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1938B1 - 자동분사스프레이 - Google Patents

자동분사스프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1938B1
KR102261938B1 KR1020200160378A KR20200160378A KR102261938B1 KR 102261938 B1 KR102261938 B1 KR 102261938B1 KR 1020200160378 A KR1020200160378 A KR 1020200160378A KR 20200160378 A KR20200160378 A KR 20200160378A KR 102261938 B1 KR102261938 B1 KR 1022619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ater
space
unit
sp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03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금
Original Assignee
원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금 filed Critical 원금
Priority to KR10202001603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19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19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19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5B11/305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1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characterised by the means producing the flow
    • B05B11/10Pump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the contents from the container to a pump chamber by a sucking effect and forcing the contents out through the dispensing nozzle
    • B05B11/1042Components or details
    • B05B11/1052Actuation means
    • B05B11/1053Actuation means combined with means, other than pressure, for automatically opening a valve during actuation; combined with means for automatically removing closures or covers from the discharge nozzle during act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37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1/00Single-unit hand-held apparatus in which flow of contents is produced by the muscular force of the operator at the moment of use
    • B05B11/0005Components or details
    • B05B11/0089Dispensing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Landscapes

  • Nozz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분사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식물에 물을 주고, 분사량을 조절하여 식물의 손상을 줄이고 관리 상황에 맞게 엽수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분사스프레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분사스프레이{Automatic Sprayer}
본 발명은 자동분사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기존의 스프레이가 장시간 사용시 손이 아픈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물이 자동으로 분사되도록 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분무기는 사용자가 손잡이를 손가락으로 당기면 공기가 압축되어 물이 분사된다. 이러한 분무기는 사용자가 분무기의 손잡이를 당기는 횟수에 비례하게 물이 분사되어, 장기간 사용시 손에 무리가 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충전식 자동 펌펑 수단이 구비되어 간편한 조작에도 분무 기능이 수행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는바,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9-0135615호 “충전식 자동 분무기”에서는 액체를 수용하는 용기와, 상기 용기와 결합되어 용기 내의 액체를 흡입하여 분사하는 분사부를 포함하는 분무기로써, 상기 분사부는 상기 용기 내의 액체를 펌프를 이용하여 자동 분사하도록, 상기 용기와 결합되고 노즐 및 손잡이가 구비되며 내부에는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본체와, 일측은 상기 본체의 수용공간에 수용되고 타측은 상기 용기 내에 배치되는 흡입관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고 흡입측은 상기 흡입관과 연결되고 토출측은 상기 노즐과 연결되는 펌프와, 상기 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스위치, 충전포트로 구성되어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제안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술은 분무기의 강한 분사량에 따른 식물의 손상이나 적당한 엽수를 위한 분사량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식물에 물을 주고, 분사량을 조절하여 식물의 손상을 줄이고 관리 상황에 맞게 엽수 할 수 있는 새로운 형태의 자동분사스프레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분사스프레이는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몸통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공기를 인가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지나가는 에어공급호스;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공간부; 상기 에어공간부에서 전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수통에서 물을 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에어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분사헤드 및 상기 분사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거치링부; 상기 거치링부의 외측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형성되어 자동분사스프레이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과 이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링부는 중심에 거치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와 밀착되는 거치링; 상기 거치홀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 및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홈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간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공간; 상기 에어공간 내부에 상기 에어공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제한부재;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제한부재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에어공간을 제한하며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에어공간버튼부 및 상기 에어공간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통에 결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간버튼부는 상기 에어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에어버튼공간; 상기 에어버튼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제한부재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공간버튼;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상기 공간제한부재의 체결을 무효화 시켜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정지버튼 및 일단에 고정스프링과 결합하고,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상기 정지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버튼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간버튼은 