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451B1 -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 Google Patents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451B1
KR102255451B1 KR1020190057079A KR20190057079A KR102255451B1 KR 102255451 B1 KR102255451 B1 KR 102255451B1 KR 1020190057079 A KR1020190057079 A KR 1020190057079A KR 20190057079 A KR20190057079 A KR 20190057079A KR 102255451 B1 KR102255451 B1 KR 1022554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rusion
distance
intruder
unit
ultraso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7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2125A (ko
Inventor
정승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90057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5451B1/ko
Publication of KR20200132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2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4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4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3/00Burglar, theft or intruder alarms
    • G08B13/16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 G08B13/1609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 G08B13/1618Actuation by interference with mechanical vibrations in air or other fluid using active vibration detection systems using ultrasonic detec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6/00Tacti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침입 감지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어 침입체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와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INVASION DETECTING APPARATUS AND INVASION DETECT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피스, 주택, 빌딩 등과 같이 보안 및 방범이 중요한 건물 등에는 침입자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시스템이 설치되어 있다.
침입 감지 시스템은 감지기 자체로 눈에 보이지 않는 경계면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이 구역을 침입자가 침입하는 경우 감지할 수 있는 독립형 침입 감지 시스템과 물리적인 펜스를 제작하여 침입자가 펜스를 타고 올라가면서 발생하는 장력이나 진동으로 침입을 감지하는 펜스형 침입 감지 시스템으로 나뉘며, 각 시스템에 따라 적합한 침입 감지 장치가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침입 감지 장치는 인간이 감지할 수 없는 초음파나 마이크로파, 적외선 등을 사용하여 침입자를 감지하는 장치를 포함하며, 적외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광원과 적외선 센서를 조합시켜 침입물로부터의 반사광을 검출하는 반사형, 또는 침입물에 의하여 수광기의 앞면이 가려진 것을 감지하는 차광형 등이 있다. 또한, 초음파나 마이크로파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대상을 감지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084081호(2013.07.24.공개)
본 발명은 침입을 감지하는 동시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으며,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그 이상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는 침입 감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어 침입체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와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장치가 제공된다.
초음파 발생부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감지 영역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침입 감지 장치는 침입 감지부, 초음파 발생부, 초음파 수신부, 거리 측정부, 및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는 초음파 발생부와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복수회 측정하고, 제어부는 거리 측정부가 복수회 측정한 초음파 발생부와 침입체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침입 감지부는 적외선, 레이저광, 및 전자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칩입을 감지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는 침입 감지부가 감지하는 감지 영역보다 넓은 영역까지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는 기설정된 영역 범위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침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1차로 감지하는 1차 침입 감지 단계, 초음파 발생부를 이용하여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초음파 수신부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와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1차로 측정하는 1차 거리 측정 단계, 및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를 작동시켜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이 제공된다.
초음파 발생부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감지 영역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는 할 수 있다.
1차 거리 측정 단계 이후에, 침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2차로 감지하는 2차 침입 감지 단계, 및 거리 측정부를 이용하여 침입체와의 거리를 2차로 측정하는 2차 거리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는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를 작동시킬 수 있다.
1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1차 측정 거리가 2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2차 측정 거리 미만인 경우,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더라도 알림부를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침입을 감지하는 동시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으며,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그 이상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의 감지 영역 및 초음파 전달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110),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120),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어 침입체(10)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130),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40), 및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리는 알림부(150)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장치(100)가 제시된다.
