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987B1 -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987B1
KR102260987B1 KR1020200082150A KR20200082150A KR102260987B1 KR 102260987 B1 KR102260987 B1 KR 102260987B1 KR 1020200082150 A KR1020200082150 A KR 1020200082150A KR 20200082150 A KR20200082150 A KR 20200082150A KR 102260987 B1 KR102260987 B1 KR 1022609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ock
screw
main body
electronic device
hinge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2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승현
황승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진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진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진시스템
Priority to KR1020200082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9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9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987B1/ko
Priority to CN202110748518.3A priority patent/CN113883157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3/00Hinges with pins
    • E05D3/06Hinges with pins with two or more pi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02Parts for attachment, e.g. flap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5/00Construction of single parts, e.g. the parts for attachment
    • E05D5/10Pins, sockets or sleeves; Removable pi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게시된 내용은 노트북형 컴퓨터 등의 접철부에 장착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는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상기 본체부에 장착되는 제1 경첩이 고정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제1 나사부가 형성되는 제1 회전구조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장착되는 제2 경첩이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2 나사부가 형성되는 제2 회전구조물;
상기 제1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3 나사부가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제2 나사부에 대응되는 제4 나사부가 타측에 형성되는 가동블록;을 구비하되,
상기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상대 접철시킬 경우에, 상기 제1,2 회전구조물 중 어느 하나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상기 가동블록을 직선운동시켜 상기 제1,2 회전구조물 중 다른 하나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상기 제1,2 회전구조물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동일속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electronic devices having movable block and 2-axial hinge structure}
본 명세서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노트북형 컴퓨터, 테블릿 등의 접철부에 장착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 멀티미디어기기, 휴대형 컴퓨터 등 휴대가능한 접철식 기기(소위, 모바일 기기를 말함)는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와, 디스플레이부에 대해 접철가능하게 연결되고 키패드 등의 입력수단을 구비하는 본체부를 포함한다. 모바일 기기는 휴대의 편의성을 갖도록 보다 작은 사이즈로 접을 수 있는 접철 구조를 갖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모바일 기기의 2축 힌지는,
프레스 가공된 개폐축(52)의 양 끝단에 물결모양 등으로 가공된 판스프링(54), 브라킷(56)을 고정용 플랜지(53)로 축고정하고, 회전축(57)은 개폐축(52)의 중앙부에 관통하여 설치됨에 따라 회전마찰 토크는 판스프링(59)을 압접하는 방법에 의해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2축 힌지는 회전축(57)의 회전 제한, 개폐축(52)의 회전각도 스토퍼 기구가 설치되어 있지않고, 토크 발생이 접시형 판스프링(59)의 반발력을 이용하여 마찰판을 압접하는 방식이다.
따라서, 2축 힌지에 의해 접철가능하에 연결되는 본체부에 대해 디스플레이부를 임의각도로 접철시킬 경우, 개폐축(52) 및 브라킷(56)의 상호 마찰부위에서 마모가 발생되고, 판스프링(54)의 변형(탄성력 떨어짐)에 의한 느슨해짐이나 덜컹거림으로 인한 소음이 발생되거나, 또는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992014호에 다축 힌지 및 이 다축 힌지를 이용한 전자기기가 게시되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키보드부를 갖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적으로 360도 범위내에서 적은 힘으로 쉽게 접철시킬 수 있도록 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모바일 기기를 말함)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두께가 박판화되고 경량화되어가는 전자기기의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와 관련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는,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상대적으로 접철시 임의각도의 접철각도(일 예로서, 0도, 90도, 180도, 270도, 360도를 말함)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와 관련된다.
