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8210B1 -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8210B1
KR102258210B1 KR1020210020751A KR20210020751A KR102258210B1 KR 102258210 B1 KR102258210 B1 KR 102258210B1 KR 1020210020751 A KR1020210020751 A KR 1020210020751A KR 20210020751 A KR20210020751 A KR 20210020751A KR 102258210 B1 KR102258210 B1 KR 1022582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jector
test
image
dark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우
Original Assignee
이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동우 filed Critical 이동우
Priority to KR10202100207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82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8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8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91Testing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43/00Testing correct operation of photographic apparatus or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8Scale or resolution adjustme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며, 프로젝터(10)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재치부(100); 상기 프로젝터(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젝터(10)에서 투영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환경 조건을 계측하는 테스트부(200);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스트부(200)의 계측 조건을 조성하는 암실부(300); 및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테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이다.

Description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Projector test system}
본 발명은 스크린 일면에 영상 정보를 투영시키는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영상 컨텐츠를 소비하는 시간이 증대됨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는 다양한 장치에 대한 관심 또한 종속적으로 증대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OTT(Over The Top) 서비스를 접목시킨 스마트 TV나 프로젝터를 예로 들 수 있다.
이 중에서 동일한 영상 구현 크기 대비 비교적 가격이 저렴한 프로젝터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저렴한 가격으로 벽면을 채우는 대화면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즉, 영상 컨텐츠를 감상하는 소비자는 대화면의 영상을 통하여 컨텐츠의 충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젝터를 출시하기 이전에 관리자는 다양한 테스트 공정을 수행하여, 제품에 대한 적격 여부를 판단한다.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025237호는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제원을 측정함에 따라, 프로젝터의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테스트 시스템에 대하여 기재하였다. 집적 부스 내에 프로젝터의 위치를 제어하는 셋팅 유닛과 프로젝터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한 제원을 측정하는 복수의 화질 측정 유닛을 고정시키는 스크린 장착 유닛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셋팅 유닛은 복수의 레일과 회전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스크린과의 거리 값에 따른 영상의 제원을 측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문헌의 스크린 장착 유닛은 프로젝터를 회전시키는 구성에 따른 영상 왜곡에 대한 보정 테스트를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이 부재함에 따라, 별도의 키스톤(Keystone) 보정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KR 10-1025237 B1 (2011년03월21일) KR 10-1333826 B1 (2013년11월26일) KR 10-0725635 B1 (2007년05월30일) KR 10-1087958 B1 (2011년11월23일)
본 발명은 스크린 일면에 영상 정보를 투영시키는 프로젝터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종래발명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에 관한 발명이다.
일실시예로, 프로젝터(10)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재치부(100); 상기 프로젝터(10)의 전방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젝터(10)에서 투영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환경 조건을 계측하는 테스트부(200);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테스트부(200)의 계측 조건을 조성하는 암실부(300); 및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테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테스트부(200)는 복수의 슬릿이 두께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테스트 프레임(210);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슬릿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계측 수단(220); 및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 프레임(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부(230); 를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은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밝기 측정 수단; 및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수단; 을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스크린부(230)는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내부에 스크린(231)을 수용하는 케이싱(232); 및 상기 케이싱(232)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231)을 외주부에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롤러(233);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젝터(10)와의 거리 값을 결정하는 테스트 이동부(240); 를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재치부(100)는 상단부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하면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110); 상기 작업대(110)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작업대(110)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 이동부(120); 및 상기 수평 이동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위상을 결정하는 수직 이동부(130);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작업대(110)는 상단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젝터(10)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영상 투영부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원형 플레이트(111); 및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형 플레이트(111)의 회동 각도를 표시하는 회동각 표시부(112);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작업대(110)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암실부(300)에 대한 시각적 이미지를 획득하는 암실 촬상 수단(113); 을 더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암실부(3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복수의 암실 프레임;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암막 수단(310);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암실 프레임(310)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조명 수단(320); 및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암실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테스트부(200)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330);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재치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 및 위상을 제어하는 재치 제어부(410); 상기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부(420); 테스트 기준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30); 상기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투영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테스트 결과 값을 연산하는 연산부(44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430) 및 연산부(440)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450); 를 포함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연산부(440)는 출력 영상에 대한 화질 및 밝기를 측정하는 영상 연산부(441); 왜곡 보정에 대한 키스톤 보정에 대한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키스톤 연산부(442);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을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443); 및 상기 암실부(300) 내측 공간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광량 연산부(444); 를 포함한다.
