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7011B1 -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 Google Patents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7011B1
KR102257011B1 KR1020200020411A KR20200020411A KR102257011B1 KR 102257011 B1 KR102257011 B1 KR 102257011B1 KR 1020200020411 A KR1020200020411 A KR 1020200020411A KR 20200020411 A KR20200020411 A KR 20200020411A KR 102257011 B1 KR102257011 B1 KR 1022570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oving
adjustment
hook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04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한종
Original Assignee
신영측기(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영측기(주) filed Critical 신영측기(주)
Priority to KR10202000204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701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70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70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15/00Surveying instrumen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3/00
    • G01C15/002Active optical surveying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3/00Measuring distances in line of sight; Optical rangefin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Measuring And Other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도록 수평이동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계측기기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재 및 장착블록을 움직이는 조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계측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계측기기를 수평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사되는 레이져의 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MOUNT DEVICE FOR MEASURING INSTRUMENT}
본 발명은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수평 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도록 수평이동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계측기기가 결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블록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이동부재 및 장착블록을 움직이는 조정수단을 더 구비함으로서 계측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계측기기를 수평이동 및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여 조사되는 레이져의 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건물의 시공이나, 건물 내부의 타일 설치 작업 등과 같은 인테리어 시공 시, 구조물의 중력방향에 대하여, 수평, 수직을 이루도록 시공하는 것은, 이들 구조물의 성능이나 내구성 등에 있어서 상당히 중요한 조건 중의 하나로, 건축 및 토목 등의 분야에서는 시공 현장에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정확하게 설정하는 작업이 매우 중요하다.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측량 또는 설정하기 위한 전통적인 방법으로, 추가 달린 긴 줄이나 강선 등을 이용하는 방식이 있으나 기준라인의 측량 또는 설정이 부정확하고, 작업이 번거로우면서 작업시간에 긴 시간이 소요되는 등, 효율성 및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측량기나 계측기 또는 수평 및 수직의 기준라인을 설정하기 위한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계측기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마운트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운트에 관한 종래기술로는 등록특허 제10-1109596호, 등록특허 제10-1109597호를 들 수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들은 삼각대와 같은 스탠드에 설치되어 사용하는데, 계측기기용 스탠드는 계측기기를 견고하게 고정하되 사용의 편의를 위하여 계측기기를 탈부착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기술들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스탠드를 사용하게 되면, 현장의 벽면이 코너로 이루어진 곳이나, 스탠드의 상하 높이 조절범위를 벗어난 곳에 계측기기의 설치가 필요한 경우, 스탠드 형식을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레이저조사기 등의 계측기기는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수평 유지가 매우 중요한데, 기존의 계측기기용 스탠드는 계측기기의 높이 조절만이 가능할 뿐 스탠드 자체의 수평 조정이 불가능함에 따라, 시공 현장의 바닥면이 수평하지 않고 경사질 경우 스탠드를 이용해 계측기기를 정확한 위치에 수평 상태로 설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제시된 기술로 등록특허 제10-1627564호가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벽면에 고정 후, 계측기기를 고정하는 것으로서, 시중에 나와 있는 다양한 계측기기의 탈착부의 크기 및 형상은 계측기기의 종류 또는 크기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계측기기 중 상기 종래기술에 맞는 크기의 계측기기만 사용할 수 밖에 없어, 계측기기의 선택이 제한되고, 이에 따라 범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술들은 계측기기를 설치한 후, 그 계측기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져의 각도, 위치를 변경하는데 제한적으로, 마운트를 재설치해야하는 문제가 발생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이동부재 및 이동부재에 결합되는 제1블록과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블록 및 상기 이동부재 및 장착블록을 움직이는 조정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착블록에 구비되는 계측기기의 레이져 조사방향 및 각도를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계측기기용 마운트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벽면에 고정되는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블록이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를 설치부로부터 승하강 가능하게 하는 승하강조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레이져의 조사 높이 또한 조정할 수 있는 계측기기용 마운트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록킹부재를 통하여, 상기 승하강조정수단의 동작을 제한함에 따라 높이 조정 후 안정적으로 높이가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계측기기용 마운트장치를 제공함을 또 하나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장치는
