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560B1 -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560B1
KR102252560B1 KR1020200022639A KR20200022639A KR102252560B1 KR 102252560 B1 KR102252560 B1 KR 102252560B1 KR 1020200022639 A KR1020200022639 A KR 1020200022639A KR 20200022639 A KR20200022639 A KR 20200022639A KR 102252560 B1 KR102252560 B1 KR 102252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oncentration
signal
optical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민규
도덕희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000226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5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5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tunable la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01D46/4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p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28Investigating the spectrum
    • G01J3/42Absorption spectrometry; Double beam spectrometry; Flicker spectrometry; Reflec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2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 G01N15/0205Investigating particle size or size distribution by optical means, e.g. by light scattering, diffraction, holography or ima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0004Gaseous mixtures, e.g. polluted air
    • G01N33/0009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 G01N33/0027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of gas analysers, e.g. portable test equipment concerning the detector
    • G01N33/0036Specially adapted to detect a particular compon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9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tunable lasers
    • G01N2021/396Type of laser source
    • G01N2021/399Diode laser

Abstract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가 제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은,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상기 필터의 전후의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ANALYZING FILTER PERFORMANCE IN REAL TIME USING OPTICAL MEASUREMENT METHOD}
아래의 실시예들은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등 공기정화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필터의 소취율을 계측하는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의 필터 탈취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KS I 2218(검지관식 가스 측정기 평가)를 활용한다. 이 방법은 2L 챔버에 시료와 가스 100ppm을 넣은 뒤 시간에 따른 소취율을 확인하는 것으로, 실제 필터가 사용되는 환경 즉, 필터 전후 유동이 존재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할 수 없다.
한편, 레이저 기반 광학 성분 센서는 최근에 추출 측정 기술과 관련되어 관심을 끌고 있다. 레이저 기반 측정 기술은 현장에서 즉시 측정을 할 수 있고, 또한 동적 프로세스 제어에 적합한 고속의 피드백을 제공한다는 이점이 있다. 가변 다이오드 레이저 흡수 분광법(Tunable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이하 TDLAS라 함)은 연소가스의 성분, 온도 등의 연소 파라미터를 측정하는 매우 유망한 기술이다.
TDLAS는 전형적으로 근적외선(near-infrared)과 중적외선(mid-infrared) 스펙트럼 영역에서 작동하는 다이오드 레이저를 사용한다. 통신 산업에서 사용하기 위해 적절한 레이저들이 광범위하게 개발되어 왔다. 그러므로 그 레이저들은 TDLAS 응용을 위해 즉시 사용될 수 있다. 가변 다이오드 레이저가 발명된 후, 연소 프로세스를 감지하고 제어하기 위한 여러 TDLAS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한국등록특허 10-1913216호
실시예들은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에 관하여 기술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광학 계측 방식을 적용하여 필터의 전후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도 정밀한 농도 계측이 가능한 기술을 제공한다.
실시예들은 측정 대상인 가스의 흐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필터의 전후의 가스의 농도 확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필터의 탈취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실시예들은 필터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함으로써, 필터의 전후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도 정밀한 농도 계측이 가능한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은,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상기 필터의 전후의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질량 유량계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측정 시험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 세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광 신호의 광학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ppm별로 나누어 상기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수행하여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는,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 송신부; 상기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광 수신부; 획득된 상기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흡수 신호 분해부;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캘리브레이션 시험부; 및 상기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상기 필터의 전후의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농도 추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상기 측정 시험부에 제공하는 질량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송신부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하고,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설치되는 검출기(detector)를 포함하며, 상기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상기 검출기(detector)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광 송신부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할 수 있다.
상기 광 송신부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상기 흡수 신호 분해부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할 수 있다.
