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841B1 -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841B1
KR102250841B1 KR1020190080756A KR20190080756A KR102250841B1 KR 102250841 B1 KR102250841 B1 KR 102250841B1 KR 1020190080756 A KR1020190080756 A KR 1020190080756A KR 20190080756 A KR20190080756 A KR 20190080756A KR 102250841 B1 KR102250841 B1 KR 10225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part
profile
connector
hol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07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4395A (ko
Inventor
정재은
Original Assignee
정재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재은 filed Critical 정재은
Priority to KR10201900807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0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4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18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 F16B7/187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using screw-thread elements with sliding nuts or other additional connecting members for joining profiles provided with grooves or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F16B37/04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 F16B37/045Devices for fastening nuts to surfaces, e.g. sheets, plates specially adapted for fastening in channels, e.g. sliding bolts, channel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홈(4)과 단턱(5)과 나사산(6)이 형성되는 중앙공(7)을 지닌 수직프로파일(1)(2) 사이에 수평프로파일(3)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요홈(4)과 단턱(5)과 나사산(6)이 형성되는 중앙공(7)을 지닌 수직프로파일(1)(2) 사이에 수평프로파일(3)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 상에 삽설하는 이동너트(11)와 체결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관통구(12)를 구비하고, 일면에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13)를 구비하는 제1연결부(10); 상기 수평프로파일(3)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앙공(7)에 각각 체결 고정되게 관통구멍(21)을 구비하고, 일면에 수평프로파일(3)의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23)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20);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 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면서 안착이 가능하게 1∼3개의 치열(31)을 구비하며, 치열(31)은 계단형(32)과 요철형(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되, 계단형(32)과 요철형(33)의 치열(31)은 제2연결부(20)가 제1연결부(10) 상에 상부에서 안착 또는 측면에서 삽설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을 증가하도록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30); 및 상기 고정부(30)에 의해 서로 맞물려 안착되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각각 수직프로파일(1)(2)과 수평프로파일(3)에 고정시키고,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게 제1연결부(10)의 관통구(12) 상에 이동너트(11)와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제2연결부(20)의 관통구멍(21) 상에 수평프로파일(3)의 중앙공(7)에 체결되는 제2볼트(42)와, 제2연결부(20)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삽설공(43)과 함께 제1연결부(10)에 삽설공(43)과 대응되는 체결공(44) 상에 체결되는 제3볼트(45)를 통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는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선반이나 프레임의 형성 시 프로파일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결합 강도가 증대됨으로 중하중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바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비용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경쟁력 상승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Connector for aluminium profile}
본 발명은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선반이나 프레임의 형성 시 프로파일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결합 강도가 증대됨으로 중하중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바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비용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경쟁력 상승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알루미늄 프로파일은 경량이면서 강도가 높고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표준화되어 경하중의 선반은 물론 중하중의 기계장치 프레임에 이르기까지 활용도가 높다. 게다가 일단 설치된 프로파일 선반이나 프레임의 용도가 변경되는 경우에도 비교적 구조의 변경이 용이하고 기능성의 유지가 가능한 측면의 장점도 지닌다. 그리고, 다수의 프로파일 상에 연결하기 위한 구성에서 바로 장착 고정이 불가능함에 따라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전부 해체한 다음 다시 재조립하여야 했기 때문에 작업성이 현저하게 떨어졌고, 작업 비용 증가 및 인건비 증가 등 많은 문제를 초래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2789호는 '각종 기계기구를 결합시켜 주는 부품이나 물품을 공급하거나 볼트 등의 물품을 제작시에 제작 공정라인에 설치하여 제작 공정과 공정간에서 물품의 공급을 연결시켜 주기 위한 수직컨베이어(100)를 결합 구성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110)(120)을 결합함에 있어서, 양측으로 중공부(12a)(14a)를 갖는 끼움부(12)(14)를 형성하며, 상기 끼움부(12)(14)의 중앙으로는 연결부(16)를 형성하여 일체화되도록 형성시킨 연결구(10)로서 각 알루미늄 프로파일(110)(120) 양측의 결속홈(111)(121)에 결합시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를 제시한다.
