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898B1 -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 Google Patents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898B1
KR102260898B1 KR1020190015546A KR20190015546A KR102260898B1 KR 102260898 B1 KR102260898 B1 KR 102260898B1 KR 1020190015546 A KR1020190015546 A KR 1020190015546A KR 20190015546 A KR20190015546 A KR 20190015546A KR 102260898 B1 KR102260898 B1 KR 102260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bestos
support
bar
rotation
adhe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5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8007A (ko
Inventor
이진호
Original Assignee
이진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호 filed Critical 이진호
Priority to KR10201900155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89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8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8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2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using chambers or hoods covering the area
    • B08B15/026Boxes for removal of dirt, e.g. for cleaning brakes, glove- box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봉을 일측으로 치우치게 마련하여 장애물 간섭없는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석면 밀착 프레임의 회동 구성을 통해 천장 기울기에 관계없이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 간 기밀이 높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면에 지지되는 삼각대를 포함하는 지지대; 석면이 시공된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글러브 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된 석면 밀착 프레임; 상기 지지대와 석면 밀착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된 회동바; 상기 지지대 상에서의 회동바의 타단부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바는, 석면 밀착 프레임의 양측에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부위부터 석면 밀착 프레임을 벗어난 영역까지 연장된 한 쌍의 아암날개와, 상기 한 쌍의 아암날개를 연결하며,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되 구속수단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도록 설치된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A glove-bag setup device for asbestos dismantling work}
본 발명은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석면 철거 작업 공간의 충분한 확보를 통해 작업성을 높이고, 천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천장의 석면과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에 관한 것이다.
석면(asbestos)은 가격이 저렴하고, 다른 물질과 결합력이 뛰어나며, 기계적인 강도가 우수하고 또한 불연성, 단열성, 내구성, 절연성, 보온성이 뛰어나 일반적인 건축용 자재인, 밀보드, 석면 슬레이트 등의 건축자재, 방화재, 내화재, 보온재, 단열재, 전기절연재, 전해막용재, 브레이크라이닝 용재 등 그 용도가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이러한 석면은 최근 엄격한 법이 적용되기전까지 빌딩, 상가, 주택 등 각종 건축물에 내, 외장재로 광범위하게 시공되어 있는 실정이다.
상기 석면은 천연석으로 생산되는 광물군 중에서 높은 항장력과 유연성을 지닌 견사 모양의 특이한 광택을 나타내는 섬유상 집합을 이루는 재료로써, 섬유형태가 가늘고 날카로우며 매우 뻣뻣하고 특히, 체내보존성이 높아 석면을 장기간 흡입하게 되면 폐암, 악성중피종, 석면폐 등의 직업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알려져 극히 제한된 취급자와 그 사용 및 제거, 폐기물 처리에 관한 엄격하게 규제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석면을 독성지정폐기물로 규정하였지만 대중이 이용하는 지하철 구간이나 학교 및 기간시설 등의 석면 부유량은 규정치의 수 십배에 달하여, 기 시공된 석면 제거공사가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며, 철거 및 철거건물 공사시에도 석면이 살포된 건축폐기물은 일반건축폐기물과 엄격하게 분류하여 별도로 처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면의 위험성으로 인하여, 기존에 석면이 함유된 천장재가 시공된 건축물의 경우, 당장 천장재의 전면 철거가 바람직하나, 그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철거시간도 오래 걸리기 때문에, 공기조화장치 설치나 조명장치 교체 등을 위한 부위에 대한 부분 철거작업 위주로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은 천장 부분 철거 작업을 위해서는, 작업자가 천장재를 고정하는 피스를 풀 수 있도록 일정 높이의 발판에 올라서 목을 젖힌 상태에서 천장재를 천장에서 분리하여 바닥에 내려놓는다.
