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888B1 -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 Google Patents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888B1
KR102257888B1 KR1020200159886A KR20200159886A KR102257888B1 KR 102257888 B1 KR102257888 B1 KR 102257888B1 KR 1020200159886 A KR1020200159886 A KR 1020200159886A KR 20200159886 A KR20200159886 A KR 20200159886A KR 102257888 B1 KR102257888 B1 KR 1022578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er
log
transaction statemen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강건욱
Original Assignee
강건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건욱 filed Critical 강건욱
Priority to KR1020200159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88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88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8Anti-corrosive paints
    • C09D5/082Anti-corrosive paints characterised by the anti-corrosive pigment
    • C09D5/086Organic or non-macromolecular compounds
    • G06K9/00154
    • G06K9/00288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 G06Q10/063114Status monitoring or status determination for a person or group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18Certifying business or produc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45Rental transactions;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8Au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30Transportation; Communications
    • G06Q50/40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10Human or animal bodies, e.g. vehicle occupants or pedestrians; Body parts, e.g. hands
    • G06V40/16Human faces, e.g. facial parts, sketches or expressions
    • G06V40/172Classification, e.g.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30Writer recognition; Reading and verifying signatures

Abstra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d is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ry user, which includes: a worker DB which stores worker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age, and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a work log generation module including a template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template for the work log, and a work log generating unit for generating a work log including blanks for the template and the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and worker signature; a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for receiving the work log in which the worker has written the work site name, the work content, the work period, and the signature of the work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log is provided to the worker terminal possessed by the worker;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work log written by the worker.

Description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A job management system for construction machinery users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본 발명은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건설 현장에서 작성되는 작업일지를 코로나 19 시대에서 비대면으로 안전하고 간편하게 작성함과 동시에 작성된 작업일지에 대한 디지털 장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a user of a construction machine, and in more detail, a digital ledger function for a work log created at the same time as a safe and simple creation of a work log created at a construction site in a non-face-to-face manner in the Corona 19 era It relates to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users of construction equipment that allows them to be carried out together.

종래 본사에서 공사가 진행 중인 전국적으로 분산된 건설현장을 관리하고자 하는 경우, 관리대상인 현장의 정보를 담고 있는 설비도면, 구조도면, 설계 도면 등의 각종 도면, 작업지시서, 작업관리서, 시공품질 평가서 등의 각종 서류를 가지고 현장관리자가 현장에 방문하여, 해당 현장을 점검하고 점검결과를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한 뒤, 다시 본사의 사무실에 돌아와서 자료정리를 하고 보고서를 작성하여 PC에 등록하여 관리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In the case of managing nationally dispersed construction sites where construction is currently underway at the headquarters, various drawings such as facility drawings, structural drawings, design drawings, etc. containing information of the site to be managed, work orders, work management documents, construction quality evaluation documents A method in which a site manager visits the site with various documents such as, inspects the site, writes the inspection result by hand at the site, then returns to the office of the head office to organize the data, prepares a report, and registers it on a PC for management. Was done.

건설현장에서 순찰 등으로 수집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기 위해서는 담당자가 현장사무실에 돌아와서 정보를 재가공하거나 정리하여 관리시스템에 업로드해야 한다. 하지만 자료가 방대한 경우 이러한 관리 방법은 매우 번거로우며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실제 얼굴을 마주하면서 접촉을 해야 하는 환경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코로나 19 시대에서는 위험성마저 존재하는 실정이다.In order to systematically organize the information collected by patrols at the construction site, the person in charge must return to the site office to reprocess or organize the information and upload it to the management system. However, in the case of a large amount of data, this management method is not only very cumbersome and has a problem of inaccurate accuracy, and because it must be processed in an environment in which real face-to-face contact is required, there are even risks in the era of Corona 19.

또한 이와 같은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자 관리에 있어서도 작업에 참가한 작업자들이 수기로 현장에서 작업일지를 작성하여야 할 뿐 아니라 작업 관리자가 일일이 작업자를 체크하고 작업일지에 대한 관리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in the management of workers at the construction site, not only workers who participated in the work have to manually write work diaries at the site, but also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work manager must manually check the workers and manage the work log.

이에 대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1-0049296호에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As a prior art for this, a'construction sit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1-0049296.

상기 발명은 카메라로 건설 현장의 작업 상황 및 작업자의 작업 현황을 파악하고 기상 관측기기로부터 실시간으로 날씨를 관측하여 건설 현장의 정보를 취합하고 디지털 작업일지를 생성함으로써 효율적으로 건설 현장을 관리하기 위한 건설 현장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above invention is a construction for efficient construction site management by collecting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site and creating a digital work log by grasping the work status of the construction site and the work status of workers with a camera and observing the weather in real time from a weather observation device. It relates to a field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이와 같은 상기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를 포함하며, 건설 현장의 공사 진행 상태 및 작업자들의 작업 현황을 촬영하기 위한 영상 수집 수단과, 상기 영상 촬영 시점의 현장 기상 정보를 관측하기 위한 기상 관측 수단과, 상기 영상 수집 수단으로부터 건설 현장 영상을 입력받아 디코딩한 영상 데이터와 상기 기상관측 수단으로부터 입력받은 날씨 정보 데이터를 하나의 데이터로 부호화하여 하기 관리 서버로 전송하기 위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현장 감시 장치와 상기 현장 감시 장치로부터 수신된 부호화 데이터를 복호화하여 건설 현장 영상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디스플레이하고, 날씨 정보 데이터를 분석하여 디지털 작업일지에 기록하기 위한 관리 서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원거리에서도 현장 관리가 용이하며 명확한 디지털 작업일지 생성을 통해 공사의 전문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t least one camera, an image collection means for photographing a construction progress status and a work status of workers at a construction site, a weather observation means for observing on-site weather information at the time of recording the image, A site monitoring device comprising a control means for receiving and decoding a construction site image from the image collecting means and encoding the weather information data received from the weather observation means into one data and transmitting the encoded image data to the following management server, and the It includes a management server to decode and display construction site image data by decoding the encoded data received from the site monitoring device, and to analyze weather information data and record it in a digital work log. The professionalism of the construction can be improved through the creation of a work log.

그러나 상기 발명에서도 공사 현장에서 매일매일 작성되어야 하는 기초적인 작업일지에 대한 작성 기능은 겸비되지 않아, 현장에서 수기로 작성해야 하는 작업일지에 대한 작업자 및 관리자의 불편을 개선하진 못하였다.However, even in the above invention, the function of creating a basic work log that must be prepared on a daily basis at a construction site is not combined, and thus the inconvenience of workers and managers about the work log that must be manually prepared at the site cannot be improved.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및 수작업으로 작성되는 기존 작업일지의 현실을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건설 현장에서 작성되는 작업일지를 비대면 처리 방식으로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성된 작업일지에 대한 디지털 장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신규하고 진보한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Therefore, in order to fac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he reality of the existing work diaries created by hand, and to solve them, the work diary cre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easily written in a non-face-to-face processing method, and at the same time digital There is a growing need for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new and advanced users of construction equipment that enables them to perform the book function together.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건설 현장에서 작성되는 작업일지를 비대면 방식으로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성된 작업일지에 대한 저장을 기반으로 디지털 장부 기능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above technology, so that it is possible to easily create a work log created at a construction site in a non-face-to-face manner, and at the same time perform a digital book function based on the storage of the created work log. Its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users of construction equipment.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을 통해 건설기계 작업에 대한 거래명세표를 자동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able to automatically create a transaction statement for construction machinery work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작업자 간의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mmunity function between workers us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을 통해 건설기계에 대한 임대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것이다.A fur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ntal function for construction machinery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 작업자의 이름, 나이, 건설기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를 저장한 작업자 DB; 작업일지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와, 상기 템플릿 및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및 작업자서명에 대한 공란을 포함하는 작업일지를 생성하는 작업일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작업일지 생성 모듈; 상기 작업일지를 상기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단말에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현장명, 상기 작업내용, 상기 작업일자, 상기 작업시간, 상기 작업자명 및 상기 작업자서명을 작성한 작업일지를 전송받는 작업일지 전송 모듈; 상기 작업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작업일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a user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worker DB storing worker information including worker name, age, and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Includes a template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template for the work log, and a work log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work log including blanks for the template and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and worker signature. A task log genera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log is provided to the operator terminal possessed by the operator, the operator transmits the work log on which the work site name, the work content, the work date, the work time, the worker name, and the worker signature are written. Receiving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work journal created by the worker.

또한, 상기 작업자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사업자등록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거래명세표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파트 및, 상기 템플릿 및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단가 및 합계금액에 대한 공란을 포함하는 거래명세표를 생성하는 거래명세표 생성파트를 포함하는 상기 거래명세표 생성부와, 인증된 상기 작업일지 및 상기 작업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거래명세표를 자동 작성하는 거래명세표 작성부 및, 작성된 상기 거래명세표를 인증하는 거래명세표 인증부와, 인증된 상기 거래명세표를 저장하는 거래명세표 DB를 포함하는 거래명세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worker information includes the worker's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information, and the system includes a template generation part for generating a template for a transaction statement, and the template and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 unit cost and total The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unit including a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part that generates a transaction statement including blanks for the amount, and a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creates the transaction statement based on the authenticated work diary and the worker information, and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ng module including a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for authenticating the created transaction statement, and a transaction statement DB for storing the authenticated transaction statement.

나아가,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후기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입력받는 게시글 입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게시글을 포함하는 게시글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게시글 제공부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system includes a community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post input unit for receiving a post including work reviews from the worker and a po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os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to the worker. It is characterized.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은,A work management system for a user of a construction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건설 현장에서 작성되는 작업일지를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를 매개로 전자화하여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작성된 작업일지를 저장하여 디지털 장부로서의 기능을 함께 수행함과 동시에 그에 대한 인증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하고,1) The work log created at the construction site can be electronically created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 or website, so that it can be easily cre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created work log can be stored to perform the function as a digital ledger and at the same time have a function of authentication for it. To provide convenience,

2) 건설기계 작업에 대한 거래명세표를 자동 작성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거래명세표에 대한 저장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뿐 아니라,2) Not only allows the automatic creation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rk, and also allows the storage function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to be performed.

