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836B1 -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 Google Patents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836B1
KR102259836B1 KR1020200132263A KR20200132263A KR102259836B1 KR 102259836 B1 KR102259836 B1 KR 102259836B1 KR 1020200132263 A KR1020200132263 A KR 1020200132263A KR 20200132263 A KR20200132263 A KR 20200132263A KR 102259836 B1 KR102259836 B1 KR 102259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head
tube
tai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2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수
김민경
김진호
Original Assignee
김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수 filed Critical 김영수
Priority to KR1020200132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8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5/00Artificial bait for fishing
    • A01K85/01Artificial bait for fishing with light emission, sound emission, scent dispersal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Abstract

본원발명은 일본의 전통 또는 그로부터 현대에서 개량된 도미 등을 잡기 위한 인조 미끼 낚시 기법 중 하나인 ‘타이라바’(たいラバ, tai-rubber) 또는 ‘타이카브라’(たいカブラ, tai-kabura)에 사용되는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타이라바’의 부품인 유동식 ‘헤드’(head)에 관한 것이다.
본원발명은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헤드 몸체, 낚싯줄을 끼워 관통시키되, 낚싯줄이 빠지지 않도록 덮어 주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몸체의 튜브 고정공, 낚싯줄 삽입 틈; 상기 튜브의 낚싯줄 통공과 슬릿 등의 구성을 통하여, 원형, 타원형, 돌기형 또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제시한다.
본원발명에 따라 원형, 타원형, 돌기형 또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제공하면, 낚시인들이 보다 폭넓은 타이라바 채비를 선택할 수 있고,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원조 격인 일본, 나아가 서구에서도 타이라바 채비를 선택할 때,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본원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선택할 수 있어, 타이라바의 시장을 키울 수 있다.
본원발명의 유동식 타이라바 헤드는 낚싯줄을 끊지 않고 중량부인 헤드 몸체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세팅된 채비에 유동식 타이라바 헤드를 연결할 때에도 바로 연결할 수 있고, 헤드 몸체와 튜브만으로써 상기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낚시채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IMPROVED MOVABLE TAI RUBBER HEAD}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발명(이하 ‘본원발명’이라 함)은 일본의 전통 또는 그로부터 현대에서 개량된 도미 등을 잡기 위한 인조 미끼 낚시 기법 중 하나인 ‘타이라바’(たいラバ, tai-rubber) 또는 ‘타이카브라’(たいカブラ, tai-kabura)에 사용되는 인조 미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타이라바’의 부품인 유동식 ‘헤드’(head)에 관한 것이다.
일본의 전통 또는 그로부터 현대에서 개량된 낚시 기법 중 하나인 ‘타이라바’는 낚시 기법뿐만 아니라, 그 기법에 사용되는 인조 미끼 자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타이라바’를 구성하는 부품은 ⓐ 헤드, ⓑ 스커트, ⓒ 넥타이, ⓓ 목줄, ⓔ 낚싯바늘로 구성된다. 타이라바 낚시는 별다른 테크닉을 구사하지 않더라도, 스커트와 넥타이가 펄럭이며 물고기를 유인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미지 출처: http://www.tsurisoku.com/news/2017/03/23/141/
Figure 112020108171756-pat00001
타이라바 헤드는 크기, 형상, 색채 등이 다양하다. 낚시인 사이에서 헤드의 형상과 색채를 어떻게 정하느냐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타이라바는 ‘고정식 타이라바’와 ‘유동식 타이라바’로 대별된다. 고정식 타이라바는 헤드에 넥타이, 스커트, 목줄 등이 고정된 것이고, 유동식 타이라바는 헤드가 스커트, 넥타이와 분리되며, 목줄이 헤드를 관통하여, 목줄이 헤드를 자유롭게 들락날락하는 것을 말한다. 과거에는 고정식 타이라바가 사용되었으나 근래에는 대체적으로 유동식 타이라바가 사용된다.