이때, 천장재 철거시 석면 미분이 비산됨에 따라 유해한 작업환경을 제공하므로, 전술한 석면 관련 질환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천장재 철거시 석면이 작업자에게 직접 비산되는 것을 차단하기 위한 석면해체장치가 『등록특허 제10-1562993호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를 통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된 석면해체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포스트부(10)와, 탄성 가변 포스트부(20)와, 석면 밀착 프레임부(30)와, 완충재(40)와, 석면공간 밀폐 저장부(50)와, 작업공구 통로부(60)로 구성된다.
상기 석면해체장치(1)를 이용한 석면 철거 작업을 위해서는, 베이스 포스트부(10)로부터 탄성 가변 포스트(20) 길이를 조절하고 석면 밀착 프레임부(30)를 천장에 밀착시킨 후, 석면공간 밀폐 저장부(50)를 통해 작업자가 공구를 이용하여 석면철거 작업을 수행한다.
이때, 석면 밀착 프레임부(30)에 완충재(40)를 마련하여 석면과, 석면 밀착 프레임(30)이 직접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석면의 파손을 1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석면 밀착 프레임(30)에 의도하지 않은 하중이 가해지는 경우라도 석면 밀착 프레임부(30)로 가해지는 하중이 탄성 가변 포스트부(20)에 의해 상쇄되므로 석면의 파손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상기한 종래의 석면해체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지면에 지지되는 베이스 포스트부(10)가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중앙에 설치됨으로써,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하방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작업 반경에 간섭이 생기는 문제가 있다.
작업자의 작업 위치 선정에 제약이 있을 수 있으며, 사다리 등의 장비 사용에 간섭이 생겨 작업성을 떨어뜨릴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베이스 포스트부(10)가 한 개의 싱글바로 제공됨으로써, 석면 밀착 프레임부(30)를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선행문헌의 다른 실시예를 통해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각 코너마다 베이스 포스트부(10)가 설치된 것이 개시되어 있으나, 이는 석면해체장치(1) 높이 조절시 각각의 베이스 포스트부(10)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둘째, 석면 분진 비산을 방지하기 위해서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간 기밀 유지는 매우 중요한데, 천장의 석면 기울기가 경사진 경우 종래의 석면해체장치는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간 기밀이 유지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물론, 기밀 유지를 위한 완충재(40)가 마련되어 있기는 하지만, 베이스 포스트부(10)를 기준으로 석면 밀착 프레임부(30)의 설치각이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부(30)는 천장의 기울기에 유연하게 대응되기 어려운 것이다.
이에 따라,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부(30) 간 유격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석면 철거 작업시 분진이 새어나올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셋째, 전체 부피를 줄이기 어려워 운반의 편의성이 떨어지고, 보관을 위한 공간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562993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지대를 석면 밀착 프레임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마련하여 작업공간 활용의 효율성을 높이고, 석면 밀착 프레임과 지지대 사이에 회동바를 설치하여 천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석면 밀착 프레임과 천장 간에 기밀이 효과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면에 지지되는 삼각대를 포함하는 지지대; 석면이 시공된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글러브 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된 석면 밀착 프레임; 상기 지지대와 석면 밀착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된 회동바; 상기 지지대 상에서의 회동바의 타단부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바는, 석면 밀착 프레임의 양측에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부위부터 석면 밀착 프레임을 벗어난 영역까지 연장된 한 쌍의 아암날개와, 상기 한 쌍의 아암날개를 연결하며,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되 구속수단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도록 설치된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를 제공한다.
