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490B1 -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490B1
KR102257490B1 KR1020190092861A KR20190092861A KR102257490B1 KR 102257490 B1 KR102257490 B1 KR 102257490B1 KR 1020190092861 A KR1020190092861 A KR 1020190092861A KR 20190092861 A KR20190092861 A KR 20190092861A KR 102257490 B1 KR102257490 B1 KR 102257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unit
moving
air
impl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92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14876A (ko
Inventor
김인성
Original Assignee
김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성 filed Critical 김인성
Priority to KR1020190092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490B1/ko
Publication of KR20210014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14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2Clea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ental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61C13/0003Making bridge-work, inlays, implants or the like
    • A61C13/0004Computer-assisted sizing or machining of dental prosthe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07Dust removing devices on working places in dental laboratories, e.g. working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5/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air flow or gas flow
    • B08B5/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e.g. blowing-out cavi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QDETAILS, COMPONENTS, OR ACCESSORIES FOR MACHINE TOOLS, e.g. ARRANGEMENTS FOR COPYING OR CONTROLLING; MACHINE TOOLS IN GENERAL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ON OF PARTICULAR DETAILS OR COMPONENTS; COMBINATIONS OR ASSOCIATIONS OF METAL-WORKING MACHINES, NOT DIRECTED TO A PARTICULAR RESULT
    • B23Q11/00Accessories fitted to machine tool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or for cooling work; Safety devices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chine tools
    • B23Q11/0042Devices for removing chips
    • B23Q11/005Devices for removing chips by blow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는, 임플란트가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내부공간이 외부에 연통되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과, 임플란트 적재 지그에 연결되며 임플란트 적재 지그를 에어 분사유닛에 대해 상대이동 시키는 지그 이송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A device for removing cutting oil used in the processing of dental implants}
본 발명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되어 치과용 임플란트에 묻은 절삭유를 제거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임플란트는 원래 인체조직이 상실되었을 때, 회복시켜 주는 대치물을 의미하지만, 치과에서는 인공으로 만든 치아를 이식하는 일련의 시술을 가리킨다.
상실된 치근(뿌리)을 대신할 수 있도록 인체에 거부반응이 없는 티타늄(titanium) 등으로 만든 치근인 픽스츄어(fixture)를 치아가 빠져나간 치조골에 심은 뒤, 인공치아를 고정시켜 치아의 기능을 회복하도록 하는 시술이다.
일반 보철물이나 틀니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 주위 치아와 뼈가 상하지만 임플란트는 주변 치아조직을 상하지 않게 하며, 자연치아와 기능이나 모양이 같으면서도 충치가 생기지 않으므로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인공치아 시술(임플란트 또는 임플란트 시술이라고도 함)은, 픽스츄어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지만 소정의 드릴을 사용하여 식립위치를 천공한 후 픽스츄어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뼈에 골융합시킨 다음, 픽스츄어에 지대주(abutment)를 결합시킨 후에, 지대주에 최종 보철물을 씌움으로써 완료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단일 결손치 수복은 물론이거니와 부분 무치아 및 완전 무치아 환자에게 의치의 기능을 증진시키고, 치아 보철 수복의 심미적인 면을 개선시키며, 나아가 주위의 지지골 조직에 가해지는 과도한 응력을 분산시킴과 아울러 치열의 안정화에 도움을 준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를 포함한다. 여기서,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결합시키기 전에, 즉 치조골에 픽스츄어가 골융합되기까지의 기간 동안에 지대주가 픽스츄어에 결합되어 결합 상태를 유지하기도 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한 구성품인 픽스츄어는, 임플란트가 시술되는 위치에 드릴 등을 이용하여 치조골에 형성된 드릴 홀에 식립되는 부분으로서 인공 치근의 역할을 담당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픽스츄어(10)와 치조골의 단단한 고정을 위해 픽스츄어(10)의 외벽 둘레에는 나선형으로 나사부(11)가 마련된다.
