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0730B1 -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0730B1
KR102250730B1 KR1020210020949A KR20210020949A KR102250730B1 KR 102250730 B1 KR102250730 B1 KR 102250730B1 KR 1020210020949 A KR1020210020949 A KR 1020210020949A KR 20210020949 A KR20210020949 A KR 20210020949A KR 102250730 B1 KR102250730 B1 KR 1022507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roduction
counter
molds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9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동렬
김대희
유광택
Original Assignee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투프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스텍주식회사, 주식회사 아이투프럼 filed Critical 피에스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09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07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07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07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418Total factory control, i.e. central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machines, e.g. direct or distributed numerical control [DNC],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CIM]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02Total factory control, e.g. smart factorie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s [FMS] or integrated manufacturing systems [I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eneral Factory Administration (AREA)

Abstract

일실시에에 따르면,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충격 및 진동을 통해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를 측정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생성하는 금형 카운터; 상기 금형 카운터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의 동작을 설정하는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금형 카운터 및 상기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별 생산량을 파악하고, 일일 생산 가능 수치를 예상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동 횟수, 상기 작동 시간 및 상기 작동 주기를 기초로 최적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산출하여 설정하고, 경쟁 제조 업체와의 생산량 비교 순위,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산량을 추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MOLD MANAGEMENT SYSTEM BASED ON MOLD DIGITAL COUNTER}
아래 실시예들은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금형은 장기간 반복해서 사용하면 정밀도가 떨어지므로 그 사용 횟수를 세어 정해진 횟수만큼 사용하고 유지보수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숏 카운터(shot counter)라고도 하는 금형 카운터가 금형에 내장되어 사용된다. 금형 카운터는 금형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숫자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금형의 작동 횟수, 즉, 사용 횟수를 세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금형 카운터를 내장한 금형을 관리하는 시스템은, 장기간 반복 사용으로 인한 금형 카운터의 오동작 또는 노후화 때문에, 금형 카운터를 정해진 횟수만큼 사용하고 교체해야 하는 바, 이때 신규로 설치된 금형 카운터에 금형 제작에 필요한 사용 횟수나 사용 시간 등의 데이터를 수동으로 셋팅하여야 하므로, 작업자의 관리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종래의 금형에 내장된 금형 카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은 금형 제작시 작업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한국등록특허 제10-1234355호에서는 신규 금형 카운터의 교체 시 터미널에 저장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최종데이터와 일치화 함으로써,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고, 설치 시 설비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리셋 및 자동설정 기능을 구비한 금형 관리시스템에 대한 내용을 제안하였으나, 금형 생산에 대해 금형의 작동 횟수만을 분석하여 사용 용도가 제한적일 수 밖에 없다.
따라서, 금형 생산에 대한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여, 이를 통해 금형 생산을 관리하고자 하는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로부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하고,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금형 카운터 및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충격 및 진동을 통해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를 측정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생성하는 금형 카운터; 상기 금형 카운터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의 동작을 설정하는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금형 카운터 및 상기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별 생산량을 파악하고, 일일 생산 가능 수치를 예상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동 횟수, 상기 작동 시간 및 상기 작동 주기를 기초로 최적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산출하여 설정하고, 경쟁 제조 업체와의 생산량 비교 순위,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산량을 추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제어 장치는, 전체 등록 금형 수, 동작 금형 수, 휴식 금형 수 및 보관 금형 수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동작 금형 수를 상기 전체 등록 금형 수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사용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사용률을 금형 사용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별로 상기 작동 주기 및 상기 작동 횟수를 곱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으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별 가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금형별 가동률의 평균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가동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가동률을 금형 가동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체 등록 금형 수, 상기 동작 금형 수, 미리 설정된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 및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를 상기 동작 금형 수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작동 주기 준수율을 분석하고, 상기 작동 주기 준수율을 작동 주기 준수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별로 캐비티(Cavity) 및 상기 작동 횟수를 곱한 값을 통해 금형별 생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형별 생산량의 총합을 전체 금형 생산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전체 금형 생산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생산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생산률을 금형 총 생산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금형 카운터에서 