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569B1 -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 Google Patents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569B1
KR102254569B1 KR1020210036466A KR20210036466A KR102254569B1 KR 102254569 B1 KR102254569 B1 KR 102254569B1 KR 1020210036466 A KR1020210036466 A KR 1020210036466A KR 20210036466 A KR20210036466 A KR 20210036466A KR 102254569 B1 KR102254569 B1 KR 102254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ture
tube
fibula
insertion tube
a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6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학순
Original Assignee
황학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학순 filed Critical 황학순
Priority to KR1020210036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45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5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2Needle or suture gu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3Hand-held instruments for holding su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85Devices or means, e.g. loops, for capturing the suture thread and threading it through an opening of a suturing instrument or needle eyel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08Muscles; Tendons; Ligaments
    • A61F2/0811Fixation devices for tendons or liga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Cardi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새로운 개념의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에 관한 것으로, 비골에 식립되며, 봉합사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앵커와 스크류 앵커를 뼈에 식립하는 드라이버와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비골근을 덮고 있는 비골근지대 밑으로 삽입되어 삽입로드를 형성하는 가이드봉과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되고 끝단은 둥글게 형성된 삽입패서와 삽입패서에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되어 피부조직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 와이어와 제1삽입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관을 포함하고 상기 관통 와이어를 따라 삽입되어 제1삽입관에 제2삽입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관에 상기 제2삽입관이 삽입된 상태로 제2삽입관의 끝단이 상기 절개부에서 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연결패서와 봉합사를 견인하는 견인줄 및 노출된 봉합사를 피부 밑을 따라 절개부까지 인출하는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비골근지대와 연계하는 고리의 형성을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 있고,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비숙련자도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멸균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The set of surgical tools to safely perform the ankle fibula ring suture fixation technique}
본 발명은 족부 족관절의 관절질환 수술에 이용되는 수술도구세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새로운 개념의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함에 있어서 보다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에 관한 것이다.
인체는 수많은 관절로 이루어져 있고, 각 관절은 뼈, 뼈와 뼈를 연결하는 인대, 뼈와 근육을 연결하는 힘줄이 상호 연계되어 각 관절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관절은 많은 운동량으로 인한 퇴행성 질환이나 기타 관절 질환이 많이 발생하게 되고 있고, 교통사고, 산업재해, 골프나 테니스와 같은 격한 운동으로 인해 관절의 인대 내지 관절막이 빈번하게 손상되는 문제가 있다.
관절의 인대 내지 관절막 등에 손상이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손상된 부위의 피부조직을 절개하여 개방된 상태에서 수술하는 관헐적 수술 방법으로 손상된 인대 내지 관절막을 봉합하는 수술이 보편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족부 족관절 질환의 경우, 운동을 즐기는 인구가 증가하고, 여성들이 하이힐을 많이 신으면서 족부 족관절 질환의 유병율이 상당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족부 족관절의 인대 손상 질환은 도 1 족부 족관절의 인대 손상 질환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거비인대 또는 종비인대가 찢어지는 발목 외측 인대 손상 질환이 족부 족관절 질환 중에서 가장 크게 차지하고 있다.
전거비인대 또는 종비인대가 파열되는 족부 족관절의 인대가 손상된 경우, 상기 도 1의 비교사진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발목을 안쪽으로 밀면, 정상 인대의 경우 전거비인대와 종비인대가 상호 연결되는 뼈를 잡아주어 심하게 틀어지지 않지만, 인대가 손상된 경우에는 인대가 뼈를 잡아주지 못하여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심하게 틀어진다.
이처럼, 인대가 손상된 경우, 족관절의 불안정성과 통증을 유발하고, 방치된 경우 관절염으로 발전한다.
이와 같은 발목 외측 인대 손상 질환은 족관절 손상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손상 정도에 따라 3단계로 나뉜다.
제1도는 외측측부인대군의 부분파열을 의미하고, 제2도는 제일 흔한 형태의 손상으로 전거비인대 또는 종비인대가 파열된 상태이고, 제3도는 심각한 후유증이 자주 발생하는 형태로 전거비인대와 종비인대 모두 파열되어 전방전위검사와 거골 경사 검사에서 모두 양성이 나타난다.
