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921B1 - Pnematic tire - Google Patents

Pnematic ti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921B1
KR102253921B1 KR1020190043548A KR20190043548A KR102253921B1 KR 102253921 B1 KR102253921 B1 KR 102253921B1 KR 1020190043548 A KR1020190043548 A KR 1020190043548A KR 20190043548 A KR20190043548 A KR 20190043548A KR 102253921 B1 KR102253921 B1 KR 1022539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air
tire
groove
circumferenti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54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00121049A (en
Inventor
진용
Original Assignee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435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921B1/en
Publication of KR2020012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04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9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9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 B60C11/1353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 B60C2011/1361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groove cross-section, e.g. for buttressing or preventing stone-trapping with special features of the groove bottom with protrusions extending from the groov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는 공기입 타이어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메인 그루브 배면에 에어패스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적용하여, 소음 절감 효과와 스톤이젝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는 그루브를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패스부를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a pneumatic tire capable of reducing noise and having a stone ejector function by applying a protrusion including an air path to a rear surface of a tire main groove.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read part, a sidewall part, and a bead part, the tread part includes a groove, and is form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on the bottom of the groove, and air is supplied inside to reduce noise. It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 flowing air pass portion.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PNEMATIC TIRE}Pneumatic tire {PNEMATIC TIRE}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타이어 메인 그루브 배면에 에어패스(Air Path)를 포함하는 돌출부를 적용하여, 소음 절감 효과와 스톤이젝터 기능을 가질 수 있는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pneumatic tire capable of having a noise reduction effect and a stone ejector function by applying a protrusion including an air path to the rear surface of the tire main groove. .

타이어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종래 기술은 흡음제를 삽입하거나, 그루브 면에 돌기를 삽입하는 방식 등이 있었다.Conventional techniques for reducing tire noise include a method of inserting a sound absorbing agent or inserting a protrusion into a groove surface.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23684호(발명의 명칭: 공명음 저감 타이어)에서는, Cavity 소음을 줄이기 위해 타이어 이너부위에 흡음제 삽입하여 소음을 줄인다. 흡음제를 타이어 내부에 부착을 해야하는 공정이 추가로 필요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 흡음제와 관련된 기술이 많이 있고, 중하중용 타이어에 적용을 하기에는 중량의 부담이 크다.In 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5-0123684 (name of the invention: resonance noise reduction tire), a sound absorbing agent is inserted into the inner part of the tire to reduce the cavity noise to reduce noise. There is a problem in that a process of attaching a sound absorbing agent to the inside of the tire is additionally required. In addition, there are a lot of technologies related to sound absorbing agents in the related art, and the burden of weight is large for application to heavy-duty tires.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1585호(발명의 명칭: 하이드로 플래닝과 소음저감 성능을 향상시킨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그루브 면에 돌기를 삽입하여 소음을 줄이고, 하이드로 플래닝 성능을 향상시킨다. 그루브 면에 돌기 삽입형 타이어는 그루브의 벽면에 위치한 돌기가 반복된 주기로 위치하여 있다. 돌기의 역할은 그루브 측면의 크랙 방지 및 돌기 형상으로 인한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주는 기술이다. 해당 기술의 형상을 중하중용 타이어에 적용하면 그루브 바닥면의 면적이 좁아 그루브 크랙을 유발하기 쉽다. 또한 그루브 공간이 좁아지는 구간과 넓어지는 구간 사이에 돌이 끼이게 되면 돌이 빠져나오기 어려운 형상이기에 중하중용 타이어에 적용할 경우 성능 향상 보다 내구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더 클 수 있다.In addition, in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1585 (name of the invention: a pneumatic tire with improved hydro planning and noise reduction performance), a protrusion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urface to reduce noise and improve hydro planning performance. The protrusion-inserted tire on the groove surface has protrusions located on the wall surface of the groove in repeated cycles. The role of the protrusion is a technology that prevents cracks on the side of the groove and smoothes the flow of fluid due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When the shape of the technology is applied to heavy-duty tires, the area of the groove bottom surface is narrow, which is likely to cause groove cracking. In addition, if a stone is caught between the section where the groove space becomes narrower and the section becomes wider, it is a shape that makes it difficult for the stone to escape. Therefore, when applied to a heavy-duty tire, the problem of deteriorating durability performance may be greater than performance improvement.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15-0123684호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23684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01585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301585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그루브 측면과 밑면에 새로운 형태의 돌기를 추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스톤이젝터 기능을 추가하는 것이다. Air Path는 타이어가 원주상으로 회전을 할 때에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해주며, 이를 통해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할 때에 해당 공간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게 하고 소음 저감 효과를 유도한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s is to add a new type of protrusion on the side and bottom of the groove to facilitate the flow of fluid and to add a stone ejector function. Air Path accelerates the flow of air when the tire rotates circumferentially, and through this, it allows air to escape to the space when the tire is grounded and induces noise reduction effect.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패스부를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s composed of a tread portion, a sidewall portion and a bead portion, wherein the tread portion is a pneumatic tire including a groove, wherein the tread portion is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t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a protrusion having an air pass portion through which air flows in order to reduce nois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스부의 입구와 연결되는 제1에어패스 및 상기 에어패스의 출구와 연결되는 제2에어패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rst air path connected to an inlet of the air path and a second air path connected to an outlet of the air path.