생성된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상기 터미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 및 상기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주기가 상기 작동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 보다 긴 기간으로 설정된 제2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주기가 상기 작동 주기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 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된 제3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금형 카운터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작동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평균 작동 시간을 산출하고, 현재 금형 생산으로 측정된 제1 작동 시간 및 상기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상기 제1 작동 시간 및 상기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 시간이 상기 평균 작동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하였으나 금형 작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고 금형 작업 문제 알림 메시지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에 요청하고, 상기 제1 작동 시간 및 상기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작동 시간이 상기 평균 작동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지 않고 상기 금형 작업 문제 알림 메시지가 상기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상기 제어 장치에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상기 제어 장치에 포함된 로컬 스토리지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어 장치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상기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상기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수행하고,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제어 장치와 연결된 클라우드 서버의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고, 상기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상기 제어 장치와 상기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상기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하여, 상기 로컬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로컬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상기 데이터 전송 속도가 상기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상기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상기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터미널로부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하고,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를 통해 금형 카운터 및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금형 생산에 대한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여, 금형 생산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사용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가동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작동 주기 준수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총 생산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별 종합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실시예에 따른 금형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금형 카운터(10), 복수의 터미널(20) 및 제어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금형 카운터(10)는 하나의 터미널(20)과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터미널(20)은 제어 장치(30)와 연결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에 내장되어 금형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한다. 즉,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숫자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금형의 작동 횟수, 즉 사용 횟수를 세도록 구성된다.
금형 카운터(10)는 터미널(20)과의 근거리 통신을 수행한다. 금형 카운터(10)는 카운팅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터미널(20)로 전송하고, 금형에 내장된 금형 카운터(10)를 새로운 금형 카운터(10)로 교체하는 경우,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터미널(20)로부터 기존 금형 카운터(10)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의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금형 생산 시 발생하는 충격 및 진동, 전원 공급 상태 및 쇼트 여부 정보 등을 터미널(20)로 전송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수행되는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다. 지그비 통신망은 IEEE 802.15.4(LR-WPAN: Low Rate-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PHY/MAC 기반 위에 868/915MHz 및 2.4GHz 대역에서 동작하는 데이터 통신 프로토콜(Data Communication Protocol)이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한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의 작동에 따라 회전하는 복수 개의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복수의 숫자 링을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으로 금형의 작동 횟수를 카운팅한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와 함께,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를 카운팅하여 측정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는 메모리를 구비하여, 메모리에 금형 카운터(10)의 고유 ID 정보를 저장하고, 금형 생산에 따라 카운팅된 금형의 작동 횟수,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에 관한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에 누적되어 저장된 금형의 작동 횟수,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에 관한 정보는 금형 카운터(10) 외부의 환경으로 인한 변수 발생시에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변경, 갱신, 교체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의 메모리는 금형 카운터(10)에 기본적으로 장착되어 있는 플래쉬 메모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에 내장된 금형 카운터(10)를 새로운 금형 카운터(10)로 교체하는 경우, 터미널(20)로부터 전송된 기존 금형 카운터(10)의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금형 카운터(10)의 금형 카운팅 동작을 셋팅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금형 카운터(10)는 기존 금형 카운터(10)와 새로운 금형 카운터(10)의 데이터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제어 장치(30)의 제어에 의하여 터미널(20)로부터 기존 금형 카운터(10)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작동 주기(Cycle Time) 및 고유한 카운터 ID 정보를 수신하여, 이를 통해 새로운 금형 카운터(10)의 금형의 작동 횟수,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를 셋팅한다.
금형 카운터(10)는 데이터의 전송 시간 범위를 설정 및 제어할 수 있다. 즉, 금형 카운터(10)는 전송 시간 범위를 소정 주기로 설정하여, 정기적이고 안정적으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터미널(20)로 전송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에는 상술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이 내장되어 있다.