유동식 타이라바는 스커트와 넥타이가 무거운 헤드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 수중에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고, 물고기를 유인하는 데 더 유리하다. 또한 물고기가 미끼를 물면 목줄을 통해 원줄을 당기면서 어신을 전달하게 되는데, 무거운 헤드가 목줄에 고정되어 있는 경우 부하 때문에 물고기가 이물감을 느껴 미끼를 뱉게 된다. 하지만 유동식 타이라바의 경우 목줄이 무거운 헤드를 관통하여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부하를 줄일 수 있다. 유동식 타이라바는 헤드 무게가 영향을 덜 주기 때문에 바늘털이를 당할 위험도 적다. 또 다른 장점으로는 무거운 헤드와 부피가 크고 낚싯바늘이 있는 스커트, 넥타이 부분을 별도로 보관할 수 있고, 현장에 따라 적절한 무게의 헤드로 교체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런데, 유동식 타이라바의 문제점으로는,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가 낚싯줄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하므로 헤드에 의한 낚싯줄의 손상이 올 수도 있다. 따라서 헤드의 낚싯줄 관통공에 플라스틱 튜브(예를 들면, 우레탄 튜브나 테플론 튜브 등)를 삽입하고, 상기 플라스틱 튜브로 낚싯줄이 관통하도록 하는 구성을 취하는 경우가 있다. 한편,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만을 별도로 보관·수납하는 것은 큰 장점이지만,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를 목줄에 연결하거나 헤드를 교체·분리할 때 낚싯줄을 매듭으로 연결하거나 낚싯줄을 끊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원발명은 유동식 타이라바 헤드의 구조를 개선하여 낚싯줄을 끊거나 새로 매듭으로 연결하지 않고 바로 헤드를 낚싯줄에 연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의 중량부인 몸체와 낚싯줄 연결 튜브가 분리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몸체만을 교체하여 현장에 맞는 적당한 중량의 헤드가 구성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원발명과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한 선행 발명에는 2016년 일본국 특허 제6009401호가 있다. (2016년 10월 19일 공보) 이 선행발명을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본원발명과 대비하여 설명한다.
Figure 112020108171756-pat00002
본 선행 일본 특허발명은 본원발명과 마찬가지로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를 낚싯줄을 끊지 않고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선행 발명은 내공(14a)이 형성된 낚싯줄 가이드(14)에 낚싯줄을 삽입하여 상기 낚싯줄 가이드(14)가 낚싯줄을 따라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낚싯줄 가이드(14)가 끼워질 수 있는 장착공(11a)을 헤드(11)에 형성하여, 상기 헤드(11)를 교체하고자 할 때에는 상기 낚싯줄 가이드(14)에서 상기 헤드(11)를 분리하도록 하는 수단을 개시한다.
다만, 일본 선행 특허발명에 따르더라도, 상기 낚싯줄 가이드(14) 자체를 낚싯줄에서 최초 연결하거나 이후 분리하려면, 낚싯줄을 끊거나, 상기 플라스틱 핀(19) 부분을 분리해야 하는 한계가 있다.
본원발명은 상기 일본 특허발명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현장에 맞도록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를 교체할 때 낚싯줄을 끊지 않을 뿐만 아니라, 이미 채비가 세팅된 상태에서 헤드를 처음 결합할 때에도 낚싯줄을 끊을 필요가 없고, 별도로 낚싯줄을 분리하기 위한 플라스틱 핀과 같은 구성이 없이, 헤드 자체로 낚싯줄에 탈착이 가능한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 등의 구성을 제공하고자 한다.
한편, 타이라바 낚시는 일본의 전통 낚시 방법이고, 일본에서 다양하게 발전해 왔으나, 근래 우리나라나 서구에서도 다양한 제품이 새롭게 개발되고 있다. 타이라바 낚시는 헤드, 스커트, 넥타이 등이 마치 살아 있는 미끼처럼 물고기를 유인하여야 하므로 낚시인의 주된 관심 사항이고, 낚시채비의 미세한 차이도 낚시인에게는 채비 선택의 폭을 크게 넓혀 준다.
