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780B1 -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 Google Patents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780B1
KR102248780B1 KR1020190161329A KR20190161329A KR102248780B1 KR 102248780 B1 KR102248780 B1 KR 102248780B1 KR 1020190161329 A KR1020190161329 A KR 1020190161329A KR 20190161329 A KR20190161329 A KR 20190161329A KR 102248780 B1 KR102248780 B1 KR 102248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 layer
hole transport
nanocomposite
solar cell
nickel 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1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원
류준
조중상
정상문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613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L51/4213
    • H01L51/4253
    • H01L51/44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977/00Nanotechnology
    • Y10S977/70Nanostructure
    • Y10S977/811Of specified metal oxide composition, e.g. conducting or semiconducting compositions such as ITO, ZnOx
    • Y10S977/812Perovskites and superconducting composition, e.g. BaxSr1-xTiO3

Abstract

본 발명은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은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COMPOSITION FOR HOLE TRANSFER LAYER COMPRISING NiOx-CNTs NANOCOMPOSITES, AND SOLAR CEL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에 관한 것이다.
태양전지는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이다. 태양전지에 포함된 광흡수층에 빛이 입사되면 광기전력 효과에 의해 전자와 정공이 발생되어 전압과 전류를 생성한다.
페로브스카이트(Perovskite) 태양전지는 전하를 생성하는 페로브스카이트 층과 전자를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정공을 수송하는 정공수송층, 및 외부 회로로 전하를 보내주는 전극으로 구성된다.
종래 유기 태양전지 및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서 PEDOT:PSS (poly(3,4-ethylenedioxythiophene):poly(styrene sulfonate)가 정공수송층으로 사용되었는데, 산성이고 습기를 잘 빨아들여 태양전지의 장기 안정성이 불안정하였다.
이에 PEDOT:PSS와 같은 유기 물질보다 안정적인 산화니켈(NiOx)층이 사용되지만, 이는 낮은 전도도로 인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전류 및 충진 인자(fill factor)를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084702
본 발명은 종래의 산화니켈층에 전도도가 우수한 탄소나노튜브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기존 산화니켈층 보다 우수한 전도도를 가진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하이브리드 나노복합체를 포함한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은 산화니켈(NiOx(0<x<3))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입자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상기 산화니켈 결정격자 내외의 원자층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대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에서 탄소나노튜브와 관련한 174, 1340, 1595, 1746 및 2677 cm-1 에서 피크(peak)가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의 결정화도인 D 밴드 강도 대비 G밴드 강도(Ig/Id)가 1 내지 5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외경은 0.1 내지 10.0 n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값은 3.5 nm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수송층은 표면에 친수성기가 배치되는 대상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대상체 상에 단일층으로 증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기 탄소나노노튜브는 상기 대상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상기 대상체는 기판, 투명 전극, 광활성층, 전자수송층, 및 금속 전극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은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20 내지 70℃ 내에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물질과 용매를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0℃에서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첨가제로서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질산니켈 헥사수산화물(nickel nitrate hexahydrate, Ni(NO3)2·6H2O) 을 0.1 내지 0.8g/mL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시켜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0.01 내지 1mg/ml의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1 내지 20부피%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0.01 내지 1mg/ml의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2 내지 8부피%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열처리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은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에서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는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탈이온수 순서로 각각 초음파 세척 후, 자외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에서 상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130 내지 170℃ 에서 4-6분, 280 내지 320℃에서 40분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는 상기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 의해 페로브스카이트층에서 생성된 정공을 효율적으로 추출하여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충진인자와 전류를 상승시킴으로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기전도성 및 광변환효율이 증가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의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에 의한 분석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의 자외선-가시광선 분광법(UV-Vis spectroscopy)에 의한 투과율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 표면의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이미지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의 전도도 측정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의 (a) 내지 (c)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 이미지이다.
도 5의 (d) 내지 (f)는 각각 도 5의 (a) 내지 (c)의 전도성 원자간력현미경(Conductive Atomic Force Microscope, C-AFM) 이미지이다.
도 5의 (g) 내지 (i)는 각각 도 5의 (a) 내지 (c)의 위치별 전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기화학 임피던스 분광법(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EIS)에 의한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기적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a)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광발광(Photo Luminescence, PL) 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의 (b)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을 기반으로 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시분해적 광발광(Time Resolved Photo Luminescence, TR-PL)특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문구 또는 문장에서 특별히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람직한" 및 "바람직하게"는 소정 환경 하에서 소정의 이점을 제공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지칭한다. 그러나, 동일한 환경 또는 다른 환경 하에서, 다른 실시 형태가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추가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의 언급은 다른 실시 형태가 유용하지 않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다른 실시 형태를 배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하여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태양전지의 정공수송층은 태양전지에서 정공(electron hole)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음극과 양극에 전압을 걸면 각각의 극에서 전자와 정공을 주입하고, 주입된 전자는 각각 전자수송층을, 정공은 정공수송층을 통과하여 광발광층에서 결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은 산화니켈(NiOx(0<x<3))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한다.
