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0073B1 -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 Google Patents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0073B1
KR102260073B1 KR1020200143278A KR20200143278A KR102260073B1 KR 102260073 B1 KR102260073 B1 KR 102260073B1 KR 1020200143278 A KR1020200143278 A KR 1020200143278A KR 20200143278 A KR20200143278 A KR 20200143278A KR 102260073 B1 KR102260073 B1 KR 102260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detachable
numerical map
imag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327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욱
최준오
정세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블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블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블루
Priority to KR10202001432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0073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0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007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4Map manufacture or repair; Tear or ink or water resistant maps; Long-life ma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5Geographic mode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10Image acquisition modality
    • G06T2207/10032Satellite or aerial image; Remote s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omprising: a numerical map production device that generates a drawing image based on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produces and updates a numerical map based on this; a storage device that stores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s and numerical maps, respectively; and a ground measuring device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new inserted image is inserted to acquire topographic informatio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ew topographic information, which can apply graphical image-type numerical map update in real time according to changes in topographic information.

Description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geographic information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본 발명은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geographic information.

수치지도는 기존의 아날로그 형태의 종이지도를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에 의해 얻어진 각종 지형자료를 해석하여 수치 편집하여 디지털 형태의 지도로 제작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수치지도의 구축 과정은 다음과 같다.Numerical maps are digital maps produced by interpreting and numerically editing various topographical data obtained from survey maps, aerial photos, and satellite images on existing analog paper maps. In general, the construction process of a numerical map is as follows.

먼저, 종이지도를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하여 수치지도의 형태의 도화를 생성하고, 이렇게 생성된 도화에 좌표 변환을 통해 사용자의 목적에 맞도록 실제 좌표계로 변환한다.First, a drawing in the form of a numerical map is generated by digitizing or scanning a paper map, and the generated drawing is converted into an actual coordinate system to suit the user's purpose through coordinate transformation.

이후, 공간 객체 간의 상호 위치성과 연관성을 파악하기 위한 위상 구조를 정립한 수치지도에 속성자료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속성자료는 다양한 식별자 정보들이 포함되며, 일 예로써 국토지리정보원의 수치지도의 지형지물에 대한 식별자로는 지형지물 전자식별자(UFID : Unique Feature Identifier)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는 지형물에 부여되는 위치정보, 관리기관, 타 속성정보 등을 나타내는 단일 식별자로 지형지물의 유일하게 부여되는 식별자를 말하여, 기관코드, 도엽번호, 지형지물 식별코드, 일련번호 필드 등으로 구성되어 지형지물의 관리, 검색 및 활용을 위해 다른 지리정보와의 연계 또는 지형지물간의 상호참조를 위한 식별자로 사용된다.Thereafter, the attribute data is input into the numerical map in which the topological structure is established for understanding the mutual loc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spatial objects. At this time, the attribute data includes various identifier information. For example, a Unique Feature Identifier (UFID)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a feature on the numerical map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It refers to an identifier that is uniquely assigned to a feature as a single identifier indicating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gency, and other attribute information. It consists of an organization code, map number, feature identification code, and serial number field to manage, search and For utilization, it is used as an identifier for linking with other geographic information or cross-referencing between features.

그러나 생성된 도화는 항공사진, 위성영상의 판독을 통해 입력되기 때문에 도화의 지형지물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어려우며, 또한 이에 따라 각 지형지물에 부여되는 속성자료의 정확도도 보장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한다.However, since the generated drawings are input through the reading of aerial photos and satellite images,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features of the drawings, and accordingly,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accuracy of the attribute data given to each feature.

이로 인해, 수치지도 제작자들은 수치지도의 정확도를 보장하기 위해 도 1에서 기재하고 있는 수치지도 생성 방법의 과정을 통해 보다 정확한 수치지도를 제작하고 있다.For this reason, the numerical map makers are producing more accurate numerical maps through the process of the numerical map generating method described in FIG. 1 in order to ensure the accuracy of the numerical maps.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수치지도 제작자는 측량지도, 항공사진, 위성영상 등 디지타이징(digitizing)이나 스캐닝(scanning)을 통해 생성된 도화를 종이에 프린트하여(S10), 프린트된 도화의 해당 지역으로 현장조사를 수행한다(S20).Referring to FIG. 1 , a numerical map maker prints a drawing created through digitizing or scanning such as a survey map, aerial photograph, and satellite image on paper (S10), and the corresponding area of the printed drawing is to perform a field survey (S20).

이때, 상기 현장조사에서는 실제 장소에 프린트된 도화에 표시된 건물, 도로(포장, 비포장), 철도, 공원, 하천, 산, 논, 밭 등의 다양한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또는 실제 장소에 위치하는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크기, 방향, 형태가 도화에도 정확히 표시되어 있는지 등을 직접 확인하고, 다른 부분이 있으면 도화에 수작업으로 직접 수정한다.At this time, in the field survey, various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such as buildings, roads (paved, unpaved), railroads, parks, rivers, mountains, rice fields, fields, etc., indicated in the drawings printed at the actual place actually exist, or the actual place. Check directly whether the size, direction, and shape of the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errain located on the map are accurately indicated on the drawing, and if there are any other parts, manually correct them on the drawing.

아울러, 해당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의 상호, 명칭 및 기본정보(건물의 층수, 도로나 하천의 폭 등)등의 속성자료들을 도화의 해당 위치에 일일이 수작업으로 표기한다.In addition, attribute data such as the name, name, and basic information (number of floors of a building, width of a road or river, etc.) of the corresponding artificial and natural features are manually written in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drawings.

이렇게 현장조사를 통해 도화에 잘못 묘사된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과, 각 인공지물과 자연지형의 속정자료들의 표기가 완료되면, 상기 표기된 도화를 이용하여 전산화 작업을 통한 최초 생성된 도화에 상기 변경정보 및 속성자료를 표시하여 도화 및 지도입력 성과를 수정하고 보완함으로써, 지형, 지물의 지리적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정위치 편집을 수행한다(S30).In this way, when the representation of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incorrectly depicted in the drawing, as well as the property data of each artificial feature and natural topography, are completed through the field survey, the change information is applied to the first generated drawing through computerization using the marked drawing And by displaying attribute data to correct and supplement the drawing and map input performance, in-place editing i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geographical correlation between topography and features (S30).

이어 상기 정위치 편집을 통해 편집된 지형, 지물을 기하학적 형태로 구성하고 필요한 대상을 점, 선, 면 및 네트워크 영역분할의 모델 또는 이를 조합한 기하모델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정의한 점, 선, 면 형태화를 기반으로 일일이 해당되는 인공지물 및 자연지형에 전산화 작업을 통한 수작업으로 표시하고 편집하는 구조화 편집을 수행한다(S40). 이때, 상기 구조화 편집에서는 도화에 표시되는 속성자료는 숨겨진(화면에 표지되지 않고 저장된) 상태로 편집이 이루어진다.Then, the topography and features edited through the in-place editing are configured in a geometric form, and the required object is a point, line, plane, and network area division model or a geometric model that is a combination of the points, lines, and planes defin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Structural editing is performed by manually displaying and editing the corresponding artificial features and natural topography based on the image through computerized work (S40). At this time, in the structured editing, the attribute data displayed in the drawing is edited in a hidden (stored without being marked on the screen) state.

이렇게 상기 구조화 편집까지 완료되면,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제작 및 인쇄하여 수치지도 제작을 요청한 국토지리정보원에 제공한다(S50). 이때 상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은 구조화 편집된 도화를 정의된 형태로 변경시키는 프로그램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공지된 프로그램을 그대로 이용하고 있다.When the structured editing is completed in this way, a numerical map is produced and printed using a software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Service, and provided to the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 requesting the production of the numerical map (S50). At this time, the software program is a program that changes the structured and edited drawing into a defined form, and it uses the known program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Service as it is.

그러나 종래 수치지도 제작방법은 항공촬영이미지의 제공이 반드시 전제되어야 하고, 항공촬영이미지는 항공촬영을 통해서만 수집되므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업데이트(갱신)은 항공촬영이 가능한 일정한 시기에 맞춰 일정 주기로 이루어질 수밖에 없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digital map production method must be premised on providing aerial photographed images, and aerial photographed images are collected only through aerial photographing. Therefore, the production or update (update) of the illustrated image type numerical map is scheduled according to a certain time when aerial photographing is possible. It had to be done periodically.

이에 비해, 지형의 변화, 인공구조물 등의 변화는 상기 주기에 상관없이 시시때때로 발생하므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대한 오차율은 수치지도의 제작일로부터 멀어질수록 증가할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사용자는 수치지도 이용에 큰 불편을 느끼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In contrast, since changes in topography and artificial structures occur from time to time irrespective of the above period, the error rate for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inevitably increases as the distance from the date of manufacture of the numerical map increases, and this causes the user to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great inconvenience in using the numerical map.

