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27B1 -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 Google Patents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27B1
KR102257027B1 KR1020200145263A KR20200145263A KR102257027B1 KR 102257027 B1 KR102257027 B1 KR 102257027B1 KR 1020200145263 A KR1020200145263 A KR 1020200145263A KR 20200145263 A KR20200145263 A KR 20200145263A KR 102257027 B1 KR102257027 B1 KR 1022570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c
earth leakage
module
detection unit
lea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5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조헌
이재헌
박창일
Original Assignee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200145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2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27B1/ko
Priority to PCT/KR2021/007014 priority patent/WO202209786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8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83/00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 H01H83/02Protective switches, e.g. circuit-breaking switches, or protective relays operated by abnormal electrical conditions otherwise than solely by excess current operated by earth fault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30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9/4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using blow-out magne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누전차단기의 일측에 아크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설치하고 아크검출모듈에서 유해아크 검출시 디지털 신호를 누전차단기의 영상변류기에 제공하여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회로 상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검출부를 포함하는 누전차단모듈, 및 누전차단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생성하고 아크차단신호에 의해 누전차단모듈의 누전검출부를 작동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를 제공하여,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Earth leakage breaker with both arc breaker}
본 발명은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누전차단모듈의 일측에 아크검출모듈을 부착하여 일체형으로 구현하되 아크검출모듈을 기존 누전차단모듈의 전원선과 영상변류기 코어에 연결하여 유해아크 검출시 디지털 신호로 영상변류기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을 유기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누전 차단기는 정격전류의 100% 이상인 사고전류(과전류는 통상적으로 정격 전류의 150%~500%, 단락 전류(사고 전류, 합선)는 정격 전류의 1000% 이상)가 흐를 경우에 신속하게 선로를 차단하여 전기에 의한 화재나 감전 등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선로에 발생하는 사고 중에서 화재를 발생시키는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는 선로 상에 발생하는 아크(Arc)로서, 전기 화재의 원인에 대한 분석 결과, 전기 화재의 선행 요인으로서 아크 발생 사례가 많이 발견되고 있다.
그런데, 부하가 있는 선로 상에 발생하는 유해아크는 그 크기가 보통 정격 전류 이내로서, 부하 단선이나 접촉 불량에 의해 발생하는 직렬 아크는 부하 전류를 통해 흐르기 때문에 통상 그 크기가 정격 전류 범위 이내이고, 합선에 의한 단락전류(병렬 아크) 발생시에도 보통 합선지점에 일정량의 임피던스가 있어 보통 1kA 미만의 낮은 단락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이러한 저전류 영역의 유해아크는 기존의 배선용/누전 차단기에서는 신속한 차단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이와 같이 작은 유해아크라 하더라도 주변에 인화성 물질이 있을 경우 화재로 이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이러한 아크를 감지하여 유해아크 발생시 선로를 차단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하여 개발된 것이 아크 검출 및 차단 기능을 갖는 아크/누전 겸용 차단기( AFCI;Arc Fault Circuit Interrupters)이다.
그러나 이러한 아크/누전 겸용 차단기는 기구부 내에 누전차단기와 아크차단기 검출 기능을 모두 구현되어야 하므로 제품의 부피(사이즈)가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가격이 높아 사용자에게 부담이 될 뿐만 아니라 기존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었다.
