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597B1 -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597B1
KR102255597B1 KR1020210025722A KR20210025722A KR102255597B1 KR 102255597 B1 KR102255597 B1 KR 102255597B1 KR 1020210025722 A KR1020210025722 A KR 1020210025722A KR 20210025722 A KR20210025722 A KR 20210025722A KR 102255597 B1 KR102255597 B1 KR 1022555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agnesium carbonate
polyurethane resin
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아람
최유빈
Original Assignee
에코리엔트샤인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리엔트샤인 (주) filed Critical 에코리엔트샤인 (주)
Priority to KR102021002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59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4Reflecting paints; Signal pa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13/00Colloid chemistry, e.g. the production of colloidal materials or their solu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01J13/02Making microcapsules or microballo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1/00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1/02Processe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performed by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6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26Thermosensitive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16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 E01C23/20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 E01C23/22Devices for marking-out, applying, or forming traffic or like markings on finished paving; Protecting fresh markings for forming markings in situ by spray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201/00Paving elements
    • E01C2201/18Elements representing tex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하여;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HIGH FUNTIONAL PAINT COMPOSITION FOR ROAD SURFACE SIGN HAVING EXCELLENT THERMOCHROMIC AND THERMO-SHIELD FUNCTION AND CONSTRUCTING METHOD FOR ROAD SURFACE SIGN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장도로에는 차량 또는 행인의 진행방향을 지시하기 위하여 노면에 차선, 갓길 표시선, 과속방지턱 표시선, 횡단보도 표시선 등 다양한 표시를 하게 된다. 이러한 노면표시는 도로교통의 안전과 원활한 소통을 도모하기 위해 필요하며, 안전표시를 보완하거나, 운전자에게 규제 또는 지시 등의 정보를 전달하여 도로상의 선형 유도로 운전자가 안전하게 차량을 운행하기 위해 필요로 하는 시각정보를 사전에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그러나 우천시 수막으로 인한 빛의 반사현상이나, 블랙아이스(Black Ice)와 같은 겨울철 도로의 노면에서 발생하는 결빙(Freezing)은 운전자가 노면의 각종 표시를 확인하기 어렵게 한다. 또한, 이러한 현상은 운전자의 시인성이 낮아져 결빙 및 수막 발생여부를 육안으로 식별하기 어려운 야간에 더욱 심해져, 결국에는 교통사고 위험이 매우 높아질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노면의 온도가 결빙 발생온도에 도달하면, 색상이 변화할 수 있는 감온변색안료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이용함으로써, 도로 이용자가 노면의 결빙 가능성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도로 이용시 안전에 만전을 기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감온변색안료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은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이 열악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사계절의 기후변화가 분명한 국내환경에서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온변색안료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이 변색되거나, 색상이 흐려지면서 시인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료 조성물이 넓은영역에 걸쳐 도포되는 경우, 도포된 위치에 따라 온도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온도 표시색상에 얼룩이 발생하는 등 감온발색이 열악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노면의 결빙 가능성을 육안으로 식별하기 위한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우천후,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도료 조성물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따라서 우수한 감온발색성능,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갖고,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대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8203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525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820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우수한 감온발색성능,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갖고,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양한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유기용매 70 내지 90 중량부에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의 상기 쉘 형성용 용액은 천연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는 아마(flax), 대마(hemp), 황마(jute), 대나무(bamboo) 또는 코이어(coir)로 이루어진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수세하여 세척한 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알파 아밀라아제 처리 및 수세하여,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옥토시놀 0.1 내지 5 중량%, 아이소소바이드 1 내지 10 중량% 및 에틸 알코올 85 내지 98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준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인 것이고;