통상적으로 이와 같은 족관절 염좌는 염좌 정도에 따라 제1도의 경우 일반적으로 비수술적 요법이 적용되고 제2도와 제3도는 일반적으로 수술적 요법이 적용된다.
비수술적 요법으로는 물리치료를 통한 관절운동 범위를 회복하는 운동과 근육 강화 운동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수술적 요법은 인대재건수술법과 같이 해부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술법으로 뼈에 식립된 앵커에 연결된 봉합사를 이용하여 절개된 인대를 연결시켜 봉합하거나, 도 2 족부 족관절 인대 손상에 대하여 해부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술법의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부 파열된 인대를 직접 봉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족부 족관절의 인대 손상에 따른 질환에 대하여 손상된 인대를 재건하는 수술적 요법의 경우, 정상적인 생활을 하기 위해서는 수술 후 회복기간이 10주 이상 소요되는 문제가 있어 수술 후 일상생활에 바로 복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손상된 인대를 뼈에 식립된 앵커에 연결된 봉합사를 이용하여 봉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인대재건 수술의 경우, 상당 기간 불편함과 고통이 유지되는 문제점이 있고, 수술 후에도 3개월 이상의 회복기간이 필요한 문제가 있고, 인대의 재건 후에도 쉽게 봉합 부위가 재파열되는 문제와 재파열로 인해 합병증이 빈번하게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수술후 곧바로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재파열 염려가 없으며, 수술 받은 모든 환자들이 효과를 볼 수 있는 새로운 족부 족관절 수술법인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이 제안되었다.
상기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은 새로운 개념의 족부 족관절 인대 손상 수술법으로 종래 손상된 전거비인대 내지 종비인대의 손상부위를 직접 봉합사로 봉합시킴으로 인해 발생하는 많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손상된 전거비인대 내지 종비인대를 직접적으로 봉합하지 않고, 도 3 족부 족관절의 비골근과 비골근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골근을 지지하는 비골근지대를 이용하여 비골근지대와 주변 조직을 연계하여 비골측으로 당겨지도록 고정함으로써 손상된 전거비인대 내지 종비인대가 더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하고, 환자는 일상생활을 충분히 하면서도 고통없이 손상된 인대의 손상부위가 치유될 수 있도록 하는 수술법이다.
구체적으로 도 4 비골근지대를 이용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골근지대에서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분기되는 지점(W)까지의 피부 아래 조직, 인대 및 비골근지대를 고리형태로 한 덩어리로 묶어서 비골측으로 당김으로써, 종비인대 또는 전거비인대의 손상으로 인해 관절운동범위가 과도하게 확장되어 발목이 안쪽으로 심하게 틀어지는 발목부위의 불안정성을 개선한다.
즉, 본 발명이 적용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은 상기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골쪽에서 내려오는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으로 이루어진 비골근을 지지하는 단단한 조직인 비골근지대를 이용하여 비골근지대와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나누어지는 지점까지의 피부 밑 조직과 인대와 비골근지대를 비골에 식립된 앵커에 결합된 봉합사를 고리형태로 묶어서 봉합사에 의해 묶어진 조직과 인대와 비골근지대를 앵커가 식립된 비골쪽으로 당겨지게 함으로써 발목의 비안정성을 개선한다.
이와 같은 봉합사가 결합된 앵커는 필요에 따라 1개에서 4개까지 비골에 식립되어 1개 내지 4개의 고리를 형성한다.
위와 같이 봉합사를 이용하여 상대적으로 튼튼한 조직인 비골근지대와 연계된 고리를 만들어 피부 밑의 조직과 인대 및 비골근지대를 함께 묶어 고정시키고 앵커가 식립된 위치인 비골의 끝부분으로 당김으로써 손상된 종비인대 내지 전거비인대를 보완하여 발목의 불안정성을 개선하고, 손상된 종비인대 내지 전거비인대가 자연스럽게 치유될 수 있는 신체적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관절 부위가 원활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면서도 종비인대 내지 전거비인대 손상부위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줄이고, 비골근에서 속발되는 통증 유발 요인을 제거함으로써 수술후 일상생활로 즉시 복귀가 가능한 새로운 개념의 족부 족관절 수술법이다.