본 실시예의 침입 감지 장치(100)는 침입을 감지하는 동시에 초음파를 발생시켜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 할 수 있으며,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켜 그 이상의 초음파를 들을 수 있는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의 각 구성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 감지부(110)는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감지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적외선, 레이저광, 및 전자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칩입을 감지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120)는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감지 영역(20)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동물은 고양이, 개, 쥐 등 일반적으로 침입 감지 시스템이 갖춰진 감지 영역(20)에 침입 가능한 야생 동물을 말하며, 이들은 사람보다 귀가 예민하여 사람의 가청주파수인 20~20Khz보다 높은 주파수의 소리도 들을 수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부(120)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동물들의 감지 영역(20)으로의 접근을 방지하여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초음파 발생부(120)는 침입 감지부(110)가 감지하는 감지 영역(20)보다 넓은 영역까지 초음파를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동물이 감지 영역(20)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알림부(15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초음파 발생부(120)는 기설정된 영역 범위로 초음파를 전달하여 목표한 방향으로만 소리를 방사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초음파 전달 영역(30)을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수신부(130)는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어 침입체(10)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리 측정부(140)는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거리 측정부(140)는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어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과 음속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거리 측정부(140)는
Figure 112019049786402-pat00001
의 식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거리 측정부(140)는 초음파 발생부(120)와 초음파 수신부(130)가 계속 작동하면 계속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으며, 그 거리를 복수회 측정하여 침입체(10)가 1차로 거리를 측정한 때보다 초음파 발생부(120)와 가까워 지고 멀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부(150)는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릴 수 있으며, 빛, 소리, 진동 및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릴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60)는 침입 감지부(110), 초음파 발생부(120), 초음파 수신부(130), 거리 측정부(140), 및 알림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거리 측정부(140)가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복수회 측정하는 경우, 제어부(160)는 거리 측정부(140)가 복수회 측정한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가 동일하거나 감소하는 경우 알림부(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침입체(10)가 사람일 때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하는 초음파를 듣지 못하고 계속하여 침입하는 경우, 알림부(150)를 작동시키도록 함과 동시에, 침입체(10)가 동물일 때 초음파에 의해 감지영역으로의 침입을 멈추고 돌아가는 경우 알림부(150)룰 작동시키지 않도록 하여 알림부(150)의 오보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침입 감지 장치(100)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침입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1차로 감지하는 1차 침입 감지 단계(S110), 초음파 발생부(120)를 이용하여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S122), 초음파 수신부(130)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S114),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1차로 측정하는 1차 거리 측정 단계(S120), 및 침입체(10)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150)를 작동시켜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S150)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방법이 제시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침입 감지 방법은 1차 거리 측정 단계(S120) 이후에, 침입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2차로 감지하는 2차 침입 감지 단계(S130), 및 거리 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침입체(10)와의 거리를 2차로 측정하는 2차 거리 측정 단계(S140)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든 과정에 선행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초음파 수신부(130)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초기 감지 영역(20)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초기 거리 정보는 이후 감지를 수행하면서 얻는 정보의 기준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1차로 감지할 수 있다(S110). 보다 구체적으로, 침입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침입을 감지하는 단계는 적외선, 레이저광, 및 전자파 등을 이용하여 일정한 감지 영역(20)에 침입체(10)의 침입을 감지하는 것을 말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120)를 이용하여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S122), 이어서 초음파 수신부(130)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수신할 수 있다(S124).
초음파 발생부(120)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감지 영역(20)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어, 사람은 듣지 못하면서 동물이 들을 수 있는 주파수의 초음파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1차로 측정할 수 있다(S120).
1차 거리 측정 단계(S120)는 거리측정부를 통해 초음파 발생부(120)와 침입체(10) 사이의 거리를 초음파 발생부(120)에서 발생되어 초음파 수신부(130)에 수신되는 시간과 음속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 감지부(110)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20) 내에 침입체(10)의 침입을 2차로 감지하는 2차 침입 감지 단계(S130), 및 거리 측정부(140)를 이용하여 침입체(10)와의 거리를 2차로 측정하는 2차 거리 측정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S140).
다음으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입체(10)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150)를 작동시켜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릴 수 있다(S150). 여기서 알림부(150)는 빛, 소리, 진동 및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침입체(10)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는 2차 침입 감지 단계(S130)에서 침입체(10)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는 1차로 침입을 감지한 경우 바로 침입을 알리는 경우 동물에 의한 오보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오보를 줄이기 위해 2차 침임을 감지한 후 알림부(150)를 작동시키는 것이다.
더 나아가, 1차 거리 측정 단계(S120)에서 측정한 1차 측정 거리가 2차 거리 측정 단계(S140)에서 측정한 2차 측정 거리 미만인 경우, 2차 침입 감지 단계(S140)에서 침입체(10)의 침입이 감지되더라도 알림부(150)를 비활성화시켜 작동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S160).
이를 과정을 통해, 동물이 초음파를 듣고 감지 영역(20)에서 벗어나는 경우에 동물의 침입에 의한 오보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침입체
20: 감지 영역
30: 초음파 전달 영역
100: 침입 감지 장치
110: 침입 감지부
120: 초음파 발생부
130: 초음파 수신부,
140: 거리 측정부
150: 알림부
160: 제어부

Claims (11)

  1.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부;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어 상기 침입체에 의해 반사되는 초음파를 수신하는 초음파 수신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상기 초음파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 및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알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감지 영역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기 침입 감지부, 상기 초음파 발생부, 상기 초음파 수신부, 상기 거리 측정부, 및 상기 알림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복수회 측정하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침입 감지부가 1차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감지하는 1차 침입 감지 단계를 수행하면, 1차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1차 거리 측정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거리 측정부는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 이후, 상기 침입 감지부가 2차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감지하는 2차 침입 감지 단계를 수행하면, 2차로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2차 거리 측정 단계를 수행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보다 짧거나 같은 경우, 상기 알림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가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된 거리보다 먼 경우, 상기 알림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비활성화시키는, 침입 감지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입 감지부는 적외선, 레이저광, 및 전자파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상기 침입체의 칩입을 감지하는, 침입 감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상기 침입 감지부가 감지하는 상기 감지 영역보다 넓은 영역까지 초음파를 전달하는, 침입 감지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기설정된 영역 범위로 초음파를 전달하는 지향성 스피커를 포함하는, 침입 감지 장치.