KR 10-1350231 B1 2014.01.06. 등록 KR 10-2126314 B1 2020.06.18. 등록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기존 누전차단기의 일측에 아크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설치하고, 아크검출모듈에서 유해아크 검출시 간단한 디지털 신호를 누전차단기의 영상변류기에 제공하여 영상변류기가 누전차단기의 트립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간단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는, 회로 상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검출부를 포함하는 누전차단모듈, 및 누전차단모듈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생성하고아크차단신호에 의해 누전차단모듈의 누전검출부를 작동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는, 누전차단모듈과 아크검출모듈은 하나의 외함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은, 누전차단모듈의 전원측 단자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아크 감지부 및 각 회로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누전차단모듈의 부하측 단자에 연결되어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아크를 판단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아크감지부, 및 아크감지부와 누전차단모듈의 누전검출부 사이에 연결되어 아크감지부에서 출력되는 아크차단신호를 누전차단모듈의 누전검출부에 공급하여 누전차단모듈의 누전검출부를 작동시키는 누전검출부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은, 아크 감지부와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 아크감지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 아크감지부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부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또는 모두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은, 아크검출모듈의 동작 온/오프를 위한 주제어스위치, 및 아크감지부에 의한 유해아크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아크차단신호 생성을 위한 유해아크 기준치의 초기설정 또는 재설정 또는 수정하기 위한 디버깅 스위치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누전차단기의 일측에 아크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설치하고, 아크검출모듈에서 유해아크 검출시 누전차단기의 영상변류기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여 영상변류기가 누전차단기의 트립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존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하는 이점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의 외부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이 기존 누전차단모듈에 연결되는 상태를 예시한 내부 인터페이스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예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 내 아크감지부가 생성하는 아크차단신호의 파형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른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의 구성과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의 외부 구성을 예시한 참고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이 기존 누전차단모듈과 연결되는 상태를 예시한 내부 인터페이스 구성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는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누전차단모듈(10), 아크검출모듈(2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러한 본 발명의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는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아크검출모듈(20)이 기존 누전차단모듈(10)의 전원과 누전검출부(11; 영상변류기)만을 공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되며, 아크검출모듈(20)에서 유해아크 검출시 간단한 디지털 형태의 아크차단신호를 이용하여 누전검출부(11)의 영상변류기가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누전차단모듈(10)과 아크검출모듈(20)은 하나의 외함(30)에 의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누전차단모듈(10)은 회로 상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검출부(11)를 포함하며, 누전 검출부(11)는 통상의 영상변류기(ZCT)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영상변류기(ZCT)는 선로가 코어의 중심을 통과하게 설치되고 각 선로 중 어느 하나에서 누전이 있는 경우 코어에 감긴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이 유기되고, 해당 유도 전압은 누전 검출부(11)의 누전 검출 신호로서 감도 조절회로 등을 통해 또는 직접 누전차단모듈(10)의 제어부(도면에는 미도시됨)에 전달되어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의 내부 구성을 상세히 예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감지부가 생성하는 아크차단신호의 파형도로서,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에서 아크검출모듈(20)은 누전차단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어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고 디지털 형태의 아크차단신호를 생성하여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아크검출모듈(20)은 전원부(21), 아크감지부(22), 및 누전검출부 구동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무선통신부(24), 경보부(25), 동작상태 표시부(26), 주제어스위치(sw1), 및 디버깅 스위치(sw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아크검출모듈(20)은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전자회로 중의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21)는 누전차단모듈(10)의 전원측 단자(12)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아크 감지부 및 각 회로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한다.
아크감지부(22)는 누전차단모듈(10)의 부하측 단자(13)에 연결되어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아크를 판단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아크감지부(22)는 회로 상의 어느 한 상에 설치되는 변류기(CT)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변류기는 회로 상의 어느 한 선로에 설치되어 유해아크가 발생하는 경우 코어에 감긴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이 유기되고, 해당 유도 전압은 아크감지신호로서 아크감지부(22)에 전달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여기서 아크차단신호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압 레벨이 1.5V~10V 이내이고, 기간은 교류신호의 1/4~2 주기 이내이며, 3회 이상 반복되는 디지털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누전검출부 구동부(23)는 아크감지부(22)와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 사이에 연결되어 아크감지부(22)에서 출력되는 아크차단신호를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에 공급하여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를 작동시킨다. 이러한 누전검출부 구동부(23)는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의 코어 중심을 통과하게 설치되는 유도코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도코일을 이용하여 아크검출모듈(20)은 누전차단모듈(10)의 영상변류기에 실제로 차단기 작동을 위한 차단신호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영상변류기가 누설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아크차단신호를 영상변류기에 제공함으로써 영상변류기의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무선통신부(24)는 아크감지부(22)와 외부 모바일기기 또는 기타 통신기기와의 WiFi 등으로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아크감지부(22)가 외부의 모바일기기 또는 기타 통신기기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게 한다.
