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9721B1 -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 Google Patents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9721B1
KR102249721B1 KR1020187020518A KR20187020518A KR102249721B1 KR 102249721 B1 KR102249721 B1 KR 102249721B1 KR 1020187020518 A KR1020187020518 A KR 1020187020518A KR 20187020518 A KR20187020518 A KR 20187020518A KR 102249721 B1 KR102249721 B1 KR 1022497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ing
steel
metastable
warm
metastable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51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095662A (en
Inventor
암린더 신그 길
Original Assignee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케이 스틸 프로퍼티즈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956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6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7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72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9/00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 C21D9/46Heat treatment, e.g. annealing, hardening, quenching or tempering,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Furnaces therefor for sheet metals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8/00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 C21D8/02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 C21D8/0221Modifying the physical properties by deformation combined with, or followed by, heat treatment during manufacturing of plates or strips characterised by the working steps
    • C21D8/0231Warm rol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1Austenit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DMODIFY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FERROUS METALS; GENERAL DEVICES FOR HEAT TREATMENT OF FERROUS OR NON-FERROUS METALS OR ALLOYS; MAKING METAL MALLEABLE, e.g. BY DECARBURISATION OR TEMPERING
    • C21D2211/00Microstructure comprising significant phases
    • C21D2211/008Martensi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t Treatment Of Sheet Steel (AREA)
  • Heat Treatment Of Steel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냉간 압연 전 또는 도중 준안정형 스틸을 가온하면, 오스테나이트가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하는 것을 억제하므로 밀 부하가 낮고 유사한 부하에서 더 많은 양이 감소한다. 온간 압연 스틸은 냉간 압연에 의해 스틸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어 동일한 양을 감소시킨다. 후속 어닐링 이후의 온간 압연은 또한 동일한 양의 냉간 압연 및 그 후의 어닐링된 재료에서 달성된 것보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얻는다. 후속하는 실온 압연(냉간 압연)시에 온간 압연된 준안정 스틸은 또한 강도 및 연성 모두를 향상시킨다.Warming the metastable steel before or during cold rolling suppresses the transformation of austenite to martensite, so the mill load is low and a larger amount is reduced at similar loads. Warm rolled steel has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steel by cold rolling, reducing the same amount. Warm rolling after subsequent annealing also obtains mechanical properties superior to those achieved with the same amount of cold rolling and subsequently annealed material. In the subsequent room temperature rolling (cold rolling), the warm-rolled metastable steel also improves both strength and ductility.

Description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의 온간 압연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본 출원은 2016 년 1 월 14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62/278,567 호(발명의 명칭: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의 온간 압연) 및 2016 년 10 월 12 일자로 출원된 미국 가출원 일련 번호 제 62/407,001 호(발명의 명칭: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의 온간 압연)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들의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된다.This application is a U.S. Provisional Application Serial No. 62/278,567 filed January 14, 2016 (Title of the Invention: Warm Rolling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and U.S. Provisional Application Serial Filed October 12, 2016 It claims priority to No. 62/407,001 (name of the invention: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the disclosures of which are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의 냉간 압연은 준안정 오스테나이트에 대한 고강도 마르텐사이트 상으로의 변형 유도 변태로 인해 도전적일 수 있다. Cold rolling of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can be challenging due to strain-induced transformation of metastable austenite into a high strength martensite phase.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보 특공평07-68584 (1995. 7. 26. 공보일)(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Hei 07-68584 (July 26, 1995)

이러한 스틸의 냉간 압연은 밀 부하(mill load)를 현저히 증가시킨다. 또한, 스틸은 냉각 감소를 추가로 수행하기 전에 부분 또는 전체 오스테나이트화에 대한 어닐링(들)을 거칠 필요가 있다.Cold rolling of these steels significantly increases the mill load. In addition, the steel needs to undergo an anneal(s) for partial or full austenitization before further performing the cooling reduction.