3)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작업자 간의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하여 작업자 간의 친목 도모를 가능케 하였으며,3) It was possible to promote friendship between workers by providing a community function between workers us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건설기계에 대한 임대 기능을 함께 제공하여 건설기계를 소유하지 않은 작업자도 본 발명의 시스템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4) By providing a rental function for construction equipment together, workers who do not own construction equipment can use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일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거래명세표의 일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커뮤니티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자관리단말을 도시한 개념도.
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work diar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munity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orker managemen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면은 축척에 의하여 도시되지 않았으며,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accompanying drawings are not drawn to scale,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in each drawing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1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1)은, 건설 공사 현장에서 포크레인, 굴착기, 크레인 등의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현장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들의 작업일지 작성 및 이에 대한 관리를 위한 시스템(1)이다.Referring to FIG. 1,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for a construction machine user of the present invention creates a work log of workers performing on-site work using construction machines such as a forklift, an excavator, and a crane at a construction site. And a system 1 for managing it.

이와 같은 작업 관리 시스템(1)을 통해 작업자들로 하여금 작업일지를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일지 작성을 간편화할 뿐 아니라 작업일지의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통해 현장 건설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들 간의 커뮤니티를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또한 현장 작업 시에 상호 간에 발행할 수 있는 거래명세표 작성 및 발송을 보다 간편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건설기계를 직접 소유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건설기계에 대한 임대 역시 가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Such a work management system 1 allows workers to easily write a work log, thereby simplifying the work log creation and facilitating the management of the work log. Furthermore,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community between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on-site construction work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more easily prepare and send transaction statements that can be issued to each other during field work, and to allow workers who do not own construction equipment to lease construction equipment.

이러한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1)을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도 1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Each configuration constitut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for a user of a construction machin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1 as follows.

본 발명에서 '작업자'라 함은 건설 작업 현장에서 건설기계를 실제로 이용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자이다. 이때 작업자가 이용하는 '건설기계'(construction equipment)는 목공사나 건축공사에 쓰이는 기계의 총칭을 의미한다. 이러한 건설기계는 대표적으로 불도저, 스크레이퍼, 도랑굴착기, 휠 로더, 덤프트럭, 벨트컨베이어, 덤프트레일러, 타워크레인 등이 있을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worker' refers to a person who actually uses a construction machine at a construction site to perform a task. At this time, the'construction equipment' used by workers means a generic term for machines used in woodwork or building works. Representatively, such construction machinery may include a bulldozer, a scraper, a trench excavator, a wheel loader, a dump truck, a belt conveyor, a dump trailer, and a tower crane.

이러한 작업자는 건설 작업 현장에서 작업을 수행하면서 작업일지를 작성해야 하는데, 이러한 작업일지 작성 시 본 발명의 시스템(1)을 이용하게 된다. 더불어 작업일지 작성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에서는 작업자가 태블릿PC나 스마트폰, 노트북과 같은 작업자단말(20)을 소지하여 작업자단말(20)을 이용하여 작업일지를 작성하여 입력하게 된다.Such a worker must write a work log while performing work at a construction work site, and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when writing such a work log. In addition, although the work diary may be created offline, in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or possesses an operator terminal 20 such as a tablet PC, a smart phone, and a laptop, and uses the operator terminal 20 to log the work diary. You will write and enter.

이때 작업자단말(20)에 제공되는 작업일지는 작업일지에 대한 기본적인 레이아웃이라 할 수 있는 템플릿 및,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및 작업자서명에 대한 공란이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작업일지를 제공받은 후 작업자단말(20) 상에서 바로 공란을 채워 작업일지를 작성하고 전송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work log provided to the worker terminal 20 has a template that can be called a basic layout for the work log, and blanks for the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and worker signature are formed. After the worker receives the work log through the worker terminal 20, it fills in the blanks on the worker terminal 20 and writes and transmits the work log.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본 발명의 작업자에 대한 작업자정보를 저장하는 작업자 DB(100)를 관리하고, 나아가 작업일지 작성을 위해 작업일지의 형식이라 할 수 있는 템플릿을 생성하며, 나아가 템플릿에 들어가는 각각의 항목, 즉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작업자서명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더불어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작성된 작업일지를 전송받으며, 해당 작업일지에 대한 보관 및 관리, 인증 역할을 수행한다.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nages the worker DB 100 that stores worker information for the work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creates a template that can be referred to as a form of a work log for writing a work log, and further It performs the function of creating each item that goes into the template, namely, the name of the work site, the work content, the work date, the work time, the worker name, and the worker signature. In addition, it receives the work diary created through the worker terminal 20 as a medium, and performs the role of storing and managing the work diary, and authentication.

이러한 중앙관제서버(10)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서 작업자단말(20)과 통신하면서 정보를 교류하기 위한 통신부 및 전송수단을 구비한 상태에서 CPU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 CPU에서 수행될 소프트웨어에 의해 후술할 일련의 모듈 및 이의 구체적 기능이 도출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중앙관제서버(10)는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작업 현장을 관리하는 관리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 컴퓨터, 또는 노트북과 같은 관리자단말이 즉 중앙관제서버(10)라 할 수 있다.This central control server 10 as a cor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s a hardware having a CPU and a storage means in a state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nd a transmission means for exchanging information while communicating with the operator terminal 20. A series of modules to be described later and specific functions thereof may be derived by software to be executed in the CPU. In addition,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separately, but preferably, a manager terminal such as a smartphone, tablet PC, computer, or laptop possessed by the manager who manages the work site, that is,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It can be said.

즉, 중앙관제서버(10), 다시 말해 관리자단말에는 중앙처리장치(CPU) 및 메모리와 하드디스크와 같은 저장수단을 구비한 하드웨어 기반에서 중앙처리장치에서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즉 소프트웨어가 설치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실행할 수 있는데 이러한 소프트웨어에 대한 일련의 구체적 구성을 '모듈' 및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단위로서 후술할 예정이다. That is,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that is, in the manager terminal, a program that can be executed in the central processing unit, that is, software is installed on a hardware basis hav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CPU) and a storage means such as memory and a hard disk. This software can be executed, and a series of specific configurations for such software will be described later as constituent units called'module','part', and'interface'.

이때, 중앙관제서버(10)는 이 내부에서 처리되는 신호(또는, 데이터)를 일시적 및/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램(RAM: Random Access Memory, 미도시) 및 롬(ROM: Read-Only Memory, 미도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is a RAM (Random Access Memory, not shown) and a ROM (ROM: Read-Only Memory, which temporarily and/or permanently stores the signal (or data) processed therein. Not shown), may include a processor.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코어(core, 미도시) 및 그래픽 처리부(미도시) 및/또는 다른 구성 요소와 신호를 송수신하는 연결 통로(예를 들어, 버스(bus) 등)를 포함할 수 있고, 메모리에는 후술할 모듈 내지 부의 실행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들(하나 이상의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들은 기능에 따라 복수 개의 모듈들로 구분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one or more cores (not shown) and a graphic processing unit (not shown) and/or a connection path (eg, a b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to and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memory includes Programs (one or more instructions) for execution and control of modules or units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stored. Programs stored in the memory may be divided into a plurality of modules according to functions.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되거나, 또는 이들의 결합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진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기반으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상주할 수도 있다.The steps of a method or algorithm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directly in hardware, implemented as a software module executed by hardware, or a combination thereof. Software modules include Random Access Memory (RAM), Read Only Memory (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 Flash Memory, hard disk, removable disk, CD-ROM, or It may reside in any type of computer-based readable recording medium well known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의 구성은 중앙관제서버(10)의 저장 수단에 설치 및 저장된 상태에서 CPU 및 메모리를 매개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 내지 ASIC과 같은 하드웨어의 일 구성을 의미한다. 즉, '모듈' 또는 '부', '인터페이스'라는 구성은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configuration of such a'module' or'unit' or'interface' is a configuration of software or hardware such as FPGA or ASIC that is installed and stored in the storage means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through CPU and memory. it means. That is, the configurations of'module','unit', and'interface' are not limited to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or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이러한 '모듈' 또는 '부' 또는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 또는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 또는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The functions provided by these'module' or'sub' or'interface' may be combined into a smaller number of components and'sub' or'module', or additional components and'sub' or'module' Can be further separated.

이하, 이와 같은 중앙관제서버(10), 다시 말해 관리자단말을 중심으로 한 본 발명의 시스템(1)에 대한 기초적 구성을 기반으로 구체적인 세부 구성 및 기능을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and func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basic configuration of the central control server 10, that is,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entered on the manager terminal.

도 2는 본 발명의 시스템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작업일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work jour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은 기본적으로 작업자 DB(100), 작업일지 생성 모듈(200),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 인증 모듈(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2 to 3,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basically includes a worker DB 100, a work log generation module 200, a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and an authentication module 400. It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작업자 DB(100)는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건설 작업에 참여하는 작업자들의 이름, 나이, 그리고 해당 작업자가 소지한 건설기계에 대한 정보인 건설기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는 일종의 작업자 목록이라고도 할 수 있다. 더불어 건설기계정보라 함은 건설기계에 대한 정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해당 건설기계의 종류, 구입일자, 년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일반적으로 별도의 업체에 소속된 상태일 수도 있으나 개인사업자의 형태일 수도 있으므로, 작업자정보는 개인사업자인 해당 작업자의 사업자등록증 기준 상호명 및 사업장 주소, 사업자등록번호, 사업 업태, 사업 업종 등의 사업자등록증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만약 작업자가 개인사업자가 아니라 특정 업체에 소속된 상태라 하더라도, 작업자정보는 해당 작업자가 소속된 회사의 사업자등록증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orker DB (100) uses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tore worker information including names, ages, and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which is information on the construction equipment possessed by the worker, of workers participating in the construction work. It plays the role of storing. This can also be called a list of workers. In addition,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refers to information on construction equipment, and in more detail, it may include the type, purchase date, and year of the corresponding construction machine. In addition, the worker may generally belong to a separate company, but may be in the form of an individual business, so the worker information is based on the business registration card of the individual business operator, the business name and business address,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business type, business type, etc. Of course, it may includ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of. Even if the worker belongs to a specific company rather than an individual business, the worker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information on the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of the company to which the worker belongs.