한편, 이와 같은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도 5 종래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에 사용되던 수술도구 세트의 예를 보인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가 결합된 나사(앵커)를 뼈에 심기 위한 수술도구, 봉합사를 인출하기 위한 수술도구, 인출된 봉합사를 이용하여 손상 부위를 꿰매기 위한 수술도구, 봉합사를 묶기 위한 수술도구 등이 필요하고, 무릎관절, 어깨관절, 발목관절, 팔꿈치관절 및 손목관절 수술 등에 사용되는 수술도구세트(S1)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관절 수술용 수술도구세트(S1)로 새로운 개념의 수술법인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몇가지 중대한 문제점이 있다.
먼저, 종래의 관절 수술용 수술도구세트(S1)를 이용하여 비골근지대와 연계된 고리를 만들어 피부 밑의 근육조직과 함께 묶어 고정시키는 수술 과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봉합사를 이용하여 고리를 만드는 과정에서 대부분의 수술도구 끝이 매우 날카롭게 형성되어 신경 조직 등의 손상을 유발할 가능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관절 수술용 수술도구세트(S1)는 다양한 관절 수술에 이용하기 위하여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이 적용되는 수술 부위(R1, R2)의 대략적인 길이인 10 cm 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길게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으로 수술시 환자의 발목을 최대한 저측으로 굴절시켜 발목과 종아리가 펴진 상태로 하여 절개 부위(R1)와 고리가 형성되는 부위(R2)가 가능한 나란하게 된 상태에서 실시된다.
따라서,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하는 자는 상당히 불편한 자세로 수술을 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비골근지대와 연계하여 고리를 만드는 행위 자체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숙련된 의사만이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의사의 경험과 감각을 통해서만 실시할 수 있어 환자의 입장에서 매우 효과적인 수술 방법인데도 불구하고, 보편적으로 실시하는데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수술방법인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수술도구세트가 요구되고 있다.
한편, 도 6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6-0145139호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척추 내시경 수술의 경우 척추 내시경 수술에 용이하도록 수술도구세트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6-0145139호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는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 기구 세트는 수술 부위에 최소 침습의 두 개의 시술공을 확보하고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피부나 근육에 불필요한 절개를 하지 않아도 되며, 그 확보된 공간을 통해 시야 확보가 가능한 내시경 및 수술 기구를 삽입하여 수술을 시행할 수 있게 되므로 시술자의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구체적으로 수술 부위에 형성되는 시술공을 확장하는 확장 관체 및 확장된 시술공을 유지하는 유지 관체를 포함하는 시술공간 확보도구; 및 뼈, 근육, 지방조직, 인대 또는 신경에 인접한 주변 조직을 분리하거나 박리하는 박리기, 병소를 제거하는 병소 제거기, 뼈에 붙어있는 연골을 제거하는 연골 제거기, 수술 부위의 신경을 견인하는 신경 견인기, 수술 시 발생되는 찌꺼기 또는 액상물질을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흡입기, 뼈를 절제하는 뼈 절제기, 자가골 또는 인공 골성분 물질을 주입하는 뼈 주입기 및 시술공을 확장하는 시술공 확장기를 포함하는 수술 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확장 관체는 내삽 관체 및 외삽 관체를 별도로 포함하며, 상기 내삽 관체는 수술 부위까지 도달하기 위해 일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되며 타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되며 길이가 상기 외삽 관체보다 길며 직경이 상기 외삽 관체의 내경보다 작고, 상기 외삽 관체는 뼈 주변의 조직을 박리하여 시술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일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되며 타단부에 파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손상된 종비인대 내지 전거비인대를 위해 비골근지대와 연계하는 고리를 형성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안전하고 정확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도구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목이 자연스럽게 놓여진 상태에서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수술도구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수술도구세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에 있어서, 비골에 식립되며, 드라이버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헤드부는 봉합사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앵커; 상기 스크류 앵커의 헤드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고, 상기 봉합사가 인출되며, 상기 스크류 앵커를 뼈에 식립하는 드라이버; 막대형상으로 5 ~ 15 cm 길이의 삽입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족부 발목 부위 외측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비골근을 덮고 있는 비골근지대 밑으로 삽입되어 비골근의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나뉘는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삽입로드를 형성하고 탐지하며, 상기 삽입부의 끝단 부분은 둥글게 형성되는 가이드봉;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봉에 의해 