경보부(25)는 아크감지부(22)에 의해 구동되어 부저 또는 알람 등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며, 유해아크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출한다.
동작상태 표시부(26)는 아크감지부(22)에 의해 구동되어 램프나 LED 등을 로 점등시키며, 유해아크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외부에 표출한다.
주제어스위치(sw1)는 아크검출모듈(20)의 동작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로서,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전자회로의 온/오프를 제어한다.
디버깅 스위치(sw2)는 아크감지부(22)에 의한 유해아크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아크차단신호 생성을 위한 유해아크 기준치의 초기설정 또는 재설정 또는 수정하기 위한 스위치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의 동작 및 그에 의한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선로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누전차단모듈(10)의 전원스위치(도면에는 생략됨)가 온되면 누전차단모듈(10)의 전원부(도면에는 생략됨)를 통해 누전차단모듈(10)의 각 부분에 동작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선로의 전원측 단자를 누전차단모듈(10)과 공유하도록 연결된 아크차단모듈(20)에도 전원부(21)에 외부 전원이 입력되어 아크차단모듈(20)의 아크 감지부(22) 및 각 회로부에도 동작 전원이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전원이 공급되면 주제어스위치(sw1)에 의해 아크검출모듈(20)의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전자회로의 동작 온/오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후, 각 선로 중 어느 하나에 누설전류가 흐르게 되면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는 영상변류기(ZCT)의 코어의 중심을 각 선로가 통과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누설전류에 의해 영상변류기(ZCT)의 코어에 감긴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이 유기되고, 해당 유도 전압은 누전 검출부(11)의 누전 검출 신호로서 감도 조절회로 등을 통해 또는 직접 누전차단모듈(10)의 제어부(도면에는 생략됨)에 전달되어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작동시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선로의 전원측 단자와 부하측 단자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가 설치된 상태에서, 회로 상에 유해아크가 흐르게 되면 누전차단모듈(10)의 부하측 단자(13)에 연결된 아크검출모듈(20)의 변류기(CT)가 상기 유해아크를 검출하여 아크검출모듈(20)의 아크감지부(22)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아크감지부(22)에는 회로 상의 어느 한 선로에 변류기(CT)가 설치되어 있어, 유해아크가 발생하는 경우 변류기의 코어에 감긴 2차 코일에 유도 전압을 유기시키고, 해당 유도 전압은 아크감지신호로서 아크감지부(22)에 전달된다. 따라서 아크감지부(22)는 아크감지신호에 의해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검출하고 감지된 유해아크를 판단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생성하여, 누전검출부(11)의 영상변류기(ZCT)에 연결된 누전검출부 구동부(23)로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아크차단신호는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전압 레벨이 1.5V~10V 이내이고, 기간은 교류신호의 1/4~2 주기 이내이며, 3회 이상 반복되는 디지털 신호이다. 여기서 디버깅 스위치(sw2)를 이용하는 경우 아크감지부(22)에 의한 유해아크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아크차단신호 생성을 위한 유해아크 기준치의 초기설정 또는 재설정 또는 수정이 가능하게 된다.