상기 및 기타 본 명세서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본체부(10)에 장착되는 제1 경첩(11)이 고정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왼나사의 제1 나사부(13)가 형성되는 제1 회전구조물(14);
디스플레이부(15)에 장착되는 제2 경첩(16)이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오른나사의 제2 나사부(18)가 형성되는 제2 회전구조물(19);
제1 나사부(13)에 대응되는 제3 나사부(20)가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나사부(1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부(21)가 타측에 형성되며, 제3 나사부의 나사골과 상기 제4 나사부의 나사골(24) 사이의 거리(A)보다, 제3 나사부의 나사마루(26)와 제4 나사부의 나사마루(26) 사이의 거리(B)가 상대적으로 길도록(A〈 B) 나사돌출부(25)를 형성되는 가동블록(22);
제1,2 회전구조물(14,19) 및 가동블록(22)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23);을 구비하되,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상대 접철시킬 경우에,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어느 하나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가동블록(22)을 직선운동시켜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다른 하나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제1,2 회전구조물(14,19)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동일속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는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키보드부를 갖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적으로 360도 범위내에서 적은 힘으로 쉽게 접철시킴에 따라 편리성을 갖게 된다. 또한 두께가 박판화되고 경량화되어가는 전자기기의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처함에 따라 동업종분야에서 보다 유리한 경쟁력을 갖게 된다. 또한 본체부와 디스플레이부를 상대적으로 접철시 임의각도의 접철각도(일 예로서, 0도, 90도, 180도, 270도, 360도를 말함)를 안정되게 유지함에 따라 신뢰성 및 상품성을 갖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전자기기의 힌지구조물의 개략도,
도 2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기기의 접철부에 장착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의 개략도,
도 3(a,b)은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의 도면,
도 4(a,b)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을 수용하는 케이싱의 도면,
도 6(a,b)은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이 전자기기의 접철시 힌지구조물로부터 이탈방지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에서, 가동블록의 크기에 따라 2축 힌지구조물의 축간거리를 가변 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에서, 전자기기의 접철에 따라 가동블록의 이동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장착되는 전자기기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는
키패드 등의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일 예로서, 노트북형 컴퓨터, 테블릿 등의 모바일 기기를 말함)에 적용되고,
본체부(10)에 장착되는 제1 경첩(11)이 고정되는 제1 고정홀(12)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1 나사부(13)가 형성되는 제1 회전구조물(14);
디스플레이부(15)에 장착되는 제2 경첩(16)이 고정되는 제2 고정홀(17)이 축방향으로 형성되고, 외주연에 제2 나사부(18)가 형성되는 제2 회전구조물(19);
제1 나사부(13)에 대응되는 제3 나사부(20)가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나사부(1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부(21)가 타측에 형성되는 가동블록(22);을 구비하되,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상대 접철시킬 경우에,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어느 하나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가동블록(22)을 직선운동시켜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다른 하나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제1,2 회전구조물(14,19)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동일속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도 2, 도 5 및 도 6(a,b)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 나사부(13)는 왼나사로 형성되고, 제2 나사부(18)는 오른나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2 회전구조물(14,19)의 제1,2 고정홀(12,17)사이의 축간거리(L1,L2)에 대응하도록 가동블록(22)의 크기를 가변 조정할 경우, 축간거리가 짧은 전자기기 또는 축간거리가 상대적으로 긴 전자기기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L1〈 L2).
이로 인해, 전술한 가동블록(22)의 좌우방향의 크기(size)를 가변 조정하여 제1,2 고정홀(12,17) 사이의 축간거리(L1)를 짧게 하거나, 또는 제1,2 고정홀(12,17) 사이의 축간거리(L2)를 길게 함에 따라, 동일한 제1,2 회전구조물(14,19)을 이용하여 축간거리(L1)가 짧은 전자기기, 또는 축간거리(L2)가 상대적으로 긴 전자기기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도 3(a,b), 도 4(a,b) 및 도 7에서와 같이, 전술한 가동블록(22)은
제3 나사부(20)의 나사골(24)과 제4 나사부(21)의 나사골(24) 사이의 거리(A)보다, 제3 나사부(20)의 나사마루(26)와 제4 나사부(21)의 나사마루(26) 사이의 거리(B)가 상대적으로 길도록 나사돌출부(25)를 형성함에 따라(A〈 B), 본체부(10) 및 디스플레이부(15)를 상대 접철시킬 경우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연동되어 직선운동할 경우에 제1,2 회전구조물(14,19)로부터 가동블록(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일 예로서, 0도, 90도, 180도, 270도, 360도를 말함) 범위내에서 상대 접철시킬 경우에,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어느 하나가 회전운동하여 가동블록(22)을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킴에 따라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다른 하나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시킨다. 즉 제1,2 회전구조물(14,19)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동일속도로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때, 도 3(a,b), 도 4(a,b) 및 도 5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로 접철시킴에 따라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가동블록(22)을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킬 경우에, 가동블록(22)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나사골(24) 사이의 거리(A)보다, 가동블록(22)의 일측 및 타측에 형성된 나사마루(26) 사이의 거리(B)가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A〈 B).