또한, 상기 돌출부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is preferably formed in a trapezoidal or triangular shape.

또한,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그루브 깊이의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5 to 20% of the depth of the groov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가 타이어의 원주상에 물결 무늬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may be formed continuously in a wave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른 본 발명의 효과는, 그루브 측면과 밑면에 새로운 형태의 돌출부를 추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과 동시에 스톤이젝터 기능을 향상시키는 것이다.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as described above is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stone ejector while smoothing the flow of fluid by adding a new type of protrusion to the side and bottom of the groove.

에어패스(Air Path)가 타이어가 원주상으로 회전을 할 때에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해주며, 이를 통해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할 때에 해당 공간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스톤이젝터만 존재하는 타이어보다 공기가 빠져나가기 쉽고, 스톤이젝터랑 공기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소음도 줄일 수 있다.The air path accelerates the flow of air when the tire rotates circumferentially, and through this, air can escape into the space when the tire is grounded to the ground. Through this, air is easier to escape than tires with only the existing stone ejector, and noise generated when air collides with the stone ejector can be reduced.

종래는 직육면체 형태의 스톤이젝터가 대부분이었다. 하나의 몸체로 이루어진 스톤이젝터 대비 본 발명을 적용하면, 스톤이젝터의 움직임이 많아져서 돌을 배출하는데 용이하다.Conventionally, stone ejectors in the form of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were mostly used. I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ared to a stone ejector consisting of a single body, the movement of the stone ejector increases, so it is easy to discharge the ston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above effec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nfigura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측면, 단면, 및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의 요부발췌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의 요부발췌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와 종래의 스톤이젝터의 비교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tread par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tre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de view,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of a protrusi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a tread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main part of a tread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main part of a trea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view of a protrus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mparison diagram of a protrus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stone ejector.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refore is not limited to the exemplary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the drawings, parts irrelevant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 reference numerals are attached to similar par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접속, 접촉,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part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contacted, bonded)" with another part, it is not only "directly connected", but also "indirectly connected" with another member in the middle. "Including the case. In addition, when a part "includes" a certain component, this means that other components may be further provided, not excluding other compon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numbers, steps, ac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oes not preclude in advanc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주로 비포장로를 주행하는 중하중용 타이어의 경우, 그루브 사이에 돌이 끼는 돌물림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주행 중에 그루브에 돌이 끼이게 되면 돌과 그루브 바닥 및 그루브 측벽 사이에 마찰과 충격이 일어나게 되고, 이러한 충격과 마찰은 타이어에 크랙(Crack)을 발생시키며, 발생된 크랙이 성장하여 타이어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하여 타이어 트레드부의 그루브에 스톤이젝터(Stone Ejector)를 설치하여 그루브에 돌이 끼게 되면 돌이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여 왔다.In the case of heavy-duty tires mainly traveling on unpaved roads, a bump occurs in which stones are pinched between grooves. If a stone is caught in the groove while driving, friction and impact occur between the stone and the groove bottom and the sidewall of the groove, and this impact and friction generate cracks in the tire, and the generated crack grows to shorten the life of the tire. There will be a problem that makes it happen. Thus, a stone ejector has been installed in the groove of the tire tread so that the stone can be easily discharged when the stone is caught in the groove.

