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514B1 -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 Google Patents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514B1
KR102251514B1 KR1020200075642A KR20200075642A KR102251514B1 KR 102251514 B1 KR102251514 B1 KR 102251514B1 KR 1020200075642 A KR1020200075642 A KR 1020200075642A KR 20200075642 A KR20200075642 A KR 20200075642A KR 102251514 B1 KR102251514 B1 KR 102251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ft certificate
mobile gift
country
user terminal
mobi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5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우정
Original Assignee
(주)쿠프마케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쿠프마케팅 filed Critical (주)쿠프마케팅
Priority to KR1020200075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514B1/ko
Priority to US17/924,047 priority patent/US20230186338A1/en
Priority to PCT/KR2021/007358 priority patent/WO2021261820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22During e-commerce, i.e. online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22Payment schemes or models
    • G06Q20/26Debit schemes, e.g. "pay now"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387Payment using discounts or coup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5Establishing or using transaction specific rul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8Trade or exchange of goods or services in exchange for incentives or rew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39Online discounts or incentiv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은,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발급을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및 브랜드의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및 리워드 지급을 포함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브랜드 서버는 상기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상기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및 상기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국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GLOBAL MOBILE VOUCHER PLATFORM AND METHOD FOR SENDING MOBILE VOUCHER BETWEEN COUNTRY USING THE SAME}
본원은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바일 상품권은 모바일을 통해 제공되고 특정한 금전적 가치를 가지며, 특정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해 소비할 수 있는 교환 거래 채권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모바일 상품권은 해당 상품권에 지정된 상품 또는 서비스에 대한 제공을 요청할 권리가 포함된 교환권으로써, 바코드, QR코드, 모바일 또는 웹 페이지 접속 가능 URL, 또는 난수 형식의 PIN 번호 등의 형식을 가지고 발급된다.
최근 들어, 다양한 채널을 통해 사용자가 모바일 상품권을 구입하여 스스로 사용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하는 경우는 흔히 찾아볼 수 있으며, 이러한 직접 구매 방식 외에도 다양한 금융 서비스 기관, 통신 서비스 기업, 사업자, 단체 등이 당사의 고객에 대한 혜택으로써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거나 모바일 상품권, 스탬프, 할인 쿠폰 등의 리워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국가에서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사용자는 해당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만을 구매하거나 선물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해외에서 직접 사용하거나 다른 국가에 있는 제3자가 사용하도록 모바일 상품권을 해외로 선물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에는 이르지 못했다. 또한, 사용자가 해외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는 경우에도 국가별로 제공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가 통합되지 못해 사용자의 불편을 야기하는 한계가 있었다.
또한, 모바일 상품권 기반으로 소정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판매하려는 브랜드의 입장에서도 브랜드가 진출한 국가마다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 또는 시스템을 별도로 구축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으며,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갖추지 못한 소규모 브랜드의 경우에는 해당 브랜드에서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모바일 상품권화하여 제공하거나 스탬프 적립, 할인 혜택, 이벤트 등의 리워드를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기 어려워 모바일 상품권 등을 활용한 홍보나 프로모션을 진행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745800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하도록 제공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브랜드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혜택, 리워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등의 고객관계관리(CRM)와 관련한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여러 국가에서 통합적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은,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발급을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및 브랜드의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및 리워드 지급을 포함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브랜드 서버는, 상기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상기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및 상기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국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연동사 등록 