사용자가 눌러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일단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제한부재와 체결되되 돌출부 및 고정스프링을 구비한 버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고정부재는 측면에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에어공간버튼을 고정하는 체결홈 및 측면에 상기 정지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체결홈의 체결을 해제하는 해제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통은 상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홀; 물을 주입한 뒤 상기 물주입홀을 막는 물주입마개;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주입호스와 결합되는 에어주입홀 및 상기 물공급부와 체결하여 수통에서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을 상기 분사노즐에 전달하는 물공급호스 및 상기 물공급호스의 타측에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공급호스가압부는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볼록캠; 상기 볼록캠과 결합되어 상기 볼록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가압기어부 및 상기 볼록캠과 상기 가압기어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압기어부는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동작할 수 있는 제1기어; 상기 제1기어와 서로 물려있고 상기 볼록캠과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기어; 상기 다른 볼록캠과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기어 및 상기 제2기어와 상기 제3기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캠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어 회전 방향을 유지해 주는 하나 이상의 중간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펌프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펌프에 공급하는 흡입구 및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부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간부의 잔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분사스프레이에 의하면, 힘들이지 않고 원예나 화분에 물을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분사량을 조절하는 구조를 통해 분사 시 식물의 손상을 줄이고 관리 상황에 맞게 엽수 할 수 있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분사스프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자동분사스프레이에서 수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1의 에어공급호스가압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도 4의 (a) 및 (b)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에어공간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에어공간부에서 에어공간버튼부를 제외한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
도 7의 (a) 및 (b)는 도 5의 에어공간버튼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
도 8의 (a) 내지 (d)는 도 5의 에어공간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도 1의 몸통에서 거치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10은 (a) 및 (b)는 도 3의 거치링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
도 11의 (a) 및 (b)는 도1의 수통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힘들이지 않고 원예나 화분에 물을 줄 수 있고,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분사스프레이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관리 상황에 맞게 분사량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분사스프레이를 도시한 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자동분사스프레이에서 수통을 분리하여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1의 에어공급호스가압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이고, 도 4의 (a) 및 (b)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고, 도 5의 (a) 및 (b)는 도 1의 에어공간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이고, 도 6의 (a) 및 (b)는 도 5의 에어공간부에서 에어공간버튼부를 제외한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이고, 도 7의 (a) 및 (b)는 도 5의 에어공간버튼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사시도 및 투영후면사시도이고, 도 8의 (a) 내지 (d)는 도 5의 에어공간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9는 도 1의 몸통에서 거치부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10은 (a) 및 (b)는 도 3의 거치링부가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확대도이고, 도 11의 (a) 및 (b)는 도1의 수통이 사용되는 모습을 도시한 사용예시도이다.
도1 내지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분사스프레이는 크게 분사부(1), 몸통(2), 거치부(3) 및 수통(4)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분사부(1)는 몸통(2)과 결합되는 분사헤드(10) 및 물이 분사되는 분사노즐(11)을 포함할 수 있다.
분사헤드(10)는 몸통(2)의 일단에서 분사노즐(11)측으로 형성되되, 분사노즐(11)의 지름 크기로 분사헤드(10)의 지름이 서서히 줄어드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분사노즐(11)은 분사헤드(10)의 타측에 형성되어 분사헤드(10) 내부로 삽입되는 물공급호스(240)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하거나, 분사헤드(10) 내부에 형성되되 물공급호스(240)와 연결되어 공급받은 물을 분사할 수 있다.
몸통(2)은 분사부(1) 하측에 형성되어, 자동분사 및 분사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에어펌프(20), 에어공급호스(21), 에어공급호스가압부(22), 에어공간부(23), 물공급부(24) 및 전원부(25)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펌프(20)는 몸통(2)의 하측에 형성되어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공급호스(21)로 공기를 인가할 수 있다.
에어펌프(20)는 흡입구(200) 및 에어흡입호스(20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입구(200)는 에어펌프(20)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에어펌프(20)에 공급할 수 있다.
이 때, 몸통(2)은 하측에 외부의 공기가 몸통(2) 내부로 들어가도록 이격되게 형성되는 다수의 홀을 구비할 수 있다.
에어흡입호스(201)는 에어펌프(20)의 상측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에어공간부(23)의 상측과 연결되어 에어공간부(23)의 잔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에어펌프(20)는 흡입구(200) 및 에어흡입호스(201)를 통해 공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
에어공급호스(21)는 에어펌프(20)의 상측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에어공간부(23)의 하측과 연결될 수 있다. 에어공급호스(21)는 에어펌프(20)로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에어공간부(23)로 이동시킬 수 있다.
에어공급호스가압부(22)는 에어공급호스(21) 측으로 형성되어, 에어공급호스(21)를 압박하여 에어공간부(23)로 들어가는 공기의 주입 속도를 조절 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에어공급호스가압부(22)는 볼록캠(220), 가압기어부(221) 및 지지부재(222)를 포함할 수 있다.