본 발명은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를 억제하기 위해 냉간 압연 전 또는 도중에 재료를 가온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는 유사한 부하에서 더 낮은 밀 부하 및 더 큰 감소량을 초래할 수 있다. 재료를 더 줄일 수 있는 능력은 재료가 최종 게이지에 도달하기 전에 더 적은 중간 어닐링을 유도한다. 놀랍게도, 예열된 압연 스틸은 냉간 압연에 의해 감소된 동일한 양만큼 스틸에 비해 기계적 특성이 향상되었음을 보여준다. 후속 어닐링 이후의 온간 압연은 또한 동일한 양의 냉간 압연된 재료에서 달성된 것보다 우수한 기계적 특성을 얻게 한다. 후속 실온 압연(냉간 압연)시 온간 압연된 스틸은 강도 및 연성 모두에서 개선되었음을 나타낸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heating the material before or during cold rolling to suppress the transformation from austenite to martensite. This can lead to lower mill loads and larger reductions at similar loads. The ability to reduce the material further leads to less intermediate annealing before the material reaches the final gauge. Surprisingly, preheated rolled steel showed improved mechanical properties compared to steel by the same amount reduced by cold rolling. Warm rolling after subsequent annealing also results in mechanical properties superior to those achieved with the same amount of cold rolled material. On subsequent room temperature rolling (cold rolling), the warm rolled steel shows an improvement in both strength and ductility.

종래에는 윤활유로서 사용되는 오일의 가온과 관련된 위험뿐만 아니라 압연 장비에 손상을 줄 우려가 있기 때문에 제조 환경에서 온간 압연이 회피되었다. 본 출원은 온간 압연의 이점이 온화한 온도에서 연장 라인 변형없이 달성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Conventionally, warm rolling has been avoided in a manufacturing environment because there is a risk of damage to rolling equipment as well as a risk related to heating of oil used as a lubricant. The present application shows that the benefits of warm rolling can be achieved at mild temperatures without extension line deformation.

도 1은 온간 압연 및 냉간 압연으로 인한 감소율의 함수로서 준안정 스틸에서의 마르텐사이트의 비율을 도시한다.
도 2는 냉간 압연 및 온간 압연으로 인한 감소율의 함수로서 준안정 스틸의 연신율(%)을 도시한다.
도 3(a)는 온간 압연 후 냉간 압연된 준안정 스틸에 대한 실제 응력 - 실제 스트레인 곡선을 도시한다.
도 3(b)는 2 패스로 냉간 압연된 준안정 스틸에 대한 실제 응력 - 실제 스트레인 곡선을 도시한다.
1 shows the proportion of martensite in metastable steel as a function of the reduction rate due to hot rolling and cold rolling.
2 shows the elongation (%) of metastable steel as a function of the reduction rate due to cold rolling and warm rolling.
Figure 3(a) shows the actual stress-actual strain curve for the cold-rolled metastable steel after hot rolling.
Fig. 3(b) shows the actual stress-actual strain curve for a metastable steel cold-rolled in two passes.

본 발명은 상당한 양의 준안정 오스테나이트(10% 내지 100%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강으로서, "준안정 스틸"로 지칭된다. 오스테나이트는 기계적 변형시 마르텐사이트로 변환되면 준안정으로 간주된다. 이러한 마르텐사이트를 변형 유도 마르텐사이트라고 한다. 그러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은 탄소강 또는 스테인레스 강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l containing a significant amount of metastable austenite (10% to 100% austenite), referred to as "metastable steel". Austenite is considered metastable if it converts to martensite upon mechanical deformation. Such martensite is called deformation-induced martensite. The steel containing such metastable austenite may be carbon steel or stainless steel.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특징화하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하나의 방법은 오스테나이트의 화학적 조성을 기반으로 오스테나이트의 불안정 인자(IF)를 계산하는 것이다. 이 인자는 IF를 다음과 같이 정의하는 미국 특허 3,599,320호(그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에 기재되어 있다 :There are several ways to characterize the stability of austenite. One method is to calculate the austenite instability factor (IF) based on the austenite chemical composition. This factor is described in U.S. Patent 3,599,320,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which defines IF as:

IF = 37.193-51.248(%C)-0.4677(%Cr)-1.0174(%Mn)-34.396(%N)-2.5884(%Ni) 방정식 1 IF = 37.193-51.248(%C)-0.4677(%Cr)-1.0174(%Mn)-34.396(%N)-2.5884(%Ni) Equation 1

0 내지 2.9의 계산된 IF 값을 갖는 스틸은 "약간 준안정적"으로 분류되고, 2.9 초과의 IF를 갖는 스틸은 "보통 준안정"으로 분류된다. 본 발명의 방법은 IF가 2.9보다 큰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하는 스틸에 대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Stills with a calculated IF value of 0 to 2.9 are classified as "slightly metastable", and stills with an IF greater than 2.9 are classified as "moderately metastable".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most important implications for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with an IF greater than 2.9.