위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해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the above background art are only for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acknowledging that they correspond to the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지형정보 변화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quickly reflect the change by comparing the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new topographic information, which can apply the numerical map update of the drawing image typ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opographic information. It aims to provide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또한, 본 발명은 지상측정기를 이용하여 지형정보의 변화가 발생한 현장을 추가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additionally check the site where the change of topographic information has occurred using a ground measuring instrument, it is a numerical map that can quickly reflect the change by comparing the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that can reflect the accurate topographic information with the new topographic information.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n update syst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수치지도를 제작 및 갱신하는 수치지도제작장치; 항공촬영이미지 및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새로운 삽입이미지가 삽입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지형정보를 획득하는 지상측정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numerical map making device for gener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for producing and updating a numerical map based on th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a numerical map, respectively; and a ground measuring device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new inserted image is inserted to acquire topographic information;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저장장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및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photographed image DB for storing aerial photographed images; and a numerical map DB for storing the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and the numerical map of the illustrated image type, which are completed by apply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after editing or drawing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하는 입출력수단; 보조출력수단; 및 연산수단;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geographic information, the apparatus for producing a numerical map includes an input/output unit driven by a touch screen method; auxiliary output means; and arithmetic mean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연산수단은, 저장장치와 통신하고 입출력수단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의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의 출력 위치좌표값 및 배율이 일치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연동모듈; 입출력수단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수치정보와 지형정보가 링크되도록 입력하여 수치지도로 제작하는 수치모듈; 수치지도DB에서 보정 대상인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와 참고이미지인 신 버전의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를 검색하여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동일한 위치로 출력시키고, 입출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내에 삽입이미지를 삽입하는 편집모듈; 및 삽입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 확인시 삽입이미지를 간섭이 없는 보정이미지로 보정하되, 이러한 보정은 간섭 확인시 삽입이미지가 위치한 본 영역을 확인하고 기존 도화이미지 내 기존 선과 간섭된 삽입이미지의 해당 변의 꼭지점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기존 선과 나란하면서 꼭지점을 포함하도록 보정하며, 꼭지점이 본 영역 외에 위치한 경우 해당변을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기존 선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과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보정모듈;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ge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ge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lculation means communicates with a storage device and receives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manipulation of an input/output means a processing module for processing an output signal for image output of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executing a work menu related to image processing by processing; an interlocking module for synchronizing the output position coordinate values and magnifications of the numerical maps respectively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to match; a numerical module for producing a numerical map by inputting numerical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to b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rawing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In the numerical map DB, the numerical map of the old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type to be corrected and the numerical map of the new vers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as a reference image are searched and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in the same loc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output means an editing module for inserting an embedded image into the figure image type numerical map of the old version; And check whether there is interference between the inserted image and the existing drawing image, and correct the inserted image with a corrected image without interference when checking the interference. If the vertex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terfering image is located within this area, the side is corrected to include the vertex while parallel to the existing line. a correction module for compensating so as to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지상측정기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탈착부; 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감쇠부; 감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상카메라;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ground measuring device includes: a movable base with wheels mounted on the lower part; a detachable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Damp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tachable; a fluid buff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damping unit; a lift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buffer; and a ground camera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uni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탈착부는, 기초대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커버;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베이스는, 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탈착공간의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 연장홈; 탈착공간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탈착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한 쌍의 가이드홈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본체는, 탈착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홈에서 활주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부; 탈착본체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연장홈에 수용될 수 있는 탈착연장부; 탈착본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돌출스토퍼; 및 한 쌍의 가이드부의 후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위치규제홈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 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unit includes: a detachable bas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detachable space formed therein; a detachable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able space of the detachable base; and a detachable body which can be seated in the detachable spac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base; Including, the detachable base, a pair of guide grooves recess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tachable space; an extension groove recessed at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units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and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the detachable body from being separated; and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grooves respectively recessed at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It includes, wherein the detachable body is formed to protrude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a pair of guide parts slidable in a pair of guide grooves; a detachable extension part which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body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groove; a protrusion stopper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body and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and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units protruding from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guide units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position regulating grooves; It is preferable to includ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유체완충부는, 감쇠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하판; 유체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의 유체회전판; 유체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상판; 유체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공급부; 유체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체회전판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체회전부; 및 유체수용부와 유체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밸브를 구비하는 유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하판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유체공급부로부터 상판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회전연통홈, 회전관통홀, 하판연통홈 및 하판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uid buffer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amping unit and space so that the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fluid receiving part is formed; a fluid low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uid receiving part and having a lower plat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 fluid rotating plate in the form of a ring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has a rotation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hollow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fluid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rotating plate and having an upper plat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 fluid supply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upper plate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fluid; a fluid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luid rotating plate to rotate the fluid rotating plate; and a fluid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fluid receiving part and the fluid supply part and having a one-way valve; Including, a ring-shaped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late through-hole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a ring-shaped rotating communic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rotating through-hole is depr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rotating plate. As the rotating plate rotates, the fluid introduc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throug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rotating communication groove, the rotating through hole, the lower plate communicating groove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to be accommodated in the fluid receiving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에서 상기 승강부는,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케이스; 하단이 승강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로드; 승강로드에 삽입되어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이동판;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스토퍼;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스토퍼; 상부스토퍼의 하면과 상하이동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탄성부; 하부스토퍼의 상면과 상하이동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탄성부; 승강로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관통홀; 및 승강케이스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관통홀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 및 승강로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와 제2횡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al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ifting unit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buffer and space is provided so that the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elevating case is formed; a lifting rod having a lower end disposed inside the lifting case and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up and down; a vertical moving plate in the form of a 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ro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case; an upper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e; a lower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below the vertical moving plate; an upper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opp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a lower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opp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a ro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lifting rod; and a hydraulic pump connected to the elevating case to apply pressure to the fluid inside the elevating case; Including, wherein the rod through hole, the first transverse through hole passing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disposed under the upper stopper; a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that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topper and is disposed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and a longitudinal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and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위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지상에 새롭게 구축된 구조물에 대응해서 기존 수치지도의 해당 지점을 정밀하게 갱신해 제작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신 버전의 수치지도 제작시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구 버전의 수치지도로도 신뢰도 높은 지도활용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corresponding point of the existing numerical map can be precisely updated and produced in response to a newly constructed structure on the ground, and through this, there is no need to wait until the new version of the numerical map is produced. It has the effect of using maps with high reliability even with maps.

또한, 본 발명은 지상측정기를 이용하여 지형변화가 발생한 지점의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 등을 현장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여 해당 수치지도에 적용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정확한 지형정보를 반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quickly and accurately reflecting the topographic information because it can be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ap by accurately checking the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point where the topographical change occurs using a ground measuring instrument on the spot.

도 1은 일반적인 수치지도 제작 및 갱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제작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부분 보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삽입 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측정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베이스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완충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
1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general numerical map production and update process.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capable of rapidly reflecting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ew top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emplary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production of a numerical map using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umerical map is partially corrected using a numerical map updating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edded image of a numerical map is corrected using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ground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each configuration of the fluid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In order to clearly explain the present invention,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the same or similar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addition, 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ust prope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은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수치지도를 제작 및 갱신하는 수치지도제작장치(100), 항공촬영이미지 및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장치(200) 및 새로운 삽입이미지가 삽입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지형정보를 획득하는 지상측정기(30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generates a drawing image based on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a numerical map production apparatus 100 for producing and updating a numerical map based on this,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a numerical map. It includes a storage device 200 for storing each and a ground measuring device 300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new inserted image is inserted to obtain topographic information.

상기 저장장치(200)는,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210) 및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220)를 포함한다.The storage device 200, the photographed image DB 210 for storing aerial photographed images and the photographed image type numerical map and illustrated image completed by editing or drawing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then applying the terrain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and a numerical map DB 220 for storing numerical maps of each type.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100)는 입출력수단(121), 보조출력수단(122) 및 연산수단(110)을 포함하고, 연산수단(110)은 처리모듈(111), 연동모듈(112), 수치모듈(113), 편집모듈(114) 및 보정모듈(115)을 포함한다.The numerical mapping apparatus 100 includes an input/output unit 121, an auxiliary output unit 122, and a calculation unit 110, and the calculation unit 110 includes a processing module 111, an interlocking module 112, and a numerical value. It includes a module 113 , an editing module 114 , and a correction module 115 .

상기 입출력수단(121)은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출력수단(122)은 보정 대상 지역에 대한 참고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입출력수단(121)은 LCD 또는 PDP 등의 슬림 타입 디스플레이에 터치스크린 기술이 적용될 수 있으며, 보조출력수단(122)은 LCD 또는 PDP 등의 슬림 타입 디스플레이가 적용될 수 있다.The input/output means 121 may be driven by a touch screen method,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may output a reference image for a region to be corrected. The input/output means 121 may apply touch screen technology to a slim type display such as LCD or PDP, and the auxiliary output unit 122 may apply a slim type display such as LCD or PDP.

상기 처리모듈(111)은 저장장치(200)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작업자가 입출력수단(121)을 조작하여 입력신호가 생성되면, 처리모듈(111)은 이러한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으로 해당하는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각각 전달한다.The processing module 111 may communicate with the storage device 200 and execute a work menu related to image processing. When an input signal is generated by the operator manipulating the input/output means 121 , the processing module 111 processes the input signal and outputs an output signal for outputting a corresponding image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 pass each

상기 연동모듈(112)은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위치가 일치할 수 있도록 위치좌표값과 배율을 일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interlocking module 112 performs a function of matching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 and the magnification so that the output positions of the numerical map images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match.

상기 수치모듈(113)은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지형정보와 수치정보가 각각 링크되도록 입력하여 수치지도를 완성·제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numerical module 113 performs a function of completing and producing a numerical map by inputt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to b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rawing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respectively.

상기 편집모듈(114)은 저장장치(200)에 저장된 이미지를 검색하여 입출력수단(121) 또는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하고, 입출력수단(121)으로부터 입력된 입력신호에 따라 해당 이미지를 편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The editing module 114 searches for the imag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0 and outputs i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or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and edits the image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input from the input/output means 121 perform the function

상기 보정모듈(115)은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에 삽입된 삽입이미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여 자동으로 보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correction module 115 may perform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orrecting the interference by checking whether the inserted image inserted in the numerical map image of the drawing image typ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is interfered with.

작업자는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장치(100)를 조작하여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완성하고, 이러한 도화이미지를 기초로 수치지도를 제작하기 위해서 입출력수단(121)에 도화된 도화이미지에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일일이 입력함으로써 수치지도를 완성하며, 완성된 수치지도는 최종적으로 저장장치(200)에 저장된다.The operator operates the numerical mapping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complete the drawing image based on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and numerical values based on the drawing image In order to produce a map, a numerical map is completed by inputt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into the illustrated image in the input/output means 121 one by one, and the completed numerical map is finally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200 .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한 수치지도의 제작 모습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3 is an exemplary diagram sequentially illustrating the production of a numerical map using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100)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이 모두 가능하며, 이하에서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과정을 간단하게 예시한다.The numerical map making apparatus 100 can produce both a numerical map of a photographed image type and a numerical map of a drawing image type. Hereinafter, the process of making a numerical map of a photographed image type and a numerical map production of a drawing image type are simplified exemplify

작업자는 촬영이미지DB(210)에서 촬영이미지들을 검색하고, 이를 편집하면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을 진행한다.The operator searches for the photographed images in the photographed image DB 210 and produces a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while editing them.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는 처리모듈(111)이 제시하는 작업 메뉴 중 '수치지도 제작메뉴'를 선택한다. 처리모듈(111)은 수치지도 제작메뉴의 하위 메뉴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과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메뉴를 제시하고, 작업자는 이들 중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메뉴를 선택한다.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operator selects the 'numeric map production menu' from the work menus presented by the processing module 111 . The processing module 111 presents the menus 'production of numerical map of photographed image type' and 'production of numerical map of drawing image type' as a sub-menu of the numerical map production menu, and the operator among these presents 'production of numerical map of photographed image type' ' Select the menu.