또한, 픽스츄어(10)에는 상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며 지대주가 삽입되는 지대주용 끼움홈(12)이 마련된다.
이러한 지대주용 끼움홈(12)의 내벽은, 지대주의 외벽에 형상맞춤되는 형상으로 마련되며, 지대주의 픽스츄어(10)에 대한 상대회전을 저지하기 위해 다각형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이러한 픽스츄어(10) 및 지대주 등은 밀링 가공 등에 의해 제작되는데, 밀링 가공 시 절삭유가 사용되며 이러한 절삭유는 가공이 완료된 픽스츄어(10) 및 지대주에 묻어 있다.
특히, 픽스츄어(10)에 마련된 지대주용 끼움홈(12)에 절삭유가 고여 있기 쉬우며, 이렇게 픽스츄어(10) 및 지대주 등에 묻어 있는 절삭유는 별도의 세척 공정을 통해 제거되어야 한다. 절삭유를 세척하기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개개의 픽스츄어(10) 및 지대주 등을 픽업하여 세척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런데 개개의 픽스츄어(10)를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세척하는 종래의 세척방식은 작업 시간이 길며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50933호(2016.08.18.)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치과용 임플란트 가공 후 치과용 임플란트에 묻은 절삭유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플란트가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에 연통되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 및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에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를 상기 에어 분사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지그 이송유닛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 및 상기 에어 노즐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로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 노즐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의 에어 노즐부는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의 이송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이격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 노즐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를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를 지지하며, 상기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되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노즐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부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 바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 바아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부쉬; 및 상기 볼 부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스크류부에 치합되며, 상기 연결 바아에 결합되는 구동용 연결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이송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지지되는 캐리어 블록부; 상기 캐리어 블록부가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 및 상기 캐리어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캐리어 블록부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에 연결되며,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그 이송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지지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임플란트가 수용된 임플란트 적재 지그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과 임플란트 적재 지그를 에어 분사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지그 이송유닛을 구비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 가공 후 치과용 임플란트에 묻은 절삭유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제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픽스츄어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의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에어 노즐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며, 도 4는 도 3의 A의 영역을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2의 에어 노즐부의 동작 상태도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인공 치근으로서 식립되는 픽스츄어(Fixture, 미도시)와, 픽스츄어 상에 결합되는 지대주(Abutment, 미도시)와, 지대주를 픽스츄어에 고정하는 지대주 스크류(Abutment Screw, 미도시)와, 지대주에 결합되는 인공치아(Crown, 미도시)를 포함한다.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밀링 가공 등을 통해 제작된다. 밀링 가공 시 절삭유가 사용되는데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미도시)를 제거하는 장치는 밀링 가공 후 치과용 임플란트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제거한다.
본 실시예에서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는, 픽스츄어 및 지대주 등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제거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픽스츄어에 잔존하는 절삭유를 제거하는 경우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미도시)가 내부공간(미도시)에 수용되며 내부공간이 외부에 연통되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G)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110)과, 임플란트 적재 지그(G)에 연결되며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에어 분사유닛(11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지그 이송유닛(120)을 포함한다.
임플란트 적재 지그(G)의 내부공간에는 픽스츄어(미도시)가 적재된다. 이러한 임플란트 적재 지그(G)는,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되며 픽스츄어(미도시)들이 개별적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내부공간을 구획하는 구획부재(미도시)가 마련되는 지그 본체(G1)와, 지그 본체(G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에어 분사유닛(110)에서 분사된 에어를 지그 본체(G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되 지그 본체(G1)에 배치된 픽스츄어(미도시)가 지그 본체(G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망(G3)이 결합된 상부 덮개(G2)를 포함한다.
지그 본체(G1)에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공간에 픽스츄어(미도시)들을 개별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하는 구획부재(미도시)가 마련된다. 구획부재(미도시)는 지그 본체(G1)의 내부공간을 구획하여 픽스츄어(미도시)를 개별적으로 이격시켜 배치한다.
