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629B1 -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629B1
KR102255629B1 KR1020187007346A KR20187007346A KR102255629B1 KR 102255629 B1 KR102255629 B1 KR 102255629B1 KR 1020187007346 A KR1020187007346 A KR 1020187007346A KR 20187007346 A KR20187007346 A KR 20187007346A KR 102255629 B1 KR102255629 B1 KR 102255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connector
coupler
trocar
coupl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7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3300A (ko
Inventor
얼 엠. 저르지벨
도미닉 메이스트리
마이클 제이. 아우겔리
케네스 블리에
Original Assignee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서지퀘스트,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43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3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74Insufflating needles, e.g. Veress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11Locking means for securing connection; Additional tamper safe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3/00Insufflators for therapeutic or disinfectant purposes, i.e. devices for blowing a gas, powder or vapour into the body
    • A61M13/003Blowing gases other than for carrying powders, e.g. for inflating, dilating or rin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8Bellows; Connecting tubes ; Water traps; Patient circuits
    • A61M16/0816Joints or conn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009Making of catheters or other medical or surgical tubes
    • A61M25/0014Connecting a tube to a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2Access sites
    • A61M39/06Haemostasis valves, i.e. gaskets sealing around a needle, catheter or the like, closing on removal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39/105Multi-channel connectors or couplings, e.g. for connecting multi-lumen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477Coupl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27Quick-acting type connec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Path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가 개시되며, 상기 결합장치는, 커넥터를 갖는 하우징을 구비한 멀티 루멘 투관침;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투관침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된 래치 조립체;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을 가지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평행한 튜브들에 부착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다.

Description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관련출원의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5년 8월 21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임시 특허출원 제62/208,169호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체가 참고문헌으로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기계적 결합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술용 가스를 운반하기 위하여 최소 침습성 외과 수술 중에 사용되는 수술용 접근장치에 멀티 루멘 튜브 세트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복강경 수술 또는 "최소 침습적" 수술의 기법들은 담낭 절제술, 충수 절제술, 탈장 교정 및 신장 절제술와 같은 수술들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아주 흔한 것이다. 그러한 수술들의 이점에는 환자에 대한 외상 감소, 감염 기회 감소, 회복 시간 단축 등이 있다. 복부 공동(복강) 내에서의 이러한 수술들은 투관침 또는 캐뉼라로 알려진 장치를 통해 통상적으로 수행되는데, 이것은 복강경 기구를 환자의 복강 내에 도입하는 것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수술들은 복부 공동(복강)을 이산화탄소와 같은 가압유체로 채우거나 "주입(insufflate)"하여, 공기배증(pneumoperitoneum)으로 불리는 것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주입은 주입유체를 운반하도록 장착된 외과 접근장치(때로는 "캐뉼라"또는 "투관침"으로서 언급됨)에 의해 수행되거나, 주입(veress) 바늘과 같은 별도의 주입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공기배증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흡입 가스를 실질적으로 손실시키지 않고 공기배증내로 수술기구를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복강경 수술 도중에 외과의사는 수술용 접근장치 자체로, 일반적으로 개별 삽입장치 또는 그 안에 위치된 봉합기를 사용하여 일반적으로 만들어지는 보통 약 12밀리미터 이하의 3개 내지 4개의 작은 절개부를 만든다. 삽입 후에 삽입 장치는 제거되고, 투관침은 복강 내로 수술도구들을 삽입할 수 있게 한다. 통상적인 투관침들은 보통은 복강에 기체등을 주입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하고, 따라서 외과의사는 수술할 수 있는 개방된 내부 공간을 갖게 된다.
투관침은 투관침과 수술도구 사이를 밀봉하여 복강내의 압력을 유지하는 수단을 제공해야 하며, 반면에 수술도구 운동의 적어도 최소한의 자유는 여전히 허용해야 한다. 그러한 기구로는 예를 들어, 가위, 파지기구 및 폐색기구, 상처소작 유닛, 카메라, 광원 및 기타 외과용 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밀봉 요소 또는 기구는 통풍 가스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투관침에 제공된다. 밀봉 요소 또는 기구는 투관침을 통과하는 수술도구의 외부 표면 주위를 밀봉하기 위해 비교적 유연한 재료로 만들어진 덕빌(duckbill)-타입 밸브를 통상적으로 포함한다.
또한, 복강경 수술에서, 전기 소제 및 다른 기술들(예를 들어, 고조파 메스)은 수술용 공동 내에 연기 및 다른 부스러기를 생성하여 시야를 흐르게 하고 내시경 등의 표면을 도포함으로써 가시성을 감소시키게 된다. 다양한 수술용 통기(insufflation) 시스템 및 제연장치들이 당 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미국 코네티컷주 Milford 소재의 SurgiQuest사는 종래의 기계적 밀봉없이 주입된 수술용 캐비티에 접근할 수 있는 수술용 접근장치 또는 투관침을 개발하였으며, 미국 특허 제7,854,724호(이의 개시 내용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됨)에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기술된 바와 같이 충분한 압력 및 유량을 그러한 접근장치에 제공하기 위한 관련 시스템을 개발했다.
SurgiQuest사는 개복침 등과 같은 표준 또는 특수 수술용 접근장치 또는 다른 도구들에 대한 통기, 표준 또는 특수 수술용 접근장치를 통한 배연, 및 주입유체의 재순환 및 여과와 같은 특수 기능을 포함한 다각적 수술가스 운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시스템 및 관련 장치 및 방법을 또한 개발하였다. 이러한 다중 모드 시스템 및 관련 장치의 예는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02/0150101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된다.
다중 모드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7,976,598 호 및 미국 특허 출원 공개공보 제 2013/0231606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중 유동 통로를 갖는 일회용 필터 카트리지의 사용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일회용 필터 카트리지는 취입기에 설치되고,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된 미국 특허 출원 공보 제 2012/0245511 호에 개시된 장치와 같은 수술용 접근장치 또는 투관침과 통신하는 멀티 루멘 튜브에 연결된다.
튜브 세트와 수술용 접근장치 또는 투관침 사이의 기계적인 연결은 통상적으로 나사식 연결이며, 종종 복수의 유동 경로의 정확한 정렬을 필요로 한다. 이 연결을 달성하는 데에는 과도한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약간의 손재주를 요구할 수 있다. 이러한 결함을 극복하는 수술용 접근장치에 멀티 루멘 튜브 세트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독특한 연결장치가 미국 특허출원 공개공보 제 2014/0171855 호에 개시되어 있으며, 이것은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고로서 인용된다. 고유한 트리플 루어 타입 부품의 형태인 이 연결은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하기가 상대적으로 어렵다. 따라서, 보다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하기 쉬운 다수의 유동 채널을 정렬하기 위한 연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유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기 위한 새롭고 유용한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하우징 매트를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을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매트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넥터를 포함한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에 의해 그 안에 형성된 다수의 동축 유로를 갖는다. 상기 장치는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및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더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제1 단부, 및 상기 튜브 세트의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적합하게 구성된 제2 단부를 갖는다.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투관침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오(O)-링 밀봉에 의해 둘러싸여 있고, 상기 커플링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튜브들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평행한 튜브 부품들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를 둘러싸는 중간 유로 및 상기 중간 유로를 둘러싸는 외부 유로를 포함한다.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내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1 튜브 부품,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중간 유로와 연통하는 제2 튜브 부품,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외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3 튜브 부품을 포함한다.
또한,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이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상에 제공된다.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상기 투관침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에서 상기 다수의 포스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장착 래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을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을 포함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넥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 및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및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래치 조립체가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투관침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한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된 스프링 장착 래치들을 포함한다. .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환형상 홈 내에 위치한 오(O)-링 밀봉에 의해 둘러싸이며,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튜브들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평행한 튜브 부품들을 포함한다.