본 발명으로 인하여, 프로젝터의 좌우 회전에 따른 영상 왜곡에 대한 키스톤 보정 기능을 테스트할 수 있다.
또한 영상이 투영되는 테스트부가 암실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영상이 투영되는 범위를 프로젝터의 위상보다 낮은 값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테스트부가 제원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대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키스톤 보정 테스트를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의 연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을 나타낸 예시도다. 복수의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영상 정보를 스크린에 투영시키는 프로젝터(10)에 대한 다양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시스템이다.
암실부(300)는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결정하는 재치부(100)와 상기 프로젝터(10)에서 투영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테스트부(200)를 내부에 수용하는 구성이다.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암실부(3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하여, 내부에 별도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암실 프레임,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상기 프로젝터(10)가 배치된 공간을 암실로 형성하는 암막 수단(310)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암실부(300) 내부에는 상기 프로젝터(10)가 배치되는 공간에 대한 주변 밝기를 조정하는 하나 이상의 조명 수단(320)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다양한 주변 밝기 조건에 대한 출력 영상의 밝기 및 화질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암실부(300) 내부에는 상기 프로젝터(10)에서 출력되는 테스트 영상이 스크린에 투영되는 상태를 촬상하는 별도의 카메라(330)가 추가적으로 배치되어, 관리자는 상기 조명 수단(320)에 의해 조성되는 상기 암실부(300) 내부의 환경에 따라 출력되는 영상의 상태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상기 암실부(300) 내부에는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재치부(100) 및 상기 프로젝터(10)에서 출력하는 영상이 투영되는 테스트부(200)가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테스트부(200)가 제원을 측정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2와 같이,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프로젝터(10)에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제원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복수의 계측 수단(220)을 포함한다.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은 상기 암실부(300)의 폭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높이를 따라 복수의 행을 형성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프로젝터(10)에서 출력하는 영상에 대한 크기와 각각의 위치에 따른 제원을 독립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은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밝기 측정 수단과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수단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프로젝터(10) 전방에 배치되고, 두께방향을 따라 복수의 슬릿을 형성하는 테스트 프레임(210)을 포함한다. 이 때,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슬릿에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복수의 슬릿은 상기 암실부(300)의 폭을 따라 복수의 열을 형성하고, 높이를 따라 복수의 행을 형성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이 각각의 슬릿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구조로 배치된다.
이 때,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은 하단부에 결합되는 테스트 이동부(240)에 의해 상기 프로젝터(10)와의 거리가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테스트 이동부(240)는 상기 암실부(300)가 형성하는 공간 내의 하단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프로젝터(10)는 상기 재치부(100)에 포함되는 수평 이동부(120)와 수직 이동부(130)에 의해 위치가 결정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 때, 상기 수평 이동부(120) 및 수직 이동부(130)의 구조와 형상은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며,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복수의 LM 가이드 레일과 선택적으로 단부를 돌출하는 액추에이터 구조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린에 영상 정보가 출력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 프레임(210) 사이에 선택적으로 개재되는 스크린부(23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스크린부(230)는 복수의 계측 수단(220)에서 영상 정보의 제원을 측정한 후에 흰색 바탕의 스크린(231)이 선택적으로 상기 프로젝터(10) 전방에 배치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구조가 실현됨에 따라, 관리자는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에서 측정한 영상의 제원 외에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는 영상 제원을 추가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스크린부(230)는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상단부와 결합하여, 내부에 상기 스크린(231)을 수용하는 케이싱(232)과 상기 케이싱(232)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231)을 권취시키는 롤러(233)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롤러(233)는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에서 출력 영상에 대한 제원 측정 완료 여부를 기준으로 선택적으로 회전하여, 상기 스크린(231)은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 프레임(210) 사이에 개재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작업대(110)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5와 같이,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프로젝터(10)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단부에 상기 프로젝터(10)를 재치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수평 이동부(120)의 상단에 배치되어, 상기 테스트부(200)와의 거리 값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프로젝터(10)가 영상을 출력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프로젝터(10)가 상기 스크린(231)의 폭방향 정중앙에 배치되는 구조 외에도 다양한 투사각에 대하여 균등한 영상 크기 및 형상을 제공하는 키스톤(Keystone) 기능에 대한 테스트를 수행하기 위함이다.