일본국 특허청 2016. 10. 19. 공보. (2016년 일본국 특허 제6009401호)
일본 웹 페이지 자료. (2020. 10. 3. 방문) http://www.tsurisoku.com/news/2017/03/23/141/
본원발명은 새로운 형태의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원발명은 낚싯줄을 끊지 않고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를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발명은 채비를 세팅한 이후에도 유동식 타이라바의 헤드를 바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원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면서도 낚시채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원발명은;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헤드 몸체, 낚싯줄을 끼워 관통시키되, 낚싯줄이 빠지지 않도록 덮어 주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몸체에는 상기 튜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튜브 고정공이 형성되고, 상기 헤드 몸체에는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튜브 고정공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에서 외부로 개방된 낚싯줄 삽입 틈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에는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통공과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낚싯줄 통공에 끼울 수 있도록 앞뒤 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어 있어; 상기 튜브를 상기 헤드 몸체에서 분리 후, 낚싯줄을 측면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으로 상기 튜브 고정공에 넣고, 상기 낚싯줄을 측면으로 상기 슬릿으로 상기 낚싯줄 통공에 넣은 후 상기 튜브를 상기 튜브 고정공에 상기 낚싯줄 삽입 틈과 상기 슬릿이 일치하지 않도록 삽입하여, 상기 헤드 몸체가 상기 낚싯줄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라바 헤드를 제공한다.
본원발명의 상기 튜브의 정면과 상기 튜브 고정공의 정면은, 상기 튜브가 상기 튜브 고정공에 끼워진 후, 회전이 가능하지 않는 형상이되, 상기 슬릿과 상기 낚싯줄 삽입 틈이 일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에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길게 상기 돌출 돌기가 끼워져 미끄러질 수 있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튜브의 정면은 타원형이고, 상기 튜브 고정공도 상기 튜브에 대응하여 타원형이며, 상기 튜브 고정공에 형성된 낚싯줄 삽입 틈은 상기 헤드 몸체의 중심에서 외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에 형성된 슬릿은, 상기 튜브가 상기 튜브 고정공에 삽입되어 고정되었을 때,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튜브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튜브를 상기 헤드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끼움 쐐기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 쐐기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 몸체의 튜브 고정공에는 상기 끼움 쐐기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앞뒤 방향으로 길게 쐐기 홈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은 아래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 방향은, 상기 낚싯줄 삽입 틈부터 상기 슬릿까지 연결되는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을 만들어지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낚싯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분리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과 상기 낚싯줄 삽입 틈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꺾여 제1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과 상기 슬릿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낚싯줄 통공 방향으로 꺾여 제2 꺾임부가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낚싯줄 측면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꺾임부,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 상기 제2 꺾임부 및 상기 슬릿을 지나 상기 낚싯줄 통공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의 폭은 상기 제1 꺾임부에서 상기 제2 꺾임부 방향으로 작아져, 상기 제2 꺾임부에서의 폭은 상기 낚싯줄을 강제로 밀어 넣으면, 상기 분리벽이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이 상기 낚싯줄 통공으로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의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을 형성하는 상기 분리벽의 상기 제2 꺾임부 쪽 끝단에는, 상기 낚싯줄 통공 안의 낚싯줄을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에 밀착하여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과 상기 분리벽 사이로 상기 분리벽이 상기 낚싯줄에 밀려 상기 낚싯줄 통공 쪽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이 바깥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낚싯줄 통공 방향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의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처리된 단부 밀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원발명에 따라 원형, 타원형, 돌기형 또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제공하면, 낚시인들이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보다 폭넓은 타이라바 채비를 선택할 수 있고, 이는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원조 격인 일본, 나아가 서구에서도 타이라바 채비를 선택할 때,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개발된 본원발명에 따른 새로운 형태의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선택할 수 있어, 타이라바의 시장을 키울 수 있다.
본원발명의 유동식 타이라바 헤드는 낚싯줄을 끊지 않고 중량부인 헤드 몸체를 교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세팅된 채비에 유동식 타이라바 헤드를 연결할 때에도 바로 연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원발명은 헤드 몸체와 튜브만으로써 상기 효과를 달성함으로써 낚시채비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가 결합되는 타이라바 전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를 정면(도 2), 평면(도 3), 측면(도 4)에서 보인 것이다. 도 4의 파선은 본원발명의 튜브를 투시하여 보인 것이다.