상기 래치 조립체의 각 래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개구부들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맞물리고 대향 래치와 결합하는 외부로 연장되는 평행한 연장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대향 래치의 대응 포스트와 결합하는 구멍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 예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대향 래치상의 연장부의 래칫 치형과 결합하는 래칫 치형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하우징을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을 포함하는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커넥터를 갖는다.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을 갖는다. 상기 장치는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및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을 또한 포함하며,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평행한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오(O)-링 밀봉에 의해서 둘러싸인다.
바람직하게는, 래치 조립체가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되고, 각각의 래치 조립체와 상기 원통형 본체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들을 구비한 한쌍의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장착 래치를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들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플링과 결합하고 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각각의 래치 조립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평행한 연장부들을 조종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외부 슬리브 및 내부 슬리브는 커플링의 원통형 본체와 연관된다. 외부 슬리브의 축 방향 이동은 커플링이 커넥터와 결합할 때 투관침 하우징의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내부 슬리브의 선단 표면상에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가요성 핑거를 노출시킨다.
추가적인 실시 예에서, 링 조립체는 커플링의 원통형 본체와 작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링 조립체는 커플링이 커넥터와 결합할 때 투관침 하우징의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연관 디스크를 조종하기 위한 가요성 아암을 갖는다.
본 발명의 연결장치의 이러한 및 다른 특징들 및 그것이 제조되고 채용되는 방식은 이하의 여러 도면들과 관련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다음의 설명으로부터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쉽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과도한 실험없이 본 발명의 결합 조립체를 어떻게 제조하고 사용하는지를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그 바람직한 실시 예들은 특정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첨부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삼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사시도로서,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도록 구성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로서, 다수의 오(O)-링 및 직경 방향으로 대향된 래치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커플러 및 그에 부착된 정합장치의 사시도;
도 5는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사시도로서, 정합장치로부터 커플러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삼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와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로서, 래치 조립체의 대칭적인 가요성 탭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6 및 도 7의 커플러의 가요성 탭의 상세도;
도 9는 삼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와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9의 커플러의 래치 조립체의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선 11-11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각 래치 조립체의 래칫 치형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도 9의 선 12-12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합장치로부터 커플러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13은 삼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와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14는 내부 슬리브의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 가요성 핑거를 노출시키는 근위 위치에서 도 13의 커플러의 외부 슬리브를 도시한 사시도;
도 15는 도 14의 선 15-15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와 결합하는가요성 핑거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정합장치의 포스트로 고정된 내부 슬리브의 가요성 핑거를 나타낸 측면도;
도 17은 삼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18은 가요성 아암이 부착된 디스크를 갖는 커플러와 연관된 링 조립체의 사시도;
도 19는 도 17의 커플러의 사시도로서, 링 조립체와 결합하기 위한 외부 포스트과 2개의 앵커를 나타낸 도면;
도 20은 커플러와 정합장치의 사시도로서, 정합장치로부터 커플러의 제거를 나타낸 도면;
도 21은 이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2는 도 21의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로서, 링과 슈라우드를 나타낸 도면;
도 23은 도 21의 선 23-2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결합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정합장치 사이의 맞물림을 나타낸 도면;
도 24는 이중 루멘 튜브 세트용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를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5는 도 24의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일체형으로 연결된 링 및 슈라우드를 나타낸 도면;
도 26은 도 24의 선 26-26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결합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정합장치 사이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
도 27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8은 도 27의 커플러의 분해 사시도로서, 일체형으로 연결된 링 및 슈라우드를 나타낸 도면;
도 29는 도 27의 선 29-29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결합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정합장치 사이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
도 30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1은 도 30의 결합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로서, 링 및 슈라우드를 나타낸 도면;
도 32는 도 30의 선 32-32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결합된 커플러 및 상기 커플러와 정합장치 사이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
도 33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4는 도 33의 결합 조립체의 절개 사시도로서, 캠 슬롯 내에 정합장치의 포스트를 결합시키기 위한 커플러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35는 도 34의 커플러의 캠 슬롯의 상세도;
도 36은 도 34의 커플러의 사시도로서, 정합장치의 포스트가 각각의 캠 슬롯 내에 완전히 잠궈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7은 도 36의 캠 슬롯 내의 정합장치 포스트의 상세도;
도 38은 캠 슬롯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39는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커플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도면;
도 40은 도 39의 선 40-40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커플러 본체의 스프링 웨이브 와셔를 나타낸 도면;
도 41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를 정합장치에 결합 및 분리하기 위한 잠금 탭을 갖는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42는 도 41의 커플러의 사시도로서, 정합장치의 환형 립 위에 위치된 잠금 탭을 나타낸 도면;
도 43은 도 41의 선 43-43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커플러와 정합장치 사이의 정렬을 나타낸 도면;
도 44는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와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5는 도 44의 선 45-45를 따라 도시한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내부 나사를 갖는 커플러를 나타낸 도면;
도 46은 도 44의 결합된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단면도;
도 47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8은 도 47의 선 48-48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외부 나사와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의 회전을 나타낸 도면;
도 49는 도 47의 결합된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단면도;
도 50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1은 도 50의 선 51-51을 따라 도시한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커플러를 정합장치에 잠그기 위한 스프링 장착 링 조립체를 나타낸 도면;
도 52는 도 50의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링 조립체의 탭을 가압함으로써 커플러를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3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4는 도 53의 선 54-54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외부 링에 결합하기 위한 커플러의 래치들의 선회를 나타낸 도면;
도 55는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포스트에 걸리는 래치 플렉스의 선회를 나타낸 도면;
도 56은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에 완전히 잠궈진 래치를 나타낸 도면;
도 57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58은 도 57의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커플러의 외부 슬리브의 래치들의 선회를 나타낸 도면;
도 59는 도 57의 선 59-59를 따라 도시한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포스트에 결합하기 위한 래치들의 잠금 특징부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래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0은 래치의 단면도로서, 정합장치의 포스트과 맞물리도록 래치의 잠금 특징부를 선회시키기 위하여 래치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1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2는 도 61의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분해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결합하기 위해 커플러의 나사내로 정합장치의 포스트가 잠궈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63은 단일 루멘과 함께 사용하기 위한 결합장치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사시도로서, 커플러 및 정합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64는 도 63의 선 64-64를 따라 도시한 커플러의 단면도로서, 커플러의 나사내로 연장되는 로킹 링 매트상의 핑거 탭들을 나타낸 도면; 및
도 65는 도 63의 커플러의 사시도로서, 정합장치로부터 커플러를 분리하기 위해 핑거 탭상에 압력이 가해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
첨부도면을 참조하면, 유사한 참조 번호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유사한 구조적 특징 및/또는 요소를 나타내며, 도 1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구성된 수술 장치에 튜브 세트를 분리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한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으며, 참조부호 100으로 표시되어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도 1-20에는 현행 삼중-루멘 시스템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설계된 커플러 및 정합장치가 포함되어 있고, 도 21-65에는 이중 루멘 커넥터를 나타내고, 도 27-28에는 단일 루멘 커플러 특징부가 포함되어 있다.