상기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수용성 마그네슘염과 수용성 탄산염을 상기 마그네슘(Mg): 및 탄산(CO3)의 몰비가 1: 0.7 내지 2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여,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0.5 내지 10 μm의 평균직경 및 5 내지 200 μm의 평균길이를 갖는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의 현탁액에 알칼리성 용액을 혼합하여, pH 8.0 내지 11.5가 되도록 조절한 후, 35 내지 8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중공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준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으로서,
노면의 먼지, 수분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노면의 바탕면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도장 및 건조하여, 1 내지 5 mm의 두께의 노면상태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 표면강화제를 도장 및 건조하여, 2 내지 7 mm의 두께의 표면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따르면, 우수한 감온발색성능,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갖는 노면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넓은 영역에서도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기 때문에, 온도차이에 따른 얼룩없이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결빙 및 수막의 존재 여부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겨울철 노면의 결빙 자체를 늦추고,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서의 블랙아이스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더욱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노면표시 시공방법의 개략적인 시공순서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따라서 시공된 개략적인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따라서 시공된 시공예를 나타낸 이미지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현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예시로서 제시되는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는 않으며 본 발명은 후술할 청구범위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는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따르면, 우수한 감온발색성능,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갖는 노면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넓은 영역에서도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기 때문에, 온도차이에 따른 얼룩없이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결빙 및 수막의 존재 여부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겨울철 노면의 결빙 자체를 늦추고,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서의 블랙아이스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더욱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노면 부착력이 우수하고, 내후성 및 내수성을 증대시키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다염기산과 다가알콜을 중합하여 제조된 수지로서, 중량평균분자량이 1,500 내지 10,000 범위의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방법은 당 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는 바, 본 발명에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합방법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만,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중합방법의 비제한적인 예를들면, 중합용 단량체로서 다염기산 1 몰과 다가알콜 1 내지 10 몰을 사용하여, 150 내지 180 ℃ 온도에서 1 내지 3 시간 동안 축중합한 후, 중합온도를 2 내지 3 시간에 걸쳐 190 내지 24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다염기산은 무수프탈산, 무수테트라하이드로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세바식산, 아디픽산, 아젤라익산, 무수트리멜리틱산, 퓨마릭산, 무수말레산, 소야 지방산, 린시드 지방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무수말레인산, 소야 지방산 및 린시드 지방산을 1: 1: 1 몰비율로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가알콜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트리에틸올프로판, 네오펜틸 글리콜, 1,6-헥산디올, 펜타에리쓰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에틸렌옥사이드 부가 비스페놀 A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구성하는 성분들의 함량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한다.
상기 감온변색 안료는 특정 온도 범위에서 색을 발현하는 안료로서, 열을 흡수하면 화합물의 구조가 변하여 발색 또는 소색되며, 열을 차단시키면 다시 원래의 화합물 구조로 되돌아오게 되어 소색 또는 발색된다. 이러한 감온변색 안료는 전자 공여성 정색성 유기 화합물과 전자 수용성 화합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감온변색안료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열감지 온도는 -15 내지 70 ℃사이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온도범위 중 특정 온도영역에서색이 변하는 다종의 감온잉크 군을 형성하게 된다. 특히, 겨울철 노면의 결빙가능성을 보다 용이하게 나타내기 위하여, 열감지 온도는 -15 내지 5 ℃사이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보다 구체적인 상기 감온변색 안료의 종류로는 금속착염, 코레스텔릭액정, 메타모컬러, 크리스탈 바이올렛 락톤(crystal violet lactone)등의 가역성 감온변색 안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온변색 안료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온변색 안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감온변색 안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노면 부착력을 비롯한 차열성능 및 내구성 등의 물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형태로,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된다.