볼록캠(220)은 에어공급호스(2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가압기어부(221)는 볼록캠(220)과 결합되어 볼록캠(220)의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다.
가압기어부(221)는 제1 기어(2210), 제2 기어(2211), 제3 기어(2212) 및 중간기어(2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2210)는 몸통(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동작할 수 있다.
제2 기어(2211)는 제1 기어(2210)와 서로 물려있고 볼록캠(220)과 축으로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기어(2211)는 제1 기어(2210)의 동작에 따라 회전하고, 제2 기어(2211)와 연결되어있는 볼록캠(220)도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제3 기어(2212)는 에어공급호스(21)를 기준으로 제2 기어(2211)와 같은 크기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다른 볼록캠(220)과 축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기어(2213)는 제2 기어(2211)와 제3 기어(2212)사이에 형성되어 볼록캠(220)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어 회전 방향을 유지할 수 있도록 2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지지부재(222)는 가압기어부(221)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볼록캠(220) 및 가압기어부(221)를 지지할 수 있다.
도 4의 (a) 및 (b)를 이용하여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22)의 작동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해보기로 한다. 이는 에어공간부(23)로 들어가는 공기의 주입속도를 조절하여 분사량을 변경하여 사용하기 위해 이루어지는 동작이다.
이는 제1 기어(2210)가 회전한 만큼 제2 기어(2211), 중간기어(2213) 및 제3 기어(2212)가 함께 회전하여 2개의 볼록캠(220)이 에어공급호스(21)를 가압하거나 감압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4의 (a)와 같이, 제1 기어(2210)를 상측으로 회전한 경우 제2 기어(2211)는 하측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2212)는 상측으로 회전하여 볼록캠(220)이 에어공급호스(21)와 멀어지게 되어 공기는 에어공급호스(21)를 가압했을 때보다 공기 주입 속도가 느리게 에어공간부(23)로 공급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제1 기어(2210)를 하측으로 회전한 경우 제2 기어(2211)는 상측으로 회전하고 제3 기어(2212)는 하측으로 회전하여 볼록캠(220)이 에어공급호스(21)를 가압하여 에어공간부(23)로 빠른 주입 속도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에어공급호스(21)는 공기를 빠른 속도로 에어공간부(23)에 전달하고 에어공간(230)은 공기가 빠르게 충전되어 공기압이 높아질 수 있다. 즉, 에어공간(230)의 높아진 공기압에 따라 분사노즐(11)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도 5 내지 7을 참조하면, 에어공간부(23)는 에어공급호스(21)를 통해 공급받은 공기를 격벽으로 압축하여 수통(4)에 제공할 수 있다.
에어공간부(23)는 에어공간(230), 공간제한부재(231), 에어공간버튼부(232) 및 에어주입호스(23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공간(230)은 몸통(2) 내부에 형성되어 에어공급호스(21)를 통해 공기가 충전될 수 있다. 에어공간(230)은 에어공간버튼부(232)와 인접할 수 있도록 밑면이 'ㄷ'자 형태인 다각형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공간(23)은 공간제한부재(231)와 에어공간버튼부(232)가 대응되는 일단에 홀이 형성되어 공간제한부재(231)와 에어공간버튼부(232)가 체결되도록 할 수 있다.
공간제한부재(231)는 에어공간(230) 내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고,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3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공간제한부재(231)는 에어공간(23)의 밑면과 같이 'ㄷ'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에어공간(230)에 공기가 충전될 수 있도록 공간제한홈(231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공간제한홈(2310)은 에어공간버튼부(232)와 체결되어 공간제한부재(230)가 공기가 들어올 수 있는 에어공간(230)을 제한 하는 격벽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간제한홈(2310)에 의해 에어공간(2310)은 연결되거나, 제한될 수 있다.
에어공간버튼부(232)는 에어펌프(20)를 작동시키고 공간제한부재(231)와의 체결을 통해 에어공간(230)을 제한하여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에어공간버튼부(232)는 에어버튼공간(2320), 에어공간버튼(2321), 정지버튼(2322) 및 버튼고정부재(2323)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버튼공간(2320)은 에어공간(23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사각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에어버튼공간(2320)은 에어공간버튼(2321)이 관통할 수 있도록 홀이 형성되되, 에어공간(230)의 홀과 공간제한홈(2310)이 대응된 곳에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공간버튼(2321)이 눌렸을 경우, 에어공간버튼(2321)이 에어공간(230)의 홀을 거쳐 공간제한홈(2310)에 체결될 수 있다.
