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790B1 -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790B1
KR102259790B1 KR1020200066251A KR20200066251A KR102259790B1 KR 102259790 B1 KR102259790 B1 KR 102259790B1 KR 1020200066251 A KR1020200066251 A KR 1020200066251A KR 20200066251 A KR20200066251 A KR 20200066251A KR 102259790 B1 KR102259790 B1 KR 1022597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bone formation
fixture
diameter
formation in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위드웰임플란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위드웰임플란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위드웰임플란트
Priority to KR102020006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79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03Not used, see subgroups
    • A61C8/0004Consolidating natural teeth
    • A61C8/0006Periodontal tissue or bone regener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술시 골와동 내벽면에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골와동 내벽면과 강한 물리적 결합력을 보장하고, 동시에, 픽스쳐의 표면으로 강한 피질골 형성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고, 추 후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부작용을 최소화해 임플란트 구조물이 인공 치아로서 장시간 동안 구강 내 보철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Fixture for dental implant}
본 발명은 임플란트 픽스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픽스쳐 주변으로 강력한 피질골 형성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는 임플란트 픽스쳐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 시술은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보철물의 시술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보다 협소한 의미로서,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구체적으로는,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쳐를 골와동에 식립한 뒤 그 상부로 상부보철인 어버트먼트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즉, 치과에서의 임플란트 구조물은 픽스쳐와 어버트먼트로 구분될 수 있으며, 어버트먼트의 상부로는 치료목적에 따라 다양한 치과보철물이 설치된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을 위해서 가장 중요시하게 고려되야 할 부분은 픽스쳐의 올바른 식립이라 할 수 있다. 픽스쳐는 임플란트 구조물의 기초가 되는 부분으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은 픽스쳐가 얼마만큼 계획한 바대로 빈틈없이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식립되고, 이후 픽스쳐 표면에 양호한 골화(ossification)가 유도되어 마치 자연치와 유사할 정도의 결합력을 발휘할 수 있느냐에 달렸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다시 말해, 픽스쳐는 치조골 내로 식립되어 치조골 내 골화현상에 의해 치조골과 일체화가 이루어지는 부분이기 때분에, 픽스쳐의 최초 식립 과정에서 픽스쳐의 식립 방향, 피시술자의 치조골 상태 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게 되면 그 위에 어버트먼트, 치과보철물 등이 무리 없이 설치되더라도 성공적인 시술이라 볼 수 없다.
이에 따라, 픽스쳐는 치조골 내 단단히 식립되어 있어야만 시술된 임플란트 구조물이 장기간 인공 치아로서의 기능을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최초 픽스쳐의 식립이 정확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픽스쳐 주변으로 골화가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없으며 유지력이 떨어지고, 병증을 유발하기도 하며, 골흡수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통상의 픽스쳐는 강한 유지력과 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원통형 몸체 표면에 나사산을 형성하여 이 픽스쳐가 치조골에 나사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획일적인 픽스쳐의 구조에만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59409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시술시 골와동 내벽면에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골와동 내벽면과 강한 물리적 결합력을 보장하고, 동시에, 픽스쳐의 표면으로 강한 피질골 형성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고, 추 후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부작용을 최소화해 임플란트 구조물이 인공 치아로서 장시간 동안 구강 내 보철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한 임플란트 픽스쳐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골와동 내로 삽입되는 픽싱부; 및 상기 픽싱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콘형상의 숄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싱부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부 외주면의 나선구간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골와동의 