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3172B1 -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 Google Patents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3172B1
KR102253172B1 KR1020190132560A KR20190132560A KR102253172B1 KR 102253172 B1 KR102253172 B1 KR 102253172B1 KR 1020190132560 A KR1020190132560 A KR 1020190132560A KR 20190132560 A KR20190132560 A KR 20190132560A KR 102253172 B1 KR102253172 B1 KR 102253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atch
serial
antenna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364A (ko
Inventor
유종인
김해진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9013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72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21/00Antenna arrays or systems
    • H01Q21/06Arrays of individually energised antenna units similarly polarised and spaced apart
    • H01Q21/061Two dimensional planar arrays
    • H01Q21/065Patch antenna array

Landscapes

  • Variable-Direction Aerials And Aerial Arr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는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판부; 기판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부;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기판부 상에서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급전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 및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타측과 연결되어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직렬 급전 방식의 패치 안테나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Patch array antenna with feed structure for improved performance}
본 발명은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에 관한 것으로, 무선 기기 분야에서 사용되는 제품으로 배열 안테나의 구조이며, 높은 이득을 가지는 배열 안테나에 대한 것이다.
기존의 배열 안테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렬 급전 방식의 안테나와 병렬 급전 방식의 배열 안테나로 나누어진다.
기본 패치 안테나에서 직렬로 급전하는 방식으로 1×1, 4×1, 8×1, 12×1으로 그 개수를 늘려서 배열하는 배열 안테나이고, 그 패치간 간격은 λ/2이다.
이와 같이, 안테나의 패치 개수가 늘어날수록 안테나가 얻을 수 있는 이득이 늘어난다.
하지만, 안테나의 패치 개수가 늘어나더라도 일정 개수 이상이 되면 안테나의 최대 이득은 별로 늘어나지 않는 특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배열 안테나의 패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득 증가가 감소하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배열 안테나의 패치수를 사용하면서도 배열 안테나의 이득과 빔폭 성능을 개선하고자 하는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는 패치 배열 안테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부;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기판부 상에서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급전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 및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타측과 연결되어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직렬 급전 방식의 패치 안테나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상기 급전부와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급전부의 T 정션을 지난 후 λs/2 패턴의 반전부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치의 크기는, λs/2이고, 상기 패치와 패치간 간격은 λo/2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급전부는, T 정션 구조이며, 상기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각각 λs/4 테이퍼 형태의 트랜스포머 라인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판부는, 테플론 기판, 에폭시 기판, 알루미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배열 안테나의 이득을 개선하고, 직렬 급전 안테나의 개수가 늘어남에 따라 이득이 증가하지 않는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기존 기존의 배열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직렬 패치 안테나를 구성하는 패치의 크기와 패치간 간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급전부에 추가 구비된 반전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도 2의 급전부의 세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기존 배열 안테나의 패치 수가 증가함에 따라 이득의 변화를 나타낸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급전 구조로 이루어진 배열 안테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설명하기 위한 참고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소자,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는 기판부(100), 급전부(200),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 및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를 포함한다.
기판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부면에 급전부(200)와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 및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가 구비된다.
급전부(200)는 상기 기판부(100)의 중심에 위치하여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에 전류를 공급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급전부(200)는 T 정션 구조이고, 상기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와 각각 λs/4 테이퍼 형태의 트랜스포머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는 복수개의 패치(301)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기판부(100) 상에서 상기 급전부(200)를 중심에 두고 상기 급전부(200)의 일측과 연결된다. 여기서, 패치(301)의 크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λs/2인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패치(301)와 패치(301)간 간격은 λo/2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는 복수개의 패치(301)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급전부(200)를 중심에 두고 타측과 연결되어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와 직렬 급전 방식의 패치 안테나 구조를 형성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급전부(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 중 어느 하나에 상기 급전부(200)의 T 정션을 지난 후 λs/2 패턴의 반전부(50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반전부(500)가 더 구비되면, 급전부(200)를 통해 전류가 급전하게 되면, 좌측의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310)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320) 양측으로 나누어지게 된다.
좌측과 우측의 배열 안테나에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된다. 따라서, 좌측에서 형성되는 안테나 패턴과 우측에서 형성되는 안테나의 패턴이 서로 상쇄되는 결과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일측 면에 180도 위상차이가 나는 전류를 공급하여 전체적인 안테나의 패턴이 합쳐질 수 있도록 급전부(200)의 T정션을 지난 후 일측에는 λs/2 패턴을 추가한다.
즉, 안테나의 패턴 형성 방향을 동일하게 하기 위하여 λs/2 패턴을 추가한 형태이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급전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이 두 개로 나누어질 때, 임피던스 매칭을 위하여 λs/4 테이퍼 형태의 트랜스포머 라인(210)을 사용한다.
한편 기판부(100)는 테플론 기판, 에폭시 기판, 알루미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기판부(100)는 기판의 재질에 따라 안테나의 패치 크기(λs/2)가 변경되기 때문에 성능 개선을 위해서 크기가 조금씩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λs는 유전율에 따른 주파수의 파장을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되는 기판의 재질에 따라 유전율이 다르므로 안테나의 사이즈는 조금씩 차이가 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존의 배열 안테나의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패치 수가 증가하더라도 안테나의 이득이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패치의 수가 8개에서 12개, 15개로 늘어나도 안테나의 이득이 크게 늘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으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이득이 14.7dB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종래 패치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안테나의 이득이 증가하지 않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안테나의 패치 수가 늘어날수록 안테나에 인가한 에너지가 안테나 기판에서 발생하는 손실로 늘어나는 안테나의 부분에서 급전되는 에너지의 감쇄가 일어나고, 나중에 늘어난 부분에서는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안테나 수가 늘어나도 더 이상 이득이 증가하는 효과가 없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순 직렬 급전 구조를 갖는 기존 배열 안테나와 달리 양방향으로 안테나의 급전이 가능한 급전 구조를 갖는다.
이상,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어서는 아니 되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7)