오스테나이트의 안정성을 특징화하기 위한 또 다른 기술은 Md30 온도로 알려진 것을 계산하거나 측정하는 것이다. 주어진 준안정 스틸 조성에 대하여, Md30 온도에서 0.3 실제 스트레인에 대한 변형시, 오스테나이트의 50 %는 마르텐사이트로 변태된다. 주어진 준안정 스틸 조성에 있어서, Md 온도는 변형시 마르텐사이트가 형성되지 않는 온도이다. Md 및 Md30 온도는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다. 경험적으로 결정되는 것 외에도, 특정 스틸 조성에 대한 Md30 온도도 역시 다음을 포함하여 문헌에서 찾을 수 있는 몇 가지 방정식 중 하나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Another technique for characterizing the stability of austenite is to calculate or measure what is known as the M d 30 temperature. For a given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upon deformation to 0.3 actual strain at M d 30 temperature, 50% of the austenite is transformed into martensite. For a given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the M d temperature is the temperature at which martensite is not formed upon deformation. M d and M d 30 temperatures are well known in the art. In addition to being determined empirically, the M d 30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steel composition can also be calculated by one of several equations found in the literature, including:

1977년 Nohara, K., Ono, Y. 및 Ohashi, N에 의해서 교시된 바와 같이, 준안정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에서의 스트레인 - 유도된 마르텐사이트 변태의 조성 및 입자 크기 의존성. 일본 제철 협회의 학회지 63(5), 212-222 페이지(그 개시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고로 포함됨) :Composition and particle size dependence of strain-induced martensitic transformation in metast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s taught by Nohara, K., Ono, Y. and Ohashi, N in 1977. Journal of the Japan Steel Association, pages 63(5), 212-222 (the disclosure content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Md30=551-462(%C+%N)-68*%Cb-13.7*Cr-29(%Cu+%Ni)-8.1*%Mn-18.5*%Mo -9.2*%Si 방정식 2 M d 30=551-462(%C+%N)-68*%Cb-13.7*Cr-29(%Cu+%Ni)-8.1*%Mn-18.5*%Mo -9.2*%Si Equation 2

1954년 Angel T.에 의해 교시된 바와 같이,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레스 강의 마르텐사이트 형성. 제철 협회의 학회지, 177(5), 165-174 페이지(그 개시 내용은 본원에 참고로 포함됨) :Martensitic formation of austenitic stainless steels, as taught by Angel T. in 1954. Journal of the Iron Works Association, 177(5), pages 165-174 (the disclosure of which is incorporated herein by reference):

Md30 = 413-462*(%C + %N)-13.7*%Cr-8.1*%Mn-18.5*%Mo-9.5*%Ni-9.2*%SiM d 30 = 413-462*(%C + %N)-13.7*%Cr-8.1*%Mn-18.5*%Mo-9.5*%Ni-9.2*%Si

방정식 3Equation 3

주어진 준안정 스틸 조성의 오스테나이트의 Md30 온도가 높을수록, 오스테나이트가 불안정해진다. 이러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의 Md30 온도는 Ms 온도(열 마르텐사이트의 마르텐사이트 시작 온도)보다 높다. The higher the M d 30 temperature of austenite of a given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the more unstable the austenite becomes. The M d 30 temperature of this metastable austenite is higher than the M s temperature (the martensitic starting temperature of thermal martensite).

상당한 양의 준안정 오스테나이트 가공을 갖는 스틸은 오스테나이트가 고강도 마르텐사이트로 변태함에 따라 신속하게 경화한다. 이러한 가공 경화 및 최종 마르텐사이트는 밀의 성능을 초과할 수 있는 부하를 요구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스틸의 냉간 압연은 도전적 문제로 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준안정 스틸은 추가 냉간 압연되기 전에 일부 또는 모든 오스테나이트를 형성하기 위해 어닐링될 필요가 있다. 압연하는 동안 오스테나이트로부터 마르텐사이트로의 변태가 억제될 수 있다면, 스틸은 보다 낮은 압연 부하로 보다 얇은 게이지로 압연될 수 있다. 이러한 변태를 억제하는 한 가지 방법은 냉간 압연하기 전이나 냉간 압연 중에 재료를 가온하는 것이다. 온간 압연은 더 나은 기계적 특성을 가져오는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Steel with a significant amount of metastable austenite processing hardens rapidly as the austenite transforms into high strength martensite. Cold rolling of these steels can be presented as a challenging problem as these work hardening and final martensite can require loads that can exceed the performance of the mill. These metastable steels need to be annealed to form some or all of the austenite before further cold rolling. If the transformation from austenite to martensite during rolling can be suppressed, the steel can be rolled into a thinner gauge with a lower rolling load. One way to suppress this transformation is to warm the material before or during cold rolling. It has been shown that warm rolling has the additional advantage of leading to better mechanical properties.

