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857B1 -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 Google Patents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857B1
KR102255857B1 KR1020200110224A KR20200110224A KR102255857B1 KR 102255857 B1 KR102255857 B1 KR 102255857B1 KR 1020200110224 A KR1020200110224 A KR 1020200110224A KR 20200110224 A KR20200110224 A KR 20200110224A KR 102255857 B1 KR102255857 B1 KR 1022558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arm
firing
battery
simulated
trig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02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강
Original Assignee
김시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시강 filed Critical 김시강
Priority to KR10202001102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8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8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8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3/00Adaptations for training; Gun sim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35/00Accessories or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9/00Feeding or loading of ammunition; Magazines; Guiding means for the extracting of cartridges
    • F41A9/61Magazines
    • F41A9/62Magazines having means for indicating the number of cartridges left in the magazine, e.g. last-round indic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3/00Aiming or laying means
    • F41G3/26Teaching or practice apparatus for gun-aiming or gun-lay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Aiming, Guidance, Guns With A Light Source, Armor, Camouflage, And Targ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관한 것으로, 탄창으로부터 모의탄을 공급받아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를 통해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따라 격발신호가 생성되고, 격발신호에 따라 전원에 의해 상기 발사부가 구동되는 총기 몸체; 상기 총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총기 몸체로부터 격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탄발값을 생성하고, 탄발값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발사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발사신호를 전달 및 발사신호 전달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배터리로 전달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격발신호의 전류를 통해 탄발 수를 확인하여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GUN FOR SIMULATED COMBAT TRAINING}
본 발명은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나 가스를 통해 피스톤을 구동시켜 공기압으로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의 전투훈련 총기는 총 형태의 장비를 지칭하며, 군경 훈련용 뿐만 아니라 성인들의 레저문화로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9-0051171호에 게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모의탄을 탄창으로부터 공급받고, 공급된 모의탄이 실린더의 선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실린더 내의 피스톤이 후진 된 상태에서 공기압 또는 탄성력에 의해 급발진시킴으로써 실린더 선단에 위치한 모의탄이 격발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모의 전투훈련 총기는 군경의 훈련 뿐만 아니라 일명 서바이벌 게임이라는 전투게임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러한 전투게임은 페인트가 포함된 탄을 삽입한 총기와 베스트(vest)를 이용하여 탄이 맞았음을 육안으로 확인하도록 구성된 페인트볼 게임이 있으며, 피탄 식별이 불가능 하지만 서바이벌 게임의 취지를 가장 잘 살리고 다양한 형태의 군장의 착용을 통해 실전과 유사하게 전투게임을 진행할 수 있는 플라스틱 BB탄을 이용하는 게임이다.
좀 더 진보된 형태로는 총기에서 총성을 감지하거나 총열의 압력을 감지하여 발사를 감지하고 적외선이나 기타 광선을 발사하여 베스트에서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형태가 있다. 페인트볼 게임 같은 경우에는 상업용 경기장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설에서 주로 진행되며, 플라스틱 BB탄을 사용한 서바이벌 게임은 대부분의 서바이벌 동호인들 사이에서 진행되고 있고, 적외선을 감지하여 피탄 식별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레이져테그 장비같은 경우에는 군사용으로 마일즈 장비로 쓰이고 있으며, 일부 상업용 시설에서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시설을 갖추고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서바이벌 게임은 사격술뿐만 아니라 전략적인 플레이를 요한다. 따라서, 게이머는 정해진 탄알을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해야 승리에 유리하다.