따라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로부터 전달되는 회전력에 의해 가동블록(22)이 좌우방향으로 직선운동할 경우에, 가동블록(22)의 나사골(24)과 나사마루(26)사이의 나사돌출부(25)가 제1,2 회전구조물(14,19)과 이맞물림(도 4a,4b에 빗금친만큼의 폭을 말함)되어 있게 되므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로부터 직선운동하는 가동블록(22)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10에서와 같이, 전술한 제1,2 회전구조물(14,19) 및 가동블록(22)을 감싸 보호하기 위해 양단이 개방된 타원형 캡슐형태의 케이싱(23);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 인해, 전술한 본체부(10) 및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로 접철시킬 경우 케이스(23)에 의해 제1,2 회전구조물(14,19) 및 가동블록(22)을 수용하여 감싸게 되므로 외관이 깔끔하고 이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9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 및 디스플레이부(15)를 상대 접철시킬 경우,
도 9(a)는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에 의해 가동블록(22)이 직선운동하는 것과, 제1,2 경첩(11,16)이 회전하게 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b)는 제1,2 경첩(11,16)에 고정된 본체부(10) 및 디스플레이부(15)의 회동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9(c)는 회전운동하는 제1,2 회전구조물(14,19)에 의해 가동블록(22)이 직선운동하게 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a,c)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의 접철각도가 0도 각도를 유지하는 경우에, 제1,2 경첩(11,16)이 초기자세를 유지하고, 제1,2 회전구조물(14,19)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동블록(22)이 도면상에서 상단의 초기위치를 유지하게 되고,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의 접철각도를 90도에서 270도 각도로 점진적으로 확대시킬 경우에, 제1,2 경첩(11,16)이 90도, 180도, 270도로 회전하게 되며, 제1,2 회전구조물(14,19)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동블록(22)은 도면상에서 수직방향으로 점진적으로 이동하게 되며,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의 접철각도를 360도 각도로 접철시킬 경우에, 제1,2 경첩(11,16)이 360도로 회전하게 되며, 제1,2 회전구조물(14,19)의 회전운동에 의해 직선운동하는 가동블록(22)이 도면상에서 하단의 끝단까지 이동하게됨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b)에서와 같이, 전술한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로 접철시킬 경우, 즉 0도의 초기상태에서는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가 제1,2 경첩(11,16) 상부에서 대향된 자세를 유지하게 되고, 180도 각도에서는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가 회전되는 제1,2 경첩(11,16)에 의해 수평을 유지하게 되며, 360도 각도에서는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가 제1,2 경첩(11,16) 하부에서 대향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여기에서, 전술한 본 명세서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명세서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본체부
11; 제1 경첩
12; 제1 고정홀
13; 제1 나사부
14; 제1 회전구조물
15; 디스플레이부
16; 제2 경첩
17; 제2 고정홀
18; 제2 나사부
19; 제2 회전구조물
20; 제3 나사부
21; 제4 나사부
22; 가동블록
23; 케이싱
24; 나사골
25; 나사돌출부
26; 나사마루

Claims (5)

  1. 입력부가 구비되는 본체부와, 영상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상대 접철이 가능하게 연결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에 적용되고,
    본체부(10)에 장착되는 제1 경첩(11)이 고정되는 제1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 연에 왼나사의 제1 나사부(13)가 형성되는 제1 회전구조물(14);
    디스플레이부(15)에 장착되는 제2 경첩(16)이 고정되는 제2 고정홀이 형성되고 외주연에 오른나사의 제2 나사부(18)가 형성되는 제2 회전구조물(19);
    제1 나사부(13)에 대응되는 제3 나사부(20)가 일측에 형성되고 제2 나사부(18)에 대응되는 제4 나사부(21)가 타측에 형성되며, 제3 나사부의 나사골과 상기 제4 나사부의 나사골(24) 사이의 거리(A)보다, 제3 나사부의 나사마루(26)와 제4 나사부의 나사마루(26) 사이의 거리(B)가 상대적으로 길도록(A〈 B) 나사돌출부(25)를 형성되는 가동블록(22);
    제1,2 회전구조물(14,19) 및 가동블록(22)을 감싸 보호하기 위한 케이싱(23);을 구비하되,
