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9404B1 -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9404B1
KR102259404B1 KR1020200097102A KR20200097102A KR102259404B1 KR 102259404 B1 KR102259404 B1 KR 102259404B1 KR 1020200097102 A KR1020200097102 A KR 1020200097102A KR 20200097102 A KR20200097102 A KR 20200097102A KR 102259404 B1 KR102259404 B1 KR 1022594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be
learning
explanation
book
commen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현정
Original Assignee
심현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정 filed Critical 심현정
Priority to KR1020200097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94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94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94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63F9/0838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an element, e.g. invisible core, staying permanently in a central position having the function of central retaining spider and with groups of elements rotatable about at least three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 A63F9/0842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an element, e.g. invisible core, staying permanently in a central position having the function of central retaining spider and with groups of elements rotatable about at least three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each group consisting of again a central element and a plurality of additional elements rotatable about three orthogonal axes at both ends, the additional elements being rotatable about at least two axes, e.g. Rubik's c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2Back of leaves or signatures prepared for bi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1/00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 B42D1/009Books or other bound products characterised by printed mat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08Ornamented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DBOOKS; BOOK COVERS; LOOSE LEAVES; PRINTED MATTER CHARACTERISED BY IDENTIFICATION OR SECURITY FEATURES; PRINTED MATTER OF SPECIAL FORMAT OR STYLE NOT OTHERWISE PROVIDED FOR; DEVICES FOR USE THEREWITH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VABLE-STRIP WRITING OR READING APPARATUS
    • B42D3/00Book covers
    • B42D3/12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 B42D3/14Book cover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ith column markers or line or heading indicators with devices for indicating a pag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Multimedia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큐브 학습용 해설집, 큐브를 활용한 학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큐브 학습용 해설집은,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해설집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해설집은, 책의 외관을 이루는 표지; 및 상기 표지 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속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속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큐브들에 대한 페이지를 구분하는 차례(contents)를 포함하는 차례 표시 속지부; 상기 차례 표시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단위 해설집에 나타난 해당 큐브에 대해 설명하는 큐브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의 명칭을 설명하는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의 회전기호를 설명하는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를 맞추는 순서를 설명하는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 및 상기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를 맞추는 방법을 단계(step)별로 해설하는 단계별 해설 속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A teaching and learning solution book for a cube and study method using the cube}
본 발명은, 큐브 학습용 해설집, 상기 큐브를 활용한 학습방법 및 그 방법을 수행하는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 또는 취급하기가 편리하며, 해설 내용이 체계적으로 또한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배우기 쉬운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큐브(cube)는 여섯 가지 색의 플라스틱 주사위 27개로 된 정육면체의 각 면을 같은 빛깔로 맞추는 장난감의 일종이다. 각 면이 가로세로 세 줄씩 되어 있으며 줄마다 360도 회전할 수 있다. 헝가리의 건축가 루빅이 발명하였다.
큐브는 정육면체의 단위블록들이 모여 구성된 하나의 큰 정육면체를 형성하는 것이 기본 구조이나, 최근에는 여러 형태의 큐브가 개발되는 실정이다.
한편, 큐브를 제대로 맞추려면, 혹은 큐브에 대한 정확한 원리를 이해하고 학습하려면 큐브의 종류에 맞는 해설집이 필요하다.
다만, 현존하는 큐브 해설집은 여러 종의 큐브에 관한 해설 내용이 한 권으로 되어 있어서 불편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기존에 알려지지 않은 신개념의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2-0009463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6-003055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18-0113606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20-0033602호
본 발명의 목적은,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 또는 취급하기가 편리하며, 해설 내용이 체계적으로 또한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배우기 쉬운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규크 학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해설집을 포함하며, 상기 단위 해설집은, 책의 외관을 이루는 표지; 및 상기 표지 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속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속지는, 서로 다른 종류의 큐브들에 대한 페이지를 구분하는 차례(contents)를 포함하는 차례 표시 속지부; 상기 차례 표시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단위 해설집에 나타난 해당 큐브에 대해 설명하는 큐브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의 명칭을 설명하는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의 회전기호를 설명하는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 상기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를 맞추는 순서를 설명하는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 및 상기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상기 큐브를 맞추는 방법을 단계(step)별로 해설하는 단계별 해설 속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복수 개의 속지는, 상기 단계별 해설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학습자의 학습 기록을 기재하는 학습 기록 속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속지는, 상기 학습 기록 속지부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다른 큐브에 대한 종류별 설명을 기록하는 큐브 종류별 설명 속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이 담긴 기록매체가 삽입되면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의해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한 학습자의 큐브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 결과를 출력 및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학습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은, 큐브에 대한 해설이 기록된 단위 해설집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큐브 학습은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한 학습자의 문제 풀이 과정일 수 있다.
