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648B1 -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 Google Patents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648B1
KR102253648B1 KR1020190008980A KR20190008980A KR102253648B1 KR 102253648 B1 KR102253648 B1 KR 102253648B1 KR 1020190008980 A KR1020190008980 A KR 1020190008980A KR 20190008980 A KR20190008980 A KR 20190008980A KR 102253648 B1 KR102253648 B1 KR 1022536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quality
quality meter
information
fine dust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8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92009A (ko
Inventor
변수연
Original Assignee
변수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변수연 filed Critical 변수연
Priority to KR1020190008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648B1/ko
Publication of KR202000920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920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6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6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Abstract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관리 서버가,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측정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측정 정보를 수신하고,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지역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미세 먼지 정보를 생성하는 과정을 통해 구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있는 실내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Method for Managing Indoor Air Using Air Quality Meter, and Managing Server Used Therein}
본 발명은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있는 실내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황사, 미세 먼지, 초미세 먼지 등의 대기 오염의 문제가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대부분의 사람들은 관측소별로 제공되는 미세 먼지의 농도를 참고하여, 외출을 자제하거나 외출시 마스크를 착용하는 등의 방법으로 미세 먼지를 대비하고 있다.
그러나, 관측소별로 제공되는 데이터는 측정 데이터의 업데이트 시간 간격, 측정소와 사용자가 있는 지역과의 거리차 등의 이유로 관측소 주변에서의 대기 상태를 반영함에 그칠 뿐 실제 사용자 주변 환경에서의 미세 먼지의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세 먼지의 위해성으로 인해 점점 외출을 삼가하고 실내에 머무르는 시간이 많아지고 있으나, 사용자는 정작 자신이 현재 머무르고 있는 실내 공간에서의 미세 먼지의 정보는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있는 실내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은, (a) 관리 서버가,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지역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미세 먼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인접 설치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서버는,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지역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미세 먼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기질 측정기(100)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인접 설치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 송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다른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종료점으로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있는 실내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즉각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장소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등의 측정 정보를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 및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에서의 사용자 단말기의 화면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청정 시스템은 공기 청정기(50), 공기질 측정기(100), 사용자 단말기(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한다.
공기 청정기(50)는 사용자가 머무르고 있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있으며, 공기질 측정기(100)의 측정 정보에 기초하여 동작함으로써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공기질 측정기(100)는 사용자가 머무르고 있는 실내 공간에 설치되어, 해당 공간에서의 미세 먼지의 농도와 해당 공간의 온도와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이들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는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는 스마트 폰 등의 무선 통신 단말기로서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공기 관리 서비스를 이용하는데 사용되는 소정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온/습도 측정값 등의 각종 측정 정보를 수신하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공기질 상태를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하거나, 온/습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을 비교하여 온/습도 상태의 적정 여부를 판단한 결과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
그에 따라,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가 각각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각 공기질 측정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각 장소별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의 지역별 측정 정보를 수신 및 저장하며, 각 장소별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의 지역별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200)를 통해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장소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의 측정 정보를 다른 장소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의 측정 정보와 비교할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더 양호한 공기질이 측정된 장소로의 이동을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100)는 측정부(110), 저장부(130), 전원부(150), 통신부(170), 제어부(180), 및 표시부(190)를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기질 측정기(100)의 내부에는 실내 조경 및 실내 공기 개선을 위한 공기 정화 식물의 식생 공간이 구비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공기질 측정기(100)의 측정부(110)는 주변의 미세 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 먼지 측정 센서, 주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측정 센서, 주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 측정 센서를 포함하며, 측정부(110)에 의해 측정된 각종 측정 정보는 공기질 측정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장소의 위치 정보와 함께 저장부(130)에 저장된다.
한편, 측정부(110)를 통해 측정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은 디스플레이 장치 등의 표시부(190)를 통해 출력됨으로써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표시부(190)에는 상기 측정 정보와 함께 현재 시각 정보가 표시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100)를 벽걸이 시계 또는 탁상 시계 등의 용도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원부(150)에는 충전식 배터리 모듈이 구비되어 있으며, 공기질 측정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공급한다.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00)와의 근거리 통신을 지원하는 근거리 통신 모듈과, 관리 서버(300)와의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모두 구비하고 있으며, 그 결과 공기질 측정기(100)의 통신부(170)는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관리 서버(300)와의 데이터 통신을 선택적으로 실행할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공기질 측정기(100)의 통신부(170)는 공기질 측정기(100)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장소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등의 측정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 또는 관리 서버(300)로 선택적으로 전송한다.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측정부(110), 통신부(170), 및 표시부(190)의 동작을 제어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는 신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질 측정기(100)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의 실행 과정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공기질 측정기(100)의 측정부(110)는 주변의 미세 먼지 농도, 주변 온도, 주변 습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며, 측정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을 현재 시각 정보와 함께 표시부(190)를 통해 출력한다(S410).
