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312B1 -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312B1
KR102251312B1 KR1020200098611A KR20200098611A KR102251312B1 KR 102251312 B1 KR102251312 B1 KR 102251312B1 KR 1020200098611 A KR1020200098611 A KR 1020200098611A KR 20200098611 A KR20200098611 A KR 20200098611A KR 102251312 B1 KR102251312 B1 KR 102251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adhesive
holder
insulating material
insu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8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Priority to KR1020200098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1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0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meth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의 건축용 단열재(1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열재 절단단계(S10); 절단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데크(20)를 안착시켜 접착하는 데크 접착단계(S30);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의 상면에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S40); 단열재(10)에 형성된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단계(S50); 접착제가 주입된 홀더결합공(101)에 홀더(50)를 투입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홀더(50)에 의해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생하게 하는 홀더 결합단계(S60); 를 포함하여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구성하고, 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를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201)에 단열재(10)를 접착한 후 홀더(50)를 이용해 강판(201)과 단열재(10)에 결합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강판(201)과 단열재(1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제조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Insulation deck plat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에 단열재를 접착한 후 홀더를 이용해 강판과 단열재에 결합력을 더 부가함으로써 구조적 안정성과 우수한 내구성을 가지면서 높은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게 한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구조물의 바닥부는 다양한 구조로 구축할 수 있으나, 다층 건축물, 특히 고층 건축물의 경우에는 내구성과 내진성이 우수한 철골 구조나 철골철근 콘크리트 구조가 주로 채택되고 있으며, 이러한 고층 건축물의 구조 구축 시 공기 단축과 노무비 절감의 필요성 때문에 바닥부의 구조 구축에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데크 플레이트는 강판 상부에 트러스거더가 일체로 된 구조로서, 종래의 재래식 골조의 시공 시 사용되는 멍에, 장선, 동바리 등의 형틀 공사가 필요 없는 무지주 시공이 가능하여 현재까지 철근 콘크리트 구조, 철골 철근콘크리트 구조, 철골 구조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한편, 근래에는 건축물에서 소비되는 에너지 절감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면서 과거보다 건축물의 단열 구조 개선을 위하여 더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는 슬라브 구축 시스템의 경우에도 단열재를 부착하여 단열 성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일 예로서, 거푸집이 완료된 후 단열재를 일정 간격으로 설치하고, 철근 배근을 수행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단열재 선 부착공법이 있다.
이러한 단열재 선 부착공법은 현장 내 적응성이 빠르고, 별도의 전문성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소규모 건설공사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으나, 단열재의 설치 과정에서 단열재가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경우가 빈번하고, 그로 인해 발생한 단열재의 틈새로 인해 단열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과도한 파손에 의해 사용되지 못한 단열재는 그대로 폐기됨으로써 건설현장 내에서 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서, 데크 플레이트를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일정 시간동안 양생기간을 거쳐 콘크리트가 완전히 양생된 후,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의 표면에 단열재를 부착하는 단열재 후 부착공법도 있다.