벽면 고정용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공이 형성된 지지대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이동공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블록과,
상기 제1블록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계측기기 탈부착용 장착부가 형성된 제2블록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착블록;
상기 이동부재를 이동공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제1조정부재와,
상기 제1블록을 상기 이동부재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제2조정부재와,
상기 제2블록을 상기 제1블록 상부에서 회전시키는 제3조정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정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는 이동부재, 상기 이동부재에 결합되며 제1블록 및 제2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장착블록 및 상기 장착블록과 이동부재를 움직이는 조정수단을 통하여, 계측기기의 위치를 다각도로 조정 가능하게 하여, 마운트를 분리시킬 필요 없이 필요에 따라 계측기기의 위치를 조절하여 계측기기에서 조사하는 레이져의 조사방향을 손쉽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를 설치부와 장작블록이 결합되는 지지대로 구성하되, 상기 지지대의 높낮이를 조정할 수 있는 승하강조정수단을 더 구비하여 조사되는 레이져의 높낮이 또한 손쉽게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승하강조정수단의 동작을 제한하여 지지대를 고정시키는 록킹부재를 통하여 높이조정이 완료된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변화 없이 동일한 위치에 레이져를 조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사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제1조정부재의 사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제2조정부재의 사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제3조정부재의 사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승하강조정수단 및 부분확대 사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D)는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와,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이동부재(20), 장착블록(30) 및 조정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본체(10)는 벽면 등에 설치되는 설치부(11)와, 상기 설치부(11)로부터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1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설치부(11)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그넷(111)이 더 구비되어 있어, 공사현장에서 철제 빔 등에 고정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의 설치부(11)는 철제 빔 등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마그넷(111)이 후면에 구비되어 있으며, 보다 안정적인 고정을 위해 상기 마그넷(111)은 강한 자성을 갖는 네오디움 자석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설치하고자 하는 면이 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미리 별도의 금속성 재질의 부재를 설치면에 고정하여 자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설치부(11) 상단에 형성된 고정공(113)을 통하여 못, 핀, 고리 등에 걸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설치부(11) 하단에는 상기 지지대(13)와 나란하게 고정 결합되는 고정대(15)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고정대(15)는 상기 본체(10)를 바닥면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본체(10)를 세울 수 있는 기능을 함과 동시에, 상기 고정대(15)에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장착공(151)이 구비되어 있어, 삼각대, 모노포드 등에 체결하여 고정할 수도 있어, 사용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상기 본체(10)의 전방에는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지지대(13)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이 지지대(13)는 상기 설치부(11)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우선, 상기 설치부(11) 전면에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레일(115)가 구비되고, 상기 지지대(13)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레일(115)에 결합되는 홈부(131)가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13)가 상기 설치부(11) 전면에서 수평을 유지한 채 승하강 가능하게 이루어져 계측기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져의 조사 높이를 변경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본 발명은 승하강조정수단(50)을 더 구비하여, 상기 지지대(13)의 승하강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데, 상기 승하강조정수단(50)은 상기 설치부(11) 전면에 구비되는 톱니부(51)와, 상기 톱니부(51)에 맞물림결합(톱니결합)되며 상기 지지대(13)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승하강조정손잡이(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1, 도2 및 