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09418A -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09418A
KR20160009418A KR1020140089964A KR20140089964A KR20160009418A KR 20160009418 A KR20160009418 A KR 20160009418A KR 1020140089964 A KR1020140089964 A KR 1020140089964A KR 20140089964 A KR20140089964 A KR 20140089964A KR 20160009418 A KR20160009418 A KR 201600094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bacteria
machined
alveolar bone
maxillary sin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99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찬
Original Assignee
(주)딥임플란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딥임플란트시스템 filed Critical (주)딥임플란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400899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09418A/ko
Publication of KR201600094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941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6Production meth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2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 A61C8/0013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composition, e.g. ceramics, surface layer, metal alloy with a surface layer, coa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치조골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통부; 및 몸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몸통부에 형성된 나사산이 연장되지 않는 비나사산면을 가지되, 표면이 활택하게 마련되는 활택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DENTAL IMPLANT FIXTURE}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활택부가 마련되어 세균이 픽스츄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각종 임플란트 주위 감염의 예방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임플란트는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것을 말한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는 대체 치근을 이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 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킨다.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은 물론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와 같이 치과에서 행하는 임플란트 시술은 잇몸뼈,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매식하는 수술과정과, 매식된 픽스츄어에 어버트먼트를 연결하여 인공치아를 장착하는 보철과정으로 구분된다. 여기서, 명칭과 관련하여 의학적으로는 복잡하게 분류되지만, 이하에서는, 기저골(basal bone)과 치조골(alveolar bone)을 합쳐서 잇몸뼈 내지 치조골이라 칭하기로 한다.
이러한 임플란트의 시술법은 다양하게 있을 수 있는데 그 중 일 예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치조골에 드릴링(drilling) 및 탭핑(tapping) 과정을 거쳐 픽스츄어(Fixture) 치수에 부합하는 홈을 형성하고, 치조골에 픽스츄어를 매식하게 된다.
다음으로, 보철물 제작을 위해 임프레션 코핑을 픽스츄어 상부에 체결하고 이어서 인상재를 사용하여 구강 내에서 예비 인상을 채득 후 임프레션 코핑을 제거한다.
그런 다음에, 치아 모형을 제작하고 인공치관을 기공한 후 픽스츄어 상부에 어버트먼트(Abutment)를 체결하고, 어버트먼트 위에 보철물, 즉, 인공치관을 고정하여 인공치아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임플란트 시술 중 상악 구치부에서의 임플란트 성공률은 하악 구치부 등 다른 부위에서의 성공률에 비해 비교적 낮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상악 구치부의 골질이 비교적 약하고, 그 내측에 상악동(maxillary sinus)이 있으므로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상악 구치부의 상부에 존재하는 상악동은, 막으로 둘러싸인 공간으로 치아가 상실되면 하측으로 내려오면서 확장되는 함기화가 진행되는데, 상악 구치부의 치아가 상실되면 치아 상실에 따른 골 흡수와 함께 하방으로의 확장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식립할 수 있는 골량이 부족하게 되고, 이로 인해 상악 구치부에 임플란트를 식립하기가 어려워지게 된다.
여기서, 종래 상악동 막의 거상 후 골이식재를 이식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임플란트 시술의 경우, 상악 구치부의 상악동 막(51)을 거상시켜 공간을 확보하고, 확보된 공간에 골이식재(60)를 이식하며 여기에 픽스츄어(10)를 매식 후 어버트먼트(20)와 인공치관(30)을 결합하게 되는 상악동 거상술(sinus elevation)이 사용되었다.