이러한 단열재 후 부착공법은 바닥 슬래브의 하부 공간에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별도의 가설물 설치가 필요하고, 층 높이(천고)가 높을 경우, 작업 중 작업자의 추락 등 안전사고 발생 위험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자가 강판의 저면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단열재를 강판에 접착하는 방식으로 작업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노동 강도가 높고, 작업 능률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758588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에 단열재를 접착한 후 강판과 단열재가 홀더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게 한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소정 두께의 건축용 단열재(1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열재 절단단계(S10);
상기 절단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데크(20)를 안착시켜 접착하는 데크 접착단계(S30);
상기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의 상면에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S40);
상기 단열재(10)에 형성된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단계(S50);
상기 접착제가 주입된 홀더결합공(101)에 홀더(50)를 투입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홀더(50)에 의해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생하게 하는 홀더 결합단계(S60);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홀더(50)는,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머리부(501), 몸통부(502)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501)는,
머리부(501)의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툴삽입홈(501a);
상기 툴삽입홈(501a)의 내주면에서 툴삽입홈(501a)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대칭으로 형성된 걸림돌부(501b);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502)는, 머리부(501)의 저면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되,
몸통부(502)의 외주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다수가 형성된 교반돌편(502a);
몸통부(502)의 외주면에서 다수가 다층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부(502b);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기 절단된 단열재(10)의 양단부에 단부재홀(102)을 형성하는 단부재홀 형성단계(S10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데크(20)를 접착하기 전에 예열로에서 데크(20)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데크 예열단계(S30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안착된 데크(20)를 소정 압력으로 가압하는 데크 가압단계(S302);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상면에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하는 건조단계(S303);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상기 건조단계(S303)는 건조로에서 열 건조 후 배출된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304);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는 상술한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에 단열재를 접착한 후 홀더를 이용해 강판과 단열재에 결합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강판과 단열재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 및 단열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제조를 위한 전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생산성 향상 및 제조원가가 절담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사용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를 공장 내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취급 및 시공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데크 접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공 형성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 주입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홀더 결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부재홀 형성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부재홀에 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크 예열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데크 가압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건조 단계를 나타낸 예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 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 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제조공정을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 도포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데크 접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결합공 형성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접착제 주입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홀더 결합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한 실시 예에 따른 홀더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201)에 단열재(10)를 접착한 후 강판(201)과 단열재(10)가 홀더(50)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단열재 절단단계(S10), 접착제 도포단계(S20), 데크 접착단계(S30), 결합공 형성단계(S40), 접착제 주입단계(S50), 홀더 결합단계(S60)를 포함한다.
상기 단열재 절단단계(S10)는, 소정 두께의 건축용 단열재(1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한다.
이때 단열재(10)의 소재는 한정하지 않으나, 건축용으로 사용되는 통상의 단열재(10) 중 스티로폼이나 폴리우레탄폼, 핑크보드 등과 같이 형상 유지력이 우수한 발포형 폼 타입의 건축용 단열재(1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단열재(10)의 두께나 길이는 한정하지 않으며, 고객(수요자)이 원하는 두께와 길이로 절단한다.
상기 접착제 도포단계(S20)는,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한다.
접착제는 주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함으로써 발포되면서 강한 접착력이 발휘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발포를 위해 혼합되는 두 접착제 성분은 접착제 도포장치(30)로 각각 공급된 접착제 도포장치(30)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에 의해 단열재(10)의 상면에 개별적으로 도포된 후, 별도의 교반날이나 회전툴에 의해 회전 구동되는 브러시 형태로 된 혼합부재(301)에 의해 단열재 상면에서 혼합되면서 발포되게 하거나, 접착제 도포장치(30)에 구비된 교반기 내에서 미리 혼합된 후, 접착제 도포장치(30)에 구비된 다수의 노즐에 의해 단열재(10)의 상면에 도포되면서 바로 발포되게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혼합부재(301)는 사용 후 교체 가능케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혼합부재의 형상은 한정하지 않으나, 단열재(10)의 상면에 도포된 두 가지 접착제 성분의 혼합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발이 소정 길이로 돌출된 형태로 되되 그 형상은 나선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도포장치(30)에 의해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제가 도포될 때, 접착제의 도포 위치는 단열재(10)의 상면에 데크(20)를 접착할 때, 데크(20)를 구성하는 강판(201)에 형성된 힘살부(201a)가 위치하는 지점과 겹쳐지게 지그재그 형태로 도포함으로써 접착제의 발포 후 힘살부(201a)가 발포된 접착제 내부에 완전히 매립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데크 접착단계(S30)는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의 상면에 데크(20)를 안착시켜 접착한다.
상기 데크(20)는 상기 단열재(1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된 강판(201)의 상부에 소정 간격으로 스페이서(202)가 결합되고, 그 스페이서(202)의 상부에 안착된 다수의 트러스거더(203)가 스페이서(202)에 용접되어 일체로 된 데크 플레이트(이하, ‘데크(20)’라 함)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데크(20)는 콘크리트 양생 후 강판(201)을 분리하지 않고 그대로 사용하는 일체형 데크(20)나, 콘크리트 양생 후 트러스거더(203)에서 강판(201)을 분리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탈형 데크(20)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20)를 구성하는 강판(201)을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안착시킴으로써 데크(20)의 중량에 의해 데크(20)가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되어 데크(20)와 단열재(10)가 일체로 된다.