이에 따라, 프로파일의 조립이 간편하면서 용도에 따른 구조 변경이 용이하고, 다양한 규격의 프로파일 없이도 프로파일판체를 제작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지만, 조임나사의 가압력 또는 끼움부를 지닌 연결구로 충분한 결합력을 유지하기 곤란하므로 일단 조립되어 사용되던 골격을 보다 중하중 용도로 변경하여 적용하기에는 한계성을 보이는 폐단이 따랐다.
또 다른 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0310호는 '가로프로파일(10,20)과 세로프로파일(30)으로 구성되는 프로파일 구조물에 보강프로파일(40)을 연결하는 연결구 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10, 20, 30)에 형성된 결합홈(10a)에 끼워지고 나사구멍(1a, 1b)가 형성된 연결판(1)과 ; 상기 연결판(1)의 나사구멍(1a)를 관통하여 보강프로파일(40)의 단부에 조여지며, 볼트머리에 기어치가 형성된 고정볼트(21)와 ; 상기 연결판(1)의 나사구멍(1b)를 관통하여 나사부가 보강프로파일(40)측으로 돌출되고, 볼트머리에는 상기 고정볼트(21)에 형성된 기어치에 치합되는 기어치가 형성된 조임볼트(22)와 ; 상기 조임볼트(22)의 나사부에 고정결합되는 조임너트(3)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연결구.'를 제시한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파일 연결구는 일일이 양측을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불량 또는 수리를 요할 때는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여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02-0042789호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00310호 "프로파일 연결구"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근본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반이나 프레임의 형성 시 프로파일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결합 강도가 증대됨으로 중하중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바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비용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경쟁력 상승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 프로파일의 연결구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요홈과 단턱과 나사산이 형성되는 중앙공을 지닌 수직프로파일 사이에 수평프로파일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로파일의 요홈 상에 삽설하는 이동너트와 체결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관통구를 구비하고, 일면에 수직프로파일의 요홈에 삽설되어 단턱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를 구비하는 제1연결부; 상기 수평프로파일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앙공에 각각 체결 고정되게 관통구멍을 구비하고, 일면에 수평프로파일의 요홈에 삽설되어 단턱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 상기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 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면서 안착이 가능하게 1∼3개의 치열을 구비하며, 치열은 계단형과 요철형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되, 계단형과 요철형의 치열은 제2연결부가 제1연결부 상에 상부에서 안착 또는 측면에서 삽설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을 증가하도록 일정 각도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에 의해 서로 맞물려 안착되는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각각 수직프로파일과 수평프로파일에 고정시키고,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고정하게 제1연결부의 관통구 상에 이동너트와 체결되는 제1볼트와, 제2연결부의 관통구멍 상에 수평프로파일의 중앙공에 체결되는 제2볼트와, 제2연결부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삽설공과 함께 제1연결부에 삽설공과 대응되는 체결공 상에 체결되는 제3볼트를 통해 제1연결부와 제2연결부를 서로 고정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반이나 프레임의 형성 시 프로파일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결합 강도가 증대됨으로 중하중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바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비용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경쟁력 상승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a 내지 2g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3a 내지 3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의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
도 5a 및 5b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의 도 1에 도시된 A-A'선단면도,