상기 프로젝터(10)가 상기 스크린(231) 상에 정확한 화면을 투사하는 중앙부로부터 상하좌우로 어긋나는 각도에서는 출력하는 영상이 마름모꼴의 화면을 투사하게 된다. 상기한 현상을 보정하기 위하여, 프로젝터에는 키스톤 보정과 같은 왜곡 보정 기능이 제공되며,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젝터(10)를 재치하는 상기 작업대(110)에 원형 플레이트(111)와 회동각 표시부(112)에 의해 이에 대한 기능을 점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110)는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암실부(3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암실 촬상 수단(113)을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조명 수단(330)에서 조사하는 광량에 따라 조성되는 상기 암실부(300) 내의 밝기를 측정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키스톤 보정 테스트를 실행하는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작업대(110)는 상기 스크린부(230)의 중앙부에 배치되었을 시에 상기 스크린(231)에 왜곡 없이 영상을 출력한다.
이 때, 도 5의 (b)와 같이 상측에 상기 프로젝터(10)를 재치시키는 상기 원형 플레이트(111)가 반시계방향(또는 시계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한다면, 상기 프로젝터(10)에서 영상을 투영시키는 구성이 상기 스크린부(230)의 중앙부와 상호 어긋남에 따라, 상기 스크린(231)에 출력되는 영상의 상하좌우가 마름모꼴로 왜곡되는 상황이 발생한다. 즉, 상기 원형 플레이트(111)가 회동하는 방향에 따라, 왜곡된 영상은 최대 높이 값(h1)과 최소 높이 값(h2)을 갖는다.
상기 프로젝터(10)가 별도의 자동 키스톤 보정 기능이 제공되는 제품이라면, 도 6의 (c)와 같이 복수의 상이한 높이 값을 갖는 영상에 대한 키스톤 보정이 실시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프로젝터(10)의 왜곡 보정 기능에 대한 적격 여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인지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400)의 연동 구조를 나타낸 예시도다. 도 6과 같이, 상기 제어부(400)는 재치 제어부(410), 테스트 제어부(420), 데이터베이스(430), 연산부(440) 및 처리부(450)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재치 제어부(410)는 상기 재치부(100)와 연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작업대(110)의 위상, 상기 테스트부(200)의 폭방향에 따른 위치 및 상기 프로젝터(10)의 회동 각도를 제어한다. 즉, 상기 재치 제어부(410)는 상기 수평 이동부(120), 수직 이동부(130) 및 원형 플레이트(111)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테스트 제어부(420)는 상기 테스트부(200)와 연동되는 구성으로, 사익 암실부(300) 내에서의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위치와 상기 스크린부(231)의 상승 및 하강 운동을 제어한다. 즉, 상기 테스트 제어부(420)는 상기 롤러(233) 및 테스트 이동부(240)와 연동되어, 상기 테스트부(200)의 위치를 결정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430)는 상기 재치부(100)에 고정되는 상기 프로젝터(10)에 대한 테스트 기준 값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산부(440)는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와 연동되는 구성으로, 상기 암실부(300) 내에서 실시하는 복수의 테스트에 대한 결과 값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상기 연산부(440)는 출력 영상에 대한 화질 및 밝기를 측정하는 영상 연산부(441), 왜곡 보정에 대한 키스톤 보정에 대한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키스톤 연산부(442),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을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443) 및 상기 암실부(300) 내측 공간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광량 연산부(444)를 포함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키스톤 연산부(442)는 왜곡된 영상의 최대 높이 값(h1)과 최소 높이 값(h2)의 평균 값을 기준으로 키스톤 보정 값에 대한 적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연산부(441)는 상기 거리 연산부(443)에서 산출된 상기 프로젝터(10)와 상기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과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에 저장된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적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연산부(440)는 상기 프로젝터(10)와 상기 테스트부(200) 사이에 형성되는 거리 값에 따른 영상의 밝기 및 화질과 상기 프로젝터(10)가 설치되는 주변의 광량에 따른 육안으로의 영상 판별력을 용이하게 점검함과 동시에 상기 프로젝터(10)의 설치 위치에 따라 왜곡된 영상에 대한 적합한 보정이 이루어지는지를 관리자가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연산부(440)의 결과 값과 상기 데이터베이스(430)의 기준 값을 비교하여, 상기 처리부(450)는 상기 프로젝터(10)에 대한 복수의 테스트 결과를 산출한다.