상기 나노복합체의 산화니켈은 NiO, Ni2O3, 또는 NiO2 등으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나노복합체의 탄소나노튜브는 탄소원자들이 육각형의 벌집모양으로 서로 연결되어 원기둥 모양을 이루는 나노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탄소나노튜브는 단일벽, 이중벽, 다중벽, 또는 다발형 탄소나노튜브일 수 있다. 상기 산화니켈에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됨으로서 정공수송층의 전기전도도를 향상시킨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입자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산화니켈 용액에 투입하여 완전히 용액처리된 나노복합체를 제조하므로, 산화니켈 입자 및 나노튜브구조체가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이로서 정공을 균일하게 수송하여 전기전도성을 높일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상기 산화니켈 결정격자 내외의 원자층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다.
산화니켈과 탄소나노튜브는 불규칙한 빈자리(vacancy)를 가지고 있는 정형화되지 않은 네트워크 구조 때문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하는데에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산화니켈 내에 탄소나노튜브가 완연히 내장(embedded)되도록 함으로서 산화니켈의 형태학적 표면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도 광특성을 유지시키고, 전도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산화니켈과 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제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 제조방법은 산화니켈 전구체용액과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저온 공정으로 제조 및 교반한다. 이로서 산화니켈의 안정적이고 유리한 광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유지시키면서도 전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본 발명의 목적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산화니켈층을 정공수송층에 사용할 경우, 유기물질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훨씬 안정적이고 유리한 광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는 산화니켈층의 상기 유리한 광학적 및 형태학적 특성에 변화를 주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니켈 대비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하여도 산화니켈층의 투과율에 큰 변동이 없고, 산화니켈층이 조밀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대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에서 탄소나노튜브와 관련한 결정화도가 174, 1340, 1595, 1746 및 2677 cm-1 에서 피크(peak)가 나타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174 (radial breathing mode; RBM), 1340 (D band), 1595 (G band), 1746 (RBM G), and 2677 cm1 (G′ band)를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의 결정화도인 D 밴드 강도 대비 G 밴드 강도(Ig/Id)가 1 내지 500, 또는 1 내지 400, 또는 1 내지 300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외경은 0.1 내지 10.0nm, 0.1 내지 8.0nm, 0.1 내지 5.0nm, 0.1 내지 3.0nm, 0.1 내지 2.0nm, 또는 0.1 내지 1.7 nm 일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가 산화니켈과 혼합된다고 하더라도 산화니켈층의 고유한 표면의 균일성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더라도 제조된 정공수송층의 표면에서 탄소나노튜브가 관찰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범위내로 매우 작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제조방법에 의하면,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되더라도 산화니켈의 고유한 형태학적 특성을 저해하지 않으면서 전도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가 상기 범위내로 작기 때문에 산화니켈 층의 빈자리(vacancy)로 탄소나노튜브가 성공적으로 내장(embedded)되어 조밀한 정공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시 페로브스카이트의 결정 크기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니켈층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상에 존재하는 페로브스카이트의 XRD를 측정하여 MAPbI3의 결정크기를 추정하여 계산한 결과, 정공수송층에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결정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나노복합체를 정공수송체에 사용할 수 있다면,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값은 3.5nm 이하일 수 있다. 이는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함으로서 더 조밀한 산화니켈 구조가 형성된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수송층은 표면에 친수성기가 배치되는 대상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정공수송층은 상기 나노복합체가 대상체 상에 증착되어 있는데, 상기 대상체는 친수화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될 수 있다.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는 대상체에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용액 등을 클리닝한 뒤. UV Ozone 처리를 하여 표면에 -OH기 생성을 통한 친수성 표면을 생성한다. 대상체 상에 붙어 있는 유기 오염물은 화학적으로 C-H, -C=C-, -C-O, -C-Cl 등의 여러 가지 화학 결합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 결합은 자신의 결합 에너지보다 강한 에너지 충격을 받으면 CO2, H2O 등으로 분해되거나 -OH, -CHO, -COOH와 같이 친수성기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대상체 상에 단일층으로 증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산화니켈과 탄소나노튜브를 용액상태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여 대상체 상에 증착시키기 때문에, 상기 대상체 상에 단일층으로 증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단일층으로 증착시킬 수도 있고, 여러 형태로 다층으로 증착시킬수도 있으며, 이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다만, 본 발명은 산화니켈과 탄소나노튜브가 분리되어 적층되는 것이 아닌 균일하게 혼합되어 일체로서 증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대상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를 대상체 상에 수직 방향으로 배향시키는 방법은, 상기 나노복합체를 일정한 자기장 내에서 제조함으로써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자기장의 자기 방향에 따라 일 방향, 구체적으로는 집전체의 일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것일 수 있다(자기 배향법). 