이러한 스톤이젝터로는 그루브의 바닥에 돌출부로 형성시키는 그루브 바닥 돌출 이젝터와 그루브 측벽에 설치하는 측벽 돌출 이젝터가 있는 바, 통상의 그루브 바닥 스톤이젝터는 일반적으로 그루브 바닥에 돌출된 형상의 기둥으로 형성되어 있는 바, 돌이 스톤이젝터에 닿게 되면 스톤이젝터의 반탄력으로 돌을 밀어 내어 배출시키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스톤이젝터는 그 반탄력이 충분하지 못하여, 특히 크기가 작은 돌이 끼었을 경우 그 효과가 적은 결점이 있다.Such stone ejectors include a groove bottom protruding ejector formed as a protrusion at the bottom of the groove, and a side wall protruding ejector installed on the sidewall of the groove. It is formed so that when a stone touches the stone ejector, the stone is pushed out and discharged by the counter-elastic force of the stone ejector. However, such a stone ejector has a disadvantage that its counter-elasticity is not sufficient, and in particular, when a small stone is stuck, its effect is small.

본 발명은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 그루브 측면과 밑면에 새로운 형태의 돌출부를 추가하여 유체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가져오고, 이와 동시에 스톤이젝터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neumatic tire, and by adding a new type of protrusion to a side surface and a bottom surface of a groove to smooth the flow of a fluid, a noise reduction effect can be obtained, and a stone ejector function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요부발췌사시도이고, 도 2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요부발췌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돌출부(300)의 측면, 단면, 및 평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 side view, a cross-section, and a plan view of the protrusion 300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트레드부(100),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트레드부(100)는 그루브(200)를 포함하며, 그루브(200)의 저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고, 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패스(Air Path)부(310)를 구비하는 돌출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스톤이젝팅 기능을 구비함과 동시에 스톤이젝팅 시 발생하는 소음도 감소할 수 있다.The pneumatic ti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tread portion 100, a sidewall portion, and a bead portion, and the tread portion 100 includes a groove 200, and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200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Includes; a protrusion having an air path portion 310 through which air flows in order to reduce noise. Through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one ejecting function and at the same time reduce noise generated during stone ejection.

여기서 에어패스부(310)는, 에어패스부의 입구(321)와 연결되고 타이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에어패스부(310)의 중앙까지 이어지는 제1에어패스(320) 및 제1에어패스(320)의 말단부터 에어패스부의 출구(331)까지 연결되는 제2에어패스(3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패스부(310)는 타이어가 원주상으로 회전 시에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해주어 타이어가 지면에 접지 시 해당 공간으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의 스톤이젝터(Stone Ejector)만 존재하는 타이어보다 공기가 빠져나가기 쉽고, 스톤이젝터와 공기가 충돌 시 발생하는 소음도 감소시킬 수 있다.Here, the air pass unit 310 is connected to the inlet 321 of the air pass unit and extends to the center of the air pass unit 310 based o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second air pass 330 connected to the outlet 331. The air pass unit 310 speeds up the flow of air when the tire rotates circumferentially, so that when the tire is grounded on the ground, air may escape into the corresponding space. Through this, air is easier to escape than tires with only a stone ejector, and noise generated when air collides with the stone ejector can be reduced.