이러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유기용매 70 내지 90 중량부에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본 발명의 효과를 매우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기용매 70 내지 90 중량부에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기용매는 N-메틸피롤리돈, 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포름아세트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벤질알콜, 시클로헥사논, 디클로로벤젠, 니트로벤젠, 글리세롤류, 셀로솔브류, 글리콜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N-메틸피롤리돈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2: 1 중량비율로 혼합한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의 응집력을 향상시켜, 우수한 강도를 갖는 코어를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와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러한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는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에톡시실란, 메타크릴록시메틸트리메톡시실란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수변색 염료의 수변색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수변색 염료는 수분과의 접촉으로 색이 변하는 염료인 것으로서, 이러한 수변색 염료는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그 종류를 특별히 한정하지 않지만, 예를들면, 벤조퓨란, 락톤, 플루오란, 아닐린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수변색 염료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변색 염료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수변색 염료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더이상의 개선효과를 기대할 수 없어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표면에 상기 수변색 염료가 부착하여, 매우 우수한 수변색 성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하고, 도막의 함수율이 지나치게 상승하여, 도막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우수한 차열성능 및 내광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인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수용성 마그네슘염과 수용성 탄산염을 상기 마그네슘(Mg): 및 탄산(CO3)의 몰비가 1: 0.7 내지 2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여,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0.5 내지 10 μm의 평균직경 및 5 내지 200 μm의 평균길이를 갖는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의 현탁액에 알칼리성 용액을 혼합하여, pH 8.0 내지 11.5가 되도록 조절한 후, 35 내지 8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중공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준비되는 것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조된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0.5 내지 5 μm의 내경과, 1 내지 20 μm의 외경, 외경에 대한 내경의 비가 0.1 내지 0.65이고, 길이가 5 내지 100 μm인 것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용성 마그네슘염은 염화마그네슘, 황산마그네슘, 질산마그네슘, 초산마그네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성 탄산염은 탄산나트륨, 탄산칼륨, 탄산암모늄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칼리성 용액은 수산화나트륨, 수산화칼륨, 암모니아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3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제조원가가 높아져 가격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분산제는 암모늄 폴리메타크릴레이트(Ammonium polymethacrylate), 암모늄 폴리아크릴레이트(Ammonium polyacrylate), 소듐폴리아크릴산(Sodium polyacrylic acid),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Sodium hexameta phosphate)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후술하는 발포에 의하여 다공성을 갖는 쉘을 형성함으로써, 우수한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0 내지 50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수변색 염료의 수변색성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발포제는 아조디카본아마이드(Azodicarbonamide ; ADCA),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Benzenesulfonylhydrazide ; BSH)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쉘 형성용 용액은 천연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여,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의 노면 접착력, 내후성 및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러한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는 아마(flax), 대마(hemp), 황마(jute), 대나무(bamboo) 또는 코이어(coir)로 이루어진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수세하여 세척한 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알파 아밀라아제 처리 및 수세하여,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옥토시놀 0.1 내지 5 중량%, 아이소소바이드 1 내지 10 중량% 및 에틸 알코올 85 내지 98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준비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내지 20 KHz 및 강도 500 내지 600 W의 초음파로 수행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크로 캡슐은 원심분리, 여과 및 건조함으로써,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이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외부에 노출 시공되는 도료조성물의 자외선 노출에 의한 변색, 표면 갈라짐, 기계적 물성저하 등 노화를 방지하여, 우수한 내후성 및 내구성을 제공하여 공용기간을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것을 사용하여, 상기한 효과를 더욱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열성능을 매우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023084936-pat00001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것일 수 있고,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12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 및 이들의 혼합 관능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관능기로 치환된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이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는 상기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내지 5 중량부 범위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이 너무 적은 경우에는 상기한 개선효과가 미흡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자외선 안정제의 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노면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으로서,