도 5a는 본원발명의 제 2실시 예인 돌기가 형성된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5b는 본원발명의 제3 실시 예인 타원형의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것이고, 도 7은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평면에서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고, 도 9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헤드 몸체와 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로서 낚싯줄이 상기 튜브의 낚싯줄 통공에 넣어지는 경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의 아래 도면은 원 A 안을 확대한 것인데, 화살표로 표시한 굵은 선은 낚싯줄을 넣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에서 낚싯줄을 강제로 끼워 넣거나 빼는 것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원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는 본원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제1 실시 예]
도 1은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가 결합되는 타이라바 전부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타이라바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헤드, 스커트(s), 낚싯바늘(h), 넥타이(n)를 포함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타이라바의 헤드는 크게 보아 중량을 가지는 헤드 몸체(10)와 낚싯줄(30)을 끼워 관통시키되, 낚싯줄(30)이 빠지지 않도록 덮어 주는 튜브(20)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몸체(10)는 통상 단단한 금속 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튜브는 플라스틱으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 몸체(10)에는 상기 튜브(20)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튜브 고정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튜브 고정공(11)은 상기 튜브(20)를 넣는 일종의 슬롯과 같은 기능을 한다.
도 2 내지 4는 본원발명의 제1 실시 예인 유동형 타이라바의 헤드를 정면(도 2), 평면(도 3), 측면(도 4)에서 보인 것이다. 도 4의 파선은 본원발명의 튜브를 투시하여 보인 것이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튜브 고정공의 종단면은 원형이다. 상기 튜브(20)는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끼워 고정된다. 상기 튜브(20)와 상기 튜브 고정공(11)은 잘 빠지지 않도록 강제로 끼우는 구조이다. 하지만 일정한 힘을 가하면 상기 튜브(20)는 상기 튜브 고정공(11)에서 분리된다. 상기 헤드 몸체(10)는 단단하지만, 상기 튜브(20)는 플라스틱으로 어느 정도 변형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강제로 끼우고, 일정한 힘을 가하여 뺄 수도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튜브는 닫힌 원이 아니라 슬릿(22)으로 절개되어 있어서, 안쪽으로 어느 정도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상기 튜브(20)를 강제로 끼우고, 반대로 힘을 가하여 다시 빼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헤드 몸체(10)에는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튜브 고정공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에서 외부로 개방된 낚싯줄 삽입 틈(12)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20)에는 낚싯줄(30)을 측면에서 끼울 수 있도록 종방향으로 길게 슬릿(22)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튜브(20)를 상기 헤드 몸체(10)에서 분리 후, 낚싯줄(30)을 측면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으로 상기 튜브 고정공에 넣고, 상기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슬릿으로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은 후 상기 튜브(20)를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과 상기 슬릿(22)이 일치하지 않도록 삽입하면, 상기 낚싯줄이 상기 헤드 몸체에 유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제2 및 제3 실시 예]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
상술한 제1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튜브(20)와 상기 튜브 고정공(11)의 정면이 원형이므로, 상기 튜브(20)를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끼울 때 어느 각도로도 끼워지고, 적절한 각도를 맞추어야 하므로 번거롭다. 따라서 상기 튜브(20)의 정면과 상기 튜브 고정공의 정면은, 상기 튜브가 상기 튜브 고정공에 끼워진 후, 회전이 가능하지 않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게 회전이 되지 않는 상태에서 제1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상기 슬릿(22)과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이 일치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상기 낚싯줄(30)은 빠지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상기 튜브(20)의 정면에서 볼 때 상기 튜브의 외주면에 돌출 돌기(26)가 형성되고,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14)에는 정면에서 배면으로 길게 상기 돌출 돌기(26)가 끼워져 미끄러질 수 있는 가이드 홈(1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5a는 본원발명의 제 2실시 예인 돌기가 형성된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상기 돌출 돌기(26)와 가이드 홈(15)과 같은 구성이 아니더라도, 상기 튜브(20)와 상기 튜브 고정공(11)의 정면이 기하학적으로 원형이 아니면 회전이 불가능하다. 도 5b는 본원발명의 제3 실시 예인 타원형의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도면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의 제3 실시 예는 상기 튜브(20)의 정면은 타원형이고, 상기 튜브 고정공(11)도 상기 튜브(20)에 대응하여 타원형이며,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형성된 낚싯줄 삽입 틈(12)은 상기 헤드 몸체(10)의 중심에서 외부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튜브(20)에 형성된 슬릿(22)은, 상기 튜브(20)가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삽입되어 고정되었을 때, 아래쪽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실시 예와 마찬가지로 낚시인이 상기 튜브(20)를 상기 튜브 고정공(11)에 끼워 넣기만 하면 저절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과 상기 슬릿(22)이 어긋나게 되어 상기 낚싯줄(30)이 빠지지 않는 형태가 되어 보다 편리하다.
