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986B1 -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 Google Patents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986B1
KR102257986B1 KR1020140037184A KR20140037184A KR102257986B1 KR 102257986 B1 KR102257986 B1 KR 102257986B1 KR 1020140037184 A KR1020140037184 A KR 1020140037184A KR 20140037184 A KR20140037184 A KR 20140037184A KR 102257986 B1 KR102257986 B1 KR 1022579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vertisement
advertisements
determined
effect
adverti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7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3458A (ko
Inventor
손상목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7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986B1/ko
Publication of KR20150113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34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9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9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6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upon schedu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42Determining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s
    • G06Q30/0243Comparative campaigns

Abstract

본 발명은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를 개시한다.  즉,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의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EMENT DELIVERY, AND APPARATUS APPLIED TO THE SAME}
본 발명은 광고 제공 방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기 위한 방안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 태블릿 패드 등의 모바일 장치에서 실행되는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 시장이 급격히 확대됨에 따라 이와 관련된 광고 시장도 빠른 속도로 팽창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모바일 장치(이하, '광고매체장치'라 칭함)는,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예: 애플리케이션)를 탑재하거나, 광고매체(예: 웹페이지)에 접속하게 된다.
이러한, 광고매체장치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플랫폼장치로부터 제공되는 광고를 수신하여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광고매체장치에서는, 광고에 정의된 광고표시형식(예: UI, User Interface 특성)에 따라서 광고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게 되며, 이와 같이 표시되는 광고의 경우에는 CTR(click Through Ratio), Impression, Click 등을 기반으로 그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헌데, 최근에는 광고가 광고매체에서의 정의된 표시형식에 따라 표시되도록 하는 네이티브 광고(Native Ads)가 각광받고 있는 추세이나, 이러한 네이티브 광고에 대하여 위에서 언급한 기존 광고와 동일한 방식으로 광고효과 판별하는 경우에는, 광고효과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효과를 정확하게 판별하기 위한 새로운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도달하고자 하는 목적은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의 형평성을 보장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관점에 따른 광고제공장치는,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네이티브(Native) 광고이며, 상기 판별항목은, 상기 네이티브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들로부터 수집되는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에는, 기 설정된 중요도와 관련된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전체 중 상기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특정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나머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청시간과 관련된 광고효과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기초로 판별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광고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이 포함되며,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는,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관점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은, 광고제공장치가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광고매체장치가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3 관점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은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네이티브(Native) 광고이며, 상기 판별항목은, 상기 네이티브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들로부터 수집되는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에는, 기 설정된 중요도와 관련된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전체 중 상기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특정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나머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시청시간과 관련된 광고효과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기초로 판별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광고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선순위가 결정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이 포함되며,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는,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4 관점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2 이상의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매체장치; 및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상기 2 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하는 광고제공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의하면,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의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형식변경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은,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요청하여 수신하고, 수신된 광고를 표시하는 광고매체장치(100), 및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요청되는 광고를 제공하는 광고제공장치(20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광고매체장치(100)는 예컨대, 광고매체인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거나, 또 다른 광고매체인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광고를 표시하는 모바일 디바이스를 일컫는다.
예를 들어, 광고매체장치(100)는 스마트폰, 테블릿 PC, 및 PDA,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광고매체로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App)이 실행 가능하거나, 또 다른 형태의 광고매체인 웹페이지(Web)에 접속 가능한 장치는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매체로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애플리케이션형 광고매체장치와, 광고매체인 웹페이지에 접속한 웹형 광고매체장치로 구분될 수 있다.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매체장치(100)에서 실행중이거나, 광고매체장치(100)가 접속한 광고매체를 대상으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광고 서버를 일컫는다.
이러한,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주로부터 등록된 광고를 저장하고,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광고 요청에 따라 광고를 제공하는 풀(Pull) 방식을 통해 광고를 제공하게 된다.