본 출원의 방법은 스틸이 가온되는 동안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것을 포함한다. 준안정 스틸 온도가 실온(일반적으로 약 26℃) 초과이면 따뜻한 것으로 간주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스틸은 특정 준안정 스틸 조성물에 대해 Md 온도 근처 또는 그 초과의 온도로 가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스틸은 특정 준안정 스틸 조성물에 대해 Md30 온도 초과의 온도로 가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준안정 스틸은 121℃ 이하의 온도로 가온된다.The method of the present application involves rolling metastable steel while the steel is warming. A metastable steel temperature is considered warm if it exceeds room temperature (typically about 26°C). In certain embodiments, th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near or above the M d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In another example, th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above the M d 30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astabl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of 121° C. or less.

이러한 재료의 코일은 다음의 방법 중 하나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여 당업자에게 자명한 방식으로 가온될 수 있다 :Coils of such material may be warmed in a manner apparent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cluding one or a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methods:

I. 코일을 압연 라인에 놓기 전에 노/오븐에서 코일을 가온한다.I. Warm the coil in the furnace/oven before placing the coil on the rolling line.

II. 냉간 압연되기 전에 히터를 사용하여 라인의 코일을 가온한다.II. Before cold rolling, a heater is used to warm the coils of the line.

III. 스틸 재료를 압연하기 전에 밀에서 냉각제를 가온한다. 이것은 여러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하나의 방법은 압연 밀에서 냉각탑을 끄고 다른 재료를 사용하여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기 전에 냉각제를 가온하는 것이다. 압연 전에 냉각제를 가온시키는 다른 방법은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III. The coolant is warmed in the mill before rolling the steel material. This can be done in several ways. One way is to turn off the cooling tower in the rolling mill and warm up the coolant before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with another material. Other methods of warming the coolant prior to rolling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준안정 스틸은 특정 조성물에 대한 통상적인 금속 - 제조 공정에 따라 냉간 압연(적용 가능하다면) 전에 용융, 주조, 열간 압연 및 어닐링된다. 준안정 스틸의 냉간 압연 공정 동안, 적어도 하나의 "냉간 압연" 통과는 스틸이 가온되는 동안, 즉 스틸이 26℃ 초과의 온도에 있는 동안 수행되는 "온간 압연" 통과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틸은 121℃ 이하의 온도로 가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준안정 스틸은 특정 준안정 스틸 조성물에 대해 Md 온도 근처 또는 그 초과의 온도로 가온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준안정형 스틸은 특정 준안정 스틸 조성물에 대해 Md30 온도 근처 또는 그 초과의 온도로 가온된다. 이러한 온간 압연 통과는 제 1, 제 2 또는 임의의 후속 "냉간 압연" 단계 중 하나 이상일 수 있다.Metastable steels are melted, cast, hot rolled and annealed prior to cold rolling (if applicable) according to the conventional metal-making process for a particular composition. During the cold rolling process of metastable steel, at least one “cold rolling” pass is a “warm rolling” pass performed while the steel is warming, ie while the steel is at a temperature above 26°C. In some examples, th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of 121° C. or less.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astabl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near or above the M d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In another embodiment, the metastable steel is warmed to a temperature near or above the M d 30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This warm rolling pass may be one or more of the first, second or any subsequent “cold rolling” steps.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준안정 스틸은 하나 이상의 온간 압연 단계 후에 어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간 압연" 가공 중, 준안정 스틸은 제 1 통과에서 온간 압연되고, 어닐링된 다음, 제 2 통과에서 (실온에서) 냉간 압연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etastable steel may be annealed after one or more warm rolling steps. For example, during "cold rolling" processing, the metastable steel may be warm rolled in a first pass, annealed, and then cold rolled (at room temperature) in a second pass.