이러한 지그 본체(G1)의 바닥면에는 픽스츄어(미도시)에 묻은 절삭유가 유출될 수 있는 다수개의 관통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관통공(미도시)의 크기는 픽스츄어(미도시)보다 픽스츄어(미도시)는 관통공(미도시)을 통해 지그 본체(G1)에서 빠져 나가지 않는다.
상부 덮개(G2)는 지그 본체(G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 덮개(G2)에는 에어 분사유닛(110)에서 분사된 에어를 지그 본체(G1)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되 지그 본체(G1)에 배치된 픽스츄어(미도시)가 지그 본체(G1)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망(G3)이 마련된다.
이탈 방지망(G3)은, 도 5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그물망 형태로 마련됨으로써, 에어 분사유닛(110)에서 분사된 에어를 통과시켜 픽스츄어(미도시)에 전달하되 에어의 압력에 의해 픽스츄어(미도시)가 튀어 올라 임플란트 적재 지그(G)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에어 분사유닛(110)은 임플란트 적재 지그(G)로 에어를 분사한다. 이러한 에어 분사유닛(110)은,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111)와, 에어 노즐부(111)에 연결되며 에어 노즐부(111)로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미도시)와, 에어 노즐부(111)에 연결되며 에어 노즐부(111)를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113)를 포함한다.
에어 노즐부(111)는 에어를 분사한다. 이러한 에어 노즐부(111)의 하부에는 에어가 분사되는 에어 분사공(미도시)이 마련된다. 이러한 에어 노즐부(111)의 하부 영역으로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노즐부(111)는 2개로 마련된다. 이러한 2개의 에어 노즐부(111)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적재 지그(G)의 이송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이격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복수의 에어 노즐부(111)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G)의 이송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이격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임플란트 적재 지그(G)에 수용된 픽스츄어(미도시)에 순차적으로 여러 번 에어를 분사할 수 있어 절삭유 제거 정도를 높이는 이점이 있다.
에어 공급부(미도시)는 에어 노즐부(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에어 공급부(미도시)는 에어 노즐부(111)로 에어를 공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공급부(미도시)는, 에어 노즐부(111)에 연결되며 에어가 유동되는 에어 공급관(미도시)과, 에어 공급관(미도시)에 연결되며 에어를 에어 공급관(미도시)으로 유입시키는 에어 펌프(미도시)를 포함한다.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113)는 에어 노즐부(111)에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113)는 에어 노즐부(111)를 업/다운(up/down) 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113)는, 에어 노즐부(111)를 업/다운(up/down) 방향(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에어 노즐부(111)와 임플란트 적재 지그(G) 사이의 간격 조절을 통해 임플란트 적재 지그(G)에 도달되는 에어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113)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노즐부(111)를 지지하며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되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와,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에 연결되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115)와,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에 연결되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를 이동시키는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를 포함한다.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는 에어 노즐부(111)를 지지한다. 이러한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는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는,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 노즐부(111)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몸체(114a)와, 플레이트 몸체(114a)의 상부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에 연결되는 연결 바아(114b)를 포함한다.
플레이트 몸체(114a)에는 에어 노즐부(111)가 결합된다. 이러한 플레이트 몸체(114a)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ㄷ'자 형상으로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에어 노즐부(111)는, 도 2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 몸체(114a)의 가상의 중심 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대칭되게 배치된다.
연결 바아(114b)는 플레이트 몸체(114a)의 상부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된다. 이러한 연결 바아(114b)는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에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 연결 바아(114b)는 2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되는데, 연결 바아(114b)의 개수는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115)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에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115)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의 이동을 가이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115)는,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바아(114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부쉬(115a)와, 볼 부쉬(115a)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115b, 115c)을 포함한다.