하지만, 플라스틱 BB탄을 이용한 종래의 모의 전투훈련 총기는 본인이 발사한 탄발 수의 확인이 어려워 전시 상황에서 탄알의 확인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제때 보급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총격전 시 탄알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이를 알지 못한 채 도중에 탄알이 모두 소진될 경우 불리한 상황에 처해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282903호 대한민국특허청 등록번호 제10-1722133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8-0034723호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 제10-2011-0068346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모의 전투훈련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가 사용한 탄발의 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물론, 탄발 수의 확인에 따라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하도록 하고, 특정한 훈련 또는 게임 상황에서 사격이 불가능하게 하거나 기타 다양한 훈련 및 게임 상황이 묘사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는, 탄창으로부터 모의탄을 공급받아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를 통해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따라 격발신호가 생성되고, 격발신호에 따라 전원에 의해 상기 발사부가 구동되는 총기 몸체; 상기 총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총기 몸체로부터 격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탄발값을 생성하고, 탄발값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발사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발사신호를 전달 및 발사신호 전달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조정간이 설치되고, 상기 조정간은 상기 트리거로부터 격발신호 생성 시 기 설정된 임계값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정간은, 서로 다른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포함하고, 선택에 따라 상기 임계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격발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탄발값을 전달받아 합산하여 표기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에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 시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 일측에 탄성체가 구비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장착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가 결합되며,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일측으로 안내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의 일측에는 상기 자성체와 자성 결합되도록 금속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따르면,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배터리로 전달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격발신호의 전류를 통해 탄발 수를 확인하여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탄발값을 미리 정해놓고 정해진 탄발값에 의해 사격이 완료되면 측정된 전류값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격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내부 개략도이다.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의 블럭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의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내부 개략도, 도 3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의 블럭도,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재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는 격발 시 발생되는 전류를 통해 탄발 수를 측정하여 게이머로 하여금 탄발 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100)은 탄창(112)으로부터 모의탄을 공급받아 트리거(113)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115)를 통해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있어서, 총기 몸체(110), 배터리(120) 및 제어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총기 몸체(110)는 총기 형상을 가진다.
이때, 그 형상은 권총, 소총, 및 기관총 등 다양한 외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총기 몸체(110)의 내부에는 착탈되는 탄창(112)으로부터 공급되는 모의탄이 배출되는 총열(111)과, 상기 모의탄을 격발하기 위한 트리거(113) 및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기 위한 발사부(115)가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트리거(113)는 방아쇠로, 상기 총기 몸체(11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총기 몸체(110)에는 상기 트리거(113)의 회동에 따라 격발신호가 생성된다.
상기 발사부(115)는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115a)가 구비되고, 상기 모터(115a)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기어박스(115b)가 구비되며, 상기 기어박스(115b)의 구동에 따라 작동되는 실린더(115c)가 구비되고, 상기 실린더(115c)의 작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압을 통해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것으로, 자세한 구성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조정간(114)이 설치된다.
상기 조정간(114)은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에 따라 기 설정된 임계값을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정간(114)은 회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기 설정된 임계값을 생성하여, 상기 총기 몸체(110)로부터 생성되는 격발신호에 이를 인가한다.
예컨대, 상기 조정간(114)은 회동에 따라 격발 수인 5발, 10발, 15발 및 30발 중 어느 하나가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정간(114)의 격발 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임의의 값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정간(114)의 격발 수인 5발, 10발, 15발 및 30발에는 각각이 서로 다른 임계값을 가진다.
여기서, 상기 격발신호에는 상기 임계값이 인가됨에 따라 기 설정된 전류값을 가지게 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110)의 일측면에는 디스플레이(118)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18)는 후술될 탄발값을 전달받아 이를 합산하여 액정에 표기한다.
또한, 상기 총기 몸체(110)에는 후술될 배터리(120)가 장착 가능하도록 장착홈(116)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총기 몸체(110)에는 상기 장착홈(116)과 연통되도록 관통공(116a)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6a)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이동부재(117)가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통공(116a)의 내주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홈(116b)이 형성되고, 상기 이동홈(116b)에는 탄성체(116c)가 구비된다.
상기 이동부재(117)는 일측이 상기 장착홈(116)과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117b)가 결합되고,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17)의 외주면에는 상기 이동홈(116b)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116c)의 탄성에 의해 상기 이동부재(117)가 일측으로 안내되도록 걸림돌기(117a)가 형성된다.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총기 몸체(11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상기 장착홈(116)에 착탈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장착홈(116)에 장착되어 상기 총기 몸체(110)로부터 격발신호 전달 시 상기 발사부(115)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발사신호를 전달한다.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총기 몸체(110)로부터 상기 배터리(120)로 전달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전류센서(131) 및 제어부(132)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전류센서(131)는 상기 격발신호에 인가된 상기 임계값을 통해 상기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한다.