에어공간버튼(2321)은 몸통(2)에 돌출되되, 에어버튼공간(2320)을 관통하여 하나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에어공간버튼(2321)은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고, 공간제한부재(231)와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에어공간버튼(2321)은 분사량을 조절하기 위해 3개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에어공간버튼(2321)은 공간제한부재(231)와 체결될 수 있도록 버튼(23210) 및 버튼부재(23211)를 포함할 수 있다.
버튼(23210)은 몸통(2)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눌러 에어펌프(2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버튼(23210)은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사각기둥, 삼각기둥 등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재(23211)는 버튼(23210)의 일단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에어버튼공간(232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버튼부재(23211)는 버튼(23210)이 눌러지면 에어공간(230)의 홀을 거쳐 공간제한부재(231)의 공간제한홈(2310)과 체결 할 수 있다.
버튼부재(23211)는 돌출부 및 버튼스프링이 구비될 수 있다.
버튼스프링은 버튼(23210)의 탄성을 주기 위해 버튼(23210)의 일단과 에어버튼공간(2320)의 외측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는 버튼부재(23211)의 측면에 형성되되, 에어버튼공간(2320)의 내측에 위치하여 에어공간버튼(2321)이 방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돌출부는 버튼고정부재(2323)와의 밀착되어 이동하기 위해 사선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정지버튼(2322)은 몸통(2)에 돌출되게 형성되되, 에어공간버튼(2321)과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정지버튼(2322)은 에어공간버튼(2321)과 비슷하게 돌출부 및 버튼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나, 에어버튼공간(2320)을 관통하지 않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버튼고정부재(2323)는 버튼부재(23211)의 돌출부와 대응 되도록 에어버튼공간(2320) 내부에 형성되되, 일단에 고정스프링과 결합하고, 에어공간버튼(2321)과 정지버튼(2322)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고정스프링은 에어버튼공간(2320)의 하단에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버튼고정부재(2322)가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버튼고정부재(2323)는 체결홈(23230) 및 해체홈(23231)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홈(23230)은 버튼(23210) 측으로 에어공간버튼(2321)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버튼부재(23211)의 돌출부와 체결되어 에어공간버튼(2321)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체결홈(23230)은 경사부가 형성되어 버튼부재(23211)의 돌출부의 사선 부분과 맞닿아 버튼부재(23211)의 이동이 쉽도록 할 수 있다. 경사부 일단에는 하측으로 홈이 형성됨으로써 돌출부가 체결홈(23230)의 일단까지 이동하였을 때 고정될 수 있다. 즉, 버튼부재(23211)의 돌출부는 체결홈(23230)의 사선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정스프링은 하측으로 내려가고 돌출부가 체결홈(23230) 일단으로 이동하면 하측의 홈에 의해 고정스프링이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돌출부가 체결홈(23230)의 홈에 고정될 수 있다.
해제홈(23231)은 버튼(23210) 측으로 정지버튼(2322)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정지버튼(2322)과 맞닿는 경사부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해제홈(23231)은 체결홈(23231)처럼 경사부 일단에 홈을 형성하지 않아 정지버튼(2322)과 체결되지 않을 수 있다.
정지버튼(2322)은 에어공간버튼부(232)에서 상측에 위치하도록 하고, 에어공간버튼(2321)은 하측으로 이격되도록 형성할 수 있고 아래로 갈 수록 에어공간(230)의 공간을 더욱 제한하여 공급된 공기의 압력이 강해져 분사량이 많아지도록 할 수 있다.
도 8의 (a) 내지 (d)는 에어공간버튼(2321)이 3개인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설명과 이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도록 제1 에어공간버튼(2321a) 내지 제1 에어공간버튼(2321c), 제1 공간제한부재(231a) 내지 제3 공간제한부재(231c)를 예시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므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1 에어공간버튼(2321a)을 누른 경우, 돌출부의 사선 부분이 제1 체결홈(23230a)의 경사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버튼고정부재(2323)는 하측으로 이동하고 돌출부가 경사부의 일단까지 이동하면 하측으로 형성된 홈에서 버튼고정부재(2323)가 고정스프링에 의해 제자리로 이동하여 돌출부가 제1 체결홈(23230a)에 고정될 수 있다.