볼 부쉬(115a)에는 연결 바아(114b)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러한 볼 부쉬(115a)에는 연결 바아(114b)가 관통하는 관통구(미도시)가 형성되며, 관통구(미도시)의 내벽에는 복수의 볼(ball) 회전체(미도시)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115b, 115c)은 볼 부쉬(115a)를 지지한다. 이러한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115b, 115c)은,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볼 부쉬(115a)가 결합되는 가로 프레임(115b)과, 가로 프레임(115b)이 결합되며 가로 프레임(115b)을 지지하는 한 쌍의 세로 프레임(115c)을 포함한다.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에 연결된다. 이러한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노즐용 이동 구동부(116)는, 도 2 내지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115b, 115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부(116a)와, 스크류부(116a)에 치합되며, 연결 바아(114b)에 결합되는 구동용 연결블록부(116b)를 포함한다.
스크류부(116a)의 하단부는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115b, 115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스크류부(116a)는 원형 사프트 형상으로 마련되며, 스크류부(116a)의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구동용 연결블록부(116b)는 스크류부(116a)에 치합된다. 이를 위해 구동용 연결블록부(116b)에는, 도 4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사공(116c)이 마련된다. 이러한 구동용 연결블록부(116b)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바아(114b)에 결합된다.
스크류부(116a)의 회전에 의해 연결 바아(114b)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고, 이러한 연결 바아(114b)의 상하이동에 의해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114)에 지지된 에어 노즐부(111)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본 실시예의 스크류부(116a)에는 작업자가 스크류부(116a)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핸들(H)이 마련된다.
한편, 지그 이송유닛(120)은 임플란트 적재 지그(G)에 연결된다. 이러한 지그 이송유닛(120)은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에어 분사유닛(110)에 대해 가로 방향으로 상대이동 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이송유닛(120)은,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지지되는 캐리어 블록부(121)와, 캐리어 블록부(121)가 연결되며 캐리어 블록부(121)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와, 캐리어 블록부(121)에 연결되며 캐리어 블록부(121)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123)를 포함한다.
캐리어 블록부(121)에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지지된다.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는 캐리어 블록부(121)에 연결되어 캐리어 블록부(121)를 지지한다. 이러한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에는 캐리어 블록부(121)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에는 리니어 가이드 레일(미도시)이 마련되어 캐리어 블록부(121)의 이동을 안내한다.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123)는 캐리어 블록부(121)에 연결된다. 이러한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123)는 캐리어 블록부(121)를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른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123)는, 도 2 내지 도 3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블록부(121)에 결합되는 결합블록(123a)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너트(미도시)와, 이동너트(미도시)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123b)와, 볼 스크류(123b)에 연결되며 볼 스크류(123b)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123c)를 포함한다.
결합블록(123a)은 캐리어 블록부(121)의 하부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블록(123a)의 내부에는 볼 스크류(123b)에 치합되는 이동너트(미도시)가 배치된다.
구동 모터(123c)는 볼 스크류(123b)에 연결되어 볼 스크류(123b)를 회전시킨다. 구동 모터(123c)의 동작에 의해 볼 스크류(123b)가 회전 시 이동 너트가 볼 스크류(123b)를 따라 이동되고 이동너트(미도시)의 이동을 따라 결합블록(123a)에 결합된 캐리어 블록부(121)가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에 안내되어 이동된다.
이하에서 본 실시예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캐리어 블록부(121)에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적재된다.
이후,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123)의 동작에 의해 캐리어 블록부(121)가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122)에 안내되어 이동된다. 이때, 캐리어 블록부(121)에 적재된 임플란트 적재 지그(G)는 캐리어 블록부(121)를 따라 이동된다.
이동되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에어 노즐부(111)의 하부 영역을 지날 때 에어 노즐부(111)에서 에어가 분사된다.