금형 카운터(10)는 터미널(20)로부터 수신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와 금형 카운터(10)에서 카운팅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가 다른 경우, 터미널(20)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의 갱신을 요청한다. 즉, 금형 카운터(10)는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의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터미널(20)로부터 수신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가 금형 카운터(10)에서 측정된 금형의 작동 횟수에 관한 정보와 상이한 경우, 터미널(20)로 해당 정보의 갱신을 요청하여 새로 셋팅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금형 카운터(10)는 금형에서 제품을 찍어내는 샷의 개수와 주기를 카운팅할 수 있으며, 금형 카운터(10)에는 온도 센서, 탈부착 여부 감지 센서, 충격 센서, 진동 센서 등이 구비되어 있어, 금형 카운터(10)는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충격 및 진동에 대한 센싱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금형 카운터(10)는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충격 및 진동을 통해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를 측정할 수 있으며,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에 대한 측정 결과를 금형 카운터 정보로 생성할 수 있다.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로부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터미널(20)과 연결되어 있는 금형 카운터(10)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여, 금형 카운터(1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미널(20)은 서로 다른 통신망,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금형 카운터(10)와 제어 장치(30)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장치로서, 금형 카운터(10)로부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 또한 금형 카운터(10)의 교체시 교체되기 전의 금형 카운터(10)에서의 수집된 금형 카운터 정보를 교체된 후의 금형 카운터(10)에 전송하여 금형 카운터(10)의 동작이 셋팅되도록 금형 카운터(10)의 동작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하여, 상기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와 근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지그비 통신망을 이용할 수 있고, 유무선 통신망은 유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TCP/IP 프로토콜과 무선으로 접속할 수 있는 WAP 프로토콜 또는 OSI 7 Layer, HTTP 등을 사용한 인터넷망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터미널(20)은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별도의 인터페이스를 구비하여, 제어 장치(30) 등과 같은 외부 기기에 설치된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에 의해 생성된 제어 명령은 터미널(20)을 거쳐 금형 카운터(10)로 전송되어, 금형 카운터(10)의 셋팅 및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금형 카운터(10)를 원격에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터미널(20)은 메모리를 구비하여, 터미널(20)의 메모리에 터미널(20)의 ID 정보가 저장되어 있으며, 금형 카운터(10)로부터 수신된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즉,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에 의하여 카운팅되는 금형의 작동 횟수,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의 측정 결과인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금형 카운터(10)로부터 수신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누적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이때, 금형의 작동 횟수는 단위시간당 수집된 카운트 값(count/sec)일 수 있다. 또한, 교체된 후의 금형 카운터(10)에 전송되는 금형의 작동 횟수는 최후에 누적된 금형의 작동 횟수일 수 있다.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의 ID 정보와 터미널(20)의 ID 정보를 기초로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의 연결을 승인할 수 있다.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의 연결 승인 결과에 따라,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의 연결이 승인되는 경우,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의 시간을 동기화 시킬 수 있다.