또한, 학습 결과는 상기 기록매체에 누적되어 다음 학습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 또는 취급하기가 편리하며, 해설 내용이 체계적으로 또한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배우기 쉬운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학습용 해설집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b는 제1 단위 해설집에 대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24는 제1 단위 해설집을 이루는 각 페이지의 이미지들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어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여지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려고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 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같은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때에 따라 같은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
도 1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큐브 학습용 해설집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b는 제1 단위 해설집에 대한 도면이며, 도 2 내지 도 24는 제1 단위 해설집을 이루는 각 페이지의 이미지들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큐브 학습용 해설집(100)은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해설집(100a~100f...)을 포함한다.
이처럼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 또는 취급하기가 편리하며, 해설 내용이 체계적으로 또한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배우기 쉬운 이점이 있다.
이중에서 제1 단위 해설집(100a)을 소개하면, 제1 단위 해설집(100a)은 책의 외관을 이루는 표지(110a,110b)와, 표지(110a,110b) 내에 마련되는 복수 개의 속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및 도 24에 도시된 것처럼 제1 단위 해설집(100a)의 표지(110a,110b)에는 다양한 큐브 중에서 보이드라 불리는 큐브가 인쇄된다. 따라서, 제1 단위 해설집(100a)은 보이드 큐브에 대한 독립적인 설명이 들어 있다.
표지(110a,110b)는 속지(120)보다 두껍게 제작할 수 있으며, 도시된 것을 벗어나 흥미를 끌기 위한 다양한 패턴으로 인쇄될 수 있다.
그리고, 속지(120)는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즉 속지(120)는 서로 다른 종류의 큐브들에 대한 페이지를 구분하는 차례(contents)를 포함하는 차례 표시 속지부(121)와, 차례 표시 속지부(121)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단위 해설집(100a)에 나타난 해당 큐브, 즉 보이드에 대해 설명하는 큐브 설명 속지부(122)와, 큐브 설명 속지부(122)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의 명칭을 설명하는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123)와,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123)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의 회전기호를 설명하는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와,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를 맞추는 순서를 설명하는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와,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를 맞추는 방법을 단계(step)별로 해설하는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와,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학습자의 학습 기록을 기재하는 학습 기록 속지부(127)와, 학습 기록 속지부(127)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다른 큐브에 대한 종류별 설명을 기록하는 큐브 종류별 설명 속지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차례 표시 속지부(121)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서로 다른 종류의 큐브들에 대한 페이지를 구분하는 차례(contents)를 포함하는 부분이다.
큐브 설명 속지부(122)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차례 표시 속지부(121)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단위 해설집(100a)에 나타난 해당 큐브, 즉 보이드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이다.
실제, 형상을 보여주지 않고 보이드라 하면 큐브의 형상이 떠오르지 않지만, 큐브 설명 속지부(122)를 통해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다.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123)는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큐브 설명 속지부(122)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의 명칭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는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123)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의 회전기호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는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를 맞추는 순서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큐브를 맞추기 위해서는 설명을 해야 하는데, 설명을 위해서는 큐브에 대한 각 부분의 기호, 혹은 회전 방향, 맞추는 순서 등이 미리 정해져야 한다. 이를 규칙화해서 설명한 부분이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 및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이다. 따라서, 사용자는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124) 및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를 좀 더 명확하게 숙지할 필요가 있다.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는 도 8 내지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125)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큐브를 맞추는 방법을 단계(step)별로 해설하는 부분이다.
속지(120)를 구성하는 부분 중에서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의 내용이 가장 많다. 사용자는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의 내용을 한 장씩 보면서 큐브를 맞추는 방법을 습득, 즉 학습할 수 있다.