예 1Example 1

불안정한 스틸은 불안정 인자 8.5 및 Md30(Nohara) = 230℃를 갖는 화학제를 가열 용융시킴으로써 제조되었다. 슬래브 안으로 연속적으로 열이 투입되었다. 슬래브를 1260℃로 재가열하고 537℃의 권취 온도(coiling temperature)로 0.175 "의 두께로 열간 압연하였다. 고온 밴드를 산세하여 스케일을 제거하였다. 산세된 고온 밴드의 섹션은 냉간 압연 및 온간 압연되었다. 온간 압연 목적을 위해, 고온 밴드 섹션은 노에서 원하는 온도로 가온되고 원하는 게이지로 압연되었다.The unstable steel was prepared by heating and melting a chemical agent having an instability factor of 8.5 and M d 30 (Nohara) = 230°C. Heat was continuously applied into the slab. The slab was reheated to 1260[deg.] C. and hot rolled to a thickness of 0.175" at a coiling temperature of 537[deg.] C. The hot band was pickled to remove scale. Sections of the pickled hot band were cold rolled and warm rolled. For warm rolling purposes, the hot band sections were warm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in a furnace and rolled to the desired gauge.

도 1은 이러한 준안정 스틸의 냉간 및 온간 압연으로부터의 마르텐사이트 변태량을 도시한다. 동일한 감소량에서, 각 열간 압연 스틸의 마르텐사이트의 양은 실온에서 압연된 냉간 압연 스틸보다 현저히 적다. 온간 압연의 이점은 저온(이 예에서는 65℃)에서 볼 수 있지만, 온간 압연(이 예에서는 121℃) 중에 온도가 높을수록 형성되는 마르텐사이트의 양이 더 적다.1 shows the amount of martensitic transformation from cold and warm rolling of this metastable steel. At the same amount of reduction, the amount of martensite in each hot-rolled steel is significantly less than that of cold-rolled steel rolled at room temperature. The advantage of warm rolling can be seen at low temperatures (65° C. in this example), but the higher the temperature during warm rolling (121° C. in this example), the less the amount of martensite formed.

도 2는 온간 압연 및 냉간 압연 후 상이한 감소량으로 준안정 스틸의 연신율(%)을 도시한다. 놀랍게도, 온간 압연은 하강 개시 전에 특정 양의 감소까지 연신율(%)을 증가시켰다. 온간 압연의 이점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감소량을 변화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맞추어질 수 있다. 반면, 실온에서의 냉간 압연은 항상 준안정 스틸에 대한 연신율(%)의 감소를 유도한다.2 shows the elongation (%) of metastable steel with different reduction amounts after hot rolling and cold rolling. Surprisingly, warm rolling increased the elongation (%) until a certain amount of decrease before the start of the descent. The benefits of warm rolling can be tailor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or by varying the amount of reduction carried out in temperature. On the other hand, cold rolling at room temperature always leads to a decrease in the elongation (%) for metastable steel.

예 2Example 2

다른 준안정 스틸은 의 불안정 인자 13.11 및 Md30(Nohara) = 108℃를 갖는 화학제를 선택하여 제조되었다. 열은 잉곳 안으로 투입되었다. 잉곳을 트리밍한 후, 5.75 "(W) × 2.75"(T) × 2.75 "(L)의 네 개의 바아가 얻어졌다. 이 트리밍된 잉곳은 1204℃에서 담겨졌고, 593℃의 마무리 온도에서 0.2"로 열간 압연되었다. 고온 밴드는 그 다음 산세되어서 스케일을 제거하였다. 산세 고온 밴드의 섹션은 상이한 온도에서 냉간 압연 및 온간 압연되었다. 온간 압연의 목적을 위해, 고온 밴드 섹션은 노에서 원하는 온도로 가온되고 원하는 게이지로 압연되었다.Other metastable steels were prepared by choosing a chemical agent with an instability factor of 13.11 and M d 30 (Nohara) = 108°C. Heat was put into the ingot. After trimming the ingot, four bars of 5.75" (W) x 2.75" (T) x 2.75" (L) were obtained. This trimmed ingot was held at 1204° C. and 0.2" at a finishing temperature of 593° C. It was hot rolled into a furnace. The hot band was then pickled to remove scale. The sections of the pickling hot band were cold rolled and warm rolled at different temperatures. For the purpose of warm rolling, the hot band section was warmed to the desired temperature in a furnace and rolled to the desired gauge.