또한 작업자 DB(100)는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통해 작업자에 대한 관리 수행을 위한 기초 데이터베이스라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정보로 하여금 해당 작업자의 주민등록증 사진이나 여권 사진과 같은 안면사진을 포함하도록 하여 작업자 DB(100)에 포함된 작업자의 안면사진을 통해 현장에서 해당 작업자에 대한 안면 식별이 가능케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worker DB 100 can be regarded as a basic database for performing management of the worker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orker information allows the worker to take a facial photo such as a photo of a resident registration card or a passport photo of the worker. By including it, it is also possible to identify the face of the worker in the field through the face picture of the worker included in the worker DB 100.

작업일지 생성 모듈(200)은 작업일지의 실제 내용을 채우기 전의, 작업일지의 형식(즉 항목 및 공란)을 생성하는 모듈로써 템플릿생성부 및 작업일지 생성부(220)로 구성된다.The work diary generation module 200 is a module that generates the format (ie, items and blanks) of the work diary before filling the actual contents of the work diary, and is composed of a template generation unit and a work diary generation unit 220.

템플릿생성부는 건설 현장에서의 작업 내용에 대한 보고를 위한 작업일지의 템플릿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템플릿이라 함은 문서의 형식을 위한 레이아웃을 의미한다. 이러한 템플릿은 기본적으로 표와 같은 형식일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1) 관리자, 즉 작업 관리자에 의해 엑셀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생성된 입력 시트의 표일 수 있다. 이때 템플릿의 형식 및 생성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1) 관리자, 즉 작업 관리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The template generation unit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template of a work log for reporting on the work contents at a construction site, and the template refers to a layout for the format of a document. Such a template may be basically in the form of a table, and may be a table of an input sheet generated based on a computer program such as Excel by the system 1 manag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a task manager. At this tim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at and creation method of the template, and it is based on the system 1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dited by the task manager.

작업일지 생성부(220)는 상기 템플릿의 각 항목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항목이라 함은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작업자서명 등을 의미한다. The work log generation unit 220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each item of the template, wherein the item means a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worker signature, and the like.

더불어 작업일지에 포함될 수 있는 추가적인 항목 역시 작업일지 생성부(220)를 통해 템플릿에 반영되어 작업일지를 생성한다. 이와 같이 작업일지 생성부(220)에 의해 생성된 작업일지는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작업자서명과 같은 작업일지에 포함된 각 항목에 대한 공란을 포함하고 있다. 생성된 작업일지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In addition, additional item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work log are also reflected in the template through the work log generation unit 220 to generate a work log. The work log generated by the work log generation unit 220 as described above includes blanks for each item included in the work log such as the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and worker signature. . The generated work log is shown in FIG. 3.

이와 같은 작업일지 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작업일지는 템플릿 및 템플릿에 작업일지의 각 항목이 구체적으로 정해진 것으로서, 양식만이 갖춰진 상태라 할 수 있다. 생성된 작업일지는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단말(20)에 전송 처리된다.The work diary generated by the work diary generation module 200 as described above is a template and each item of the work diary is specifically determined in the template, and can be said to be a state in which only a form is provided. The generated work log is transmitted and processed to the operator terminal 20 possessed by the operator.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은 작업일지 생성 모듈(200)에 의해 생성된 작업일지가 작업자단말(20)에 제공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및 작업자서명과 같은 각 항목에 대한 공란이 채워진, 즉 작업일지의 내용이 채워진 완성된 작업일지를 전송받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is in a state where the work log generated by the work log generation module 200 is provided to the worker terminal 20, the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and worker name by the worker. And receiving a completed work log filled with blanks for each item, such as a worker signature, that is, the contents of the work log.

즉 형식과 항목만이 구성된 작업일지가 작업자단말(20)에 전송되고, 작업자가 작업을 완료한 뒤 그날의 작업에 대한 작업보고서인 작업일지를 작성할 때 각 항목의 공란에 대한 내용을 채워 이를 전송하고 시스템(1)은 이를 전송받는 것이다. 따라서 도 3의 예시에 대한 각 항목을 채워 이를 전송하는 구성이라 할 수 있다.That is, a work log consisting of only the format and item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 terminal 20, and when the operator completes the work and writes the work log, which is a work report for the day's work, fill in the blanks of each item and transmit it. And the system 1 is to receive it. Therefore, it can be said to be a configuration in which each item for the example of FIG. 3 is filled and transmitted.

이때 형식과 항목만이 구성된 작업일지가 작업자단말(20)에 전송된 상황에서 작업자가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하여 작업일지의 각 항목의 내용을 채울 경우, 바람직하게는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과 같은 항목은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일 수 있는 작업자단말(20)에 구비된 키보드를 통해 타이핑하는 것이 가능하나, 작업자서명만큼은 서명이라는 특수성에 맞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이 터치스크린 기능을 지원하는 만큼 터치스크린을 매개로 자필 서명이 이루어짐을 기본으로 한다.At this time, in a situation in which the work log consisting of only the format and item is transmitted to the operator terminal 20, when the operator fills in the contents of each item of the work log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20, preferably, the name of the work site and the work Items such as content, work date, work time, and worker name can be typed through the keyboard provided on the worker terminal 20, which can be a smartphone or tablet PC, but the worker's signature is a smart phone or tablet that fits the specificity of the signature. As the PC supports the touch screen function, it is based on a handwritten signature through the touch screen.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을 통해 작업자단말(20)로부터 내용의 작성이 완료된 작업일지를 전송받고, 해당 작업일지를 별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여 작업일지에 대한 저장 및 관리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a work log in which the writing of contents has been completed from the worker terminal 20 through the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stores the work log in a separate database, and stores the work log and Can play a management role.

더불어 본 발명의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은 작업자가 작업자단말(20)을 기반으로 쉽고 빠르고 편리하게 작업일지를 작성할 수 있도록 하는 바, 어플리케이션 또는 인터넷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하여 구현될 수 있고, 모든 작업자들에게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유료 결제 기반의 서비스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시스템(1)을 통해 작업일지를 쉽고 편하게 작성하기 위해서는 작업자, 또는 해당 작업자 들을 관리하는 개별 관리자나 관리 용역 회사로부터 해당 서비스 이용에 대한 금액을 결제받고, 결제가 완료된 작업자만이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여 작업일지를 작성 및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work diary transmission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n operator to easily, quickly and conveniently create a work diary based on the operator terminal 20, and may be implemented based on an application or an Internet website, and all It may be a paid payment-based service rather than providing the service to workers. Therefore, in ord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write a work log through the present system (1), a worker or an individual manager who manages the workers or a management service company receives payment for the use of the service, and only the worker who has completed the payment is It is to be able to create and transmit a work log us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마지막으로 인증 모듈(400)은 작업자에 의해 작성되고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을 매개로 시스템(1)에 전송 처리된 작업일지를 인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Finally, the authentication module 400 serves to authenticate the work log created by the operator and transmitted to the system 1 through the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이때. 인증이라 함은 해당 작업일지에 포함된 항목에 대한 공란이 모두 채워졌는지의 여부(작성이 되었는지의 여부), 혹은 작업 관리자(작업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자)로 하여금 작업일지에 대한 결재를 수행하는 것 역시 인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재나 작업일지 작성 완료 여부 확인, 혹은 작업일지에 대한 위조 검증 등이 모두 인증 모듈(400)의 기능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온라인 방식의 인증은 공지의 인증 수단을 매개로 진행될 수 있으므로 구체적인 추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t this time. Authentication means whether all blanks for the items included in the work log have been filled in (whether or not they have been created), or the work manager (the person who manages the workers) performs an approval for the work log. It can also be called authentication. Therefor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payment or the work log is completed, or forgery verification of the work log may all be functions of the authentication module 400. Since such online authentication can be performed through a known authentication means,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정리하면,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통해 그동안의 오프라인 건설 작업일지 작성의 불편함을 개선함으로써 작업자단말(20)을 기반으로 하여 작업일지를 보다 간편하게 작성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데이터베이스에 작성된 작업일지를 디지털 장부로써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에 대한 관리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인증 모듈(400)을 통한 관리자의 전자결재 기능을 부가함으로써 관리 감독 및 결재의 역할까지 겸비할 수 있다.In summary, by improving the inconvenience of creating an offline construction work log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more conveniently write a work log based on the worker terminal 20, as well as written in the database. The work log can be saved as a digital ledg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erform a management role for a worker, and by adding an electronic approval function of an administrator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400, it is possible to combine the roles of management supervision and approval.

도 4는 본 발명의 거래명세표의 일 예시를 도시한 개념도이다.4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술한 도 2 및 도 4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상기 시스템(1)은 거래명세표 생성 모듈(500)을 포함하여 작성 및 인증된 작업일지를 기반으로 그날의 작업에 대한 거래명세표를 생성 및 저장 처리할 수 있다. 이 때 거래명세표 작성 모듈은 거래명세표 생성부(510), 거래명세표 작성부(520), 거래명세표 인증부(530), 거래명세표 DB(540)로 구성된다.As can be seen from FIGS. 2 and 4 described above, the system 1 includes the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module 500 to generate and store transaction statements for the day's work based on the created and authenticated work log. can do. At this time, the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module includes a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unit 510, a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unit 520, a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30, and a transaction statement DB 540.

거래명세표 생성부(510)는 거래명세표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고 해당 템플릿에 거래명세표에 포함되는 각각의 항목을 포함시키는 것으로서, 템플릿 생성파트(511) 및 거래명세표 생성파트(512)로 이루어진다.The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unit 510 generates a template for the transaction statement and includes each item included in the transaction statement in the template, and includes a template generation part 511 and a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part 512.