내벽면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식립되는 나선형 결합부재; 및 상기 코어의 상부 외주면의 유도구간에 원형 띠 형태로서 골와동 내벽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골와동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골형성 유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도구간에는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인접한 골형성 유도부재 사이에 유도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 중 최상단의 골형성 유도부재는 숄더부의 하단에 접해 숄더부와 일체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형성 유도부재의 직경보다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대직경이 0.1mm ~ 0.5mm 범위에서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 각각은 골와동 내벽면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는 픽싱부의 나선구간에서 나선형 결합부재에 의해 골와동 내벽면에 나선생성을 하며 결합되기 때문에 치조골에 강하게 결합되어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유도구간에서는 골형성 유도부재가 골와동 내벽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지 않는 선에서 마련되므로 픽싱부의 유도구간 주변의 치조골에서는 골의 물리적인 손상이 없고, 혈액 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으로 인해, 골회복이 빠르게 유도되고, 보다 강한 피질골 형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고, 픽스쳐 식립 후 발생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픽스쳐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6은 픽스쳐가 골와동 내 식립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복수의 골형성 유도부재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예를 픽스쳐가 골와동 내 식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임플란트 픽스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치조골 내 불완전한 픽스쳐의 고정은 픽스쳐와 치조골 사이의 공간이 넓을 때 주로 발생하며, 이 공간이 넓을 경우 염증 조직이나 연조직이 치조골 세포보다 빠르게 성장함에 따라 골 세포의 성장에 의해 골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연조직이나 염증조직 또는 미생물이 픽스쳐 표면에 먼저 부착 및 성장하여 결국 임플란트가 빠지거나 부득이하게 제거해야만 해 시술 실패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경우 치조골이 재시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손망되는 경우가 있어 피시술자에게 막대한 인체적 손해를 끼치기도 한다. 또한, 임플란트 시술 비용이 고가임을 생각한다면, 픽스쳐를 견고하게 치조골 안에 심는 것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함이 없다.
이에 따라, 근래 일반적인 픽스쳐는 픽스쳐 외주면에 나선형의 나사산을 형성하고, 기형성한 골와동(H2) 내로 픽스쳐에 토크를 가하며 식립해 골와동(H2) 내벽면 자체에 태핑(나선생성)을 형성하면서 치조골에 픽스쳐를 식립하고 있다. 이는 치조골 내에 픽스쳐를 물리적으로 강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픽스쳐가 이러한 식립 구조를 채택하고 있다.
그러나, 픽스쳐의 식립과정에서 픽스쳐의 나사산이 골와동(H2) 내벽면을 쐐기 형태로 강하게 파고들기 때문에 식립 초기 주변 골의 손상을 배제할 수 없다. 또한, 나사산이 골와동(H2) 내벽면을 파고들기 때문에 픽스쳐와 충분한 공극을 부여할 수 없게 되며, 이는, 골 세포 성장을 촉진하는 혈액 등의 순환을 억제해 골화를 지연시키며, 결과적으로 임플란트의 시술 기간이 길어지게끔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시술시 골와동(H2) 내벽면에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골와동(H2) 내벽면과 강한 물리적 결합력을 보장하고, 픽스쳐의 표면으로 강한 피질골 형성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도록 해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고, 추 후 발생될 수 있는 시술 부작용을 최소화해 임플란트 구조물이 인공 치아로서 장시간 동안 구강 내 보철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발명되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개발 개념에 대한 사전 이해를 기초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 픽스쳐의 전체적인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임플란트 픽스쳐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B-B선을 기준으로 하는 단면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픽스쳐의 단면구성을 기준으로, 어버트먼트와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2에 도시된 A 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픽스쳐가 골와동 내 식립된 상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복수의 골형성 유도부재 직경이 서로 다르게 구성된 예를 픽스쳐가 골와동 내 식립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임플란트 픽스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픽스쳐의 일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픽싱부(10) 및 숄더부(20)를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치조골과의 일체화란, 골와동(H2) 내 삽입된 픽싱부(10)가 픽싱부(10) 주변 골의 골화과정에 따라 치조골에 물리적으로 결합되어짐을 의미한다.