노면의 먼지, 수분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노면의 바탕면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도장 및 건조하여, 1 내지 5 mm의 두께의 노면상태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 표면강화제를 도장 및 건조하여, 2 내지 7 mm의 두께의 표면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노면표시 시공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프라이머 조성물은 당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노면과 도료조성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예를들면, 스티렌-부타디엔, 폴리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계 에멀젼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프라이머층은 50 내지 100 μm 두께로 도포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표면강화제는 스티렌-부타디엔 라텍스, 폴리에틸렌메틸아크릴레이트-부틸아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폴리 아크릴 에스테르, 아크릴 에멀젼, 아크릴-우레탄 에멀젼, 실리케이트계 침투 강화제, 수성실리카졸계 침투 강화제, 실리카와 실록산 화합물계 침투 강화제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에 따르면, 우수한 감온발색성능, 차열성능, 내광성 및 내구성을 갖는 노면표시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별도의 외부전원 없이도 노면의 결빙 가능성 뿐만 아니라, 노면에 수막의 존재 여부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고 위험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넓은 영역에서도 균일한 온도분포를 갖기 때문에, 온도차이에 따른 얼룩없이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결빙 및 수막의 존재 여부 등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우수한 차열성능으로 겨울철 노면의 결빙 자체를 늦추고,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서의 블랙아이스 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써, 더욱 선명하고 깔끔하게 노면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실시예 1>
중합용 단량체로서 무수말레인산 1몰과 1,6-헥산디올 2몰 및 펜타에리쓰리톨 4몰을 약 180 ℃ 온도에서 2.5 시간 동안 축중합한 후, 중합온도를 2 시간에 걸쳐 22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제조되어, 중량평균분자량이 7786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22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47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8 중량부, 수변색 염료 19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4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1로 표시되는 자외선 안정제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N-메틸피롤리돈 85 중량부에 평균입경이 약 11 μm인 탄산마그네슘 분말 14 중량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8 중량부, 수변색 염료 19 중량부 및 암모늄 폴리메타크릴레이트 3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47 중량부, 아조디카본아마이드 2 중량부 및 물 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50 ℃의 온도에서 15 KHz 및 500 W의 강도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건조함으로써,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1]
Figure 112021023084936-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에틸 헥실기이고,
R2는 시클로프로필 헥실기이다.
<실시예 2>
중합용 단량체로서 무수말레인산, 소야 지방산 및 린시드 지방산을 1: 1: 1 몰비율로 혼합한 다염기산 1몰과 에틸렌 글리콜 2몰, 1,6-헥산디올 2몰 및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 3몰을 약 180 ℃ 온도에서 2 시간 동안 축중합한 후, 중합온도를 3 시간에 걸쳐 23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제조되어 중량평균분자량이 5312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3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7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2 중량부, 수변색 염료 14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22 중량부 및 하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자외선 안정제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N-메틸피롤리돈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2: 1 중량비율로 혼합한 유기용매 73 중량부에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22 중량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2 중량부, 수변색 염료 14 중량부 및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 0.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7 중량부,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4 중량부 및 물 65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50 ℃의 온도에서 15 KHz 및 500 W의 강도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건조함으로써,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실시예 1의 통상의 탄산마그네슘 분말을 대신하여,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을 사용하였다. 이때, 상기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45 ℃로 조절한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의 수용액(125g/L) 20L에, 온도를 45℃로 유지시키면서 무수탄산나트륨 수용액(220g/L) 0.50L를 서서히 첨가하고 30분간 교반하여, 평균직경이 2.6 μm이고, 평균길이가 27.8 μm인 기둥형상의 탄산마그네슘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 현탁액에 수산화나트륨을 혼합하여, pH 10.5가 되도록 조절한 후, 55℃ 온도에서 120분간 교반 및 열처리하여, 평균외경이 2.1 μm, 평균내경이 1.2 μm, 평균길이가 7.9 μm인 중공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을 제조하였다. 상기 얻어진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이온교환수 및 에탄올로 세정하고 건조시켜 사용하였다.