  1. 패치 배열 안테나에 있어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된 기판부;
    상기 기판부의 중심에 위치하여 전류를 공급하는 급전부;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기판부 상에서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상기 급전부의 일측과 연결되는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 및
    복수개의 패치가 직렬로 연결되어 급전되고, 상기 급전부를 중심에 두고 타측과 연결되어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직렬 급전 방식의 패치 안테나 구조를 형성하는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급전부는,
    T 정션 구조를 갖으며,
    상기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각각 λs/4 테이퍼 형태의 트랜스포머 라인을 통해 연결되는 것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급전부와 제1 직렬 패치 안테나부와 제2 직렬 패치 안테나부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급전부의 T 정션을 지난 후 λs/2 패턴의 반전부가 구비되는 것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의 크기는,
    λs/2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와 패치간 간격은,
    λo/2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부는,
    테플론 기판, 에폭시 기판, 알루미나 기판 중 어느 하나의 재질을 이용하는 것인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KR1020190132560A 2019-10-23 2019-10-23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KR102253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60A KR102253172B1 (ko) 2019-10-23 2019-10-23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560A KR102253172B1 (ko) 2019-10-23 2019-10-23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64A KR20210048364A (ko) 2021-05-03
KR102253172B1 true KR102253172B1 (ko) 2021-05-20

Family

ID=75910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560A KR102253172B1 (ko) 2019-10-23 2019-10-23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7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9399A1 (en) 2007-07-02 2009-01-08 Brian Paul Gaucher Antenna Array Feed Line Structures For Millimeter Wave Applications
KR102018083B1 (ko) * 2018-04-25 2019-09-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광대역 패치 어레이 안테나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75619A (ko) * 2004-01-17 2005-07-21 (주)한원텔레콤 병렬 및 직렬 급전 방식을 이용한 고이득 마이크로스트립배열 안테나 구조
KR20100113347A (ko) * 2009-04-13 2010-10-21 한국과학기술원 초고주파수 대역 레이더를 위한 직렬 급전 배열 안테나
KR101167105B1 (ko) * 2010-11-18 2012-07-20 이정해 레이더 디텍터 용 패치 어레이 안테나
KR20150137554A (ko) * 2014-05-30 2015-12-09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패치 배열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하는 레이더 신호 송수신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09399A1 (en) 2007-07-02 2009-01-08 Brian Paul Gaucher Antenna Array Feed Line Structures For Millimeter Wave Applications
KR102018083B1 (ko) * 2018-04-25 2019-09-04 성균관대학교산학협력단 광대역 패치 어레이 안테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364A (ko) 2021-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47118B2 (en) Dielectric resonator antenna arrays
US9748655B2 (en) Polarization antenna
US3016536A (en) Capacitively coupled collinear stripline antenna array
Sun et al. A wideband base station antenna element with stable radiation pattern and reduced beam squint
KR102054200B1 (ko) 비아홀로 구성된, 캐비티-백 구조의 마이크로스트립 패치 안테나
JP4917610B2 (ja) 放射ダイバーシティを伴う送信/受信アンテナ
JP6536688B2 (ja) 給電回路及びアンテナ装置
CN104518289A (zh) 双极化缝隙波导天线阵
KR102253172B1 (ko) 성능 개선용 급전 구조를 갖는 패치 배열 안테나
JP6815514B2 (ja) 金属ラジエータにおける高周波数ポリマー
US10483652B2 (en) Multi-beam antenna and multi-beam antenna array system including the same
JPH0129083B2 (ko)
WO2023221651A1 (zh) 一种双极化辐射单元、一种天线以及一种天线系统
JP2017098810A (ja) スタックアンテナ
TW201642525A (zh) 共線偶極天線及相關通訊裝置
US10957981B2 (en) Antenna device
GB2540800B (en) Antenna Array for Producing Beam Patterns Requiring a Large Phase Shift
Ren et al. A compact phased array antenna system based on dual-band Butler matrices
Sakakibara et al. Design of 2D Rotman-lens multi-beam antenna using multi-layer substrate integrated waveguide
KR101776850B1 (ko) 180도 방사 패턴을 위한 고이득 이종 합성 안테나
CN113540775B (zh) 一种多极化天线
JP5435507B2 (ja) 無指向性アンテナ
JP2004266600A (ja) 偏波ダイバーシチアンテナ
KR101085833B1 (ko) 보상급전 패치 안테나
KR20210044728A (ko) 이중편파에 대해 삽입손실을 최소화하는 안테나용 트랜스밋 어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