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5258B1 - A tape feeder - Google Patents

A tape feed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5258B1
KR102255258B1 KR1020150032512A KR20150032512A KR102255258B1 KR 102255258 B1 KR102255258 B1 KR 102255258B1 KR 1020150032512 A KR1020150032512 A KR 1020150032512A KR 20150032512 A KR20150032512 A KR 20150032512A KR 102255258 B1 KR102255258 B1 KR 102255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scraper
tip
protrusion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25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49430A (en
Inventor
세이치 미야하라
키요모리 니시무라
나오토 고게쯔
키미유키 야마사키
Original Assignee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정밀기계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60049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943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5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5258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17Feeding with belts or tap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84Containers and magazines for components, e.g. tube-like magaz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a component supply tape having a carrier tape for supporting a component and a cover tape attached to the carrier tape along a tape transfer path, the cover by a scraper disposed in the tape transfer path A tape feeder for peeling a tape, comprising: a tape feeder in which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tape conveying path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tape conveying path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Description

테이프 피더{A tape feeder}A tape feeder

본 발명은,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이하, 단순히 「테이프」라고도 함)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테이프 피더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tape feeder that supplies a component to a pickup position of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by moving a component supply tape (hereinafter, simply referred to as "tape") supporting the component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부품 실장 장치에서 이송 탑재 헤드의 노즐의 픽업 위치에 부품(전자 부품)을 공급하는 방법으로서, 테이프 피더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은, 부품을 지지하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공급 릴로부터 꺼내고 부품의 실장 타이밍에 동기시켜 피치 이송하여 노즐의 픽업 위치에 공급하는 것이다.As a method of supplying a component (electronic component) to a pickup position of a nozzle of a transfer mounting head in a component mounting apparatus, a method using a tape feeder is known. In this method,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for supporting the component is taken out from the supply reel, pitched in synchronization with the mounting timing of the component, and supplied to the pickup position of the nozzle.

부품 공급용 테이프는, 부품을 보유하고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와, 부품의 보호와 탈락 방지를 위해 그 부품을 덮도록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커버 테이프는 픽업 위치에 보내지기 바로 전에 캐리어 테이프의 상면으로부터 박리된다. 그 때문에, 종래 일반적인 테이프 피더는, 그 테이프 이송 경로의 도중에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기 위한 스크레이퍼 등으로 이루어지는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를 가진다(예를 들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56220호 참조). 이러한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 테이프 이송 중에 연속적으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수 있다. The component supply tape consists of a carrier tape that holds and supports the component, and a cover tape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carrier tape to cover the component to protect and prevent the component from falling off, and the cover tape is sent to the pickup position. It is peele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carrier tape just before. Therefore, a conventional general tape feeder has a cover tape peeling mechanism made of a scraper or the like for peeling the cover tape from the carrier tape in the middle of the tape conveying path (see, for example, Japanese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2012-156220). With such a cover tape peeling mechanism, it is possible to continuously peel the cover tape from the carrier tape during tape transfer.

그러나 테이프를 자동 세팅하는 경우 등의 새로운 테이프를 테이프 피더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커버 테이프 박리 기구에 의해서는 새로운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데 어려움이 존재한다. 특히 테이프의 선단은 테이프 절단시의 영향 등에 의해,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가 많다. 그렇다면, 캐리어 테이프(T1)와 커버 테이프(T2)의 계면 위치가 스크레이퍼(11)의 높이 위치에 맞지 않기 때문에, 커버 테이프의 박리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게 된다.However, in the case of attaching a new tape to a tape feeder such as a case of automatically setting a tape, there is a difficulty in peeling the cover tape from the carrier tape at the leading end of the new tape by the cover tape peeling mechanism. In particular, the tip of the tape often sags downward as shown in FIG. 1 due to the influence of cutting the tape or the like. If so, since the interface position between the carrier tape T1 and the cover tape T2 does not match the height position of the scraper 11, peeling of the cover tape is often unsuccessful.