하지만, 최근 서울대학교 여인성 교수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상악동 막(51)을 뚫고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의 일부가 상악동(50) 내부로 들어가는 경우에도, 임플란트가 안정적으로 제기능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에 의해, 향후 상악동 막(51)을 뚫고 픽스츄어(10)의 일부가 상악동(50)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되는 새로운 임플란트 수술법이 시행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상악동(50)은 비강(nasal cavity, 미도시)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비강(미도시)을 통해 외부 공기가 상악동(50) 내부로 유입되면서 외부 공기와 함께 세균도 상악동(5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만약, 종래 임플란트가 상악동 막을 뚫고 상악동 내부에 위치하여 세균에 공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 픽스츄어(10)의 둘레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는 종래의 임플란트를 사용하여, 새로운 시술법에 따라 상악동 막(51)을 뚫고 픽스츄어(10)의 끝부분이 상악동(50) 내부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면, 비강(미도시)을 통해 상악동(50) 내부로 유입된 세균이 픽스츄어(10) 단부의 나사산 부분에 부착되어 거친 표면의 나사산을 타고 내려오면서 치조골(40)을 공격(도 2의 A 참조)하여 임플란트 주위염 등의 다양한 감염질환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종래 임플란트의 경우, 상악동 막(51)을 뚫어 시술하는 새로운 수술방식에는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대부분의 임플란트에 나사산 내지, 나사산의 역할을 하는 비드(Bead, 예를 들어 Endopore 임플란트) 또는 핀(Fin, 예들 들어 Bicon 임플란트)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나사산을 포함하는 나사 구조물, 나사산의 역할을 하는 비드(Bead) 또는 핀(Fin)과, 임플란트의 거친 표면이 세균의 부착을 일으키기 때문이다.
대한민국등록특허 등록번호 : 제10-0817209호 (공고일자 : 2008년03월27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활택부가 마련되어 세균이 픽스츄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부터, 임플란트의 시술 후 세균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의 감염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치조골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이 연장되지 않는 비나사산면을 가지되, 표면이 활택하게 마련되는 활택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택부는, 세균의 부착 방지를 위해 표면이 가공된 가공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택부는 기계적으로 연마 가공된 연마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택부의 상기 가공면은 표면거칠기가 0.1㎛ ~ 0.5㎛의 범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면은,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되는 세로방향가공면; 및 상기 세로방향가공면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가공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택부는 세균의 부착 방지를 위해 코팅처리된 코팅면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팅면은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택부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택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치조골을 관통하여 상기 상악동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몸통부에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체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활택부가 마련되어 세균이 픽스츄어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부터, 임플란트의 시술 후 세균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의 감염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활택부의 표면이 코팅처리되면 코팅처리되지 않은 경우보다 임플란트의 시술 후 세균을 통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의 감염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배가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상악동 막의 거상 후 골이식재를 이식하여 픽스츄어를 매식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임플란트가 상악동 막을 뚫고 상악동 내부에 위치하여 세균에 공격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상악동 막을 뚫고 상악동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몸통부에 대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몸통부와 활택부의 상대크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활택부가 코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나사산은 나사구조물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나사산의 역할을 대신하여 나사산과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는 비드(Bead, 예를 들어 Endopore 임플란트) 또는 핀(Fin, 예들 들어 Bicon 임플란트)의 개념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즉,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그 변형에 대한 모든 그림을 도시할 수 없으므로, 나사는 다음와 같이 이해되어져야 한다.
본 명세서의 도면에서는 모든 임플란트가 나사를 가지는데 이는 뼈에 힘을 가하는 하나의 구조일 뿐이며, 일부 임플란트에서는 비드(Bead)를 가지고, 또한, 일부에서는 핀(Fin)을 가질 수 있음을 전술하였다.
그러므로 근첨부에 활택한 부분을 가지는 임플란트 중에서 나사 대신 비드(bead)나 핀(Fin)을 가지는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도 본 발명의 권리 범위 안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즉, 비드(Bead)와 핀(Fin) 또한 세균 감염의 온상이 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서 나사의 개념은 비드(bead)와 핀(Fin)의 개념을 포함한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가 상악동 막을 뚫고 상악동 내부에 안착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다양한 형상을 갖는 몸통부에 대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몸통부와 활택부의 상대크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에서 활택부가 코팅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는, 치조골(400)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10)이 형성되는 몸통부(200)와, 몸통부(2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몸통부(200)에 형성된 나사산(210)이 연장되지 않는 비나사산면을 가지되, 표면이 활택하게 마련되는 활택부(3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통부(200)의 하방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가 치조골(400)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에서의 하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어버트먼트(600)가 결합되는 부분의 반대 부분이 몸통부(200)의 하방에 해당된다.