10 : 프로젝터
100 : 재치부
110 : 작업대 111 : 원형 플레이트
112 : 회동각 표시부 113 : 암실 촬상 수단
120 : 수평 이동부 130 : 수직 이동부
200 : 테스트부
210 : 테스트 프레임 220 : 계측 수단
230 : 스크린부 231 : 스크린
232 : 케이싱 233 : 롤러
240 : 테스트 이동부
300 : 암실부
310 : 암막 수단 320 : 조명 수단
330 : 카메라
400 : 제어부
410 : 재치 제어부 420 : 테스트 제어부
430 : 데이터베이스 440 : 연산부
441 : 영상 연산부 442 : 키스톤 연산부
443 : 거리 연산부 444 : 광량 연산부

Claims (2)

  1. 프로젝터(10)의 영상 정보에 대한 테스트를 실시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10)의 일면과 결합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를 고정하는 재치부(100);
    상기 프로젝터(10)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젝터(10)와의 거리 값이 가변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10)에서 투영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환경 조건을 계측하는 테스트부(200);
    상기 재치부(100)의 외측에 배치되어, 내측에서 상기 프로젝터(10)에 대한 복수의 제원을 측정하는 암실부(300); 및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테스트 공정을 제어하는 제어부(400); 를 포함하고,
    상기 테스트부(200)는,
    복수의 슬릿이 두께방향을 따라 연통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테스트 프레임(210);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에 형성되는 각각의 슬릿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계측 수단(220); 및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 프레임(210)의 사이에 배치되는 스크린부(230);
    을 포함하되,
    복수의 상기 계측 수단(220)은,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밝기 측정 수단(221); 및
    상기 프로젝터(10)가 투영하는 영상에 대한 화질을 측정하는 화질 측정 수단(222); 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린부(230)는,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상단부와 결합하고, 내부에 스크린(231)을 수용하는 케이싱(232); 및
    상기 케이싱(232)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스크린(231)을 외주부에 선택적으로 권취시키는 롤러(233); 를 포함하며,
    상기 테스트부(200)는,
    상기 테스트 프레임(210)의 하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프로젝터(10)와의 거리 값을 결정하는 테스트 이동부(240);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재치부(100)는,
    상단부가 평평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하면이 상측에 결합되는 작업대(110);
    상기 작업대(110)의 하단부와 결합하여, 상기 작업대(110)의 위치를 결정하는 수평 이동부(120); 및
    상기 수평 이동부(120)의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작업대(110)의 위상을 결정하는 수직 이동부(130); 를 포함하며,
    상기 작업대(110)는,
    상단 중앙부에 배치되고, 상기 프로젝터(10)의 하단부와 접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영상 투영부를 소정 각도 회동시키는 원형 플레이트(111);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원형 플레이트(111)의 회동 각도를 표시하는 회동각 표시부(112); 및
    상단부에 배치되어, 상기 암실부(300)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암실 촬상 수단(113); 을 포함하고,
    상기 암실부(300)는,
    지면으로부터 기립되어, 상기 재치부(100) 및 테스트부(200)를 수용하는 공간을 내부에 형성하는 복수의 암실 프레임;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의 외측에 배치되어, 수용 공간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암막 수단(310);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암실 프레임의 상단부와 결합하는 조명 수단(320); 및
    복수의 상기 암실 프레임 중 하나 이상의 상기 암실 프레임과 결합하여, 상기 테스트부(200)에 대한 영상 정보를 획득하는 카메라(330); 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재치부(1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의 위치 및 위상을 제어하는 재치 제어부(410);
    상기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을 제어하는 테스트 제어부(420);
    테스트 기준 값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430);
    상기 테스트부(200)와 연동되어, 투영되는 영상 정보에 대한 테스트 결과 값을 연산하는 연산부(440); 및
    상기 데이터베이스(430) 및 연산부(440)의 값을 비교하여, 상기 프로젝터(10)의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450); 를 포함하고,
    상기 연산부(440)는,
    출력 영상에 대한 화질 및 밝기를 측정하는 영상 연산부(441);
    왜곡 보정에 대한 키스톤 보정에 대한 적격 여부를 판단하는 키스톤 연산부(442);
    상기 프로젝터(10) 및 테스트부(200) 사이의 거리 값을 연산하는 거리 연산부(443); 및
    상기 암실부(300) 내측 공간에 대한 밝기를 측정하는 광량 연산부(444); 를 포함하는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2. 삭제
