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6078B1 -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6078B1
KR102256078B1 KR1020190132380A KR20190132380A KR102256078B1 KR 102256078 B1 KR102256078 B1 KR 102256078B1 KR 1020190132380 A KR1020190132380 A KR 1020190132380A KR 20190132380 A KR20190132380 A KR 20190132380A KR 102256078 B1 KR102256078 B1 KR 1022560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purifier
blowing fan
fine dust
flower p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288A (ko
Inventor
최세민
송인우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최세민
송인우
이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세민, 송인우, 이정우 filed Critical 최세민
Priority to KR102019013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6078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60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60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5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user interfaces or communication
    • F24F11/52Indication arrangements, e.g. displ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62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ontrol or by internal processing, e.g. using fuzzy logic, adaptive control or estimation of values
    • F24F11/63Electronic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24F11/72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 F24F11/74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 F24F11/77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for controlling the supply of treated air, e.g. its pressure for controlling air flow rate or air velocity by controlling the speed of venti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26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mproving the aesthetic appearan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70Efficient control or regulation technologies, e.g. for control of refrigerant flow, motor 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Ventilation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 정화는 물론 인공 조경을 통한 관상용 장식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상단에는 인조수목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팬 출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송풍팬을 제어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AIR CLEANER AND SYSTEM FOR PURIFYING AIR USING THE SAME}
본 개시내용은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실내의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해졌다. 가정이나 사무실 등에는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관리하기 위해 공기청정기를 설치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실내에서의 거주 환경 개선을 위해 공기청정기와는 별도로 다양한 나무, 화초 등의 식물을 화분에 키우고 있다.
그러나, 실내 공기 정화와 실내 환경 개선을 위해서는 공기청정기와 화분을 별도로 구비하여 실내에 배치해야 하므로, 공간적 제약이 발생되며 실내 인테리어의 미감을 저해할 수 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넓은 공간의 경우 다량의 공기청정기를 단순하게 배열 설치함에 따라 실내 공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데 미흡한 실정이다.
최근 들어, 공기 오염으로 인한 질병의 증가 및 쾌적한 삶에 대한 욕구가 커지면서, 공기 정화를 위한 장치에 대한 개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장치를 개선하여 제공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많은 장점을 줄 수 있다.
본 과제는, 공기 정화는 물론 인공 조경을 통한 관상용 장식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공기를 보다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과제는, 대공간에서의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구현예의 공기정화시스템은, 실내 공간 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기는 서로 간에 미세먼지 농도를 송수신하고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검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각 공기청정기는 미세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송풍팬 회전속도를 높이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일 수 있다.
본 구현예의 공기청정기는, 상단에는 인조수목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팬 출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상기 송풍팬을 제어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 상기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인조수목은 화분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 상기 기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통로와 연통되는 분기통로, 상기 줄기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분기통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는 와이파이 신호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여 통신하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중심통로는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어 공기를 순환 배출하는 나선형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기 인조수목에 설치되어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센서의 출력값을 연산하여 상기 발광부를 제어 구동할 수 있다.
상기 인조수목은 상기 줄기에 설치되는 복수의 나뭇잎을 더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상기 나뭇잎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구현예에 의하면, 인공 수목이 구비된 화분 구조로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보다 미려하게 개선하여, 실내 장식 및 인테리어 효과를 높임과 더불어 실내 공기를 청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실내 인테리어를 위한 화분과 공기청정기를 단일화시켜 좁은 실내에서도 공간을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실내 공기질에 따라 화분의 인공 수목을 통해 색상 변화하여 정보 확인 및 아름다운 조명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상하 압력차를 줄이고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켜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대공간에서의 공기 정화 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된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공간내에 배치된 복수의 공기청정기가 서로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최적 상태로 제어 구동됨으로써, 대공간 내부의 공기질을 최상으로 유지 관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정화시스템을 도시한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후술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부호를 사용하여 나타낸다.