픽스쳐의 중앙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장착구(H1)가 함몰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장착구(H1)로 어버트먼트(ABT)가 체결될 수 있다. 이때, 장착구(H1)의 측벽은 상광하협 형태로 일정 각도 구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장착구(H1)의 횡단면 형상은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 장착구(H1)에 장착되는 어버트먼트(ABT)의 체결부위 횡단면 역시 원형인 상태에서 체결부위 측벽이 장착구(H1)의 측벽에 상보적으로 구배진 형태임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되면 어버트먼트(ABT)가 장착구(H1) 내부의 수직방향으로 진입할수록 어버트먼트(ABT)의 표면과 장착구(H1) 표면 사이에 조임력이 발생해 어버트먼트(ABT)를 픽스쳐에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할 수 있다. 즉, 픽스쳐와 어버트먼트(ABT) 사이에 부가적인 나사체결 없이도 어버트먼트(ABT)의 충분한 유지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므로, 어버트먼트(ABT)를 단순 타격동작을 통해 설치 가능해져 설치가 간편하고, 구강 내에서 인접치의 측방압에 의한 나사풀림, 나사 전단 등의 현상이 발생하지 않아 구조적으로도 안정성을 보인다.
또한, 어버트먼트(ABT)와 픽스쳐 간의 밀착접촉에 의해 어버트먼트(ABT)와 픽스쳐 사이 공극을 최소화시킬 수 있게 되므로, 임플란트 구조물에 이물질이 잔류하는 것을 막아 구강 내에서 악취발생을 줄일 수 있다.
먼저, 숄더부(20)는 픽스쳐의 최상단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픽싱부(10)의 상부에서 어버트먼트(ABT)를 하향 지지한다.
숄더부(20)는 상협하광의 콘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평탄한 외면을 가진다. 여기서, 평탄한 외면이란, 후술 될 나선형 결합부재(12), 골형성 유도부재(13)나 그루브, 요철, 홈 구조물이 배제된 외면 상태를 의미한다.
임플란트 픽스쳐에 흔히 적용되는 표면처리에 의한 마이크로 스케일의 미세하고 불규칙한 홈 구조는 본 발명에서 말하는 평탄한 외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임플란트의 시술 중 또는 시술 후에 임플란트 구조물 주변 잇몸조직에 염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치하면 숄더부(20)에 유착된 치조골까지 염증이 전이된다. 이때, 치조골에 염증이 발생하게 되면 픽스쳐 상부 주변 치조골의 골흡수가 발생해 숄더부(20)의 주변 구조가 노출될 우려가 있다.
이때, 숄더부(20)의 표면에 요철이 있을 경우 염증, 세균과 같은 것들이 보다 쉽게 숄더부(20)에 고착되어 염증 제거용 기구의 조작이 난해해질 수 있고, 클리닝 장치로도 숄더부(20)의 표면을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서의 숄더부(20)는 외면이 평탄한 콘형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숄더부(20) 주변에 고착된 이물질의 처치가 상대적으로 용이한 이점이 있다.
숄더부(20)의 상, 하 높이는 염증 발생시 평균적인 골흡수량을 고려해 대략 1mm 내지 2mm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픽싱부(10)는 숄더부(20)의 하방에서 연장 형성되며, 골와동(H2) 내에서 치조골의 골화를 통해 치조골과 본격적으로 일체화되는 부분으로, 길이방향으로 나선구간(Z1)과 유도구간(Z2)이 기능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때, 픽싱부(10)의 하부에 나선구간(Z1)이, 상부에 유도구간(Z2)이 각각 구분되어 배치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픽싱부(10)는 픽싱부(10)의 축심 역할을 하는 코어(11), 상기 코어(11)의 하부 외주면의 나선구간(Z1)에 나선형으로 형성되어 골와동(H2)의 내벽면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식립되는 나선형 결합부재(12) 및 상기 코어(11)의 상부 외주면의 유도구간(Z2)에 원형 띠 형태로서 골와동(H2) 내벽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골와동(H2)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보다 작은 직경(d3)을 가지는 골형성 유도부재(13)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먼저, 나선형 결합부재(12)는 코어(11)의 하부 외주면에 나선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골와동(H2) 내벽면에 나선을 생성한다.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은 기형성된 골와동(H2)의 직경(d4)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선형 결합부재(12)의 골직경(d2, 코어(11)의 직경)은 기형성된 골와동(H2)의 직경(d4)보다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픽스쳐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나선형 결합부재(12)가 골와동(H2)의 내벽면에 나선생성을 하며 체결되는 가운데, 코어(11)의 표면과 골와동(H2) 내벽면에 일정 거리를 부여하도록 해 나선구간에서도 강한 피질골 형성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나선형 결합부재(12)에는 나선형 결합부재(12)에 의해 절삭되는 칩의 배출, 세척수의 공급 등을 위한 절개홈(14)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홈(14)은 나선형 결합부재(12)의 표면을 일정 깊이 절개 형성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절개홈(14)은 픽싱부(10)의 상, 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 각도의 위상차를 두고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사방에 형성될 수 있다.