에어 노즐부(111)에서 분사된 에어는 이탈 방지망(G3)을 통과하여 임플란트 적재 지그(G)의 내부에 수용된 픽스츄어(미도시)에 전달되어 픽스츄어(미도시) 묻은 절삭유를 강한 압력으로 밀어 픽스츄어(미도시)에서 제거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는, 임플란트가 수용된 임플란트 적재 지그(G)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110)과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에어 분사유닛(110)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지그 이송유닛(120)을 구비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 가공 후 치과용 임플란트에 묻은 절삭유를 빠르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 제작의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가 도시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비교할 때에 지그 이송유닛(120)의 구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을 뿐, 다른 구성에 있어서는 도 2 내지 도 6의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의 지그 이송유닛(22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지그 이송유닛(220)은, 도 7에 자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 적재 지그(G)가 지지되는 컨베이어 벨트(221)와, 컨베이어 벨트(221)가 연결되며 컨베이어 벨트(221)를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222)와, 회전 롤러(222)에 연결되며 회전 롤러(222)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미도시)를 포함한다.
컨베이어 벨트(221)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지지한다. 이러한 컨베이어 벨트(221)의 내면은 회전 롤러(222)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회전 롤러(222)의 회전을 따라 회전된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 롤러(222)는 다수개로 마련되어 상호 이격되어 배치된다. 구동 모터(미도시)는 회전 롤러(222)에 연결되어 회전 롤러(222)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 이송유닛(120)은 컨베이어 벨트(221) 방식으로 마련됨으로써, 컨베이어 벨트(221) 상에 여러 개의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적재하고 다수개의 임플란트 적재 지그(G)를 연속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가 전술한 도면 및 설명에 국한되지는 않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10: 에어 분사유닛 111: 에어 노즐부
113: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 114: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
114a: 플레이트 몸체 114b: 연결 바아
115: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 115a: 볼 부쉬
115b, 115c: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 116: 노즐용 이동 구동부
116a: 스크류부 116b: 구동용 연결블록부
116c: 나사공 120, 220: 지그 이송유닛
121: 캐리어 블록부 122: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
123: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 123a: 결합블록
123b: 볼 스크류 123c: 구동 모터
221: 컨베이어 벨트 222: 회전 롤러
G: 임플란트 적재 지그 G1: 지그 본체
G2: 상부 덮개 G3: 이탈 방지망

Claims (11)

  1. 임플란트가 내부공간에 수용되며 상기 내부공간이 외부에 연통되는 임플란트 적재 지그로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분사유닛; 및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에 연결되며,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를 상기 에어 분사유닛에 대해 상대이동시키는 지그 이송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는,
    상부가 개구되며 내부공간에 상기 임플란트가 배치되는 지그 본체; 및
    상기 지그 본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에어 분사유닛에서 분사된 상기 에어를 상기 지그 본체의 내부공간으로 유입시키되 상기 지그 본체에 배치된 상기 임플란트가 상기 지그 본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 방지망이 결합된 상부 덮개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 노즐부; 및
    상기 에어 노즐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로 상기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 노즐부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복수의 상기 에어 노즐부는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의 이송방향으로 미리 결정된 이격간격만큼 이격되어 배치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 분사유닛은,
    상기 에어 노즐부에 연결되며, 상기 에어 노즐부를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를 더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업/다운(up/down) 이동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를 지지하며, 상기 업/다운(up/down) 방향으로 이동되는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 및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에 연결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를 이동시키는 노즐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용 이동 플레이트부는,
    상기 에어 노즐부가 결합되는 플레이트 몸체; 및
    상기 플레이트 몸체의 상부벽에서 돌출되어 마련되며, 상기 노즐용 이동 구동부에 연결되는 연결 바아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용 이동 가이드부는,