형성된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되고 끝단은 둥글게 형성된 제1삽입관과 상기 제1삽입관과 연결되는 제1연장관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1관체부와, 상기 제1연장관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패서; 상기 삽입패서에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된 강성 와이어로, 상기 삽입패서의 제1연장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관을 통해 인출되어 피부조직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 와이어; 상기 제1삽입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관과 상기 제2삽입관과 연결되는 제2연장관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2관체부와, 상기 제2연장관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와이어를 따라 삽입되어 제1삽입관에 상기 제2삽입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관에 상기 제2삽입관이 삽입된 상태로 제2삽입관의 끝단이 상기 절개부에서 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연결패서; 상기 봉합사와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를 상기 연결패서를 통해 피부밖으로 노출되도록 견인하는 견인줄;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해 피부 밑 피하지방층을 따라 피부 밖으로 노출된 봉합사가 위치한 지점까지 삽입되어 상기 노출된 봉합사를 피부 밑을 따라 절개부까지 인출하는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스크류 앵커는 나사못 형태로 뼈에 바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하부의 끝단은 삽입날이 형성되고, 드라이버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헤드부는 봉합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봉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1 ~ 2 cm 길이의 끝부분을 10도 ~ 15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삽입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5 ~ 12 cm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는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손상된 종비인대 내지 전거비인대로 인한 불안전성을 해결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함에 있어서, 봉합사를 이용하여 비골근지대와 연계하는 고리의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고, 보다 정확하게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발목이 자연스럽게 놓여진 상태에서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멸균을 통해 재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족부 족관절의 인대 손상 질환의 예를 보인 도면,
도 2는 족부 족관절 인대 손상에 대하여 해부학적으로 이루어지는 수술법의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족부 족관절의 비골근과 비골근지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비골근지대를 이용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개념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종래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에 사용되던 수술도구세트의 예를 보인 위한 도면,
도 6은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6-0145139호 '후방 2개 통로 척추 내시경 수술용 수술 기구 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스크류 앵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스크류 앵커 식립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가이드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삽입패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연결패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7은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10)는 스크류 앵커(100), 드라이버(200), 가이드봉(300), 삽입패서(400), 관통 와이어(500), 연결패서(600), 견인줄(700) 및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위와 같이,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를 이루는 구성들의 재료는 의료기구로 사용이 허가된 금속 내지 합성수지 소재로 이루어지며, 본 발명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10)를 이루는 구성들의 소재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명하지 않는다.
상기 스크류 앵커(100)는 도 8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스크류 앵커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은 원통형 쓰레드 형상 또는 상광하협 형태를 갖는 나사못 형상으로 뼈에 바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하부의 끝단은 삽입날(101)이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앵커(100)는 종래 앵커와 같이 앵커를 식립하기 위한 사전 드릴링 작업이 요구되지 않고, 바로 뼈에 식립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앵커(100)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라이버(200)의 장착홈(211)에 삽입되며 드라이버(200)의 회전으로 회전력이 전달되도록 상부의 헤드부(120)는 육각 또는 사각 기둥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류 앵커(100)의 헤드부(120)는 스크류 앵커(100)의 내측 쓰레드보다 작은 정사각 기둥 형태로 한다.
한편, 이와 같은 헤드부(120)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봉합사(110)가 관통되는 관통공(122)을 갖는다.