터미널(20)은 터미널(20)의 메모리에 저장된 금형 카운터 정보를 이용하여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터미널(20)은 금형 카운터(10)의 작동 주기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작동 주기의 평균값 또는 실시간으로 측정된 작동 주기를 이용하여, 금형의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설정할 수 있다. 터미널(20)은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제어 장치(30)의 제어 명령에 의하여 금형 카운터(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금형 카운터(10)는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기반으로 금형 카운터(10)의 동작을 셋팅할 수 있다. 따라서, 금형 제작 시 실질적으로 유효한 작동 주기 값인 최적값을 산출하여 이를 신규 금형 카운터에 설정함으로써,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UI(user interface),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등의 소프트웨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장치이며, 터미널(20)과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10) 및 터미널(20)의 ID를 설정하고, 설정된 금형 카운터(10) 및 터미널(20)의 ID를 기초로 연결되는 금형 카운터(10) 및 터미널(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터미널(20)로부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한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관리자 단말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금형 생산에 대한 분석 결과를 통해 금형 카운터(10) 및 터미널(2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별로 생산량을 파악하고, 금형별 생산량을 일별로 파악하고, 일일 생산량을 통해 일일 생산 가능 수치를 예상하여 분석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작동 횟수, 작동 시간 및 작동 주기를 기초로, 금형 생산을 하는데 있어 최적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산출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작동 주기가 10분에 1번일 때 최적의 생산량이 도출된 것으로 확인되면, 금형 카운터(10)의 작동 주기를 10분에 1번으로 설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경쟁 제조 업체의 생산량 정보를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경쟁 제조 업체와의 생산량 비교 순위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관리자 단말로부터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획득하여,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최적의 생산량을 추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일일 생산량이 1,000개일 때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비용이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면, 금형 생산에 대한 최적의 생산량을 일일 1,000개로 설정할 수 있으며, 최적의 생산량으로 금형 생산이 조절될 수 있도록, 금형 카운터(10)의 작동 주기를 설정하여 관리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경쟁 제조업체와의 비교 순위, 금형 유지 비용, 금형 유지보수 관리, 최적의 생산량 추정 등을 분석하는데 있어, 딥러닝 기반으로 분석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를 최적의 생산량을 도출하는 학습 데이터로 사용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사용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등록 금형 수(201), 동작 금형 수(202), 휴식 금형 수(203) 및 보관 금형 수(204)를 각각 일별로 확인할 수 있다.
전체 등록 금형 수(201)는 등록된 전체 금형을 합산한 수이다.
동작 금형 수(202)는 현재 동작중인 금형의 수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금형 카운터 정보가 수신된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금형 수(202)는 24시간 이내에 작동 횟수가 카운팅된 것으로 확인된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휴식 금형 수(203)는 현재 휴식중인 금형의 수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금형 카운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휴식 금형 수(203)는 일주일 이내에 작동 횟수가 카운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보관 금형 수(204)는 미리 설정된 시간 이상 금형 카운터 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보관 금형 수(204)는 일주일 이상 작동 횟수가 카운팅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동작 금형 수(202)를 전체 등록 금형 수(201)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사용률(205)을 산출하여 분석할 수 있으며, 금형 사용률(205)을 금형 사용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의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금형 사용률(205)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9066650-pat00001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가동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별로 작동 주기 및 작동 횟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금형별로 작동 주기 및 작동 횟수를 곱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으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별 가동률을 산출할 수 있으며, 금형별 가동률의 평균 값을 통해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가동률(301)을 분석하고, 금형 가동률(301)을 금형 가동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의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금형별 가동률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9066650-pat00002
제어 장치(30)는 금형별 가동률에 대한 산출 결과를 통해 전체 금형의 평균 값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전체 금형의 평균 값을 금형 가동률(301)로 산정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경쟁 제조 업체의 평균 금형 가동률(302)을 외부 서버로부터 획득하여, 경쟁 제조 업체의 평균 금형 가동률(302)이 금형 가동률(301)과 함께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작동 주기 준수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전체 등록 금형 수(401), 동작 금형 수(402), 미리 설정된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403),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높은 금형 수(404) 및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낮은 금형 수(405)를 각각 일별로 확인할 수 있다.
전체 등록 금형 수(401)는 전체 등록된 양산 금형 수를 합산한 수이다.
동작 금형 수(402)는 현재 동작중인 금형의 수로, 미리 설정된 시간 이내에 금형 카운터 정보가 수신된 금형의 수를 나타낼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403)는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작동 주기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높은 금형 수(404)는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를 나타낼 수 있다.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낮은 금형 수(405)는 기준 자동 주기의 범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403)를 동작 금형 수(402)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 생산에 대한 작동 주기 준수율(406)을 분석하고, 작동 주기 준수율(406)을 작동 주기 준수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의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작동 주기 준수율(406)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9066650-pat00003
도 5는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 총 생산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어 장치(30)는 금형별로 캐비티(Cavity) 및 작동 횟수를 곱한 값을 통해 금형별 생산량(501)을 산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금형별 캐비티 및 금형별 일자별 조정 작동 횟수(Shot)를 곱한 값을 통해, 금형별 생산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전체 금형의 합은 전체 금형의 생산량을 나타내고, 당일 기준의 작동 횟수를 기준으로 금형별 생산량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금형별 생산량의 총합을 전체 금형 생산량으로 산출하고, 전체 금형 생산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생산률(502)을 분석하고, 금형 생산률(502)을 금형 총 생산 지표로 설정하여 관리자 단말의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금형 생산률(502)은 전체 금형을 기준으로 하는 금형 생산률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수식을 통해 금형 생산률(502)을 산출할 수 있다.