도6[A]를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설치부(11)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돌기가 상하방향으로 복수개로 배열된 톱니부(51)가 형성되고, 이 톱니부(51) 주변에는 눈금부(511)가 더 구비되어 작업자가 지지대(13)의 승하강 높이 조절정도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설치부(11) 전면에 결합되는 지지대(13)에는 상기 지지대(13)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톱니부(51)에 맞물리도록 외면에 대응톱니부(531a)가 형성된 승하강조정손잡이(53)가 구비되게 되는데,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승하강조정손잡이(53)는 승하강손잡이축(531)과 승하강손잡이노브(532)로 이루어지며, 상기 승하강손잡이축(531) 외면에 대응톱니부(531a)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손잡이노브(532)는 상기 지지대(13)의 일측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승하강손잡이노브(532)를 회전시키면 상기 승하강손잡이축(531)이 회전하고, 상기 대응톱니부(531a)와 톱니부(51)의 맞물림결합에 의해 상기 지지대(13)게 상기 설치부(11) 전면에서 수평을 유지한 채 상하로 높낮이 조정이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지지대(13)가 승하강 조정이 완료된 경우, 외부 충격 등에 의하여 높낮이 조정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노브로 이루어지는 록킹부재(55)를 더 구비하고 있으며,
이 록킹부재(55)는 상기 승하강손잡이축(531) 타측, 즉 승하강손잡이노브(532)와 반대방향에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록킹부재(55)를 회전시키면 록킹부재(55) 내부의 돌기가 상기 승하강손잡이축(531)의 타단을 고정하여 승하강손잡이의 회전을 방지하여 지지대(13)를 고정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상기 지지대(13)에는 계측기기가 결합되는 장착블록(30) 및 이동부재(20)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본 발명은 계측기기가 결합된 상태에서 계측기기의 수평이동 및 회전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조정수단(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대(13)에는 길이방향으로 이동공(133)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공(133)을 따라 수평이동가능하게 이루어지는 이동부재(2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이동부재(20) 상부에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블록(31)과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계측기기 탈착용 장착부(321)가 형성된 제2블록(32)을 포함하는 장착블록(30)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이동부재(20) 및 장착블록(30)의 보다 구체적인 형상은 하기 이동부재(20) 및 장착블록(30)을 동작하는 조정수단(40)을 설명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하고, 상기 조정수단(40)은 제1조정부재(41), 제2조정부재(42) 및 제3조정부재(43)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각각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조정부재(41)는 제1조정손잡이(411)와 제1이동블록(4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상기 지지대(13)에는 장공 형상의 이동공(133)이 형성되고, 이 이동공(133)에는 제1조정손잡이(411)가 구비되게 된다.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조정손잡이(411)는 상기 이동공(133) 내에 구비되는 제1손잡이축(411a)과, 상기 지지대(13)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1손잡이노브(41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대(13)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이 때 상기 제1손잡이축(411a) 외면에는 제1나사산(411c)이 형성된다.
상기 제1조정부재(41)는 제1이동블록(413)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상기 제1이동블록(413)은 상기 이동공(133) 내에서 상기 제1손잡이축(411a)에 나사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제1조정손잡이(411)가 공회전하게 되면, 상기 제1이동블록(413)이 이동공(133) 내에서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블록(413)은 상기 이동부재(2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제1조정손잡이(41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1이동블록(413)이 지지대(13) 내에서 수평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이동부재(20)는 상기 지지대(13) 상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이동부재(20)에는 상기 지지대(13)를 감싸 지지대(13)로부터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돌기(21)가 더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부에는 장착블록(30)이 구비되게 되고, 이 장착블록(30)은 제2조정부재(42)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게 이루어진다.
도4는 상기 장착블록(30)의 면 중 상기 이동부재(20)와 맞닿는 면 보다 정확하게는 제1블록(31)의 배면을 나타낸 것으로
상기 장착블록(30)은 상기 이동부재(20) 상부에 결합되는 제1블록(31)과,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 결합되는 제2블록(3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조정부재(42)는 제2조정손잡이(421)와 제2이동블록(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제2조정손잡이(421)는 상기 제1조정손잡이(411)와 마찬가지로 제2손잡이축(421a)과 제2손잡이노브(421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블록(31)에는 상기 이동공(133)과 유사한 이동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홀(311)에는 상기 제2이동블록(423)이 결합되어 이동홀(311) 내에서 상기 제2이동블록(423)이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2조정손잡이(421)의 제2손잡이축(421a)은 상기 제1블록(31) 내에 구비되어 있으며, 외면에 제2나사산(421c)이 형성되고, 제2손잡이노브(421b)는 상기 제2손잡이축(421a) 단부에 결합되되 제1블록(31)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이루어진다.