일반적인 앵커는 봉합사의 끝단이 앵커 자체에 고정결합되어 봉합사의 움직임을 허용하지 않지만, 본 발명에 따른 스크류 앵커(100)는 헤드부(120)에 봉합사(110)가 삽입되어 걸리는 관통공(122)을 형성함으로써 봉합사(110)를 고정하되, 고정된 봉합사(110)의 움직임을 허용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공(122)과 봉합사(110)가 접하는 부위는 라운딩처리를 하여 관통공(122)과 봉합사(110)의 마찰로 인해 봉합사(110)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드라이버(200)는 앵커를 뼈에 식립하는데 사용되는 통상의 드라이버에 해당하는 구성으로 기본적인 구성은 통상의 드라이버와 유사하지만,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앵커(100)의 헤드부(120)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장착부(210)를 갖고, 중공 형태로 상기 봉합사(110)가 관통하여 인출되는 연장기둥(230)과 상기 연장기둥(230)을 쉽게 회전시키기 위한 손잡이(2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크류 앵커(100)를 드릴링 작업없이 뼈에 직접 식립하기 위하여 스크류 앵커(100)에 연결된 봉합사(110)를 드라이버(200)의 장착부(210)에 형성된 장착홈(211)을 통하여 연장기둥(230)을 거쳐 밖으로 인출하면, 스크류 앵커(100)의 헤드부(120)가 드라이버(200)의 장착부(210)에 형성된 장착홈(211)에 삽입되면서 장착된다.
예를 들어, 봉합사(110)가 연장기둥(230) 밖으로 인출되어 당겨진 상태로 고정되면, 스크류 앵커(100)는 드라이버(200)의 장착부(210)가 장착되어 고정됨으로써, 수술자는 드라이버(200)를 이용하여 어렵지 않게 스크류 앵커(100)를 뼈에 드릴링없이 식립할 수 있다.
상기 상기 연장기둥(23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손잡이(220) 밖으로 노출되도록 하여, 소정의 도구를 이용하여 연장기둥(230) 자체를 타격하여 스크류 앵커(100)를 뼈에 약간 박아 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스크류 앵커(100)를 뼈에 약간 박아 놓은 상태에서는 스크류 앵커(100)의 삽입이 보다 용이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스크류 앵커(100)는 도 9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스크류 앵커 식립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부 족관절의 비골 끝부분에 1개 내지 3개의 스크류 앵커(100)가 식립된다.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스크류 앵커(100)는 봉합사(110)에 의해 하나의 고리(111)를 형성하되, 비골근을 덮고 있어 형성되는 비골근지대 터널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봉(300)은 도 10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가이드봉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막대형상으로 5 ~ 15 cm 길이의 삽입부(310)와 연장부(320)로 이루어지고, 족부 발목 부위 외측의 절개부(R1)를 통해 삽입되어 비골근을 덮고 있는 비골근지대 밑인 비골근지대 터널로 삽입되어 비골근의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나뉘는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상기 삽입패서(400)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삽입로드를 형성하고 정확한 위치를 탐지한다.
한편, 이와 같은 가이드봉(300)은 절개부(R1)를 통해 비골근을 따라 비골근지대 밑으로 삽입되어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삽입됨에 따라 가이드봉(300)이 사입되는 과정에서 신경조직이나 근육조직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삽입부(310)의 끝단 부분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둥글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300)은 상기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장부(320) 부위에 가이드봉(300)의 원활한 조작을 위해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손잡이(33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이드봉(300)은 삽입부(310)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여 가이드봉(300)의 삽입정도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삽입패서(400)는 도 11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삽입패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개부(R1)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봉(300)에 의해 형성된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되고 끝단은 둥글게 형성된 제1삽입관(410-1)과 상기 제1삽입관(410-1)과 연결되는 제1연장관(410-2)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1관체부(410)와, 상기 제1연장관(410-2)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1손잡이부(4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은 절개부(R1)를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삽입되는 과정에서 신경 조직이나 주변 조직 등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끝단 부분이 둥글게 형성되는 특징을 갖는다.
한편, 상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족부에 삽입된 삽입패서(400)는 상기 관통 와이어(500)가 이동할 수 있는 패스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패서(600)를 상기 절개부(R1)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관통 와이어(500)는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삽입패서(400)에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을 피부조직을 뚫기 위하여 날카롭게 형성하고, 소정의 힘이 전달될 수 있도록 강성 와이어로 이룽어진 것으로, 상기 삽입패서(400)가 상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삽입관(410-1)이 비골근지대 터널을 관통하여 끝단 부분이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삽입패서(400)의 제1연장관(410-2)을 통해 관통 와이어(500)를 삽입하면, 관통 와이어(500)는 제1관체부(410)를 거쳐 발허리뼈 끝단 부위에서 날카로운 끝단이 노출되어 피부조직을 ?娥? 발등쪽으로 노출된다.