KR1020210020751A 2021-02-16 2021-02-16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KR102258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51A KR102258210B1 (ko) 2021-02-16 2021-02-16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751A KR102258210B1 (ko) 2021-02-16 2021-02-16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8210B1 true KR102258210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751A KR102258210B1 (ko) 2021-02-16 2021-02-16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82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812A (zh) * 2022-01-17 2022-04-22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传感器稳定性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809A (ja) * 2002-07-12 2004-02-12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検査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検査方法
KR100725635B1 (ko) 2004-06-16 2007-06-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및 화상 보정 방법
JP2007249146A (ja) * 2006-03-13 2007-09-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の検査補助装置
KR20100029285A (ko) * 2008-09-08 201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보정 프로젝터 및 영상 보정 방법
US7808513B1 (en) * 2003-01-28 2010-10-05 Pixelworks, Inc.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KR101025237B1 (ko) 2010-11-17 2011-03-29 (주)아이솔루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KR101087958B1 (ko) 2011-05-17 2011-11-30 (주)아이솔루션 촬상기기 단색 트래킹 테스트 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KR101333826B1 (ko) 2010-07-29 2013-11-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빔 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자동 교정 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45809A (ja) * 2002-07-12 2004-02-12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検査装置およびプロジェクタ検査方法
US7808513B1 (en) * 2003-01-28 2010-10-05 Pixelworks, Inc. Automatic keystone correction system and method
KR100725635B1 (ko) 2004-06-16 2007-06-08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프로젝터 및 화상 보정 방법
JP2007249146A (ja) * 2006-03-13 2007-09-27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の検査補助装置
KR20100029285A (ko) * 2008-09-08 2010-03-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보정 프로젝터 및 영상 보정 방법
KR101333826B1 (ko) 2010-07-29 2013-11-2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빔 프로젝터 및 이를 이용한 영상 자동 교정 방법
KR101025237B1 (ko) 2010-11-17 2011-03-29 (주)아이솔루션 프로젝터 화질 특성 테스트 시스템
KR101087958B1 (ko) 2011-05-17 2011-11-30 (주)아이솔루션 촬상기기 단색 트래킹 테스트 시스템 및 테스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383812A (zh) * 2022-01-17 2022-04-22 深圳市火乐科技发展有限公司 传感器稳定性的检测方法、装置、电子设备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70544A (zh) 校正信息计算装置、图像处理装置、显示系统及校正方法
US20030128337A1 (en) Dynamic shadow removal from front projection displays
US7643061B2 (en) Scintillation measuring method of display device and scintillation measuring device
US9398278B2 (en) Graphical display system with adaptive keystone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US9541494B2 (en) Apparatus and method to measure display quality
JP2011028240A (ja) 投影装置および投影方法
US20210152796A1 (en) Image calibration for projected images
EP3522109B1 (en) Generalized normalization for image display
CN110832271B (zh) 用于测量对象的光学表面测量的方法和设备
KR102258210B1 (ko) 프로젝터 테스트 시스템
JP2017511038A (ja) 2つの投影手段の改良された位置合わせ方法
US20050036032A1 (en) Image evaluation chart and performance test method using the same
US9082225B2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adjusting stereoscopic image, television set and stereoscopic glasses
JP2014060549A (ja) 照度出力装置、輝度出力装置及び画像投影装置
CN106444257A (zh) 光阀接收光斑的调整方法及装置、系统
US1060614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US11218662B2 (en) Image processing device,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jection system
KR20030017088A (ko) 광시야 고휘도 영상 시스템(廣視野 高輝度 映像係)
CN110506227A (zh) 用于光学投影的方法和设备
JP6159665B2 (ja) 自動車の番号標等の照度測定装置及び測定方法
KR101090935B1 (ko) 프로젝터
CN106248212B (zh) 滚筒式颜色校准检测平台基体、校准平台及检测平台
TWI543584B (zh) 輝度測定方法、輝度測定裝置及利用此等方法與裝置的畫質調整技術
KR20180026943A (ko) 디스플레이용 윈도우 글래스의 부착 위치 검사장치
Helt Proposal for practical screen luminance uniformity measur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