도 6a 내지 6d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a 내지 2g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가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a 및 3b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의 장착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a 및 4b는 본 발명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의 도 1에 도시된 A-A'선단면도이며,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본 발명은 요홈(4)과 단턱(5)과 나사산(6)이 형성되는 중앙공(7)을 지닌 수직프로파일(1)(2) 사이에 수평프로파일(3)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관련되며, 제1연결부(10), 제2연결부(20), 고정부(30), 체결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1연결부(10)는 상기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 상에 삽설하는 이동너트(11)와 체결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관통구(12)를 구비한다. 제1연결부(10)는 수직프로파일(1)(2)의 일면에 고정되는 구조로 써,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에 삽설되는 이동너트(11)와 체결함에 따라 원하는 위치(높이)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동너트(11)에는 관통구(12)와 일치되는 너트체결공(11a)이 형성되어 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제2연결부(20)는 상기 수평프로파일(3)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앙공(7)에 각각 체결 고정되게 관통구멍(21)을 구비한다. 제2연결부(20)는 상술한 제1연결부(10)와 대응되는 구성으로 수평프로파일(3)의 양측에 고정되어 후술하는 고정부(30)를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제2연결부(20)는 수평프로파일(3)에 형성되는 중앙공(7)에 체결되어 고정이 가능하게 관통구멍(21)이 일치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일면에 수직프로파일(1)(2)과 수평프로파일(3)에 형성되는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13)(23)를 각각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수직프로파일(1)(2)과 수평프로파일(3)에 각각 밀착 시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돌부(13)(23)를 구비하게 된다. 이러한 돌부(13)(23)는 도면 상에 각각 한쌍으로 형성되게 도시하였지만, 한 개로 형성되어 삽설되어도 회전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 무방하다.
또, 본 발명에 따른 고정부(30)는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 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면서 안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고정부(30)는 상술한 제1연결부(10)가 수직프로파일(1)(2)에 근접한 반대 부분과 제2연결부(20)가 수평프로파일(3)에 근접한 반대 부분 상에 각각 형성되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안착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고정부(30)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 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면서 안착이 가능하게 1∼3개의 치열(31)을 구비한다. 고정부(30)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가 서로 맞물린 상태로 안착하도록 1개 이상의 치열(31)이 형성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이러한, 치열(31)은 많은 수가 형성될수록 후술하는 체결수단(40)에 의해 면밀한 고정력을 발휘할 수 있지만, 제조의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음으로 상황에 맞게 적절한 개수로 형성하는 것이 적합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30)의 치열(31)은 계단형(32)과 요철형(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고정부(30)의 치열(31)이 1∼3개의 개수로 형성되는 바, 이러한 개수를 통해 계단형(32)과 요철형(33)으로 구분되어 형성된다. 먼저, 계단형(32)은 수평면과 수직면이 교차로 형성되는 치열(31)이 3개 가량 형성되어 실제 계단과 같은 모양을 지니는 구조로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서로 반대되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맞물렸을 때, 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요철형(33)은 오목하게 들어가고 외부로 돌출된 구성으로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에 각각 형성되어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계단형(32)의 경우 수직프로파일(1)(2) 상에 각각 제1연결부(10)가 후술하는 체결수단(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평프로파일(3)의 양끝에 고정된 제2연결부(20)가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직접 안착이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요철형(33)의 