    상기 연결 바아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볼 부쉬; 및
    상기 볼 부쉬를 지지하는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가이드부용 지지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스크류부; 및
    상기 스크류부에 치합되며, 상기 연결 바아에 결합되는 구동용 연결블록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이송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지지되는 캐리어 블록부;
    상기 캐리어 블록부가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블록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캐리어 블록용 가이드부; 및
    상기 캐리어 블록부에 연결되며, 상기 캐리어 블록부를 이동시키는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블록용 이동 구동부는,
    상기 캐리어 블록부에 결합되는 결합블록의 내부에 배치되는 이동너트;
    상기 이동너트에 치합되는 볼 스크류; 및
    상기 볼 스크류에 연결되며, 상기 볼 스크류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그 이송유닛은,
    상기 임플란트 적재 지그가 지지되는 컨베이어 벨트;
    상기 컨베이어 벨트가 연결되며, 상기 컨베이어 벨트를 회전시키는 회전 롤러; 및
    상기 회전 롤러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 롤러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를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KR1020190092861A 2019-07-31 2019-07-31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KR102257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61A KR102257490B1 (ko) 2019-07-31 2019-07-31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92861A KR102257490B1 (ko) 2019-07-31 2019-07-31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76A KR20210014876A (ko) 2021-02-10
KR102257490B1 true KR102257490B1 (ko) 2021-05-27

Family

ID=74561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92861A KR102257490B1 (ko) 2019-07-31 2019-07-31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49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47B1 (ko) 2017-01-24 2017-12-04 김만용 임플란트 픽스처 세척장치
KR101852123B1 (ko) * 2017-03-22 2018-04-26 주식회사 피알 셔틀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91852A (ko) * 2008-02-26 2009-08-31 나래엔지니어링(주) 임플란트 세정장치 및 세정방법
KR101650933B1 (ko) 2015-11-25 2016-08-25 (주) 메코텍티타늄 임플란트 세척용 지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847B1 (ko) 2017-01-24 2017-12-04 김만용 임플란트 픽스처 세척장치
KR101852123B1 (ko) * 2017-03-22 2018-04-26 주식회사 피알 셔틀 타입의 엔진 실린더 블록 세척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14876A (ko) 202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andsberg Socket seal surgery combined with immediate implant placement: a novel approach for single-tooth replacement.
KR102643711B1 (ko) 치아 세정 디바이스용 마우스피스, 치아를 칫솔질하는 방법, 및 마우스피스를 포함하는 치아 세정용 디바이스
JP5501361B2 (ja) インプラント用の穿孔ドリル
US4695254A (en) Tooth replacement
KR101967710B1 (ko) 맞춤형 어버트먼트 가공을 위한 지그
KR200479385Y1 (ko) 임플란트 보철물 제작을 위하여 사용되는 치기공용 아날로그
KR101291754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평행 식립장치 및 임플란트 평행 식립방법
KR102257490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가공에 사용된 절삭유를 제거하는 장치
KR101754861B1 (ko) 치아시술용 로봇시스템
KR102068525B1 (ko) 환자 맞춤형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CN107212935B (zh) 一种牙科全冠牙体预备用装置
KR20010044362A (ko) 핀유지 인레이 브리지로 되는 의치용 보철물 및 이를이용한 시술공정
KR101478720B1 (ko) 치과 드릴의 가이드 장치 및 스텐트의 제조방법
KR101685934B1 (ko) 임플란트 치료용 어버트먼트
KR102233125B1 (ko) 인공치아 가공장치 및 상기 장치로 가공된 인공치아
KR20200084676A (ko) 임플란트의 어버트먼트
KR101642605B1 (ko) 임플란트 보철물 구멍 형성 가이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78396A (ko) 치과 임플란트 유닛
US20050053894A1 (en) Method of preventing inner crown of removable restoration tooth from becoming disengaged with natural or artificial abutment tooth and the structure of the inner crown
KR200485195Y1 (ko) 임플란트용 검사 지그
EP0574868A2 (de) Apparatur zur Führung eines zahnärztlichen Instrumentes oder eines Messgerätes und Verfahren zur Präparation von Zähnen und zur Herstellung von Restaurationen
US20220323182A1 (en) Indirect bonding device and indirect bonding method for orthodontic apparatus
KR101566457B1 (ko) 어버트먼트 제거 드릴 및 이를 구비하는 어버트먼트 제거 장치
KR102255014B1 (ko) 경사 어버트먼트 취부용 지그
KR102227070B1 (ko) 치과용 폴리머 어버트먼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