이러한 준안정 스틸에서는, 냉간 압연에 이어 온간 압연은 강도 및 연신율이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전의 온간 압연이 없다면, 동일한 스틸은 강도의 증가를 나타냈으나 예상대로 연신율(%)의 감소를 나타냈다. 도 3(a)는 다양한 감소로 실온에서 30% 온간 압연 및 차후에 냉간 압연된 준안정 스틸으로부터의 실제 응력 스트레인 데이터를 나타낸다. 도 3(a) 및 도 3(b)에서, "WR"은 온간 압연을 나타내고 "RT"는 실온에서 냉간 압연을 나타낸다. 30% 온간 압연에 이어서 추가 10%의 냉간 압연을 실행할 때, 연신율 및 강도 모두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0 내지 30 %의 실온에서 30 %의 냉간 압연에 이어서 추가 냉간 압연할 때 동일 재료는 최종 인장 강도(UTS)는 증가하지만 연신율이 예상대로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온간 압연의 이점은 온도에서 수행되는 감소량을 변화시키거나 온도를 변화시킴으로써 맞추어질 수 있다.In this metastable steel, it was found that both the strength and the elongation increased in the cold rolling followed by the warm rolling. In the absence of previous warm rolling, the same steel exhibited an increase in strength but, as expected, a decrease in elongation (%). Figure 3(a) shows actual stress strain data from 30% warm rolled and subsequently cold rolled metastable steel at room temperature with various reductions. In Figs. 3(a) and 3(b), "WR" denotes warm rolling and "RT" denotes cold rolling at room temperature. When performing 30% warm rolling followed by an additional 10% cold rolling, both elongation and strength were found to increase. As shown in Fig. 3(b), when cold rolling of 30% followed by additional cold rolling at room temperature of 0 to 30%, the same material was found to increase the final tensile strength (UTS) but decrease the elongation as expected. . Again, the benefits of warm rolling can be tailored by varying the temperature or by varying the amount of reduction carried out in temperature.

예 3Example 3

상기 예 1의 준안정 스틸은 하기 표 1 및 표 2에 기재된 시험 데이터에 의해 추가로 제시된 바와 같이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한 스틸에 대한 온간 압연의 효과를 나타내며, 상기 표 1 및 표 2는 완전 어닐링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한 스틸(코일 1)의 특성을 공장에서 25% 온간 압연된 준안정 오스테나이트를 함유한 스틸(코일 2)의 특성과 비교한다. The metastable steel of Example 1 shows the effect of warm rolling on the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as further presented by the test data shown in Tables 1 and 2 below, and Tables 1 and 2 are completely The properties of the annealed metastable austenite-containing steel (coil 1) are compared with the properties of the steel (coil 2) containing 25% warm-rolled metastable austenite at the factory.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1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1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2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2

예 4Example 4

이방성에 대한 온간 압연의 효과를 예 1의 준안정 스틸에서 또한 연구하였다. 이방성은 후속 성형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온간 압연은 준안정 스틸의 기계적 특성에서 이방성을 관리한다.The effect of warm rolling on anisotropy was also studied in the metastable steel of Example 1. Anisotropy ca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ubsequent shaping. Warm rolling manages anisotropy i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metastable steel.

냉간 압연과 비교된 온간 압연의 효과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데이터에 의해 추가로 입증된다. 초기 고온 밴드는 두 압연 세트에서 동일했다. 하나의 세트는 다양한 감소(10, 15 및 20 %)로 온간 압연(@~121℃)되었고, 다른 세트는 유사한 감소로 냉간 압연되었다. 냉간 압연 샘플의 경우, 길이방향(L) 및 가로방향(T)에서의 연신율은 상당히 상이하다. 감소량이 클수록 더 큰 차이가 난다. 그러나, 온간 압연의 경우 차이는 훨씬 작다.The effect of warm rolling compared to cold rolling is further demonstrated by the data shown in Table 3 below. The initial hot bands were the same for both roll sets. One set was warm rolled (@~121° C.) with various reductions (10, 15 and 20%), and the other set was cold rolled with similar reductions. In the case of a cold-rolled sample, the elonga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 and the transverse direction (T) is quite different. The larger the reduction, the larger the difference. However, in the case of warm rolling, the difference is much smaller.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3
Figure 112018070370921-pct00003