이하에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과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인조수목(130)이 설치된 화분(110), 송풍팬(114), 필터부(116), 및 제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화분(110)은 내부가 빈 용기 형태를 이룰 수 있다. 화분(110)은 예를 들어, 상부가 분리되어 내부를 개방하는 구조일 수 있다. 화분(110) 내부에 공기 정화를 위한 각종 구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 화분(110)의 상단에는 인조수목(130)이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화분(110)의 측면에는 공기가 빨려들어갈 수 있도록 통기공(112)이 관통 형성될 수 있다. 화분(110)의 구조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화분(110) 내부에 송풍팬(114)과 필터부(116) 및 제어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화분(110) 측면에는 송풍팬(114)을 포함하여 각 구성부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선(도시되지 않음)이 연장 설치될 수 있다.
화분(110) 내부에서 송풍팬(114)과 필터부(116)가 화분(110)의 통기공(112)과 인조수목(130) 사이에 배열 설치된다. 송풍팬(114)은 화분(110)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112)을 통해 공기를 흡입한다.
이에, 송풍팬(114)이 구동되면 통기공(112)을 통해 외부의 공기가 흡입되어 필터부(116)를 거쳐 인조수목(130)으로 배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상류 분출 방식으로, 화분(110) 측면의 통기공(112)에서 율입된 공기는 송풍팬(114)에 의해 위쪽으로 분출되고 화분(110) 상부쪽에 배치된 필터부(116)를 거쳐 인조수목(130)으로 배출된다.
필터부(116)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여 제거한다. 필터부(116)는 오염물질에 따라 여러 종류의 필터가 다단계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다. 필터부(116)의 필터 종류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필터부(116)는 화분(110)에서 교체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에, 필요한 경우 화분(110)을 상하로 분리하여 사용한 필터부(116)를 화분(110) 내부에서 제거하고 새로 교체하거나 청소하여 재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필터부(116) 출측에 인조수목(130)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필터부(116)를 거친 청정 공기는 인조수목(130)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인조수목(130)은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화초, 나무 등의 식물이다. 인조수목(130)의 재질은 합성수지를 포함하여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청정공기를 배출하는 부분인 나무 등과 같은 인조수목(130)으로 이루어져 있어, 실내의 인테리어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인조수목(130)은 화분(110)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132) 내부에 형성되어 필터부(116)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133), 기둥(132)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134) 내측에 형성되어 중심통로(133)와 연통되는 분기통로(135), 줄기(134)를 따라 형성되고 분기통로(135)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3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필터부(116)를 거쳐 미세먼지 등이 제거된 청정한 공기는 인조수목(130)에 형성된 중심통로(133)와 분기통로(135) 및 배출구(137)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인조수목(130)의 형태나 크기 등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기둥(132)은 화분(110) 중심에 설치되어 필터부(116)와 바로 연결될 수 있다. 기둥(132) 내부에 형성된 중심통로(133)는 필터부(116)의 출측과 연통된다.
본 실시예에서, 중심통로(133)는 내주면을 따라 나선형 유로(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나선형 유로(140)는 기둥(132) 형성시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로 제조되어 인조수목(130) 내측에 부착 설치될 수 있다.
이에, 송풍팬(114)에 의해 배출되는 청정공기는 기둥(132)의 중심통로(133)를 통해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되면서 나선형 유로(140)를 따라 나선형태로 회전되면서 상승하게 된다. 따라서, 기둥(132)에서 상하로 배치된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기둥(132)은 상방향으로 뻗어 형성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내경이 줄어드는 형태를 이룬다. 이에, 기둥(132) 내부에 형성되는 중심통로(133) 역시 하단에서 상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게 된다. 따라서, 기둥(132)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줄기(134)의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가 발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언급한 바와 같이 청정공기가 나선형 유로(140)를 따라 순환하면서 상승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상부에 위치한 배출구(137)와 하부에 위치한 배출구(137) 사이에 압력차이가 줄게 된다. 따라서 인조수목(130) 전체적으로 모든 배출구(137)에서 균일한 압력으로 청정공기가 배출될 수 있다.