이 점에 관해, 일본공개특허공보 2012-156220호에서는 커버 테이프의 박리 개시 위치에서 테이프를 하방으로부터 가이드하는 하방 가이드 부재를 레버 부재에 의해 하면측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테이프를 하방으로부터 밀어 올리는 것만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프 선단의 처짐을 교정하는 것은 어렵고 여전히 커버 테이프의 박리 실패가 일어나고 그 박리 성공률은 충분하지 않다.In this regard, Japanese Laid-Open Patent Publication No. 2012-156220 proposes a configuration in which a lower guide member that guides the tape from below at a peeling start position of the cover tape is pushed up by a lever member from the lower surface side. However, it is difficult to correct the sag of the tip of the tape as shown in Fig. 1 just by pushing the tape up from the bottom, and the peeling failure of the cover tape still occurs, and the peeling success rate is not sufficien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때 박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테이프 피더를 제공하는 것을 주된 과제로 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main object to provide a tape feeder capable of improving a peeling success rate when peeling a cover tape from a carrier tape at a tip portion of a component supply tap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는 돌기를 가지는 탄성 부재가 배치된 테이프 피더를 제공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moving a component supply tape having a carrier tape for supporting a component and a cover tape attached to the carrier tape along a tape transfer path, the cover by a scraper disposed in the tape transfer path A tape feeder for peeling a tape, comprising: a tape feeder in which an elastic member having a protrus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tape conveying path is disposed in a portion of the tape conveying path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여기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만약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져 있었다고 해도, 그 선단 부분이 돌기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어 올려져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의 상기 캐리어 테이프와 상기 커버 테이프의 계면 위치가 상기 스크레이퍼의 높이 위치에 맞도록 교정되기 때문에 박리 성공률이 향상된다.Here, as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hits the protrusion,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is pushed upward, and the protrusion can elastically enter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Therefore, even if the tip portion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is sagging as shown in Fig. 1, the tip portion is elastically pushed up by the protrusion, and the carrier tape at the tip portion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and Since the interface position of the cover tape is corrected to match the height position of the scraper, the peeling success rate is improved.

여기서, 상기 돌기는,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 직전 부분부터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 있으면,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커버 테이프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도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가 최고점 위치까지 밀어 올려진다. 그렇다면,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상기 돌기의 최고점을 상기 스크레이퍼의 하류측으로 하면,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상기 커버 테이프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상기 스크레이퍼가 상기 캐리어 테이프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Here,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from a portion immediately before the tip of the scraper along the tape transfer path to a downstream side of the tip of the scraper,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protrusion may be locat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tip of the scraper. . If the highest point of the protrusion is just before the scraper, the component supply tape is pushed up to the highest point position just before the scraper even after the peeling of the cover tape from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is finished. If so, there is a concern that the scraper may interfere with the component on the carrier tape. On the other hand, if the highest point of the protrusion is the downstream side of the scraper,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which the scraper contacts and interferes with the parts on the carrier tape after peeling of the cover tape is finished at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Can be suppressed.

여기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의 부분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 부분의 상방에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전체 폭에 걸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개구부를 설치하면,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에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쳤을 때에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밀어 올려지기 쉬워지므로 박리 성공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Here, an opening extending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may be formed above a portion of the tape transfer path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When the openings are provided in this way, when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hits the protrusion just before the scraper,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is easily pushed up, so that the peeling success rate can be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테이프 피더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에서 캐리어 테이프에서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킬 때 박리 성공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박리 실패에 의한 테이프 피더의 동작 정지 빈도를 저감할 수 있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tape feeder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effect of improving the peeling success rate when peeling the cover tape from the carrier tape at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frequency of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tape feeder due to peeling failure, thereby improving productivity.