템플릿 생성파트(511)는 거래명세표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상술한 작업일지 생성 모듈(200)의 템플릿 생성부(210)와 기능이 유사하다. 즉 거래명세표 형식을 위한 레이아웃, 즉 표를 생성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할 수 있다. 이때 거래명세표 템플릿이라 함은 작업 관리자에 의해 엑셀 등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반으로 생성된 입력 시트의 표일 수 있다. 템플릿의 형식 및 생성 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본 발명의 시스템(1) 관리자, 즉 작업 관리자에 의해 편집이 가능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The template generation part 511 performs a function of generating a template for a transaction statement, which is similar in function to the template generation unit 210 of the work log generation module 200 described above. In other words, it can perform a layout for the form of a transaction statement, that is, a function of creating a table. In this case, the transaction statement template may be a table of an input sheet generated by a task manager based on a computer program such as Excel.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format and creation method of the template, and it is based on the system 1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can be edited by the task manager.

거래명세표 생성파트(512)는 상기 템플릿에 거래명세표의 각 항목을 포함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즉 상호명, 사업자등록번호, 작업일자, 작업내용, 작업시간, 작업단가, 세액, 합계금액 등 거래명세표에 포함되는 각각의 항목을 템플릿에 반영하여 거래명세표를 생성하는 것이다. 이렇게 생성된 거래명세표는 거래명세표의 템플릿에 각 항목이 생성되어 있고, 각 항목에 대한 공란이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거래명세표는 도 4에 표시되어 있다.The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part 512 is to perform a function of including each item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in the template, that is, trade name, business registration number, work date, work content, work time, work unit price, tax amount, total amount, etc. It is to create a transaction statement by reflecting each item included in the statement to the template. In the transaction statement created in this way, each item is created in the template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and blanks for each item are included. The generated transaction statement is shown in FIG. 4.

거래명세표 작성부(520)는 인증 모듈(400)을 통해 인증 처리된 작업일지와 작업자 DB(100)에 저장된 작업자정보를 기반으로 거래명세표를 자동 작성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이는 작업일지에 포함된 작업일자 및 작업내용, 작업시간 그리고 작업자정보에 포함될 수 있는 사업자등록증 정보 등을 바탕으로 하여 거래명세표의 각 항목에 대한 공란을 자동 작성하여 거래명세표를 작성 처리하는 것이다. 따라서 도 4의 거래명세표의 각 항목을 자동으로 채우는 구성이라 할 수 있겠다.The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unit 520 performs a function of automatically creating a transaction statement based on the work log authenticated through the authentication module 400 and the worker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er DB 100, which is included in the work log. Based on the work date and work details, work hours, and business registration card information that can be included in the worker information, a blank for each item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is automatically created and the transaction statement is prepared and process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it is a configuration that automatically fills in each item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of FIG. 4.

이때 거래명세표의 자동 작성을 위해서는 각각의 작업내용에 대한 기본 단가가 시스템(1)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단가는 작업 관리자 또는 시스템(1) 관리자에 의해 시스템(1)에 기록되어 있거나, 혹은 작업자 각각에 대한 작업단가가 작업자정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단가 및 작업시간을 반영하는 경우 해당 작업에 대한 비용 및 세액까지 계산이 되어, 합계금액은 자동 산출될 수 있어 거래명세표의 자동 작성이 가능해진다.At this time, in order to automatically create the transaction statement, the basic unit price for each work content must be stored in the system (1) in advance, and these unit prices are recorded in the system (1) by the work manager or the system (1) manager, or Alternatively, the work unit cost for each worker may be included in the worker information. In addition, when the unit price and working time are reflected, the cost and tax for the work are calculated, and the total amount can be automatically calculated, enabling automatic creation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거래명세표 인증부(530)는 작성된 상기 거래명세표를 인증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데, 이 때 거래명세표 인증부(530)는 상술한 인증 모듈(400)과 그 기능이 유사하다. 따라서 거래명세표 인증부(530)를 통한 인증이라 함은 해당 거래명세표에 포함된 항목에 대한 공란이 모두 채워졌는지의 여부(작성이 되었는지의 여부), 혹은 작업 관리자(작업자에 대한 관리를 수행하는 자)로 하여금 작성된 거래명세표에 대한 확인 및 결재를 수행하는 것 역시 인증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결재나 거래명세표 작성 완료 여부 확인, 혹은 거래명세표에 대한 위조 검증 등이 모두 거래명세표 인증부(530)의 기능이 될 수 있다.The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30 performs a function of authenticating the created transaction statement. In this case, the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30 has a function similar to that of the authentication module 400 described above. Therefore, authentication through the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30 means whether or not all blanks for the items included in the transaction statement are filled in (whether or not they have been prepared), or a task manager (a person who manages the worker). ) To confirm and pay for the prepared transaction statement can also be called authentication. Therefore, confirmation of whether the payment or the transaction statement is completed, or forgery verification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may all serve as a function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30.

거래명세표 DB(540)는 작성 및 인증된 거래명세표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자적으로 작성된 거래명세표를 자동 저장 처리함으로써, 이후에 또 다른 거래명세표에 대한 작성 시 거래명세표 DB(540)에 기 저장된 다른 거래명세표를 불러와 새로운 거래명세표 생성에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작업내용의 거래명세표를 작성하는 경우 작업일자만을 변경 처리하여 새로운 거래명세표 작성을 보다 효율적으로 빠르게 진행할 수도 있다.The transaction statement DB 540 performs a function of storing the created and authenticated transaction statement. Therefore, by automatically storing and processing the electronically created transaction statement, it is possible to load another transaction statement previously stored in the transaction statement DB 540 and use it to create a new transaction statement when creating another transaction statement later. Therefore, when creating a transaction statement with the same work content, only the work date can be changed and the creation of a new transaction statement can be processed more efficiently and quickly.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작업일지 및 기 입력된 작업자정보를 기반으로 거래명세표를 자동 생성하고 저장할 수 있어 거래명세표 생성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저장된 거래명세표는 전자장부의 역할을 하므로 법적 분쟁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확실한 증거로써 이용될 수도 있으며, 종이 거래명세표가 필요 없어 경제성 역시 뛰어나다.Therefor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generate and store the transaction statement based on the work diary and previously entered worker information, thereby enhancing the efficiency of the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and the stored transaction statement acts as an electronic ledger. When this occurs, it can also be used as evidence, and it is economical as well as there is no need for a paper transaction statement.

도 5는 본 발명의 커뮤니티 구성을 도시한 개념도이다.5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community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커뮤니티 제공 모듈(600)을 포함하여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는 작업자들로 하여금 상호 간에 게시글을 공유하는 커뮤니티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커뮤니티 제공모듈은 게시글 입력부(610) 및 게시글 제공부(6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As can be seen from FIG. 5,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ty providing module 600 to provide a community function for workers us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hare posts with each other. can do. This community providing module includes a posting input unit 610 and a posting providing unit 620.

게시글 입력부(610)는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후기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입력받는 것으로서, 이때 작업후기라 함은 작업현장의 사진이나 작업현장에 대한 작업자의 평가, 또는 건설작업 현장에서 느낄 수 있는 작업자의 다양한 감정에 대한 후기를 일컫는다. 즉 건설 작업 과정을 통해 작업자가 느끼는 감정이나 해당 작업 현장에서 촬영한 사진 등을 포함한 글들이 모두 작업후기가 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후기 또는 그 외의 작업관련 글, 혹은 작업자 간의 친목 도모를 위한 글들이 게시글로써 작업자로부터 입력될 수 있다.The post input unit 610 receives a post including a work review from the worker, and the work review refers to a photo of the work site, an evaluation of the work site, or various types of workers that can be felt at the construction work site. Refers to reviews of emotions. In other words, all articles, including emotions felt by workers through the construction work process or photos taken at the work site, can become work reviews. These work reviews or other work-related articles, or articles for promoting friendship between workers may be input from the worker as postings.

게시글 입력은 기본적으로 작업자가 소지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와 같은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이루어지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이 작업자단말(20)에 설치되거나, 혹은 작업자가 본 발명의 시스템(1)이 구현된 웹사이트에 접속되어야 한다.Post input is basically performed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20 such as a smartphone or tablet PC possessed by the operator,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application or program is installed on the operator terminal 20, or the operator is You must be connected to the website where the system 1 is implemented.

게시글 제공부(620)는 작성된 복수 개의 게시글을 포함하는 게시글리스트를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것으로서, 게시글 제공부(620)를 통해 작업자는 작업자단말(20)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이 구현된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 등을 매개로 복수 개의 게시글을 포함하는 게시글리스트를 한 눈에 파악할 수 있게 된다.The posting provision unit 620 provides a list of posts including a plurality of written posts to an operator, and the operator through the posting provision unit 620 uses the worker terminal 20 to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this implemented application, program, website, etc., it is possible to grasp a list of posts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at a glance.

이는 종래의 웹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의 커뮤니티 게시글 리스트를 생각하면 되므로, 작업자는 게시글리스트를 확인하고 그중 특정 게시글을 열람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is can be done by thinking of a list of community posts of a conventional web site or application, so the operator can check the list of posts and read a specific post among them.

따라서 이와 같은 커뮤니티 제공 모듈(600)을 통해 작업자 간의 게시글 공유를 가능케 하여 본 발명의 시스템(1)을 이용하는 작업자 간의 친목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특정 작업 현장에 대한 후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 현장에 대한 평가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are postings between workers through the community providing module 600, so that it is possible to promote friendship between workers using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as well as to share reviews on a specific work sit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it can be done so that evaluation of the work site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작업자 중 금전적 부족 또는 본인이 이용하고 있던 건설기계의 고장 등으로 인해 타 작업자의 건설기계에 대한 대여가 필요한 작업자를 위해, 건설기계 대여 모듈(700)을 더 포함하여 작업자 간의 건설기계 임대를 중개할 수 있다. 이러한 건설기계 대여 모듈(700)은 대여 요청부(710), 매칭 처리부(720) 및 계약 체결부(7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In additio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module 700 for a worker who needs to rent a construction machine of another worker due to a lack of money among the workers or a breakdown of the construction machine used by the worker. Including, it is possible to broker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between workers. The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module 700 includes a rental request unit 710, a matching processing unit 720, and a contract conclusion unit 730.