이 때, 버튼부재(23211)가 에어공간(230)의 홀을 거치게 되고 제1 공간제한부재(231a)의 공간제한홈(2310)과 밀착되어 에어공간(230)의 공기를 4분의 3으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4분의 3으로 제한된 에어공간(230)으로 공기가 충전되어 압축될 수 있으며, 압축된 공기가 수통(4)으로 전달되어 해당 공기압에 의해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도 8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2 에어공간버튼(2321b)을 누른 경우, 해당 버튼부재(23211)가 제2 체결홈(23230b)에 고정되면서 제2 공간제한부재(231b)와 체결하여 에어공간(230)의 공기를 4분의 2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4분의 2로 제한된 에어공간(230)으로 공기가 충전되어 압축될 수 있으며, 압축된 공기가 수통(4)으로 전달되어 제1 에어공간버튼(2321a)를 눌렀을 때보다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될 수 있다.
도 8의 (d)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3 에어공간버튼(2321c)을 누른 경우, 해당 버튼부재(23211)가 제3 체결홈(23230c)에 고정되면서 제3 공간제한부재(231c)와 체결하여 에어공간(230)이 공기를 4분의 1로 제한할 수 있다. 이에 4분의 1로 제한된 에어공간(230)으로 공기가 충전되어 압축될 수 있으며, 압축된 공기가 수통(4)으로 전달되어 제2 에어공간버튼(2321b)를 눌렀을 때보다 많은 양의 물이 분사될 수 있다.
한편, 정지버튼(2322)을 사용자가 누른 경우,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버튼(2322)의 돌출부가 해체홈(23231)의 경사부를 밀면서 버튼고정부재(2323)가 하측으로 이동했다가 다시 제자리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체결되어있던 에어공간버튼(2321)과 체결홈(23230)은 버튼고정부재(2323)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에어공간버튼(2321)의 돌출부가 체결홈(23230)의 일단에 있는 홈을 벗어나게 되어 해제될 수 있다.
에어주입호스(233)는 에어공간(230)의 하측에 형성되고 타측은 수통(4)과 결합하여 에어공간버튼(2321)과 공간제한부재(231)의 체결로 인해 압축된 공기를 수통(4)에 주입할 수 있다.
즉, 에어공간버튼(2321)에 의해 제한된 에어공간(230)에 압축된 공기가 수통(4)에 전달되고 수통(4)에 주입되는 공기압에 따라 단계별로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물공급부(24)는 몸통(2)의 내부에 형성되어, 수통(4)에서 물을 분사부(1)로 공급할 수 있다.
물공급부(24)는 물공급호스(240) 및 삽입부재(241)를 포함할 수 있다.
물공급호스(240)는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되, 수통(4)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분사노즐(11)에 전달할 수 있다.
삽입부재(241)는 물공급호스(240)의 타측에 형성되되, 몸통(2)에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재(241)는 수통(4)와 결합하여 물이 흘러 들어가도록 홀을 형성할 수 있다. 홀은 'T'자 형태로 형성되어 양쪽에서 물을 받아들이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원부(25)는 에어펌프(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에어펌프(20)의 일단에 형성되되, 배터리(250) 및 충전단자(251)를 구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충전단자(251)는 배터리(250)를 충전하기 위한 단자로써, 통상의 스마트폰에 사용되는 8핀, 5핀 및 C타입 등의 커넥터일 수 있다.