즉, 삽입패서(400)를 통해 삽입된 관통 와이어(500)는 발허리뼈 끝단 부위에서의 발등 쪽 피부조직에 삽입구멍을 형성한다.
상기 연결패서(600)는 도 12 본 발명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의 연결패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관(610-1)과 상기 제2삽입관(610-1)과 연결되는 제2연장관(610-2)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2관체부(610)와, 상기 제2연장관(610-2)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2손잡이부(6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와이어(500)를 따라 삽입되어 상기 제1삽입관(410-1)에 상기 제2삽입관(610-1)이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관(410-1)에 상기 제2삽입관(610-1)이 삽입된 상태로 제2삽입관(610-1)의 끝단이 상기 절개부(R1)에서 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한다.
이와 같은 연결패서(600)는 족부에 삽입되어 있는 삽입패서(400)와 족부 밖에서 안쪽으로 연결하여 절개부(R1)에서 발허리뼈 끝단 부위의 피부조직 밖으로 연결되는 패스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연결패서(600)의 제2삽입관(610-1)의 외경을 상기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하여, 상기 제2삽입관(610-1)이 제1삽입관(410-1) 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고, 피부조직을 뚫고 나온 관통 와이어(500)를 이용하여, 상기 관통 와이어(500)를 연결패서(600)의 제2삽입관(610-1)에 삽입한 후 관통 와이어(500)를 따라 족부 내측으로 상기 제1삽입관(410-1)의 말단 부분을 향해 삽입하여 상기 도 12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삽입패서(400)와 연결된다.
이후, 상기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된 삽입패서(400)와 연결패서(600)는 상기 제1삽입관(410-1)에 상기 제2삽입관(610-1)이 삽입된 상태로 제2삽입관(610-1)의 끝단이 상기 절개부(R1)에서 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한 후, 상기 삽입패서(400)과 관통 와이어(500)는 제거된다.
결국, 연결패서(600)는 삽입패서(400)와 관통 와이어(500)와 유기적으로 결합하여 상기 도 12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비골에 식립되어 있는 스크류 앵커(100)에 연결된 봉합사(110)가 비골근지대 터널을 지나 발허리뼈 끝단 부위의 피부조직 밖으로 인출될 수 있는 패스를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견인줄(700)은 상기 연결패서(600)의 제2관체부(610) 내로 삽입되어 일측은 절개부(R1)에 노출되고 타측은 발허리뼈 끝단 부위의 피부조직 밖에 노출되어, 상기 견인줄(700)의 일측을 절개부(R1)에 노출되어 있는 봉합사와 연결하여, 상기 타측에서 잡아당기면, 상기 봉합사를 견인줄(700)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연결패서(600)의 제2관체부(610)를 통해 피부밖으로 노출되고, 이와 같이 피부밖으로 봉합사가 노출되면, 상기 연결패서(600)는 제거된다.
상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800)는 피부조직의 피하지방층으로 삽입하여, 발허리뼈 끝단 부위의 피부조직 밖에 노출되어 있는 봉합사를 다시 절개부(R1)로 가져오기 위한 수단으로, 상기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800)에 의해 피부조직 밖으로 노출되어 있는 봉합사는 다시 피부조직 밑 피하지방층을 따라 인출되어 절개부(R1)로 다시 돌아오게 된다.
즉, 절개부(R1)에서 시작된 봉합사는 비골근지대 터널을 지나 발허리뼈 끝단 부위에서 피부조직의 밑 피하지방층을 따라 상기 절개부(R1)로 돌아오면서 상기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리(111)를 형성한다.