도 1은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 부분이 처진 경우에 부품 공급용 테이프와 스크레이퍼의 위치 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스크레이퍼 근방을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정면 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제1 판스프링 부재 및 제2 판스프링 부재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a component supply tape and a scraper when the tip portion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sags.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ape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 feeder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n obliquely upward direction in the vicinity of the scraper.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 3.
5 is an enlarged view of an essential part of FIG. 4.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taken alo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3.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first leaf spring member and a second leaf spring memb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함으로써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and drawings,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by using the same reference numerals for components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figura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한 테이프 피더의 전체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tape feed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는, 가늘고 긴 상자형의 테이프 피더 본체(1) 안에, 이하에 설명하는 각 요소가 배치되어 구성되어 있고, 부품을 지지하고 있는 테이프(T)를 피치 이송함으로써 부품을 부품 실장 장치의 픽업 위치(P)에 공급한다. 도시는 생략되었으나, 테이프(T)에는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피치(정피치)로 부품이 지지되어 있다.In the tape feeder shown in Fig. 2, each element described below is arranged and configured in a tape feeder body 1 of an elongated box shape, and components are transferred by pitch feeding the tape T supporting the component. It is supplied to the pickup position P of the component mounting device. Although not shown, components are supported on the tape T at a predetermined pitch (positive pitc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테이프 피더 본체(1)에는, 상부에 위치한 픽업 위치(P)로 연결되는 테이프 이송 경로(2)가 설치되어 있다. 테이프(T)는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테이프 도입부(2a)로부터 도입되어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되는데, 설명을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테이프(T)가 이송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를 정의한다. 예를 들어, 제1 스프로켓(3)은 제2 스프로켓(6)에 비하여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고, 제2 스프로켓(6)은 제1 스프로켓(3)에 비하여 상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The tape feeder main body 1 is provided with a tape conveying path 2 connected to a pickup position P located at the top. The tape T is introduced from the tape introduction part 2a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and conveyed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2. For the sake of explanation, in this specification, referring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tape T is conveyed, ``upstream And "downstream" are defined. For example, the first sprocket 3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side compared to the second sprocket 6, and the second sprocket 6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compared to the first sprocket 3.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하류단 측에는 제1 스프로켓(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스프로켓(3)의 이빨은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미도시)에 맞물리고, 제1 스프로켓(3)이 피치 회전함으로써 테이프를 피치 이송시킨다.A first sprocket 3 is disposed on the downstream end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The teeth of the first sprocket 3 are engaged with a tape conveying hole (not shown) formed with a positive pitch in the tape T, and the first sprocket 3 rotates pitch, thereby pitching the tape.

제1 스프로켓(3)은 복수의 중간 기어(4)에 의해 제1 모터(5)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으며, 제1 모터(5)의 구동에 의해 제1 스프로켓(3)이 회전한다. 제1 스프로켓(3)의 설치 위치는 부품의 픽업 위치(P)와 근접하게 된다.The first sprocket 3 receives power from the first motor 5 by a plurality of intermediate gears 4, and the first sprocket 3 rotates by driving the first motor 5.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first sprocket 3 approaches the pickup position P of the component.

제1 스프로켓(3)의 상류측에 제2 스프로켓(6)이 배치되고, 제2 스프로켓(6)의 상류측에 제3 스프로켓(7)이 배치되어 있다.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 각각의 이빨은 테이프(T)에 정피치로 형성된 테이프 이송용 구멍부에 맞물리고,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이 회전함으로써, 테이프(T)가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된다.The second sprocket 6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first sprocket 3, and the third sprocket 7 is dispos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econd sprocket 6. The teeth of each of the second sprocket (6) and the third sprocket (7) are engaged with the tape transfer hole formed with a regular pitch in the tape (T), and the second sprocket (6) and the third sprocket (7) rotate. By doing so, the tape T is conveyed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2.

제2 스프로켓(6) 및 제3 스프로켓(7)은, 복수의 중간 기어(4)를 통해 각각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한다. 이들 제1 모터(5),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의 구동은 제어부(10)가 제어한다. 제1 모터(5), 제2 모터(8) 및 제3 모터(9)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엔코더가 장착된 서보 모터를 사용하고 있다.The second sprocket 6 and the third sprocket 7 rotate by receiving power from the second motor 8 and the third motor 9 respectively through a plurality of intermediate gears 4. The first motor 5, the second motor 8, and the third motor 9 are driven by the controller 10. The types of the first motor 5, the second motor 8, and the third motor 9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 this embodiment, a servo motor equipped with an encoder is use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테이프 피더의 스크레이퍼 근방을 경사 상방에서 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정면 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A-A 단면에 의한 주요부의 사시도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tape feeder shown in FIG. 2 as viewed from an obliquely upward direction, FIG. 4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FIG. 3, and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4. In addi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taken along the A-A cross section of FIG.

테이프 이송 경로(2) 중 제1 스프로켓(3)과 제2 스프로켓(6) 사이의 이송 경로에는 스크레이퍼(11)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크레이퍼(11)에 의해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동하는 테이프(T)의 캐리어 테이프로부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킨다.A scraper 11 is disposed in the conveying path between the first sprocket 3 and the second sprocket 6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The cover tape is peeled off from the carrier tape of the tape T moving along the tape conveyance path 2 by this scraper 11.

스크레이퍼(11)는 상면 가이드 부재(12)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지지 핀(13)을 통해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지지 핀(13)의 둘레로 회전함으로써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개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The scraper 11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upper guide member 12. And,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is attached to the tape feeder main body 1 through a support pin 13. Thereby,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is configur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with respect to the tape feeder main body 1 by rotating around the support pin 13.