아울러, 광고제공장치(200)에서는 위에서 언급한 풀 방식뿐만 아니라, 광고 요청과 무관하게 광고매체장치(100)에 광고를 제공하는 푸시(Push) 방식을 통해서도 광고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참고로, 광고제공장치(200)에서의 구체적인 광고 제공 방식의 경우,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실질적으로 표시되는 광고소재(예: 이미지, 텍스트, 동영상)의 접속주소(예: URL)가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제공함과 동시에, 광고의 표시형식(예: 색상, 위치, 정렬, 크기 등)을 정의하는 스타일시트(CSS, Cascading Style Sheet)를 함께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메타데이터에 포함된 접속주소를 기초로 광고소재를 획득하고, 스타일시트에 정의되어 있는 표시형식에 따라 획득한 광고컨텐츠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고제공장치(200)에서는 광고매체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에 따라서 광고소재가 표시되는 네이티브 광고(Native Ads)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하게 된다.
이러한, 네이티브 광고의 경우, 광고소재가 광고매체에서 자체적으로 표시되는 컨텐츠와 구분이 모호한 형태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네이티브 광고는 상당히 높은 광고효과를 보장할 수 있다.
여기서, 네이티브 광고가 표시되는 광고매체의 경우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또는 웹 페이지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광고매체에서는 예컨대, SNS(Social Networking Service)와 접목되어, 등록된 컨텐츠 중 선호하는 컨텐츠를 타인과 타인과 공유할 수 있다.
결국, 네이티브 광고는 광고매체의 표시형식을 따르게 되므로, 광고매체에 등록되어 있는 컨텐츠와 마찬가지로 선호도를 입력받거나, 타인과 공유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이처럼, 네이티브 광고의 경우 기존 광고와는 달리 광고매체 표시형식을 따르게 되는데, 이러한 네이티브 광고의 광고효과를 판별함에 있어서, CTR(click Through Ratio), Impression, Click 등과 같이 기존의 광고와 동일한 방식만으로는, 광고효과를 정확히 판별할 수 없다 할 것이다.
이렇듯, 네이티브 광고의 경우, 그 특성상 기존 광고와 동일한 방식을 이용하여 광고효과를 판별하는데 한계가 따르게 되므로, 네이티브 광고에 특화된 새로운 광고효과 판별 방안이 요구된다 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네이티브 광고에 특화된 광고효과 판별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100)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을 상기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리미터 값은, 광고매체장치(100)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네이티브 광고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예컨대,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매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개발킷(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을 통해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광고제공장치(200)에 전달함으로써, 광고제공장치(200)로 하여금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광고효과 판별을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200)는 판별항목으로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기초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게 된다.
이때, 광고제공장치(200)는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을 합산하여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처럼 광고효과를 판별함에 있어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기 설정된 중요에 따른 가중치를 추가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의 판별의 경우, 설정주기(예: 1일)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 판별이 완료되면, 판별된 광고효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이때, 광고제공장치(200)는 결정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각 광고에 삽입하여 광고매체장치(1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각 광고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삽입함으로써, 광고매체장치(100)에서 각 광고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또한,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광고제공장치(200)는 광고의 표시형식을 정의하는 스타일시트(CSS)와, 광고소재의 접속주소가 포함됨 메타데이터(XML)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로 하여금 광고매체에서 정의되어 있는 광고표시형식을 따르는 광고소재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된 광고소재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매체의 실행에 따라 해당 광고매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개발킷(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을 통해 광고제공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함으로써,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게 된다.
이때,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를 수신함에 있어서,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하여,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광고소재의 접속주소 등이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수신함과 동시에, 광고의 표시형식이 정의되어 있는 스타일시트를 함께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XML)와 스타일시트가 수신되면, 메타데이터로부터 광고소재의 접속주소를 확인하여 광고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광고소재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200)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200)는 판별항목을 수집하는 수집부(210),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부(220),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부(230), 및 광고를 제공하는 제공부(24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집부(210), 판별부(220), 결정부(230), 및 제공부(240)를 포함하는 광고제공장치(200)의 구성 전체 내지는 그 일부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거나, 내지는 이들 간의 결합을 통해서 구현될 수 있다.