줄기(134)는 기둥(132)을 따라 배열 설치될 수 있다. 줄기(134)의 내부를 따라 분기통로(135)가 형성되어 중심통로(133)와 연통된다. 줄기(134)의 표면에는 분기통로(135)와 연통되는 배출구(137)가 배열 형성될 수 있다. 줄기(134)는 기둥(132)을 따라 외측으로 퍼져 고르게 분포되므로, 청정공기를 줄기(134)에 형성된 배출구(137)를 통해 보다 넓은 영역으로 분산하여 배출할 수 있게 된다.
각 줄기(134)에는 복수의 나뭇잎(136)이 배열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공기청정기(100)는 나뭇잎(136)에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1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발광부(126)는 제어부(120)와 연결되어 제어부(120)의 신호에 따라 빛을 외부로 조사한다. 발광부(126)는 다양한 색상을 구현하거나 할 수 있으며, 빛의 밝기를 조절하여 필요한 정보를 외부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발광부(126)는 LED발광 소자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나뭇잎(136)에 발광부(126)가 설치되어 외부로 빛을 조사함으로써, 정보를 표시함은 물론 공기청정기(100)의 미감을 보다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발광부(126)는 나뭇잎(136)의 하면에 설치되는 구조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줄기(134) 또는 화분(110) 등에도 설치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분(110) 내부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제어부(120)는 미세먼지 농도에 따라 송풍팬(114)과 발광부(126)를 제어 작동할 수 있다.
검출센서(122)는 미세먼지를 검출할 수 있는 센서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출센서(122)의 검출 신호를 연산하여 미세먼지 농도에 맞춰 설정된 값ㅂ으로 송풍팬(114)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발광부(126)에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특정 색상의 빛 또는 빛의 밝기를 제어 작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출센서(122)에서 검출된 미세먼지의 농도가 설정된 범위 이상으로 높은 경우에는 송풍팬(114)을 보다 강하게 구동하고 발광부(126)의 빛을 붉은색으로 변경할 수 있다.
실내에 복수의 공기청정기(100)가 배치되는 경우, 제어부(120)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상대적 거리에 따라 송풍팬(114)을 제어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검출된 미세먼지의 농도값을 통신부(124)를 통해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이웃 공기청정기(100)의 미세먼지 농도값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통신부(124)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를 이용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망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4)는 와이파이(Wifi) 신호를 송수신하는 와이파이모듈 또는 적외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불루투스(bluetooth) 모듈일 수 있다.
이에, 공기청정기(100)는 통신부(124)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 사이에서 무선 출력신호를 주고받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 신호를 강도를 검출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이격된 거리를 연산한다.
무선 신호의 세기는 거리에 반비례하므로,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확인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100)와의 거리를 연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통신부(124)를 통해 수신된 이웃 공기청정기(100)의 미세먼지 농도값과 상대적인 거리를 확인하여, 송풍팬(114)을 제어 구동할 수 있다.
따라서, 대공간을 갖는 실내에서 복수의 공기청정기(100)를 구비한 경우 각각의 공기청정기(100)를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하여 보다 유기적으로 제어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네트워크로 연결한 공기정화시스템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시스템은 실내 공간 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200)로 연결된 복수의 공기청정기(100)를 포함한다. 각각의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미세먼지 농도 검출을 위한 검출센서(122)와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무선 통신을 위한 통신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에서 실내에 배치된 각 공기청정기를 출입구로부터 순차적으로 번호를 기재하여 설명한다. 즉, 1번(101)이라 함은 1번 공기청정기를 의미한다. 또한, 공기청정기라 함은 1번에서 6번의 공기청정기(101 내지 106)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제어부(120)를 포함하여 각각의 공기청정기 구조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의 공기청정기와 동일하므로, 이하,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기재하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공기청정기에 구비된 제어부(120)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상호 간에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값을 송수신하고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사이의 상대적 거리를 검출한다. 일측 공기청정기의 검출센서(122)에서 검출된 미세먼지 농도값은 무선 네트워크(200)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로 보내진다. 이웃하는 공기청정기 간의 이격 거리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통해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본 시스템은 미세머지 확산 방향을 확인할 수 있고, 미세 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패 회전속도를 높임으로써 실내 공기 청정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3에서 출입구를 통해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는 출입구에서부터 먼쪽을 향해 확산된다. 본 시스템을 통해 각 공기청정기 역시 출입구에서부터 먼쪽으로 배치된 위치에 따라 순차적으로 송풍팬(114)의 회전속도가 증가되어 미세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즉, 도 3에서 출입구로 들어온 미세먼지는 1번(101)으로부터 2번(102)과 4번(104), 3번(103)과 5번(105), 및 6번(106)으로 확산되어 나간다.