이 때 상기 제2조정손잡이(421)는 상기 제1블록(31)에 공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블록(423)이 상기 제2손잡이축(421a)의 제2나사산(421c)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제2조정손잡이(421)를 회전시키면 상기 제2이동블록(423)이 이동홀(311) 내에서 수평이동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1조정부재(41)와 제2조정부재(42)를 통하여 장착블록(30)을 수평이동 시키기 위한 것으로, 제1조정부재(41)에 의해 이동부재(20)가 이동하는 방향을 X축이라 할 때, 상기 장착부(321)재가 제2조정부재(42)에 의해 이동부재(20)로부터 이송하는 방향을 Y축이 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상기 이동공(133)과 이동홀(311)의 길이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하고 있다.
다시 상기와 같이 제2이동블록(423)은 상기 이동홀(311) 내에서 이동이 가능하게 이루어지는데, 이 때 상기 제2이동블록(423)이 상기 이동부재(20) 상면에 고정 결합됨에 따라, 제2이동부재(20)는 움직이지 않으므로 결과적으로 장착블록(30)(제1블록(31))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31) 하면에는 상기 장착블록(30)의 이동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된 가이드홈(312)이 구비되고, 상기 이동부재(20)의 상면에는 상기 가이드홈(312)에 끼워지는 가이드돌기(23)가 구비되어, 장착블록(30)의 수평이동을 흔들림 없이 안내할 수 있도록 한다.(도6[B] 참조)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는 제2블록(32)이 구비되는데, 상기 제2블록(32)은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블록(32)의 상면에는 계측기기의 결합을 위한 장착부(3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1 및 도5 참조)
상기 장착부(321)는 계측기기와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외면에 나사부가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마그넷(111) 등으로 구성되어 계측기기를 자성에 의해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상기 제3조정부재(43)는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 결합되는 제2블록(32)을 공회전시켜 계측기기에서 조사되는 레이져의 조사 방향을 변경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어부(433)와, 상기 기어부(433)에 맞물리도록 웜기어부(431c)를 포함하는 제3조정손잡이(431)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블록(31)의 하부에는 원형으로 이루어지는 기어부(433)가 구비되며, 이 기어부(433)는 상기 제1블록(31) 내에 위치하도록 이루어진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31)에는 제3조정손잡이(431)가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되, 상기 제3조정손잡이(431)는 제3손잡이축(431a)과 제3손잡이노브(43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제3손잡이축(431a)의 외면에 웜기어부(431c)가 형성되어 상기 기어부(433)에 맞물리게 되고, 상기 제3손잡이노브(431b)가 상기 제1블록(31) 외측으로 노출된다.
따라서, 상기 제3조정손잡이(431)를 공회전 시키면, 상기 기어부(433)와 웜기어부(431c)의 맞물림(웜기어 결합 방식과 유사하다.)에 의하여 상기 기어부(433)가 회전하게 되고, 이는 곧 제2블록(32)을 공회전시키는 동작을 유도하여 제2블록(32) 상부에 장착되는 계측기기의 레이져 조사방향을 손쉽게 변경할 수 있게 된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D)의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조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설치부(11)에 결합되는 고정대(15)는 후크결합수단(60)을 통하여 손쉽게 체결될 수 있으며, 도7은 상기 후크결합수단(70)을 도시한 것으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상기 설치부(11) 하부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후크돌기(61)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고정대의 단부에는 상향 돌출된 후크결합블록(63)이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돌기(61)가 상기 후크결합돌기에 체결됨에 따라 상기 고정대(15)를 설치부(11) 하부에 손쉽게 체결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며,
이를 위하여 상기 후크결합블록(63)에는 상기 후크돌기(61)가 삽입되는 끼움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631)의 외측벽(634)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61)가 결합되는 걸림홈(635)이 구비된다.