한편, 공기질 측정기(100)는 전술한 S410 단계에서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통신부(170)를 통해 사용자 단말기(200)로 실시간으로 송신한다(S420).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저장함과 동시에 해당 측정 정보 및 사용자 단말기(2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정보인 지역 측정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송신한다(S430).
이를 통해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00)가 설치되어 있는 각 지역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온도 측정값, 습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지역별 측정 정보를 빅데이터의 형태로서 저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이와 같이 수집된 빅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각 지역별 미세 먼지 농도, 온도, 습도 등의 환경 정보를 예측할 수 있게 되며, 이와 같이 예측된 환경 정보를 각 지역별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에게 환경 예측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단말기(200)에 설치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전술한 S420 단계에서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를 분석한다(S440).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μg/m3)을 비교하여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화면을 통해 도 4에서와 같은 미세먼지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습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10%)을 비교하여 습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 미만인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화면을 통해 도 5에서와 같은 습도 경고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공기질 측정기(100)의 내부에서 식생하는 식물에 물을 주는 등 보다 적극적인 관리를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사용자 단말기(200)는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μg/m3)을 비교하여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실내에 설치되어 있는 공기 청정기(50)의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고, 이를 공기 청정기(50)로 송신함으로써, 공기 청정기(50)의 구동을 통해 실내 미세 먼지가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S450).
한편, 전술한 S430 단계에서 복수의 장소에 설치된 공기질 측정기(100)에서 측정된 측정 정보를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각 사용자 단말기(2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수신한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각각 수신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미세 먼지 농도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관리 서버(300)는 전술한 S430 단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각각 수신한 지역 측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온도 측정값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온도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전술한 S430 단계에서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 각각 수신한 지역 측정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습도 측정값 정보를 이용하여 각 지역별 습도 분포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관리 서버(300)는 상기와 같이 생성된 지역별 미세 먼지 농도 분포 정보, 지역별 온도 분포 정보, 지역별 습도 분포 정보를 저장하며, 관리 서버(300)에 접속한 사용자 단말기(200)로부터의 지역별 정보 제공 요청이 있는 경우에 상기 지역별 미세 먼지 농도 분포 정보, 지역별 온도 분포 정보, 지역별 습도 정보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한다(S460).
그 결과, 사용자 단말기(200)를 소지하고 있는 사용자는 자신이 머무르고 있는 실내 장소에서의 측정 정보 중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를 다른 실내 장소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와 비교할 수 있게 되며, 더 양호한 공기질이 측정된 실내 장소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기질 측정기(100)의 통신부(17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상기 측정 정보를 공기질 측정기(100)의 위치 정보와 함께 인근에 설치되어 있는 다른 공기질 측정기(100)를 상대로 각자 브로드캐스팅을 실행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주변에 있는 공기질 측정기(100)는 다른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측정 정보를 수신하게 되며, 제어부(180)는 측정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들을 자체 구비된 측정부(110)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비교한다.
그 결과, 특정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이 자체 측정한 측정값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즉, 특정 공기질 측정기(100)가 있는 위치에서의 공기질이 현재 위치에서의 공기질보다 양호한 경우),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해당 특정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실내 장소로의 이동을 권유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기질 측정기(100)의 통신부(170)는 상기 생성된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사용자 단말기(200)로 송신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확인토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공기질 측정기(100)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특정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를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권장 이동 방향을 지시하는 화살표 정보를 3차원 좌표상에서 생성하고, 이를 디스프레이 장치 등의 표시부(190)를 통해 출력하거나 사용자 단말기(200)의 화면을 통해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양호한 공기질을 갖는 장소로 이동하도록 권유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측정부(110)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μg/m3)을 비교하여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주변에 있는 다른 복수의 공기질 측정기(100)로부터 수신한 측정 정보에 포함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예를 들면, 50μg/m3)을 초과하는 지 여부를 각각 판단하고,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송신한 공기질 측정기(100)를 추출할 수 있을 것이다.
그 다음,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추출된 공기질 측정기(100)들로부터 수신된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추출된 공기질 측정기(100)까지의 거리값을 각각 산출한다.
그 다음, 공기질 측정기(100)의 제어부(180)는 상기 산출된 각 공기질 측정기(100)까지의 거리값에 각 공기질 측정기(100)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곱한 값을 각각 산출한 다음, 이와 같이 산출된 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값에 해당하는 공기질 측정기(100)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실내 장소로의 이동을 권유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이를 표시부(190)를 통해 사용자에게 출력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공기질의 양호함과 이동의 편의성을 모두 고려한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50: 공기 청정기, 100: 공기질 측정기,
200: 사용자 단말기, 300: 관리 서버.