또한, 돌출부(30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 또는 삼각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돌출부(300)의 윗면 폭이 아랫면 폭과 같을 경우 타이어의 굴신(屈伸)운동 시 그루브(200)면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어, 돌출부(300)의 윗면 폭은 아랫면 폭 보다 작게 형성하며, 이에 따라 돌출부(30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에서 삼각형에 가까워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돌출부(300)의 높이가, 그루브(200) 깊이의 5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300 may be formed in a trapezoidal or triangular shape. When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0 is the same as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interference with the groove 200 may occur during the flexion movement of the tire, so that the upper surface width of the protrusion 300 is formed smaller than the lower surface widt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300 may be closer to a triangle in a trapezoidal shape.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300 is 5 to 20% of the depth of the groove 200.

또한, 돌출부(300)가 타이어의 원주상에 물결 무늬로 연속되어 형성될 수 있다. 타이어 원주상에 물결 무늬로 연속하게 형성되는 배치는 장거리용 제품의 경우 적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리브형 패턴 적용 제품이 대부분이므로, 해당 돌출부(300)를 연결하여 적용하고, 전체 강성 밸런스가 유지된 상태에서 돌이 끼면, 돌출부(300)가 분리되어 있는 형태보다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복원력이 더 뛰어나, 스톤이젝팅 효과를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rusion 300 may be formed continuously in a wave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The arrangement that is continuously formed in a wave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long-distance products. In this case, since most of the products applied with the rib-type pattern are applied, the protrusion 300 is connected and applied, and if stones are caught in a state where the overall stiffness balance is maintained, the restoring force is that the protrusion 300 is connected rather than the separated form. Better, it can increase the stone ejection effect.

돌출부(300)는 다음과 같은 치수를 가지는데, 3D Kerf(340)를 포함하고, 해당 돌출부(300) 배치는 2가지 방식으로 적용할 수 있다.The protrusion 300 has the following dimensions, including the 3D Kerf 340, and the arrangement of the protrusion 300 can be applied in two ways.

첫째, 트레드부(100)의 동일 패턴 간격 내 1개 배치하여, 각 돌출부(300) 간 간격은 등 간격이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A는 돌출부(300)의 윗면 길이로, 트레드부(100)의 동일 패턴 간격 길이의 1/4 내지 1/2로 한다. B는 돌출부(300)의 아랫면 길이로, A 대비 4 내지10밀리미터 연장된 길이를 가진다. C는 돌출부(300)의 아랫면 폭으로, 그루브(200) 배면 끝 단의 폭에 따라 바뀔 수 있고, D는 돌출부(300)의 윗면 폭으로, 아랫단 끝 단 폭의 10 내지 90퍼센트로 할 수 있으며, 90 내지 100퍼센트로 할 경우 타이어의 굴신(屈伸)운동 시 그루브(200)면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고, D의 크기에 따라 돌출부(300)의 단면 형상은 사다리꼴에서 삼각형에 가까워질 수도 있다. H는 돌출부(300)의 높이로 그루브(200) 깊이의 5 내지 20퍼센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E는 돌출부(300)의 에어패스부의 입구(321)(공기가 들어가는 부위)의 지름으로 H 의 1/3 이고, E'는 돌출부의 에어패스부의 출구(331)(공기가 나오는 부위)의 지름으로 E의 120%이다. G는 3D 커프(Kerf)(340)의 깊이로 H의 1/3이며, M은 그루브(200) 깊이를 의미한다.First, by arranging one tread portion 100 within the same pattern interval, the interval between the protrusion portions 300 may be equal intervals. As shown in FIG. 3, A denotes the length of the top surface of the protrusion part 300, and is set to 1/4 to 1/2 of the length of the same pattern interval of the tread part 100. B is the leng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300, and has a length extending 4 to 10 millimeters compared to A. C is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300, and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rear end of the groove 200, and D is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300, and may be 10 to 90% of the width of the lower end, and In the case of 90 to 100 percent, interference with the groove 200 surface may occur during the flexion (屈伸) movement of the tire,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protrusion 300 may be close to a triangle from a trapezoid according to the size of D. H is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300 and is preferably 5 to 20 percent of the depth of the groove 200. E is the diameter of the inlet 321 (the part where air enters) of the air pass part of the protrusion 300, which is 1/3 of H, and E'is the diameter of the outlet 331 of the air path part of the protrusion part (the part where air comes out). It is 120% of the G denotes the depth of the 3D kerf 340 and is 1/3 of H, and M denotes the depth of the groove 200.