권한 및 연동사 삭제 권한을 보유하고, 등록된 연동사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 및 모바일 상품권 삭제 권한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기제공하는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및 등록된 연동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기 위한 권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서버는, 국가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의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국가는 제1국가 및 제2국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국가의 제2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에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은,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이 소정의 사용처에서 사용되면, 상기 사용처에 구비된 사용처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국가마다 구비된 상기 메인 서버에 대한 어드민(Admin) 및 상기 브랜드 서버에 대한 어드민(Admin)을 부여하는 통합 관리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의 국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국가 정보가 제2국가이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 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상기 구매 페이지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의 국가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 및 상기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모바일 상품권을 사용자가 구매하거나 제3자에게 선물하도록 제공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브랜드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혜택, 리워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등의 고객관계관리(CRM)와 관련한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여러 국가에서 통합적인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에 기초하여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프로세스 및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처에서 실제 사용되는 경우의 인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브랜드 연계 서비스와 연계된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또한,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에 기초하여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자 단말에 전달되는 프로세스 및 모바일 상품권이 사용처에서 실제 사용되는 경우의 인증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이하,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이라 한다.)은, 메인 서버(100), 브랜드 서버(200), 통합 관리 서버(300), 사용자 단말(30) 및 사용처 단말(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달리 말해,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이 진출한 복수의 국가)마다 개별 서버를 구비할 수 있다. 달리 말해,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제1국가(N1) 및 제2국가(N2)를 포함하는 복수의 국가마다 개별적으로 마련되는 메인 서버(100) 및 브랜드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10)의 메인 서버(100)는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 및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10)의 브랜드 서버(200)는 제1국가의 브랜드 서버(201) 및 제2국가의 브랜드 서버(202)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서 개시하는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10)의 세부적인 기능 및 동작에 대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국가 및 제2국가에서 수행되는 것을 중심으로 설명하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글로벌 모바일 플랫폼(10)은 제1국가와 제2국가 외의 제3국가, 제4국가 등의 복수의 국가에 대해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국가의 사용자 단말은 제1사용자 단말(31)로, 제2국가의 사용자 단말은 제2사용자 단말(32)로 지칭하도록 한다.
메인 서버(100), 브랜드 서버(200), 통합 관리 서버(300), 사용자 단말(30) 및 사용처 단말(4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자 단말(3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사용처 단말(40)은 오프라인으로 운영되는 상품 제공처에 구비된 상품의 판매 및 관리를 처리하는 장치(일종의 키오스크 단말, POS 단말)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처 단말(40)은 모바일 상품권 사용처가 온라인 상에 구축한 상품 판매 사이트 등을 운용 및 관리하는 사용처 서버(미도시)와 연계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모바일 상품권"이란 실물(예를 들어, 지류, 카드 등의 형태)이 아닌 온라인 또는 모바일 상에서 무형으로 발행되는 가치 교환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 상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통해 각종 상품(단, 물품 및 유/무형의 서비스를 포함하는 개념)과 교환하거나 다른 사용자에게 선물(이관)할 수 있다. 즉, 모바일 상품권은 사용자가 직접 사용할 수 있거나, 제3자에게 선물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든 종류의 가치 교환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서의 모바일 상품권은 모바일 쿠폰, 상품권, 티켓, 포인트 등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간에 전자/모바일을 통해 송수신되고,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에서 직접 사용 또는 물건/서비스와 교환 가능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원에서의 모바일 상품권은 구체적인 형태나 서비스 제공 방식에 관계없이 온라인으로 송수신되고 임의의 상품/서비스와 교환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메인 서버(100)는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및 사용자 단말(30)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발급을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국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연동사 등록 권한 및 연동사 삭제 권한을 보유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등록된 연동사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 및 모바일 상품권 삭제 권한을 보유할 수 있다.