I. 삼중-루멘 결합 조립체
도 1을 참조하면, 결합 조립체(100)는 수술 장치(예를 들어, 투관침)와 통합하기 위해서 커플러(200)를 커넥터(정합장치)(300)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된 커플러(200)를 포함한다. 여기에 설명된 커플러(200) 및 정합장치(300)의 특징부는 예를 들어 그 전체가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공개공보 제 2014/0171855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현행 삼중-루멘 커플러를 업그레이드하고 현행 정합장치와 역 호환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설계된 것이다. 커플러(200)와 함께 사용하도록 계획된 수술용 장치의 특징부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 미국 특허 제 7,854,724 호에 보다 상세히 설명되어 있기 때문에 본 명세서에서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커플러(200)는 대향하는 말단부(214a) 및 근위단부(214b)를 갖는 기다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214)를 포함한다. 커플러 본체(214)는 평행한 튜브 부품을 통해 삼중-3 루멘 튜브(204)를 거쳐서 범용 필터에 직접 연결된다. 커플러 본체(214)의 말단부(214a)는 4개의 동심성 환형상 벽에 의해 한정된 복수의 유로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커플러 본체(214)의 말단부(214a)는 내부 환형상 벽(232)에 의해서 한정된 중앙 유로(222), 중간 환형상 벽(234)과 상기 내부 환형상 벽(232) 사이에 한정된 중간 유로(224), 및 외부 환형상 벽(236)과 중간 환형상 벽(234) 사이에 한정된 외부 유로(226)를 포함한다.
다수의 오(O)-링들이 정합장치(300)의 루어 부품(322)(도 3에 도시됨)과 정합시키기 위해 각각의 환형상 벽상의 홈 내에 위치된다. 완전히 조립되는 경우에 루어 부품(322)은 커플러(200)의 환형상 벽(232, 234, 236) 및 유로(222, 224, 226)와 부합하는 동축 유로이다. 오(O)-링들은 여전히 시장에 존재하는 모든 기존 제품에 역 호환 가능하게 하고 추가적인 루어의 필요성 없이 결합 장치(300)의 루어 부품(322)과 결합하도록 커플러(200)의 제조 가능성을 증가시킨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의 오(O)-링(242)은 내부 환형상 벽(234)의 외부에 있는 홈 (252)에 위치된다. 유사하게, 제2의 오(O)-링(244)은 중간 환형상 벽(234)의 외부에 있는 홈(254)에 위치하고, 제3의 오(O)-링(246)은 외부 환형상 벽(236)의 외부에 있는 홈(256)에 위치한다.
도 1 내지 도 3을 계속 참조하면, 커플러 본체(214)는 커플러(200)를 정합장치(300)와 결합시키기 위한 몇몇 대칭적인 특징부들을 포함한다. 상기 대칭적인 특징부들은 래치(262, 264) 및 캡(272, 274)을 포함하는 2개의 직경 방향으로 마주하는 래치 조립체를 포함한다. 2개의 스프링(282, 284)은 래치(262, 264)로 하여금 스프링 장진되고 정합장치(300)로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게 한다. 래치(262, 264)는 커플러 본체(214)의 말단 단부(214a)상에 위치된 반원형 하우징이다.
각각의 래치(262, 264)는 커플러 본체(214)의 슬롯(268) 내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하는 2개의 외부로 연장되는 평행한 연장부(262a, 262b, 264a, 264b)를 포함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될 때, 연장부들은 슬롯 내에 병치되어 연장부(264a,264b)는 각각 연장부(262a,262b)의 내측에 있다. 각각의 래치(262,264)는 커플러(200)가 정합장치(300)와 결합될 때 환형상 벽들 및 정합장치를 완전히 둘러싸는 잠금 특징부(283, 285)를 또한 포함한다. 잠금 특징부(283, 285)의 단부들(283a, 283b, 285a, 285b)은 커플러(200)와 정합장치(300)가 결합할 때 서로 인접한다. 다시 말해서, 단부들(283a,285a)은 서로 인접하고, 단부들(283b,285b)은 완전히 조립될 때 서로 인접한다. 또한, 각각의 잠금 특징부(283, 285)는 커플러(200)를 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해 정합장치의 외부면(314)과 결합하는 캠면(292, 294)을 각각 포함한다.
캡들(272, 274)은 스프링(280, 282)을 조작하면서 래치(262, 264)와 용이하게 밀착되도록 설계된다. 각각의 캡(272, 274)은 각각의 연장부(262a, 262b, 264a, 264b)의 구멍(262c, 262d, 264c, 264d)과 결합하는 포스트들(272c, 272d, 274c, 274d)을 갖는 노치들(272a, 272b, 274a, 274b)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264a)는 구멍(264c) 내에 포스트(272c)을 갖는 캡(272)의 노치(272a) 내에 위치된다. 각각의 캡은 캡(272, 274)과 커플러 본체(214)의 대응하는 스프링 구멍(293, 295) 사이에 스프링(282, 284)을 포함시키도록 스프링 포켓(272e, 274e)을 더 포함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정합장치(300)의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312)에 대하여 커플러(300)를 단순히 밀어서 커플러(200)와 정합장치(300)가 쉽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캠면(292, 294)은 오(O)-링(242, 244, 246)이 정합장치(300)의 루어 부품(322)과 결합하기 시작하도록 포스트(312)에 대해 밀어 올려진다. 커플러(200)를 정합장치(300) 쪽으로 계속해서 밀면, 잠금 특징부(283,285)를 캠 업(cam up)하기 시작하고 포스트(312)를 지나서 정합장치(300) 위로 이동시킨다. 일단 커플러(200)가 정합장치(300) 위로 완전히 밀리면, 캠 면들(292,294)은 정합장치(300)의 표면(314)에 대하여 안착되는 위치로 잠궈진다.
단부(283a, 283b, 285a, 285b)는 래치(262, 264)가 정합장치(300)의 일부를 완전히 둘러싸도록 인접한다. 이 시점에, 만약 튜빙(tubing)(204)이 비틀어지면, 커플러(200)는 정합장치(300) 주위로 휘어질 수 있어서 분리되지 않을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커플러(200)는 스프링 포켓(272e, 274e)을 가압하여 스프링(282, 284)을 가압하고 잠금 특징부(283, 285)를 분리시킴으로써 정합장치(300)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스프링(282, 284)이 가압될 때, 잠금 특징부(283, 285)가 분리되기 시작한다. 이는 결국 단부 (283a, 285b)가 서로 당겨질 수 있게 한다. 일단 잠금 특징부(283, 285)가 분리되면, 커플러(200)는 커플러(200)를 정합장치(300)로부터 멀어지게 잡아 당김으로써 정합장치(300)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결합 조립체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고 설명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커플러 및 정합장치는 커플러(200) 및 정합장치(300)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함으로, 유사한 특징을 식별하기 위해 유사한 참조 번호로 도시되어 있으며, 하기에서는 더 상세히 설명하지는 않는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커플링 조립체(600)의 다른 실시 예는 정합장치(800)와 맞물려 커플러(700)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는 가요성 탭(796, 798)을 각각 갖는 캡(772, 774)을 구비한 커플러(700)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탭(796, 798)은 커플러(700) 및 정합장치(800)가 분해될 때 일반적으로 "브이(V)"자 형상으로 캡(772, 774)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어 커플러 본체(614)의 각 평평한 면(776, 778)에 인접한다.
커플러 본체(714)가 정합장치(800) 쪽으로 그 위로 밀리면, 가요성 탭(796, 798)은 포스트(812)와 접촉할 때 커플러 본체(714)로부터 분리되거나 구부러진다. 연속적으로 가압되면, 단부들(783a, 785a 및 783b, 785b)은 서로 멀어져서 커플러(700)로 하여금 포스트(812) 위로 밀릴 수 있게 하고 가요성 탭들(796, 798)이 정합장치(800)의 표면(814)을 따라서 고정된다. 커플러 본체(714)는 캡(772, 774)을 가압함으로써 정합장치(800)로부터 해제되고, 이는 가요성 탭(796, 798)이 단부(783a,785a,783b)를 분리하여 커플러(700)가 정합장치로부터 멀어지거나 분리되는 것을 허용하게 된다.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대칭 래치들(1062, 1064)로부터 각각 연장되는 캔틸레버 아암(1072, 1074)을 갖는 커플러(1000)를 갖는 결합 조립체(900)의 대안적인 실시 예가 도시된다. 래치들(1062, 1064)는 개구부(1068)를 통해 커플러 본체(1014)와 활주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장부(1062a, 1062b, 1064a, 1064b)를 각각 포함한다. 2개의 개구부(1068)가 연장부(1062a 및 1064a)를 수용하도록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연장부(1062a, 1062b, 1064a, 1064b)는 래치(1062, 1064)를 함께 잠그는 래칫 치형부(1062c, 1062d, 1064c, 1064d)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칫 치형부(1062c, 1064c)는 래치들(1062, 1064)이 잠금위치에 있을 때 함께 잠궈진다.