둘째로는, 타이어의 원주상에 물결 무늬로 연속하게 연결하여 돌출부(300)를 배치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A 및 B는 원주상 그루브(200) 아랫면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로, 해당 길이는 타이어의 규격 별로 상이할 수 있다. C, D, E, E' 및 G는 첫째의 그것과 동일하며, H는 돌출부(300)의 높이로 M의 5 내지 20퍼센트로 하여 높낮이에 차이를 둘 수 있다.Second, it is a method of arranging the protrusions 300 by continuously connecting them in a wave patter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Here, A and B are connect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200, and their lengths may be different for each tire standard. C, D, E, E'and G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one, and H is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300, which may be 5 to 20 percent of M, so that a difference can be made in the height.

돌출부(300)의 윗면 폭(D)이 너무 넓거나 높이(H)가 너무 높을 경우에는 배수 성능에 악영향을 주고, 돌출부(300)의 윗면 폭(D)이 너무 좁거나 높이(H)가 너무 낮을 경우에는 스톤이젝팅 기능을 발휘할 수 없으므로, 이들의 범위를 위의 수치와 같이 한정할 수 있다.If the top width (D) of the protrusion 300 is too wide or the height (H) is too high, it adversely affects the drainage performance, and the top width (D) of the protrusion 300 is too narrow or the height (H) is too high. If it is low, the stone ejecting function cannot be exhibited, so the range of these can be limited as shown above.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요부발췌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요부발췌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트레드부(100)의 요부발췌단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300)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돌출부(300)와 종래의 스톤이젝터(400)의 비교도이다.4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part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It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tread part 1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n addition, FIG. 7 is a side view of a protrusion 3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comparison view of the protrusion 3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conventional stone ejector 400.

원주상 연결하여 돌출부(300)를 배치할 경우에는 도 4와 같은 형상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의 공기입 타이어를 사용할 경우, 소음 저감 효과와 스톤이젝팅(Stone Ejecting) 기능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타이어가 접지 시 원통 혹은 사각형의 단면을 가진 뚫린 통 모양의 공간이 생긴다. 그 공간을 지난 공기의 유속은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될 수 있다.When the protrusion 300 is arranged by connecting in a circumferential shape, it may have a shape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of using the pneumatic ti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xpect a noise reduction effect and an improvement in a stone ejecting function. When the tire is folded, a hollow cylindrical space with a cylindrical or square cross section is created. The flow velocity of air passing through the space can be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igure 112019038197147-pat00001
Figure 112019038197147-pat00001

V : 공기 유속(㎧)V: air flow rate (㎧)