상기 편집모듈(114)은 편집 대상이 되는 항공촬영이미지에 대한 통상적인 검색 절차를 진행하고, 이렇게 검색되어 입출력수단(121)으로 출력되는 동일 지역에 대한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의 배율을 동일하게 조정한 후, 이를 하나가 되도록 연결하는 편집을 진행해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의 배경이 되는 일체화된 항공촬영이미지 데이터를 완성한다.The editing module 114 performs a normal search procedure for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to be edited, and adjusts the magnifications of a plurality of aerial photographed images for the same area that are searched and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in the same way. After that, editing is performed to connect them to become one, and the integrated aerial image data that becomes the background of the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is completed.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100)에서 다양한 배율을 갖는 다수의 항공촬영이미지를 동일한 배율로 조정한 후 서로 연결해 편집하는 기술은 해당 기술분야에서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technique of adjusting a plurality of aerial photographed images having various magnifications to the same magnification in the numerical mapping apparatus 100 and then connecting them to edit them is a well-known technique in the relevant technical fiel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

상기 수치모듈(113)은 이렇게 완성된 수치지도 배경용 항공촬영이미지에 해당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를 삽입한다. 여기에서 지형정보는 항공촬영이미지의 각 부위의 지명이름, 건물이름 등에 관한 것이고, 수치정보는 GPS좌표 정보 등에 관한 것이다. The numerical module 113 inserts the corresponding terrain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into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for the background of the numerical map thus completed. Here, the topographic information relates to the name of each part of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the name of the building, and the like, and the numerical information relates to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일반적으로 수치모듈(113)은 수치지도 배경용 항공촬영이미지 내 기준점을 기준으로 GPS좌표정보를 우선 합성하고, 이러한 GPS좌표정보에 따라 지형정보를 삽입해서 수치지도를 완성한다.In general, the numerical module 113 first synthesizes GPS coordinate information based on the reference point in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for the background of the numerical map, and inserts terrain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GPS coordinate information to complete the numerical map.

이렇게 완성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는 수치지도DB(220)에 저장된다.The completed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is stored in the numerical map DB 220 .

한편, 작업자는 앞서 제작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기초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갱신을 시도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처리모듈(111)에서 제시하는 해당 메뉴 중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또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 메뉴를 선택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or may attempt to create or update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based on the previously produced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To this end, the menu 'manufacture of numerical map of drawing image type' or 'update of numerical map of drawing image type' is selected from the corresponding menus presented by the processing module 111 .

작업자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 메뉴를 선택하면, 편집모듈(114)은 수치지도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출력할 지역의 수치정보를 입력하도록 안내하고, 작업자는 해당 안내에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입력한다.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manufacture of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menu, the editing module 114 guides the input of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area to be output in order to search for the numerical map image, and the operator follows the guide to the numerical map of the numerical map Enter information.

상기 편집모듈(114)은 이러한 수치정보를 기초로 수치지도DB(220)에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검색하여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각각 출력시킨다. The editing module 114 searches for a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in the numerical map DB 220 based on such numerical information, and outputs i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respectively.

도 3(a)는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각각 출력되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보인 것이다. 참고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위치가 일치되도록 위치좌표값을 일치시키는 장치인 연동모듈(112)을 통해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는 출력상태가 항상 동기화된다.Figure 3 (a) shows a numerical map of the type of photographed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respectively. For reference,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through the interlocking module 112, which is a device for matching the position coordinate values so that the output positions of the numerical map images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coincide The output state of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means 122 is always synchronized.

이를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가 입출력수단(121)을 통해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이미지를 조작해서 출력배율을 조정하거나 위치를 조정하면, 연동모듈(112)은 입출력수단(121) 및 보조출력수단(122)으로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출력 배율과 위치좌표값에 대한 수치정보를 확인하여 작업자가 입출력수단(121)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위치 조정시 입출력수단(121)과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의 위치와 출력모습이 모두 일치될 수 있도록 동기화되게 조정한다.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output magnification or adjusts the position by manipulating the photographed image type numerical map image being output through the input/output means 121, the interlocking module 112 is the input/output means 121 and the input/output means 121 when the operator adjusts the position of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by checking the numerical information on the output magnification and the positional coordinate value of the numerical map image respectively output to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and the position of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and the output shape are adjusted to be synchronized so that they can all match.

결국,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를 이동시키기거나 배율을 조정하면, 보조출력수단(122)으로 출력되는 수치지도 이미지도 연동모듈(112)의 동작에 의해 동일한 길이로 이동하거나 배율이 조정된다.As a result, when the operator moves or adjusts the magnification of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 th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is also moved to the same length by the operation of the interlocking module 112 . or the magnification is adjusted.

계속해서,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고 있는 해당 수치지도의 촬영이미지를 바탕으로 도화작업을 진행하여 도 3(b)와 같은 도화이미지를 완성한다. 도화를 위해서 상기 입출력수단(121)은 현재 출력되고 있는 촬영이미지를 도화하고 있는 도화이미지를 유지한 채 열거나 닫을 수 있고, 촬영이미지를 열거나 닫는 도중에 보조출력수단(122)은 현재 출력하고 있는 촬영이미지를 유지시켜서 작업자가 도화 작업에 참고할 수 있도록 한다.Subsequently, the operator completes the drawing image as shown in FIG. 3( b ) by performing a drawing operation based on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ap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 For drawing, the input/output means 121 can open or close the currently output photographed image while maintaining the drawing image,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during the opening or closing of the photographed image is currently output It maintains the photographed image so that the worker can refer to it for drawing work.

도화이미지가 완성되면, 작업자의 조작에 따라 수치모듈(113)은 지형정보와 수치정보가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각각 링크되도록 저장해서, 도 3(c)에서 보인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로 최종 완성한다.When the drawing image is completed, according to the operator's operation, the numerical module 113 stores the topographic information and the numerical information so that they ar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s of the drawing image, respectively, and as shown in FIG. 3(c), a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finally completed with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지도를 부분 보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이다.4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numerical map is partially corrected using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는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을 시도할 수 있고, 이를 위해 처리모듈(111)에서 제시하는 해당 메뉴 중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갱신' 메뉴를 선택한다.The operator may try to update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and for this, select the 'update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menu among the corresponding menus presented by the processing module 111 .

작업자가 해당 메뉴를 선택하면, 상기 편집모듈(114)은 수치지도 이미지 검색을 위해서 출력할 지역의 수치정보를 입력하도록 안내하고, 작업자는 해당 안내에 따라 수치지도의 수치정보를 입력한다.When the operator selects the corresponding menu, the editing module 114 guides the input of numerical information of an area to be output for a numerical map image search, and the operator inputs numerical information of the numerical map according to the guidance.

상기 편집모듈(114)은 입력된 수치정보를 기초로 수치지도DB(220)에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검색해서 입출력수단(121)에 출력시킨다. 참고로, 본 실시 예에서는 입출력수단(121)을 통해 도 3(c)에서 보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가 출력될 수 있다.The editing module 114 searches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from the numerical map DB 220 based on the input numerical information and outputs i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 For referenc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shown in FIG. 3C may be output through the input/output means 121 .

한편, 상기 보조출력수단(122)에는 보정 대상 지역에 대한 참고이미지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참고이미지는 도 4(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새로 촬영한 항공촬영이미지일 수도 있고, 보정 대상 지역을 지상에서 직접 촬영한 촬영이미지일 수도 있으며, 보정 대상 구조물에 대한 조감도 또는 설계도 등일 수도 있다. Meanwhile, a reference image for a region to be corrected may be output to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 The reference image may be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newly photographed as shown in FIG. 4(a), a photographed image photographed directly from the ground in the area to be corrected, or a bird's eye view or a blueprint of the structure to be corrected.

즉, 수치지도를 제작한 이후 임의의 지상 구역에 새로운 구조물을 건축하거나 소멸할 경우 이를 갱신하기 위해서 해당 참고이미지를 참고해 기존 수치지도 이미지를 보정할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when a new structure is built or annihilated in an arbitrary ground area after the creation of the numerical map, the existing numerical map image can be corrected by referring to the reference image in order to update it.

이러한 참고이미지는 보정 대상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신 버전의 항공촬영이미지 또는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인 것이 바람직하고,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보정 대상인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참고이미지는 연동모듈(112)에 의해 출력상태가 동기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reference image is preferably a numerical map of a relatively new version of the aerial photographed image or photographed image type compared to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to be corrected, and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to be corrected outputted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put state of the reference image output to the and auxiliary output means 122 is synchronized by the interlocking module 112 .

이 경우,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제작을 전체적으로 재작성할 필요없이 업데이트할 부분만을 부분적으로 보정하면 되므로 수치지도 갱신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is case, there is an effect that the numerical map update efficiency can be maximized because only the parts to be updated need only be partially corrected without having to completely rewrite the digital map production of the drawing image type.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되는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이미지와 보조출력수단(122)에 출력되는 참고이미지를 비교하면서 새로운 구조물의 신축 등 차이점을 확인한다.The operator compares the drawing image type numerical map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with the reference image output to the auxiliary output means 122 and confirms differences such as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a new structure.

본 실시 예에서는 수치지도 이미지와 차이가 있는 참고이미지의 해당 지역인 A1과 B1 부분을 확인하였다. A1과 B1은 기존에 없던 새로운 건물이 건축된 지역인데, 터치스크린 방식의 입출력수단(121)에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이미지를 바탕으로 A1과 B1에 해당하는 위치에 건물 이미지를 도화해 삽입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corresponding regions A1 and B1 of the reference image that are different from the numerical map image were identified. A1 and B1 are areas where a new building that did not exist before was built. Based on the numerical map image of the drawing image type in the input/output means 121 of the touch screen method, the building image is drawn and inserted at the positions corresponding to A1 and B1. .

상기 편집모듈(114)은 도 4(b)에 보인 바와 같이,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작업자가 삽입한 삽입이미지(A2, B2)를 출력하고, 수치모듈(113)은 삽입이미지(A2, B2)에 해당하는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 삽입해서 도시한 바와 같이 '서초1동 주민센터', '볼보'와 같은 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As shown in Fig. 4(b), the editing module 114 outputs the inserted images A2 and B2 inserted by the operator into the drawing image type numerical map, and the numerical module 113 is the inserted image A2, By inserting topographical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B2), information such as 'Seocho 1-dong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Volvo' can be output as shown.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제작장치(100)는 제작이 완료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에 대해 부분적인 변화를 원인으로 보정이 요구될 경우, 수치지도 전체에 대한 보정 없이도 해당 부분을 용이하게 검색해서 보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umerical map produc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erform a corresponding part without correcting the entire numerical map when correction is required due to a partial change in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that has been produced.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searched and corrected.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치지도 갱신시스템을 이용하여 수치지도의 삽입 이미지를 보정하는 모습을 도시한 예시도.5 is an exemplary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mbedded image of a numerical map is corrected using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작업자는 입출력수단(121)에 출력된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바탕으로 이미지를 추가로 삽입하는 것이므로 정밀한 도화에 한계가 있고,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을 배제할 수 없다. Since the operator additionally inserts an image based on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121, there is a limit to precise drawing, and interference with the existing drawing image cannot be excluded.

즉, 도 5(a)에서 보인 바와 같이, 삽입이미지(A2, B2) 중 일부는 기존 도화이미지의 선(L1, L2)들과 간섭되면서 수치지도의 완성도를 저하시킬 수 있는 것이다.That is, as shown in FIG. 5( a ), some of the inserted images A2 and B2 may interfere with the lines L1 and L2 of the existing drawing image, thereby degrading the completeness of the numerical map.