위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가이드봉(300) 또는 삽입패서(400) 또는 연결패서(600)는 상기 도 10 또는 11 또는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이드봉(300)의 삽입부(310) 또는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 또는 연결패서(600)의 제2삽입관(610-1)을 형성함에 있어서, 1 ~ 2 cm 길이의 끝부분을 10도 ~ 15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비골근지대 터널로 보다 용이하게 삽입하고, 끝단 방향이 비스듬한 상방 또는 하방으로 향하도록 하여 보다 용이하게 수술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의 상기 가이드봉(300)은 상기 삽입부(310)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절개부(R1)를 통해 가이드봉(300)을 삽입시에 가이드봉(300)의 삽입정도를 상기 눈금을 통해 정확하게 인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눈금은 상기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 또는 상기 연결패서(600)의 제2삽입관(610-1)에도 등간격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의 가이드봉(300)의 삽입부(310)의 길이 또는 삽입패서(400)의 제1삽입관(410-1)의 길이 또는 연결패서(600)의 제2삽입관(610-1)의 길이는 5 ~ 12 cm 길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실시하는 족부의 수술 부위가 8 ~ 15 cm 범위에 한정됨에 따라 보다 용이한 조작과 움직임을 위해 상기 삽입부(310) 또는 제1삽입관(410-1) 또는 제2삽입관(610-1)의 길이를 5 ~ 12 cm 길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본 발명에 따른 수술도구세트
100 : 스크류 앵커
101 : 삽입날
110 : 봉합사
111 : 고리
120 : 헤드부
122 : 관통공
200 : 드라이버
210 : 장착부
211 : 장착홈
220 : 손잡이
230 : 연장기둥
300 : 가이드봉
310 : 삽입부
320 : 연장부
330 : 손잡이
400 : 삽입패서
410 : 제1관체부
410-1 : 제1삽입관
410-2 : 제1연장관
420 : 제1손잡이부
500 : 관통 와이어
600 : 연결패서
610 : 제2관체부
610-1 : 제2삽입관
610-2 : 제2연장관
620 : 제2손잡이부
R1 : 절개부
R2 : 고리가 형성되는 부위
S1 : 종래 관절용 수술도구세트

Claims (6)

  1.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에 있어서,
    비골에 식립되며, 드라이버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헤드부는 봉합사가 결합되어 있는 스크류 앵커;
    상기 스크류 앵커의 헤드부가 장착되는 장착부를 갖고, 상기 봉합사가 인출되며, 상기 스크류 앵커를 뼈에 식립하는 드라이버;
    막대형상으로 5 ~ 15 cm 길이의 삽입부와 연장부로 이루어지고, 족부 발목 부위 외측의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어 비골근을 덮고 있는 비골근지대 밑으로 삽입되어 비골근의 장비골근과 단비골근이 나뉘는 발허리뼈 끝단 부위까지 삽입로드를 형성하고 탐지하며, 상기 삽입부의 끝단 부분은 둥글게 형성되는 가이드봉;
    상기 절개부를 통해 삽입되며, 상기 가이드봉에 의해 형성된 삽입로드를 따라 삽입되고 끝단은 둥글게 형성된 제1삽입관과 상기 제1삽입관과 연결되는 제1연장관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1관체부와, 상기 제1연장관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1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삽입패서;
    상기 삽입패서에 삽입되는 방향의 끝단은 날카롭게 형성된 강성 와이어로, 상기 삽입패서의 제1연장관을 통해 삽입되고 상기 제1삽입관을 통해 인출되어 피부조직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는 관통 와이어;
    상기 제1삽입관의 내경보다 작은 외경을 갖는 제2삽입관과 상기 제2삽입관과 연결되는 제2연장관이 일체로 이루어진 제2관체부와, 상기 제2연장관 부위에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형상을 갖는 제2손잡이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관통 와이어를 따라 삽입되어 제1삽입관에 상기 제2삽입관이 삽입되며, 상기 제1삽입관에 상기 제2삽입관이 삽입된 상태로 제2삽입관의 끝단이 상기 절개부에서 노출되는 위치까지 이동하는 연결패서;
    상기 봉합사와 연결되어 상기 봉합사를 상기 연결패서를 통해 피부밖으로 노출되도록 견인하는 견인줄; 및
    상기 절개부를 통해 피부 밑 피하지방층을 따라 피부 밖으로 노출된 봉합사가 위치한 지점까지 삽입되어 상기 노출된 봉합사를 피부 밑을 따라 절개부까지 인출하는 가위형 봉합사 인출 집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앵커는
    나사못 형태로 뼈에 바로 식립이 가능하도록 하부의 끝단은 삽입날이 형성되고, 드라이버의 장착홈에 삽입되는 상부의 헤드부는 봉합사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봉합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1 ~ 2 cm 길이의 끝부분을 10도 ~ 15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봉은
    상기 삽입부에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등간격으로 다수의 눈금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관 또는 상기 제2삽입관은 5 ~ 12 cm 길이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KR1020210036466A 2021-03-22 2021-03-22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KR102254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66A KR102254569B1 (ko) 2021-03-22 2021-03-22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6466A KR102254569B1 (ko) 2021-03-22 2021-03-22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4569B1 true KR102254569B1 (ko) 2021-05-24

Family