Claims (9)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에 있어서,
a. 2.9 이상의 불안정 인자(IF)를 갖는 준안정 스틸을 선택하는 단계로서, IF는 하기 방정식:
IF = 37.193-51.248(%C)-0.4677(%Cr)-1.0174(%Mn)-34.396(%N)-2.5884(%Ni)에 의해서 계산되는, 상기 준안정 스틸을 선택하는 단계;
b. 상기 준안정 스틸을 열간 압연하는 단계;
c. 상기 열간 압연하는 단계 후 및 냉간 압연하는 단계 이전 또는 냉간 압연하는 단계 동안, 상기 준안정 스틸을 26℃ 초과 및 121℃ 이하의 가온 온도로 가온하는 단계; 그리고
d. 상기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In the method of rolling metastable steel,
a. Selecting a metastable steel having an instability factor (IF) of 2.9 or greater, IF is the following equation:
Selecting the metastable steel, calculated by IF = 37.193-51.248(%C)-0.4677(%Cr)-1.0174(%Mn)-34.396(%N)-2.5884(%Ni);
b. Hot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c. Heating the metastable steel to a heating temperature of more than 26° C. and not more than 121° C. after the hot rolling step and before the cold rolling step or during the cold rolling step; And
d. A method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comprising the step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온 온도는 특정 준안정 스틸 조성물에 대한 Md30 온도 근처 또는 초과이고,
상기 준안정 스틸에 대한 Md30 온도는, 다음의 방정식들:
Md30 = 551-462(%C+%N)-68*%Cb-13.7*Cr-29(%Cu+%Ni)-8.1*%Mn-18.5*%Mo-9.2*%Si; 및
Md30 = 413-462*(%C + %N)-13.7*%Cr-8.1*%Mn-18.5*%Mo-9.5*%Ni-9.2*%Si
중 어느 하나를 따라 계산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1,
The warming temperature is near or above the M d 30 temperature for a particular metastable steel composition,
The M d 30 temperature for the metastable steel is the following equations:
M d 30 =551-462(%C+%N)-68*%Cb-13.7*Cr-29(%Cu+%Ni)-8.1*%Mn-18.5*%Mo-9.2*%Si; And
M d 30 = 413-462*(%C + %N)-13.7*%Cr-8.1*%Mn-18.5*%Mo-9.5*%Ni-9.2*%Si
Method of rolling metastable steel, calculated according to any one of.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단계(d) 후, 상기 준안정 스틸이 실온에서 압연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After the step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d), the method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at room temperature.
제 3 항에 있어서,
실온에서 압연되기 이전에, 상기 준안정 스틸이 어닐링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3,
Prior to rolling at room temperature, the method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nnealing the metastable steel.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단계(d)는 제 1 압연 단계이고,
상기 방법은 상기 제 1 압연 단계 후, 상기 준안정 스틸이 제 2 압연 단계에서 압연되고, 상기 제 2 압연 단계 이전에, 상기 준안정 스틸이 26℃ 초과 및 121℃ 이하의 가온 온도로 가온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step (d)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is a first rolling step,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after the first rolling step, the metastable steel is rolled in a second rolling step, and before the second rolling step, the metastable steel is heated to a heating temperature of more than 26°C and not more than 121°C. A method of rolling a metastable steel further comprising a.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압연 단계 후 및 상기 제 2 압연 단계 이전에, 상기 준안정 스틸이 어닐링되는 단계를 더 구비하는, 준안정 스틸을 압연하는 방법.
The method of claim 5,
After the first rolling step and before the second rolling step, the method of rolling the metastable steel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annealing the metastable steel.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187020518A 2016-01-14 2017-01-17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KR102249721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278567P 2016-01-14 2016-01-14
US62/278,567 2016-01-14
US201662407001P 2016-10-12 2016-10-12
US62/407,001 2016-10-12
PCT/US2017/013717 WO2017124081A1 (en) 2016-01-14 2017-01-17 Warm rolling of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662A KR20180095662A (en) 2018-08-27
KR102249721B1 true KR102249721B1 (en) 2021-05-10

Family

ID=58094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518A KR102249721B1 (en) 2016-01-14 2017-01-17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Country Status (13)