누전검출부 구동부(23)는 누전검출부(11)의 코어의 중심을 통과하게 설치된 유도코일로 구성되어, 아크감지부(22)에서 보낸 아크차단신호가 누전검출부 구동부(23)의 유도코일에 흐르게 되면 이러한 아크차단신호에 의해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의 영상변류기(ZCT) 코어에 감긴 2차 코일에는 유도 전압이 유기되고, 따라서 해당 유도 전압은 누전검출부(11)의 누전 검출 신호와 동일하게 감도 조절회로 등을 통해 또는 직접 누전차단모듈(10)의 제어부에 전달되어 차단기의 트립코일을 작동시켜 전원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아크검출모듈(20)은 누전차단모듈(10)의 영상변류기에 실제로 차단기 작동을 위한 차단신호를 보내는 것이 아니라 영상변류기(ZCT)가 누설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아크차단신호를 영상변류기(ZCT)에 제공하여 SCR(silicon controlled rectifier) 없이도 영상변류기에 의한 차단기의 작동을 유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아크검출모듈(20)에서는 무선통신부(24)에서 아크감지부(22)와 외부 모바일기기 또는 기타 통신기기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아크감지부(22)를 외부의 모바일기기 또는 기타 통신기기에 의해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아크검출모듈(20)은 아크감지부(22)에 의해 경보부(25)를 구동시켜 부저 또는 알람 등의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해아크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청각적으로 외부에 표출할 수 있게 되며, 아크감지부(22)에 의해 동작상태 표시부(26)를 구동시켜 램프나 LED 등을 점등시킬 수 있게 되므로, 유해아크에 의한 누전차단기의 작동을 시각적으로 외부에 표출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누전차단기의 일측에 아크를 검출하여 디지털 신호를 발생시키는 아크검출모듈을 설치하고, 아크검출모듈에서 유해아크 검출시 누전차단기의 영상변류기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디지털 신호에 의해 영상변류기가 누전차단기의 트립코일을 동작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누전차단기의 기능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아크검출모듈의 아크/누전 검출에 의해 누전차단기를 작동시킬 수 있게 한다. 즉, 아크차단시 비접촉 방식으로 영상변류기를 제어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단독 또는 별개의 공급관을 사용하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도 아니고,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누전차단모듈 11 : 누전검출부
12 : 전원측단자 13 : 부하측단자
20 : 아크차단모듈 21 : 전원부
22 : 아크감지부 23 : 누전검출부 구동부
24 : 무선통신부 25 : 경보부
26 : 동작상태 표시부 30 : 외함
sw1 : 주제어스위치 sw2 : 디버깅 스위치

Claims (9)

  1. 영상변류기로 구성되어 회로 상에 흐르는 누설전류를 감지하는 누전검출부(11)를 포함하는 누전차단모듈(10); 및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아크차단신호에 의해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를 작동시키는 아크검출모듈(20);을 일체로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아크검출모듈(20)은,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전원측 단자(12)에 연결되어 외부 전원을 입력받고 아크 감지부 및 각 회로부에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부하측 단자(13)에 연결되어 회로 상에 흐르는 유해아크를 감지하고 감지된 유해아크를 판단하여 아크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아크감지부(22); 및
    상기 아크감지부(22)와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아크감지부(22)에서 출력되는 아크차단신호를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에 공급하여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를 작동시키는 누전검출부 구동부(23);를 포함하되,
    아크 검출시 상기 영상변류기가 누설이라고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형태의 상기 아크차단신호를 상기 영상변류기에 제공함으로써, 실리콘 제어 정류소자(SCR) 없이 상기 영상변류기에 의해 유기된 유도전압에 의해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차단모듈(10)과 아크검출모듈(20)은 하나의 외함(30)에 의해 일체형으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차단신호는
    전압 레벨이 1.5V~10V 이내이고, 기간은 교류신호의 1/4~2 주기 이내이며, 3회 이상 반복되는 디지털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전검출부 구동부(23)는,
    상기 누전차단모듈(10)의 누전검출부(11)의 코어 중심을 통과하게 설치되는 유도코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검출모듈(20)은,
    상기 아크 감지부(22)와 외부 기기와의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무선통신부(2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검출모듈(20)은,
    상기 아크감지부(22)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로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부(25);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검출모듈(20)은,
    상기 아크감지부(22)에 의해 구동되어 외부로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동작상태 표시부(26);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검출모듈(20)은,
    아크검출모듈(20)의 동작 온/오프를 위한 주제어스위치(sw1); 및