상기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르면 측정 대상인 가스의 흐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필터의 전후의 가스의 농도 확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필터의 탈취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필터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함으로써, 필터의 전후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도 정밀한 농도 계측이 가능한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의 계측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설치되는 측정 시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기술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아래의 실시예들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탈취 시험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KS I 2218(검지관식 가스 측정기 평가)의 시험 환경의 제약에서 벗어나 광학 측정 방식을 적용한다. 또한, 필터 전후 유해가스의 흐름이 유지되는 상황에서의 가스의 농도를 확인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아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 가스에 대해 광학 측정을 이용한 필터 전후 농도 측정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 측정 방식의 계측 시스템으로,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실시예들은 레이저를 이용한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하여 측정 시험부(130)의 필터의 전과 후의 측정 대상 가스(110)의 농도 확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필터의 탈취 성능을 분석할 수 있다.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는 광 신호 발생기(160), 레이저 컨트롤러(170) 및 DFB 다이오드 레이저(180), 광 분배기(빔 스플리터)를 이용한 광 송신부와 포토다이오드, 증폭기, 메모리 하이코더(190)를 이용한 광 수신부를 복합 활용한 광 신호 측정 시스템이다. 여기서, 복합 활용한 광 신호 측정 시스템은 가변 다이오드 레이저 흡수 분광법(Tunable Diode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TDLAS)이 될 수 있다. 측정 시험부(130)의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설치하여, 측정 대상 가스(110)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할 수 있는 시스템이 구현될 수 있다.
건조 공기와 암모니아(NH3)를 질량 유량계(Mass Flow Controller, MFC)(120)를 이용하여 농도들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시험부(130)인 측정 셀에 설치된 필터의 전과 후로 콜리메이터(collimator)(140)와 검출기(detector)(150)를 같은 선상에 두도록 설치하여, DFB 다이오드 레이저(1512nm)(180)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메모리 하이코더(memory hicorder)(190)를 이용하여 취득할 수 있다.
측정 대상 가스(110)는 질량 유량계(120)를 통하여 측정 대상 가스(110)의 농도를 제어하여 필터가 설치된 측정 시험부(130)에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측정 시험부(130)의 출구가 열려 있음으로써 일정 유동 조건이 유지될 수 있다.
TDLAS는 가스 분자의 온도와 농도를 측정하고자 할 때 사용되며, 기본 원리는 Beer-Lambert 법칙으로 설명할 수 있다.
빛이 흡수 매체를 통과할 때 흡수 및 투과된 빛의 세기는 단위 부피 내의 기체의 입자수인 농도와 관련이 있으며, 흡수량 레이저의 초기 신호(입사광)와 투과된 신호(투과광)의 강도비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즉, 광 신호로부터 농도에 따른 흡수 스펙트럼을 분해하는 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1
여기서,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2
는 입사광의 초기 빛의 강도이고,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3
는 선폭 함수이며,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4
는 투과광의 빛의 강도이고,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5
는 흡수 강도이며,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6
는 온도 함수인 선강도(line strength)이다. 또한,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7
은 흡수 길이이고,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8
는‘i’종 기체의 수밀도(number density)를 나타낸다. 그리고 아래첨자 i, j,
Figure 112020019553313-pat00009
는 각각 측정 대상 가스(110)의 종(species), 레이저 경로(laser paths), 파장(wavelength)을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가 설치되는 측정 시험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측정 시험부(200)의 필터(210)의 전과 후의 광 신호(광학 신호)를 계측하기 위해 레이저 송수신부가 장착될 영역을 나타낸다. 측정 시험부(200)인 측정 셀의 중앙에 설치된 필터(210)의 전·후로 다이오드 레이저 셋을 설치하여, 필터(210) 전·후의 암모니아 농도가 줄어드는 현상을 광 흡수 신호의 변화로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210)의 전의 광 신호를 계측하기 위해 레이저 송수신부가 장착될 영역(220)과 필터(210)의 전의 광 신호를 계측하기 위해 레이저 송수신부가 장착될 영역(230)에 각각 다이오드 레이저 셋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광 신호를 다열로 분배하고, 측정 시험부(200)의 필터(210) 전후에 각각 설치된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를 통해 광 신호를 계측할 수 있다.
광 흡수 신호를 구하기 위해서 건조 공기 100%를 측정 시험부(200)에 제공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흡수가 나타나지 않는 스펙트럼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질량 유량계를 활용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할 수 있다.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ppm별로 나누어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결과를 토대로 해당 시스템에서 필터(210)를 바꾸어 동일한 성능 테스트를 수행함으로써 측정하고자 하는 필터(210)의 소취율에 대한 성능을 해석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300)는 광 송신부(310), 광 수신부(320), 흡수 신호 분해부(330), 캘리브레이션 시험부(340) 및 농도 추정부(3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300)는 질량 유량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질량 유량계는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할 수 있다.