캔틸레버 아암(1072, 1074)은 래치(1062, 1064)로부터 중심부 쪽으로 연장되고, 커플러 본체(1014)를 정합장치(1100)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받침점으로 사용된다. 커플러(1000)를 정합장치(1100)와 결합시키기 위해, 커플러(1000)는 캠면이 정합장치(1100)의 표면(1114) 상에 잠궈질 때까지 래치(1062,1064)상의 캠면(1092,1094)이 포스트(1112)를 밀 때까지 정합장치(1100) 위로 밀린다. 제거하기 위해(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캔틸레버 아암(1072, 1074)을 커플러 본체 (1014)쪽으로 누르면 래칫 치형부(1062c, 1062d, 1064c, 1064d)가 해제되고 단부(1083a, 1085a)와 단부(1083b,1085b)가 커플러(1000)로 하여금 정합장치(1100)로부터 당겨질 수 있도록 잠금 특징부(1083,108S)를 분리시키게 된다.
도 13 내지 도 15에는 커플링 조립체(1300)의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커플러 본체(1414)는 내부 슬리브(1464)를 둘러싸는 스프링 장착 외부 슬리브(1462)를 포함한다. 내부 슬리브(1464)는 환형상 벽(1432, 1434, 1436), 오(O)-링(1442, 1444, 1446) 및 유동 통로(1422, 1434)를 둘러싸는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배치된 가요성 핑거(1464a)를 포함한다. 커플러 본체(1414)와 함께 내부 슬리브(1464)를 잠그는 커플러 본체(1414)의 말단부(1414a)에 환형상 홈(1475)(도 15에 도시 됨)이 포함된다. 외부 슬리브(1462)가 말단 위치(도 13에 도시 됨)에 있는 경우, 내부 슬리브(1464)가 그 안에 고정되고 가요성 핑거(1464a)는 고정 위치에 있게 된다. 커플러 본체(1414)의 플랜지(1465)는 커플러 본체(1414)와 외부 슬리브(1462) 사이의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스프링(1466)을 유지시킨다.
커플러(1400)를 정합장치(1500)와 결합하게 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1462)의 핸들(1476, 1478)은 가요성 핑거(1464a)를 노출시키기 위해 중심부 쪽으로 당겨진다(도 14에 도시됨). 그러면, 가요성 핑거(1464a)의 후크 형상부(1464c)가 포스트(1512)상에 고정될 때까지 커플러(1400)가 정합장치(1500) 위로 가압되고, 가요성 핑거(1464a)상의 캠면(1464b)이 포스트(1512) 위로 캠 업(cam up)된다(도 16에 가장 잘 도시됨). 외부 슬리브(1462)는 먼쪽으로 해제되어 내부 슬리브(1464)를 다시 덮고 가요성 핑거(1464a)를 고정시킨다. 제거하기 위해, 외부 슬리브(1462)는 중심부쪽 위치로 당겨지고, 가요성 핑거(1464a)는 노출되어 커플러(1400)가 정합장치(1500)로부터 당겨질 수 있게 한다.
도 17 내지 도 20은 커플러(1800) 및 정합장치(1900)를 갖는 결합 조립체 (1700)의 추가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18은 커플러 본체(1814)로 잠그고 밀폐된 밀봉을 유지하는 링 조립체(1816)를 나타낸다. 링 조립체(1816)는 디스크(1818) 및 상기 디스크(1818)로부터 수직하게 외부로 연장되는 아암(1820)을 포함한다. 커플러 본체(1814)는 외부 포스트(1832) 및 2개의 앵커(1834)를 포함하는데, 상기 앵커는 아암(1820)과 결합하여 디스크(1818)가 정합장치(1900)를 향해 선형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커플러 본체(1814)에 대한 디스크(1818)의 수직 이동은 가능하게 허용한다.
커플러 본체(1814)는 디스크(1818)를 제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환형상 외부 홈(1827)(도 19에 도시됨), 및 디스크(1818)가 커플러 본체(1814)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디스크(1818)의 관련 특징부(1825)에 대응하는 추가적인 특징부(예를 들어, 노치들 및 홈들)를 또한 포함한다. 아암(1820)은 디스크(1818)로부터 가깝게 연장되고, 아암(1820)이 가압 위치에 있을 때 커플러 본체(1818)의 앵커(1834)에 부착되는 일반적으로 "엘(L)"자형 개구부(1846)를 포함한다.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요성 탭(1823)은 아암(1820) 내에 배치되고, 압축되지 않은 위치에 있을 때는 커플러 본체(1814)의 포스트(1832)와 정합한다.
사용하기 위해, 커플러(1800)는 디스크(1818)상의 캠면(1892)(도 20에 도시 됨)이 정합장치 포스트(1912) 위로 올라가고 디스크(1818)를 정합장치(1900)의 표면(1914)에 고정시킬 때까지 정합장치(1900) 내로 밀린다. 이 위치에서, 커플러(1800)는 필터로부터 튜브(1804)가 휘어지면 정합장치(1900)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암(1820)을 가압하면 가요성 탭(1823)이 앵커(1832)에 대해 가압되어 결합면으로부터 캠면(1892)을 느슨하게 한다. 커플러는 정합장치로부터 끌어 당겨질 수 있다.
Π. 이중루멘 결합 조립체
도 21 내지 도 23은 이중 루멘 커플러(2200) 및 이중 루어(2322) 특징부를 갖는 정합장치(2300)를 구비한 결합 조립체(2100)를 나타낸다. 커플러(2200)는 슈라우드(2254)에 결합된 링(2252) 및 커넥터(2256)를 포함한다. 링(2252) 및 슈라우드(2256)는 커넥터(2256)의 기다란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2214)와 선형으로 정렬된다. 커넥터 본체(2214)는 근위 단부(2214a), 및 슈라우드(2254) 및 링(2252)과 결합하고 결합 장치(2300)의 루어 부품(2322)과 맞물리는 대향 말단부(2214b)를 포함한다. 커넥터(2256)는 2개의 유로를 허용하는 말단 단부상의 2개의 동심성 환형상 벽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내부 환형상 벽(2232)은 내부 환형상 벽(2232)에 의해 한정되는 내부 유로(2222)를 한정하고, 내부 환형상 벽(2232)과 외부 환상 벽(2234) 사이에 외부 유로(2224)가 한정된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2252)은 정합장치(23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내부 나사(2262)를 통해서 커넥터(2256)와 슈라우드(2254)를 정합장치(2300)와 결합시킨다. 링(2252)은 그 사이의 회전운동을 제한하기 위해 커넥터 (2256)의 슬롯(2266)에 찰칵하고 끼워 맞추어지는 탭(2264)을 포함한다. 링(2252)은 슈라우드(2254)의 램프(2258)와 결합하는 가요성 핑거(2272)를 더 구비한다. 결합된 커플러(2200)를 정합장치(2300)에 부착시키 위해, 사용자는 슈라우드(2254)을 먼저 회전시킨다. 슈라우드(2254)의 회전은 링(2252)의 나사(2262)가 정합장치(2300)의 포스트(2312)와 맞물려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슈라우드 램프(2258)는 링(2252)의 가요성 핑거(2272)와 접촉하고, 적절한 토크가 가해지면 가요성 핑거(2272)는 램프(2258)를 래치 해제하고 루어(2322)를 환형상 벽(2232, 2234)에 단단히 고정시킨다. 분리하기 위해, 사용자는 슈라우드(2254)을 역 회전시켜서 정합장치(2300)의 포스트(2312)로부터 링(2252)의 나사(2262)를 해제시킨다.