    상기 아크감지부(22)에 의한 유해아크의 감지 및 그에 따른 아크차단신호 생성을 위한 유해아크 기준치의 초기설정 또는 재설정 또는 수정하기 위한 디버깅 스위치(sw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KR1020200145263A 2020-11-03 2020-11-03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KR1022570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63A KR102257027B1 (ko) 2020-11-03 2020-11-03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PCT/KR2021/007014 WO2022097864A1 (ko) 2020-11-03 2021-06-04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5263A KR102257027B1 (ko) 2020-11-03 2020-11-03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27B1 true KR102257027B1 (ko) 2021-05-27

Family

ID=76135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5263A KR102257027B1 (ko) 2020-11-03 2020-11-03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57027B1 (ko)
WO (1) WO202209786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64A1 (ko) * 2020-11-03 2022-05-12 주식회사 아이앤씨테크놀로지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62B1 (ko) * 2009-06-19 2010-05-06 주식회사 헤코 복합형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방법
KR101350231B1 (ko) 2013-06-25 2014-01-22 (주)오은씨엔아이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
KR20190106308A (ko) * 2018-03-08 2019-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아크 검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3891B1 (ko) * 2005-06-25 2006-01-20 디지털파워넷 주식회사 유비쿼터스 기능을 갖는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제어방법
KR20080075937A (ko) * 2007-02-14 2008-08-20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복합형 누전 차단기
KR20200116675A (ko) * 2019-04-02 2020-10-13 라웅재 아크-차단 신호 컨버터
KR102257027B1 (ko) * 2020-11-03 2021-05-27 (주)아이앤씨테크놀로지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6162B1 (ko) * 2009-06-19 2010-05-06 주식회사 헤코 복합형 전기안전 차단기 및 그 방법
KR101350231B1 (ko) 2013-06-25 2014-01-22 (주)오은씨엔아이 범용 누전차단기 조합형 지능형 아크차단장치
KR20190106308A (ko) * 2018-03-08 2019-09-18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누전 차단기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아크 검출 장치
KR102126314B1 (ko) 2018-03-08 2020-06-24 엘에스일렉트릭(주) 누전 차단기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아크 검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7864A1 (ko) * 2020-11-03 2022-05-12 주식회사 아이앤씨테크놀로지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097864A1 (ko) 2022-05-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5599A (en) Ground fault circuit interrupter system with uncommitted contacts
KR101451387B1 (ko) 계기용 변류기 2차 단자 개방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1440492B1 (ko) 전기화재 예방 및 과부하 차단기능을 구비한 수배전반
US9030793B2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monitoring current provided to a load
MXPA06008708A (es) Indicador de estado de final de ciclo (eol) del interruptor del circuito de fallos de conexion a tierra (gfci).
KR101771098B1 (ko) 아크 차단원인 분석을 위한 블랙박스 장치
KR20190106308A (ko) 누전 차단기 및 이에 착탈 가능한 아크 검출 장치
KR20190125696A (ko) 차단기 제어 모듈
KR101451389B1 (ko) 계기용 변류기 개방 상태 감시 및 보호 장치가 구비된 수배전반
KR102257027B1 (ko) 아크차단기 겸용 누전차단기
US20100175970A1 (en)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controlling and auxiliary apparatus, and residual current circuit breaker equipped thereby
JP6509029B2 (ja) 分電盤
KR20120139918A (ko) 능동형 영상고조파 필터를 구비한 분전반
KR101049862B1 (ko) 중성선 대체기능이 구비된 분배전반
KR200442470Y1 (ko) 부하단락방지 및 감전보호장치
CA2082433A1 (en) Electronic trip device comprising communication means
KR200440531Y1 (ko) 누전 차단기
CA2267490A1 (en) Single pole arc fault circuit interrupter with miswire detection
KR102232026B1 (ko) 디지털 제로 릴레이 컨트롤러가 구비된 전동기 제어반 시스템
KR20120104879A (ko) 부하측 누전상태를 실시간 점검하는 자동복구용 누전차단장치
JP2004015961A (ja) 三相欠相保護付漏電遮断器
KR200258048Y1 (ko) 에스디디 누전차단기
KR200392661Y1 (ko) 결상인식 및 보호회로를 포함한 누전차단기
RU2786938C1 (ru) Устройство управления трехфазным высоковольтным вакуумным выключателем
ITMI20011327A1 (it) Interruttore differenziale per la protezione contro correnti di dispersione verso terr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