  8. 침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감지 영역 내에 침입체의 침입을 1차로 감지하는 1차 침입 감지 단계;
    초음파 발생부를 이용하여 사람의 가청주파수를 초과하는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단계;
    초음파 수신부를 이용하여 초음파를 수신하는 단계;
    거리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초음파가 상기 초음파 수신부에 수신되는 시간을 이용하여 상기 초음파 발생부와 상기 침입체 사이의 거리를 1차로 측정하는 1차 거리 측정 단계; 및
    상기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알림부를 작동시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초음파 발생부는 동물의 가청주파수 범위 내의 초음파를 발생시켜 상기 감지 영역 내로 동물의 침입을 방지하고,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 이후에,
    상기 침입 감지부를 이용하여 상기 감지 영역 내에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2차로 감지하는 2차 침입 감지 단계; 및
    상기 거리 측정부를 이용하여 상기 침입체와의 거리를 2차로 측정하는 2차 거리 측정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침입체의 침입을 알리는 단계는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1차 측정 거리가 상기 2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2차 측정 거리 미만인 경우, 상기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더라도 상기 알림부를 비활성화시키고,
    상기 1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1차 측정 거리가 상기 2차 거리 측정 단계에서 측정한 2차 측정 거리 이상인 경우, 상기 알림부를 작동시키고,
    상기 2차 침입 감지 단계에서 상기 침입체의 침입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상기 알림부를 비활성화시키는, 침입 감지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90057079A 2019-05-15 2019-05-15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KR1022554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79A KR102255451B1 (ko) 2019-05-15 2019-05-15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7079A KR102255451B1 (ko) 2019-05-15 2019-05-15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25A KR20200132125A (ko) 2020-11-25
KR102255451B1 true KR102255451B1 (ko) 2021-05-21

Family

ID=736452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7079A KR102255451B1 (ko) 2019-05-15 2019-05-15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545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121A (ja) *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動物威嚇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4081A (ko) 2012-01-16 2013-07-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침입 감지 장치 및 그 방법
KR20160129443A (ko) * 2015-04-30 2016-11-09 주식회사 케이엠씨로보틱스 사람과 동물의 식별이 가능한 지능형 센서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안시스템
KR101911312B1 (ko) * 2016-09-13 2019-01-04 유한회사엠지유 감지된 소리의 방향으로 회전되는 초지향성 스피커를 구비한 유해동물 퇴치기 및 방법
KR20180104534A (ko) * 2017-03-13 2018-09-21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유해동물 방제장비 및 이를 이용한 유해동물 방제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00121A (ja) * 2005-06-27 2007-01-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小動物威嚇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2125A (ko) 2020-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13444A1 (en) Multi-layered safety system
US6731204B2 (en) Object detection system providing driver information through sound
US20050231353A1 (en) Intrusion detection system including over-under passive infrared optics and a microwave transceiver
CN113392869B (zh) 用于事件检测、定位和分类的视觉-听觉监测系统
JP4515490B2 (ja) 範囲選択可能な動き検知のシステム及び方法
US888037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tinguishing between human being and animal using selective stimuli
KR102255451B1 (ko)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KR20110086210A (ko) 3차원 음원 위치 측정을 이용한 침입 감지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140118170A1 (en) Vehicle detector
JP2005092727A (ja) 車両周辺監視システム
KR101807774B1 (ko) 트랩 코일을 사용하여 송신 안테나를 구현한 도플러 센서
JP2012014359A (ja) 監視用センサ
GB2311158A (en) Dual technology object detection device
JP3918115B2 (ja) 監視警告システム
JP2004157102A (ja) マイクロ波感知器
AU2018226504B2 (en) Chamberless smoke detector
KR101675492B1 (ko) 동적 객체 탐지 시스템 및 방법
JP2001229471A (ja) 侵入検知装置
KR102238030B1 (ko) 안티 마스킹 기능을 갖는 적외선 감지 장치
DE602006003447D1 (de) Detektionsvorrichtung durch Mikrowellenschranke
KR20200132124A (ko)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EP3211614B1 (en) Device and method for a security sensor
KR20200132168A (ko) 침입 감지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침입 감지 방법
JP2020083246A (ja) 警報音制御装置、警報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8329358A (ja) 侵入者検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