Qa : 공기의 실 유량(㎥/min)Qa: Actual flow rate of air (㎥/min)

d : 파이프(Pipe) 내경d: Pipe inner diameter

타이어가 지면과 접지 시는 파이프형태지만 원형이 아니므로, 해당 식을 적용 시에 분모는 공기가 위치하는 공간의 단면적을 넣어야 한다. 또한 덕트 내에 지름을 2단으로 한 것은 공기의 흐름을 통해 발생하는 소음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덕트의 면적이 넓어지면 반향에 의해 소음이 줄어들 수 있다. 게다가 면적이 넓어지는 부위를 급격하게 하지 않고 디퓨저 형식으로 도 7의 형상을 적용하면, 유로 내의 난류 형성을 방지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When the tire is grounded with the ground, it is in the form of a pipe, but it is not circular, so when applying the equat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where air is located should be entered as the denominator. In addition, the two-stage diameter in the duct is to reduce noise generated through the flow of air. If the area of the duct is wider, the noise can be reduced by the reverberation. In addition, if the shape of FIG. 7 is applied in the form of a diffuser without sharpening the area where the area becomes wider,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formation of turbulence in the flow path and bring about a noise reduction effect.

또한 스톤이젝팅 기능 향상으로, 종래의 스톤이젝터(400)는 직육면체 형태가 대부분이었으나, 하나의 Body 로 이루어진 스톤이젝터 대비 해당 기술의 돌출부(300)를 적용하면, 돌출부(300)의 움직임이 많아져 돌을 배출하는데 용이할 수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improvement of the stone ejecting function, the conventional stone ejector 400 had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but if the protrusion 300 of the technology is applied compared to the stone ejector made of one body,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300 increases. It can be easy to dispose of the stone.

보다 상세하게는, 그루브(200) 바닥에 형성되는 돌출부(300)에 에어패스부(310)를 구비하여 돌출부(300)가 용이하게 굴신될 뿐 아니라, 굴신되는 거리가 커서 증진된 반탄력을 가지게 하여 그루브(200)에 끼인 돌이 비교적 용이하게 제거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돌출부(300)에 형성된 에어패스부(310)의 입구(321)와 출구(331)의 직경에 차이를 두고, 3D 커프(340)를 구비하여 돌출부(300)의 굴신 정도를 더욱 크게 함으로써 반탄 거리와 반탄력을 증진시켜 스톤이젝팅 기능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rotrusion 300 formed on the bottom of the groove 200 is provided with an air pass part 310 so that the protrusion 300 is not only flexed easily, but also has an enhanced counter-elasticity due to a large distance to be flexed. There is an effect that the stones stuck in (200) are relatively easily removed. In addition, by making a difference in the diameter of the inlet 321 and the outlet 331 of the air pass portion 310 formed on the protrusion 300, a 3D cuff 340 is provided to further increase the degree of deflection of the protrusion 300. The stone ejecting function can be made easier by increasing the distance and anti-elasticity.

돌출부의 형상은 타이어 사용 용도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protrusion can be selected according to the use of the tire.

첫째, 등 간격 배치는 중, 단거리용 제품의 경우 적용할 수 있다. 리브(Rib)형 패턴 적용 제품은 메인 그루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블록형 패턴 적용 제품은 메인 그루브나 각각의 블록 사이에 적용할 수 있다. 중, 단거리용 제품은 롤링(Rolling)과 트랙션(Traction)이 반복되기 때문에 돌출부의 폭 방향 및 원주 방향 움직임이 클 수 있다.First, the equal spacing can be applied to products for medium and short distances. Rib type pattern applied products can be applied to the main groove. In addition, the block-type pattern applied product can be applied between the main groove or each block. Since rolling and traction are repeated for medium and short distance products, the movement of the protrusion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may be large.