지지 핀(13)은,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지지 핀(13)은 탄성 부재(미도시)에 의해 항상 하방으로 바이어스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대해 하방으로 바이어스되면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The support pin 13 is mounted so as to be movable vertically with respect to the tape feeder main body 1, and the support pin 13 is always biased downwar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Thereby,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is biased downward with respect to the tape feeder main body 1 and is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피더 본체(1)에 일체적 또는 고정적으로 설치된 하면 가이드 부재(14)와 함께, 테이프 이송 경로(2)의 일부를 형성한다. 즉,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 이송 경로(2) 중 적어도 스크레이퍼(11)의 상류측에 위치한 부분을 형성한다.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together with the lower surface guide member 14 provided integrally or fixedly to the tape feeder main body 1 forms a part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That is,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forms a portion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at least located on the upstream side of the scraper 11.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 가이드 부재(12)는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상면을 가이드하는 상부 가이드면(12a)을 가지며, 하면 가이드 부재(14)는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14a)을 가진다. 즉, 상면 가이드 부재(12)의 상부 가이드면(12a)과 하면 가이드 부재(14)의 하부 가이드면(14a)은 테이프 이송 경로(2)의 일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6, the upper guide member 12 has an upper guide surface 12a for guiding the upp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ape T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lower guide member 14 has a tape ( It has a lower guide surface 14a that guides the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 That is, the upper guide surface 12a of the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 and the lower guide surface 14a of the lower surface guide member 14 are configured to form a part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또한, 하면 가이드 부재(14)에 있어서 테이프(T)의 폭방향 양측의 하면을 가이드하는 하부 가이드면(14a)은 테이프(T)의 폭방향으로 이격하여 설치되어 있고, 이들 폭방향 양측의 하부 가이드면(14a, 14a)의 사이에는, 테이프(T)의 캐리어 테이프(T1)에 지지되어 있는 부품(미도시)이 통과 가능한 공간(14b)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in the lower surface guide member 14, the lower guide surfaces 14a that guide the lower surfaces of both sides of the tape T in the width direction are provide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ape T, and Between the guide surfaces 14a and 14a, a space 14b through which a component (not shown) supported by the carrier tape T1 of the tape T can pass is formed.

이 공간(14b)은, 테이프(T)가 지지할 수 있는 최대 부품이 통과 가능한 크기로 되어 있는데, 이 공간(14b)을 이용하여 제1 판스프링 부재(15) 및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조립되어 배치된다.This space 14b has a size that allows the largest part that can be supported by the tape T to pass, and the space 14b is used to form the first leaf spring member 15 and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 Is assembled and placed.

도 6에서는 설명을 위해, 제1 판스프링 부재(15) 및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생략되어 도시되어 있지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는 대략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양단이 테이프 피더 본체(1)에 고정되고, 상변(15a)이 테이프 이송 경로(2)의 하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된다. 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는 탄성 부재로서, 그 상변(15a)은,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이송되는 테이프(T)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In FIG. 6, for explanation, the first leaf spring member 15 and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are omitted, but as shown in FIG. 7, the first leaf spring member 15 has a substantially trapezoidal shape. 4, both ends thereof are fixed to the tape feeder body 1, and the upper side 15a is disposed so as to be located on the lower surface side of the tape transfer path 2. This first leaf spring member 15 is an elastic member, and its upper side 15a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 T conveyed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2.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판스프링 부재(16)는 탄성 부재로서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길이방향 절반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지며, 그 선단측에 수직으로 돌출된 돌기(16a)를 가진다. In addition, as shown in FIG. 7,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is an elastic member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lengthwise half of the first leaf spring member 15, and protrudes perpendicularly to the front end side thereof. It has a protrusion (16a).