경우 수직프로파일(1)(2) 상에 각각 제1연결부(10)가 후술하는 체결수단(40)에 의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수평프로파일(3)의 양끝에 고정된 제2연결부(20)가 측면 방향에서 삽설하여 서로 맞물릴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30)에 계단형(32)과 요철형(33)의 치열(31)은 제2연결부(20)가 제1연결부(10) 상에 상부에서 안착 또는 측면에서 삽설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을 증가하도록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계단형(32)과 요철형(33)의 치열(31)에 경우 일정 각도(A)가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바, 요철형(33)은 수평프로파일(3)의 양끝에 고정된 제2연결부(20)가 안착되는 방향으로 벌어진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제2연결부(20)의 안착이 억지끼움 형태가 아닌 안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그럼으로, 작업자는 편의하게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의 밀착이 가능해진다. 또한, 요철형(33)의 경우 오목부분과 돌출부분으로 나뉘어 있어 오목부분 내부가 넓게 형성하여 돌출부분의 삽설 시 감싸주는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고정력은 증가하게 된다. 이로써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연결체 상에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전체적인 해체를 하지 않고도 서로 밀착된 상태로 후술하는 체결수단(40)에 의해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체결수단(40)은 상기 고정부(30)에 의해 서로 맞물려 안착되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각각 수직프로파일(1)(2)과 수평프로파일(3)에 고정시키고,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한다. 체결수단(40)은 수직프로파일(1)(2)에 제1연결부(10)를 고정시키고, 수평프로파일(3)에 제2연결부(20)를 고정시키며, 고정부(30)에 의해 서로 맞물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때, 상기 체결수단(40)은 제1연결부(10)의 관통구(12) 상에 이동너트(11)와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제2연결부(20)의 관통구멍(21) 상에 수평프로파일(3)의 중앙공(7)에 체결되는 제2볼트(42)와, 제2연결부(20)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삽설공(43)과 함께 제1연결부(10)에 삽설공(43)과 대응되는 체결공(44) 상에 체결되는 제3볼트(45)를 통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체결수단(40)은 제1연결부(10)에 형성된 관통구(12) 상에 제1볼트(41)를 삽설시킨 다음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 상에 삽설하는 이동너트(11)의 너트체결공(11a)과 서로 체결하여 제1연결부(10)는 수직프로파일(1)(2) 상에 고정되고, 돌부(13)가 요홈(4)에 삽설되어 회전을 방지한다. 그리고, 제2연결부(20)에 형성된 관통구멍(21) 상에 제2볼트(42)를 삽설시킨 다음 수평프로파일(3)의 양측에 중앙공(7)과 체결하여 고정하게 된다. 그 후, 고정부(30)에 의해 서로 맞물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는 제2연결부(20)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삽설공(43)을 형성하고, 제1연결부(10) 상에 삽설공(43)과 수직 방향으로 일치되게 체결공(44)을 형성하여 제3볼트(45)이 삽설공(43)을 관통한 상태로 체결공(44)과 서로 체결 고정되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제3볼트(45)의 경우 면밀한 고정력을 위해 하나 이상으로 체결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제3볼트(45)의 개수에 따라 삽설공(43)과 체결공(44)도 함께 추가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반이나 프레임의 형성 시 프로파일의 고정력이 증가하여 내구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고, 결합 강도가 증대됨으로 중하중에도 무리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완성된 프로파일 연결체를 해체하지 않고도 바로 장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작업 비용 및 인건비 절감을 통한 비용절감으로 경쟁력 상승과 함께 저렴한 가격으로 소비자에게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2: 수직프로파일 3: 수평프로파일
4: 요홈 5: 단턱
6: 나사산 7: 중앙공
10: 제1연결부 11: 이동너트
11a: 너트체결공 12: 관통구
13, 23: 돌부 20: 제2연결구
21: 관통구멍 30: 고정부
31: 치열 32: 계단형
33: 요철형 40: 체결수단
41: 제1볼트 42: 제2볼트
43: 삽설공 44: 체결공
45: 제3볼트

Claims (6)

  1. 요홈(4)과 단턱(5)과 나사산(6)이 형성되는 중앙공(7)을 지닌 수직프로파일(1)(2) 사이에 수평프로파일(3)을 고정하기 위한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 상에 삽설하는 이동너트(11)와 체결하여 원하는 위치에 고정되게 관통구(12)를 구비하고, 일면에 수직프로파일(1)(2)의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13)를 구비하는 제1연결부(10);