대여 요청부(710)는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로부터 대여요청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때 대여요청정보의 입력 역시 작업자단말(20)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은 어플리케이션 및 프로그램, 웹사이트를 통해 구현될 수 있는 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 상에 구현될 수 있는 '대여신청'버튼 등을 클릭하여 대여요청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rental request unit 710 receives rental request information from a worker who wants to rent a construction machine. At this time, it is based that the input of 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is also performed through the worker terminal 20.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through applications, programs, and websites, and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rresponding application, program, or website to receive rental request information by clicking a'rental request' button, etc. You can enter.

대여요청정보는 기본적으로 어떠한 건설기계를 대여할 것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여야 하는데, 따라서 대여하고자 하는 건설기계의 이름인 건설기계명을 포함하여야 함은 물론이고, 나아가 대여기간을 함께 포함하여 얼마나 긴 기간 동안 대여를 수행할 지가 대여요청정보로서 입력될 수 있다.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should basically include information on which construction equipment to be rented. Therefore, it must include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to be rented, which is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furthermore, how long the rental period is included together. Whether or not to perform the rental during the period may be input as rental request information.

즉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 상에 있는 대여신청 버튼을 클릭하는 경우, 대여하고자 하는 건설기계명을 직접 입력하거나 건설기계명 리스트 중 특정 건설기계명을 선택함으로써 건설기계명을 입력할 수 있고, 나아가 대여기간을 함께 입력하여 대여요청정보의 입력이 완료될 수 있는 것이다.That is, when clicking the rental request button on an application, program, or website, you can directly enter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you want to rent or select a specific construction machine name from the list of construction machine names to enter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By entering the rental period together, the input of 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can be completed.

매칭 처리부(720)는 작업자 DB(100)에 속한 작업자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 즉 임차인과 건설기계를 소유하고 있어 건설기계에 대한 대여를 해줄 수 있는 자, 즉 임대인을 매칭 처리한다. Matching processing unit 720 based on the worker information belonging to the worker DB (100), a worker who wants to rent a construction machine, that is, a person who owns a lessee and a construction machine and can lend a construction machine, that is, a lessor. Matching process.

이때 매칭 처리부(720)의 매칭 방식에는 제한이 없으므로,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 상에서 대여요청정보에 해당하는 건설기계를 소유한 작업자와 대여요청정보를 생성한, 즉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를 자동 매칭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며, 나아가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가 해당 건설기계를 소유하고 있는 작업자 중 어느 하나를 직접 선택하도록 하여 임차인이 임대인을 선택하도록 하하여 선택된 임대인과 임차인 사이의 매칭 처리를 수행하는 구성 역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 외에도 보다 다양한 매칭 방식이 적용되어 이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matching method of the matching processing unit 720 is not limited, the worker who owns the construction equipment corresponding to 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and 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are generated in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is, to rent a construction machine.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match the workers who want to rent the construction equipment, and furthermore, the worker who wants to rent the construction equipment directly selects one of the workers who own the construction equipment so that the tenant selects the lessor, and between the selected landlord and the tenant Of course, a configuration that performs matching processing is also possible. In addition to this, more various matching methods may be applied and used.

계약 체결부(730)는 매칭 처리된 상기 작업자 간의 임대계약을 체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 그리고 해당 건설기계를 소유하고 있는 작업자 간의 임대계약을 체결하도록 함으로써 임대인/임차인 사이의 실제 임대계약을 체결토록 하는 것이다.The contract execution unit 730 performs a function of signing a lease contract between the matched workers. In other words, by making a lease contract between a worker who wants to rent a construction machine and a worker who owns the construction machine, an actual lease contract between the lessor/tenant is concluded.

이때 임대계약은 오프라인 상에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혹은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이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고 한 바 해당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웹사이트 상에서 전자 임대 계약을 체결하도록 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 이는 종래의 임대차계약을 온라인 상에서 구현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ase contract may be made offline, or preferably, it is said that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on an application, program, or website. It is also possible to do it. This can be said to implement a conventional lease contract online.

따라서 계약 체결부(730)를 통한 임대 계약 체결 시, 임대계약을 맺는 건설기계명, 임대 계약 기간, 임대 금액 등이 설정되어야 하며, 이는 오프라인 상의 임대 계약서 작성 또는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이 구현된 웹 사이트,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등을 통한 전자 문서 작성 및 계약 등의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signing a lease contract through the contract conclusion unit 730,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for which the lease contract is concluded, the lease contract period, and the lease amount must be set, which means that the offline lease contract or the work managemen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 It can be implemented in a manner such as electronic document creation and contract through the implemented web sit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like.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통한 작업일지 작성에서 더 나아가 작업에 이용되는 건설기계에 대한 임대 구성을 더함으로써 본 발명의 작업 관리 시스템(1)을 이용하는 작업자들의 작업 편의성을 보다 증대시킬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work of workers using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dding a rental configuration for the construction machine used for the work further from the job log creation through the work management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Convenience can be further increased.

더불어 본 발명의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에서 작업자가 본인의 작업자단말(20)을 이용하여 작업일지를 작성하고 이를 시스템(1)에 전송할 때, 작업자서명은 서명의 특수성이 있는 만큼 작업자단말(20)에 기초적으로 구비될 수 있는 터치스크린을 매개로 하여 화면에 자필 서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였다.In addition, in the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n operator writes a work log using his or her operator terminal 20 and transmits it to the system 1, the operator's signature is the operator terminal ( It was characterized in that a handwritten signature is made on the screen through a touch screen that may be provided as a basis for 20).

이때 다른 사람이 특정 작업자의 작업자단말(20)을 수득하여 작업일지 작성을 위조하는 경우가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작업자 본인이 모르는 상태에서 작업일지가 작성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자필로 작성되는 작업자서명에 대한 위조가 발생하게 됨은 물론이다.At this time, assuming that another person obtains the worker terminal 20 of a specific worker and falsifies the creation of the work log, there may be a case where the work log is created without the operator's knowledge. In this case,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forgery of the worker's signature written by hand will occur.

이러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시스템(1)은 작업자서명의 필체를 해당 작업자의 원래 필체와 비교 처리하여 이를 통해 동일 인물 여부를 판별하는 필체 위조 판별 모듈(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such a situatio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andwriting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800 that compares and processes the handwriting of the worker's signature with the original handwriting of the corresponding worker and determines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or not. .

이 경우 작업자서명에 대한 필체 위조 판별을 위해서는 기준이 될 만한 작업자 필체에 대한 정보가 있어야 하기 마련인데, 이를 위해 작업자 DB(100)는 작업자정보로서 작업자의 필체정보를 입력받아 저장 처리한다. 이때 필체정보라 함은 작업자가 본인이 사용하는 싸인(autograph)이나 본인의 이름을 자필로 작성한 이미지파일이 될 수 있다.In this case, in order to determine the handwriting forgery of the worker's signature, information on the worker's handwriting that can serve as a standard must be provided. To this end, the worker DB 100 receives and stores the handwriting information of the worker as worker information. At this time, the handwriting information may be an autograph used by the operator or an image file written with his or her name in hand.

따라서 필체 위조 판별 모듈(800)은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을 통해 입력받은 작업자서명과 기준이 되는 필체정보의 비교 처리를 통해 작업자서명을 입력한 인물이 해당 작업자가 맞는지, 즉 동일 인물 여부를 판별하게 된다. 이는 종래의 필체 인식 및 필체 비교 및 위변조 검증 기능을 이용할 수도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며, 혹은 후술할 구성을 통해 동일 인물 여부를 판별할 수도 있다.Therefore, the handwriting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800 compares the operator's signature input through the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with the handwriting information as a referenc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who entered the operator's signature is the corresponding operator, that is, the same person. Will be determined. This may use the conventional handwriting recognition, handwriting comparison, and forgery verification functions, so a detailed description may be omitted, or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may be determined through a configuration to be described later.

상술한 구성과 같은 필체 위조 판별 모듈(800)에 따라 동일 인물 여부가 판별되면, 본 발명의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작업 확인 모듈(900)은 해당 작업자에게 위조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When the same person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handwriting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800 as described above, the work check module 90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orgery notification to the corresponding worker.

이를 위해 작업 확인 모듈(900)은 필체 위조 알림부(9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필체 위조 알림부(910)는 입력된 상기 작업자서명과 상기 필체정보 사이의 비교 처리를 통해 판별된 작업자의 동일 인물 여부에 따라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작업자에게 위조 알림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work confirmation module 900 may include a handwriting forgery notification unit 910, wherein the handwriting forgery notification unit 910 is the same of the worker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processing between the inputted worker signature and the handwriting information. Depending on whether a person is a person or not, a counterfeit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worker via the worker terminal 20.

이때 바람직하게는 동일 인물로 판별이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이라 할 수 있으므로, 동일 인물로 판별되어지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하여 작업자DB에 저장된 필체정보에 해당하는 작업자에게 위조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누군가가 본인의 필체를 위조하여 작업일지를 작성하였음을 알려줄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determination is preferably made as the same person, so a counterfeit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worker corresponding to the handwriting information stored in the worker DB through the worker terminal 20 as the worker terminal 20 is not identified as the same person. By doing so, you can let someone know that you have forged your handwriting and created a work log.

위조알림 역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사이트 등을 매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반적으로 작업자단말(20)이 스마트폰일 수 있으므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위조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위조알림 메시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작업자서명의 필체가 동일 인물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등의 메시지를 제공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The forgery notific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a program, a website, or the like, or in general, since the worker terminal 20 may be a smartphone, a forged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ethod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forgery notification message, and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a message such as'The handwriting of the worker's signature was not recognized as the same person'.

위조알림은 작업자단말(20)에만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단말에도 저장될 수 있으며, 혹은 위조알림 생성 시에는 작업일지가 인증되지 못하게 하도록 세부 구성이 겸비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다른 사람이 작업일지를 작성토록 하여 부당이득을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The forgery notification can be provided only to the operator terminal 20 as well as stor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or when a forged notification is generated, a detailed configuration is provided to prevent the work log from being authenticated, allowing the operator to log the work log by another person. Of course, it is possible to prevent taking an unfair advantage by allowing it to be writte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도 6은 본 발명의 작업자관리단말을 도시한 개념도이다.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worker management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상기 시스템(1)은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 작업자관리단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업자관리단말(40)은 상술한 작업일지 전송 모듈(300)의 구성에 있어 작업자로부터 입력받게 되는 작업자서명, 즉 작업일지에 포함되어 해당 작업자가 현장 작업 완료 후 본인의 서명을 날인하는 작업자서명을 입력받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system 1 may further include a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located at a work site. This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is a worker signature received from the worker in the configuration of the above-described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300, that is, a worker signature that is included in the work log and seals the worker's signature after completing the field work. It may include a function to receive input.