우선, 수집부(210)는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을 수집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집부(21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100)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을 상기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하게 된다.
이때, 수집부(210)는 네이티브 광고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등을 포함하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리미터 값을 수집하게 된다.
이러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은, 카운트(Count) 값을 그 파라미터 값으로 함을 기본으로 하나, 상기 시청시간의 경우에는 상기 임계시간(예: 5초)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카운트 값을 갖게 된다.
예를 들어, 임계시간인 5초를 경과하지 않은 시청시간 모두에는, 그 카운트 값으로서 '2'를 가질 수 있으며, 반면,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청시간 모두에는 그 카운트 값으로서 '3'을 동일하게 가질 수 있다.
이처럼, 임계시간을 기초로 일률적인 카운트 값을 갖도록 하는 것은 광고의 실제 시청시간만을 그 카운트 값으로서 고려하기 위함이다.
즉, 광고의 경우 집중력을 요하는 다소 작은 크기의 컨텐츠이므로, 해당 광고의 시청시간은 대부분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지 않게 되며, 만약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청시간의 경우, 광고의 시청이 실질적으로 종료됐음에도 불구하고 광고매체장치에서 지속적으로 표시되고 있는 상태로 간주함으로써, 실제 카운트 값에서 제외시키게 된다.
참고로, 복수의 광고 각각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서와 같이 전술한 네이티브 광고가 아닌, 기존의 일반적인 광고인 경우에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이 아닌 다이렉트 리스펀스(Direct Respense) 값으로서 예컨대, CTR(click Through Ratio), Impression, Click 등의 판별항목을 수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판별부(22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판별부(220)는 판별항목으로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기초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게 된다.
여기서,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에는 기 설정된 중요도와 관련된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래 [표 1]과 같이,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전체 중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특정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나머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할 수 있다.
순서 파라미터 항목 값(Value) 가중치
1 선호도(Like) 카운트 값 1
2 시청수(View) 카운트(Click) 값 1.2
3 공유수(Share) 카운트 값 1.5
4 시청시간(Spend Time) 임계시간에 기초한 카운트 값 1
5 답글수(Reply) 카운트 값 2
만약, 특정 광고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으로서, 예컨대, 선호도(Like)가 '15', 시청수가 '30', 공유수가 '5', 시청시간이 '3', 답글수가 '5'인 경우, 각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의 가중치를 반영한 상기 특정 광고의 광고효과는 아래 [수식 1]과 같이 판별될 수 있다.
[수식 1]
특정 광고의 광고효과 = 선호도(15*1) + 시청수(30*1.2) + 공유수(5*1.5) + 시청시간(3*1) + 답글수(5*2)
이러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의 판별의 경우, 설정주기(예: 1일)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결정부(23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결정부(23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 판별이 완료되면, 판별된 광고효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복수의 광고에 대해 결정된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제장치(100)에서 표시하는 경우, 표시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예컨대, 판별된 광고효과가 가장 큰 광고로부터 가장 작은 광고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30)는 결정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각 광고에 삽입하여 광고매체장치(1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각 광고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삽입함으로써, 광고매체장치(100)에서 각 광고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이처럼, 광고매체장치(100)에서 각 광고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도록 하는 것은, 광고 시청자로 하여금 해당 광고에 대한 반응정도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시청을 유도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공부(240)는 광고를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공부(24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
이때, 제공부(240)는 광고의 표시형식을 정의하는 스타일시트(CSS)와, 광고소재의 접속주소가 포함됨 메타데이터(XML)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로 하여금 광고매체에서 정의되어 있는 광고표시형식을 따르는 광고소재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된 광고소재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 따르면,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의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겠다.