둘째, 타이어 원주상에 연속하게 연결하는 배치는 장거리용 제품의 경우 적용할 수 있는데, 이 경우 대부분 리브형 패턴 적용 제품이므로, 해당 돌출부(300)를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다. 타이어 전체의 롤링이 장시간 유지되는 리브형 패턴의 경우, 전체 강성 밸런스가 유지된 상태에서 돌이 끼면 돌출부(300)가 연결되어 있는 것이 복원력이 더 뛰어나 돌 배출이 용이할 수 있다.Second, the arrangement of continuous connection on the circumference of the tire can be applied in the case of long-distance products. In this case, since most products are applied with a rib pattern, the corresponding protrusions 300 can be connected and applied. In the case of a rib-shaped pattern in which the overall rolling of the tire is maintained for a long time, when stones are caught in a state in which the overall stiffness balance is maintained, the protrusion 300 is connected to have a better restoring force, so that the stones can be easily discharg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The abov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be able to understand that other specific forms can be easily modified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spirit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n-limiting in all respects.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type may be implemen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similarly,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to be described later,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트레드부
200 : 그루브
300 : 돌출부
310 : 에어패스부
320 : 제1에어패스
321 : 에어패스부의 입구
330 : 제2에어패스
331 : 에어패스부의 출구
340 : 3D 커프
400 : 종래의 스톤이젝터
100: tread part
200: groove
300: protrusion
310: Air pass section
320: first air pass
321: Entrance of the air pass part
330: 2nd air pass
331: exit of the air pass part
340: 3D cuff
400: conventional stone ejector

Claims (5)

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트레드부의 동일 패턴 간격 내에 1개씩 배치되고 등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저면과 대향하는 상부가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내부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양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패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돌출부의 윗면의 길이가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는 사각뿔대 형상을 가지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는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패스부는,
상기 에어패스부의 입구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패스부의 중앙까지 이어지는 제1에어패스; 및
상기 제1에어패스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에어패스부의 출구인 타측까지 이어지는 제2에어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패스의 지름은 상기 제2에어패스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In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a sidewall portion and a bead portion, the tread portion including a groove,
And at least one protrusion disposed one by one within the same pattern interval of the tread portion and form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so as to be spaced apart at equal intervals, and the upper portion opposite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separat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And an air pass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ends of the protrusion, and through which air flows therein to reduce noise, and
The protrusion has a square truncated cone shape in which a length of an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shorter than a length of a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inclin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air pass unit,
A first air path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air path part to the center of the air path 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And a second air pas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air pass to the other side, which is an outlet of the air pass unit,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 pat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ir path.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윗면의 길이는 상기 트레드부의 동일 패턴 간격의 1/4 내지 1/2이고,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윗면의 길이보다 4mm 내지 10mm 길게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의 폭은 상기 그루브의 저면의 폭과 상응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의 윗면의 폭은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의 폭의 10% 내지 90%로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의 높이는 상기 그루브의 깊이의 5% 내지 20%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1/4 to 1/2 of the same pattern spacing of the tread part,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4mm to 10mm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The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10% to 90% of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5% to 20% of the depth of the groov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에어패스의 지름은 상기 돌출부의 높이의 1/3이고,
상기 제2에어패스의 지름은 상기 제1에어패스의 지름의 120%이며,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상기 돌출부에 삽입되는 3D 커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3D 커프의 깊이는 상기 돌출부의 높이의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 path is 1/3 of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irpath is 120% of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path,
Further comprising a 3D cuff inserted into the protrusion separated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epth of the 3D cuff is 1/3 of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트레드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고, 상기 트레드부는 그루브를 포함하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그루브의 저면에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연속하게 형성되며 상기 그루브의 저면과 대향하는 돌출부의 상부가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분리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으로 상기 돌출부의 내부 중앙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돌출부의 양단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소음 저감을 위해 내부에 공기가 유동하는 에어패스부; 및
상기 돌출부의 상부에서 서로 마주보는 면에 결합되는 3D 커프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윗면의 길이는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의 길이보다 짧게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사각뿔대 형상을 가지며,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은 상기 돌출부의 아랫면과 예각을 이루도록 경사지고,
상기 돌출부의 양측면은 사다리꼴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에어패스부는,
상기 에어패스부의 입구인 일측으로부터 상기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상기 에어패스부의 중앙까지 이어지는 제1에어패스; 및
상기 제1에어패스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에어패스부의 출구인 타측까지 이어지는 제2에어패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에어패스의 지름은 상기 제2에어패스의 지름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In a pneumatic tire comprising a tread portion, a sidewall portion and a bead portion, the tread portion including a groove,
At least one protrusion formed continuously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wherein an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 facing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is separated in the tir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protrusion,
An air pass portion formed to penetrate the inner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both ends of the protrusion, and through which air flows therein to reduce noise; And
It includes a 3D cuff coupled to a surface facing each other at the top of the protrusion,
The leng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otrusion is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The protrusion has a square truncated cone shape,
Both side surfaces of the protrusion are inclined to form an acute angle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protrusion,
Both sides of the protrusion are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air pass unit,
A first air path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air path part to the center of the air path part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tire; And
And a second air pass extending from the center of the first air pass to the other side, which is an outlet of the air pass unit,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the diameter of the first air path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second air path.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에어패스부를 통과하는 공기의 유속은,
Figure 112020073104573-pat00010