다시, 상기 후크결합수단은, 상기 설치부(11) 하부에 구비되는 후크돌기(61)와, 상기 고정대(15)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61)가 결합되는 후크결합블록(63), 상기 후크결합블록(63) 내에 구비되어 경질 소재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의 가압관(651)과 상기 가압관(651)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탄성띠(653)를 포함하는 탄성관(65)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후크돌기(61)가 후크결합블록(63)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관(65)이 상기 후크돌기(61)의 내측을 지지하여 후크돌기(6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후크결합블록(63)은 내부에 상기 후크돌기(61)가 삽입되는 끼움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631) 양측에는 한 쌍의 격벽부(632)가 형성되어 있으며, 바깥쪽에는 상기 걸림홈(635)이 형성된 외측벽(634)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관(65)은 경질의 소재로 이루어진 파이프 형상의 가압관(651)과, 상기 가압관(651)을 관통하며 탄성력을 갖는 연질소재의 탄성띠(653)로 이루어지고,
상기 가압관(651)은 상기 한 쌍의 격벽부(632)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탄성띠(653)는 상기 가압관(651)의 길이보다 더 길게 구비되어양측이 상기 격벽부(632) 상부에 형성된 끼움홈(632a)에 끼워지며 상기 끼움홈(632a)을 통과한 양 단부는 상기 후크결합블록(63)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후크돌기(61)의 상부에는 상기 끼움홈(632a)에 인입될 수 있는 수밀단(61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후크돌기(61)의 끝단부에는 상기 가압관(651)의 외면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오목 형성된 고정홈(613)이 형성되며, 상기 걸림홈(635)의 저부에는 내측 사선 방향으로 상향 돌출되도록 형성된 푸쉬돌기(635a)가 더 구비된다.
상기 후크돌기(61)는 상기 설치부(11)의 하부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복수개가 구비되거나, 단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끼움부(631)는 상기 후크결합블록(63) 내에 상기 후크돌기(61)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있으며, 도7의 일점쇄선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부(631)의 양측에는 한 쌍의 격벽부(632)가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61)가 상기 한 쌍의 격벽부(632)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밀단(611)은 상기 설치부(11) 하부에 형성되고, 이 수밀단(611) 하부에 후크돌기(6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밀단(611)은 상기 후크돌기(61)가 후크결합블록(63)에 삽입될 때 한 쌍의 격벽부(632) 사이의 폭보다 더 길게 형성되어 상기 격벽부(632) 상부 끝단에 형성된 끼움홈(632a)에 끼워질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가압관(651)은 경질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격벽부(632)의 폭과 같거나 작게 이루어지며, 길이방향으로 중공부가 구비되어 이 중공부에 상기 탄성띠(653)가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탄성띠(653)의 양측, 즉 상기 가압관(651)을 통과하여 돌출된 양측은 상기 끼움홈(632a)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고정홈(613)은 상기 가압관(651)의 외주면 형상에 상응하는 모양으로 후크돌기(61) 끝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푸쉬돌기(635a)는 상기 걸림홈(635)의 저부에서 끝단부가 상기 고정홈(613)에 삽입 가능한 길이를 갖도록 내측으로 상향 돌출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설치부(11)와 고정대(15)를 결합시키면, 상기 후크돌기(61)가 끼움부(631)로 삽입되고, 상기 끼움부(631)에 삽입되는 후크돌기(61)의 고정홈(613)이 상기 가압관(651)의 상부를 눌러 탄성관(65)을 하강시키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관(651)은 경질재질로 이루어져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고, 상기 가압관(651)을 관통하여 상기 끼움홈(632a)을 통과하는 탄성띠(653)는 가압관(651)이 하강함에 따라 팽창하면서 끼움홈(632a)의 바닥면에 밀착되게 되며, 상기 후크돌기(61)가 더 하강하여 상기 걸림홈(635)에 끼워져 걸리면, 상기 푸쉬돌기(635a)가 고정홈(613) 내의 가압관(651)을 후크돌기(61)의 내측으로 밀어서 이탈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홈(613)에서 이탈된 가압관(651)은 상기 탄성띠(653)의 탄성력, 즉 탄성띠(653)가 다시 수축하면서 끼움홈(632a)과 유사한 높이로 원상복귀 되며, 이 때 탄성띠(653)의 탄성력이 외측벽(634)을 향해 발휘됨에 따라 상기 가압관(651)이 상기 후크돌기(61)의 내측면을 밀어서 후크돌기(61)가 걸림홈(635)에서 임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어 결합력을 향상시키게 된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D : 마운트 장치