    상기 수평프로파일(3)의 양측에 위치하여 중앙공(7)에 각각 체결 고정되게 관통구멍(21)을 구비하고, 일면에 수평프로파일(3)의 요홈(4)에 삽설되어 단턱(5)으로부터 회전되지 않도록 구비하는 돌부(23)를 구비하는 제2연결부(20);
    상기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 상에 서로 대응되게 형성되고, 서로 맞물리면서 안착이 가능하게 1∼3개의 치열(31)을 구비하며, 치열(31)은 계단형(32)과 요철형(33) 중 어느 하나를 택일하여 구비하되, 계단형(32)과 요철형(33)의 치열(31)은 제2연결부(20)가 제1연결부(10) 상에 상부에서 안착 또는 측면에서 삽설이 용이하면서 고정력을 증가하도록 일정 각도(A)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는 고정부(30); 및
    상기 고정부(30)에 의해 서로 맞물려 안착되는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각각 수직프로파일(1)(2)과 수평프로파일(3)에 고정시키고,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게 제1연결부(10)의 관통구(12) 상에 이동너트(11)와 체결되는 제1볼트(41)와, 제2연결부(20)의 관통구멍(21) 상에 수평프로파일(3)의 중앙공(7)에 체결되는 제2볼트(42)와, 제2연결부(20)의 상부로부터 관통되는 삽설공(43)과 함께 제1연결부(10)에 삽설공(43)과 대응되는 체결공(44) 상에 체결되는 제3볼트(45)를 통해 제1연결부(10)와 제2연결부(20)를 서로 고정하는 체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90080756A 2019-07-04 2019-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KR10225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56A KR102250841B1 (ko) 2019-07-04 2019-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0756A KR102250841B1 (ko) 2019-07-04 2019-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95A KR20210004395A (ko) 2021-01-13
KR102250841B1 true KR102250841B1 (ko) 2021-05-10

Family

ID=74142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0756A KR102250841B1 (ko) 2019-07-04 2019-07-04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84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9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 각도 조절용 조인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10933A (ja) * 1998-01-21 1999-08-06 Kansai Tech Corp 地中埋設管用支持具
KR20020042789A (ko) 2002-05-15 2002-06-07 송창도 알루미늄 프로파일용 연결구
KR20100100310A (ko) 2009-03-06 2010-09-15 맹봉영 프로파일 연결구
KR101572329B1 (ko) * 2013-12-16 2015-11-26 윤장태 프로파일용 마운트부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5009B1 (ko) * 2014-06-05 2015-06-03 정형진 프로파일 각도 조절용 조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4395A (ko) 2021-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8563B2 (en) Fitting for a T-slot structure
KR102009786B1 (ko) 조립이 용이한 승강 테이블 받침
US20150010343A1 (en) Profile bar, profile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a profile assembly
KR100887611B1 (ko) 거푸집 체결장치
AU2015285998B2 (en) Block lock with a twist lock
KR102222819B1 (ko) 간편 조립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DE10114398A1 (de) Formrahmen für eine Form
ITUA20164705A1 (it) Vetrina museale con telaio portante comprendente travi tubolari connesse da giunti a struttura razionalizzata
KR102250841B1 (ko) 알루미늄 프로파일 연결구
KR102222824B1 (ko) 체결력 및 지지력 보강구조의 테이블용 프레임
KR20170114767A (ko) 프로파일 조립 블록
US5601339A (en) System for the assembly and clamping of seats which can be dismantled
ITMI20000004U1 (it) Profilato per intelaiature di armadi serramenti o simili
CN106314752A (zh) 一种主承力构件的连接组件
ITTO20070152U1 (it) Mobile componibile
CN215434757U (zh) 用于弧面产品的防段差模具结构
AU706743B2 (en) Scaffolding platform
JP6758737B1 (ja) 鉄筋固定具
JP6663726B2 (ja) 吊り足場板の吊下げ金具
US20050142926A1 (en) Fastening device for attaching components & devices
JP2004084762A (ja) ラック用連結部材
KR100597475B1 (ko) 가구 조립용 체결 장치
JP4899017B2 (ja) 部材の結合構造
EP3070796B1 (en) Joining-element for mechanically joining switchgear frames
CN111005519B (zh) 一种快装式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