학습 기록 속지부(127)는 도 21 내지 도 22에 도시된 것처럼 단계별 해설 속지부(126)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학습자의 학습 기록을 기재하는 부분이다. 이 부분을 기재함으로써 자신의 실력을 확인할 수 있고, 또한 다음 큐브에 대한 학습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
큐브 종류별 설명 속지부(128)는 도 23에 도시된 것처럼 학습 기록 속지부(127)의 뒤 페이지를 형성하되 다른 큐브에 대한 종류별 설명을 기록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본 단위 해설집(110a)은 보이드에 관한 것이었는데, 만약 메가밍크스, 223 큐브, 아이비 등의 큐브에 관한 학습을 하려면 복수 개의 단위 해설집(100a~100f...) 중에서 해당 큐브에 대응하는 해설집을 찾아 학습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를 기반으로 작용을 하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종류가 다른 큐브에 대한 해설이 낱권으로 되어 있어서 사용 또는 취급하기가 편리하며, 해설 내용이 체계적으로 또한 간단명료하게 기술되어 있어서 배우기 쉬운 효과가 있다.
(다른 실시예)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큐브를 활용한 학습방법의 순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큐브를 활용한 학습방법은 기록매체를 이용한 것으로서, 전술한 일 실시예의 큐브 학습용 해설집(100) 내용이 담긴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삽입하는 단계(S11);
상기 컴퓨터에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구동하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설치하는 단계(S12),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S13), 큐브 학습을 진행하는 단계(S14), 큐브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 완료된 내용을 토대로 학습 상태를 체크하는 단계(S15), 체크가 완료되면 문제에 대한 답안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연산한 후, 결과를 출력하고, 해당 사용자의 학습상황을 기록하는 단계(S16)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일련적으로 설명한다.
사용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큐브 학습방법이 기록되어 있는 기록매체, 예컨대 CD 혹은 USB와 같은 기록매체를 컴퓨터에 삽입한다(S11).
그러면 컴퓨터 화면에 학습 프로그램이 연계하여 나타난다. 해당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은 사용자는 학습 프로그램을 눌러 설치한다(S12).
학습 프로그램의 설치가 완료되면,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S13). 그러면 학습할 내용 즉 해당 큐브의 해설집이 화면에 출력되며, 이 상태에서 메뉴로 들어가 자신이 학습할 대상체의 큐브를 선택한다. 그러면, 앞서 기술한 큐브 학습용 해설집(100)의 내용이 차례로 출력된다.
이 상태에서 화면에 출력된 큐브 학습용 해설집(100)의 내용을 차례로 보면서 큐브 학습을 진행한다(S14).
큐브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 완료된 내용을 토대로 학습 상태를 체크한다(S15). 체크는 문제를 풀면서 진행한다.
체크가 완료되면 문제에 대한 답안을 컴퓨터가 자동으로 연산한 후, 결과를 출력하고, 해당 사용자의 학습상황(결과)을 기록한다(S16). 기록된 학습상황은 기록매체에 누적되어 다음 사용 시 사용된다.
한편, 컴퓨터에 기록된 학습상황은 스마트폰의 앱 설치 여부에 따라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자동 전송될 수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다양한 형태의 큐브 사용법 또는 활용법을 체계적이면서도 쉽게 학습할 수 있어 큐브로 인한 다양한 장점을 획득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속한다고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큐브 학습용 해설집 100a : 단위 해설집
110a,110b : 표지 120 : 속지
121 : 차례 표시 속지부 122 : 큐브 설명 속지부
123 : 큐브 명칭 설명 속지부 124 : 큐브 회전기호 설명 속지부
125 : 큐브 맞추는 순서 설명 속지부 126 : 단계별 해설 속지부
127 : 학습 기록 속지부 128 : 큐브 종류별 설명 속지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컴퓨터에 의해 수행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이 담긴 기록매체가 삽입되면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화면에 출력하기 위한 학습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단계;
    상기 학습 프로그램에 의해 화면에 출력되는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한 학습자의 큐브 학습이 완료되면 학습 결과를 출력 및 기록하는 단계; 및
    기록된 학습 결과를 상기 학습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은,
    큐브에 대한 해설이 기록된 단위 해설집이 복수 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큐브 학습은 상기 큐브 학습용 해설집에 대한 내용을 기초로 한 학습자의 문제 풀이 과정인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결과는 상기 기록매체에 누적되어 다음 학습시 활용되는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KR1020200097102A 2020-08-04 2020-08-04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KR1022594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2A KR102259404B1 (ko) 2020-08-04 2020-08-04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2A KR102259404B1 (ko) 2020-08-04 2020-08-04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9404B1 true KR102259404B1 (ko) 2021-06-01

Family

ID=76375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02A KR102259404B1 (ko) 2020-08-04 2020-08-04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940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37Y2 (ja) * 1980-07-29 1985-03-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セツトデイスク
KR200418978Y1 (ko) * 2006-04-06 2006-06-14 박세균 정(직)육면체 블럭에 의한 북 형식의 한글교본.