(v=공기 유속, Qa는 공기의 실 유량, d는 파이프 내경)에 의해 연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The method of claim 4,
The flow rate of air passing through the air pass portion is,
Figure 112020073104573-pat00010

(v = air flow rate, Qa is the actual flow rate of air, d is a pneumatic tire, characterized in that calculated by the pipe inner diameter).
KR1020190043548A 2019-04-15 2019-04-15 Pnematic tire KR10225392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8A KR102253921B1 (en) 2019-04-15 2019-04-15 Pnematic ti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548A KR102253921B1 (en) 2019-04-15 2019-04-15 Pnematic ti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49A KR20200121049A (en) 2020-10-23
KR102253921B1 true KR102253921B1 (en) 2021-05-20

Family

ID=730394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548A KR102253921B1 (en) 2019-04-15 2019-04-15 Pnematic ti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92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511A (en) * 2021-10-19 2023-04-2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having in longitudinal groove cavity noise reduction layer par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2211763A1 (en) * 2022-11-08 2024-05-08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Vehicle tir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2991B1 (en) * 2003-11-21 2006-06-23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Heavy Duty Pneumatic Tire with Stone Eject having concave surface
KR100934609B1 (en) * 2008-05-19 2009-12-31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Car tires
KR101301585B1 (en) 2011-11-23 2013-08-2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improved hydro planning and noise performance
KR20150123684A (en) 2014-10-13 2015-11-04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Cavity Noise Reduction Tir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5511A (en) * 2021-10-19 2023-04-26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having in longitudinal groove cavity noise reduction layer part
KR102604580B1 (en) 2021-10-19 2023-11-21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neumatic tire having in longitudinal groove cavity noise reduction layer par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049A (en) 2020-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3921B1 (en) Pnematic tire
JP4522790B2 (en) Pneumatic tire
JP6061306B2 (en) Trailer type heavy vehicle tire tread and molded components
JP5427241B2 (en) Noise attenuator for tire tread
EP2942210B1 (en) Pneumatic tire for vehicle
JP5041595B2 (en) Pneumatic tire
JPH06122303A (en) Pneumatic tire
WO2008053668A1 (en) Pneumatic tire
JPWO2009084666A1 (en) tire
KR101901064B1 (en) Kerf of Winter Tire
JP2018118723A (en) Three-dimensional tread kerfs of tire
KR20190124492A (en) Tire having enhanced wet grip
JP6163106B2 (en) Pneumatic tire
JP7095280B2 (en) tire
JP5134901B2 (en) Pneumatic tire
JP6012753B2 (en) Noise reduction equipment for tires
JP6814189B2 (en) Tire with V-shaped calf
JP5307215B2 (en) Pneumatic tire
KR102218153B1 (en) A tread with airfoil-shaped portrusions and a tire having the tread
JP2017537836A (en) Equipment for reducing tire rolling noise
JP2010023760A (en) Tire
JP5117238B2 (en) Pneumatic tire
JP7418197B2 (en) non-pneumatic tires
JPS60121103A (en) Low noise pneumatic tire
KR102267902B1 (en) Tires with resonators for noise re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