이때, 상기 전류센서(131)는 상기 격발신호에 인가되는 기 설정된 임계값에 따른 기 설정된 전류값이 측정된다.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격발신호로부터 기 설정된 전류값의 측정 시 측정된 전류값에 따라 기 설정된 탄발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상기 탄발값은 상기 조정간(114)의 격발 수와 동일하며, 각 탄발값에 따른 격발 수를 상기 디스플레이(118)에 표기되도록 전달한다.
그리고, 상기 탄발값에 따라 동일한 횟수만큼 발사신호를 상기 배터리(120)로 전달한다.
예컨대, 상기 조정간(114)이 5발로 선택 시 상기 격발신호에는 5발에 대한 임계값이 인가되고, 상기 제어부(132)로부터 5발에 대한 전류값이 측정되어 5발에 대한 탄발값이 생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배터리(120)는 상기 발사부(115)가 상기 모의탄을 5발 발사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데, 이때,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배터리(120)로부터 상기 발사부(115)로 5발에 대한 발사신호의 전달 후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을 차단시킨다.
이때, 상기 제어부(132)는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을 대략 3초간 차단시킨다.
이는, 상기 조정간(114)에 따른 격발 수에 따라 상기 발사부(115)를 작동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132)는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별도의 서버(미도시) 또는 사용자단말기(미도시)와 무선통신에 의해 상기 탄발값을 송수신하고 훈련 및 게임을 통제하는 통제센터(미도시)에서도 해당 총기의 사격발수를 원격 세팅할 수 있도록 통신모듈(미도시)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어기(130)의 일측면에는 상기 장착홈(116)에 삽입 시 상기 자성체(117b)와 마주보는 위치에 상기 자성체(117b)와 자성 결합되도록 금속판(133)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어기(130)는 상기 금속판(133)에 의해 상기 장착홈(116)에 고정되고, 전시 상황에서 상기 배터리(120)의 전원이 방전되었을 때 신속하게 배터리(120)만 교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전류센서(131)를 통해 상기 조정간(114)에 선택된 격발 수에 따라 상기 모의탄의 발사가 가능하고, 이를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기함에 따라 게이머로 하여금 탄발 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따르면,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기 위해 배터리로 전달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함으로써, 격발신호의 전류를 통해 탄발 수를 확인하여 보다 전략적인 플레이가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임의의 탄발값을 미리 정해놓고 정해진 탄발값에 의해 사격이 완료되면 측정된 전류값에 따라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다양한 격발이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완구총 110: 총기 몸체
111: 총열 112: 탄창
113: 트리거 114: 조정간
115: 발사부 115a: 모터
115b: 기어박스 115c: 실린더
116: 장착홈 116a: 관통공
116b: 이동홈 116c: 탄성체
117: 이동부재 117a: 걸림돌기
117b: 자성체 118: 디스플레이
120: 배터리 130: 제어기
131: 전류센서 132: 제어부
133: 금속판

Claims (6)

  1. 탄창으로부터 모의탄을 공급받아 트리거의 동작에 따라 발사부를 통해 상기 모의탄을 발사시키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의 회동에 따라 격발신호가 생성되고, 격발신호에 따라 전원에 의해 상기 발사부가 구동되는 총기 몸체;
    상기 총기 몸체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총기 몸체로부터 격발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발사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배터리로 전달되는 격발신호의 전류를 측정하여 측정값에 따라 탄발값을 생성하고, 탄발값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부터 상기 발사부로 전원이 공급되도록 발사신호를 전달 및 발사신호 전달 후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조정간이 설치되고,
    상기 조정간은 상기 트리거로부터 격발신호 생성 시 기 설정된 임계값을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간은,
    서로 다른 상기 기 설정된 임계값을 포함하고,
    선택에 따라 상기 임계값 중 어느 하나를 상기 격발신호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제어기로부터 생성된 탄발값을 전달받아 합산하여 표기되도록 하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몸체에는 상기 배터리가 장착되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의 상단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장착홈에 장착 시 상기 장착홈의 내측에 착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총기 몸체의 일측에는 상기 장착홈과 연통되도록 형성되고, 내주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홈이 형성되며, 상기 이동홈 일측에 탄성체가 구비된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일측이 상기 장착홈과 마주보는 위치에 자성체가 결합되며, 타측이 외부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외주면에 