삭제
또한, 상기 지지대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슬라이딩바(bar)가 서로 중첩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을 통한 움직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각 슬라이딩바에는 나사 조임을 통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작용을 구속하는 록커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양측이 관통된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축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구속공이 회동바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결합공 및 구속공에 삽입되어 회동바의 타단부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지지대를 기준으로 석면 밀착 프레임이 회동될 수 있도록 설치됨으로써, 장비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운반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으며, 보관 장소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석면 밀착 프레임과 지지대 사이에 회동바가 설치됨으로써, 석면 밀착 프레임은 지지대를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석면 밀착 프레임은 회동되면서 천장의 기울기에 유연하게 대응될 수 있으므로, 천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 간 기밀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지지대는 석면 밀착 프레임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설치됨으로써, 석면 밀착 프레임 하방의 작업 공간을 지지대가 간섭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애물 간섭 없이 작업자의 작업 공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석면 철거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지지대에 삼각대가 설치됨으로써, 지지대가 싱글바로 제공되더라도 석면 밀착 프레임을 지면에 안정감 있게 지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석면해체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의 지지대 및 록커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의 회동바와 구속수단을 나타낸 요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의 부피를 축소시킨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의 석면 밀착 프레임을 회동하여 구속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지지대 길이를 조절하여 석면 밀착 프레임을 천장에 시공된 석면에 밀착시킨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는 석면 철거 작업시 작업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하고, 천장의 평평한 정도에 관계없이 글러브 백과 천장 간 기밀 유지력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다.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100)와, 석면 밀착 프레임(200)과, 회동바(300)와, 구속수단(400)을 포함한다.
지지대(100)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을 지면에 지지하며, 바(bar) 타입으로 제공된다.
상기 지지대(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일측에 치우치게 제공되며, 싱글(single)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지지대(100)는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삼각대(110)를 포함한다.
삼각대(110)는 지지대(100)의 하단부를 구성하며,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지지대(100)는 높이(길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지지대(100)는 서로 직경이 다른 복수의 원기둥 형태로 제공되며, 지지대(100)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설명의 편의상, 복수의 각 지지대는 본 명세서에서 슬라이딩바(120)라 하기로 한다.
상기 각각의 슬라이딩바(120)는 순차적으로 내경 차가 발생하도록 제공되며, 상호 간에 슬라이딩 결합을 통해 제공된다.
이때, 각 슬라이딩바(120)에는 슬라이딩바(120)의 유동 방지 즉, 슬라이딩 작용을 구속하여 지지대(100) 전체 높이를 조절하기 위한 록커(130)가 제공된다.
록커(130)는 각 슬라이딩바(120)의 외측에 마련되며, 슬라이딩바(120)의 내측에 삽입되어 있는 다른 슬라이딩바(120)를 가압하여 슬라이딩바(120)의 움직임을 구속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상기 록커(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131)와, 가압부재(132)와, 체결볼트(133)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체결부(131)는 슬라이딩바(120)의 상단부에서 슬라이딩바(120)의 내측으로 슬라이딩바(120) 삽입을 유도하고, 슬라이딩바(120)로부터 외측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부(131a)를 형성한다.
이때, 연장부(131a)는 상방으로 개구된 홈부로 제공되며, 상기 연장부(131a)는 슬라이딩바(120) 내측과 통하게 형성된다.
가압부재(132)는 슬라이딩바(120) 내부에 삽입된 다른 슬라이딩바(120)에 밀착되어 슬라이딩바(120)의 슬라이딩 유동을 구속시키는 매개체이다.
상기 가압부재(132)는 연장부(131a) 내부에 삽입되며, 가압부재(132)와 대향된 슬라이딩바(120)와는 유격을 형성한다.
가압부재(132)는 탄성 재질임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압부재(132)는 고무재질로 제공될 수 있다.
체결볼트(133)는 가압부재(132)를 밀거나 가압하여 상기 가압부재(132)로 하여금 슬라이딩바(120) 유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체결볼트(133)는 상기 연장부(131a)에 나사 결합되며, 체결볼트(133)의 단부는 가압부재(132)에 접촉된다.
한편, 지지대(100)의 상단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부(140)가 마련된다.
상기 결합부(140)는 후술하는 회동바(300)와 지지대(100)를 결합시키는 매개수단으로써, 양측이 관통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때, 결합부(140) 역시 지지대(100) 상에서 슬라이딩되면서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140)에는 결합공(141)이 형성된다.