도 24 내지 도 26의 결합 조립체(2400)는 이중 루멘 커플러(2500)에 지향된 결합 조립체(2400)의 또 다른 실시 예이다. 이 실시 예에 있어서, 링(2552)과 슈라우드(2554)는 단일 슈라우드 조립체(2558)로 일체로 결합된다. 슈라우드 조립체(2558)는 슈라우드 조립체(2558)를 커넥터(2556)에 부착시키는 선형 스냅 특징부(2564)(2264와 유사함) 및 정합장치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2562)(나사(2262)와 유사함)를 포함한다. 커플러(2500)를 정합장치(2600)에 부착하기 위해, 정합장치의 포스트(2612)는 내부 나사(2562)와 정렬된다. 커넥터의 환형상 벽(2532, 2534)과 정합장치(2600)의 루어(2622)가 부착될 때까지 슈라우드 어셈블리(2558)가 회전된다.
Ⅲ. 단일 루멘 결합 조립체
도 27 내지 도 29는 도 24 내지 도 26의 결합 조립체(240)와 유사한 결합 조립체(2700)를 나타내지만, 커넥터(2800)는 단일 루멘을 지향하고, 정합장치(2900)는 단일 루어(2922)를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 커넥터 본체(2814)의 말단 단부(2814a)는 하나의 환형상 벽(2832) 및 하나의 유로(2822)를 포함한다. 링(2825) 및 슈라우드(2854)의 디자인은 슈라우드 조립체(2858)를 형성하도록 일체로 연결된 링(2825) 및 슈라우드(2854)을 통해서 링(2552) 및 슈라우드(2554)와 동일하다. 슈라우드 조립체(2858)는 정합장치(2900)의 포스트(2912)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2862) 및 커넥터의 말단부(2814a)와 맞물리는 선형 스냅 특징부(2864)를 갖는다. 슈라우드 조립체(2858)는 내부 나사(2862)가 정합장치(2900)와 결합하고 환형상 벽(2832)과 루터(2922)가 함께 끼워 맞추어질 때까지 회전된다.
도 30 내지 도 32는 결합 어셈블리(2100)와 유사한 결합 조립체(3000)를 나타내지만, 커넥터(3100)는 하나의 환형상 벽(3134)을 갖는 단일 유로(3132)로 지향되고, 정합장치는 단일 루어(3222)를 포함한다. 링(3152)은 커넥터(3156)의 회전을 로킹하도록 스냅 특징부(3164)로 커넥터(3156)에 부착된다. 링은 또한 슈라우드(3154) 내의 램프 특징부(3158) 위로 맞물릴 수 있는 가요성 핑거(3172)를 또한 구비한다. 커플러(3100)는 회전 운동이 슈라우드(3154)에 적용될 때 포스트(3212)와 로킹된 내부 나사(3162)와 커플러(2200)와 유사한 방식으로 정합장치(3200)와 결합한다.
도 33 내지 도 37을 참조하면, 커플러(3400) 및 정합장치(3500)를 갖는 결합 조립체(3300)가 도시되어 있다. 커플러(3400)는 단일의 루멘 튜브(34014)와 맞 물리는 근위단부(3414a) 및 정합장치(3500)와 맞물리는 말단부(3414b)를 갖는 대체로 원통형인 본체(3414)를 갖는다. 커플러 본체(3414)는 유로(3422)를 갖는 단일 환형상 벽(3432)을 포함한다. 튜브(3404)가 유로(3422) 내에 견고하게 끼워져 매끄러운 가스 흐름을 촉진하도록 돕기 위해 환형상 벽(3432)의 내경은 튜브(3404)보다 크다. 마찬가지로, 환형상 벽(3432)의 내경은 커플러 본체(3414) 내에 위치된 오(0)-링(3412)과 맞물리는 것과 같이 유로(3422) 내에 확실하게 끼워 맞추어지도록 정합장치(3500)의 외부 직경보다 크다.
상기 커플러 본체(3414)의 말단부(3414b)는 정합장치(3500)의 포스트(3512)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캠 슬롯(3542)을 포함한다. 포스트(3512)는 캠 슬롯 (3542)의 대응 평탄 단부(3542a)와 결합하는 대체로 편평한 표면(3512a)을 갖는다. 그러나, 원형 포스트와 같은 포스트의 기하학적 변형도 또한 고려된다. 또한, 커플러 및 정합장치의 다른 실시 예들은 포스트의 수 및 대응하는 캠 슬롯의 변화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러(3400)를 정합장치(3500)에 부착하기 위해, 정합장치(3500)가 먼저 캠 슬롯(3542)과 포스트(3512)가 정렬된 상태에서 유로(3422)에 삽입된다. 정합장치(3500)의 외벽이 오(O)-링(3412)과 접촉할 때까지 정합장치(3500)가 유로(3422)를 통해 밀어 넣어진다. 커플러(3400) 내로의 정합장치(3500)의 계속적인 가압은 포스트(3512)를 캠 슬롯(3512)에 들어가도록 미는 것을 시작할 것이다. 커플러(3400)는 포스트(3512)가 캠 슬롯(3542) 내에서 완전히 회전되고 포스트(3512)가 캠 슬롯(3542)(도 36 및 도 37에 도시됨)과의 잠금위치에 있도록 지속적인 압력으로 회전된다. 잠금 위치에서, 커플러(3400)는 제거될 때까지 당김 또는 풀림에 저항할 것이다.
제거하기 위해, 커플러(3400) 및 정합장치(3500)는 서로를 향해 다시 밀어 넣어지고 포스트(3512)를 각각의 캠 슬롯(3542) 주위로 향하게 하도록 역회전된다. 이러한 이동은 캠 슬롯(3542)으로부터 포스트(3512)를 분리할 것이며, 커플러(3400) 및 정합장치(3500)는 서로 끌어 당기게 된다. 도 33 내지도 3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롯(3542)은 그 안에 포스트를 로킹하기 위해 대체로 "유(U)"자 형상을 갖는다. 그러나, 다른 유사한 설계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캠 슬롯(3842)을 위한 다른 디자인이 도시되어 있다. 커플러 본체(3814)에 대한 설계 의도는 캠 슬롯(3842)이 캠 슬롯(3842b)의 단부로 포스트를 향하게 하여 사용자가 커플러 본체(3814)를 다시 정합장치(3500)쪽으로 밀어 넣고 제거를 위한 역회전을 시작할 때까지 당겨지거나 회전하는 것으로부터 제한될 것이다.
도 39는 커플러(3900)의 또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다. 커플러(3900)는 단일의 루멘 튜브(3904)에 대해 설계되고 커플러 본체(3914)의 말단부(3914b)를 따라 캠 슬롯(3942)을 포함한다는 점에서 커플러(3400)와 유사하다. 커플러(3900)는 오(O)-링(3946)의 근위에 있는 커플러 본체(3914) 내에 위치된 압축 스프링(3952)을 포함한다. 압축 스프링은 웨이브 와셔(3952)로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포스트(예컨대, 포스트(3512))가 커플러 캠 슬롯(3942)의 잠금위치(도 37에 도시됨)에 있을 때 정합장치(예를 들면, 정합장치(3500))와 접촉하고 커플러 제거에 대한 스프링 부하 저항을 생성한다.
도 41 및 42는 커플러(4200) 및 정합장치(4300)를 포함하는 커플링 조립체 (4100)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커플러(4200)는 커플러(4200)에 정합장치(4300)를 고정 및 밀봉하기 위한 오(O)-링(4212)을 포함한다. 이 실시 예에서, 정합장치(4300)의 내부 직경은 가스 유동을 돕기 위해 튜브(4204)의 내부 직경보다 크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 예는 도 33에 도 된 커플링 조립체(3300)와 유사하게 튜브 및 정합장치용으로 내경이 동일할 것이다.