이러한 돌기(16a)는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상변(15a)에 형성된 슬릿(15b)에 끼워짐으로써,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판스프링 부재(15)와 제2 판스프링 부재(16)가 조합된 상태로 테이프 피더 본체(1)에 장착된다. 즉,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일단은 제1 판스프링 부재(15)의 일단과 함께 테이프 피더 본체(1)에 고정된다. 한편,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선단측(돌기(16a)측)은 자유단 상태로 구성되며, 탄성적으로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These protrusions 16a are fitted in the slit 15b formed on the upper side 15a of the first plate spring member 15, and thus the first plate spring member 15 and the second plate spring The member 16 is mounted on the tape feeder body 1 in a combined state. That is, one end of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is fixed to the tape feeder body 1 together with one end of the first leaf spring member 15. On the other hand, the front end side (the protrusion 16a side) of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is configured in a free end state, and is elastically mov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러한 제2 판스프링 부재(16)의 돌기(16a)와 스크레이퍼(11)의 위치 관계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된다. 즉, 돌기(16a)는 테이프 이송 경로(2)를 따라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 직전 부분부터 스크레이퍼(11) 선단(11a)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하며, 아울러 돌기(16a)는 테이프 이송 경로(2)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한다. 또한, 돌기(16a)의 최고점(16a-1)은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의 하류측에 위치한다.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he protrusion 16a of the second leaf spring member 16 and the scraper 11 is as shown in FIG. 5. That is, the protrusion (16a) is located from the portion immediately before the tip (11a) of the scraper (11)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2) to the downstream side of the scraper (11) tip (11a), and the protrusion (16a) is tape It is position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conveying path 2. Further, the highest point 16a-1 of the protrusion 16a is locat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tip 11a of the scraper 11.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 테이프 이송 경로(2)에 이송되어 온 테이프(T)의 선단이 스크레이퍼(11) 직전에서 돌기(16a)에 부딪치면, 돌기(16a)는 그 테이프(T)의 선단을 상방으로 밀어 올리면서 그 테이프(T)의 하면 쪽에 탄성적으로 진입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져 있었다고 해도,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돌기(16a)에 의해 탄성적으로 밀어 올려져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의 캐리어 테이프(T1)와 커버 테이프(T2)의 계면 위치가 스크레이퍼(11)의 높이 위치에 맞게 되어 박리 성공률이 향상된다.In the above configuration, when the tip of the tape T conveyed in the tape conveying path 2 hits the protrusion 16a just before the scraper 11, the protrusion 16a moves the tip of the tape T upward. While pushing it up, it elastically enters the lower surface of the tape (T). As a result, even if the tip portion of the tape T is sagging as shown in FIG. 1, the tip portion of the tape T is elastically pushed up by the protrusion 16a, and at the tip portion of the tape T The position of the interface between the carrier tape T1 and the cover tape T2 is adjusted to the height position of the scraper 11, so that the peeling success rate is improved.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16a)의 최고점(16a-1)은 스크레이퍼(11)의 선단(11a)으로부터 하류측에 위치한다. 이에 의해,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 커버 테이프(T2)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테이프 이송 경로(2)의 부분 중 스크레이퍼(11) 직전 부분에서 테이프(T)가 과잉으로 밀어 올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프(T)의 선단 부분에서 커버 테이프(T2)의 박리가 종료된 후에 스크레이퍼(11)가 캐리어 테이프(T1) 상의 부품과 접촉하여 간섭하는 문제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highest point 16a-1 of the protrusion 16a is located downstream from the tip 11a of the scraper 11. This prevents the tape T from being pushed up excessively from the part of the tape transfer path 2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11 after the peeling of the cover tape T2 is completed at the tip of the tape T. can do.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occurrence of a problem in which the scraper 11 comes into contact with and interferes with the components on the carrier tape T1 after the peeling of the cover tape T2 is completed at the tip portion of the tape T.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프 이송 경로(2)의 부분 중 스크레이퍼(11) 직전 부분의 상방에 테이프(T)의 전체 폭에 걸치는 개구부(2a)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개구부(2a)가 있으면, 스크레이퍼(11) 직전에서 테이프(T)의 선단이 돌기(16a)에 부딪쳤을 때에 그 테이프(T)의 선단 부분이 밀어 올려지기 쉬워지므로 박리 성공률이 더욱 향상된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as shown in Fig. 3, an opening 2a extending over the entire width of the tape T is formed above the portion of the tape conveying path 2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11. . If there is such an opening 2a, when the tip of the tape T hits the protrusion 16a just before the scraper 11, the tip of the tape T is easily pushed up, so that the peeling success rate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은 테이프 피더의 제조 및 적용에 사용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in the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tape feeders.