결합공(141)은 후술하는 구속핀이 삽입되어 결합부(140) 상에서 후술하는 회동바(300)의 회전을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회동바(300)의 회전에 대한 구속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글러브 백(G)이 설치되는 구성이며, 천장의 석면에 밀착되어 글러브 백(G)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석면 작업 공간을 제공하는 글러브 백(G)을 천장의 석면에 밀착하여 글러브 백(G) 공간의 기밀을 유지시키는 구성인 것이다.
이때, 글러브 백(G)은 석면 분진이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공지된 기술이 적용되어도 무방하다.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사각의 틀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며, 상,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된다.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상면에는 천장 석면과의 기밀유지력을 높이기 위해 석면 밀착 프레임(200)을 따라 탄성재질의 기밀부재(210)가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회동바(300)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을 지지대(100)에 연결시키는 연결 매개 수단이며,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회전 작용을 제공한다.
상기 회동바(300)로 인해 석면 밀착 프레임(200)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20))은 천장의 석면 기울기에 따라 유연하게 대응되면서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천장과 석면 밀착 프레임(200)간 기밀유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바(300)의 일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에 축 결합 되고, 회동바(300)의 타단부는 지지대(100)의 상단부 즉, 결합부(140)에 축 결합된다.
상기 회동바(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날개(310)와 연결축(320)으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아암날개(310)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양측에 각각, 축 결합된 한 쌍으로 제공된다.
아암날개(310)의 일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양측에 축 결합되고, 아암날개(310)의 타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으로부터 외측으로 벗어난 영역까지 연장된다.
연결축(320)은 결합부(140)에 삽입 설치되며, 한 쌍의 아암날개(310) 타단부에 고정된다.
상기 연결축(320) 역시 결합부(14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연결축(320)이 결합부(140) 상에서 회전된다는 것은, 지지대(100) 상에서 회동바(300)의 회전을 의미한다.
즉, 회동바(300)에 설치된 석면 밀착 프레임(200)을 지지대(100)로 회전시켜 장비 전체 부피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연결축(320)에는 도 4에 도시된 비와 같이 그 둘레를 따라 복수의 구속공(321)이 형성된다.
구속공(321)은 후술하는 구속수단(400)을 통해, 결합부(140) 상에서 회동바(300)의 회동을 구속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구속공(321)은 결합부(140)의 결합공(141)에 대응되는 크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때, 복수의 구속공(321)들끼리의 간격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축(320)의 둘레 방향을 기준으로 대략 90도 간격임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결합부(140) 상에서의 연결축(320) 회전 범위를 90도로 컨트롤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암날개(310)는 연결축(320)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지하다.
이는, 천장에 대한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회동 각도 효율성을 높이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아암날개(310)의 타단부가 석면 밀착 프레임(200)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위치됨으로써, 결국 지지대(100)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으로부터 벗어난 영역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은, 지지대(100)가 석면 밀착 프레임(200)의 하방에 위치되지 않는 구성이기 때문에 작업 공간에 지지대(100)로 인한 장애물 간섭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의 작업 편의성 및 작업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다음으로, 구속수단(400)은 지지대(100) 상에서 회동바(300)의 회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정확하게는, 구속수단(400)은 결합부(140) 상에서 연결축(320)의 회동을 구속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속수단(400)은 결합부(140)의 결합공(141) 및 연결축(320)의 구속공(321)을 통과하는 구속핀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사용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석면 밀착 프레임(200)이 지지대(100)를 향해 회동되어 접힌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써, 설치장비 전체의 부피가 축소된 상태임을 이해할 수 있다.
물론, 슬라이딩바(120) 삽입을 통해 지지대(100) 길이도 최소화시킨 상태이다.