우선,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시스템에서의 동작 흐름을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100)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을 상기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하게 된다(S110).
여기서,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리미터 값은, 광고매체장치(100)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네이티브 광고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예컨대,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이때,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매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개발킷(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을 통해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획득하고, 획득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광고제공장치(200)에 전달함으로써, 광고제공장치(200)로 하여금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광고효과 판별을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나서, 광고제공장치(200)는 판별항목으로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기초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한다(S120).
이때, 광고제공장치(200)는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을 합산하여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처럼 광고효과를 판별함에 있어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기 설정된 중요에 따른 가중치를 추가 반영하게 된다.
이러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의 판별의 경우, 설정주기(예: 1일)마다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런 다음,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 판별이 완료되면, 판별된 광고효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S130).
이때, 광고제공장치(200)는 결정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각 광고에 삽입하여 광고매체장치(1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각 광고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삽입함으로써, 광고매체장치(100)에서 각 광고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이후, 광고제공장치(20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S140-S150).
이때,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매체의 실행에 따라 해당 광고매체에 탑재된 소프트웨어개발킷(SDK, Software Development Kit)을 통해 광고제공장치(200)에 광고를 요청함으로써,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광고를 수신하게 된다.
이처럼,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를 수신함에 있어서,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하여,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광고소재의 접속주소 등이 포함된 메타데이터를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수신함과 동시에, 광고의 표시형식이 정의되어 있는 스타일시트를 함께 수신하게 된다.
아울러, 광고매체장치(100)는 광고제공장치(200)로부터 상기 광고와 관련된 메타데이터(XML)와 스타일시트가 수신되면, 메타데이터로부터 광고소재의 접속주소를 확인하여 광고컨텐츠를 다운로드하고, 다운로드된 광고소재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제공장치(200)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수집부(21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해, 상기 복수의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100)들로부터 상기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을 상기 판별항목으로서 수집한다(S210).
이때, 수집부(210)는 네이티브 광고의 특성을 반영하여 광고효과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항목으로서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등을 포함하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리미터 값을 수집하게 된다.
그런 다음, 판별부(220)는 판별항목으로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의 수집이 완료되면,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기초로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한다(S220).
여기서,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에는 기 설정된 중요도와 관련된 가중치가 부여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전체 중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특정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나머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할 수 있다.
이에, 판별부(220)는 수집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을 합산하여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게 되는데, 이처럼 광고효과를 판별함에 있어서,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기 설정된 중요에 따른 가중치를 추가 반영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결정부(230)는 복수의 광고 각각에 대한 광고효과 판별이 완료되면, 판별된 광고효과의 크기에 따라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한다(ㄴ230).
여기서, 복수의 광고에 대해 결정된 우선순위는,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제장치(100)에서 표시하는 경우, 표시순서를 결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우선순위에 따라 예컨대, 판별된 광고효과가 가장 큰 광고로부터 가장 작은 광고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때, 결정부(230)는 결정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를 각 광고에 삽입하여 광고매체장치(100)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데, 이러한 우선순위와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각 광고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삽입함으로써, 광고매체장치(100)에서 각 광고를 표시함에 있어서, 각각의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을 함께 표시하도록 한다.
이후, 제공부(240)는 복수의 광고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광고매체장치(100)로부터 광고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광고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하여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에서는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한다(S240-S250).