물론, 기존 도화이미지와 삽입이미지(A2, B2)가 서로 간섭된 상태의 수치지도를 그대로 활용할 수도 있을 것이나, 이 경우 문제가 된 삽입이미지(A2)는 실제 대상 구조물과 그 형상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해당 수치지도의 실사용자는 수치지도 이용에 곤란을 느낄 수밖에 없다.Of course, it is possible to use the numerical map in which the existing drawing image and the embedded image (A2, B2) interfere with each other as it is, but in this case, the problematic embedded image (A2) is different from the actual target structure and its shape. The actual user of the numerical map is bou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using the numerical map.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수치지도 업데이트시스템에 구성된 수치지도제작장치(100)는 삽입이미지(A2, B2)에 대한 보정을 진행하는 보정모듈(115)을 더 포함한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numerical map production apparatus 100 configured in the numerical map updat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rrection module 115 for correcting the inserted images A2 and B2.

상기 보정모듈(115)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내에서 작업자가 삽입한 삽입이미지(A2, B2)를 검색하고, 삽입이미지(A2, B2) 중 기존 수치지도 내 기존 선(L1, L2)들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 B2)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The correction module 115 searches for the inserted images (A2, B2) inserted by the operator in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and the existing lines (L1, L2) in the existing numerical map among the inserted images (A2, B2) Check whether there is an inserted image (A2, B2) that intersects with

상기 보정모듈(115)은 기존 선(L1, L2)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를 검색하고, 기존 선(L1, L2)과 교차하는 삽입이미지(A2)의 신규 변(T1, T2)을 확인한다.The correction module 115 searches for the inserted image A2 that intersects the existing lines L1 and L2, and sets the new sides T1 and T2 of the inserted image A2 that intersects the existing lines L1 and L2. Check it.

계속해서,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가 위치하는 본 영역을 확인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삽입이미지(A2)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없이 제대로 삽입된다면 본 영역 내에 위치될 것이나, 기존 도화이미지와 간섭이 발생한다면 삽입이미지(A2)는 이웃하는 영역을 침범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correction module 115 confirms this region where the inserted image A2 is located. As mentioned above, if the inserted image A2 is properly inserted without interference with the existing drawing image, it will be located within this area. However, if interference with the existing drawing image occurs, the inserted image A2 will invade the neighboring area. .

그런데, 작업자는 기존 도화이미지와 간섭이 발생하더라도 본 영역 내에 삽입이미지(A2)를 주로 삽입할 것이므로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의 점유 면적을 확인해서 상대적으로 넓게 차지하는 부분을 본 영역으로 간주한다.However, since the operator will mainly insert the inserted image A2 in the present area even if interference with the existing drawing image occurs, the correction module 115 checks the area occupied by the inserted image A2 to determine a relatively wide area. be considered as

상기 보정모듈(115)은 삽입이미지(A2)의 본 영역을 확인하고, 신규 변(T1, T2)의 꼭지점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보정모듈(115)이 신규 변(T1, T2) 중 첫 번째 신규 변(T1)의 꼭지점(P)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함을 확인하였다.The correction module 115 checks the main area of the inserted image A2 and checks whether the vertices of the new sides T1 and T2 are located within the main area. In this embodiment, the correction module 115 confirmed that the vertex P of the first new side T1 among the new sides T1 and T2 is located in the present region.

상기 보정모듈(115)은, 본 영역에 꼭지점(P)이 위치한 신규 변(T1)이 교차된 기존 선(L1)과 나란하도록 꼭지점(P)을 시작으로 본 영역 내에 도시해서 보정 변(T1')으로 수정한다.The correction module 115 shows the correction side T1' in this region starting with the vertex P so that the new side T1, on which the vertex P is located, is parallel to the crossed existing line L1. ) to be corrected.

한편, 이웃하는 영역에 꼭지점이 위치한 신규 변(T2)은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C)에서 해당 기존 선(L2)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AX)과 일치하도록 도시해서 보정 변(T2')으로 최종 수정한다.On the other hand, the new side T2, where the vertex is located in the neighboring area, is shown to coincide with the extension line AX of the line parallel to the corresponding existing line L2 in the neighboring structure image C, and is finally corrected as the correction side T2'. do.

결국, 삽입이미지(A2)는 보정변(T1', T2')를 갖는 보정이미지(A3)로 보정되면서 보다 정밀하고 신뢰할 수 있는 수치지도로 업데이트되고, 이를 통해 수치지도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보다 높은 신뢰도로 수치지도를 활용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inserted image A2 is updated with a more precise and reliable numerical map while being corrected with the corrected image A3 having correction sides T1' and T2', and through this, the user using the numerical map has higher reliability. This allows the use of numerical maps.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지상측정기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6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ground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은 상기 보정모듈(115)을 이용하여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 내에서 작업자가 삽입한 삽입이미지를 보정이미지로 신속하게 보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quickly correct the inserted image inserted by the operator into the corrected image in the numerical map of the drawing image type by using the correction module 115 .

그러나 새로 건축된 구조물이 그 지역의 랜드마크로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거나, 통상적인 직사각 형태 등을 취하지 않고 다른 형태를 취하거나, 또는 추가적인 확인이 필요한 구조물일 경우, 이러한 보정모듈(115)을 이용한 보정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However, if the newly built structure is a very important structure as a landmark of the area, takes a different shape without taking a conventional rectangular shape, or a structure that requires additional confirmation, correction using the correction module 115 alone may not be sufficient. can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지상측정기(300)를 이용하여 새로운 삽입이미지가 삽입되는 지점을 직접 측정할 수 있으므로 지형정보 및 수치정보 등을 현장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여 해당 수치지도에 적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is possible to directly measure the point at which a new inserted image is inserted using the ground measuring device 300 , there is an advantage that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can be accurately checked in the field and applied to the corresponding numerical map.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지상측정기(300)는 하부에 바퀴(311)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기초대(310), 기초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탈착부(400), 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감쇠부(500), 감쇠부의 삽입공간(511)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600),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승강부(700) 및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상카메라(32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ground measuring instrument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base 310 that is movable with wheels 311 mounted on the lower part, a detachable part 400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ase, and a detachable part that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etachable part. It includes a damping unit 500, a fluid buffer unit 6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11 of the damping unit, a lifting unit 700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fluid buffer unit, and a ground camera 32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unit. .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상기 지상측정기(300)에는 수치지도제작장치(100)와 무선통신하는 무선통신부 및 GPS 좌표정보를 확인하는 GPS수신기가 설치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와 GPS수신기를 이용해 지상측정기(300)는 삽입이미지가 삽입되는 지점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the ground measuring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f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e numerical map making device 100 and a GPS receiver for checking GPS coordinate information. Using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and the GPS receiver, the ground measuring instrument 300 can accurately find the point where the inserted image is inserted.

상기 지상카메라(320)는 주변 지형을 촬영할 때에는 승강부(700)에 의해 상승되어 간섭체를 피하면서 정확한 촬영을 할 수 있고, 촬영이 이루어지지 않을 때에는 하강하여 안전하고 쉽게 관리할 수 있다.The ground camera 320 is raised by the lifting unit 700 to take pictures of the surrounding terrain while avoiding interference, and can be safely and easily managed by descending when shooting is not performed.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부의 모습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탈착베이스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of a detachable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detachable b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탈착부(400)는 기초대(310)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411)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410),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커버(420)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4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etachable part 400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base 310 and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able base 410 and the detachable base in which the detachable space 411 is formed. It can be seated in the detachable cover 420 and the detachable space, and includes a detachable body 430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base.

상기 탈착베이스(410)는 전체적으로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내부에 탈착본체(43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탈착공간(411)이 형성된다. 탈착공간(411)은 전후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진다.The detachable base 410 is generally formed in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and a detachable space 411 is formed so that the detachable body 430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detachable space 411 has a cross section of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탈착공간(411)의 좌우 양측에는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홈(412)이 함몰된다. 이러한 가이드홈(412)을 따라 탈착본체(430)는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다.A pair of guide grooves 412 are recessed i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tachable space 41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 and rear directions). The detachable body 430 is movable forward and backward along the guide groove 412 .

상기 탈착공간(411)의 후단에는 연장홈(413)이 후방을 향해 함몰 형성된다. 상기 탈착공간(411)의 상단 후방에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가 탈착공간(411)의 내측 방향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즉, 탈착공간(411)을 상부에서 바라보았을 때, 탈착공간(411)은 상대적으로 넓은 폭을 가지며 탈착커버(420)가 회동되는 전방부와 상대적으로 좁은 폭을 가지며 이탈방지부(414)가 돌출되는 후방부로 구분될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an extension groove 413 is formed to be depresse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414 ar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inner side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That is, when the detachable space 411 is viewed from the top, the detachable space 411 has a relatively wide width, has a relatively narrow width with the front part on which the detachable cover 420 is rotated, and the detachment prevention part 414 has a relatively wide width. It can be divided into a protruding rear part.

한 쌍의 가이드홈(412)의 후단에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415)이 함몰 형성된다. 또한, 탈착공간(411)의 상단 중앙 부분에는 한 쌍의 커버고정홈(416)이 함몰 형성된다. 상기 커버고정홈(416)은 탈착커버(4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된 커버고정부(421)가 삽입되며, 이에 따라 탈착커버(420)가 탈착공간(411)의 상단을 폐쇄하며 고정될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412,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grooves 415 are recessed. In addition, a pair of cover fixing grooves 416 are recessed in the upper central portion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The cover fixing groove 416 has a cover fixing part 421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removable cover 420 is inserted, and thus the removable cover 420 closes the upper end of the removable space 411 and can be fixed. .

상기 탈착본체(430)는 탈착베이스(410)의 탈착공간(411)에 삽입될 수 있는 크기를 가지며, 탈착공간(411) 내부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가능하다. 탈착본체(430)의 좌우 양측에는 길이방향(전후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부(431)가 돌출 형성된다. 이러한 가이드부(431)는 가이드홈(412)에 삽입되어 전후로 활주할 수 있다.The detachable body 430 has a size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etachable space 411 of the detachable base 410 and is slidable back and forth in the detachable space 411 . A pair of guide parts 431 are formed to protrud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nt-back direction)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etachable body 430 . The guide part 431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to slide back and forth.