광 송신부(310)는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 송신부(310)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할 수 있다. 특히, 광 송신부(310)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를 다열로 분배할 수 있다.
광 송신부(310)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 송신부(310)는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다이오드 레이저와, 복수 개로 분배된 광 신호를 측정 시험부로 제공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광 송신부(310)는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할하기 위해 빔 스플리터(beam splitter)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광 수신부(320)는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광 수신부(320)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설치되는 검출기(detector)를 포함할 수 있다. 검출기(detector)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서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흡수 신호 분해부(330)는 획득된 광 신호의 실시간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할 수 있다.
여기서, 흡수 신호 분해부(330)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할 수 있다.
캘리브레이션 시험부(340)는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할 수 있다.
농도 추정부(350)는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필터의 전후의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할 수 있다. TDLAS를 이용해 측정하는 센서는 파장 가변형 다이오드 레이저인 레이저 빔을 측정 영역에 쏜 후, 이를 통과해 나오는 레이저 양을 통해 가스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은,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S120),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S130), 획득된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S140),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S150), 및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필터의 전후의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질량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하는 단계(S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광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 세트를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래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의 각 단계를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장치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먼저, 광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측정 시험부의 필터 전후에 콜리메이터(collimator)와 검출기(detector)를 복수 설치할 수 있다. 즉,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 세트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단계(S110)에서, 질량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할 수 있다.
단계(S120)에서, 광 송신부는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광 송신부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할 수 있다. 예컨대, 한 개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다열로 분배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 송신부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할 수 있다.
단계(S130)에서, 광 수신부는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흡수 신호 분해부는 획득된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할 수 있다.
흡수 신호 분해부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할 수 있다.
단계(S150)에서, 캘리브레이션 시험부는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할 수 있다.
단계(S160)에서, 농도 추정부는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필터의 전후의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즉, 농도 추정부는 필터 전후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측정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 결과를 토대로 필터 전후의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의 흡수 스펙트럼 변화로부터 측정 지점의 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함으로써, 필터의 전후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도 정밀한 농도 계측이 가능하다.
또한, 측정 대상인 가스의 흐름이 유지되는 상태에서 필터의 전후의 가스의 농도 확인을 통해 실시간으로 필터의 탈취 성능을 분석함으로써, 보다 신뢰성 있는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질량 유량계를 이용하여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하는 단계;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획득된 상기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 및
    상기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상기 필터의 전후의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하며,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단계는,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ppm별로 나누어 상기 캘리브레이션 시험을 수행하여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고,
    상기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의 송수신을 위해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검출기(detector) 세트를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필터 성능 분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 신호의 광학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단계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방법.
  7. 삭제
  8. 삭제
  9.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조절하고 측정 시험부에 제공하는 질량 유량계;
    상기 측정 대상 가스가 흐르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 신호를 송신하는 광 송신부;
    상기 다이오드 레이저에서 발생된 광 신호를 획득하는 광 수신부;
    획득된 상기 광 신호의 광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흡수 신호를 분해하는 흡수 신호 분해부;
    상기 필터의 전후의 가스 유동이 있는 상황에서 캘리브레이션(calibration) 시험을 통해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는 캘리브레이션 시험부; 및
    상기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여 획득된 흡수 스펙트럼의 변화로부터 상기 필터의 전후의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추정하는 농도 추정부
    를 포함하고,
    상기 광 송신부는,
    하나의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동일한 세기로 분배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에 송신하여 상기 필터의 전후 지점에 대한 농도 계측에 활용하며,
    상기 캘리브레이션 시험부는,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를 ppm별로 나누어 상기 캘리브레이션 시험을 수행하여 각 농도별 흡수 신호의 세기를 기록하고,
    상기 필터의 전후로 TDLAS를 복수로 구성하여, 상기 측정 대상 가스의 농도 정보를 상대 비교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송신부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설치되는 콜리메이터(collimator)를 포함하고,
    상기 광 수신부는,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에 설치되는 검출기(detector)를 포함하며,
    상기 콜리메이터(collimator) 및 상기 검출기(detector)는 하나의 세트로 구성되어, 상기 측정 시험부의 필터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광 송신부는,
    하나의 DFB 다이오드 레이저로부터 송신되는 상기 광 신호를 복수 개로 분배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장치.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 신호 분해부는,
    Lambert-Beer 법칙을 활용하여 일반 공기를 제공하였을 때를 기준 신호로 두고, 측정 대상 가스의 유입이 이루어졌을 때를 측정 대상 신호로 두어 상대 비교하여 계측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성능 분석 장치.