10 : 본체 11 : 설치부
111 : 마그넷 113 : 고정공
115 : 가이드레일 13 : 지지대
131 : 홈부 133 : 이동공
15 : 고정대 151 : 장착공
20 : 이동부재 21 : 이탈방지돌기
23 : 가이드돌기 30 : 장착블록
31 : 제1블록 311 : 이동홀
312 : 가이드홈 32 : 제2블록
321 : 장착부 40 : 조정수단
41 : 제1조정부재 411 : 제1조정손잡이
411a : 제1손잡이축 411b : 제1손잡이노브
411c : 제1나사산 413 : 제1이동블록
42 : 제2조정부재 421 : 제2조정손잡이
421a : 제2손잡이축 421b : 제2손잡이노브
421c : 제2나사산 423 : 제2이동블록
43 : 제3조정부재 431 : 제3조정손잡이
431a : 제3손잡이축 431b : 제3손잡이노브
431c : 웜기어부 433 : 기어부
50 : 승하강조정수단 51 : 톱니부
511 : 눈금부 53 : 승하강조정손잡이
531 : 승하강손잡이축 531a : 대응톱니부
532 : 승하강손잡이노브 55 : 록킹부재

Claims (4)

  1. 설치면 고정용 설치부(11)와, 상기 설치부(11)에 승하강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동공(133)이 형성된 지지대(13) 및 상기 설치부(11) 하단에 구비되는 고정대(15)를 포함하는 본체(10);
    상기 이동공(133)을 따라 수평이동하는 이동부재(20);
    상기 이동부재(20)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제1블록(31)과,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상부에 계측기기 탈부착용 장착부(321)가 형성된 제2블록(32)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장착블록(30);
    상기 이동부재(20)를 이동공(133)을 따라 수평이동시키는 제1조정부재(41)와,
    상기 제1블록(31)을 상기 이동부재(20)의 이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이동시키는 제2조정부재(42)와,
    상기 제2블록(32)을 상기 제1블록(31) 상부에서 회전시키는 제3조정부재(43)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조정수단(4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상기 설치부(11)에 결합되는 고정대(15)는 후크결합수단(60)을 통하여 체결되고,
    상기 후크결합수단(60)은
    상기 설치부(11) 하부에 하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후크돌기(61)와,
    상기 고정대(15)의 단부에 상향 돌출되어 상기 후크돌기(61)가 체결되도록, 상기 후크돌기가 삽입되는 끼움부(63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부(631)의 외측벽(634)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돌기(61)가 결합되는 걸림홈(635)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후크결합블록(63)과.
    상기 후크결합블록(63) 내에 구비되어 경질 소재로 이루어지는 파이프 형상의 가압관(651)과, 상기 가압관(651)을 관통하여 연결되는 탄성띠(653)를 포함하는 탄성관(65)으로 이루어져,
    상기 후크돌기(61)가 상기 후크결합블록(63)에 삽입되면, 상기 탄성관(65)이 상기 후크돌기(61)의 내측을 지지하여 상기 후크돌기(61)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조정부재(41)는
    상기 이동공(133) 내에서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외면에 제1나사산(411c)이 형성된 제1조정손잡이(411)와, 상기 제1블록(31) 하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나사산(411c)에 나사결합되는 제1이동블록(4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조정부재(42)는
    상기 제1조정손잡이(411)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블록(31)에 구비되되 외면에 제2나사산(421c)이 형성된 제2조정손잡이(421)와, 상기 제2나사산(421c)에 나사결합되되 상기 이동부재(20) 상부에 결합되는 제2이동블록(42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3조정부재(43)는
    상기 제2블록(32) 하부에 원형으로 구비되는 기어부(433)와, 상기 제1블록(31)에 구비되어, 상기 기어부(433)와 맞물리도록 웜기어부(431c)를 포함하는 제3조정손잡이(4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설치부(11) 전면에 구비되는 톱니부(51)와, 상기 지지대(13)에 공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톱니부(51)에 맞물리도록 외면에 대응톱니부(531a)가 형성된 승하강조정손잡이(53)를 포함하는 승하강조정수단(50);
    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조정수단(50)에는