임플란트는 치조골(400)에 매식 후 골융합이 일어나면 오로지 구강과 개통을 하게 되고, 구강에는 수많은 세균이 존재하여 항상 감염의 가능성이 존재하므로 이를 억제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이 강구되어 왔으며, 이에 대해, 현재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에는 구강으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방안이 연구되고 있었는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장래에 상악동(800) 내부에 픽스츄어(100)가 안착되는 임플란트 시술이 시행된다면, 구강으로부터의 감염뿐만 아니라 상악동(800)으로부터의 감염이 문제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최근, 치주과학회 공인 학술지인 JPIS(Journal of Periodontal & Implant Science)에는, '상악 구치부의 제한된 수직 골 높이를 가지는 환자에 있어서 상악동 막을 관통하는 임플란트 시술의 성공률과 임플란트 주위 치조골 높이의 변화(Peri-implant bone length changes and survival rates of implants penetrating the sinus membrane at the posterior maxilla in patients with limited vertical bone height)'라는 제목의 학술논문(Research Article, 저자 : 김혜영, 양진용, 정보윤, 김정찬, 여인성)이 게재되었는데, 상기 학술논문은 2013년 03월 27일에 접수되어 2013년 04월 10일에 승인된 것으로, 상기 학술논문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상악동 막(810)을 관통하여 임플란트를 시술하는 경우에도 성공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학술논문은, 상악 구치부 부분 무치악 상태인 환자 39명을 대상으로 치료기록 및 파노라마를 검토하고 분석하였다.
여기서, 환자들을 대상으로, 픽스츄어(100)가 상악동 막(810)을 관통하여 상악구치부에 식립되도록 하였으며, 임플란트 식립 4 개월 후 임시 레진 수복물을 임시 접착제로 어버트먼트(600)에 접착하여 한 달간 사용하였다.
그 후, 어버트먼트(600) 레벨로 최종 인상을 채득하였으며, 시멘트 접착형 수복물을 상호보호교합(mutually protected occlusion)으로 접착하였다. 시술 후 부작용을 검사하고, 실패한 임플란트의 개수와 성공률을 계산하였다.
그리고, 픽스츄어(100) 주위 치조골(400)의 높이를 방사선 사진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처음 시기와 최종 시기의 픽스츄어(100) 주위 골 높이 변화를 통계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3명의 환자에서 비강(미도시)출혈이 발생하였으나 다른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픽스츄어(100)의 성공률은 100%로서 픽스츄어(100)의 실패는 없었다.
상기 학술논문의 결과에 따르면, 상악 구치부가 한정된 골 높이를 가지는 경우, 상악동 막(810)을 뚫고 임플란트를 매식하는 것이 안전하고 안정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장래에는, 상악동 거상법 뿐만 아니라, 상악동 막(810)을 뚫고 픽스츄어(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임플란트 시술법이 행하여질 가능성이 높다고 할 것이다.
하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픽스츄어 전체에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거친 면(Roughness)이 존재하는 종래 픽스츄어의 경우, 이러한 새로운 시술법에 의하면 비강(미도시)을 통해 상악동(800)으로 유입된 세균에 감염되어 각종의 감염질환을 유발할 위험이 존재하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종래 구강으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의 감염방지 방식으로서, 구강으로부터의 감염이 아니라, 상악동으로부터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픽스츄어이다.
기존의 수술법은 구강으로부터의 감염만 방지하면 되었지만, 새로운 수술법이 적용되면, 상악동으로부터의 감염이라는 새로운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픽스츄어가 요구될 것이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상기의 새로운 수술법에 가장 적합한 픽스츄어라 할 것이다.
즉, 새로운 수술법은 픽스츄어의 하단부가 구강과 비강에 동시에 노출되는데, 비강 노출부의 감염 방지를 위한 픽스츄어가 현재 개발된 바 없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비강 노출부의 감염방지를 도모할 수 있어 종래의 기술과 차별되는 바, 이하, 활택부(300)에 의해 세균 감염을 방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몸통부(200)는 치조골(400)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210)이 형성되는데, 몸통부(200)가 회전하게 되면 몸통부(200)의 나사산(210)도 이에 연동되어 회전하며, 몸통부(200)의 나사산(210)이 회전하면서 치조골(400)에 매식된다.