이는 설치장비 운반 및 보관을 위한 상태로써, 펼쳐진 삼각대(110)도 폴딩시켜 전체 부피를 더 축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부피가 축소된 상태의 설치장비에 글러브 백(G)을 설치하여 사용하기 위해서는, 구속핀(400)을 결합공(141)으로부터 빼내어 결합부(140) 상에서 연결축(320)의 회동을 자유롭게 한다.
이후, 회동바(300)를 상방으로 회전하여, 연결축(320)의 다른 구속공(321)을 결합부(140)의 결합공(141)에 대응시킨다.
이때, 구속공(321) 간 간격은 대략 90도이므로, 회동바(300)의 회동각도 역시 구속공(321) 간격에 대응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구속핀(400)을 결합공(141) 및 구속공(321)에 삽입하여,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바(300)의 회동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때,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지면에 대하여 수평한 상태를 제공하되, 회동바(300)를 구성하는 한 쌍의 아암날개(310) 상에서 자유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제공한다.
다음으로, 글러브 백(G)을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200)에 고정시킨다.
다음으로, 체결볼트(131)를 회전하여 가압부재(132)의 슬라이딩바(120) 가압력을 해제시키고, 슬라이딩바(120)를 인출하여 지지대(100) 길이를 늘린다.
이후, 체결볼트(131)를 반대로 회전하여 가압부재(132)로 하여금 슬라이딩바(120)를 가압시켜 늘어난 지지대(100) 길이를 유지시킨다.
이후, 지지대(100) 길이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에 대응되고,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천장의 석면에 맞닿게 된다.
이때, 석면 밀착 프레임(200)이 천장 석면에 압착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바(120)를 더 밀어올린 후, 체결볼트(131)로 구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석면 밀착 프레임(200)이 천장의 석면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천장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회동바(300)를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석면에 유연하게 압착될 수 있다.
또한, 석면 밀착 프레임(200)은 천장의 기울기에 대응되어 압착됨으로써, 석면 밀착 프레임(200)에 설치된 글러브 백(G)의 기밀 유지력은 극대화될 수 있다.
이후, 상기와 같이 글러브 백(G)이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는 글러브 백(G)을 이용해 석면 철거 작업을 실시한다.
이때, 도 6b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글러브 백(G) 하방의 작업 공간에는 간섭 장애물이 없으므로, 작업자의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어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이후, 석면 철거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반대로 수행하여 설치장비를 축소시키고, 축소된 설치장비를 추가 작업장소로 운반하거나 별도의 보관 장소에 보관시킨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는 지지대가 석면 밀착 프레임의 일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될 수 있도록 구성하여 글러브 백 하방의 작업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석면 밀착 프레임의 회동 작용을 통해 천장의 기울기에 관계없이 천장과 글러브 백 간 기밀유지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따라,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는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으며, 부피 축소를 통해 운반 및 보관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지지대 110 : 삼각대
120 : 슬라이딩바 130 : 록커
131 : 체결부 131a : 연장부
132 : 가압부재 133 : 체결볼트
140 : 결합부 141 : 결합공
200 : 석면 밀착 프레임 210 : 기밀부재
300 : 회동바 310 : 가압날개
320 : 연결축 321 : 구속공
400 : 구속수단(구속핀) G : 글러브 백

Claims (4)

  1. 지면에 지지되는 삼각대를 포함하는 지지대;
    석면이 시공된 천장에 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글러브 백이 설치될 수 있도록 중앙통공이 형성된 석면 밀착 프레임;
    상기 지지대와 석면 밀착 프레임 사이에 설치되되, 일단부는 석면 밀착 프레임에 축 결합되며 타단부는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된 회동바;
    상기 지지대 상에서의 회동바의 타단부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회동바는,