여기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동사란 상품 또는 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을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을 통해 사용자(소비자)들에게 제공(판매)하고, 이를 소지한 사용자가 사용처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제시하면, 해당 모바일 상품권에 상응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연동사는 본원에서의 브랜드 서버(200)를 운용하며, 브랜드 서버(200)를 통해 고객에 대한 리워드 지급, 모바일 상품권 지급 등을 관리하는 "브랜드"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연동사는 브랜드 서버(200)를 운용하지는 않지만, 메인 서버(100)에 연동사가 제공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하여 메인 서버(100)가 사용자(소비자)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판매하도록 의뢰하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달리 말해, 본원에서의 연동사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의 메인 서버(100)를 통해 연동사가 제공하는 상품/서비스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을 판매하고자 하는 주체를 포괄적으로 의미하는 용어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가 보유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기제공하는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하기 위한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가 보유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을 등록하기 위한 권한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과 관련하여, 메인 서버(100)는 연동사에서 기존에 제공(판매)하던 모바일 상품권이 존재하는 경우, 연동사가 기 제공하는 모바일 상품권을 메인 서버(100)에 등록하여 사용자가 구매 또는 선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은 예를 들어 특정 지역(로컬)에서 소규모로 운영되는 연동사와 같이 모바일 상품권 형태로 상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판매)하지 않는 연동사에 대하여도 모바일 상품권을 신규 생성하여 메인 서버(100)를 통해 사용자들에게 판매되도록 한 것으로, 본원의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국소적으로 운용되거나 규모가 작은 연동사의 경우에도 사용자(소비자)가 해당 연동사의 상품 또는 서비스를 모바일 상품권을 기반으로 접근할 수 있도록, 연동사가 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에 기반하여 새롭게 모바일 상품권을 생성 및 등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는 연동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연동사에서 제공(판매)하는 상품 또는 서비스의 항목 정보 및 가격 정보에 기초하여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을 신규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는 연동사 서버(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연동사의 매출 정보 등에 기초하여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의 등록 수량(판매 수량)을 결정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국가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로의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서버(100)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처에서의 인증 방식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로의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전달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가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전달 방식을 결정한다는 것은,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를 수령자의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하는 과정에서 식별 정보의 형식을 소정의 유형으로 결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의 형식은 바코드, QR 코드, PIN 번호, SMS/MMS/LMS 기반의 URL 링크 등의 형식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하면,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국가에서 운영되는 이동통신 시스템이 MMS(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지원하지 않는 경우, 제1국가의 사용자 단말(31)에 발급되는 모바일 상품권은 MMS 기반의 URL 링크를 제외한 형식으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처인 연동사가 구축한 결제 시스템 등에 제반 여건을 고려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식별 정보가 소정의 형식일 것이 요구되는 경우, 해당 형식을 고려하여 사용자 단말(30)로 모바일 상품권이 해당 형식에 부합하게 발급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사용자 단말(30)의 유형 정보에 기초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이 저장되는 매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에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과 연계된 어플리케이션(이하, '글로벌 App'이라 한다.)이 설치된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30)에 대하여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식별 정보를 글로벌 App의 수신함(기프트 박스)으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메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30)에 글로벌 App이 설치되지 않은 경우, 해당 사용자 단말(30)에 대하여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식별 정보를 메시지(예를 들면, 상술한 MMS/SMS/LMS 등) 형태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 서버(100)는 글로벌 App이 설치되지 않아 메시지 형태로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 받는 사용자 단말(30)에 대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와 함께 글로벌 App의 설치를 위한 정보(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 설치 링크)를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된 경우란 제1사용자 단말(31)의 사용자가 글로벌 앱(App)을 통해 제공되는 국가 선택 탭에서 제2국가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한 경우에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2국가의 메인 서버(202)로부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제1사용자 단말(31)로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부터 전송된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필요에 따라(예를 들면, 제1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국가의 언어로 번역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부터 전송된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에 포함된 모바일 상품권 각각의 가격 정보를 필요에 따라(예를 들면, 제1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제1국가에서의 통화 정보에 기초하여 변환하여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제2국가의 제2사용자 단말(32)에 대하여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소정의 모바일 상품권(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전술한 발급 요청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제1사용자 단말(31)의 식별 정보 및 제2사용자 단말(3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31, 32)의 식별 정보란 예를 들어, 글로벌 App에 대한 사용자 각각의 계정 정보(ID 등)를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는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로부터 수신된 선물 정보에 기초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제2사용자 단말(32)로 발급할 수 있다.