ID=76152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6466A KR102254569B1 (ko) 2021-03-22 2021-03-22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456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0480A1 (en) * 2011-06-14 2013-01-31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stems and methods for ankle syndesmosis fixation
KR101482558B1 (ko) * 2012-11-12 2015-01-1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후방십자인대 수술도구 세트
US20190350629A1 (en) * 2013-08-15 2019-11-21 DePuy Synthes Produc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yndesmosis fixation
KR102193692B1 (ko) * 2020-08-04 2020-12-21 황학순 견갑하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030480A1 (en) * 2011-06-14 2013-01-31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ystems and methods for ankle syndesmosis fixation
KR101482558B1 (ko) * 2012-11-12 2015-01-16 주식회사 솔고 바이오메디칼 후방십자인대 수술도구 세트
US20190350629A1 (en) * 2013-08-15 2019-11-21 DePuy Synthes Products, LLC Apparatus and method for syndesmosis fixation
KR102193692B1 (ko) * 2020-08-04 2020-12-21 황학순 견갑하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62575B2 (ja) トンネルノッチャーおよびガイドワイヤ送出器具、および骨トンネルを準備する方法
US5071410A (en) Arthroscopic surgery system
CN102917658A (zh) 用于骨固位与稳定手术的髓内固定装置和方法
KR102193692B1 (ko) 견갑하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Pace et al. Inside-out medial meniscal repair: Improved surgical exposure with a sub-semimembranosus approach
RU2390315C1 (ru) Способ аутопластики малоберцовых связок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сухожилием короткой малоберцовой мышцы
KR102254569B1 (ko) 족부 족관절 비골근 고리봉합 고정수술법을 안전하게 수행하기 위한 수술도구세트
RU2692577C1 (ru) Способ аутопластики латерального стабилизирующего комплекса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сухожилием малоберцовой мышцы
RU2317035C2 (ru) Способ аутопластики повреждений латеральной группы связок голеностопного сустава
US11154291B2 (en) Surgical medical suture needle with surgical suture and anchor system
RU2370231C1 (ru) Способ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частично поврежденной передней крестообразной связки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Englert et al. Simplified setup to achieve distraction for toe arthroscopy
RU2348368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привычного вывиха плеча по романченко а.в.
RU2385683C1 (ru) Способ репозиции переломов пяточной кости с большим смещением отломков
RU2332942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трансоссального проведения лигатуры
Olden et al. Endoscopic tenolysis of Flexor Hallucis Longus tendon: surgical technique
RU2306891C1 (ru) Способ малоинвазивного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й медиальной нестабильности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их технологий
RU2254091C2 (ru) Направитель для спиц под канюлированное сверло и способ остеосинтеза шейки бедра с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этого направителя
RU2233627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вреждений менисков коленного сустава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RU2745408C1 (ru) Способ хирургического лечения застарелого и повторного разрыва дистального сухожилия двуглавой мышцы плеча
RU2800314C1 (ru) Способ фиксации дистального сухожилия двуглавой мышцы плеча к бугристости лучевой кости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RU2557426C2 (ru) Способ артроскопической реконструкции задней крестообразной связки и набор инструментов для защиты подколенной артерии при его выполнении
Takahashi et al. A surgical technique for anterior cruciate ligament reconstruction using semitendinosus graft: an all-inside transfemoral approach
RU2760280C1 (ru) Способ восстановления повреждения корня мениска
Guelfi et al. Endoscopic treatment of insertional Achilles tendinopathy: Surgical techniques and indicatio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