한편, 데크(20)의 강판(201)과 단열재(10)가 접착될 때, 단열재(10)의 상면에 도포되어 발포된 접착제는 넓게 펴지면서 단열재(10)와 강판(201) 사이에서 접착제층(P)을 형성하게 되는데, 강판(201)에 형성된 힘살부(201a)가 접착제층(P) 내부에 매립되면서 강판(201)과 단열재(10) 간에 더욱 견고한 접착력이 발휘된다.
즉, 데크(20)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강판(201)은 롤포밍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다수의 힘살부(201a)가 형성된다.
이때, 힘살부(201a)는 균일한 두께의 강판(201)을 롤포밍함으로써 강판(201)이 접히면서 하방으로 볼록하게 돌출 형성된다.
따라서 강판(201)과 단열재(10)의 접착 과정에서 발포된 접착제층(P) 내부에 힘살부(201a)가 매립되게 접착이 이루어짐으로써 강판(201) 저면의 가로면 뿐만 아니라, 힘살부(201a)의 양측 세로면에도 접착제층(P)의 접착력이 작용하게 되어 더욱 견고한 접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결합공 형성단계(S40)는,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의 상면에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한다.
즉, 드릴을 이용해 단열재(10) 상면에 소정 깊이로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하게 되는데, 홀더결합공(101) 형성 과정에서 단열재(10) 상면에 접착된 데크(20)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데크(20)의 강판(201)에는 데크(20) 제조 과정에서 가로세로 소정 간격으로 다수의 천공부(201b)가 미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단열재(10)의 상부에 데크(20)가 접착되더라도, 데크(20)의 천공부(201b)를 통해 드릴을 투입하여 단열재(10)에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여분의 천공부(201b)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설치 후, 콘크리트를 타설할 때, 타설된 콘트리트가 천공부(201b)의 내부로 유입되어 천공부(201b)를 통해 노출되는 단열재(10)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면서 양생이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와 단열재(10) 간의 직접적인 접합이 이루어짐에 따라 단열재(10)가 데크(20)의 강판(20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있게 된다.
상기 접착제 주입단계(S50)는 단열재(10)에 형성된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한다.
이때, 접착제는 주재료와 경화제를 혼합함으로써 발포되면서 강한 접착력이 발휘되는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접착제를 구성하는 주재료와 경화제를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주입할 때에는 주입 과정에서 주재료와 경화제가 혼합되면서 발포되지 않도록 접착제 주입장치(40)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401)을 이용해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각각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재료와 경화제의 주입 순서 및 주입 위치는 한정하지 않으나, 소정 간격이 유지되는 각각의 노즐을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동시에 투입한 후, 주재료와 경화제를 균일한 압력으로 동시에 주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각각의 노즐을 통해 주재료와 경화제가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동시에 주입되더라도, 주재료와 경화제는 화학 반응이 일어날 정도의 혼합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기 때문에 발포도 일어나지 않게 된다.
아울러, 각각의 노즐을 주재료와 경화재를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각각 주입하게 되면, 접착제의 주입을 위해 사용된 각 노즐 내부에는 접착제의 발포가 일어나지 않으므로 발포된 접착제에 의한 노즐의 막힘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노즐의 세척 등 관리에 따른 편의성이 향상된다.
상기 홀더 결합단계(S60)는 접착제가 주입된 홀더결합공(101)에 홀더(50)를 투입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홀더(50)에 의해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생하게 한다.
상기 홀더(50)는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머리부(501), 몸통부(502)를 포함한다.
상기 머리부(501)는 툴에 의한 회전이 가능케 함과 동시에 강판(201)을 고정하도록 툴삽입홈(501a), 걸림돌부(501b)를 포함한다.