골형성 유도부재(13)는 픽싱부(10)의 상부측, 즉, 유도구간(Z2)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골와동(H2) 내벽면에 직접적으로 쐐기작용을 하는 나선형 결합부재(12)와 달리 골와동(H2) 내벽면에 접촉되어 골와동(H2) 내에서의 양질의 골화를 유도한다.
골형성 유도부재(13)는 골와동(H2) 내벽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지 않는 선에서 마련되므로 픽싱부(10)의 유도구간(Z2) 주변의 치조골에서는 골의 물리적인 손상이 없고, 혈액 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으로 인해, 골회복을 빠르게 유도하고, 보다 강한 피질골 형성을 가능케 한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 시술은 일회성 시술이 아니라, 픽스쳐를 식립한 후 골 및 잇몸조직이 충분히 치유될때까지 치유기간을 가진 한 후에, 어버트먼트(ABT) 장착, 그 상부에 상부보철을 장착하는 등 여러 단계가 시계열적으로 진행되는 시술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긴 기간동안 시술이 이루어지는 만큼, 픽스쳐 식립 과정에서 피시술자의 인체조직 회복속도를 빠르게 유도해야, 임플란트 시술의 전체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식립 초기, 유도구간(Z2) 부분에서 치조골의 빠른 골회복을 유도함으로써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특히, 성공적인 픽스쳐의 식립이 되었다 하더라도, 시술 부작용 등에 의해 픽스쳐의 상단 부분에서는 골흡수가 빈번히 발생될 우려가 있는데, 픽스쳐의 상부측, 즉 유도구간(Z2) 부분에서 강한 피질골 형성을 유도함으로써, 픽스쳐 식립 후 발생될 부작용을 최소화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골 치밀도가 떨어지는 피시술자의 경우라도, 성공적인 픽스쳐 식립 시술이 가능해진다.
골형성 유도부재(13)는 코어(11)의 주변에 원주방향으로 둘러지는 원형 띠 형태, 혹은 원형 선반 형태로 이해될 수 있으며, 픽스쳐의 제원에 따라 유도구간(Z2)에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 예컨대 1~3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인접한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에 유도공간(15)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는 제1 골형성 유도부재(13a) 및 상기 제1 골형성 유도부재(13a)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골형성 유도부재(13b)로 구성될 수 있다.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d3)은 기형성된 골와동(H2)의 직경(d4)과 동일하며, 이를 통해 픽스쳐의 삽입방향을 골와동(H2)의 형성방향에 맞게 안내할 수 있다.