    본체부(10)와 디스플레이부(15)를 임의각도 범위내에서 상대 접철시킬 경우에,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어느 하나가 회전운동을 하게 되어 가동블록(22)을 직선운동시켜 제1,2 회전구조물(14,19) 중 다른 하나를 회전운동시킴에 따라 제1,2 회전구조물(14,19)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동시에 동일속도로 회전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82150A 2020-07-03 2020-07-03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KR1022609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50A KR102260987B1 (ko) 2020-07-03 2020-07-03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CN202110748518.3A CN113883157A (zh) 2020-07-03 2021-07-02 具备活动块和双轴铰链构造物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2150A KR102260987B1 (ko) 2020-07-03 2020-07-03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987B1 true KR102260987B1 (ko) 2021-06-04

Family

ID=76392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2150A KR102260987B1 (ko) 2020-07-03 2020-07-03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60987B1 (ko)
CN (1) CN113883157A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78B1 (ko) * 2008-03-17 2014-06-13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광각 이중힌지 구조물을 갖는 디바이스
JP2016130571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JP6397195B2 (ja) * 2014-02-21 2018-09-26 四方工業株式会社 二軸ヒンジ装置
KR101937557B1 (ko) * 2016-03-25 2019-01-10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상기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JP2019035474A (ja) * 2017-08-17 2019-03-0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平行2軸ヒンジ、及び電子機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9377B (zh) * 2019-04-24 2024-02-23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双轴铰链及便携式电子设备
CN209908978U (zh) * 2019-04-26 2020-01-07 泰州市创新电子有限公司 双轴铰链及便携电子设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7378B1 (ko) * 2008-03-17 2014-06-13 이-리드 일렉트로닉 코포레이션, 리미티드 광각 이중힌지 구조물을 갖는 디바이스
JP6397195B2 (ja) * 2014-02-21 2018-09-26 四方工業株式会社 二軸ヒンジ装置
JP2016130571A (ja) * 2015-01-14 2016-07-21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2軸ヒンジ及びこの2軸ヒンジを用いた電子機器
KR101937557B1 (ko) * 2016-03-25 2019-01-10 켐 홍콩 유한회사 2축 힌지 및 상기 2축 힌지를 이용한 단말기기
JP2019035474A (ja) * 2017-08-17 2019-03-07 株式会社ナチュラレーザ・ワン 平行2軸ヒンジ、及び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883157A (zh) 2022-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0871B2 (en) Seamless hinge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US11281261B2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US20180341295A1 (en) Hinge structure and electronic device
TWI668556B (zh) 電子裝置及其鉸鏈組件
JP6197327B2 (ja) 電子機器
US10000955B2 (en) Biaxial hinge and terminal device using the same
CN105972059B (zh) 铰接装置以及便携用信息设备
US6532147B1 (en) Flexible monitor/display on mobile device
US7251129B2 (en) Two-way auto-locking tablet PC hinge
JP6321702B2 (ja) ヒンジ装置および電子機器
WO2019223551A1 (zh) 铰链和移动终端
KR20140121380A (ko) 단말 장치
JP2016164426A (ja) ヒンジ装置及び携帯用情報機器
TWI520675B (zh) 可改變軸心位置之樞軸機構及其電子裝置
JP6556348B2 (ja) 2軸ヒンジ
TW201930739A (zh) 樞轉機構與電子裝置
EP2013682A1 (en) Double-axis hinge for use in electronic devices
TWM629910U (zh) 單軸鉸鍊
US20110047754A1 (en) Hinge device and apparatus using hinge device
KR102260987B1 (ko) 가동블록 및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JP6310694B2 (ja) 二軸ヒンジ装置
TW201925963A (zh) 鉸鏈模組與應用其的電子裝置
JP2022063700A (ja) 携帯用情報機器及びヒンジ装置
JP7268853B2 (ja) フレキシブルディスプレイ用ヒンジ機構
KR102358664B1 (ko) 캠기어방식 2축 힌지구조물이 구비되는 전자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