이때, 제공부(240)는 광고의 표시형식을 정의하는 스타일시트(CSS)와, 광고소재의 접속주소가 포함됨 메타데이터(XML)를 광고매체장치(100)에 제공함으로써, 이를 수신한 광고매체장치(100)로 하여금 광고매체에서 정의되어 있는 광고표시형식을 따르는 광고소재를 다운로드하여, 다운로드된 광고소재를 광고매체의 실행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고 제공 방법에 따르면,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광고효과 판별의 정확도를 향상시킴과 아울러 우선순위 결정에 있어서의 형평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기능적인 동작과 주제의 구현물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로 구현되거나, 본 명세서에서 개시하는 구조 및 그 구조적인 등가물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혹은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이들 중 하나 이상의 결합으로 구현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주제의 구현물들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다시 말해 처리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하여 혹은 이것에 의한 실행을 위하여 유형의 프로그램 저장매체 상에 인코딩된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에 관한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저장 기판, 메모리 장치, 기계로 판독 가능한 전파형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의 조성물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시스템"이나 "장치"라 함은 예컨대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 컴퓨터 혹은 다중 프로세서나 컴퓨터를 포함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기구, 장치 및 기계를 포괄한다. 처리 시스템은, 하드웨어에 부가하여, 예컨대 프로세서 펌웨어를 구성하는 코드,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 체제 혹은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 등 요청 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실행 환경을 형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스크립트 혹은 코드로도 알려져 있음)은 컴파일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선험적 혹은 절차적 언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예컨대, 하나 이상의 모듈, 하위 프로그램 혹은 코드의 일부를 저장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예컨대, 마크업 언어 문서 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나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한편,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에 적합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는, 예컨대 EPROM, EEPROM 및 플래시메모리 장치와 같은 반도체 메모리 장치, 예컨대 내부 하드디스크나 외장형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광학 디스크 및 CD-ROM과 DVD-ROM 디스크를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 매체 및 메모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는 특수 목적의 논리 회로에 의해 보충되거나, 그것에 통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은 예컨대 데이터 서버와 같은 백엔드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어플리케이션 서버와 같은 미들웨어 컴포넌트를 포함하거나, 예컨대 사용자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한 주제의 구현물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웹 브라우저나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를 갖는 클라이언트 컴퓨터와 같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 혹은 그러한 백엔드, 미들웨어 혹은 프론트엔드 컴포넌트의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연산 시스템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시스템의 컴포넌트는 예컨대 통신 네트워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통신의 어떠한 형태나 매체에 의해서도 상호 접속 가능하다.
본 명세서는 다수의 특정한 구현물의 세부사항들을 포함하지만, 이들은 어떠한 발명이나 청구 가능한 것의 범위에 대해서도 제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한 발명의 특정한 실시형태에 특유할 수 있는 특징들에 대한 설명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마찬가지로, 개별적인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한 특징들은 단일 실시형태에서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형태의 문맥에서 기술한 다양한 특징들 역시 개별적으로 혹은 어떠한 적절한 하위 조합으로도 복수의 실시형태에서 구현 가능하다. 나아가, 특징들이 특정한 조합으로 동작하고 초기에 그와 같이 청구된 바와 같이 묘사될 수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의 하나 이상의 특징들은 일부 경우에 그 조합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으며, 그 청구된 조합은 하위 조합이나 하위 조합의 변형물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본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본 예들에 대한 개조, 변경 및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에 따르면, 네이티브(Native) 광고의 표시형식과 관련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으로 복수의 광고에 대한 광고효과를 판별하고, 판별된 광고효과에 따른 우선순위에 따라 광고매체에서 복수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광고매체장치
200: 광고제공장치
210: 수집부 220: 판별부
230: 결정부 240: 제공부

Claims (12)

  1.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부; 및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항목은 시청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시청시간과 관련된 광고효과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기초로 판별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광고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2. ◈청구항 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네이티브(Native) 광고이며,
    상기 판별항목은,
    상기 네이티브 광고를 표시하였던 광고매체장치들로부터 수집되는 선호도(Like), 시청수(View), 공유수(Share), 시청시간(Spend Time), 및 답글수(Reply)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Brand Engagement Parameter) 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3. ◈청구항 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각각에는,
    기 설정된 중요도와 관련된 가중치가 부여되며,
    상기 판별부는,
    상기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 전체 중 상기 중요도가 높게 설정된 특정 브랜드 인게이지먼트 파라미터 값에 나머지보다 높은 가중치를 부여하여 상기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
  4. 삭제
  5. 삭제
  6. 광고제공장치가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상기 광고제공장치가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결정단계; 및
    상기 광고매체장치가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를 순차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항목은 시청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시청시간과 관련된 광고효과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기초로 판별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광고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 제공 방법.