브랜드 서버(200)는 브랜드의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및 리워드 지급을 포함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서버(200)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복수의 국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브랜드 서버(200)는 고객의 구매 이력, 방문 이력, 이벤트 참여 이력 등에 기초하여 혜택으로 제공되는 스탬프, 마일리지, 포인트 적립 등을 포함하는 리워드를 고객의 사용자 단말(30)로 전송하고, 고객마다의 리워드 제공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서버(200)는 고객의 구매 이력, 방문 이력, 이벤트 참여 내역 등에 기초하여 소정의 조건을 충족하는 고객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하고, 고객마다의 모바일 상품권 지급 이력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랜드 서버(200)는 브랜드가 복수의 지점(매장 등)을 운용하는 경우, 지점별 리워드 관리 및 지점별 모바일 상품권 지급 관리를 포함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서버(200)는 선택된 지점에 해당 지점에서 고객에게 지급되는 모바일 상품권의 유형 및 지급 수량을 할당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랜드 서버(200)는 지점별 리워드 제공 현황에 관한 통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또한, 브랜드 서버(200)는 지점별 모바일 상품권 지급 현황, 모바일 상품권 기반 매출 현황 등에 관한 통계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통합 관리 서버(300)는 사용자 단말(30)로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이 소정의 사용처에서 사용되면, 해당 사용처에 구비된 사용처 단말(4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합 관리 서버(300)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구비된 메인 서버(100)에 대한 어드민(Admin) 및 브랜드 서버(200)에 대한 어드민(Admin)을 부여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 AWS)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 기반으로 구축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통합 관리 서버(300)가 전술한 AWS 기반으로 구현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300)는 복수의 국가마다 구비되는 메인 서버(100) 및 브랜드 서버(200)에 구축된 소프트웨어 서비스를 어드민으로 제공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기반 어드민 분기 로직(Logic)을 보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원에서 개시하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체 플랫폼을 구축하고 소프트웨어 서비스 형태로 진출 국가마다 어드민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됨으로써 신규 국가에의 진출시, 플랫폼의 확장이 용이할 수 있다.
도2를 참조하면,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은 복수의 국가마다 분기되는 어드민 분기 로직(Logic)을 통해 복수의 국가 각각에서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및 브랜드 연계 서비스가 제공되도록 구축되고, 사용자(고객)는 사용자 단말(30)에 설치된 글로벌 App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선물, 사용 등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및 브랜드마다 리워드(스탬프 적립, 마일리지 적립, 포인트 적립, 할인 쿠폰 등)를 관리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사용자의 국가에 구애받지 않고 통합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합 관리 서버(300)가 사용처 단말(40)로부터 수신하는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정보는 사용처의 모바일 상품권 사용/인증 환경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처 단말(40)과 통합 관리 서버(300)의 통신 방식이 통일된 API를 기반으로 하는 경우, 통합 API(예를 들면, TCP/IP 방식, HTTP 방식, DLL 방식 등)를 기반으로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 정보가 사용처 단말(40)로부터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사용처 단말(40)에 소정의 Redemption Agent 프로그램이 탑재되는 경우, 통합 관리 서버(300)는 Redemption Agent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처 단말(40)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의 인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처 단말(40)은 별도의 웹 어드민을 기초로 사용 요청된 모바일 상품권을 조회하여 유효성이 확인되면, 해당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통합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사용처 단말(40)에 상술한 글로벌 App이 설치될 수 있는 경우, 사용처 단말(40)의 사용자(사용처 관리자 등)는 글로벌 App에 모바일 상품권 사용 관리자 권한을 보유한 계정으로 접속(로그인)하여 글로벌 App을 통해 모바일 상품권의 식별 정보 및 유효성을 확인하여 해당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을 처리하고, 통합 관리 서버(300)는 글로벌 App을 통해 처리 결과를 수신할 수 있다.