Figure 112021019066650-pat00004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른 대시보드에 표시되는 금형별 종합 지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출 금형 및 양산 금형 중 종합 지표를 통한 종합 지수가 높은 순서로 대시보드 상에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종합 지수는 금형 사용 지표, 금형 가동 지표, 작동 주기 준수 지표 및 금형 총 생산 지표를 합산하여 4로 나눈 평균 값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주기를 조절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S7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제1 통신 주기에 따라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주기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를 10초에 1번으로 설정하여,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10초에 1번씩 주기적으로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10)에서 생성된 금형 카운터 정보를 터미널(20)를 통해 수신하여, 금형의 작동 주기를 확인할 수 있다.
S7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를 비교하여,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가 3초 이내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통신 주기가 10초에 1번이고, 작동 주기가 8초에 1번이면,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2초로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통신 주기가 10초에 1번이고, 작동 주기가 5초에 1번이면,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5초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S703 단계에서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4 단계 이후 S701 단계로 되돌아가,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를 유지하여, 제1 통신 주기에 따라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S703 단계에서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7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가 작동 주기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통신 주기가 작동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707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 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된 제2 통신 주기에 따라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며, 제1 통신 주기가 작동 주기 보다 긴 경우, 통신 주기를 더 짧은 기간으로 조절하여 통신 주기와 작동 주기를 맞춰줄 수 있다.
S706 단계에서 제1 통신 주기가 작동 주기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708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제1 통신 주기 보다 긴 기간으로 설정된 제3 통신 주기에 따라 금형 카운터(10)와 터미널(20)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제1 통신 주기 및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며, 제1 통신 주기가 작동 주기 보다 짧은 경우, 통신 주기를 더 긴 기간으로 조절하여 통신 주기와 작동 주기를 맞춰줄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과정을 순서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S801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작동 시간을 확인하여, 금형 생산에 대한 평균 작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즉, 금형 카운터(10)는 하루 동안 하나의 금형을 생산하는데 소요되는 작동 시간을 확인하여, 금형 생산에 대한 평균 작동 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금형 카운터(10)는 현재 금형 생산으로 측정된 제1 작동 시간을 확인할 수 있다.
S802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범위는 실시예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범위가 3초 이내로 설정되어 있는데, 제1 작동 시간이 8초이고, 평균 작동 시간이 10초이면,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2초로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고, 제1 작동 시간이 15초이고, 평균 작동 시간이 10초이면,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5초로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4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3 단계에서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S805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이 평균 작동 시간 보다 긴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작동 시간이 평균 작동 시간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S806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하였으나 금형 작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805 단계에서 제1 작동 시간이 평균 작동 시간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S807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1 작동 시간 및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금형 작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될 수 있으며, 금형 작업에 문제가 있더라도, 제1 작동 시간이 평균 작동 시간 보다 긴 경우, 제1 작동 시간 동안에 생산된 금형이 정상으로 판단되고, 제1 작동 시간이 평균 작동 시간 보다 짧은 경우에만, 제1 작동 시간 동안에 생산된 금형이 불량으로 판단될 수 있다.
한편, S804 단계 이후, S808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에 생산된 금형에 대해 작동 횟수를 카운팅 할 수 있다.