즉, 임플란트용 드릴을 사용하여 치조골(400)에 관통개구(410, 도 5 참조)가 형성되면, 치조골(400)에 형성된 관통개구(410)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는 몸통부(200)가 관통개구(410)에 삽입된 후 회전하면서 치조골(400)에 매식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다양한 형상을 갖는 몸통부를 도시하고 있는데, 여기서, 도면에 도시된 바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는, 활택한 근첨부를 가지면서 치관부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몸통부(200)에 형성되는 나사산(210)은 다양한 크기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후술하는 활택부(300)가 몸통부(200)로부터 연장형성되어 마련된다면, 몸통부(200)의 크기와 형상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여기서, 나사산(210)의 크기와 형상은 치조골(400)의 크기, 밀도, 임플란트 시술부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리고,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몸통부(200)에는 어버트먼트(600)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체결부(500)가 마련될 수 있다.
즉, 몸통부(200)는 어버트먼트체결부(500)없이 몸통부(200)와 어버트먼트(600)가 일체형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어버트먼트체결부(500)를 통해 어버트먼트(600)가 몸통부(200)에 체결 및 분리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어버트먼트체결부(500)는 몸통부(200) 중에서 활택부(300)가 연장형성되는 측면의 반대측에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어버트먼트체결부(500)에 체결된 어버트먼트(600)에는 인공치관(7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상악동 막(810)을 뚫고 픽스츄어(100)의 일부가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새로운 임플란트 시술법에 의할 경우, 활택부(300)는 적어도 일부분이 치조골(400)을 관통하여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활택은 미끄럽고 광택이 있다라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지만, 반드시 광택이 있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며, 세균이 활택부(300)에 부착될 수 없다면 광택의 유무는 중요한 요소가 아님을 밝혀둔다.
그리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활택부(300)는 그 표면에 나사산(210)과, 표면파형(Waviness)과, 거친 면(Roughness)이 없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활택부(300)의 표면에 나사산(210), 표면파형 및 거친 면을 제거하여 세균이 활택부(300)에 달라붙지 못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활택부(300)는 몸통부(200)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몸통부(200)에 형성된 나사산(210)이 연장되지 않는 비나사산면을 가지되, 그 표면에 표면파형과, 거친 면이 없도록 활택하게 마련된다.
여기서, 거친 면과 나사산(210)이 세균의 공격에 취약함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므로, 만약, 활택부(300)에 나사산(210)이 형성되어 있다면 상악동(800)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이 나사산(210)에 침범하여 치조골(400)측으로 이동하면서 치조골(400)을 공격하게 된다.
따라서, 활택부(300)는 나사산(210)을 제거하고 그 표면에 표면파형과, 거친 면 역시 제거하여 세균이 침범할 수 없도록 마련되며, 이에 의해, 세균이 활택부(30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악동(800) 내부에 존재하는 세균이 활택부(300)에 부착하려는 경우 활택부(300)의 표면에서 미끄러져 부착되지 못해(도 3의 B 참조) 죽게 되는데, 이에 의해, 세균에 의한 임플란트의 감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활택부(300)는 표면이 가공된 가공면(Machined Surface, 310)을 갖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세균의 부착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균이 미끄러져 부착이 방지될 수 있는 표면을 가지도록 활택부(300)의 표면을 가공할 수 있다.