    상기 승하강조정손잡이(53)의 공회전을 제한하여 상기 지지대(13)를 상기 설치부(11)에 고정시키는 록킹부재(55)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KR1020200020411A 2020-02-19 2020-02-19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KR1022570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11A KR102257011B1 (ko) 2020-02-19 2020-02-19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0411A KR102257011B1 (ko) 2020-02-19 2020-02-19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7011B1 true KR102257011B1 (ko) 2021-05-27

Family

ID=76135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0411A KR102257011B1 (ko) 2020-02-19 2020-02-19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70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183735A (zh) * 2022-07-29 2022-10-14 张守魁 一种测绘用距离测量装置
US11846507B2 (en) 2019-01-25 2023-12-19 Stanley Black & Decker Inc. Laser level system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2756B3 (de) * 2009-04-30 2010-07-29 Hilti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Lasergerätes
DE202017001724U1 (de) * 2017-03-31 2017-04-21 Gottlieb Nestle Gmbh Universaladapter
KR200484868Y1 (ko) * 2016-07-22 2017-11-20 신영측기(주) 계측장비용 마운트 장치
US20180038691A1 (en) * 2010-07-08 2018-02-08 Shayne Hamel Adjustable high precision surveying device
KR101925615B1 (ko) * 2017-06-26 2018-12-05 장미희 레이저 레벨러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KR102042814B1 (ko) * 2018-11-05 2019-11-08 신영측기(주)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02756B3 (de) * 2009-04-30 2010-07-29 Hilti Aktiengesellschaft Haltevorrichtung zur Befestigung eines Lasergerätes
US20180038691A1 (en) * 2010-07-08 2018-02-08 Shayne Hamel Adjustable high precision surveying device
KR200484868Y1 (ko) * 2016-07-22 2017-11-20 신영측기(주) 계측장비용 마운트 장치
DE202017001724U1 (de) * 2017-03-31 2017-04-21 Gottlieb Nestle Gmbh Universaladapter
KR101925615B1 (ko) * 2017-06-26 2018-12-05 장미희 레이저 레벨러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KR102042814B1 (ko) * 2018-11-05 2019-11-08 신영측기(주) 계측기기용 마운트 어셈블리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6507B2 (en) 2019-01-25 2023-12-19 Stanley Black & Decker Inc. Laser level system
CN115183735A (zh) * 2022-07-29 2022-10-14 张守魁 一种测绘用距离测量装置
CN115183735B (zh) * 2022-07-29 2024-03-29 张守魁 一种测绘用距离测量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7011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장치
KR101477770B1 (ko) 계측장비를 위한 높이 조절 지지대
KR101991890B1 (ko)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KR101771343B1 (ko) 모르타르의 타설 높이측정 장치
JP2008120595A (ja) 車両の位置合わせ方法およびレベリング・ベンチ装置
EP3309510A1 (en) Height-adjustable laser level apparatus
KR101604106B1 (ko) 광파 측량기 타겟 거치대
KR102304553B1 (ko) 수준 측량용 표척의 안정적인 높이 조절을 위한 측지측량장치
JP2015065642A (ja) カメラ装置用の取付装置
JP2007163281A (ja) レーザー墨出し器用支持機構
KR20160116626A (ko) 광학장치용 거치대
KR20220053149A (ko) 바닥에서 타공위치를 조준할 수 있는 천장용 드릴링 장치
WO2020001398A1 (zh) 一种固定装置
JP2010223878A (ja) レーザレベルの三脚用昇降装置
KR101925615B1 (ko) 레이저 레벨러용 월마운트 어셈블리
RU1072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и регулировки уровня маяка
KR102018636B1 (ko) 계측기기용 마운트 및 스탠드
CN211504162U (zh) 一种光学测量仪器的校准器
JP6667804B1 (ja) 架台
CN113027152B (zh) 一种在砌筑时固定红外线水平垂直仪的可移动装置
CN111829492B (zh) 基于激光垂准仪应用的联系测量方法
JP3134970U (ja) 光墨出し器具
RU2331814C1 (ru) Поворотное освет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JP2005049201A (ja) 伸縮式レーザ機器設置ポール
KR20080048771A (ko) 레이저 수평 수직장치용 삼발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