S806 단계 이후, S808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제1 작동 시간에 생산된 금형에 대해 작동 횟수를 카운팅 하면서, S809 단계에서, 금형 작업 문제 알림 메시지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 장치(30)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장치(30)는 금형 카운터(10)로부터 수신된 알림 요청에 따라, 금형 작업 문제 알림 메시지를 관리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S807 단계 이후, S809 단계에서, 금형 카운터(10)는 금형 작업 문제 알림 메시지가 관리자 단말로 전송되도록 제어 장치(30)에 요청할 수 있다.
도 9는 일실시예에 따른 하이브리드 스토리지에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어 장치(30)는 데이터베이스를 운영하기 위해 로컬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현된 로컬 스토리지와 연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로컬 스토리지는 네트워크 연결 없이 제어 장치(30) 자체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저장소를 말한다.
제어 장치(30)는 클라우드 서버와 연결될 수 있으며,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단독 서버로 구현될 수 있고, 복수의 서버가 연결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통상의 컴퓨터가 가지는 연산 기능, 저장/조회 기능, 입출력 기능 및 제어 기능을 전부 또는 일부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추론 기능을 수행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인공 신경망을 구비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제어 장치(30)와 유무선으로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클라우드 서버는 클라우드 스토리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별도로 구현된 클라우드 스토리지와 연결된 상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네트워크 연결로 사용 가능한 저장소를 말하며, 로컬 스토리지의 저장 공간이 부족하거나, 다른 장치의 접속으로 데이터 공유가 필요한 경우 사용될 수 있다.
S901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미리 정해진 기간 마다 로컬 스토리지의 저장 상태를 확인하기 위해,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5초에 1번씩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제어 장치(30)의 전원 이상, 접속 불량, 네트워크 연결,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 중 하나 이상의 체크 사항을 통해,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 수행 결과를 통해,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의 전원 상태가 불안정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와 로컬 스토리지 간에 접속이 불량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와 외부 장치 간의 네트워크 연결이 불안정한 경우,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10% 미만 남은 경우,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로컬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S903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이중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이중화 동작은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도 저장되도록 처리하여, 로컬 스토리지 및 클라우드 스토리지 각각에 동일한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제어 장치(30)는 제어 장치(3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확인하고,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하여,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12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이상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제어 장치(3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으로 확인되면,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헬스 체크의 수행 결과에 따라 로컬 스토리지는 정상 상태, 경고 상태, 위험 상태 등으로 분류되어 될 수 있으며,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이상으로 변경될 때까지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고 대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로컬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된 경우, 제어 장치(3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올라갈 때까지 대기 상태를 유지하다 데이터 전송 속도가 10Mbps로 변경되면,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데이터 전송 속도가 기준 속도 미만이더라도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와 클라우드 서버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인 10Mbps 미만으로 확인되고, 로컬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된 경우, 제어 장치(30)는 데이터 전송 속도가 8Mbps로 기준 속도 보다 느리지만,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가 위험하기 때문에, 느린 전송 속도를 통해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S902 단계에서 로컬 스토리지에 이상이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가 정상 상태이기 때문에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으며, S901 단계로 되돌아가, 로컬 스토리지의 헬스 체크를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중화 동작을 수행하는데 있어, 제어 장치(30)는 보안 레벨이 높게 설정된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컬 스토리지에 보안 레벨이 2레벨로 높게 설정된 제1 파일과 보안 레벨이 1레벨로 낮게 설정된 제2 파일이 저장되어 있는데, 제어 장치(30)는 제1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제2 파일의 데이터에 대해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도록 제어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는 로컬 스토리지에만 저장되고, 제2 파일의 데이터는 로컬 스토리지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저장될 수 있다.