이때,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d3)보다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이 0.1mm ~ 0.5mm 범위에서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은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d3)보다 0.3mm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하면,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외곽 둘레가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최외곽 둘레 부분에서 외측으로 0.15mm 옵셋구성될 수 있게 된다.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d3)보다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이 0.1mm ~ 0.5mm 범위에서 더 크게 형성된 것은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과 픽스쳐 자체의 직경변화를 고려해 설정된 값으로서, 만일,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이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에서 0.5mm 보다 더 크게 형성될 경우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에 유리할 수는 있으나, 픽스쳐 자체의 직경이 커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고, 반대로, 나선형 결합부재(12)의 최대직경(d1)과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직경(d3) 차이가 0.1mm 미만으로 형성될 경우 픽스쳐의 초기 고정력이 미약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도공간(15)은 인접한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의미하며, 골와동(H2)의 내벽면에서부터 이 유도공간(15)을 향해 골이 차면서 골화가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 예컨대, 제1 골형성 유도부재(13a)와 제2 골형성 유도부재(13b) 각각은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가 서로 다른 직경을 가져,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최외곽 둘레가 계단식 구조를 취하게 되면, 골와동(H2) 내벽면과 각각의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 거리(w1)가 발생해, 결과적으로, 유도구간(Z2) 주변에서 균질한 피질골 형성을 유도할 수 없게 된다. 다시 말해, 골와동(H2) 내벽면과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가 먼 부분에서는 그만큼 골화가 천천히 진행되기 때문에, 유도구간(Z2) 주변 치조골의 골화 정도가 부분마다 상이해지면서 치밀골 형성을 방해하는 요소로 작용하게 된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 각각의 최외곽 둘레가 골와동(H2) 내벽면에서 균일하게 접촉된 상태를 가지므로, 유도공간(15)의 체적이 일률적이고, 이를 통해 보다 균질화된 치밀골 형성을 유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유도공간(15) 내로 골화가 진행되면 코어(11)와 골형성 유도부재(13)의 표면으로 골들이 유착되는데, 이때, 미시적인 부분까지 골들이 세밀하게 유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픽스쳐의 고정력 향상과 더불어 추 후 발생할 수 있는 세균침투에 의한 2차 감염 등으로부터 보다 자유로울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골형성 유도부재(1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상부경사면(16), 상기 상부경사면(16)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면(17) 및 수직면(17)에서 코어(11)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하부경사면(18)을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될 수 있다.
상부경사면(16), 수직면(17) 및 하부경사면(18)은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외면을 구성하며 치조골에 쐐기작용을 가하지 않는 선에서 서로 각이 지도록 접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면(17)은 도 6의 확대도시된 바와 같이 골와동(H2) 내벽면과 평행한 면으로서 골와동(H2) 내벽면에 접촉되어 골와동(H2) 내벽면에 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수직면(17)의 상, 하 높이를 충분히 확보하지 않았다거나, 상부경사면(16), 수직면(17) 및 하부경사면(18) 사이각의 각도가 예리하게 구성될 경우, 골형성 유도부재(13)가 날카롭게 구성되어 치조골에 쐐기작용을 가하게 돼, 픽스쳐의 식립 초기 픽스쳐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 골형성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때, 상부경사면(16)과 가상의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θ1)은 21°이고, 하부경사면(18)과 가상의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θ2)은 5°로 구성하는 것이, 치조골에 쐐기작용을 최소화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아울러, 코어(11)와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 모서리 부분의 사이각(θ3)을 90°보다 큰 둔각으로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더욱 바람직하다.
만일, 코어(11)와 골형성 유도부재(13) 사이 모서리 사이각(θ3)이 90°, 혹은 90°보다 더 작아지는 예각으로 형성될 경우 이 사이각 부분으로 골이 충분히 차고들기 어려워, 픽스쳐의 표면과 치조골 사이에 공극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유발될 수 있다.
한편, 골와동(H2) 내로 픽스쳐를 식립하는 과정에서, 예정보다 더 깊게 식립되거나, 원하는 깊이대로 골와동(H2) 내에 고정되었는지 판단하는 것이 어려울 수 있다.