1: 테이프 피더 본체 2: 테이프 이송 경로
3: 제1 스프로켓 6: 제2 스프로켓
7: 제3 스프로켓 11: 스크레이퍼
12: 상면 가이드 부재 12a: 상부 가이드면
14: 하면 가이드 부재 14a: 하부 가이드면
15: 제1 판스프링 부재 16: 제2 판스프링 부재
16a: 돌기
1: Tape feeder body 2: Tape transport path
3: 1st sprocket 6: 2nd sprocket
7: 3rd sprocket 11: scraper
12: upper surface guide member 12a: upper guide surface
14: lower guide member 14a: lower guide surface
15: first leaf spring member 16: second leaf spring member
16a: protrusion

Claims (4)

부품을 지지하는 캐리어 테이프 및 상기 캐리어 테이프에 부착된 커버 테이프를 가지는 부품 공급용 테이프를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에 배치된 스크레이퍼에 의해 상기 커버 테이프를 박리시키는 테이프 피더에 있어서,
슬릿이 형성되며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되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판스프링 부재; 및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 중 상기 스크레이퍼 직전의 부분에,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며 상기 슬릿에 끼워지는 돌기를 가지는 제2 판스프링 부재를 포함하는 테이프 피더.
In a tape feeder for peeling off the cover tape by a scraper disposed on the tape transfer path while moving a component supply tape having a carrier tape supporting a component and a cover tape attached to the carrier tape along a tape transfer path ,
A first plate spring member having a slit formed therein and elastically supporting a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supply tape that is transferred along the tape transfer path; And
A tape feeder comprising a second plate spring member having a protrusion fitted in the slit and protruding upward from the tape conveying path in a portion of the tape conveying path immediately before the scrap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이 상기 돌기에 부딪침으로써,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선단은 상방으로 밀어 올려지고, 상기 돌기는 상기 부품 공급용 테이프의 하면측에 탄성적으로 진입하는 테이프 피더.
The method of claim 1,
When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hits the protrusion, the tip of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is pushed upward, and the protrusion resiliently enters the lower surface of the component supplying tap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상기 테이프 이송 경로를 따라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 직전 부분부터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걸쳐 위치하며, 상기 돌기의 최고점이 상기 스크레이퍼의 선단의 하류측에 위치하는 테이프 피더.
The method of claim 1,
The protrusion is located from a portion immediately before the tip of the scraper along the tape conveying path to a downstream side of the tip of the scraper, and the highest point of the protrusion is located on a downstream side of the tip of the scraper.
삭제delete
KR1020150032512A 2014-10-27 2015-03-09 A tape feeder KR102255258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218576 2014-10-27
JP2014218576A JP6498907B2 (en) 2014-10-27 2014-10-27 Tape fee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9430A KR20160049430A (en) 2016-05-09
KR102255258B1 true KR102255258B1 (en) 2021-05-24

Family

ID=55972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2512A KR102255258B1 (en) 2014-10-27 2015-03-09 A tape feeder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498907B2 (en)
KR (1) KR102255258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99973B2 (en) * 2016-09-09 2020-12-16 株式会社Fuji feeder
WO2020026423A1 (en) * 2018-08-02 2020-02-06 株式会社Fuji Tape feed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569A (en) * 2010-04-02 2011-11-0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2014154691A (en)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2569A (en) * 2010-04-02 2011-11-04 Hitachi High-Tech Instruments Co Ltd Electronic component supply device
JP2014154691A (en) * 2013-02-08 2014-08-25 Panasonic Corp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component feed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6086097A (en) 2016-05-19
JP6498907B2 (en) 2019-04-10
KR20160049430A (en) 2016-05-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11600B1 (en) Component feeder
EP2741597B1 (en) Jam prevention mechanism
US10375868B2 (en) Tape feeder
US10426069B2 (en) Feeder
US10939601B2 (en) Component mounting line
JP2008091672A (en) Component supplying device and surface mounter
CN107211565B (en) Installation management device
KR102255258B1 (en) A tape feeder
JP6707626B2 (en) Parts feeder
JP4852386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surface mounter
JP6320001B2 (en) Tape tip processing jig
KR101744609B1 (en) Component feeding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7019861B2 (en) How to load the tape feeder and carrier tape
JP6735633B2 (en) Tape supplier
KR102255259B1 (en) A tape feeder
CN110741745A (en) Electronic component mounting machine
JP2017139373A (en) Tape feeder
JP2017135208A (en) Tape feeder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6301731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EP3429327A1 (en) Part extracting method
KR20230031269A (en) A Feeder for a Carrier Tape
JP5765772B2 (en) Component mounter
US11974402B2 (en) Component supply device
JP2017135207A (en) Tape feeder and component mounting device
JP6827101B2 (en) Tape feed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