혹은 작업일지의 작업자서명을 입력받는 기능 외에도 작업 현장에 위치한 작업자관리단말(40)을 기반으로 작업자서명을 입력받도록 하여 해당 현장에 실제로 작업자가 출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따라서 작업자관리단말(40)을 매개로 작업자서명을 입력받아 작업일지를 완성하거나, 혹은 해당 작업 현장에 대한 작업자의 출결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Alternatively, in addition to the function of receiving the operator's signature in the work log, it is possible to check whether the operator actually has attended the relevant site by receiving the operator's signature based on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0 located at the work sit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mplete a work log by receiving a worker signature through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or to manage the attendance of the worker to the corresponding work site.

따라서 이와 같은 작업자서명의 작성 구성을 위해 상기 작업자관리단말(40)은 터치 스크린(41)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이러한 작업자관리단말(40)은 가장 유사하게는 터치 스크린(41)을 구비한 키오스크와 유사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Therefore,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basically includes a touch screen 41 for the construction of such a worker signature.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may be most similarly configured as a kiosk having a touch screen 41.

더불어 작업자관리단말(40)은 해당 작업자관리단말(40) 인근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면을 촬영할 수 있는 카메라(42)를 구비한다. 이러한 카메라(42)는 작업자의 안면을 촬영하도록, 작업자의 위치에 따라 자동 줌인/줌아웃 처리될 수 있는 렌즈 조절 수단을 구비하거나 아니면 미리 설정된 작업자관리단말(40)의 전면 특정 위치에 작업자가 서 있도록 작업자관리단말(40)의 전면에 안내 문구 표식을 부착하여 특정한 고정 위치에서 작업자를 촬영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includes a camera 42 capable of photographing the face of a worker located near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Such a camera 42 is provided with a lens adjustment means capable of automatically zooming in/zooming out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operator to photograph the operator's face, or allowing the operator to stand at a specific position in front of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0 set in advance. A guide phrase mark is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so that the worker is photographed at a specific fixed position.

더불어 카메라(42)의 위치에는 제한이 없으나, 예를 들어 작업자관리단말(40)의 중앙 상단, 즉 터치 스크린(41)의 상단 일 측에 카메라(42)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관리단말(40)에 구비된 터치 스크린(41) 상단에 소형 카메라(42)가 설치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position of the camera 42 is not limited, but the camera 42 may be located, for example, at the upper center of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that is, at one side of the upper end of the touch screen 41. Accordingly, as shown in the drawing, a small camera 42 may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ouch screen 41 provided in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더불어 작업자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작업자의 안면사진을 포함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촬영 이미지와 작업자 DB(100)에 저장된 안면사진을 비교 처리함으로써 현재 작업자관리단말(40)에 촬영된 작업자의 촬영 이미지가 작업자 DB(100)에 저장된 안면사진과 일치하는지, 즉 해당 작업자가 동일 인물이 맞는지에 대한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In addition, it was said that the worker information may include a face picture of the worker as described above. Therefore, by comparing and processing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acial photo stored in the worker DB 100, whether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worker currently captured in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matches the facial photo stored in the worker DB 100, that is, the corresponding worker is the same. Verification can be performed to see if the person is correct.

이를 위해 상기 시스템(1)은 사진 위조 판별 모듈(100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사진 위조 판별 모듈(1000)은 작업자 DB(100)에 저장된 해당 작업자의 안면사진과 작업자관리단말(40)을 매개로 촬영된 작업자의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 인물 여부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작업자의 안면사진과 촬영 이미지의 비교 처리를 위해 상기 작업자관리단말(40)은 터치 스크린(41)을 매개로 하여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작업자의 이름을 입력받아, 그 이름에 해당하는 작업자정보의 안면사진을 불러와 촬영 이미지와 비교 처리할 수도 있으며, 혹은 이름 입력을 위해 마이크 및 음성인식 구성을 겸비할 수도 있다.To this end, the system 1 may include a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1000, and the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1000 mediates the worker's facial photo stored in the worker DB 100 and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It plays a role of determining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by comparing the photographed image of the worker photographed with the camera. At this time, in order to compare and process the operator's face photo and the photographed image,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0 receives the name of the operator who photographed the photographed image through the touch screen 41, and displays the operator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name. Face photos can be imported and compared with captured images, or a microphone and voice recognition configuration can be combined for name input.

따라서 이와 같은 사진 위조 판별 모듈(1000)을 통해 촬영 이미지, 그리고 해당 촬영 이미지를 촬영한 작업자의 안면사진을 비교하여 동일 인물 여부를 확인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진 기반의 동일 인물 검증 구성은 공지의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 예를 들어 스마트폰에 장착된 안면 인식 프로그램 등과 그 기능이 유사하므로 공지의 이미지 인식 프로그램 구성을 사진 위조 판별 모듈(1000)에 포함시켜 동일 인물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hotographed image and the facial photo of the operator who took the photographed image are compared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through the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1000. This photo-based identification of the same person is a known image recognition. Since a program, for example, a facial recognition program mounted on a smartphone, has similar functions, a known image recognition program configuration may be included in the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1000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더불어 이러한 사진 위조 판별 모듈(1000)을 통한 작업자의 동일 인물 여부에 따라, 본 발명의 시스템(1)에 포함될 수 있는 작업 확인 모듈(900)은 해당 작업자에게 위조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depending on whether the worker is the same person through the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1000, the work confirmation module 900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ystem 1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vide a forgery notification to the corresponding worker.

이를 위해 작업 확인 모듈(900)은 사진 위조 알림부(920)를 포함할 수 있는데, 사진 위조 알림부(920)는 안면사진과 촬영 이미지 사이의 비교 처리를 통해 판별된 작업자의 동일 인물 여부, 즉 안면사진과 촬영 이미지가 동일 인물로 판별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작업자에게 위조 알림을 제공한다.To this end, the job confirmation module 900 may include a photo forgery notification unit 920, wherein the photo forgery notification unit 920 is the same person as the worker determined through comparison processing between a facial photo and a photographed image, that is, A counterfeit notification is provided to the operator through the operator terminal 20 according to whether the facial photograph and the photographed image are identified as the same person.

이때 바람직하게는 동일 인물로 판별이 이루어지는 것이 기본이라 할 수 있으므로, 동일 인물로 판별되어지지 않음에 따라 작업자단말(20)을 매개로 하여 안면사진에 해당하는, 즉 작업자DB에 저장된 작업자에게 위조알림을 제공함으로써 누군가가 본인을 사칭하여 작업 현장에 나와있음을 알릴 수 있다. 위조알림 역시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웹사이트 등을 매개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혹은 일반적으로 작업자단말(20)이 스마트폰일 수 있으므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식을 통해 위조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위조알림 메시지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예를 들어 '안면 인증이 동일 인물로 인식되지 않았습니다.'등의 메시지를 출력하는 것 역시 가능하다.At this time, since it can be said that the basic determination is preferably made as the same person, as the person is not identified as the same person, the counterfeit notification corresponding to the facial picture, that is, to the worker stored in the worker DB as a medium, is not identified as the same person. You can tell someone you are on the job site by impersonating you. The forgery notific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n application, a program, a website, or the like, or in general, since the worker terminal 20 may be a smartphone, a forged notification may be provided through a method of transmitting a text message. There is no limit to the type of forgery notification message, and it is also possible to output a message such as'The face authentication was not recognized as the same person.'

또한 작업자가 허위로 다른 사람을 대신 작업 현장에 본인인 것처럼 내보낸 후 그를 통해 부당 이득을 취하고자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위조알림은 작업자단말(20)에만 제공될 수 있을 뿐 아니라 관리자단말(미도시)에도 저장될 수 있으며, 혹은 위조알림 생성 시에는 작업일지가 전송되지 못하거나 인증되지 못하게 하도록 세부 구성이 겸비됨으로써 작업자로 하여금 허위로 다른 사람을 작업 현장에 대체하고 작업일지를 작성토록 하여 부당이득을 취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there may be cases where a worker falsely exports someone else to the job site as if he were himself, and then attempts to take advantage of it unfairly. Therefore, the forged notification can not only be provided to the operator terminal 20, but also can be stored in the administrator terminal (not shown), or when a forged notification is generated, a detailed configuration is combined to prevent the work log from being transmitted or authenticated. Of course,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unfair gains by allowing workers to falsely substitute other people on the work site and write a work log.

또한 이러한 동일 인물 여부 검증 구성에서 꼭 필요한 작업자관리단말(40)은 건설 작업 현장에 위치되는 일종의 키오스크(KIOSK)라 할 수 있는데, 이러한 작업자관리단말(40)은 건설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 특성 상 다양한 오염물에 노출될 수 있어 부식이나 오염에 굉장히 취약하다고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which is essential in the verification configuration for the same person, can be referred to as a kind of kiosk (KIOSK) located at the construction work site. As it can be exposed to contaminants, it can be said to be very susceptible to corrosion or contamination.

따라서 작업자관리단말(40)의 오염에 의한 부식을 방지하여 내구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작업자관리단말(40)의 표면에는 내부식 코팅층(미도시)이 적층 코팅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식 코팅층은 내부식성이 있는 물질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데, 이러한 내부식성이 있는 물질은 내부식 첨가제라고 통칭할 수 있다.Therefore, in order to increase durability by preventing corrosion of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due to contamination,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layer (not shown) may be laminated and coated on the surface of the worker management terminal 40. The corrosion resistant coating layer contains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as an active ingredient, and such a material having corrosion resistance may be referred to as a corrosion resistant additive.