  7. ◈청구항 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광고매체장치에서 정의된 표시형식을 갖는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하여, 상기 표시형식과 관련된 판별항목을 기초로 광고매체장치들에서의 광고효과를 판별하는 판별단계; 및
    상기 판별된 광고효과를 기초로 상기 2 이상의 광고 각각에 대한 우선순위를 결정하여, 상기 결정된 우선순위에 따라 상기 2 이상의 광고가 상기 광고매체장치에서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결정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판별항목은 시청시간을 포함하며,
    상기 시청시간과 관련된 광고효과는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기초로 판별되며,
    상기 판별단계는,
    상기 임계시간을 초과하는 시점 이후의 상기 시청시간에 모두가 동일한 광고효과를 갖는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고제공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140037184A 2014-03-28 2014-03-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KR1022579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84A KR102257986B1 (ko) 2014-03-28 2014-03-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7184A KR102257986B1 (ko) 2014-03-28 2014-03-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58A KR20150113458A (ko) 2015-10-08
KR102257986B1 true KR102257986B1 (ko) 2021-05-28

Family

ID=5434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7184A KR102257986B1 (ko) 2014-03-28 2014-03-28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9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6924B1 (ko) * 2016-06-09 2023-12-27 엔에이치엔 주식회사 컨텐츠의 제공에 따른 효과 분석을 통해 다양한 랭킹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994A (ja) * 2010-10-21 2012-05-10 Opto:Kk 広告効果分析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97250A (ko) * 2006-12-28 2008-11-05 김중일 사용자 정의 메타 정보를 이용한 광고 시스템 및 방법
KR20090001680A (ko) * 2007-05-10 2009-01-09 (주)오픈베이스 중앙 집중형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0211B1 (ko) * 2008-10-29 2015-07-30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광고 선정 시스템 및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88994A (ja) * 2010-10-21 2012-05-10 Opto:Kk 広告効果分析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3458A (ko) 2015-10-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8657B1 (ko) 웹 페이지에 대한 컨텐츠 아이템에 대한 사이즈 자동 결정
US1165276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mproved processing of message queries
US20170017986A1 (en) Tracking digital design asset usage and performance
US9865008B2 (en) Determining a configuration of a content item display environment
US20160379245A1 (en) Cross-device and cross-channel advertising and remarketing
US1152116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order
WO2015153918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vertising services to devices by accessing one or more ad databases including third party ad databases using ad serving tags
US20160124614A1 (en) Content delivery based on real-time browsing activity
US20180293610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integrating applications into a content recommendation network
US20170213256A1 (en) Providing advertisements using dynamic slot-size-compatible style definitions
JP2019527427A (ja) ポストインストールアプリケーション対話の改善
CN105723398B (zh) 用于跟踪多个第三方站点上的用户参与的方法和系统
US20130325594A1 (en) Sponsored applications
US10809956B1 (en) Supplemental content items
US20160239873A1 (en) Mediation recommendation systems for multiple video advertisement demand sources
CN110648167A (zh) 对于用户生成的游戏内容的微支付补偿
CN107872483B (zh) 媒体内容的推送方法、装置及系统
US20160162937A1 (en) Method and system for identifying users across multiple communication devices
US10462240B2 (en) Referral source tracking
EP3312786A1 (en) Optimized digital components
KR102257986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5001933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targeted messaging when targeting terms are unavailable
US9767079B1 (en) Serving expandable content items
KR102213871B1 (ko) 광고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그리고 이에 적용되는 장치
US20150142576A1 (en) Methods and mobile devices for displaying an adaptive advertisement object and systems for generating the adaptive advertisement obje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