도 4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러 본체(4214)의 말단부(4214b)는 외부 돌출부(4274)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가요성 탭(4276, 4278)을 갖는 대체로 원추형이다. 말단부(4214b)는 탭(4276, 4278)을 조작하기 위한 외부 융기부(4268)를 더 포함한다. 다이 정합장치의 말단부(4314b)는 근위단부(4314a)보다 큰 외경을 가지며, 환형상 립(4328)을 포함한다. 램프 특징부(4326)는 환형상 리브(4328) 쪽으로 가요성 탭(4276, 4278)을 안내한다. 사용자가 커플러(4200)를 결합장치(4300) 쪽으로 미는 것에 따라서, 가요성 탭(4276,4278)은 램프 특징부(3526)를 따라 외측으로 휘어지며, 커플러(4200)를 정합장치(4300)에 고정시키는 립(4328) 위로 찰칵하고 결합된다. 제거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외부 융기부(4268)를 쥐어짜서 플렉스 탭(4276, 4278)을 립(4328)으로부터 멀어지도록 팽창시키고 커플러(4200)를 결합 장치(4300)로부터 끌어 당긴다.
도 44 내지 도 49는 커플러(4500 및 4800) 및 정합장치(4600 및 4800) 모두에 대해 나사를 사용하는 커플러(4500 및 4800) 및 정합장치(4600 및 4800)를 갖는 결합 어셈블리(4400 및 4700)의 대안적인 실시 예를 도시한다. 도 44 및 45에서, 커플러(4500)는 내부(4532) 및 외부 슬리브(4534)를 갖는다. 외부 슬리브(4534)는 조립중 내부 슬리브(4532)의 대응 특징부(4556)상으로 찰칵하고 결합되는 가요성 특징부(4572)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도 4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외부 슬리브는 내부 슬리브(4532)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외부 슬리브(4534)의 선형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레지(ledge)(4556)상에 놓이는 가요성 탭(4572)을 갖는다. 내부 슬리브(4532)는 루멘(4504)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외부 슬리브(4534)는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O)-링(4512)은 커플러(4500)를 정합장치(4600)에 대해 밀봉하기 위해 내부 슬리브(4532) 주위에 고정된다. 외부 슬리브(4534)는 정합장치(4600)의 외부 나사(4652)와 결합하는 내부 나사(4542)를 포함한다. 단순히 외부 슬리브(4534)를 정합장치(4600)와 정렬시키고 정합장치(4600)를 외부 슬리브(4534)내로 회전시키는 것은 커플러(4500)를 정합장치(4600)에 밀접하게 맞물리게 한다. 이 실시 예는 튜브 자체가 설치될 때 회전하지 않도록 설계된다. 또한, 도 4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튜브(4504)의 외부 직경은 정합장치(4600)의 루어 부품보다 작지만 이전의 실시 예에서 도시된 것과 동일할 수 있다.
도 47 내지 도 49에 도시된 커플링 조립체(4700)는 내부 슬리브(4832) 및 외부 슬리브(4834)를 갖는 커플러(4800)를 또한 포함한다. 내부 슬리브(4832)는 튜빙(4804)에 대해 정적으로 유지된다. 외부 슬리브(4834)는 외부 슬리브(4834)를 내부 슬리브(4832)에 선형으로 위치시키지만 외부 슬리브(4834)를 자유롭게 회전시키는 텅(tongue)(4836) 및 환형상 홈 특징부(4838)(도 49에 도시 됨)로 내부 슬리브(4832)에 부착된다. 오(O)-링(4514)은 밀봉을 위해 내부 및 외부 슬리브(4832, 4834) 사이에 배치된다. 외부 슬리브(4534)와 유사하게, 외부 슬리브(4834)는 정합장치(4900)의 외부 나사(49S2)와 맞물리게 하고 밀봉하기 위한 내부 나사 및 오(O)-링(4512)을 갖는다.
도 50 내지 도 52를 참조하면, 커플링 조립체(50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 예에서, 링 조립체는 커플러(5100)의 말단부(5114b)에 위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링 조립체는 환형상 벽(5132)을 둘러싸는 커플러 본체 (5114) 내에 부분적으로 배치된 링(5142)을 포함한다. 외부 스프링 장착 탭(5152)은 링(5142)으로부터 기부에 가까운 쪽으로 연장되는데, 이것은 링(5142)이 그것과 결합하도록 정합장치(5200)의 포스트(5212) 주위로 구부러지게 조정할 수 있다. 도 5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탭(5152)은 탭(5152)과 커플러 본체(5114) 사이에 스프링(5146)을 수용하기 위한 스프링 포켓(5144)을 포함한다. 탭(5152)은 커플러 본체(5114)의 개구부(5162)와 결합하는 대체로 후크형인 특징부를 갖는다.
조립하기 위해, 커플러(5100)는 링(5142)의 캠면(5172)이 정합장치(5200)의 포스트(5212)와 접촉하도록 정합장치(5200) 위로 밀린다. 계속되는 압력은 스프링(5146)의 압축을 유발하여 링(5142)이 포스트(5212) 위로 구부러 지도록 한다. 완전히 조립되면, 링(5142)의 캠면(5172)은 정합장치(5200)의 외부 표면(5214)을 따라 놓인다. 탭(5152)(도 52에 도시됨)에 대한 압력은 링(5142)을 구부려 커플러(5100)가 정합장치(5200)로부터 당겨질 수 있게 한다. 도 50에 도시된 실시 예는 링을 정합장치에 고정하기 위한 둥근 포스트를 나타내지만, 환형상 립(예를 들어, 도 53의 정합장치(5500)상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과 같은 다른 유사한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3 내지 도 56은 피봇팅 래치(5442)를 갖는 커플러(5400)를 포함하는 커플링 어셈블리(5300)에 대한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내부 슬리브(5432)는 튜브(5404)에 일체로 연결된다. 래치(5442)는 내부 슬리브(5432)와 외부 슬리브(5452) 사이에 위치한다. 내부 슬리브(5432)는 선회점으로서 작용하고 래치(5442)가 정합장치(5500)를 향해 선형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플랜지(5434)를 포함한다. 외부 슬리브(5452)는 또한 래치(5442)를 홈 위치 또는 폐쇄 위치에 유지시키는 가요성 탭(5454)을 갖는다.
래치(5442)는 정합장치(5500)상의 외부 링(또는 립)(5512)과 맞물리는 잠금 특징부(5444)를 포함한다. 조립하기 위해, 사용자는 래치(5442)를 가압하고 내부 슬리브(5432)로부터 개방 위치로 멀어지게 잠금 특징부(5444)를 구부리도록 이들을 선회시킨다. 커플러(5400)를 결합장치(5500)쪽으로 가압하면 잠금 특징부(5444)가 외부 링(5512)(도 55에 도시됨)을 밀어 올린다. 래치(5442)가 해제되면, 플렉스 탭(5454)은 래치(5442)를 폐쇄위치로 다시 회전시키고, 잠금 특징부(5444)가 정합장치의 표면(5514)을 따라 위치되도록 래치(5442)를 잠근다(도 56에 도시됨).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래치(5442)를 누르고 잠금 특징부(5444)을 외부 링(5512)으로부터 해제하고 커플러(5400)를 정합장치(5500)로부터 잡아 당긴다. 이 설계의 다른 실시 예는 커플러 및 정합장치가 함께 가압될 때 정합장치에 대해 캐밍(camming)하는 동안 개방되는 래치를 포함하여 래치를 가압할 필요없이 잠금 특징부이 자동으로 잠길 수 있게 한다.