Claims (2)

  1. (a) 관리 서버가,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b) 상기 관리 서버가,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지역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미세 먼지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는 공기 정화 식물의 식생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인접 설치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권장 이동 방향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권장 이동 방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각각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다른 공기질 측정기까지 거리값을 각각 산출하고, 복수의 다른 공기질 측정기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각 거리값을 곱한 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값에 해당하는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의 이동을 권유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공기 청정기의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2.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포함하는 측정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측정 정보 및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지역 측정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 및
    복수의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각각 수신한 상기 지역 측정 정보를 이용하여 지역별 미세 먼지 정보를 생성하는 생성부
    를 포함하며,
    상기 공기질 측정기에는 공기 정화 식물의 식생 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공기질 측정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설치된 장소의 위치 정보 및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을 인접 설치된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 송신하는 통신부; 및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이 상기 공기질 측정기가 측정한 미세먼지 농도 측정값보다 낮은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시작점으로 하고,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현재 위치 정보를 종료점으로 하는 벡터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벡터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권장 이동 방향 지시 정보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권장 이동 방향 지시 정보를 포함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상기 다른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각각 수신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다른 공기질 측정기까지 거리값을 각각 산출하고, 복수의 다른 공기질 측정기에서의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과 각 거리값을 곱한 값들 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의 값에 해당하는 다른 공기질 측정기의 위치 정보에 해당하는 장소로의 이동을 권유하는 장소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며,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상기 공기질 측정기로부터 수신한 미세 먼지 농도 측정값이 소정의 기준값을 초과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 공기 청정기의 동작 개시를 위한 제어 명령을 생성하는 것인 관리 서버.
KR1020190008980A 2019-01-24 2019-01-24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KR1022536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80A KR102253648B1 (ko) 2019-01-24 2019-01-24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8980A KR102253648B1 (ko) 2019-01-24 2019-01-24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09A KR20200092009A (ko) 2020-08-03
KR102253648B1 true KR102253648B1 (ko) 2021-05-17

Family

ID=720430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8980A KR102253648B1 (ko) 2019-01-24 2019-01-24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6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6377B1 (ko) * 2021-02-10 2023-11-29 (주)청파이엠티 실내 공기질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3647B1 (ko) * 2011-05-17 2013-01-22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폰 기반 공기질 지도 작성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346658B1 (ko) * 2011-12-08 2014-01-15 에스텍 주식회사 환경 데이터를 측정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50042034A (ko) * 2013-10-10 2015-04-20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형 센서 기반 대기환경정보 측정 방법
KR20170057597A (ko) * 2015-11-17 2017-05-25 주식회사 오픈잇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KR20180076084A (ko) * 2016-12-27 2018-07-05 조흔우 미세먼지 대응 장치 및 방법
KR20170057860A (ko) * 2017-03-29 2017-05-25 주식회사 오픈잇 공기 품질 제공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1940781B1 (ko) * 2017-04-27 2019-01-21 김수종 모바일 단말 거치대와 모바일 단말을 이용한 공기 청정 시스템
KR101975030B1 (ko) * 2017-06-05 2019-05-03 네이버랩스 주식회사 대기 지수 기반 정보 제공 장치,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64276A (ko) * 2017-10-23 2018-06-14 주식회사 한양 미세먼지센서를 이용한 실내공기 청정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92009A (ko) 202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270072B1 (en)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CN100501793C (zh) 传感器管理装置以及传感器管理装置的控制方法
JP5912330B2 (ja) システム、発信機および管理方法
US8630745B2 (en)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consumption management apparatus
CN104503299A (zh) 一种基于dsp的变电站室内温湿度及粉尘控制系统
KR20090098127A (ko) 대기 오염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032988B (zh) 空调的控制系统及方法、电子设备
CN205281603U (zh) 电力巡检手持终端
US20210164675A1 (en) Intelligent humidification system in which remote controller with built-in sensor and humidifier are linked
KR102253648B1 (ko) 공기질 측정기를 이용한 실내 공기 관리 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관리 서버
CN102880132A (zh) 一种云空调器的云诊断方法
US9727048B2 (e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lants
KR101557115B1 (ko) 홈 네트워크 시스템에서의 전력 사용량 분석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JP6102518B2 (ja) 電力供給デバイス、及び電力供給プログラム
CN214426747U (zh) 一种碳排放的计量设备及平台
JP5721223B2 (ja) 放射線モニタリングシステム
CN104295319A (zh) 核电站人员定位卡
CN105759700A (zh) 移动式能源监控管理系统
JP5721224B2 (ja) 放射線量計測システム
CN109031986B (zh) 一种喷洒监控方法及系统
KR20210074858A (ko)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한 공기질 지도 작성 장치 및 방법
KR101937097B1 (ko) 비콘을 이용한 미세먼지 알림 기능을 갖는 가로등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0046721A (zh) 基于bim技术的管廊施工智慧安全管理方法及系统
CN103946757B (zh) 电气设备的控制方法
CN205486405U (zh) 一种防作弊式表决打分二合一投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