[제4 실시 예] (도면 부호는 동일하게 사용.)
본원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는 전술한 제2 실시 예와 제3 실시 예의 특징을 가질 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20)를 상기 헤드 몸체(10)에서 분리했을 때뿐만 아니라, 상기 튜브(20)를 상기 헤드 몸체(10)에서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상기 낚싯줄(30)을 강제로 상기 튜브(20)의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거나 빼는 것이 가능한 구조이다. 이를 위한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는 이른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라 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보인 것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정면에서 보인 것이고, 도 7은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평면에서 보인 것이다.
쐐기 결합은 일반적으로 쐐기를 박아서 못 움직이게 하는 물리적 구조인데, 본 명세서에는 끼움 쐐기(23)를 쐐기 홈(13)에 끼워서 회전이 되거나 상기 쐐기 홈(13)에서 상기 끼움 쐐기(23)가 탈락하여 빠지지는 않게 하되, 앞뒤로 슬라이딩되고, 슬라이딩하여 분리할 수는 있는 결합을 의미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는 측면에 ‘끼움 쐐기(23)’가 형성되고 다른 측면에는 상기 낚싯줄이 상기 낚싯줄의 측면으로 강제 삽입될 수 있는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상기 ‘끼움 쐐기(23)’가 형성되는 측면을 ‘일측 방향’이라 하고,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을 형성된 측면을 ‘타측 방향’이라 한다.
본원발명에 따른 제4 실시 예의 튜브(20)는, 일측 방향으로 상기 튜브(20)를 상기 헤드 몸체(10)에 고정하기 위한 끼움 쐐기(23)가 앞뒤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끼움 쐐기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 몸체의 튜브 고정공에는 상기 끼움 쐐기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앞뒤 방향으로 길게 쐐기 홈(13)이 형성되며, 상기 슬릿(22)은 아래 방향을 향하여 형성되고, 상기 튜브(20)의 타측 방향은,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부터 상기 슬릿(22)까지 연결되는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이 만들어지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14)으로부터 상기 낚싯줄(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분리벽(24)이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는 상기 쐐기 홈(13)에 상기 끼움 쐐기(23)가 끼워지는 것을 보다 명확하게 보인 것이다. 도 8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비스듬하게 보인 것이고, 도 9는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를 헤드 몸체와 튜브를 분리한 상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본원발명에 따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의 구성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로서 낚싯줄이 상기 튜브의 낚싯줄 통공에 넣어지는 경로를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도 10의 아래 도면은 원 A 안을 확대한 것인데, 화살표로 표시한 굵은 선은 낚싯줄을 넣는 경로를 표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원발명의 제4 실시 예인 측면 쐐기 결합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에서 낚싯줄을 강제로 끼워 넣거나 빼는 것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과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꺾여 제1 꺾임부(41)가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과 상기 슬릿(22)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낚싯줄 통공(21) 방향으로 꺾여 제2 꺾임부(42)가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30)이 낚싯줄 측면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12)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꺾임부(41),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 상기 제2 꺾임부(42) 및 상기 슬릿(22)을 지나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어지게 된다. 이런 경로를 거쳐 상기 낚싯줄(30)이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삽입되므로, 일단 삽입된 낚싯줄은 잘 빠지지 않고 안정적으로 낚싯줄에 매달려 있게 된다.