상기 툴삽입홈(501a)은 머리부(501)의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되되 평면 형상은 한정하지 않음을 미리 밝혀둔다.
상기 걸림돌부(501b)는 툴삽입홈(501a)의 내주면에서 툴삽입홈(501a)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대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걸림돌부(501b)의 외형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 전동툴을 툴삽입홈(501a) 내부로 투입하여 회전시키면 전동툴의 회전력이 걸림돌부(501b)에 의해 머리부(501)로 전달됨으로써 홀더(50)의 고속 회전이 가능케 된다.
한편, 상기 머리부(501)의지름은 강판(201)에 미리 형성된 천공부(201b)의 지름보다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삽입된 홀더(50)가 접착제에 의해 홀더결합공(101) 내에서 고정되었을 때, 머리부(501)가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된 데크(20)의 강판(201) 상면에 밀착되면서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휘된다.
상기 몸통부(502)는 머리부(501)의 저면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되,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주입된 접착제의 혼합이 용이하게 함과 동시에 홀더결합공(101) 내에서 접착제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교반돌편(502a), 결합돌부(502b)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돌편(502a)은 몸통부(502)의 외주면에 다수가 방사형으로 형성되되, 나선형 구조를 가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돌부(502b)는 몸통부(502)의 외주면에서 다수가 다층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접착제가 주입된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홀더(50)의 몸통부(502)를 삽입한 후 전동툴을 이용해 홀더(50)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면 몸통부(5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교반돌부 및 결합돌부(502b)에 의해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주입된 접착제인 주재료와 경화제가 혼합되면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고, 그로 인해 접착제가 발포되면서 강한 접착력을 발휘하여 홀더(50)가 홀더결합공(101)에 고정됨으로써 홀더(50)에 의해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강판(201)에 단열재(10)를 접착한 후 홀더(50)를 이용해 강판(201)과 단열재(10)에 결합력을 더 부가함으로써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강판(201)과 단열재(10)의 결합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과 내구성 및 단열 성능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앞서 설명한 전 공정의 자동화가 가능하여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생산성을 대폭 향상시키고, 제조원가는 크게 낮출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또한, 고객이 원하는 다양한 사용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를 공장 내에서 완제품으로 생산함으로써 시공 현장에서의 취급 및 시공의 편의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부재홀 형성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단부재홀에 단부재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예시도.
도 8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단부재홀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부재홀 형성단계(S101)는, 단열재 절단단계(S10)에서 소정 길이로 절단된 단열재(10)의 양단부에 단부재(204)의 결합을 위한 단부재홀(102)을 드릴을 이용하여 소정 깊이로 형성한다.
따라서 단열재(10)의 상면에 데크(20)의 접착을 완료한 후, 최종 단계에서 단부재(204)를 단열재(10)의 단부재홀(102)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단부재의 상단부를 데크(20)의 양단부에 용접함으로써 단부재(204)에 의해 단열재(10)의 고정이 더욱 견고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시공 시 단부재(204)가 보에 거치되면서 단열 데크 플레이트의 시공이 더욱 신속하고 견고하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데크 예열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데크 예열단계(S3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예열단계(S301)는, 데크 접착단계(S30)에서 데크(20)를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하기에 앞서, 데크(20)를 세라믹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이 설치된 예열로 내부에 투입하여 30 내지 40℃의 온도로 5 내지 15분 동안 예열한다.
이와 같이 데크(20)가 소정 온도로 예열된 상태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안착되면 접착제의 화학 반응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단열재(10)와 데크(20)의 접착이 더욱 원활하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4 실시 예에 따른 데크 가압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데크 가압단계(S3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크 가압단계(S302)는, 데크 접착단계(S30)에서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안착된 데크(20)를 복수의 가압수단을 이용해 소정 압력으로 가압한다.