이렇듯, 본원의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의 통합 관리 서버(300)는 국가마다,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처(매장)마다 상이한 모바일 상품권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가 다양한 환경에서 운용될 수 있도록 사용처 단말(40)의 유형 또는 사용처의 환경에 기초하여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사용 및 인증 방식을 모두 패키징하여 통합적으로 보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30)에서 표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30)에 설치된 전술한 글로벌 App을 통해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 또는 선물하기 위하여 충전한 금액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가 모바일 상품권을 직접 사용하기 위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페이지에 접속하는 버튼('쿠폰구매') 및 제3자에게 소정의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하기 위하여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 페이지에 접속하는 버튼('선물하기')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 단말(30)로 다른 사용자가 선물하거나 소정의 브랜드에서 리워드로 지급된 모바일 상품권 선물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와 연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는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에게 소정의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도록 유도하기 위한 홍보 영역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홍보 영역에는 사용자 단말(3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근접한 매장이 있는 브랜드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해당 브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홍보 영역에는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에 대하여 누적 저장된 모바일 상품권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기호를 반영한 추천 브랜드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해당 추천 브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홍보 영역에는 사용자 단말(30)에 저장된 연락처, 주소록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30) 사용자가 지인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선물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연락처, 주소록 등에 기초하여 결정된 지인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또는 지인 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누적 저장된 지인의 모바일 상품권 사용 이력에 기초하여 추천 브랜드의 정보가 표시되거나 해당 추천 브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가 위치하는 국가와 상이한 국가에 지인이 위치하는 경우 해당 국가의 메인 서버(100)로부터 해당 국가의 브랜드의 정보 및 브랜드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 단말(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표시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의 브랜드 연계 서비스와 관련하여 브랜드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표시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의 브랜드 연계 서비스와 연계된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특히, 도 4a 및 도 4b는 브랜드 서버(200)와 연계된 브랜드의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브랜드의 지점마다 지점의 고객에게 리워드로 지급될 수 있는 모바일 상품권을 할당(발송)하기 위해 표시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고, 도 4c 및 도 4d는 브랜드 서버(200)와 연계된 브랜드의 관리자 단말(미도시)에서 브랜드의 지점별 모바일 상품권의 매출 통계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표시되는 관리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브랜드 서버(200)는 관리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지점 선택 입력 및 모바일 상품권의 할당 정보(품목 유형, 수량 정보, 소모 포인트, 이벤트명 등)를 수신하여 선택된 지점에 모바일 상품권을 할당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브랜드의 각각에 지점에서는 할당된 모바일 상품권을 기초로 고객에게 혜택, 이벤트를 제공하거나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고객에게 모바일 상품권을 지급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도 2를 참조하면, 브랜드 서버(200)는 브랜드의 지점마다 구비되는 사용처 단말(40)로부터 해당 사용처(지점)에서 사용된 모바일 상품권의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도 2의 '이력 동기화'). 또한,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브랜드 서버(200)는 사용처 단말(40)로부터 수집된 사용처(지점)별 모바일 상품권 사용 이력을 가공하여 소정의 시간 범위(예를 들면, 시간대별, 일별, 월별 등) 동안의 매출 이력 정보를 도출하고, 이를 시각화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랜드 서버(200)는 매출 이력 정보를 차트, 그래프 등의 형태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랜드 서버(200)는 해당 브랜드에 대하여 구축된 ERP, MRP, MIS, CRM, POS 시스템 등이 기 존재하는 경우, ERP, MRP, MIS, CRM, POS 시스템 등의 API 옵션과 연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앞서 설명된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32)의 국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수신된 제2사용자 단말(32)의 국가 정보가 제2국가이면,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에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요청하여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부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채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채널 선택 입력은 국가마다 상이하게 마련되는 Lazadea, Tokopedia, Kakaotalk, Facebook 등의 채널 중 사용자가 특정 채널을 기반으로 모바일 상품권의 구매를 진행하도록 구매 페이지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웹 사이트 등을 선택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부터 수신된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제1사용자 단말(31)로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계 S14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제1사용자 단말(31)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계 S14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제1사용자 단말(31)로 전송되는(달리 말해, 제1사용자 단말(31)을 통해 표시되는) 구매 페이지의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및 제2사용자 단말(3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수신된 선물 요청을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7에서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는 수신된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제2사용자 단말(32)로 발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7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앞서 설명된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1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수신된 선택 정보에 기초하여 제1사용자 단말(31)의 사용자가 선택한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3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선택된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32)의 국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4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채널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5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수신된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선택 정보 및 채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제1사용자 단말(31)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6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제1사용자 단말(31)로부터 제2사용자 단말(32)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7에서 제1국가의 메인 서버(101)는 수신된 선물 요청을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8에서 제2국가의 메인 서버(102)는 수신된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제2사용자 단말(32)로 발급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 내지 S28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100: 메인 서버