내부식 첨가제는 내부식성을 갖는 물질을 기본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바, 이때 내부식성을 갖는 내부식 첨가제의 유효 성분에 있어서는 제한을 두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아미노-p-벤조퀴논(Amino-p-benzoquinone)과 같은 벤조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함으로써 벤조퀴논계 화합물을 통한 내부식성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The anti-corrosion additive should basically contain a substance having corrosion resistance. In this case, the active ingredient of the anti-corrosion additive having corrosion resistance is not limited, but preferably amino-p-benzoquinone By including the benzoquinone-based compound as described above, it can be expected to improve the corrosion resistance through the benzoquinone-based compound.

더불어 이와 같은 아미노-p-벤조퀴논을 포함하는 내부식 첨가제는,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건조 수득물을 수득하는 단계, 내부식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anti-corrosion additive including amino-p-benzoquinone can be obtained through the steps of preparing a first mixture, preparing a second mixture, obtaining a dry product, and completing the anti-corrosion additive.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manufactured.

(S11)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1) preparing a first mixture

먼저, 2,5-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1,4-벤조퀴논(2,5-Bis(N- 2-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15 내지 20 중량부와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1,1'-Carbonyl diimidazole) 20 내지 25 중량부 및 디클로로메탄(Dicholoromethane)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한다.First, 2,5-bis(N-2-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2,5-Bis(N-2-Hydroxyethyl-N-methylamino)-1,4- 15 to 20 parts by weight of benzoquinone), 20 to 25 parts by weight of 1,1'-Carbonyl diimidazole, and 40 to 70 parts by weight of dichloromethane to prepare a first mixture do.

2,5-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1,4-벤조퀴논은 아미노벤조퀴논계화합물로써 금속에 대한 친화도(affinity)가 높아 금속의 내부식성을 높여줄 수 있는 작용을 한다.2,5-bis(N-2-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is an aminobenzoquinone-based compound that has a high affinity for metals and can increase the corrosion resistance of metals. It works to be able to.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은 방향족 카르복실산의 일종으로써 2,5-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1,4-벤조퀴논을 이용한 내부식 첨가제 제조에 있어 기능기의 활성화를 위한 반응 촉진제, 즉 활성화제로써 첨가된다.1,1'-carbonyldiimidazole is a kind of aromatic carboxylic acid. Preparation of corrosion resistant additive using 2,5-bis(N-2-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In addition, it is added as a reaction accelerator, that is, an activator for activation of functional groups.

디클로로메탄은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및 2,5-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1,4-벤조퀴논을 용해시키기 위한 유기 용매로써, 이때 제 1 혼합물이 균질 혼합물을 이루기 위해서는 상온에서 교반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Dichloromethane is an organic solvent for dissolving 1,1'-carbonyldiimidazole and 2,5-bis(N-2-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1 In order for the mixture to form a homogeneous mixture, it must be stirred at room temperature.

(S12)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S12) preparing a second mixture

다음으로, 제 1 혼합물 50 내지 70 중량부와, 아미노-p-벤조퀴논(Amino-p- benzoquinone) 20 내지 40 중량부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 pyridine)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 내지 25℃에서 1 내지 3시간 교반 처리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한다.Next, 50 to 7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mixture,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mino-p-benzoquinone,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4-dimethylaminopyridine (4-(dimethylamino) pyridine) Mixing and stirring for 1 to 3 hours at 15 to 25 ℃ to prepare a second mixture.

이때 첨가되는 아미노-p-벤조퀴논(Amino-p-benzoquinone)은 벤조퀴논계 화합물로써 상술한 바와 같이 금속 친화도가 높아 내부식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된다. 아미노-p-벤조퀴논 역시 유기용매에 잘 용해되는 특성이 있어 제 1 혼합물에 포함된 디클로로메탄에 쉽게 용해 처리된다.The amino-p-benzoquinone added at this time is a benzoquinone-based compound and is added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due to high metal affinity as described above. Amino-p-benzoquinone is also well soluble in organic solvents, so it is easily dissolved in dichloromethane contained in the first mixture.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pyridine)은 무색의 결정질 화합물로써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과 같이 활성화제, 즉 반응 촉진제로 첨가되며 우수한 촉매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때 4-디메틸아미노피리딘이 제 2 혼합물 상에서 쉽게 녹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15 내지 25℃에서 1 내지 3시간 교반 처리가 이루어져야 한다.4-Dimethylaminopyridine (4-(dimethylamino)pyridine) is a colorless crystalline compound and is added as an activator, that is, a reaction accelerator, such as 1,1'-carbonyldiimidazole, and is known to have an excellent catalytic effect. At this time, since 4-dimethylaminopyridine may not be easily dissolved in the second mixture, a stirring treatment should be performed at 15 to 25°C for 1 to 3 hours.

(S13) 건조 수득물을 수득하는 단계(S13) obtaining a dry product

제 2 혼합물이 제조되고 나면, 감압 농축이나 증류 등의 방식을 통해 제 2 혼합물에 포함된 용매인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진공 하에서 건조 처리하여 입상의 건조 수득물을 얻어, 다음 단계를 준비하게 된다.After the second mixture is prepared, dichloromethane, which is a solvent contained in the second mixture, is removed through a method such as vacuum concentration or distillation, and dried under vacuum to obtain a dry granular product to prepare the next step.

(S14) 내부식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S14) Completing the anti-corrosion additive

마지막으로, 상술한 입상의 건조 수득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건조 수득물에 대한 용매인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20 내지 30 중량부 및 내부식 첨가제를 이용한 피막 형성을 및 항균성 향상을 위한 항균 점착 보조제 30 내지 40 중량부를 혼합하여 내부식 첨가제를 완성한다.Finally,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above-described granular dry product, 20 to 3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an as a solvent for the dry product, and antibacterial for impro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and film formation using a corrosion-resistant additive By mixing 30 to 40 parts by weight of an adhesion aid to complete the anti-corrosion additive.

이때 첨가되는 항균 점착 보조제는 작업자관리단말(40)의 표면에 내부식 첨가제가 도포되었을 때 표면에 치밀한 피막을 형성하여 내부식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피막형성제 역할을 함과 동시에 작업자관리단말(40)의 표면에 대한 항균성을 부가할 수 있다. 이러한 항균 점착 보조제는 항균성을 갖는 클로린 다이옥사이드(Chlorine dioxide)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클로린 다이옥사이드(chlorine dioxide)는 유독성 무기물 제거, 중금속 제거, 살균 및 소독, 의류표백, 악취제거의 기능을 가지는 액체로서, 강 산화제로 극성 용매에 잘 녹는 특성이 있다. 기체 상태일 경우 자외선에 의해 쉽게 분해되나, 액상에서는 가수분해되지 않는다.
The antibacterial adhesion aid added at this time acts as a film-forming agent that forms a dense film on the surface of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0 when the anti-corrosion additive is applied to the surface of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0 to form a corrosion-resistant coating layer. It is possible to add antibacterial properties to the surface of (40). These antimicrobial adhesion aids are characterized by containing as an active ingredient chlorine dioxide having antibacterial properties.
Chlorine dioxide is a liquid that has the functions of removing toxic inorganics, removing heavy metals, sterilizing and disinfecting, bleaching clothes, and removing odors. It is a strong oxidizing agent and is soluble in polar solvents. In the gaseous state, it is easily decomposed by ultraviolet rays, but it is not hydrolyzed in the liquid phase.

이와 같은 내부식 첨가제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내부식 코팅층은 벤조퀴논계 화합물을 포함하여 금속 표면에서의 뛰어난 내부식성을 나타내어 오염물에 의해 작업자관리단말(40)이 오염되더라도 금속재의 표면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첨가된 활성화제(반응 촉진제)에 의해 벤조퀴논 기능기가 활성화 처리 되어 있어 내부식성이 보다 향상될 수 있다.The corrosion-resistant coating layer containing such a corrosion-resistant additive as an active ingredient exhibits excellent corrosion resistance on the metal surface, including benzoquinone-based compounds. It can be prevented, and the benzoquinone functional group is activated by the added activator (reaction accelerator), so that the corrosion resistance can be further improved.

즉, 내부식 첨가제는 유효 성분으로 포함된 항균 점착 보조제에 의해 피막 형성 효과가 더해졌을 뿐 아니라 항균성이 부가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In other words, the anti-corrosion additi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antimicrobial adhesion aid included as an active ingredient not only has a film-forming effect, but also has an antimicrobial property.
As described so fa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work management system for a construction machine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xpressed in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but this is only described as an example 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description and drawings. It goes without saying that various changes and change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1 : 시스템 10 : 중앙관제서버
20 : 작업자단말 30 : 식별마크
40 : 작업자관리단말 41 : 터치 스크린
42 : 카메라 100 : 작업자 DB
200 : 작업일지 생성 모듈 210 : 템플릿 생성부
220 : 작업일지 생성부 300 : 작업일지 전송 모듈
400 : 인증 모듈 500 : 거래명세표 생성 모듈
510 : 거래명세표 생성부 511 : 템플릿 생성파트
512 : 거래명세표 생성파트 520 : 거래명세표 작성부
530 : 거래명세표 인증부 540 : 거래명세표 DB
600 : 커뮤니티 제공 모듈 610 : 게시글 입력부
620 : 게시글 제공부 700 : 건설기계 대여 모듈
710 : 대여 요청부 720 : 매칭 처리부
730 : 계약 체결부 900 : 작업 확인 모듈
920 : 사진 위조 알림부 1000 : 사진 위조 판별 모듈
1: System 10: Central control server
20: worker terminal 30: identification mark
40: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41: touch screen
42: camera 100: operator DB
200: work journal generation module 210: template generation unit
220: work log generation unit 300: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400: authentication module 500: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module
510: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unit 511: template generation part
512: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part 520: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unit
530: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540: Transaction statement DB
600: community provision module 610: post input unit
620: post provision unit 700: construction equipment rental module
710: rental request unit 720: matching processing unit
730: contract conclusion unit 900: work confirmation module
920: photo forgery notification unit 1000: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Claims (11)