이때,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탈형테크의 형상을 고려하여 데크(20)의 전체 길이를 3 내지 4등분 한 지점마다 가압수단을 설치하여 소정의 균일한 압력으로 데크(20)를 수직 하방으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압수단을 이용해 데크(20)를 가압하는 시간은 접착제가 완전히 경화되는데 필요한 5 내지 10분 동안 가압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통상의 데크(20)는 구조 향상을 위하여 데크(20)를 구성하는 강판(201)의 가운데 부분이 상방으로 약간 볼록하게 소정 곡률로 휘어진 형태로 제조된다.
따라서, 단열재(10)의 상면에 데크(20)를 접착할 때, 데크 가압단계(S302)를 더 수행함으로써 가압수단에 의해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강판(201)이 평탄해지면서 강판(201)의 저면이 단열재(10)의 상면에 더욱 긴밀하고 견고하게 접착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의 제5 실시 예에 따른 건조단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전술한 실시 예와 중복되는 구성 및 동일부호를 갖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은 건조단계(S3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건조단계(S303)는, 데크 접착단계(S30)에서 상면에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건조로에 투입하여 건조한다.
이때 건조로의 내부에는 세라믹히터와 같은 가열수단이 설치됨으로써 건조로 에 투입된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30 내지 60℃의 온도로 5 내지 15분 동안 열로 건조함에 따라 단열재(10)와 데크(20)의 접착에 사용된 접착제의 경화가 신속하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접착제의 화학 반응이 더욱 활성화되면서 더욱 견고한 접착력이 발휘된다.
한편, 상기 건조단계(S303)는 건조로에서 열 건조 후 배출된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냉각하는 냉각단계(S3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각단계(S304)는 건조로에서 배출된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를 송풍기를 이용해 신속하게 냉각시킴으로써 결합공 형성단계(S40)와 같은 후공정을 더욱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S10: 단열재 절단단계 S101: 단부재홀 형성단계
S20: 접착제 도포단계 S30: 데크 접착단계
S301: 데크 예열단계 S302: 데크 가압단계
S303: 건조단계 S304: 냉각단계
S40: 결합공 형성단계 S50: 접착제 주입단계
S60: 홀더 결합단계 10: 단열재
101: 홀더결합공 102: 단부재홀
20: 데크 201: 강판
201a: 힘살부 201b: 천공부
202: 스페이서 203: 트러스거더
30: 접착제 도포장치 301: 혼합부재
40: 접착제 주입장치 50: 홀더
501: 머리부 501a: 툴삽입홈
501b: 걸림돌부 502: 몸통부
502a: 교반돌편 502b: 결합돌부

Claims (5)

  1. 소정 두께의 건축용 단열재(10)를 소정 길이로 절단하는 단열재 절단단계(S10);
    상기 절단된 단열재(10)의 상면에 접착제를 도포하는 접착제 도포단계(S20);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데크(20)를 안착시켜 접착하는 데크 접착단계(S30);
    상기 데크(20)가 접착된 단열재(10)의 상면에 홀더결합공(101)을 형성하는 결합공 형성단계(S40);
    상기 단열재(10)에 형성된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접착제를 주입하는 접착제 주입단계(S50);
    상기 접착제가 주입된 홀더결합공(101)에 홀더(50)를 투입하여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홀더(50)에 의해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생하게 하는 홀더 결합단계(S60); 를 포함하되,
    상기 접착제 주입단계(S50)는,
    주재료와 경화제가 혼합되면서 화학적으로 반응하여 접착력을 발휘하는 접착제를 사용하되,
    주재료와 경화제를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주입할 때에는 주입 과정에서 주재료와 경화제가 혼합되지 않도록 접착제 주입장치(40)에 구비된 각각의 노즐(401)을 이용해 홀더결합공(101) 내부에 각각 주입하고,
    상기 홀더 결합단계(S60)에서,
    상기 홀더(50)는, 단열재(10)와 데크(20) 간에 고정력이 발휘되도록 머리부(501), 몸통부(502)를 포함하되,
    상기 머리부(501)는,
    머리부(501)의 중심부에 소정 깊이로 형성된 툴삽입홈(501a);
    상기 툴삽입홈(501a)의 내주면에서 툴삽입홈(501a)의 중심쪽으로 돌출 형성되되 다수가 대칭으로 형성된 걸림돌부(501b); 를 포함하고,
    상기 몸통부(502)는, 머리부(501)의 저면에서 소정 길이로 돌출 형성되되,
    몸통부(502)의 외주면에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다수가 형성된 교반돌편(502a);
    몸통부(502)의 외주면에서 다수가 다층 구조로 돌출되게 형성된 결합돌부(502b); 를 포함하여,