도 9을 참조하면, 몸통(2)은 거치부(3)와 결합되는 연결구(26)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구(26)는 안착홈(260) 및 회전가이드홈(261)을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260)은 연결구(26)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연결구(260)의 외주면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안착홈(260)은 거치부(3)의 위치를 결정하므로 4개가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안착홈(260)은 거치부(3)가 고정될 수 있도록 반원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회전가이드홈(261)은 연결구(26)의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되, 안착홈(260)과 이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가이드홈(261)은 거치부(3)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반원보다 작은 활꼴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한편, 거치부(3)는 거치링부(30), 연결대(31) 및 거치대(3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링부(30)는 연결구(26)와 결합하여 회전 및 고정이 가능하도록 거치링부(30)는 거치링(300), 고정홈(301) 및 고정부재(302)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링(300)은 중심에 거치홀이 있는 링 형태로 형성되되, 연결구(26)의 외주면과 밀착되게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301)은 거치링(300)의 내주면을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되, 두 개 이상이 형성될 경우 일정간격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고정홈(301)은 안착홈(260)과 대응되는 개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고정부재(302)는 스프링과 결합하여 고정홈(301)에 설치되어 연결구(26)의 회전가이드홈(2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안착홈(26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부재(302)는 회전가이드홈(261)을 따라 이동하고 안착홈(260)에 고정될 수 있도록 볼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나, 형태는 한정되지 않는다.
연결대(31)는 거치링부(30)의 외측에 돌출형으로 형성되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거치대(32)는 연결대(31)의 타측에 형성되어 자동분사스프레이가 거치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거치대의 모양은 인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거치링부(30)의 고정부재(302)는 회전가이드홈(261)을 따라 이동하고 안착홈(260)에 고정 될 수 있다.
즉, 도 10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거치링(30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재(302)가 연결구(26)의 안착홈(260)에 위치할 경우에는 고정부재(302)의 스프링에 의해 거치부(3)가 고정될 수 있다.
도 10의 (b)를 참조하면, 거치부(3)의 회전으로 인해 고정부재(302)가 안착홈(260)를 벗어날 경우 고정부재(302)의 볼이 회전가이드홈(26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거치부(3)의 회전에 따라 안착홈(260)과 고정부재(302)가 서로 대응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위치에 거치부(3)를 고정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수통(4)은 몸통(2)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통(4)은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하기 위해 투명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나, 소재는 한정되지 않는다. 이에 사용자는 육안으로 수통(4)에 수용된 물의 양을 확인하여 물을 주입할 시기를 알 수 있다.
수통(4)은 물주입홀(미도시), 물주입마개(40), 에어주입홀(41) 및 물공급부재(42)를 포함할 수 있다.
물주입홀(미도시)은 수통(4)의 상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될 수 있다.
물주입마개(40)는 물을 주입한 뒤 물주입홀(미도시)을 막을 수 있다.
에어주입홀(41)은 수통(4)의 상측에 형성되어 에어주입호스(233)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에어공간부(23)에서 압축된 공기가 에어주입호스(233)를 통해 에어주입홀(42)로 주입될 수 있다.
물공급부재(42)는 수통(4)의 내부에 형성되되, 스프링 및 물공급마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수통(4)은 물공급마개와 대응되도록 내측에 물공급구가 형성되어 물공급부(24)의 삽입부재(241)와 결합할 수 있다. 물공급구의 내부지름은 물이 새어나오지 않도록 삽입부재(2411)의 지름과 동일하게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또한 수통(4)은 물공급구의 외측을 둘러싸는 물공급원기둥이 구비될 수 있는데. 이는 물공급부재(42)의 스프링이 물공급구와 물공급원기둥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물공급마개의 일단은 물공급구와 결합되도록 형성되되, 스프링과 결합되어 물공급구와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수통(4)은 물공급부재(42)와 물공급부(24)의 삽입부재(241)의 체결을 통해 물을 분사부(1)로 공급할 수 있다.