상기 이동홈에 삽입되고 상기 탄성체의 탄성에 의해 일측으로 안내되도록 걸림돌기가 형성된 이동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어기의 일측에는 상기 자성체와 자성 결합되도록 금속판이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KR1020200110224A 2020-08-31 2020-08-31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KR1022558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24A KR102255857B1 (ko) 2020-08-31 2020-08-31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0224A KR102255857B1 (ko) 2020-08-31 2020-08-31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857B1 true KR102255857B1 (ko) 2021-05-25

Family

ID=76145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0224A KR102255857B1 (ko) 2020-08-31 2020-08-31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8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5253B1 (ko) 2022-01-11 2023-02-06 최준석 모의 전투 시스템
KR20230042860A (ko) 2021-09-23 2023-03-30 (주) 택티컬리스트 선택적 마찰 계수가 적용된 총포 장착형 탄창 보조 배터리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346A (ko) 2009-12-16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통화중 햅틱컨텐츠 전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
KR101234277B1 (ko) * 2012-05-30 2013-02-18 주식회사 건파워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 화기
KR101282903B1 (ko) 2012-11-26 2013-07-05 강현민 서바이벌게임용 완구총기
KR101722133B1 (ko) 2015-04-14 2017-04-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구총기용 급탄장치
KR20180034723A (ko) 2016-09-26 2018-04-05 (주)듀렌다나 완구총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68346A (ko) 2009-12-16 2011-06-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영상통화중 햅틱컨텐츠 전달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서버 및 단말기
KR101234277B1 (ko) * 2012-05-30 2013-02-18 주식회사 건파워 서바이벌 게임용 모의 화기
KR101282903B1 (ko) 2012-11-26 2013-07-05 강현민 서바이벌게임용 완구총기
KR101722133B1 (ko) 2015-04-14 2017-04-03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완구총기용 급탄장치
KR20180034723A (ko) 2016-09-26 2018-04-05 (주)듀렌다나 완구총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42860A (ko) 2021-09-23 2023-03-30 (주) 택티컬리스트 선택적 마찰 계수가 적용된 총포 장착형 탄창 보조 배터리 시스템
KR102495253B1 (ko) 2022-01-11 2023-02-06 최준석 모의 전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07896B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US11313638B2 (en) Laser training device with simulated cycling of a firearm action
US7306523B1 (en) Etroops infrared shooting game
US8312814B2 (en) Simulated hand grenade having a multiple integrated laser engagement system
US20100227298A1 (en) Training aid
KR102255857B1 (ko) 모의 전투훈련용 총기
US20110111374A1 (en) Training system
KR102000982B1 (ko) 정밀 위치 추적이 가능한 모의 전투 훈련 시스템
WO2008147820A1 (e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onic projectile play
US9297618B2 (en) Personal casualty simulator
KR101695172B1 (ko) 모의총의 발사모드 조절 시스템
KR101301350B1 (ko) 무선통신기반으로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 및 레이저발사횟수의 제어를 가능하도록 한 마일즈시스템.
EP1398595A1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KR101370727B1 (ko) 레이저저격피격인지기능과 훈련자간의 의사소통 및 훈련범위를 확장한 마일즈시스템.
KR101153982B1 (ko) 광신호를 이용한 격발 감지 장치
EP2783182B1 (en) Weapon
US20230194209A1 (en) Laser cartridge for dryfire training
KR102178929B1 (ko) 모의 총기 시스템
KR200372377Y1 (ko) 서바이벌 게임용 완구세트
KR0116619Y1 (ko) 레이져 써바이블 게임 시스템의 총과 자켓
CN117824427A (zh) 一种可发射水弹国防教育教学教具
UA141574U (uk) Спосіб стрільби несмертельними боєприпасами
KR20060067211A (ko) 충격발생장치가 개머리판에 구비되는 총기모사장치
KR20120000357A (ko) 화기 장착용 범용 레이저 발사기
AU2920202A (en) Network-linked laser target firearm train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