도 57 내지 도 60은 커플링 어셈블리(5300)와 유사한 커플링 어셈블리(57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이 실시 예에서, 래치(5842)는 외부 슬리브(5852) 내로 찰칵하고 결합되고 외부 슬리브(5852)에 대해 선회하는 가요성 링(5844)으로부터 연장된다. 조립될 때, 외부 슬리브(5852)는 외부 슬리브(5852)의 이동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5834)를 포함하는 내부 슬리브(5832)와 함께 내부 슬리브(5832) 위에 끼워진다. 래치(5842)를 가압 및 해제함으로써 링(5844)은 포스트(5912)(도 60에 도시 됨) 위로 외측으로 휘어지거나 또는 결합 장치(5900)로부터 끌어 당겨지도록 해제될 수 있다. 이 디자인은 래치를(도시된 바와 같이) 선회시키거나 정합장치의 포스트와 맞물리는 동안에 래치를 자동적으로 캐밍하여 열리게 함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도 61 및 62는 고정 링(6242) 및 회전 링(6252)을 갖는 커플링 조립체 (6100)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다. 고정 링(6242)은 튜빙(6204)에 연결되고 회전 링(6252)은 결합 장치(6300)를 결합시키는 내부 나사(6254)(도 62에 도시됨)를 갖는다. 나사(6254)는 완전 조립될 때 회전 링(6252)을 정합장치(6300)의 포스트 (6312)에 고정하는 잠금 특징부(6256)를 포함한다. 커플러(6200)를 정합장치(6300)에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자는 회전 링(6252)을 정합장치 포스트(6312) 위로 회전시킨다. 포스트(6312)는 잠금 특징부(6256)와 맞물려 커플러(6200)를 거기에 고정시킨다.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잠금 특징부(6256)로부터 포스트(6312)를 해제하고 정합장치(6300)로부터 멀어지도록 커플러(6200)를 당기기 위해 회전 링(6252)을 간단히 역 회전시킨다.
도 63 내지 도 65에는 커플러에 대한 다른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디자인은 잠금 링(6442)을 가진 커플러 본체(명확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음) 위에 위치된 외부 슬리브(6432)를 포함한다. 도 6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링(6442)은 외부 슬리브(6432) 내의 내부 나사(6452)의 슬롯(6456)을 통해 연장되는 가요성 탭(6454)을 갖는다. 커플러가 정합장치(6500) 위로 나사 결합됨에 따라, 플렉스 탭(6454)은 정합장치(6500)의 포스트(6512)와 접촉하고, 커플러를 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압력으로 포스트(6512) 위로 구부러진다.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가요성 탭(6454)을 포스트(6512)에서 들어올리고 커플러를 결합 장치(6500)로부터 멀어지도록 나사를 풀 수 있게 하는 잠금 링(6442)상에서 핑거 탭(6444)을 압착한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 한정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 및/또는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1)

  1.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로서,
    a) 커넥터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 -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을 가짐 -;
    b)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c)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 -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구성됨 -; 및
    d)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된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기 환형상 벽들을 둘러싸는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를 향해 밀릴 때 상기 잠금 특징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면 상에 안착되어 상기 커플링이 고정되는,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오(O)-링 밀봉에 의해 둘러싸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튜브들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평행한 튜브 부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내부 유로, 상기 내부 유로를 둘러싸는 중간 유로 및 상기 중간 유로를 둘러싸는 외부 유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내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1 튜브 부품,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중간 유로와 연통하는 제2 튜브 부품, 및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외부 유로와 연통하는 제3 튜브 부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이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 할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에서 상기 다수의 포스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장착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8.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로서,
    a) 원통형인 커넥터 및 상기 커넥터의 외벽상에서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 - 상기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을 가짐 -;
    b)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c)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 -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평행한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구성됨 -; 및
    d)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되고,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커넥터의 외벽에서 상기 다수의 포스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래치를 포함하는 래치 조립체;
    를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기 환형상 벽들을 둘러싸는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를 향해 밀릴 때 상기 잠금 특징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면 상에 안착되어 상기 커플링이 고정되는,
    결합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환형상 홈 내에 위치한 오(O)-링 밀봉에 의해 둘러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상기 본체의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튜브들과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평행한 튜브 부품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의 각 래치는 상기 원통형 본체의 개구부 내에서 활주 가능하게 맞물리고 대향 래치와 결합하는 외부로 연장되는 평행한 연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대향 래치의 대응 포스트와 결합하는 구멍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연장부는 상기 대향 래치상의 연장부의 래칫 치형과 결합하는 래칫 치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4. 튜브 세트를 투관침에 연결하기 위한 결합장치로서,
    a) 하우징으로부터 외부 연장되는 커넥터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을 갖는 멀티 루멘 투관침 - 상기 커넥터는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에 의해서 그 안에 한정된 다수의 동축 유로들을 가짐 -;
    b) 평행하게 배열된 다수의 튜브들을 포함하는 멀티 루멘 튜브 세트; 및
    c)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는 원통형인 본체를 포함하는 커플링 -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상기 동축 유로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단부는 상기 튜브 세트의 상기 평행한 튜브들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커플링의 본체의 상기 제1 단부는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다수의 동심성 환형상 벽들을 포함하고, 각각의 외벽은 오(O)-링 밀봉에 의해서 둘러싸임 -;
    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하는 경우에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해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협동하도록 연관된 래치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과 상기 커넥터를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커넥터로부터 상기 커플링을 제거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될 때 상기 환형상 벽들을 둘러싸는 잠금 특징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를 향해 밀릴 때 상기 잠금 특징부는 상기 커넥터의 외부면 상에 안착되어 상기 커플링이 고정되는,
    결합장치.
  15. 삭제
  16. 제 14 항에 있어서, 다수의 원주 방향으로 이격되고 방사상 외부로 연장되는 포스트들이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상에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 할 때 상기 하우징의 상기 커넥터의 외벽에서 상기 다수의 포스트들과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한 한쌍의 직경 방향으로 대향하는 스프링 장착 래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의 래치 조립체와 상기 원통형 본체 사이에 위치된 스프링들은 상기 커넥터 및 상기 커플링과 결합하고 그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 각각의 래치 조립체의 외부로 연장되는 평행한 연장부들을 조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19. 제 1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오(O)-링 밀봉은 그것과 함께 연관된 상기 외벽에 형성된 환형상 홈 내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20.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의 원통형 본체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외부 슬리브 및 내부 슬리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외부 슬리브의 축방향 이동은,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내부 슬리브의 리드면상에 있는 다수의 원주상으로 배열된 가요성 핑거들을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21.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링이 상기 커넥터와 결합할 때 상기 투관침의 상기 커넥터와 선택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연관된 디스크를 조종하기 위한 가요성 아암을 갖는 상기 커플링의 상기 원통형 본체와 작동 가능하게 연관된 링 조립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합장치.