한편, 보다 안정적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의 폭은 상기 제1 꺾임부(41)에서 상기 제2 꺾임부(42) 방향으로 점차 작아져, 상기 제2 꺾임부(42)에서의 폭은 상기 낚싯줄을 강제로 밀어 넣으면, 상기 분리벽(24)이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이 상기 낚싯줄 통공으로 넣어지게 되는 구조이다. 예를 들어 도 11의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의 바깥쪽 부분의 폭(w1)보다 안쪽 부분의 폭(w2)이 더 작은 것이다. 이로써 낚시인은 상기 튜브(20)를 상기 헤드 몸체(10)에서 분리하지 않고 일단 낚싯줄을 어렵지 않게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으로 넣을 수 있되 상기 낚싯줄(30)을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을 때에는 일정한 힘을 가하여 넣음으로써 다시 상기 낚싯줄(30)이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튜브(20)가 변형이 발생하지 않는 경우이더라도, 상기 낚싯줄(3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목줄’이므로 상기 목줄의 변형에 의하여 강제로 삽입될 수도 있다.
더 나아가,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을 형성하는 상기 분리벽(24)의 상기 제2 꺾임부 쪽 끝단에는, 상기 낚싯줄 통공(21) 안의 상기 낚싯줄(30)을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14)에 밀착하여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14)과 상기 분리벽(24) 사이로 상기 분리벽(24)이 상기 낚싯줄(30)에 밀려 상기 낚싯줄 통공(21) 쪽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30)이 바깥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낚싯줄 통공(21) 방향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40)의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처리된 단부 밀림부(25)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구조를 통하여 일단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은 상기 낚싯줄(30)을 상기 튜브(20)를 분리하지 않고도 일정한 힘을 가하여 상기 낚싯줄 통공(21), 즉 상기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도 11의 원 B 안을 확대하여 도시한 것은 일정한 힘을 가하여 낚싯줄을 상기 낚싯줄 통공(21)에 넣거나 뺄 때 상기 분리벽(24)이 변형되는 것을 개념적으로 보인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튜브(20)의 상기 분리벽(24)이 변형이 되지 않는 것이더라도, 상기 낚싯줄(30)이 일정한 두께를 가지는 ‘목줄’이므로 상기 목줄의 변형에 의하여 강제로 삽입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는 얼마든지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헤드 몸체
11 튜브 고정공
12 낚싯줄 삽입 틈
13 쐐기 홈
14 튜브 고정공 내주면
15 가이드 홈
20 튜브
21 낚싯줄 통공
22 슬릿
23 끼움 쐐기
24 분리벽
25 단부 밀림부
26 돌출 돌기
30 낚싯줄
40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
41 제1 꺾임부
42 제2 꺾임부
s 스커트
h 낚싯바늘
n 넥타이

Claims (10)

  1. 일정한 중량을 가지는 헤드 몸체와 낚싯줄을 끼워 관통시키되 낚싯줄이 빠지지 않도록 덮어 주는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몸체에는, 상기 튜브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튜브 고정공과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튜브 고정공에 끼울 수 있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에서 외부로 개방된 낚싯줄 삽입 틈이 형성되며;
    상기 튜브에는, 낚싯줄이 관통하는 낚싯줄 통공과 낚싯줄을 측면에서 상기 낚싯줄 통공에 끼울 수 있도록 앞뒤 방향으로 길게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는 상기 튜브 고정공에 상기 낚싯줄 삽입 틈과 상기 슬릿이 일치하지 않도록 삽입되되,
    상기 튜브의 일측 방향으로 상기 헤드 몸체에 고정하기 위한 끼움 쐐기가 형성되며, 상기 끼움 쐐기에 대응하여 상기 헤드 몸체의 튜브 고정공에는 상기 끼움 쐐기가 끼워져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앞뒤 방향으로 길게 쐐기 홈이 형성되고;
    상기 튜브의 타측 방향은, 상기 낚싯줄 삽입 틈부터 상기 슬릿까지 연결되는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을 만들어지도록, 상기 튜브 고정공의 내주면으로부터 낚싯줄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정 간격 이격하여 분리벽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과 상기 낚싯줄 삽입 틈과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타측 방향으로 꺾여 제1 꺾임부가 형성되고,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과 상기 슬릿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상기 낚싯줄 통공 방향으로 꺾여 제2 꺾임부가 형성되어,