200: 브랜드 서버
300: 통합 관리 서버
20: 네트워크
30: 사용자 단말
40: 사용처 단말

Claims (10)

  1.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으로서,
    모바일 상품권 관리 및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발급을 포함하는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를 제공하는 메인 서버; 및
    브랜드의 고객의 사용자 단말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 지급 및 리워드 지급을 포함하는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는 브랜드 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 및 상기 브랜드 서버는,
    상기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과 연계된 복수의 국가마다 상기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및 상기 브랜드 연계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의 국가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구비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연동사 등록 권한 및 연동사 삭제 권한을 보유하고, 등록된 연동사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 및 모바일 상품권 삭제 권한을 보유하되, 상기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기제공하는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및 등록된 연동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기 위한 권한이고,
    상기 메인 서버는,
    상기 연동사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 이력에 따라 상기 연동사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등록 유형을 상기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또는 상기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정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이 전송되는 상기 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국가에서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의 형식을 결정하는 것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국가는 제1국가 및 제2국가를 포함하고,
    상기 제1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로부터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것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제2국가의 제2사용자 단말에 대하여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을 발급해줄 것을 요청하는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에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상기 제1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제2국가의 메인 서버는,
    상기 선물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것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7. 제1항에 있어서,
    발급된 모바일 상품권이 소정의 사용처에서 사용되면, 상기 사용처에 구비된 사용처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복수의 국가마다 구비된 상기 메인 서버에 대한 어드민(Admin) 및 상기 브랜드 서버에 대한 어드민(Admin)을 부여하는 통합 관리 서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8.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으로서,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의 국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국가 정보가 제2국가이면,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의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발급하는 단계는,
    메인 서버가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이 전송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국가에서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의 형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연동사 등록 권한 및 연동사 삭제 권한을 보유하고, 등록된 연동사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 및 모바일 상품권 삭제 권한을 보유하되, 상기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기제공하는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및 등록된 연동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기 위한 권한이고,
    상기 국가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동사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 이력에 따라 상기 연동사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등록 유형을 상기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또는 상기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상품권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2국가에서 사용 가능한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구매 페이지를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하되,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채널 선택 입력에 기초하여 상기 제1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는 상기 구매 페이지의 유형을 결정하는 것인,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10.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으로서,
    제1국가의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수령하는 제2사용자 단말의 국가 정보 및 상기 제2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선물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 및 상기 선물 요청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을 상기 제2사용자 단말로 발급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발급하는 단계는,
    메인 서버가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이 전송되는 상기 제2사용자 단말과 연계된 국가에서 운영하는 이동통신 시스템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발급 대상 모바일 상품권에 대한 식별 정보의 형식을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서버는,