이때, 골형성 유도부재(13)의 위치를 통해 픽스쳐의 식립 깊이를 가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픽스쳐가 원치 않게 깊게 식립되는 일이 없이 계획한 깊이대로 식립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13) 중 최상단의 골형성 유도부재(13), 예컨대 제1 골형성 유도부재(13a)는 숄더부(20)의 하단에 접해 숄더부(20)와 일체화되되, 상부경사면(16)이 숄더부(20)의 하단에서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최상단 골형성 유도부재(13)를 픽스쳐의 식립된 깊이를 판단하는 기준으로 활용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상단의 골형성 유도부재(13)의 경우엔 필요에 따라 상부경사면(16)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의 표면에는 수산화인회석(Hydroxy Apatite) 파우터로 블라스팅 처리가 될 수 있으며, 이어서, 수산화인회석을 고온의 플라즈마 상태로 코팅하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표면처리릍 통해, 픽스쳐의 강도, 적절한 표면 마찰계수 확보 등 기계적 성질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 골과 임플란트의 이종재료 간 친화력을 향상시켜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 향상에 기여한다.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픽스쳐는 픽싱부의 나선구간에서 나선형 결합부재에 의해 골와동 내벽면에 나선생성을 하며 결합되기 때문에 치조골에 강하게 결합되어 초기 고정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동시에, 픽스쳐의 침하, 끼임, 방향의 틀어짐 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있으며, 유도구간에서는 골형성 유도부재가 골와동 내벽면에 물리적인 자극을 가하지 않는 선에서 마련되므로 픽싱부의 유도구간 주변의 치조골에서는 골의 물리적인 손상이 없고, 혈액 공급이 원활이 이루어진다는 이점으로 인해, 골회복이 빠르게 유도되고, 보다 강한 피질골 형성을 가능케 함으로써, 전체적인 임플란트 시술 기간을 단축시키고, 픽스쳐 식립 후 발생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픽싱부
20: 숄더부
Z1: 나선구간
Z2: 유도구간
11: 코어
12: 나선형 결합부재
13: 골형성 유도부재
14: 절개홈
15: 유도공간
16: 상부경사면
17: 수직면
18: 하부경사면
H1: 장착구
H2: 골와동
d1: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대직경
d3: 골형성 유도부재의 직경
d4: 골와동의 직경

Claims (5)

  1. 골와동 내로 삽입되며, 길이방향으로 나선구간과 유도구간이 구분되되, 하부에 나선구간이, 상부에 유도구간이 각각 구분되는 픽싱부; 및
    상기 픽싱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협하광의 콘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평탄한 외면을 가지고 상, 하 높이는 1mm로 이루어지는 숄더부;를 포함하며,
    상기 픽싱부는,
    코어;
    상기 코어의 하부 외주면의 나선구간에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최대직경은 기형성된 골와동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어 골와동의 내벽면에 나사체결 방식으로 식립되되, 골직경은 기형성된 골와동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코어의 표면과 골와동 내벽면에 일정 거리가 부여되는 나선형 결합부재; 및
    상기 코어의 상부 외주면의 유도구간에 원형 띠 형태로서 골와동 내벽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되, 골와동의 내벽면에 접촉되도록 직경은 기형성된 골와동의 직경과 동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대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지는 골형성 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유도구간에는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가 상, 하 방향으로 이격 형성되어 인접한 골형성 유도부재 사이에 유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대직경은 골형성 유도부재의 직경보다 0.3mm 크게 형성되어 나선형 결합부재의 최외곽 둘레가 골형성 유도부재의 최외곽 둘레 부분에서 외측으로 0.15mm 옵셋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 각각은,
    외곽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지는 상부경사면;
    상기 상부경사면에서 하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면; 및
    수직면에서 코어측을 향해 하향 경사지는 하부경사면;을 포함하며,
    상기 상부경사면과 가상의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은 21°이고, 하부경사면과 가상의 수평선이 이루는 사이각은 5°로 구성되며,
    상기 코어와 골형성 유도부재 사이 모서리 부분의 사이각은 90°보다 큰 둔각으로 형성되며,
    상부경사면이 숄더부의 하단에서 하부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복수 개의 골형성 유도부재는,
    골형성 유도부재를 통해 픽스쳐의 식립 깊이를 파악할 수 있도록 숄더부의 하단에 접해 숄더부와 일체화되는 제1 골형성 유도부재; 및
    상기 제1 골형성 유도부재에서 하방으로 이격되는 제2 골형성 유도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골형성 유도부재와 제2 골형성 유도부재는 골와동 내벽면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같은 직경으로 형성되되, 골와동의 직경과 동일한 직경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면은 골와동 내벽면과 평행한 면으로서 골와동 내벽면에 접촉되어 골와동 내벽면에 접하게 형성되며,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는 골와동의 내벽면에 식립되어 주변 골에 쐐기작용을을 하여 식립 초기의 물리적 결합력을 보장하고,
    상기 골형성 유도부재는 골와동의 내벽면에 접하나 골와동의 내벽면에 물리적인 손상을 가지지 않고 혈액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하여 골회복을 빠르게 유도하고 강한 피질골의 형성을 가능하게 하며,