    상기 낚싯줄이 낚싯줄 측면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틈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꺾임부,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 상기 제2 꺾임부 및 상기 슬릿을 지나 상기 낚싯줄 통공에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의 폭은 상기 제1 꺾임부에서 상기 제2 꺾임부 방향으로 작아져, 상기 제2 꺾임부에서의 폭은 상기 낚싯줄을 강제로 밀어 넣어야 삽입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벽이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이 상기 낚싯줄 통공으로 넣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을 형성하는 상기 분리벽의 상기 제2 꺾임부 쪽 끝단에는, 상기 낚싯줄 통공 안의 낚싯줄을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에 밀착하여 바깥쪽으로 당기면,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과 상기 분리벽 사이로 상기 낚싯줄이 걸리면서 강제로 바깥쪽으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상기 낚싯줄 통공 방향으로 상기 낚싯줄 삽입 가이드 틈의 폭이 점차 넓어지도록 비스듬하게 처리된 단부 밀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고정공 내주면과 상기 분리벽 사이로 상기 분리벽이 상기 낚싯줄에 밀려 상기 낚싯줄 통공 쪽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낚싯줄이 바깥쪽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KR1020200132263A 2020-10-13 2020-10-13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KR1022598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63A KR102259836B1 (ko) 2020-10-13 2020-10-13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2263A KR102259836B1 (ko) 2020-10-13 2020-10-13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836B1 true KR102259836B1 (ko) 2021-06-01

Family

ID=76375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2263A KR102259836B1 (ko) 2020-10-13 2020-10-13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83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803A (ko) * 1995-01-31 1996-08-17 에이이치 다나카 낚시용 찌장착구
JPH08266199A (ja) * 1995-01-31 1996-10-15 Tsuriken:Kk 浮き装着具
US6327808B1 (en) * 1998-11-09 2001-12-11 Bryan Zascavage Fishing lur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20040004111A (ko) * 2002-07-01 2004-01-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찌
US20060156613A1 (en) * 2005-01-19 2006-07-20 Sims John T Removable attachment for a line
US20110162254A1 (en) * 2009-05-29 2011-07-07 Smits Investments (Aust) Pty. Ltd A fishing lure
JP6009401B2 (ja) 2013-05-09 2016-10-19 株式会社釣研 鯛ラバ仕掛け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28803A (ko) * 1995-01-31 1996-08-17 에이이치 다나카 낚시용 찌장착구
JPH08266199A (ja) * 1995-01-31 1996-10-15 Tsuriken:Kk 浮き装着具
US6327808B1 (en) * 1998-11-09 2001-12-11 Bryan Zascavage Fishing lure assembly and related methods
KR20040004111A (ko) * 2002-07-01 2004-01-13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낚시찌
US20060156613A1 (en) * 2005-01-19 2006-07-20 Sims John T Removable attachment for a line
US20110162254A1 (en) * 2009-05-29 2011-07-07 Smits Investments (Aust) Pty. Ltd A fishing lure
JP6009401B2 (ja) 2013-05-09 2016-10-19 株式会社釣研 鯛ラバ仕掛け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ttp://www.tsurisoku.com/news/2017/03/23/141/
일본 웹 페이지 자료. (2020. 10. 3. 방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62830B2 (en) Removable attachment for a line
US7234267B1 (en) Weedless fishing lure
US7263798B2 (en) Removable head for a fishing lure
US8640378B2 (en) Elastomeric cover for the weighted head of a jig-type fishing lure
US10021862B2 (en) Angling lure
US10993427B2 (en) Snag release fishing lure apparatus
US11412721B2 (en) Easy rig bait tackle
US4642933A (en) Fishing lure rigging system
US20230117145A1 (en) Fishing lure
US10136623B2 (en) Rattling fish hook
US5351434A (en) Breakaway jig
JP6251852B2 (ja) 魚釣用ルアー
US6105303A (en) Fishing lure
US20160157472A1 (en) Fishing lure
US10206381B2 (en) Fishing lure
KR102259836B1 (ko) 개량형 유동형 타이라바 헤드
US4477994A (en) Artificial fishing lures
US4819365A (en) Fishing lure
US20120017488A1 (en) Modular Hook System
US4819364A (en) Pull apart fishing weight
KR102286826B1 (ko) 루어낚시용 베이트
KR101068739B1 (ko) 낚시용 찌고무
US20160205908A1 (en) Bladed Jig Head
JP7246122B2 (ja) 魚釣用ルアー
US2981027A (en) Weedless fishhook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