이에, 출입구쪽에 배치된 1번(101)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가 먼저 증가하게 된다. 1번(101)의 검출값은 통신부(124)를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로 전송된다.
이웃하는 공기청정기는 1번(101)을 포함하여 다른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 증가 정보를 수신함과 더불어 1번을 포함하여 다른 공기청정기와의 이격거리를 검출한다.
예를 들어, 2번(102)은 1번(101)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와 이격거리, 3번(103)과 5번(105) 등의 미세먼지 검출 농도와 이격거리를 수신하고, 이로부터 미세먼지가 1번(101) 쪽에서 확산되어 옴을 연산할 수 있다.
따라서, 2번(102)은 1번(101)의 미세먼지 농도와 이격거리에 기초하여 해당 송풍팬(114)의 회전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미세먼지의 확산방향을 따라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팬(114)이 순차적으로 적절한 값으로 구동되어 실내의 공기를 최적으로 정화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아래 수식을 통해 송풍팬(114)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R = ((i1×d1 + i2×d2 + i3×d3 .... in×dn)/∑i) + m)×k
d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와의 이격 거리
i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측정 농도
m은 해당 공기청정기치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k는 상수
R은 해당 공기청정기의 송풍팬 RPM 출력값
상기한 수식을 통해, 해당 공기청정기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이격 거리와 미세먼지 측정값에 대한 정보를 인가받아, 각각 송풍팬의 회전 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실내에 구비된 각 공기청정기가 최적 상태로 제어되어 실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네트워크 하에서 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각 공기청정기가 서로의 데이터를 공유하면서 최적 상태로 송풍팬을 제어 구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실내의 공기 정화 효율을 보다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시스템은 머신러닝을 통해 각 공기청정기를 트레이닝할 수 있다.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은 기계 학습으로 검출된 데이터로부터 학습하여 동작을 실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각 공기청정기의 제어부(120)는 내장된 알고리즘을 통해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과 공기청정기 간 이격거리 측정값을 데이터하여, 학습을 통해 해당 공기청정기에서의 송풍팬(114) 회전속도를 보다 최적화할 수 있다.
이러한 머신러닝을 통해, 실내로 유입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보다 빠른 속도로 최소화하여 실내를 정화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0 : 공기청정기 110 : 화분
112 ; 통기공 120 : 제어부
122 : 검출센서 124 : 통신부
126 : 발광부 130 : 인조수목
132 : 기둥 133 : 중심통로
134 : 줄기 135 : 분기통로
136 : 나뭇잎 137 : 배출구
140 : 유로 200 : 네트워크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실내 공간 내에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공기청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청정기는, 상단에 인조수목이 설치되고 측면에는 통기공이 형성된 화분,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어 통기공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팬, 상기 화분 내부에 설치되고 송풍팬 출측에 배치되어 공기 중 오염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 및 상기 송풍팬을 제어 구동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화분 일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 미세 먼지 농도를 검출하는 검출센서, 외부와 무선 신호를 주고받는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를 통해 검출된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구조이고,
    상기 인조수목은 화분에서 상부로 연장된 기둥 내부에 형성되어 상기 필터부를 거친 공기가 흐르는 중심통로, 상기 기둥을 따라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줄기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중심통로와 연통되는 분기통로, 상기 줄기를 따라 형성되고 상기 분기통로와 연통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수식1 : R = ((i1×d1 + i2×d2 + i3×d3 .... in×dn)/∑i) + m)×k
    d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와의 이격 거리
    in은 해당 공기청정기에서 가까운 순서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미세먼지 측정 농도
    m은 해당 공기청정기치에서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k는 상수
    R은 해당 공기청정기의 송풍팬 RPM 출력값
    상기 제어부는 위 수식1을 통해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이격거리와 미세먼지 측정값에 대한 정보로부터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팬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상기 각각의 공기청정기가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미세먼지 확산 방향을 따라 각 공기청정기의 송풍팬 회전속도를 높이는 구조의 공기정화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에서 출력되는 무선신호의 강도를 연산하여 이웃하는 공기청정기와의 상대적인 거리를 검출하는 공기정화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신호는 와이파이 또는 적외선 신호인 공기정화시스템.