S903 단계를 통해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백업 저장하는 이중화 동작이 수행되면,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상태, 파일 사용 방식 등을 기초로, 로컬 스토리지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인지 여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 및 로컬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로컬 스토리지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를 동시에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904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백업 저장되어, 로컬 스토리지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데이터가 동시에 저장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905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에 저장된 데이터를 삭제하여,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로컬 스토리지가 경고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실행되지 않은 제1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18GB로 제1 기준 용량인 2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를 경고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1 파일이 실행되지 않은 경우, 제1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1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제1 기준 용량 보다 더 낮게 설정된 제2 기준 용량 미만으로 확인되어 로컬 스토리지가 위험 상태로 분류되면,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하로 실행된 제2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는 로컬 스토리지의 여유 공간이 8GB로 제2 기준 용량인 10GB 보다 작은 것으로 확인되면 로컬 스토리지를 위험 상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10회 보다 더 적은 횟수로 실행된 경우, 제2 파일의 데이터를 로컬 스토리지에서 삭제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로컬 스토리지에만 데이터를 저장할 것으로 결정되면, S906 단계에서, 제어 장치(30)는 클라우드 서버로 데이터가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로컬 스토리지에만 데이터가 저장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기준 횟수 이상으로 변경되어 저장된 제2 파일의 데이터가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에만 저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장치(30) 일주일 동안 제2 파일이 기준 횟수인 5회 보다 더 많은 횟수로 변경되어 저장된 경우, 제어 장치(30)는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더 이상 클라우드 서버로 전송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클라우드 스토리지에 기 저장된 데이터가 삭제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제2 파일의 데이터가 로컬 스토리지에만 저장되어, 제2 파일이 변경 저장될 때, 로컬 스토리지에서만 제2 파일의 데이터가 갱신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 장치(30)는 프로세서(31) 및 메모리(32)를 포함한다. 프로세서(31)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장치(30)를 이용하는 자 또는 단체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전술된 방법들 일부 또는 전부와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전술된 방법들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후술되는 방법들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3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3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제어 장치(3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32)에 저장될 수 있다. 제어 장치(3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유무선 통신을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3)

  1. 금형 디지털 카운터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을 관리하는 금형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온도, 금형 탈부착 여부, 충격 및 진동을 통해 금형의 작동 횟수(Shot Count), 작동 시간(Shot Time) 및 작동 주기(Cycle Time)를 측정하여, 금형 카운터 정보를 생성하는 금형 카운터;
    상기 금형 카운터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의 동작을 설정하는 터미널; 및
    상기 터미널로부터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 생산에 대한 사용률, 가동률, 작동 주기 준수율 및 생산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가 대시보드를 통해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금형 생산의 분석 결과를 통해 상기 금형 카운터 및 상기 터미널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기반으로, 금형별 생산량을 파악하고, 일일 생산 가능 수치를 예상하여 분석하고, 상기 작동 횟수, 상기 작동 시간 및 상기 작동 주기를 기초로 최적의 생산량을 조절하기 위한 상기 작동 주기의 최적값을 산출하여 설정하고,
    경쟁 제조 업체와의 생산량 비교 순위, 금형 유지 비용 및 금형 유지보수 관리 정보를 기반으로 최적의 생산량을 추정하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금형 카운터는,
    미리 설정된 기간 동안 상기 작동 시간을 확인하여,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평균 작동 시간을 산출하고,