  15. 삭제
KR1020200022639A 2020-02-25 2020-02-25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52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39A KR102252560B1 (ko) 2020-02-25 2020-02-25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39A KR102252560B1 (ko) 2020-02-25 2020-02-25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560B1 true KR102252560B1 (ko) 2021-05-17

Family

ID=761578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39A KR102252560B1 (ko) 2020-02-25 2020-02-25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25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62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지스코 탈질설비의 필터 성능시험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561A (ja) * 2008-10-15 2010-04-3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レーザ式ガス分析計の校正装置
KR101288784B1 (ko) * 2008-12-08 2013-07-2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460874B1 (ko) * 2010-06-24 2014-11-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암모니아 화합물 농도 계측 장치 및 암모니아 화합물 농도 계측 방법
KR101785896B1 (ko) * 2017-03-28 2017-10-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Tdlas 기반 레이저 빔 3차원 배열을 이용한 가스의 온도, 농도 및 속도 분포 동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913216B1 (ko) 2017-10-25 2018-10-31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스 탐지 장치 및 가스 탐지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6561A (ja) * 2008-10-15 2010-04-30 Fuji Electric Systems Co Ltd レーザ式ガス分析計の校正装置
KR101288784B1 (ko) * 2008-12-08 2013-07-22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배기 가스 정화 장치
KR101460874B1 (ko) * 2010-06-24 2014-11-11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암모니아 화합물 농도 계측 장치 및 암모니아 화합물 농도 계측 방법
KR101785896B1 (ko) * 2017-03-28 2017-10-13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Tdlas 기반 레이저 빔 3차원 배열을 이용한 가스의 온도, 농도 및 속도 분포 동시 측정 방법 및 시스템
KR101913216B1 (ko) 2017-10-25 2018-10-31 한국원자력연구원 가스 탐지 장치 및 가스 탐지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82362A (ko) * 2021-12-01 2023-06-08 주식회사 지스코 탈질설비의 필터 성능시험 장치
KR102635844B1 (ko) 2021-12-01 2024-02-13 주식회사 지스코 탈질설비의 필터 성능시험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86752B2 (ja) フォトサーマル干渉装置および方法
Washenfelder et al. Broadband measurements of aerosol extinction in the ultraviolet spectral region
US9939376B2 (en) Method for calibration-free scanned-wavelength modulation spectroscopy for gas sensing
US771056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acoustic measurements
US9523637B2 (en) Thermal selectivity multivariate optical computing
EP266966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te detection of ethanol vapors in the atmosphere
US8268493B2 (en) Fiber optic based in-situ diagnostics for PEM fuel cells
KR20040086152A (ko) 기상관측 라이더 시스템
US8872133B2 (en) Device for measuring the fluorescence of a medium
JP2009510480A (ja) 2線のガス分光法の較正
US934787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xternal cavity laser absorption spectroscopy
US94233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a concentration
CN104903704A (zh) 进行水汽测定的可调谐二极管激光吸收光谱
KR20080085747A (ko) 가스 농도의 정량 분석 방법 및 장치
KR102252560B1 (ko) 광학 측정 방식을 이용한 실시간 필터 성능 분석 방법 및 장치
WO1999015880A1 (en) Spectroscopic analysis of samples with turbidity and high absorbance
CN107064119A (zh) 用于监视光学传感器的光源的器件
EP1069426A1 (en) Method and device for measuring concentration of absorbing component of scattering/absorbing body
US9007592B2 (en) Gas analyzer
US10739255B1 (en) Trace moisture analyzer instrument, gas sampling and analyzing system, and method of detecting trace moisture levels in a gas
KR20040064506A (ko) 다이오드 레이저를 이용한 계측시스템
US20170010208A1 (e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the concentration of at least one gas in a sample gas stream by means of 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US11137351B2 (en) Trace chemical concentration measurement using mid-infrared absorption spectroscopy in a highly absorbing medium
JP6750410B2 (ja) レーザ式ガス分析装置
JP2008134076A (ja) ガス分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