[화학식 1-2]
Figure 112021023084936-pat00003
상기 식에서,
R1 및 R2는 시클로프로필 헥실기이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3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5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4 중량부, 수변색 염료 15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3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1-2로 표시되는 자외선 안정제 3 중량부를 포함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N-메틸피롤리돈 및 디메틸포름아미드를 2: 1 중량비율로 혼합한 유기용매 77 중량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한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13 중량부, 3-메타크릴록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4 중량부, 수변색 염료 150 중량부 및 소듐헥사메타포스페이트 1.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5 중량부, 벤젠설포닐하이드라자이드 3 중량부, 천연셀룰로오스 섬유 3.5 중량부 및 물 68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50 ℃의 온도에서 15 KHz 및 500 W의 강도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한 후, 원심분리, 여과 및 건조함으로써,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는 수세하여 세척한 대나무(bamboo)를 열풍건조기에서 5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한 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대나무를 알파 아밀라아제 처리 및 수세하여, 탄수화물이 제거된 대나무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이 제거된 대나무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옥토시놀 3.5 중량%, 아이소소바이드 7.5 중량% 및 에틸 알코올 89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대나무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24시간 동안 50℃의 열풍건조기로 건조하고, 분쇄한 후, 35mesh 체에 걸러 균일한 크기의 대나무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준비되는 것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중합용 단량체로서 무수말레인산 1몰과 1,6-헥산디올 2몰 및 펜타에리쓰리톨 4몰을 약 180 ℃ 온도에서 2.5 시간 동안 축중합한 후, 중합온도를 2 시간에 걸쳐 220 ℃까지 승온시킴으로써 제조되어, 중량평균분자량이 7786인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22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47 중량부, 수변색 염료 19 중량부 및 이산화티타늄 14 중량부를 혼합하여, 비교용 도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별도의 아스팔트 시험체를 제조한 후, 상기 아스팔트 시험체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용 도료 조성물을 각각 도장 및 건조하여, 약 4 mm의 두께의 노면상태 표시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제작된 각각의 시험체에 대하여 차열성을 평가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온도(℃) 아스팔트
시험체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2 비교예 1
초기온도 25 25 25 25 25
10분후 36 28 28 27 32
20분후 49 33 31 30 37
30분후 60 37 34 33 41
40분후 69 39 37 35 47
50분후 76 45 41 40 51
60분후 85 48 43 41 57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로 도장한 시험체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용 도료 조성물로 도장한 시험체와 비교하여, 시간에 따른 온도상승률이 적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은 우수한 차열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험예 2>
KSM6080에 제시된 시험방법에 의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용 도료 조성물이 도장 및 건조된 도막에 내후성 시험기 QUV-B로 200 시간 동안 조사한 후, 색도(1uminace)의 편차를 측정함으로써 내후성을 평가하였다. 색도 편차가 0.05 이하는 양호, 초과하면 불량으로 표기하였다.
또한, 도막 자체의 저온충격성 평가를 위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용 도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지름이 5 cm이고 두께가 25 cm인 저온충격성 시험용 시편을 제작하였다. 상기 제작된 시편에 저온 및 2 m의 높이에서 강구를 떨어트려 시편이 깨지거나 균열이 있는지 평가하였다. 0 ℃에서 668 g의 강구를 떨어트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이 균열이 없는 경우 C11 등급으로 표시, -10 ℃에서 668 g의 강구를 떨어뜨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 균열이 없을 경우 C12 등급으로 표시, -10 ℃에서 110 g의 강구를 떨어뜨려 10개의 시편 중 6개 이상 균열이 없을 경우 C13 등급으로 표시하였다.