    상기 나선형 결합부재에는 나선형 결합부재에 의해 절삭되는 칩의 배출, 세척수의 공급을 위한 절개홈이 형성되고 상기 절개홈은 픽싱부의 상, 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으로 형성되고 일정 각도의 위상차를 두고 나선형 결합부재의 사방에 형성되며,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도록 중앙에는 상부로 개방되는 장착구가 함몰 형성되되, 장착구의 측벽은 상광하협 형태로 일정 각도 구배가 형성되며, 표면에는 수산화인회석 파우터로 블라스팅 처리된 뒤 수산화인회석을 고온의 플라즈마 상태로 코팅하는 표면처리가 이루어지는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66251A 2020-06-02 2020-06-0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259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51A KR102259790B1 (ko) 2020-06-02 2020-06-0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6251A KR102259790B1 (ko) 2020-06-02 2020-06-0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790B1 true KR102259790B1 (ko) 2021-06-03

Family

ID=76396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6251A KR102259790B1 (ko) 2020-06-02 2020-06-02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790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27857B1 (en) * 1997-02-11 2001-05-08 Vincent Morgan Dental and orthopedic implant system
US6406296B1 (en) * 1993-12-27 2002-06-18 Bio-Lok International, Inc. Implant with enlarged proximal segment
KR20080103318A (ko) * 2007-05-23 2008-11-27 주식회사 덴티움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WO2010006740A2 (en) * 2008-07-14 2010-01-21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KR20160009418A (ko) * 2014-07-16 2016-01-26 (주)딥임플란트시스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592141B1 (ko) * 2015-04-14 2016-02-0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101594095B1 (ko) 2014-03-05 2016-02-15 주식회사 이비아이 혈액 수용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2082120B1 (ko) * 2017-10-11 2020-02-28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임플란트용 픽스쳐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06296B1 (en) * 1993-12-27 2002-06-18 Bio-Lok International, Inc. Implant with enlarged proximal segment
US6227857B1 (en) * 1997-02-11 2001-05-08 Vincent Morgan Dental and orthopedic implant system
KR20080103318A (ko) * 2007-05-23 2008-11-27 주식회사 덴티움 응급 임플란트용 고정체
WO2010006740A2 (en) * 2008-07-14 2010-01-21 Nobel Biocare Services Ag Compact dental implant
KR101594095B1 (ko) 2014-03-05 2016-02-15 주식회사 이비아이 혈액 수용이 용이한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20160009418A (ko) * 2014-07-16 2016-01-26 (주)딥임플란트시스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592141B1 (ko) * 2015-04-14 2016-02-04 김천대학교산학협력단 임플란트 시술용 픽스쳐
KR102082120B1 (ko) * 2017-10-11 2020-02-28 학교법인 송원대학교 임플란트용 픽스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7240B2 (ja) 骨に使用するための固定要素
US8128402B2 (en) Tubular bone anchoring element
AU733051B2 (en) Bone anchoring element
CA2941664C (en) Dental implant
EP3113717B1 (en) Dental implant
US20070162024A1 (en) Implant for anchoring in bones
KR101092312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0456270Y1 (ko) 임플란트용 픽스츄어
KR20110084147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JP2011528589A (ja) 顎骨へ埋め込むインプラント、補綴歯根、および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2011104222A (ja) 歯科インプラント
US20110070557A1 (en) Dental implant
KR10225979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20220159787A (ko) 치과 보철용 픽스쳐 및 이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
US20120046697A1 (en) Anchoring element and method
CN109528328B (zh) 引导骨成形装置
KR20190043697A (ko)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0919776B1 (ko) 치조골의 골 이식용 스텐트 및 그를 이용한 골 이식시 골의모양을 유지하는 방법
KR101191257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KR102290876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쳐
KR20240056160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KR20240052246A (ko) 치과 임플란트용 힐링 어버트먼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