즉, 도 11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2)과 수통(4)이 부착될 경우, 삽입부재(241)가 물공급마개를 밀면서 물공급구에서 물공급마개가 이탈하게 되고 삽입부재(241)의 'T'자 홀에 물이 흘러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의 (b)를 참조하면, 몸통(2)에서 수통(4)을 분리한 경우, 수통(4)에서 삽입부재(241)가 이탈하여 물공급부재(42)의 스프링이 제자리로 돌아가면서 물공급구를 물공급마개가 막게되어 물이 수통(4)에서 나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자동분사스프레이는 수통(4)에 물이 수용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에어공간버튼(2321)을 누르면 에어펌프(20)가 동작하여 공기가 에어공급호스(21)를 통해 눌려진 에어공간버튼(2321)으로 인해 제한된 에어공간부(23)에 충전되고 압축된 공기가 에어주입호스(233)를 통해 수통(4)의 물을 밀어내고 물은 물공급호스(240)를 지나 분사부(1)의 분사노즐(11)로 분사될 수 있다. 이 때, 다수개의 에어공간버튼(2321) 중 하나를 선택함에 따라 공기압이 달라져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 : 분사부
10 : 분사헤드
11 : 분사노즐
2 : 몸통
20 : 에어펌프
200 : 흡입구
201 : 에어흡입호스
21 : 에어공급호스
22 : 에어공급호스가압부
220 : 볼록캠
221 : 가압기어부
2210 : 제1 기어
2211 : 제2 기어
2212 : 제3 기어
2213 : 중간기어
222 : 지지부재
23 : 에어공간부
230 : 에어공간
231 : 공간제한부재
231a : 제1 공간제한부재
231b : 제2 공간제한부재
231c : 제3 공간제한부재
2310 : 공간제한홈
232 : 에어공간버튼부
2320 : 에어버튼공간
2321 : 에어공간버튼
2321a : 제1 에어공간버튼
2321b : 제2 에어공간버튼
2321c : 제3 에어공간버튼
23210 : 버튼
23211 : 버튼부재
2322 : 정지버튼
2323 : 버튼고정부재
23230 : 체결홈
23230a : 제1 체결홈
23230b : 제2 체결홈
23230c : 제3 체결홈
23231 : 해제홈
233 : 에어주입호스
24 : 물공급부
240 : 물공급호스
241 : 삽입부재
25 : 전원부
250 : 배터리
251 : 충전단자
26 : 연결구
260 : 안착홈
261 : 회전가이드홈
3 : 거치부
30 : 거치링부
300 : 거치링
301 : 고정홈
302 : 고정부재
31 : 연결대
32 : 거치대
4 : 수통
40 : 물주입마개
42 : 에어주입홀
43 : 물공급부재

Claims (13)

  1. 자동 분사 및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분사스프레이에 있어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몸통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공기를 인가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지나가는 에어공급호스;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공간부;
    상기 에어공간부에서 전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수통에서 물을 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에어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거치부와 결합되는 연결구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연결구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한 거치링부;
    상기 거치링부의 외측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연결대 및
    상기 연결대의 타측에 형성되어 자동분사스프레이가 거치될 수 있는 거치대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구는,
    외주면에 하나 이상의 안착홈 및
    상기 안착홈과 이어지도록 외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회전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거치링부는,
    중심에 거치홀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구와 밀착되는 거치링;
    상기 거치홀의 내주면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홈 및
    스프링과 결합하여 상기 고정홈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부는,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분사헤드 및
    상기 분사헤드에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에서 공급받은 물을 분사하는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3. 삭제
  4. 삭제
  5. 자동 분사 및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분사스프레이에 있어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몸통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공기를 인가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지나가는 에어공급호스;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공간부;
    상기 에어공간부에서 전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수통에서 물을 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에어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간부는,
    상기 몸통 내부에 형성되는 에어공간;
    상기 에어공간 내부에 상기 에어공간을 제한하도록 형성된 하나 이상의 공간제한부재;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상기 공간제한부재와의 체결을 통해 상기 에어공간을 제한하며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에어공간버튼부 및
    상기 에어공간과 연결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통에 결합하여 공기를 주입하는 에어주입호스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간버튼부는,
    상기 에어공간과 인접하게 형성되는 에어버튼공간;
    상기 에어버튼공간을 관통하여 상기 공간제한부재와 체결되는 하나 이상의 에어공간버튼;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상기 공간제한부재의 체결을 무효화 시켜 상기 에어펌프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정지버튼 및
    일단에 고정스프링과 결합하고,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상기 정지버튼에 의해 제어되는 버튼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공간버튼은,
    사용자가 눌러 상기 에어펌프를 작동시키는 버튼 및
    상기 버튼의 일단에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공간제한부재와 체결되되 돌출부 및 버튼스프링을 구비한 버튼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고정부재는,
    측면에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하여 상기 에어공간버튼을 고정하는 체결홈 및
    측면에 상기 정지버튼과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버튼과 체결홈의 체결을 해제하는 해제홈을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통은,