상기 내후성 및 저온 충격성의 평가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내후성 0.005(양호) 0.001(양호) 0.001(양호) 0.09(불량)
저온 충격성 C13 C13 C13 C11
상기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비교용 도료 조성물과 비교하여, 내후성 및 저온에서의 충격강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은 우수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두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5)

  1.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감온변색 안료 10 내지 30 중량부,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및 자외선 안정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수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은
    유기용매 70 내지 90 중량부에 탄산마그네슘 10 내지 30 중량부,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0 내지 50 중량부, 수변색 염료 10 내지 30 중량부 및 분산제 0.1 내지 5 중량부를 혼합 및 분산시켜,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쉘 형성용 폴리우레탄 수지 30 내지 50 중량부, 발포제 0.1 내지 5 중량부 및 물 50 내지 70 중량부를 포함하는 쉘 형성용 용액에, 상기 제조된 코어 함유-분산액을 적하 및 분산시켜,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제조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30 내지 80 ℃의 온도에서 초음파 처리하여, 코어 표면의 폴리우레탄 수지 쉘을 발포시켜, 코어 표면이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제조되어;
    아크릴레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수변색 염료 및 탄산마그네슘을 포함하는 코어와; 상기 코어를 감싸고, 발포되어 다공성을 갖는 다공성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이루어진 마이크로 캡슐형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표면이 폴리우레탄 수지 쉘로 코팅된 마이크로 캡슐 함유-분산액을 제조하는 단계의 상기 쉘 형성용 용액은 천연셀룰로오스 섬유 1 내지 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는
    아마(flax), 대마(hemp), 황마(jute), 대나무(bamboo) 또는 코이어(coir)로 이루어진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수세하여 세척한 후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천연셀룰로오스 원료를 알파 아밀라아제 처리 및 수세하여,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제조하는 단계;
    상기 탄수화물이 제거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옥토시놀 0.1 내지 5 중량%, 아이소소바이드 1 내지 10 중량% 및 에틸 알코올 85 내지 98 중량%를 포함하는 분산액에 혼합 및 숙성하는 단계;
    상기 숙성이 완료된 천연셀룰로오스 섬유를 건조 및 분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으로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산마그네슘은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인 것이고;
    상기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은
    수용성 마그네슘염과 수용성 탄산염을 상기 마그네슘(Mg): 및 탄산(CO3)의 몰비가 1: 0.7 내지 2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여,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0.5 내지 10 μm의 평균직경 및 5 내지 200 μm의 평균길이를 갖는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를 생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탄산마그네슘의 기둥형상 입자의 현탁액에 알칼리성 용액을 혼합하여, pH 8.0 내지 11.5가 되도록 조절한 후, 35 내지 80℃의 온도에서 열처리하여, 중공구조를 갖는 관형상의 염기성 탄산마그네슘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준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한항에 따른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으로서,
    노면의 먼지, 수분과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고, 청소하여 바탕면을 정리하는 단계; 상기 정리된 노면의 바탕면 상에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한 후, 건조하여 프라이머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프라이머층 상에 상기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을 도장 및 건조하여, 1 내지 5 mm의 두께의 노면상태 표시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노면상태 표시층 상에 표면강화제를 도장 및 건조하여, 2 내지 7 mm의 두께의 표면강화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20210025722A 2021-02-25 2021-02-25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KR102255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722A KR102255597B1 (ko) 2021-02-25 2021-02-25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5722A KR102255597B1 (ko) 2021-02-25 2021-02-25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5597B1 true KR102255597B1 (ko) 2021-05-25

Family

ID=761453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5722A KR102255597B1 (ko) 2021-02-25 2021-02-25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5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65B1 (ko) 2021-06-18 2022-02-09 (주)에코트랙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KR20230050820A (ko) * 2021-10-08 2023-04-17 한국도로공사 노면상에 표출되는 도로살얼음 경고 표지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98B1 (ko) * 2002-02-13 2010-06-04 닛데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982033B1 (ko) 2008-11-18 2010-09-13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미끄럼방지조성물