KR1020190132380A 2019-10-23 2019-10-23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KR1022560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380A KR102256078B1 (ko) 2019-10-23 2019-10-23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380A KR102256078B1 (ko) 2019-10-23 2019-10-23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288A KR20210048288A (ko) 2021-05-03
KR102256078B1 true KR102256078B1 (ko) 2021-05-25

Family

ID=7591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380A KR102256078B1 (ko) 2019-10-23 2019-10-23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607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22A (ja) * 2000-08-28 2002-03-05 Canon Ntc Inc 空気清浄機
JP2004143650A (ja) * 2002-10-21 2004-05-20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人工観葉植物
JP2005061724A (ja) 2003-08-14 2005-03-10 Kokoro:Kk 空気清浄機
JP2008281279A (ja) * 2007-05-10 2008-11-20 Toyota Motor Corp 室内環境制御連携システム、並びに、室内環境制御連携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体搭載型装置及び固定施設設置型装置
JP6212549B2 (ja) * 2013-05-17 2017-10-11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40423U (ko) * 1988-09-09 1990-03-19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5822A (ja) * 2000-08-28 2002-03-05 Canon Ntc Inc 空気清浄機
JP2004143650A (ja) * 2002-10-21 2004-05-20 Canon Semiconductor Equipment Inc 人工観葉植物
JP2005061724A (ja) 2003-08-14 2005-03-10 Kokoro:Kk 空気清浄機
JP2008281279A (ja) * 2007-05-10 2008-11-20 Toyota Motor Corp 室内環境制御連携システム、並びに、室内環境制御連携システムを構成する移動体搭載型装置及び固定施設設置型装置
JP6212549B2 (ja) * 2013-05-17 2017-10-11 豊和化成株式会社 空気吹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288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9737B1 (ko) 다기능 식생 장치
AU2020100305A4 (en) Air purifier in a furniture article
KR101719400B1 (ko) 공기정화 및 공기청정 기능이 부가된 식물재배장치
KR102665025B1 (ko) 공기청정기
KR102102954B1 (ko) 스마트 공기 청정 시스템
CN102934588B (zh) 多功能室内除污植物墙
US20220174899A1 (en) Modular Hydroponic Grow Box
US20220099319A1 (en) Air purifier
CN106662350A (zh) 空气净化器以及具有空气净化功能的设备机器
KR101334246B1 (ko) 공기청정 기능을 구비한 엘이디 조명 어항
CN107014024A (zh) 加湿净化装置
US20200084983A1 (en) Automated Hydroponic Greenhouses
KR20200063702A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 정화장치
KR20150082887A (ko) 수족관과 화분이 구비된 벽걸이형 액자
KR20190044766A (ko) 실내용 수경재배 시스템을 이용한 정수 장치
KR102256078B1 (ko) 공기청정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시스템
CN2644946Y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157626B1 (ko) 스마트 화분
KR20150141308A (ko) 식물재배가 가능한 가습형 공기청정기
WO2013077918A1 (en) Automatic lighting controller for attached macroalgal growth
KR20190106189A (ko) 식물을 이용한 실내 공기정화장치
KR20200134746A (ko) 송풍 기능이 구비된 스마트 화분
CN204880380U (zh) 一种智能生物净化器
JP4933369B2 (ja) 植物育成装置
KR102074951B1 (ko) 공기환경개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