    현재 금형 생산으로 측정된 제1 작동 시간 및 상기 평균 작동 시간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작동 시간 동안 정상적인 금형을 생산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작동 횟수를 카운팅하는,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전체 등록 금형 수, 동작 금형 수, 휴식 금형 수 및 보관 금형 수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동작 금형 수를 상기 전체 등록 금형 수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사용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사용률을 금형 사용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별로 상기 작동 주기 및 상기 작동 횟수를 곱한 후 미리 설정된 기준 시간으로 나눈 값을 통해 금형별 가동률을 산출하고, 상기 금형별 가동률의 평균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가동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가동률을 금형 가동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체 등록 금형 수, 상기 동작 금형 수, 미리 설정된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 및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보다 낮은 것으로 확인된 금형 수를 각각 확인하고, 상기 기준 작동 주기의 범위 내에 있는 금형 수를 상기 동작 금형 수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작동 주기 준수율을 분석하고, 상기 작동 주기 준수율을 작동 주기 준수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고,
    금형별로 캐비티(Cavity) 및 상기 작동 횟수를 곱한 값을 통해 금형별 생산량을 산출하고, 상기 금형별 생산량의 총합을 전체 금형 생산량으로 산출하고, 상기 전체 금형 생산량을 미리 설정된 기준 생산량으로 나눈 값을 통해 상기 금형 생산에 대한 금형 생산률을 분석하고, 상기 금형 생산률을 금형 총 생산 지표로 설정하여 상기 대시보드 상에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어하는,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장치는,
    미리 설정된 제1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금형 카운터에서 생성된 상기 금형 카운터 정보를 상기 터미널을 통해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 및 상기 작동 주기 간의 차이가 기준 범위를 벗어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주기가 상기 작동 주기 보다 긴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 보다 짧은 기간으로 설정된 제2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통신 주기에 대한 조절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상기 제1 통신 주기가 상기 작동 주기 보다 짧은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제1 통신 주기 보다 긴 기간으로 설정된 제3 통신 주기에 따라 상기 금형 카운터와 상기 터미널 간에 데이터가 송수신되도록 제어하는,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KR1020210020949A 2021-02-17 2021-02-17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KR1022507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949A KR102250730B1 (ko) 2021-02-17 2021-02-17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949A KR102250730B1 (ko) 2021-02-17 2021-02-17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0730B1 true KR102250730B1 (ko) 2021-05-11

Family

ID=75914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949A KR102250730B1 (ko) 2021-02-17 2021-02-17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073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55B1 (ko) * 2012-07-18 2013-02-22 피에스텍주식회사 프리셋 및 자동설정 기능을 구비한 금형 관리시스템
KR20170111914A (ko) * 2016-03-30 2017-10-12 이용우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KR20200058928A (ko) * 2018-11-20 2020-05-28 강현광 Ict기술을 활용한 사출기 성능측정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55B1 (ko) * 2012-07-18 2013-02-22 피에스텍주식회사 프리셋 및 자동설정 기능을 구비한 금형 관리시스템
KR20170111914A (ko) * 2016-03-30 2017-10-12 이용우 이동 단말기와의 근거리 통신을 이용한 분실 방지 장치
KR20200058928A (ko) * 2018-11-20 2020-05-28 강현광 Ict기술을 활용한 사출기 성능측정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25612B (zh) 网络监视系统、网络监视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2668764B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behavior profiles for device members of a network
CN104731690B (zh) 适应性度量收集、存储、和警告阈值
TWI481881B (zh) 耗電預測裝置、方法及其電腦程式產品
US7868780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st probe management
CN102947829B (zh) 数据处理装置以及数据处理方法
WO2015106038A1 (en) A data center infrastructure management (dcim) system comprising predictive analytics
JP2018085589A (ja) 診断方法、診断装置及び表示装置
KR20220075123A (ko) 전기 버스의 배터리 상태 분석 서비스 시스템
JP6207451B2 (ja) センサデータ収集システム
WO2014018813A1 (en) A distributed aggregation of real-time metrics for large scale distributed systems
KR102250730B1 (ko) 금형 디지털 카운터 기반 금형 관리 시스템
JP2016116106A (ja) 広域管理装置
CN109729073B (zh) 一种电网信息物理系统中的网络异常识别方法及系统
EP3295567B1 (en) Pattern-based data collection for a distributed stream data processing system
JP2015194797A (ja) 監視漏れ特定処理プログラム,監視漏れ特定処理方法及び監視漏れ特定処理装置
KR101860014B1 (ko) IoT 기기 오류 예측을 위한 인시던트 룰 조정 장치 및 방법
JP5760873B2 (ja) データ生成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4078134A (ja) センサ情報高速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センサ情報高速処理・表示システム
US20150154279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building relation model based on resource management architecture
US20200264236A1 (en) Building management system with remaining battery energy estimation for wireless devices
CN103714040B (zh) 使用性能度量动态和选择性地管理集成点的方法和装置
US10339026B2 (en) Technologies for predictive monitoring of a characteristic of a system
JP2019219743A (ja) 負荷テストシステム
JP7170564B2 (ja) モータ劣化傾向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