상기 탈착본체(430)의 후단에는 탈착연장부(432)가 후방을 향해 돌출 형성된다. 탈착연장부(432)는 연장홈(413)에 삽입될 수 있다. 탈착연장부(432)가 연장홈(413)에 삽입됨에 따라 탈착본체(430)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At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body 430, a detachable extension portion 432 is formed to protrude rearward. The detachable extension portion 432 may be inser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413 . As the detachable extension portion 432 is inserted into the extension groove 413 , the detachable body 43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탈착본체(430)의 상부면에는 직육면체 형태로 돌출스토퍼(433)가 돌출 형성된다. 돌출스토퍼(433)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고, 이탈방지부(414)의 길이와 동일한 길이를 가진다. 즉, 돌출스토퍼(433)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414) 사이의 공간에 딱 들어맞는 형태로 형성되며, 이에 따라 탈착커버(420)가 탈착공간(411)의 상단을 폐쇄하였을 때 탈착본체(430)가 전후좌우로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다.On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body 430, a protruding stopper 433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is formed to protrude. The protrusion stopper 433 has a width equal to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s 414 and has a length equal to the length of the separation prevention portion 414 . That is, the protrusion stopper 433 is formed in a shape that fits perfectly in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414 , and accordingly, the detachable cover 420 closes the uppe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the detachable body The 430 may be fixed without moving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상기 한 쌍의 가이드부(431)의 후단에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가 돌출 형성된다.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는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탈착본체(430)의 전후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parts 434 ar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rear end of the pair of guide parts 431 . The pair of position regulating parts 434 may be inserted into the position regulating groove 415 , and accordingly, the front and rear movement of the detachable body 430 is limited.

사용자가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에 삽입한 상태에서 가이드홈(412)의 후단까지 슬라이딩 이동시키면, 위치규제부(434)가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되는 절도감(딸깍이는 느낌)을 통해 탈착본체(430)의 이동 완료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전후방향 이동을 어느정도 보조적으로 제한할 수 있다.When the user slides the detachable body 430 into the detachable space 411 to the rear end of the guide groove 412, the position regulating part 434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regulating groove 415. It is possible to clearly recognize the completion of the movement of the detachable body 430 through the feeling), and at the same time, it is possible to partially restrict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상기 탈착본체(430)의 조립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사용자는 탈착커버(420)가 오픈된 상태에서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로 삽입시킨다. 그 다음 한 쌍의 가이드부(431)가 가이드홈(412)에 삽입된 상태에서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후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다.Looking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detachable body 430 , first, the user inserts the detachable body 430 into the front part of the detachable space 411 with the detachable cover 420 open. Then, in a state in which the pair of guide parts 431 ar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412 , the detachable body 430 is slidably moved to the rear part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후방부로 완전히 이동시켜 한 쌍의 위치규제부(434)가 위치규제홈(415)에 삽입되고 탈착연장부(432)가 연장홈(413)에 삽입되면, 탈착커버(420)를 닫아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를 폐쇄시킨다. 이에 따라 탈착본체(430)는 탈착베이스(410) 내부에 안착되어 전후좌우 및 상하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고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The detachable body 430 is completely moved to the rear of the detachable space 411 so that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parts 434 is inserted into the position regulating groove 415 , and the detachable extension 432 is inserted into the extended groove 413 . When done, close the detachable cover 420 to close the front portion of the detachable space (411). Accordingly, the detachable body 430 is seated inside the detachable base 410 to limit movement in the front, back, left, right, and up and down directions and can be firmly fixed.

반대로, 탈착본체(430)를 탈착베이스(410)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때에는 탈착커버(420)를 열어 탈착공간(411)의 전방부가 오픈되도록 하고, 탈착본체(430)를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로 슬라이딩 이동시킨 다음, 탈착공간(411)의 전방부를 통해 분리하면 된다.Conversely, when you want to separate the detachable body 430 from the detachable base 410, open the detachable cover 420 so that the front part of the detachable space 411 is opened, and the detachable body 430 is removed from the front of the detachable space 411. After sliding to the part, it can be separated through the front part of the detachable space 411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탈착베이스(410), 탈착본체(430) 및 탈착커버(420)로 이루어진 간단한 구성만으로 탈착본체(430)가 탈착베이스(410)에 고정되거나 탈착베이스(410)로부터 분리될 수 있으므로 날씨, 시간 등을 고려하여 지상카메라(320)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기초대(310)로부터 지상카메라(320)를 자유롭게 분리 보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As such,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chable body 430 is fixed to the detachable base 410 or separated from the detachable base 410 only with a simple configuration consisting of a detachable base 410, a detachable body 430, and a detachable cover 420.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ground camera 320 can be freely separated and stored from the base 310 when the ground camera 320 is not used in consideration of the weather and time.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전체적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감쇠부의 종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9 is a view showing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view showing a longitudinal section of the damp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쇠부(500)는, 중앙에 삽입공간(51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감쇠케이스(510),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횡방향으로 천공된 다수의 감쇠홀(512), 다수의 감쇠홀에 각각 선택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감쇠탄성부(520) 및 감쇠케이스의 측면에 결합되어 감쇠탄성부가 감쇠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감쇠잠금부(53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damping unit 500 includes a cylindrical damping case 510 having an insertion space 511 formed in the center, a plurality of damping holes 512 transversely perforated on the side of the damping case, a plurality of It includes a damping elastic part 520 that can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each of the damping holes, and a damping locking part 530 coupled to the side of the damping case to prevent the damping elastic part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damping hole.

또한, 상기 감쇠케이스(510)의 내부 상단에는 횡방향으로 레일(513)이 설치되고, 이러한 레일(513)에는 다수의 탄성링(514)이 활주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다수의 탄성링(514)은 탄성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가해지는 충격에 따라 오므라들거나 펼쳐질 수 있다.In addition, a rail 513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inner upper end of the damping case 51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elastic rings 514 are slidably coupled to the rail 513 . The plurality of elastic rings 514 are made of an elastic material, and may be retracted or unfolded according to an applied impact.

다수의 탄성링(514)은 삽입공간(511)에 삽입된 유체완충부(600)가 전후좌우로 강하게 흔들릴 때 레일(513)을 따라 활주하며 서로 부딪혀서 유체완충부(600)에 가해지는 외부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elastic rings 514 slide along the rail 513 when the fluid buffer unit 600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11 is strongly shaken back and forth, left and right, and collide with each other to external impact applied to the fluid buffer unit 600 . plays a role in alleviating

다수의 감쇠홀(512)은 4개의 감쇠홀이 한 세트를 이루어 감쇠케이스(510)의 전후좌우 4방향에 형성된다. 한 세트를 이루는 4개의 감쇠홀(512)은 상하로 적층되어 있으며, 이러한 감쇠홀(512)을 가릴 수 있도록 감쇠잠금부(530)가 종방향으로 결합된다. 감쇠잠금부(530)는 통상적인 볼트 등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damping holes 512 are formed in four directions in front, rear, left, right and left of the damping case 510 to form a set of four damping holes. The four damping holes 512 constituting a set are stacked up and down, and the damping lock 530 is coupl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cover these damping holes 512 . The damping lock 530 may be coupled with a conventional bolt or the like.

상기 감쇠탄성부(520)는, 감쇠홀(512) 내부로 삽입될 수 있는 막대 형태의 감쇠삽입부(521), 일단이 감쇠삽입부에 결합되며 탄성을 가지는 감쇠스프링(522) 및 감쇠스프링의 타단에 결합되는 감쇠커버(523)를 포함한다.The damping elastic part 520 is a damping insertion part 521 in the form of a rod that can be inserted into the damping hole 512, one end of which is coupled to the damping insert part, and a damping spring 522 having elasticity and a damping spring. It includes a damping cover 523 coupled to the other end.

감쇠탄성부(520)는 선택적으로 감쇠홀(512)에 삽입되거나 감쇠홀(512)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16개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감쇠부(500)의 전체적인 완충력이 조절될 수 있다.The damping elastic part 520 may be selectively inserted into the damping hole 512 or separated from the damping hole 512 . That is, the user can insert the damping elastic part 520 only in the desired damping hole among the 16 damping holes 512, and thus the overall buffering force of the damping part 500 can be adjusted.

상기 감쇠삽입부(521)는 금속 등 자성체로 이루어지고, 감쇠홀(512)의 내부 끝단에는 영구자석(515)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감쇠탄성부(520)를 감쇠홀(512)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삽입부(521)는 자연스럽게 감쇠홀(512)의 내부 끝단에 위치할 수 있다.The damping insertion part 521 is made of a magnetic material such as metal, and since a permanent magnet 515 is coupled to the inner end of the damping hole 512, the damping elastic part 520 is attenuated when the damping hole 512 is inserted. The insertion part 521 may be naturally located at the inner end of the damping hole 512 .

상기 감쇠커버(523)는 감쇠홀(512)의 크기와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고, 감쇠케이스(510)에 종방향으로 결합된 감쇠잠금부(530)가 감쇠커버(523)를 가로막음에 따라 감쇠탄성부(520)가 감쇠홀(512)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The damping cover 523 is formed to have the same size as the size of the damping hole 512, and the damping lock unit 530 coupled to the damping case 5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locks the damping cover 523. The elastic part 520 does not separate from the damping hole 512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후술되는 유체완충부(600)를 삽입공간(511)에 삽입하였을 때 감쇠부(500)가 유체완충부(600)를 전후좌우에서 감싸므로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으로부터 유체완충부(600) 및 그 상부에 결합된 지상카메라(320)를 보호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fluid buffer uni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11, the damping unit 500 surrounds the fluid buffer unit 600 from front to back, left and right, so that the fluid is buffered from external shocks or vibrations. It is possible to protect the unit 600 and the ground camera 320 coupled thereto.

또한, 본 발명은 주변의 상황이나 각 부품의 중량 등을 고려하여 다수의 감쇠홀(512) 중 원하는 감쇠홀에만 감쇠탄성부(520)를 삽입할 수 있으므로 상황에 맞추어 사용자가 자유롭게 완충력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insert the damping elastic part 520 only into the desired damping hole among the plurality of damping holes 512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circumstances or the weight of each part, the user can freely adjust the buffering force according to the situ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도 1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체완충부의 각 구성이 분해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11 is a view showing an exploded state of each component of the fluid buff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완충부(600)는 감쇠부(500)의 삽입공간(511)에 삽입되며,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회전부(640), 유체하판(650), 유체수용부(660) 및 유체연결부(670)를 포함한다.As shown, the fluid buffer unit 6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511 of the damping unit 500, the fluid supply unit 610, the fluid upper plate 620,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the fluid It includes a rotating part 640 , a fluid lower plate 650 , a fluid receiving part 660 and a fluid connection part 670 .

상기 유체공급부(610)는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하부면에 유체를 공급할 수 있도록 유체공급홀(611)이 천공된다.The fluid supply unit 610 is formed in an empty cylindrical shape so that a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nd a fluid supply hole 611 is perforated to supply a fluid to the lower surface.

상기 유체공급부(610)의 상부면은 고무 등 탄성력이 있는 소재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가 상하로 흔들리면 내부의 유체가 압력에 의해 유체공급홀(611)로부터 빠져나오게 된다.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supply unit 61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elastic force, such as rubber, and accordingly, when the lifting unit 700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uid supply unit 610 shakes up and down, the fluid inside is supplied with the fluid by pressure. It comes out of the hole (611).

상기 유체상판(620)은 유체공급부(61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62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상판(62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판관통홀(621)은 유체공급홀(61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The fluid upper plate 620 is disposed under the fluid supply unit 610, and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is perforated up and down on one side. The fluid upper plate 620 is formed in a disk shape, and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luid supply hole 611 .