    홀더결합공(101)의 내부에 홀더(50)의 몸통부(502)를 삽입한 후 전동툴을 이용해 홀더(50)를 고속으로 회전시켜, 몸통부(502)의 외주면에 형성된 교반돌편(502a)과 결합돌부(502b)에 의해 홀더결합공(101) 내부의 주재료와 경화제가 혼합되면서 화학 반응을 일으켜 홀더(50)가 홀더결합공(101)에 내에서 접착 고정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된 단열재(10)의 양단부에 단부재홀(102)을 형성하는 단부재홀 형성단계(S10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도포된 단열재(10) 상면에 데크(20)를 접착하기 전에 예열로에서 데크(20)를 소정 온도로 가열하는 데크 예열단계(S301);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5. 삭제
KR1020200098611A 2020-08-06 2020-08-06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2251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11A KR102251312B1 (ko) 2020-08-06 2020-08-06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8611A KR102251312B1 (ko) 2020-08-06 2020-08-06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1312B1 true KR102251312B1 (ko) 2021-05-12

Family

ID=759186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8611A KR102251312B1 (ko) 2020-08-06 2020-08-06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131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76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기린산업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시트 일체형 데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8588B1 (ko) 2017-02-15 2017-07-14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탈형 데크 플레이트 조립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2036772B1 (ko) * 2019-05-07 2019-10-25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57376A (ko) * 2010-11-26 2012-06-05 주식회사기린산업 열가소성 폴리올레핀 시트 일체형 데크패널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58588B1 (ko) 2017-02-15 2017-07-14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탈형 데크 플레이트 조립방법 및 이에 의해 조립된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2036772B1 (ko) * 2019-05-07 2019-10-25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 데크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20385B2 (ja) 繊維セメント羽目板を製造し設置する方法
JP5346676B2 (ja) 床版ユニット、床版の接合構造及び床版の構築方法
KR20180034807A (ko) 외단열 공법 및 그에 따른 외단열 벽체
KR102251312B1 (ko) 단열 데크 플레이트 제조방법
KR101679316B1 (ko) 단열재폼 패널을 이용한 거푸집
KR101953064B1 (ko) 고정구조를 포함하는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N1926291A (zh) 包括具有纤维增强压缩混凝土板和发泡塑料板以及孔的金属壁柱的一体固定型模板体系
US20020139075A1 (en) Integrated, insulated, structural building panels
JP2927730B2 (ja) 建築構造用ガラスウ−ル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364937B1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用目地材、及び防水施工方法
KR101679321B1 (ko) 타이 수평 직조립형 단열재폼 패널
JPH11193588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外断熱工法における耐火材の取付方法。
JP4443909B2 (ja) コンクリート型枠用内張りボ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20108249A (ko) 저층 건물용 벽체 및 이를 이용한 저층 건물
JPH0359265A (ja) 型枠兼用断熱ボード
JP2008223406A (ja) タイル及びタイルの取り付け構造
KR101233120B1 (ko) 저층 건물용 기초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00248614A (ja) 壁式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造建物の接合部構造
KR100579766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JP2802703B2 (ja) 内装材兼用型枠
KR101233119B1 (ko) 저층 건물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저층 건물의 시공방법
JP7482834B2 (ja) 打継型枠の施工方法及びコンクリート部材の構築方法
JP2000265679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耐火補強工法
JP3215689B2 (ja) モルタル施工方法及びモルタル層構造
KR200292681Y1 (ko) 단열부재를 가지는 인조석 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