메쉬 전극 패턴을 가지는 터치 스크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7410A (ko) 2015-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09940B (zh) 电容感测器件及其制造方法和电容感测系统
EP2827231B1 (en)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US20140118635A1 (en) Touch screen having mesh patterned electrodes
KR101850636B1 (ko) 도전 시트, 정전 용량식 터치 패널 및 표시 장치
US20150324047A1 (en) Touch panel including patterns of mesh structures
US20150060120A1 (en) Touch panel
US9547405B2 (en) Touch panel having intersection structures for sensing patterns
CN103765359A (zh) 触摸面板和用于制造该触摸面板的方法
TW201915686A (zh) 觸控面板結構
KR20150095394A (ko) 터치 윈도우
KR101719691B1 (ko) 센싱 패턴의 교차 구조를 개선시킨 터치 패널
CN110502152A (zh) 触控面板、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US20150062449A1 (en) Touch panel
TW201520862A (zh) 觸控面板
CN205665664U (zh) 触摸窗
JP2015167007A (ja) タッチパネル
JP5622160B1 (ja) 面状体及びタッチパネル
JP6765499B2 (ja) タッチセンサおよびこれを用いたタッチスクリーンパネル
KR102261949B1 (ko) 메시 구조의 패턴을 구비한 터치 패널
JP2015153355A (ja) タッチパネル用電極積層体、静電容量式タッチパネル及び三次元タッチパネル付表示装置
KR102286210B1 (ko) 터치 패널
CN113093954A (zh) 触摸屏及显示装置
KR102251874B1 (ko) 터치 윈도우
KR102251870B1 (ko) 터치 윈도우
KR20140016630A (ko) 메쉬 구조의 센싱 패턴을 가지는 터치스크린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