    석면 밀착 프레임의 양측에 축 결합되고, 축 결합된 부위부터 석면 밀착 프레임을 벗어난 영역까지 연장된 한 쌍의 아암날개와,
    상기 한 쌍의 아암날개를 연결하며, 지지대의 상단부에 축 결합되되 구속수단에 의해 회동이 구속되도록 설치된 연결축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직경이 다른 복수의 슬라이딩바(bar)가 서로 중첩되게 삽입되어 슬라이딩을 통한 움직임에 의해 길이가 조절되며,
    각 슬라이딩바에는 나사 조임을 통해 슬라이딩바의 슬라이딩 작용을 구속하는 록커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양측이 관통된 결합부가 설치되고,
    상기 회동바의 타단부는 상기 결합부에 축 결합되되, 상기 결합부에는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에 대응되는 구속공이 회동바의 타단부 둘레를 따라 복수로 형성되며,
    상기 구속수단은 결합공 및 구속공에 삽입되어 회동바의 타단부 회동을 구속하는 구속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KR1020190015546A 2019-02-11 2019-02-11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KR102260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6A KR102260898B1 (ko) 2019-02-11 2019-02-11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5546A KR102260898B1 (ko) 2019-02-11 2019-02-11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07A KR20200098007A (ko) 2020-08-20
KR102260898B1 true KR102260898B1 (ko) 2021-06-03

Family

ID=72242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5546A KR102260898B1 (ko) 2019-02-11 2019-02-11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89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191A (en) 1989-04-12 1990-03-27 Bain G William Apparatus for protecting ceiling work area from dispersal of asbestos fibers
KR100992907B1 (ko) 2010-03-22 2010-11-09 황창욱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6607B1 (ko) * 2008-11-27 2011-09-21 (주) 맑은누리 비닐수지 부착형 방진복을 갖는 석면해체장치
KR20110085741A (ko) * 2010-01-21 2011-07-27 주식회사성수프론티어 석면 함유 건축마감재 해체장치
KR101562993B1 (ko) 2015-02-25 2015-10-23 주식회사 한국석면환경조사 석면 안전관리를 위한 석면 해체 및 제거장치
KR101874110B1 (ko) * 2016-11-16 2018-07-03 일우건설산업 주식회사 서포트 지지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191A (en) 1989-04-12 1990-03-27 Bain G William Apparatus for protecting ceiling work area from dispersal of asbestos fibers
KR100992907B1 (ko) 2010-03-22 2010-11-09 황창욱 석면 부재 제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8007A (ko) 2020-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4960B2 (en) Securing an air conditioning unit to a building by applying force to an interior and an exterior surface of the building
CN102892466B (zh) 真空锚定器系统
KR102260898B1 (ko) 석면 철거 작업용 글러브 백 설치장비
CN104975571A (zh) 飞行器用停靠装置
CN208702119U (zh) 一种高层建筑窗口的外墙临时支护装置
CN103510693B (zh) 高空作业平台
CN102679466A (zh) 空调外机安装预埋件装置及其用途
CN206917311U (zh) 一种建筑工地用遮挡装置
KR20190142913A (ko) 작업대 지지 장치
CN105443952B (zh) 一种高层站厅站台用电视吊杆
KR101731179B1 (ko) 보양비닐용 다목적 캐리어
RU85524U1 (ru) Опалубка строительных сооружений
CN211114336U (zh) 一种具有升降功能的集成吊顶
JP3462576B2 (ja) 外装仕上げ用パネルの狭空間施工方法及び装置
JP2014156969A (ja) 空調ユニットおよびその施工方法
CN205844721U (zh) 摄像机可调节安装支架
KR101559917B1 (ko) 낙하방지장치
KR101880406B1 (ko) 폭 조절과 안정된 지지 구조를 갖는 전력 케이블 트레이
CN106436977A (zh) 外挂墙板的安装结构及安装方法
CN206289789U (zh) 外挂墙板的安装结构
CN218793604U (zh) 一种便携式高处临边作业用固定装置
CN104975707A (zh) 棚架和其三角形支撑架体
CN204932652U (zh) 高空管道作业安全带悬挂装置
CN218934851U (zh) 一种风机的悬吊安装结构
CN205531257U (zh) 一种建筑工地用安装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