Country Link
US (1) US20170204493A1 (en)
EP (1) EP3402906A1 (en)
JP (1) JP6830493B2 (en)
KR (1) KR102249721B1 (en)
CN (1) CN108431242A (en)
AU (1) AU2017208084A1 (en)
BR (1) BR112018013818A2 (en)
CA (1) CA3009514C (en)
CO (1) CO2018006462A2 (en)
MX (1) MX2018008714A (en)
PH (1) PH12018501374A1 (en)
TW (2) TW201825688A (en)
WO (1) WO2017124081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29304B2 (en) * 2018-03-13 2023-08-18 クリーブランド-クリフス スティール プロパティーズ、インク. Reduction at Elevated Temperature of Coated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CN113088652A (en) * 2021-03-31 2021-07-09 长春工业大学 Preparation method of diffusion-strengthened high-stability medical high-nitrogen nickel-free austenitic stainless steel
CN114273426B (en) * 2022-01-10 2024-04-16 南京理工大学 Method for preparing high-strength high-plasticity 316L stainless steel by high-strain warm rolling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99320A (en) 1967-12-26 1971-08-17 United States Steel Corp Metastable austenitic stainless steel
JPS6092457A (en) * 1983-10-24 1985-05-24 Daido Steel Co Ltd High strength stainless steel
JPH0768584B2 (en) * 1986-06-09 1995-07-26 日新製鋼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tainless steel for springs having excellent spring characteristics
JPH076858B2 (en) * 1987-11-20 1995-01-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Pressure converter
JPH0768584A (en) 1993-09-07 1995-03-14 Asahi Chem Ind Co Ltd Manufacture of molding using crystalline vinyliden chloride resin particle
TWI271438B (en) * 2003-05-09 2007-01-21 Nippon Mining Co Metastable austenite series stainless steel strap with excellent fatigue resistance
EP2350332B1 (en) * 2008-11-05 2014-05-21 Honda Motor Co., Ltd. High-strength steel sheet and the method for production therefor
TWI415954B (en) * 2010-10-27 2013-11-21 China Steel Corp High strength ste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9587287B2 (en) * 2011-03-31 2017-03-07 Nippon Steel and Sumitomo Metal Corporation Bainite-containing-type high-strength hot-rolled steel sheet having excellent isotropic work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5856002B2 (en) * 2011-05-12 2016-02-09 Jfeスチール株式会社 Collision energy absorbing member for automobiles excellent in impact energy absorbing abilit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13047821A1 (en) * 2011-09-30 2013-04-04 新日鐵住金株式会社 High-strength galvannealed steel sheet of high bake hardenability, high-strength alloyed galvannea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0493B2 (en) 2021-02-17
WO2017124081A1 (en) 2017-07-20
JP2019504213A (en) 2019-02-14
US20170204493A1 (en) 2017-07-20
TWI623622B (en) 2018-05-11
KR20180095662A (en) 2018-08-27
CA3009514A1 (en) 2017-07-20
CO2018006462A2 (en) 2018-07-10
BR112018013818A2 (en) 2018-12-11
TW201825688A (en) 2018-07-16
CN108431242A (en) 2018-08-21
EP3402906A1 (en) 2018-11-21
PH12018501374A1 (en) 2019-02-11
TW201730348A (en) 2017-09-01
CA3009514C (en) 2021-03-16
AU2017208084A1 (en) 2018-07-05
MX2018008714A (en) 2018-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18905B2 (en) Hot rolled wire rod and bar for machine structur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1690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parts and corresponding steel parts
KR20170027745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high strength steel sheet and sheet obtained
JP6932323B2 (en) Low alloy 3rd generation advanced high-strength steel
JP2012153957A (en) High-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duct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2249721B1 (en) Warm rolling of steel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JPH0713257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soft wire without as-rolled surface abnormal phase
JP3598868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hot rolled wire rod
EP3730652A1 (en) Ultra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3422864B2 (en) Stainless steel with excellent workabil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1344651B1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sheet
JP7329304B2 (en) Reduction at Elevated Temperature of Coated Steels Containing Metastable Austenite
KR101715507B1 (en) Plated steel shee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25733B2 (en) High strength hot rolled steel shee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4608242B2 (en) Steel for cold bending
JP6059569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steel material excellent in cold workability and machinability
TWI711706B (en) Automobile steel material with high yield strengt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339795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linear motion bearing member
JP5834901B2 (en) Hot-rolled steel sheet excellent in shape freezing and aging resistanc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6756088B2 (en) Hot-rolled steel sheet with excellent cold workability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JPH0448052A (en) Method for hot-working austenitic stainless steel excellent in high temperature ductility
JPH08143958A (en) Production of steel tube excellent in high temperature characteristic
JPH04246152A (en) Two phase cold rolled thin steel plate of baked solidified type and method of its manufacture
WO2013160938A1 (en) High strength cold-rolled steel plate of excellent duct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