상기 유체회전판(630)은 유체상판(62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63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회전판(630)의 중앙 부분에는 중공(633)이 형성되어 유체회전판은 전체적으로 링 형태로 형성된다.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disposed under the fluid upper plate 620, and a rotating through hole 631 is perforated up and down on one side. A hollow 633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so that the fluid rotating plate is formed in a ring shape as a whole.

상기 유체회전판(630)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63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632)이 함몰 형성된다. 유체회전판(630)은 회전 가능하므로 상판관통홀(621)로부터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바로 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회전연통홈(632)을 통해 회전관통홀(63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A ring-shaped rotary communication groove 632 communicating with the rotary through hole 631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rotary plate 630 . Since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rotatable,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upper plate through-hole 621 to the lower side is directly transmitted downward through the rotating through-hole 631, or through the rotating through-hole 631 through the rotating communication groove 632. ) and then down.

상기 유체하판(650)은 유체회전판(630)의 하부에 배치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651)이 상하로 천공된다. 유체하판(650)은 원판 형태로 형성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651)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652)이 함몰 형성된다.The fluid lower plate 650 is disposed under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and a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is perforated up and down on one side. The lower fluid plate 650 is formed in the form of a disk, and a ring-shaped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652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lower plate 650 .

유체회전판(630)이 회전 가능하므로 회전관통홀(631)을 통해 하부로 전달된 유체는 하판관통홀(651)을 통해 바로 아래로 전달되거나, 또는 하판연통홈(652)을 통해 하판관통홀(651)로 전달된 후 아래로 전달될 수 있다.Since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rotatable, the fluid transferred to the lower part through the rotating through-hole 631 is transferred directly down through the lower plate through-hole 651, or through the lower plate through-hole ( 651) and then down.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판(630)의 중공(633) 내부에 배치되며, 유체하판(650)의 상면에 결합되어 유체회전판(630)을 회전시킨다. 상기 유체회전부(640)는 유체회전모터(641) 및 유체회전기어(642)로 구성되는데, 유체회전기어(642)의 직경은 중공(633)의 내경과 동일하게 형성된다.The fluid rotating unit 640 is disposed inside the hollow 633 of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lower plate 650 to rotate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 The fluid rotating part 640 is composed of a fluid rotating motor 641 and a fluid rotating gear 642 , and the diameter of the fluid rotating gear 642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low 633 .

상기 유체회전모터(641)는 지상측정기(300)의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으며, 유체회전모터(641)가 작동함에 따라 유체회전기어(642)가 회전하여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를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The fluid rotation motor 641 may be operated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of the ground measuring instrument 300 , and as the fluid rotation motor 641 operates, the fluid rotation gear 642 rotates and the fluid The rotating plate 630 may rotate based on the fluid rotating unit 640 .

상기 유체수용부(660)는 유체하판(650)의 하부에 배치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유체수용부(660)의 상부면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유체수용홀(661)이 천공된다.The fluid accommodating part 660 is disposed under the fluid lower plate 650 and has a hollow cylindrical shape so that a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 fluid accommodating hole 661 is perforated to accommodate the flui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accommodating part 660 .

상기 유체연결부(670)는 유체수용부(660)와 유체공급부(610) 사이를 연결한다. 즉,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되어 아래로 전달된 유체는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되어 있다가,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다시 유체공급부(610)로 전달될 수 있다.The fluid connection part 670 connects between the fluid receiving part 660 and the fluid supply part 610 . That is,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610 and transferred downward may be accommodated in the fluid receiving unit 660 and then transferred back to the fluid supply unit 610 through the fluid connection unit 670 .

상기 유체연결부(670)의 중앙 부분에는 일방향밸브(671)가 결합된다. 상기 일방향밸브(671)는 유체공급부(610)의 상부에 결합된 승강부(700) 및 지상카메라(320)가 외부의 충격에 의해 흔들려서 유체공급부(610) 내부의 유체 압력이 높아지고 유체가 아래로 전달될 때, 유체연결부(670)를 통해 전달되지 않고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및 유체하판(650)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A one-way valve 671 is coupled to the central portion of the fluid connection part 670 . In the one-way valve 671, the lifting unit 700 and the ground camera 320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supply unit 610 are shaken by an external impact, so that the fluid pressure inside the fluid supply unit 610 increases and the fluid moves downward. When transmitted, it is not transmitted through the fluid connection unit 670 bu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luid upper plate 620 ,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and the fluid lower plate 650 .

다시 말하면, 도면에 점선으로 도시된 것처럼 유체는 유체공급부(610), 유체상판(620), 유체회전판(630), 유체하판(650) 및 유체수용부(660)를 통해 위에서 아래로 전달된다.In other words, the fluid is transferred from top to bottom through the fluid supply unit 610 , the fluid upper plate 620 ,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 the fluid lower plate 650 and the fluid receiving part 660 as shown by dotted lines in the drawi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회전판(630)이 유체회전부(640)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므로 유체공급부(610)로부터 유체수용부(660)로 전달되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상황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can be rotated by the fluid rotating unit 640,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transferred from the fluid supplying unit 610 to the fluid receiving unit 660 may vary depending on the situation. .

즉, 도면에서 예시로 도시한 것과 같이,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180도를 이루도록 회전(최장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연통홈(632), 회전관통홀(631), 하판연통홈(652)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된다.That is, as shown by way of example in the drawing, the rotation through hole 631 of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rotated (longest distance) to form 180 degrees wit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The fluid supplied from the fluid supply unit 6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 the rotary communication groove 632 , the rotation through hole 631 , the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652 ,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 It is accommodated in the accommodating part 660 .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도를 이루도록 동일축상에 배치(최단거리)되었을 때, 유체공급부(610)로부터 공급된 유체는 상판관통홀(621), 회전관통홀(631) 및 하판관통홀(651)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660)에 수용된다.Although not shown, when the rotation through hole 631 of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disposed on the same axis (shortest distance) to form 0 degrees wit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the fluid supply unit ( The fluid supplied from the 610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 the rotary through hole 631 ,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and is received in the fluid receiving part 660 .

만약, 유체회전판(630)의 회전관통홀(631)이 상판관통홀(621) 및 하판관통홀(651)과 0도 초과 180도 미만을 이루도록 회전(중간거리)된다면, 유체의 이동 거리 역시 이에 맞추어 가변된다.If the rotation through hole 631 of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is rotated (intermediate distance) to form an upper plate through hole 621 and a lower plate through hole 651 and more than 0 degrees and less than 180 degrees,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is also in this changed according to

외부의 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가해지는 주파수는 유체의 이동 거리에 반비례하는 관계에 있다. 즉, 고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짧게 설정하여야 하고, 저주파수의 진동을 제어하기 위해서는 유체의 이동 거리를 길게 설정하여야 한다.The frequency applied by external shock or vibration is in inverse proportion to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That is, in order to control the high-frequency vibra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must be set short, and in order to control the low-frequency vibration,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must be set long.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회전판(630)을 회전시켜 유체의 이동 거리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주변의 환경이나 가해지는 진동 등을 고려하여 최상의 완충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the best cushioning effect in consideration of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applied vibration, since the moving distance of the fluid can be varied by rotating the fluid rotating plate 630 .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승강부의 단면 모습을 도시한 도면.12 is a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ft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승강부(700)는 승강케이스(710), 승강로드(720), 상하이동판(730), 상부스토퍼(721), 하부스토퍼(722), 상부탄성부(740), 하부탄성부(741), 로드관통홀(750) 및 유압펌프(7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the lifting unit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ifting case 710 , a lifting rod 720 , a vertical moving plate 730 , an upper stopper 721 , a lower stopper 722 , and an upper elastic part 740 . ), a lower elastic part 741 , a rod through hole 750 and a hydraulic pump 760 .

상기 승강케이스(710)는 유체완충부(600)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승강케이스(710)는 내부가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유체가 수용되어 있다.The lifting case 710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buffer unit 600 and a space is formed so that the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The elevating case 7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empty interior, and a fluid is accommodated therein.

상기 승강로드(720)는 하단이 승강케이스(710)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하다. 승강로드(720)는 내부가 찬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승강로드(720)의 상단에는 지상카메라(320)가 결합된다.The lower end of the elevating rod 720 is disposed inside the elevating case 710 and can elevate up and down. The elevating rod 72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 full interior, and a ground camera 320 is coupled to the upper end of the elevating rod 720 .

상기 상하이동판(730)은 승강로드(720)에 삽입되어 승강로드(720)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710)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상하이동판(730)의 내측면 직경은 승강로드(720)의 외측면 직경과 동일하고, 상하이동판(730)의 외측면 직경은 승강케이스(710)의 내측면 직경과 동일하다.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inserted into the elevating rod 720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elevating rod 72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elevating case 710 and is formed in a ring shape movable up and down. The inner diameter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the same as the outer diameter of the lifting rod 720, the outer diameter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the same as the inner diameter of the lifting case (710).

상기 상부스토퍼(721)는 승강로드(7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된다. 상기 하부스토퍼(722)는 승강로드(720)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된다. 즉, 상부스토퍼(721)와 하부스토퍼(722) 사이에 상하이동판(730)이 상하로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The upper stopper 721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720 and is disposed above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as a reference. The lower stopper 722 is formed to protrude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720 and is disposed below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based on the lower stopper 722 . That is, between the upper stopper 721 and the lower stopper 722, the vertical movement plate 730 is coup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상기 상부탄성부(740)는 상부스토퍼(721)의 하면과 상하이동판(730)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부탄성부(741)는 하부스토퍼(722)의 상면과 상하이동판(730)의 하면 사이에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상하이동판(730)은 상부탄성부(740)와 하부탄성부(741)의 탄성력에 의해 상부스토퍼(721) 및 하부스토퍼(722)로부터 일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있다.The upper elastic part 740 is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opper 721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 and the lower elastic part 741 is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opper 722 and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 It is placed between As show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normally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opper 721 and the lower stopper 7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elastic force of the upper elastic part 740 and the lower elastic part 741 .

상기 로드관통홀(750)은 승강로드(720)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로드관통홀(750)은, 승강로드(72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72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751), 승강로드(720)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722)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751)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752) 및 승강로드(720)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751)와 제2횡관통홀(752)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753)을 포함한다.The rod through hole 750 passes through the inside of the lifting rod 720 to allow the fluid to pass therethrough. The rod through hole 750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rod 720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transverse through hole 751 and the elevating rod 720 disposed under the upper stopper 721 in the transverse direction.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752 and the lifting rod 720 disposed above the lower stopper 722 and disposed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751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passing through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It includes a vertical through-hole 753 connecting between the 751 and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752 .