KR101655558B1 (ko) * 2014-11-03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어-쉘 구조의 온도감응색변화 복합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색변환 도료 조성물
KR101765253B1 (ko) 2016-11-11 2017-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온도와 습도에 따라 노면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가변 안전표지
KR101980672B1 (ko) * 2018-11-30 2019-05-22 한국도로공사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차선 인식 기능이 강화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20200034225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인실리코 감온 변색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온 변색성 마이크로캡슐
KR102182007B1 (ko) 2019-05-02 2020-11-23 최아나 노면온도표시를 위한 감온변색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온도표시선의 시공방법
KR102213066B1 (ko) * 2021-01-07 2021-02-05 (주)금와이엔씨 고인장강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균열저감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1298B1 (ko) * 2002-02-13 2010-06-04 닛데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염기성 탄산마그네슘,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0982033B1 (ko) 2008-11-18 2010-09-13 정희준 온도감응색변화미끄럼방지조성물
KR101655558B1 (ko) * 2014-11-03 2016-09-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코어-쉘 구조의 온도감응색변화 복합안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색변환 도료 조성물
KR101765253B1 (ko) 2016-11-11 2017-08-07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온도와 습도에 따라 노면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가변 안전표지
KR20200034225A (ko) * 2018-09-21 2020-03-31 주식회사 인실리코 감온 변색성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온 변색성 마이크로캡슐
KR101980672B1 (ko) * 2018-11-30 2019-05-22 한국도로공사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차선 인식 기능이 강화된 노면 표지용 도료 조성물
KR102182007B1 (ko) 2019-05-02 2020-11-23 최아나 노면온도표시를 위한 감온변색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온도표시선의 시공방법
KR102213066B1 (ko) * 2021-01-07 2021-02-05 (주)금와이엔씨 고인장강도 및 우수한 내마모성을 갖는 균열저감형 미끄럼 방지 포장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미끄럼 방지 포장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6065B1 (ko) 2021-06-18 2022-02-09 (주)에코트랙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도로 노면 표시 조성물
KR20230050820A (ko) * 2021-10-08 2023-04-17 한국도로공사 노면상에 표출되는 도로살얼음 경고 표지
KR102616765B1 (ko) 2021-10-08 2023-12-27 한국도로공사 노면상에 표출되는 도로살얼음 경고 표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5597B1 (ko) 우수한 감온발색 및 차열성능을 갖는 노면표시용 고기능성 도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노면표시 시공방법
AU2005282597B2 (en) Phosphorescent/fluorescent compositions and methods
US3253146A (en) Fluorescent marker pigment for roadways
US7521118B2 (en) Flat element having a dark surface exhibiting a reduced solar absorption
US20060159925A1 (en) High-intensity, persistent thermochromic compositions and objects, and methods for creating the same
US9382428B2 (en) Liquid tint materials and films made therefrom
AU2016213102B2 (en) Near-infrared ray absorbing microparticle dispersion solution, production method thereof, counterfeit-preventing ink composition using said near-infrared ray absorbing microparticle dispersion solution, and anti-counterfeit printed matter using said near-infrared ray absorbing microparticles
CN107641398B (zh) 一种低温可逆变色颜料及制备方法、温度感应路面标识涂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H07503742A (ja) ゾル結合した着色剤クラスター及び製造方法
CN1340003A (zh) 图像接受介质及其制造和使用方法
ES2289117T3 (es) Procedimiento para proporcionar un sistema de revestimiento fosforescente mediante aplicacion humedo-sobre-humedo y sistema de revestimiento fosforescente.
JP2003268311A (ja) 路面標示用塗料
KR102604181B1 (ko) 미끄럼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2273B1 (ko) 미끄럼 저항 성능이 우수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KR101206309B1 (ko) 도막형성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도로 표시용 시트의 제조방법 및 이의 시공방법
WO2020054799A1 (ja) タイヤ
KR101232032B1 (ko) 도로표지용 우천형 축광 반사 비드의 제조방법
CN1836011A (zh) 包括荧光着色剂的涂料组合物,具有光强度依赖性色效应
JP5284748B2 (ja) 蛍光標示材、及び蛍光標示材を用いた路面標示構造
CN112876918A (zh) 一种光感变色水性漆及其制备方法
KR101823299B1 (ko) 난연 축광용 열경화성 분체도료 함유 표시용 소재 및 그 제조방법
KR102604180B1 (ko) 미끄럼방지용 도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66645B1 (ko) 내마모도가 향상된 노면 표지용 융착식 테이프
JP6991627B1 (ja) 親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親水性コーティングを含む構造体
JP7084082B1 (ja) 親水性コーティング用組成物及び親水性コーティングを含む構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