    상측에 형성되어 물이 주입되는 물주입홀;
    물을 주입한 뒤 상기 물주입홀을 막는 물주입마개;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부로부터 에어를 주입받는 에어주입홀 및
    상기 물공급부와 체결하여 수통에서 분사노즐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부는,
    물을 상기 분사노즐에 전달하는 물공급호스 및
    상기 물공급호스의 타측에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물공급부재에 삽입되는 삽입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11. 자동 분사 및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분사스프레이에 있어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몸통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공기를 인가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지나가는 에어공급호스;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공간부;
    상기 에어공간부에서 전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수통에서 물을 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에어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공급호스가압부는,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기준으로 대칭되도록 형성되고 회전이 가능하여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할 수 있는 볼록캠;
    상기 볼록캠과 결합되어 상기 볼록캠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가압기어부 및
    상기 볼록캠과 상기 가압기어부를 지지해주는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기어부는,
    상기 몸통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동작할 수 있는 제1 기어;
    상기 제1기어와 서로 물려있고 상기 볼록캠과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2 기어;
    상기 다른 볼록캠과 축으로 연결되어 있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3 기어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볼록캠이 회전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고 기어 회전 방향을 유지해 주는 하나 이상의 중간기어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13. 자동 분사 및 분사량 조절이 가능한 자동분사스프레이에 있어서,
    물이 분사되는 분사부;
    상기 분사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몸통;
    상기 몸통과 결합되는 거치부 및
    상기 몸통과 탈부착 되도록 형성되고 내부에 물이 수용되는 수통을 포함하고,
    상기 몸통은,
    공기를 인가하는 에어펌프;
    상기 에어펌프를 통해 공급된 공기가 지나가는 에어공급호스;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압박하여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에어공급호스가압부;
    상기 에어공급호스를 통해 공기가 충전되는 에어공간부;
    상기 에어공간부에서 전달된 공기에 의해 상기 수통에서 물을 분사부로 공급하는 물공급부 및
    상기 에어펌프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배터리 및 충전단자로 구성되는 전원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펌프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에어펌프에 공급하는 흡입구 및
    상측에 형성되어 상기 에어공간부 상측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공간부의 잔여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에어흡입호스를 포함하는 자동분사스프레이.
KR1020200160378A 2020-11-25 2020-11-25 자동분사스프레이 KR1022619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78A KR102261938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분사스프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0378A KR102261938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분사스프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1938B1 true KR102261938B1 (ko) 2021-06-04

Family

ID=76391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0378A KR102261938B1 (ko) 2020-11-25 2020-11-25 자동분사스프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19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42Y1 (ko) * 2014-07-09 2014-11-25 최종하 음료 용기 손잡이
KR20180105691A (ko) * 2016-01-28 2018-09-28 게루파스 게엠베하 분무 가능한 유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배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342Y1 (ko) * 2014-07-09 2014-11-25 최종하 음료 용기 손잡이
KR20180105691A (ko) * 2016-01-28 2018-09-28 게루파스 게엠베하 분무 가능한 유체를 분무하기 위한 분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80785B1 (en) A spraying device apparatus
TWI400103B (zh) Drug delivery device
US20140193774A1 (en) Irrigating device with variable pressure pulse
KR101341821B1 (ko) 의료용 분말 분사장치
DE638294T1 (de) Mundpflege Einrichtung.
US4700892A (en) Misting and watering can
CN101092200A (zh) 珠子分配系统
KR101599519B1 (ko) 액상분사장치
KR102261938B1 (ko) 자동분사스프레이
US6685107B1 (en) Soap dispensing spray nozzle
KR20190135615A (ko) 충전식 자동 분무기
KR102463403B1 (ko) 휴대용 압축식 분무기
CN2448111Y (zh) 可更换多针头注灌器
KR20220102958A (ko) 길이조절이 가능한 압축 분무기용 노즐대
CN207357403U (zh) 一种单手可操作的喷漆枪
CN208442356U (zh) 改进型喷雾器喷枪的压力调节阀
KR20160032663A (ko) 액체 도포용구
KR200418909Y1 (ko) 약액 분사 장치
CN207357404U (zh) 一种用于喷漆枪的便携式气量调节机构、及相应的喷漆枪
CN213762423U (zh) 一种背负式喷雾器
CN219167293U (zh) 一种适用于自体毛发移植手术术区冲洗喷壶
CN217487016U (zh) 农用去顶抑芽多功能一体机
CN217411163U (zh) 一种移动式喷洒消毒机
KR200324957Y1 (ko) 안약통
KR20140013418A (ko) 화분의 물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