    연동사 등록 권한 및 연동사 삭제 권한을 보유하고, 등록된 연동사와 연계된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 및 모바일 상품권 삭제 권한을 보유하되, 상기 모바일 상품권 등록 권한은 등록된 연동사에서 기제공하는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및 등록된 연동사에서 판매하는 상품에 대응하도록 신규 생성된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 중 적어도 하나를 등록하기 위한 권한이고,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연동사의 모바일 상품권 제공 이력에 따라 상기 연동사에 대한 모바일 상품권의 등록 유형을 상기 제1유형 모바일 상품권 또는 상기 제2유형 모바일 상품권으로 결정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KR1020200075642A 2020-06-22 2020-06-22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KR102251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42A KR102251514B1 (ko) 2020-06-22 2020-06-22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US17/924,047 US20230186338A1 (en) 2020-06-22 2021-06-11 Global mobile voucher platform and method for sending mobile voucher between countries using the same
PCT/KR2021/007358 WO2021261820A1 (ko) 2020-06-22 2021-06-11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5642A KR102251514B1 (ko) 2020-06-22 2020-06-22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514B1 true KR102251514B1 (ko) 2021-05-13

Family

ID=7591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5642A KR102251514B1 (ko) 2020-06-22 2020-06-22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186338A1 (ko)
KR (1) KR102251514B1 (ko)
WO (1) WO202126182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20A1 (ko) * 2020-06-22 2021-12-30 (주)쿠프마케팅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562A (ko) * 2003-07-23 2005-01-29 이창근 국제 상품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088043A (ko) * 2010-10-26 2012-08-08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70056820A (ko) * 2015-11-16 2017-05-24 신영준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46329B2 (en) * 2000-01-13 2006-12-05 Erinmedia, Llc Privacy compliant multiple dataset correlation and content delivery system and methods
KR20070023261A (ko) * 2005-08-24 2007-02-28 김재형 국제 유통 상품권 운용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국제유통 상품권 운용 장치 및 기록매체
US20090099964A1 (en) * 2007-10-10 2009-04-16 Calderon Gonzalez Efr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funds to a beneficiary
US20100057580A1 (en) * 2008-08-28 2010-03-04 Radha Raghunathan Unified payment card
US9508064B2 (en) * 2009-07-17 2016-11-29 James Robert Curtis Kiosk gift card system and method
WO2011154844A2 (en) * 2010-06-11 2011-12-15 Jeffrey Laporte Mobile retail loyalty network
US20130080321A1 (en) * 2011-09-22 2013-03-28 Michael Joseph Mulhall Method for Recipient Orientated Financial Services
US10922719B1 (en) * 2013-12-09 2021-02-16 Groupon,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roup promotions
WO2016094629A1 (en) * 2014-12-11 2016-06-16 ecoATM,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information regarding coupons/promotions at kiosks for recycling mobile phones and other electronic devices
KR20160133026A (ko) * 2015-05-11 2016-11-22 주식회사 케이지이니시스 해외 고객을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 면세 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US20180357634A1 (en) * 2015-09-07 2018-12-13 Platfos Co., Ltd. Method of providing mobile voucher service, and terminal device, server device and system therefor
US20170193503A1 (en) * 2015-12-31 2017-07-06 Groupon, Inc. Gift Card Transfer Security
KR102251514B1 (ko) * 2020-06-22 2021-05-13 (주)쿠프마케팅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1562A (ko) * 2003-07-23 2005-01-29 이창근 국제 상품권 발행 및 처리 시스템과 그 방법
KR20120088043A (ko) * 2010-10-26 2012-08-08 주식회사 비엔에스웍스 판매자용 스마트폰을 이용한 포인트/쿠폰기반 결제처리 방법과 이를 위한 스마트폰 및 프로그램 기록매체
KR20170056820A (ko) * 2015-11-16 2017-05-24 신영준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61820A1 (ko) * 2020-06-22 2021-12-30 (주)쿠프마케팅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186338A1 (en) 2023-06-15
WO2021261820A1 (ko) 2021-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092866A1 (en) Providing frictionless push payments
US10026087B2 (en) Data passed in an interaction
CA2834156C (en) Methods and systems for offer and dynamic gift verification and redemption
US10460364B2 (en) System and method for social gifting and gift redemption
US20220067733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uthentication of a remote transaction
US9852479B2 (en) Mechanism for reputation feedback based on real time interaction
US20140207680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mobile wallet shopping companion application
US20130041734A1 (en) Method of Passing and Redeeming Coupons Via Webpage Accessed from Mobile Phone
US20140156396A1 (en) Techniques in transit advertising
US11640624B2 (en) Geographically targeted, time-based promotions
US20070266130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ing Offers for Purchase to a Mobile Wireless Device
US20140040001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Merchant-Consumer Interactions
US20130080321A1 (en) Method for Recipient Orientated Financial Services
US20140058834A1 (en) Providing targeted offers on financial transaction receipts
KR20070075986A (ko) 한 개의 카드번호를 이용한 복수의 멤버십카드 지원 시스템및 방법
US20120166271A1 (en) 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COMMERCE VIA A TEXT BASED NETWORK
KR20130106899A (ko) 영수증 발행 장치 및 영수증을 이용하는 사용자 단말
KR102251514B1 (ko)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및 글로벌 모바일 상품권 플랫폼 기반의 국가 간 모바일 상품권 선물 방법
KR101298634B1 (ko) 소셜 네트워크 플랫폼 서버를 활용한 전자할인쿠폰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WO2013166174A1 (en) Disruptively priced or free financial services or items in exchange for participation in opt in advertising
KR102390763B1 (ko) 모바일 상품권 기반의 주문 대행 장치 및 방법
US20120022955A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onations of stored value accounts
KR102666545B1 (ko) 미사용 쿠폰 크롤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30045984A (ko) 미사용 쿠폰 크롤링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lliance Chip-Enabled Mobile Marke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