KR1020187007346A 2015-08-21 2016-08-19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KR1022556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208169P 2015-08-21 2015-08-21
US62/208,169 2015-08-21
PCT/US2016/047741 WO2017034965A1 (en) 2015-08-21 2016-08-19 Coupling devices for tube sets used with surgical gas delivery system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3300A KR20180043300A (ko) 2018-04-27
KR102255629B1 true KR102255629B1 (ko) 2021-05-26

Family

ID=56801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7346A KR102255629B1 (ko) 2015-08-21 2016-08-19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4) US10960197B2 (ko)
EP (1) EP3337542A1 (ko)
JP (1) JP6861210B2 (ko)
KR (1) KR102255629B1 (ko)
CN (1) CN108136143B (ko)
AU (1) AU2016310484B2 (ko)
CA (1) CA2993838A1 (ko)
WO (1) WO201703496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81A (ko) * 2021-11-29 2023-06-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97480B (zh) * 2016-03-04 2021-07-13 柯惠Lp公司 用于将手术器械耦合到机器人系统的耦合器组合件
US10869691B2 (en) 2017-03-08 2020-12-22 Conmed Corporation Flexible single lumen gas sealed access port for use during robotically assisted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US10905463B2 (en) * 2017-03-08 2021-02-02 Conmed Corporation Gas circulation system with single lumen gas sealed access port and single lumen valve sealed access port for use during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US10413324B2 (en) 2017-10-23 2019-09-17 Conmed Corporation Devices for performing minimally invasive surgery having foam support housing
DK180026B1 (en) * 2018-03-12 2020-01-24 Mbh-International A/S A flexible double lumen tube and a tube coupling system for same
CN108451716B (zh) * 2018-05-03 2020-09-29 乐清市智格电子科技有限公司 用于注射医疗装置的功能转换模块
US11247000B2 (en) 2018-06-22 2022-02-15 Conmed Corporation Surgical gas delivery system with remote gaseous sealing module for maintaining stable pressure in a surgical cavity
US11197968B2 (en) 2018-06-22 2021-12-14 Conmed Corporation Surgical gas delivery device with internal gaseous sealing module and filtered tube set therefor
US11167096B2 (en) 2018-06-25 2021-11-09 Conmed Corporation Filter cartridge assemblies for managing fluid and humidity in endoscopic surgery
US11896291B2 (en) * 2018-07-02 2024-02-13 Covidien Lp Electrically-insulative shafts, methods of manufacturing electrically-insulative shafts, and energy-based surgical instruments incorporating electrically-insulative shafts
DE102018212376A1 (de) * 2018-07-25 2020-01-30 Contitech Mgw Gmbh Fluidkupplung mit Toleranzausgleich zur flexiblen Verbindung zweier medienführender Elemente
US20200086017A1 (en) * 2018-09-19 2020-03-19 Deroyal Industries, Inc. Tubing connection system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US11027078B2 (en) 2018-09-21 2021-06-08 Conmed Corporation Multi-modal five lumen gas circulation system for use in endoscopic surgical procedures
US11065035B2 (en) 2018-12-14 2021-07-20 Conmed Corporation Multi-modal surgical gas circulation system for controlling a network of gas sealed access devices
EP3923834A1 (en) * 2019-02-11 2021-12-22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dical device insufflation connection
WO2020167697A1 (en) * 2019-02-11 2020-08-20 Intuitive Surgical Operations, Inc. Medical device insufflation connection
GB2591087B (en) * 2020-01-08 2023-11-29 Spoke Medical Ltd Fluid Transfer Device
US11331157B2 (en) 2020-03-19 2022-05-17 Verb Surgical Inc. Integrated robotic insufflation and smoke evacuation
US20210361522A1 (en) * 2020-05-22 2021-11-25 Kpr U.S., Llc System, method, and device utilizing reversible connector
US20230133343A1 (en) * 2021-10-29 2023-05-04 BWXT Advanced Technologies LLC Control rod remote holdout mechanism
WO2024059295A1 (en) 2022-09-16 2024-03-21 Conmed Corporation System for connecting a tube set to a surgical access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182A1 (en) * 1999-04-21 2003-02-06 Cryocath Technologies Inc. Cryoablation catheter handle
US20060264992A1 (en) * 2003-09-30 2006-11-23 Ethicon Endo-Surgery, Inc. Button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US20140171855A1 (en) * 2012-12-19 2014-06-19 Surgiquest, Inc.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e set to a trocar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03361B1 (fr) * 1986-09-01 1989-05-19 Staubli Sa Ets Raccord double pour la jonction amovible de canalisations jumelees
US5312363A (en) * 1993-07-13 1994-05-17 Symbiosis Corporation Low friction slit valve
US5538509A (en) * 1994-01-31 1996-07-23 Richard-Allan Medical Industries, Inc. Trocar assembly
US5702374A (en) * 1995-11-14 1997-12-30 Abbott Laboratories Male luer connector assembly
US5899898A (en) * 1997-02-27 1999-05-04 Cryocath Technologies Inc. Cryosurgical linear ablation
US6319266B1 (en) * 2000-03-16 2001-11-20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Trocar system and method of use
AU2004214616B2 (en) * 2003-09-30 2009-11-12 Ethicon Endo-Surgery, Inc. Improved trocar housing/stop-cock assembly
US7344527B2 (en) * 2003-11-19 2008-03-18 Medical Components, Inc. Luer with integrated clamp
EP2101662B1 (en) * 2006-12-18 2018-07-11 SurgiQuest, Incorporated System for surgical insufflation and gas recirculation
DE502007001347D1 (de) * 2007-02-15 2009-10-01 Roche Diagnostics Gmbh Bajonett-Luer-Lockverbindung für eine Insulinpumpe
US9320541B2 (en) * 2007-02-28 2016-04-26 Covidien Lp Trocar assembly with obturator and retractable stylet
EP2114509B1 (en) * 2007-03-02 2013-05-08 Covidien LP Catheter system with attachable catheter hub
US8985131B2 (en) * 2007-06-30 2015-03-24 Koolance, Inc. Coupling with automatic seal
CA2852668C (en) * 2011-10-18 2019-11-05 Covidien Lp Optical trocar system
US9423062B2 (en) * 2012-05-31 2016-08-23 Nordson Corporation Twist lock connector with reinforcing wing grips and reverse snap assembl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028182A1 (en) * 1999-04-21 2003-02-06 Cryocath Technologies Inc. Cryoablation catheter handle
US20060264992A1 (en) * 2003-09-30 2006-11-23 Ethicon Endo-Surgery, Inc. Button latching system for a trocar
US20140171855A1 (en) * 2012-12-19 2014-06-19 Surgiquest, Inc.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e set to a troca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0181A (ko) * 2021-11-29 2023-06-07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KR102635808B1 (ko) 2021-11-29 2024-02-13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의료 장비의 모듈 탈착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70361084A1 (en) 2017-12-21
JP6861210B2 (ja) 2021-04-21
US20170050011A1 (en) 2017-02-23
CN108136143A (zh) 2018-06-08
CA2993838A1 (en) 2017-03-02
EP3337542A1 (en) 2018-06-27
KR20180043300A (ko) 2018-04-27
WO2017034965A1 (en) 2017-03-02
AU2016310484B2 (en) 2020-07-16
US11806498B2 (en) 2023-11-07
JP2019509769A (ja) 2019-04-11
US11065430B2 (en) 2021-07-20
CN108136143B (zh) 2021-03-02
US10960197B2 (en) 2021-03-30
AU2016310484A1 (en) 2018-02-22
US20230364406A1 (en) 2023-11-16
US20210330954A1 (en) 2021-10-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629B1 (ko) 수술용 가스 운반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튜브 세트들의 결합장치
JP6634513B2 (ja) 最小侵襲性外科的処置のための多ポートのアクセス装置
US8282603B2 (en) Valve assembly including diameter reduction structure for trocar
CN110381863B (zh) 用于在内窥镜手术程序期间维持稳定的腔压力而不允许器械穿过其中进入的单内腔气体密封的套管针
US10772661B2 (en) Method and structure for selectively locking portions of a seal assembly
US20120010569A1 (en) Access device with twist locking removable cap
US20210338281A1 (en) Multi-diameter cannula depth limiter
US11633211B2 (en) Pinch to release cannula depth limiter
US20150126935A1 (en) Trocar assembly
JP6685658B2 (ja) トロカールおよび栓塞子
JP2010240437A (ja) 取り外し可能かつ交換可能な部品を有する外科的アクセスデバイス
US11974773B2 (en) Latchless obturator with interference fit feature
US11980393B2 (en) Two-piece separable obturator
WO2024050181A2 (en) Endoscope with interchangeable cannula adapt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