여기서, 활택부(300)의 가공면(310)은 고도로 매끄럽고 평활하게 가공된 가공면(Highly Smooth Machined Surface)을 가지기 위해, 활택부(300) 표면의 표면거칠기가 0.1㎛ ~ 0.5㎛의 범위를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고도의 매끄러운 활택부(300)의 가공에 의해 상악동(800)에 존재하는 세균이 활택부(300)에 부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를 위해, 활택부(300)는 기계적으로 연마 가공된 연마면을 가질 수 있다. 즉, 기계적인 연마 가공을 통해 활택부(300)의 표면이 고도로 매끄럽고 평활하게 가공된 가공면(310)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가공면(310)은 세로방향가공면(311)과, 가로방향가공면(31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방향가공면(311)은 몸통부(200)로부터 연장되게 마련되는데, 여기서, 세로방향가공면(311)은 전술한 바와 같이, 세균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도로 매끄럽고 평활하게 가공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방향가공면(312)은 세로방향가공면(311)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여기서, 가로방향가공면(312) 역시 고도로 매끄럽고 평활하게 가공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활택부(300)는 원뿔형상으로 마련되어 가로방향가공면(312) 없이 세로방향가공면(311)만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한, 활택부(300)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를 참조하면, 활택부(300)의 직경(d1)은 몸통부(200)의 나사산(210)의 직경(d3)보다 작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활택부(300)의 직경(d1)은 치조골(400)에 형성된 관통개구(410)의 직경(d2)보다 작게 마련되고, 몸통부(200)의 나사산(210)의 직경(d3)은 관통개구(410)의 직경(d2)보다 크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활택부(300)의 직경(d1)이 관통개구(410)의 직경(d2)보다 작은 경우 활택부(300)는 관통개구(410)를 관통하여 상악동(800)에 안착될 수 있다. 그리고, 몸통부(200)의 나사산(210)의 직경(d3)이 관통개구(410)의 직경(d2)보다 크므로, 몸통부(200)의 회전에 의해 몸통부(200)의 나사산(210)이 치조골(400)에 매식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를 참조하면, 활택부(300)의 높이(h1)는 대략 3mm를 가질 수 있으며, 치조골(400)의 높이(h2)는 대략 3mm ~ 5mm 사이의 값을 가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물론, 활택부(300)의 높이(h1)와 치조골(400)의 높이(h2)는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양한 높이를 가지도록 변화가 가능함을 밝혀 둔다.
도 6을 참조하면, 활택부(300)는 표면 가공에 의해 세균의 부착이 방지되는 것보다 향상된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활택부(300)의 표면에 코팅처리된 코팅면(320)을 가질 수 있다.
즉, 활택부(300)의 표면을 코팅처리하는 것에 의해 활택부(300)의 표면이 보다 매끄러워지므로, 코팅되지 않은 활택부(300)의 표면에서 세균이 부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보다 나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활택부(300)의 표면이 코팅처리되는 것에 의해 코팅처리되지 않은 경우보다 훨씬 뛰어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코팅면(320)은 티타늄 내지 다양한 종류의 티타늄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로 활택부(300)의 표면을 코팅할 수 있다.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는 활택부(300)의 표면을 매끄럽게 할 뿐만 아니라 생체적합성이 뛰어나 인체의 거부반응이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활택부(300)의 코팅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에서, 활택부(300)가 마련되어 세균이 픽스츄어(100)에 부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부터, 각종 감염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것에 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최근, 치주과학회 공인 학술지인 JPIS의 학술논문에 따르면, 상악동 막(810)을 뚫고 픽스츄어(100)의 일부가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도록 마련되는 새로운 임플란트 시술법은 임플란트 시술과 관련하여 안전하고 안정적인 치료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100)의 경우, 몸통부는 치조골(400)에 매식되어 결합되고, 활택부(300)는 상악동(800)을 관통하여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악동(800) 내부에는 비강(미도시)을 통해 공기와 함께 유입되는 세균이 존재하는데, 픽스츄어(100)의 적어도 일부가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는 경우 이러한 세균에 의해 상악동 점막 및 치조골(400)이 감염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악동(800) 내부에 안착되는 활택부(300)는 세균의 부착을 방지할 수 있도록 고도로 연마 가공될 수 있으며, 또한,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를 사용하여 활택부(300)를 코팅할 수 있다.