다시 말하면, 평상시 상부스토퍼(721)와 상하이동판(7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1횡관통홀(751)이 배치되고, 하부스토퍼(722)와 상하이동판(730)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제2횡관통홀(752)이 배치되므로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는 위아래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751 is usually disposed in a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upper stopper 721 and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and in the space spaced apart between the lower stopper 722 and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Since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 hole 752 is disposed, the fluid inside the elevating case 710 can freely move up and down.

한편, 상기 유압펌프(760)는 승강케이스(710)의 일측에 형성된 상부주입구(711) 및 하부주입구(712)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다. 상기 유압펌프(760)는 제어유닛(미도시)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작동할 수 있다.Meanwhile, the hydraulic pump 760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inlet 711 and the lower inlet 712 formed on one side of the elevating case 710 to apply pressure to the fluid inside the elevating case 710 . The hydraulic pump 76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like to operate.

상기 하부주입구(712)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이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하이동판(730)은 상부탄성부(740)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상부로 이동하여 제1횡관통홀(751)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판(730)이 더 상부로 이동하면, 상하이동판(730)의 상부면은 상부스토퍼(721)의 하부면에 접촉되고, 승강로드(720)는 전체적으로 상승하게 된다.When the fluid pressure in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case 710 is higher than the fluid pressure in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case 710 based o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through the lower inlet 712,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formed by the upper elastic part 740. ) overcomes the elastic force and moves upward to close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751. In this state, whe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moves further up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opper 721 , and the lifting rod 720 as a whole rises.

반대로, 상기 상부주입구(711)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이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보다 높아지면, 상하이동판(730)은 하부탄성부(741)의 탄성력을 이겨내며 하부로 이동하여 제2횡관통홀(752)을 폐쇄한다. 이 상태에서 상하이동판(730)이 더 하부로 이동하면, 상하이동판(730)의 하부면은 하부스토퍼(722)의 상부면에 접촉되고, 승강로드(720)는 전체적으로 하강하게 된다.Conversely, when the fluid pressure of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case 710 is higher than the fluid pressure of the lower part of the lifting case 710 based o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through the upper inlet 711,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the lower elastic part. Overcoming the elastic force of 741, it moves downward to close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752. In this state, whe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moves further lower,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opper 722 , and the lifting rod 720 is lowered as a whole.

승강로드(720)의 높낮이가 결정되면, 유압펌프(760)는 상부주입구(711)와 하부주입구(712)를 통해 상하이동판(730)을 기준으로 승강케이스(710) 상부의 유체 압력과 승강케이스(710) 하부의 유체 압력이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고, 상하이동판(730)은 상부스토퍼(721)와 하부스토퍼(722) 사이에 일정 거리 이격하여 위치하게 된다.When the height of the lifting rod 720 is determined, the hydraulic pump 760 uses the upper and lower inlet 711 and the lower inlet 712 based on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through the lifting case 710 and the upper fluid pressure and the lifting case. The fluid pressur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710 is kept the same, and the vertical moving plate 730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stopper 721 and the lower stopper 722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이때, 상기 제1횡관통홀(751) 및 제2횡관통홀(752)은 모두 오픈되어 있으므로 승강케이스(710) 내부의 유체는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며, 유체의 이동에 의해 어느 정도 완충효과도 얻을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751 and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752 are both open, the fluid inside the elevating case 710 can move freely, and a buffer effect can be obtained to some extent by the movement of the fluid. can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it is common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at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clear to those who have

100 : 수치지도제작장치 110 : 연산수단 111 : 처리모듈
112 : 연동모듈 113 : 수치모듈 114 : 편집모듈
115 : 보정모듈 121 : 입출력수단 122 : 보조출력수단
200 : 저장장치 210 : 촬영이미지DB 220 : 수치지도DB
300 : 지상측정기 310 : 기초대 311 : 바퀴
320 : 지상카메라 400 : 탈착부 410 : 탈착베이스
411 : 탈착공간 412 : 가이드홈 413 : 연장홈
414 : 이탈방지부 415 : 위치규제홈 416 : 커버고정홈
420 : 탈착커버 421 : 커버고정부 430 : 탈착본체
431 : 가이드부 432 : 탈착연장부 433 : 돌출스토퍼
434 : 위치규제부 500 : 감쇠부 510 : 감쇠케이스
511 : 삽입공간 512 : 감쇠홀 513 : 레일
514 : 탄성링 515 : 영구자석 520 : 감쇠탄성부
521 : 감쇠삽입부 522 : 감쇠스프링 523 : 감쇠커버
530 : 감쇠잠금부 600 : 유체완충부 610 : 유체공급부
611 : 유체공급홀 620 : 유체상판 621 : 상판관통홀
630 : 유체회전판 631 : 회전관통홀 632 : 회전연통홈
633 : 중공 640 : 유체회전부 641 : 유체회전모터
642 : 유체회전기어 650 : 유체하판 651 : 하판관통홀
652 : 하판연통홈 660 : 유체수용부 661 : 유체수용홀
670 : 유체연결부 671 : 일방향밸브 700 : 승강부
710 : 승강케이스 711 : 상부주입구 712 : 하부주입구
720 : 승강로드 721 : 상부스토퍼 722 : 하부스토퍼
730 : 상하이동판 740 : 상부탄성부 741 : 하부탄성부
750 : 로드관통홀 751 : 제1횡관통홀 752 : 제2횡관통홀
753 : 종관통홀 760 : 유압펌프
100: numerical map making device 110: calculation means 111: processing module
112: interlocking module 113: numerical module 114: editing module
115: correction module 121: input/output means 122: auxiliary output means
200: storage device 210: photographed image DB 220: numerical map DB
300: ground measuring instrument 310: base 311: wheel
320: ground camera 400: detachable part 410: detachable base
411: detachable space 412: guide groove 413: extension groove
414: separation prevention part 415: position regulation groove 416: cover fixing groove
420: removable cover 421: cover fixing part 430: removable body
431: guide part 432: detachable extension part 433: protrusion stopper
434: position regulation unit 500: attenuation unit 510: attenuation case
511: insertion space 512: damping hole 513: rail
514: elastic ring 515: permanent magnet 520: damping elastic part
521: damping insert 522: damping spring 523: damping cover
530: damping lock 600: fluid buffer 610: fluid supply
611: fluid supply hole 620: fluid upper plate 621: upper plate through hole
630: fluid rotation plate 631: rotation through hole 632: rotation communication groove
633: hollow 640: fluid rotating part 641: fluid rotating motor
642: fluid rotation gear 650: fluid lower plate 651: lower plate through hole
652: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660: fluid receiving part 661: fluid receiving hole
670: fluid connection part 671: one-way valve 700: elevating part
710: elevating case 711: upper inlet 712: lower inlet
720: lifting rod 721: upper stopper 722: lower stopper
730: vertical copper plate 740: upper elastic part 741: lower elastic part
750: rod through hole 751: first transverse through hole 752: second transverse through hole
753: vertical through hole 760: hydraulic pump

Claims (1)