KR20120009463A (ko) 2009-04-24 2012-02-01 알스톰 하이드로 프랑스 회전식 전기 기계, 특히 20 mva와 500 mva 사이의 성능 범위의 이중 급전형 비동기식 기계
KR20160030558A (ko) 2013-08-08 2016-03-18 샤먼 얀잔 뉴 머티리얼 코., 엘티디 면을 함유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3606A (ko) 2016-02-26 2018-10-16 나노시스, 인크. 낮은 카드뮴 함량 나노구조 조성물들 및 그의 사용들
KR20200033602A (ko) 2018-09-20 2020-03-30 울산과학기술원 원심력 기반 무전원 입자 농축장치 및 입자 농축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6937Y2 (ja) * 1980-07-29 1985-03-07 凸版印刷株式会社 カセツトデイスク
KR200418978Y1 (ko) * 2006-04-06 2006-06-14 박세균 정(직)육면체 블럭에 의한 북 형식의 한글교본.
KR20120009463A (ko) 2009-04-24 2012-02-01 알스톰 하이드로 프랑스 회전식 전기 기계, 특히 20 mva와 500 mva 사이의 성능 범위의 이중 급전형 비동기식 기계
KR20160030558A (ko) 2013-08-08 2016-03-18 샤먼 얀잔 뉴 머티리얼 코., 엘티디 면을 함유한 부직포 및 그 제조방법
KR20180113606A (ko) 2016-02-26 2018-10-16 나노시스, 인크. 낮은 카드뮴 함량 나노구조 조성물들 및 그의 사용들
KR20200033602A (ko) 2018-09-20 2020-03-30 울산과학기술원 원심력 기반 무전원 입자 농축장치 및 입자 농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in Egalitarian Bi/multilingualism and Trans‐semiotizing in a Global World
Hare et al. Philosophy of Education: Introductory Readings, 4e
Chiang et al. What makes an undergraduate graphic design education valuable
CN115796132A (zh) 基于知识图谱的教学教材编写方法和编写装置
Ribbins Understanding contemporary leaders and leadership in education: values and visions
KR102259404B1 (ko) 큐브 학습용 해설집을 이용한 큐브 학습 방법
Motteram et al. Second language teacher education for CALL: An alignment of practice and theory
Spencer et al. Connections, diversity, coherence: Three vignettes exploring learning with iPads in primary schools
Nomlomo et al. Signposting Foundation Phase teachers’ professional identities in selected Western Cape primary schools, South Africa
Cahn Teaching philosophy: A guide
Keith Understanding the ecology of the public speaking course
Alexander Pedagogy and culture: A perspective in search of a method
Emilia et al. A fresh look at students’ ability to read multimodal texts: A case in Indonesia
Oswald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revolution: 1960–1975
Cook MOOClm: Learner Modelling for MOOCs
DuMont Empowerment through design: Engaging alternative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the design, development and crafting of digitally-enhanced pets
Kassiola Effective Teaching and Learning in Introductory Political Theory: It All Starts with Challenging and Engaging Assigned Readings
Kassim An E-learning Package for Data Structure Using Visual Basic
Boehman Global issues in Graphic Novels [Fine Arts]
Castañeda Resources & ICT for education. Student's Instructions.
Goodwin Bridging the Gaps Left by Boredom and Sociocultural Misperceptions: Does Foreign-Film Pedagogy Hold the Answer?
Twiselton et al. The trouble with English: the challenge of developing subject knowledge in school
Kenna Geography And Film
LaGree Synthesizing Primary and Secondary Research to Drive Strategy: A Final Project for a Strategic Communication Research Course
Gupta Supplementing Instruction with Pencasts created with a SmartP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