건설기계 이용자를 위한 작업 관리 시스템으로서,
작업자의 이름과 나이 및 안면사진, 건설기계정보를 포함하는 작업자정보를 저장한 작업자 DB;
작업일지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부와, 상기 템플릿 및 작업현장명,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자명 및 작업자서명에 대한 공란을 포함하는 작업일지를 생성하는 작업일지 생성부를 포함하는 작업일지 생성 모듈;
상기 작업일지를 상기 작업자가 소지한 작업자단말에 제공한 상태에서, 상기 작업자가 상기 작업현장명, 상기 작업내용, 상기 작업일자, 상기 작업시간, 상기 작업자명 및 상기 작업자서명을 작성한 작업일지를 전송받는 작업일지 전송 모듈;
상기 작업자에 의해 작성된 상기 작업일지를 인증하는 인증 모듈;
작업 현장에 위치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자서명을 입력받는 터치 스크린 및, 상기 작업자서명을 입력하는 상기 작업자의 안면을 촬영하여 촬영 이미지를 생성하는 카메라를 포함하는 작업자관리단말;
저장된 상기 안면사진과 상기 촬영 이미지를 비교하여 동일 인물 여부를 판별하는 사진 위조 판별 모듈;
판별된 상기 작업자의 동일 인물 여부에 따라 작업자단말을 매개로 상기 작업자에게 위조알림을 제공하는 사진 위조 알림부를 포함하는 작업 확인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작업자관리단말의 표면에는, 아미노-p-벤조퀴논(Amino-p-benzoquinone)을 포함하는 내부식 첨가제를 포함하는 내부식 코팅층이 적층 코팅되고,
상기 내부식 첨가제는,
2,5-비스(N-2-하이드록시에틸-N-메틸아미노)-1,4-벤조퀴논(2,5-Bis(N-2- 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15 내지 20 중량부와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1,1'-Carbonyl diimidazole) 20 내지 25 중량부 및 디클로로메탄(Dicholoromethane) 40 내지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제 1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제 1 혼합물 50 내지 70 중량부와, 아미노-p-벤조퀴논(Amino-p- benzoquinone) 20 내지 40 중량부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4-(dimethylamino) pyridine) 1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15 내지 25℃에서 1 내지 3시간 교반 처리하여 제 2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감압 하에서 상기 제 2 혼합물에 포함된 상기 디클로로메탄을 제거하고 건조 처리하여 건조 수득물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건조 수득물 40 내지 60 중량부와, 클로린 다이옥사이드(Chlorine dioxide)를 포함하는 항균 점착 보조제 30 내지 40 중량부 및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20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내부식 첨가제를 완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As a work management system for users of construction equipment,
A worker DB storing worker information including the worker's name, age, and face photo, and construction machine information;
Includes a template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template for the work log, and a work log generation unit that creates a work log including blanks for the template and work site name,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er name, and worker signature. A task log generation module;
In a state in which the work log is provided to the operator terminal possessed by the operator, the operator transmits the work log on which the work site name, the work content, the work date, the work time, the worker name, and the worker signature are written. Receiving work log transmission module;
An authentication module for authenticating the work journal created by the worker;
A worker management terminal located at a work site and including a touch screen receiving the worker signature and a camera for photographing the face of the worker inputting the worker signature to generate a photographed image;
A photo forgery determination module that compares the stored facial photo and the captur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person is the same person;
Including; a task confirmation module including a photo forgery notification unit for providing a forgery notification to the worker via a worker terminal according to whether the determined worker is the same person or not; including,
On the surface of the operator management terminal, a corrosion resistant coating layer containing a corrosion resistant additive including amino-p-benzoquinone is laminated and coated,
The anti-corrosion additive,
2,5-Bis(N-2- Hydroxyethyl-N-methylamino)-1,4-benzoquinone Preparing a first mixture by mixing 15 to 20 parts by weight and 20 to 25 parts by weight of 1,1'-Carbonyl diimidazole and 40 to 70 parts by weight of dichloromethane ;
50 to 70 parts by weight of the first mixture,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mino-p-benzoquinone and 10 to 30 parts by weight of 4-dimethylaminopyridine are mixed, and Stirring at 15 to 25° C. for 1 to 3 hours to prepare a second mixture;
Removing the dichloromethane contained in the second mixture under reduced pressure and drying the mixture to obtain a dry product;
Mixing 40 to 60 parts by weight of the dried product, 30 to 40 parts by weight of an antimicrobial adhesion aid containing chlorine dioxide, and 20 to 30 parts by weight of tetrahydrofuran to complete a corrosion-resistant additive; Characterized in that manufactured, including, work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자정보는,
상기 작업자의 사업자등록증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시스템은,
거래명세표에 대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템플릿 생성파트 및, 상기 템플릿 및 작업내용, 작업일자, 작업시간, 작업단가 및 합계금액에 대한 공란을 포함하는 거래명세표를 생성하는 거래명세표 생성파트를 포함하는 거래명세표 생성부와,
인증된 상기 작업일지 및 상기 작업자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거래명세표를 자동 작성하는 거래명세표 작성부 및,
작성된 상기 거래명세표를 인증하는 거래명세표 인증부와,
인증된 상기 거래명세표를 저장하는 거래명세표 DB를 포함하는 거래명세표 생성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worker information,
Including the operator's business registration certificate information,
The system,
A transaction statement including a template generation part that creates a template for the transaction statement, and a transaction statement generation part that generates a transaction statement including blanks for the template and work content, work date, work time, work unit price, and total amount. With the generator,
A transaction statement creation unit that automatically creates the transaction statement based on the authenticated work log and the worker information, and
A transaction statement authentication unit that authenticates the created transaction statement;
A transaction specification table generation module including a transaction specification table DB for storing the authenticated transaction specification table;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job management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작업자로부터 작업후기를 포함하는 게시글을 입력받는 게시글 입력부 및,
복수 개의 상기 게시글을 포함하는 게시글리스트를 상기 작업자에게 제공하는 게시글 제공부를 포함하는 커뮤니티 제공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ystem,
A post input unit for receiving posts including work reviews from the worker, and
And a community providing module including a post providing unit for providing a post list including a plurality of posts to the work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은,
상기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로부터 대여하고자 하는 건설기계명을 포함하는 대여요청정보를 입력받는 대여 요청부 및,
상기 작업자 DB를 기반으로 상기 건설기계를 대여하고자 하는 작업자와 상기 대여요청정보에 해당하는 상기 건설기계를 소유한 상기 작업자를 매칭 처리하는 매칭 처리부와,
매칭 처리된 상기 작업자 사이의 임대계약을 체결하는 계약 체결부를 포함하는 건설기계 대여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system,
A rental request unit receiving rental request information including the name of the construction machine to be lent from the worker who wants to lent the construction machine, and
A matching processing unit for matching and processing the worker who wants to rent the construction machine based on the worker DB and the worker who owns the construction machine corresponding to the rental request information,
A construction machine rental module comprising a contract conclusion unit for signing a rental contract between the matched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work management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200159886A 2020-11-25 2020-11-25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KR10225788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86A KR102257888B1 (en) 2020-11-25 2020-11-25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86A KR102257888B1 (en) 2020-11-25 2020-11-25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888B1 true KR102257888B1 (en) 2021-05-27

Family

ID=7613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86A KR102257888B1 (en) 2020-11-25 2020-11-25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888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413B1 (en)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struction integration platform
KR20230010938A (en) 2021-07-13 2023-01-20 금강공업 주식회사 Building facility detection method using building facility detection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088A (en) * 2009-09-01 2011-03-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using two dimension barcord
KR20120110003A (en) * 2011-03-28 2012-10-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KR20130132203A (en)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 formed by us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1776228B1 (en) * 2016-07-08 2017-09-07 나현웅 Electronic rental contra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80079741A (en) * 2017-01-02 2018-07-11 유창관 A mat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ing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for storing recording medium
KR102053581B1 (en) * 2019-05-27 2019-12-09 주식회사 시큐브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and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4088A (en) * 2009-09-01 2011-03-09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Hybrid signature verification method using two dimension barcord
KR20120110003A (en) * 2011-03-28 2012-10-09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Adhesive composition and adhesive sheet
KR20130132203A (en) * 2012-05-25 2013-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Photosensitive resin composition, pattern formed by using the same and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1776228B1 (en) * 2016-07-08 2017-09-07 나현웅 Electronic rental contract system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20180079741A (en) * 2017-01-02 2018-07-11 유창관 A matching service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using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Construction work smart walking application for storing recording medium
KR102053581B1 (en) * 2019-05-27 2019-12-09 주식회사 시큐브 Apparatus and method for user authentication based on face recognition and handwritten signature verif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10938A (en) 2021-07-13 2023-01-20 금강공업 주식회사 Building facility detection method using building facility detection system
KR102398413B1 (en) * 2021-08-20 2022-05-17 엄태성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 construction integration platfor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0049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xecuting and delivering electronic documents
Simkin et al. Core concepts of accounting information systems
CN109636318B (en) Real estate registration system and real estate registration method
US8442920B1 (en) Paperless mortgage closings
CN108269183B (en) Financial accounting intelligent agent service system, electronic equipment and method
US2013010419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ra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cycle optimization
CN107636662A (en) Web content certification
KR102257888B1 (en) A Job Management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User
CN109377189B (en) Real estate electronic ticket system
US20220229883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tecting, managing and monetizing creative works using blockchain
Ali et al. A transparent and trusted property registration system on permissioned blockchain
CA3130901C (en) A system for secure automated and accelerated resource allocation
JP2020038568A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program
KR101006227B1 (en) Integrating management system for supporting for service of bank and method of the same
CN113312893A (en) Auxiliary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ystem for making enterprise bidding document
JP2003216804A (en) Bankruptcy prediction system using qualitative data
Bhardwaj et al. Applications of blockchain in various domains
CN110727735A (en) Method, device and equipment for cooperatively completing task event based on block chain technology
CN116127527A (en) Building supply chain financi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based on blockchain
CN201622608U (en) Checking system of capital verification report of enterprise
Ismail National Land Code 1965: Electronic Land Administration System in Land Registries
US20060074705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sidential property data capture, process, and distribute on-line for sale or lease purpose
CN113450199A (en) System and method for quickly generating electronic guarantee letter
US20160048845A1 (en) Method for eliminating the use of paper in electronic transactions by legally valid manuscript biometrics, so-called formalised paperless solution
JP6829980B2 (en) Accounting server and detailed data acquisi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