즉, 세균이 고도로 연마 가공된 활택부(300)의 표면, 또는,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에 의해 코팅된 활택부(300)의 표면에서 미끄러져 부착되지 못하고 죽도록 마련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악동(800) 내부의 세균이 활택부(300)에 부착되지 못하므로 치조골(400)의 세균감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임플란트의 시술 후 세균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각종의 감염질환의 예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픽스츄어 200 : 몸통부
210 : 나사산 300 : 활택부
310 : 가공면 311 : 세로방향가공면
312 : 가로방향가공면 320 : 코팅면
400 : 치조골 410 : 관통개구
500 : 어버트먼트체결부 600 : 어버트먼트
700 : 인공치관 800 : 상악동
810 : 상악동 막

Claims (10)

  1. 치조골에 결합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는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몸통부에 형성된 상기 나사산이 연장되지 않는 비나사산면을 가지되, 표면이 활택하게 마련되는 활택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는, 세균의 부착 방지를 위해 표면이 가공된 가공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는 기계적으로 연마 가공된 연마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의 상기 가공면은 표면거칠기가 0.1㎛ ~ 0.5㎛의 범위를 가지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면은,
    상기 몸통부로부터 연장되는 세로방향가공면; 및
    상기 세로방향가공면의 단부에서 가로방향으로 형성되는 가로방향가공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는 세균의 부착 방지를 위해 코팅처리된 코팅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면은 티타늄 나이트라이드(TiN)로 코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의 직경은 상기 몸통부의 상기 나사산의 직경보다 작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택부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치조골을 관통하여 상기 상악동 내부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에 마련되며 어버트먼트가 체결되는 어버트먼트체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20140089964A 2014-07-16 2014-07-16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2016000941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64A KR20160009418A (ko) 2014-07-16 2014-07-16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9964A KR20160009418A (ko) 2014-07-16 2014-07-16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9418A true KR20160009418A (ko) 2016-01-26

Family

ID=55307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9964A KR20160009418A (ko) 2014-07-16 2014-07-16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0941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56A (ko) * 2017-12-12 2019-06-20 김태훈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259790B1 (ko) * 2020-06-02 2021-06-03 주식회사 위드웰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20240056160A (ko) 2022-10-21 2024-04-30 (주)엠지뉴턴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09B1 (ko) 2006-10-16 2008-03-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209B1 (ko) 2006-10-16 2008-03-2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9756A (ko) * 2017-12-12 2019-06-20 김태훈 임플란트용 어버트먼트
KR102259790B1 (ko) * 2020-06-02 2021-06-03 주식회사 위드웰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20240056160A (ko) 2022-10-21 2024-04-30 (주)엠지뉴턴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및 그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rthington et al. The Swedish system of osseointegrated implants: problems and complications encountered during a 4-year trial period.
Aparicio et al. The use of zygomatic implants for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the severely resorbed maxilla
Garber et al. Immediate total tooth replacement
Mericske-Stern et al. Optimal number of oral implants for fixed reconstruc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Bahat et al. Parameters for successful implant integration revisited part I: immediate loading considered in light of the original prerequisites for osseointegration
Finne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on 1-piece implants. part 1: marginal bone level evaluation after 1 year of follow-up.
Warreth et al. Dental implants: An overview
Kim et al. Prognosis of single molar implants: a retrospective study.
Balshi et al. A prospective analysis of immediate provisionalization of single implants
Raes et al. Immediate functional loading of single implants: a multicenter study with 4 years of follow-up
US10806548B2 (en) Methods and devices for countering gingival effects in dental restoration
Lee Selectable implant removal methods due to mechanical and biological failures
KR20160009418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CA2959587C (en) Restoration dental implant system and method
Hwang et al. Ideal implant positioning in an anterior maxillary extraction socket by creating an apico-palatal guiding slot: a technical note.
Nair et al. Custom milled zirconia implant supporting an ceramic zirconia restoration: a clinical report
Wee et al. Implant Fracture After Screw Fracture in a TissueLevel Implant: A Case Report
Swart et al. Early loading of mandibular implants placed immediately after extraction: a 10-year prospective study of eight patients.
Manela Shill et al. Clinical complications with implant prosthesis: A
Ratiu et al. Immediate loading all on 4-all on 6 in total maxillary edentulous
US20230210639A1 (en) Dental support screw
Daouahi et al. Management of missing second premolar with single-tooth implant using flapless surgery
Zinner et al. Solutions to complications of implant therapy
KR200493322Y1 (ko) 치과용 임플란트
Zhang et al. Clinical Study of Flapless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nd Immediate Restoration of Single Tooth in the Oral Aesthetic Reg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