항공촬영이미지를 기초로 도화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기초로 수치지도를 제작 및 갱신하는 수치지도제작장치; 항공촬영이미지 및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저장장치; 및 새로운 삽입이미지가 삽입되는 지점에 설치되어 지형정보를 획득하는 지상측정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장치는,
항공촬영이미지를 저장하는 촬영이미지DB; 및 항공촬영이미지를 편집 처리하거나 도화 처리한 후 지형정보와 수치정보를 적용해서 완성한 촬영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와 도화이미지 타입의 수치지도를 각각 저장하는 수치지도DB; 를 포함하고,
상기 수치지도제작장치는,
터치스크린 방식으로 구동하는 입출력수단; 보조출력수단; 및 연산수단; 을 포함하며,
상기 연산수단은,
저장장치와 통신하고 입출력수단의 조작으로 발생하는 입력신호를 처리하여 이미지 처리와 관련한 작업 메뉴를 실행하며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의 이미지 출력을 위한 출력신호를 처리하는 처리모듈;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출력되는 수치지도의 출력 위치좌표값 및 배율이 일치되도록 동기화시키는 연동모듈; 입출력수단에 출력된 도화이미지의 해당 위치에 수치정보와 지형정보가 링크되도록 입력하여 수치지도로 제작하는 수치모듈; 수치지도DB에서 보정 대상인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와 참고이미지인 신 버전의 촬영이미지 타입 수치지도를 검색하여 입출력수단과 보조출력수단에 각각 동일한 위치로 출력시키고, 입출력수단의 입력신호에 따라 구 버전의 도화이미지 타입 수치지도 내에 삽입이미지를 삽입하는 편집모듈; 및 삽입이미지와 기존 도화이미지와의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간섭 확인시 삽입이미지를 간섭이 없는 보정이미지로 보정하되, 이러한 보정은 간섭 확인시 삽입이미지가 위치한 본 영역을 확인하고 기존 도화이미지 내 기존 선과 간섭된 삽입이미지의 해당 변의 꼭지점이 본 영역 내에 위치한 경우 해당 변을 기존 선과 나란하면서 꼭지점을 포함하도록 보정하며, 꼭지점이 본 영역 외에 위치한 경우 해당변을 이웃하는 구조물 이미지에서 기존 선과 나란한 선의 연장선과 일치하도록 보정하는 보정모듈; 을 포함하고,
상기 지상측정기는,
하부에 바퀴가 장착되어 이동 가능한 기초대; 기초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탈착부; 탈착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감쇠부; 감쇠부의 삽입공간에 삽입되는 유체완충부;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장착되는 승강부; 및 승강부의 상부에 결합되는 지상카메라;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부는,
기초대의 상면에 결합되며 내부에 탈착공간이 형성되는 탈착베이스; 탈착베이스의 탈착공간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탈착커버; 및 탈착공간에 안착될 수 있으며 탈착베이스로부터 분리 가능한 탈착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베이스는,
탈착공간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가이드홈; 탈착공간의 후단에 함몰 형성되는 연장홈; 탈착공간의 상단 후방에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되어 탈착본체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 쌍의 이탈방지부; 및 한 쌍의 가이드홈의 후단에 각각 함몰 형성되는 한 쌍의 위치규제홈; 를 포함하며,
상기 탈착본체는,
탈착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가이드홈에서 활주 가능한 한 쌍의 가이드부; 탈착본체의 후단에 돌출 형성되어 연장홈에 수용될 수 있는 탈착연장부; 탈착본체의 상부면에 돌출 형성되며 한 쌍의 이탈방지부 사이의 폭과 동일한 폭을 가지는 돌출스토퍼; 및 한 쌍의 가이드부의 후단에 각각 돌출 형성되어 한 쌍의 위치규제홈에 삽입될 수 있는 한 쌍의 위치규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완충부는,
감쇠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수용부; 유체수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하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하판; 유체하판의 상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일측에 회전관통홀이 형성되고 중앙 부분에 중공이 형성된 링 형태의 유체회전판; 유체회전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일측에 상판관통홀이 형성되는 유체상판; 유체상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유체공급부; 유체하판의 상부에 결합되며 유체회전판의 중공 내부에 배치되어 유체회전판을 회전시키는 유체회전부; 및 유체수용부와 유체공급부 사이를 연결하며 일방향밸브를 구비하는 유체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하판의 상면에는 하판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하판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의 상면에는 회전관통홀과 연통되는 링 형태의 회전연통홈이 함몰 형성되고,
유체회전판이 회전함에 따라 유체공급부로부터 상판관통홀을 통해 유입된 유체는 회전연통홈, 회전관통홀, 하판연통홈 및 하판관통홀을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유체수용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는,
유체완충부의 상부에 결합되며 내부에 유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는 승강케이스; 하단이 승강케이스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하로 승강 가능한 승강로드; 승강로드에 삽입되어 승강로드의 외측면과 승강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배치되며 상하로 이동 가능한 링 형태의 상하이동판;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상부스토퍼; 승강로드의 측부에 돌출 형성되며 상하이동판을 기준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스토퍼; 상부스토퍼의 하면과 상하이동판의 상면 사이에 배치되는 상부탄성부; 하부스토퍼의 상면과 상하이동판의 하면 사이에 배치되는 하부탄성부; 승강로드의 내부를 관통하여 유체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는 로드관통홀; 및 승강케이스와 연결되어 승강케이스 내부의 유체에 압력을 가할 수 있는 유압펌프; 를 포함하고,
상기 로드관통홀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상부스토퍼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횡관통홀; 승강로드를 횡방향으로 관통하며 하부스토퍼의 상부에 배치되며 제1횡관통홀보다 상대적으로 하부에 배치되는 제2횡관통홀; 및 승강로드를 종방향으로 관통하며 제1횡관통홀와 제2횡관통홀 사이를 연결하는 종관통홀;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존 지형정보와 새로운 지형정보를 비교하여 신속하게 변화를 반영할 수 있는 수치지도 갱신시스템.
a numerical map making device for generating a drawing image based on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for producing and updating a numerical map based on this; A storage device for storing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and a numerical map, respectively; and a ground measuring device installed at a point where a new inserted image is inserted to acquire topographic information; including,
The storage device is
A photographed image DB for storing aerial photographed images; and a numerical map DB for storing the numerical map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and the numerical map of the illustrated image type, which are completed by applying topographic information and numerical information after editing or drawing an aerial photographed image; including,
The digital map making device is
Input/output means for driving the touch screen method; auxiliary output means; and arithmetic means; includes,
The calculation means,
a processing module which communicates with the storage device and processes an input signal generated by manipulation of the input/output means to execute a work menu related to image processing, and to process an output signal for image output of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an interlocking module for synchronizing the output position coordinate values and magnifications of the numerical maps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respectively; a numerical module for producing a numerical map by inputting numerical information and terrain information to be linked to the corresponding position of the drawing image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In the numerical map DB, the numerical map of the old version of the drawing image type to be corrected and the numerical map of the new version of the photographed image type as a reference image are searched and output to the input/output means and the auxiliary output means in the same location,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input signal of the input/output means an editing module for inserting an embedded image into the figure image type numerical map of the old version; And check whether there is interference between the inserted image and the existing drawing image, and correct the inserted image with an interference-free corrected image when checking the interference. If the vertex of the corresponding side of the interfering image is located within this area, the side is corrected to include the vertex while parallel to the existing line. If the vertex is located outside this area, the corresponding side matches the extension line of the line parallel to the existing line in the neighboring structure image. a correction module for compensating so as to including,
The ground meter,
A movable base with wheels mounted on the lower part; a detachable part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a damp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detachable unit; a fluid buffer inserted into the insertion space of the damping unit; a lifting unit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buffer; and a ground camera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lifting unit; includes,
The detachable part,
a detachable bas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having a detachable space therein; a detachable cover that is rotatably coupled to one side of the detachable space of the detachable base; and a detachable body which can be seated in the detachable space and is detachable from the detachable base; including,
The detachable base is
A pair of guide grooves recessed on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tachable space; an extension groove recessed at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units formed at the rear of the upper end of the detachable space and protruding inward to prevent the detachable body from being separated; and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grooves respectively recessed at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guide grooves. includes,
The detachable body is
A pair of guide portions protruding from both sid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etachable body and slidable in a pair of guide grooves; a detachable extension part which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detachable body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extension groove; a protrusion stopper formed to protrude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detachable body and having the same width as the width between the pair of separation preventing parts; and a pair of position regulating units protruding from the rear ends of the pair of guide units and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the pair of position regulating grooves; including,
The fluid buffer unit,
a fluid accommodating part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damping part and having a space therein so that a fluid can be accommodated therein; a fluid low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fluid receiving part and having a lower plat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 fluid rotating plate in the form of a ring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has a rotation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nd a hollow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a fluid upper plat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rotating plate and having an upper plate through hole formed on one side; a fluid supply unit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luid upper plate and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a fluid; a fluid rotating unit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disposed in the hollow of the fluid rotating plate to rotate the fluid rotating plate; and a fluid connection part connecting between the fluid receiving part and the fluid supply part and having a one-way valve; includes,
A ring-shaped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plate through-hole is rec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lower plate, and a ring-shaped rotating communication groove communicating with the rotating through-hole is depressed in the upper surface of the fluid rotating plate,
As the fluid rotating plate rotates, the fluid introduced through the upper plate through hole from the fluid supply uni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rotary communication groove, the rotation through hole, the lower plate communication groove and the lower plate through hole, an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luid receiving unit,
The lifting unit,
a lifting cas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luid buffer and having a space therein to accommodate a fluid; a lifting rod having a lower end disposed inside the lifting case and capable of ascending and descending up and down; a vertical moving plate in the form of a ring that is inserted into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lifting rod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ifting case; an upper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moving plate; a lower stopper protruding from the side of the lifting rod and disposed below the vertical moving plate; an upper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stopp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a lower elastic part disposed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stopper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vertical moving plate; a ro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fluid can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lifting rod; and a hydraulic pump connected to the elevating case to apply pressure to the fluid inside the elevating case; including,
The rod through-hole may include a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that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disposed under the upper stopper; a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that passes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is disposed above the lower stopper and is disposed relatively lower than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and a longitudinal through-hole passing through the elevating ro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onnecting between the first transverse through-hole and the second transverse through-hole; A numerical map update system that can quickly reflect changes by comparing existing topographic information with new topographic informatio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KR1020200143278A 2020-10-30 2020-10-30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2600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78A KR102260073B1 (en) 2020-10-30 2020-10-30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3278A KR102260073B1 (en) 2020-10-30 2020-10-30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0073B1 true KR102260073B1 (en) 2021-06-03

Family

ID=7639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3278A KR102260073B1 (en) 2020-10-30 2020-10-30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0073B1 (en)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61B1 (en) * 2021-07-02 2021-12-30 주식회사 지오앤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constituting gis by road boundary measurement
KR102503636B1 (en)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adjusting error range by real-time correction of image
KR102503630B1 (en)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12694B1 (en)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27648B1 (en) * 2022-10-20 2023-05-02 (주)지오투정보기술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KR102527649B1 (en) * 2022-10-27 2023-05-02 (주)지오투정보기술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using geo-referenced image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KR102572490B1 (en) * 2023-02-21 2023-08-30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camparing and updating spatial information
KR102572491B1 (en) * 2023-02-21 2023-08-30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editing digital map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28Y1 (en) * 2001-11-21 2002-04-27 고재천 Ascent and Descent Device of Blackboard
KR101946400B1 (en)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Geodetic Surveying System Using RTK Control Survey
KR102014189B1 (en)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quickly reflecting change in geographic information
KR102024673B1 (en)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Update system for numerical map
KR102027370B1 (en)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Digital map making system to update digital map
KR102171827B1 (en) * 2020-03-02 2020-10-2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System for constructing 3d road ma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3828Y1 (en) * 2001-11-21 2002-04-27 고재천 Ascent and Descent Device of Blackboard
KR101946400B1 (en) * 2018-12-10 2019-02-11 주식회사 지아이에스21 Geodetic Surveying System Using RTK Control Survey
KR102014189B1 (en) * 2019-05-27 2019-08-26 주식회사 삼인공간정보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quickly reflecting change in geographic information
KR102024673B1 (en) * 2019-08-14 2019-09-24 한국공간정보(주) Update system for numerical map
KR102027370B1 (en) * 2019-08-14 2019-10-01 한국공간정보(주) Digital map making system to update digital map
KR102171827B1 (en) * 2020-03-02 2020-10-29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System for constructing 3d road map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4961B1 (en) * 2021-07-02 2021-12-30 주식회사 지오앤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constituting gis by road boundary measurement
KR102503636B1 (en)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adjusting error range by real-time correction of image
KR102503630B1 (en) * 2022-09-22 2023-02-24 주식회사 도명메타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12694B1 (en) * 2022-10-13 2023-03-22 (주)위상공감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527648B1 (en) * 2022-10-20 2023-05-02 (주)지오투정보기술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KR102527649B1 (en) * 2022-10-27 2023-05-02 (주)지오투정보기술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using geo-referenced image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KR102572490B1 (en) * 2023-02-21 2023-08-30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camparing and updating spatial information
KR102572491B1 (en) * 2023-02-21 2023-08-30 엘티메트릭 주식회사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automatically editing digital map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60073B1 (en)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260071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using 3d location information
KR102260072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generating highly reliable digital map images through field survey data
KR102503630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digital map by comparing geographic information
KR102017817B1 (en)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for applying real-time update
KR102027370B1 (en) Digital map making system to update digital map
KR101226085B1 (en) 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compar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KR102014190B1 (en) System of editing digital map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and coordinate information
KR102014189B1 (en) Updating system of digital map quickly reflecting change in geographic information
KR102017818B1 (en) System for producing digital map for accurately representing ground image
KR102333008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of road infrastructure by confirming gis and reference point location information
AU2019203749A1 (en) Construc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struction management method
KR102260074B1 (en) Image drawing system for extracting drawing images from images
KR101347248B1 (en) Drawing image processing system controling a datum point based on gps information
KR102333010B1 (en) Spatial image drawing system for updating new data based on gis
KR102344961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constituting gis by road boundary measurement
KR101305059B1 (en) A method and system for editing numerical map in real time, and a sever,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a program thereof
KR102234739B1 (en) Precise road map system for updating road facility data using raw image anlalysis and mobile mapping system
KR101744956B1 (en) System and method for GNSS measuring using mobile device
KR102203969B1 (en) Road map construction system for updating road facility data using mobile mapping system
KR101731103B1 (en) Mapping system for updiating the image data by editing digital aerial images
KR102493769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by analysis of geo-referenced image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KR102527649B1 (en) Digital map production system for updating map using geo-referenced image and reference point information
KR102248508B1 (en) Precise road map system for acquiring of road surface type information using mobile mapping system
KR101227613B1 (en) Updating system for numerical map reflecting the change of geographic inform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