또한, 플라즈마 화학기상증착법등의 방법으로 상기 대상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된 탄소나노튜브를 성장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제조방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탄소나노튜브가 대상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됨으로서, 정공이 이동하는 통로가 단절되지 않고 일렬로 형성되어 보다 전기전도도가 높아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에서 상기 대상체는 기판, 투명 전극, 광활성층, 전자수송층, 및 금속 전극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기판으로서 투명성, 표면 평활성, 취급 용이성, 및 방수성이 우수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유리 기판, 박막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 실리콘 기판, 고분자 기판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특별히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은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20 내지 70℃, 30 내지 70℃,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70℃에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물질과 용매를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0℃, 30 내지 70℃,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70℃에서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첨가제로서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나노복합체는 산화니켈 결정격자 내의 원자층 사이 또는 산화니켈 결정격자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될 수 있는데, 이는 산화니켈 전구체 용액와 분산용액을 상기 온도범위에서 제조하여 교반하기 때문이다. 상기 온도범위보다 낮으면 균일한 전구체 형성이 어렵고, 상기 온도범위보다 높으면 용매의 증발 등의 공정 상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서 산화니켈층의 광특성 및 형태학적 특성을 저해시키지 않으면서 전도성을 높이는 정공수송층 조성물의 제조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질산니켈 헥사수산화물(nickel nitrate hexahydrate, Ni(NO3)2 ·6H2O) 을 0.1 내지 0.8g/mL, 또는 0.1 내지 0.5 g/mL, 또는 0.2 내지 0.4 g/mL 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시켜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의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전구체 용액에 0.01 내지 1mg/ml, 0.01 내지 0.5 mg/ml, 0.01 내지 0.3 mg/ml 의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교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은 1 내지 20부피%, 또는 1 내지 15부피%, 또는 1 내지 10부피%, 또는 2 내지 8부피%, 또는 4 내지 6부피 %로 혼합하여 교반될 수 있다.
후술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부피비 내에서 태양전지의 전력 변환 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이 14.3% 에서 15.6%로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의 부피비가 5%부피 함량일때, 태양전지의 전력 변환 효율(power conversion efficiency, PCE)이 16.2%로 최대값을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순도는 70 내지 99%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길이는 0.5 내지 10um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후술할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범위에서 가장 좋은 전류밀도 값을 확인할 수 있고,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 5부피%일 때, 가장 높은 전류밀도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은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열처리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에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상기 대상체 상에 코팅한 후, 상기 코팅된 대상체를 가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정공수송층은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130 내지 170℃에서 4 내지 6분, 280 내지 320℃에서 40분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또는 140 내지 160 에서 4 내지 6분, 290 내지 310℃에서 40분 내지 80분동안 가열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온도 또는 시간 범위 미만이면, 완전한 나노복합체 층이 형성되지 않으며, 저항이 올라가 불완전한 나노복합체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다량의 핀 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온도와 시간의 범위 내에서 열처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은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에서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는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탈이온수 순서로 각각 초음파 세척 후, 자외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는 대상체에 메탄올, 이소프로필알콜(IPA) 용액 등을 클리닝한 뒤. UV Ozone 처리를 하여 표면에 -OH기 생성을 통한 친수성 표면을 생성한다. 대상체 상에 붙어 있는 유기 오염물은 화학적으로 C-H, -C=C-, -C-O, -C-Cl 등의 여러 가지 화학 결합을 하고 있다. 이러한 화학 결합은 자신의 결합 에너지보다 강한 에너지 충격을 받으면 CO2, H2O 등으로 분해되거나 -OH, -CHO, -COOH와 같이 친수성기로 전환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는 상기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유기 태양전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또는 기타 박막형 태양 전지일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정공수송층 조성물은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적용시 페로브스카이트의 결정 크기를 거의 변화시키지 않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산화니켈층과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상에 존재하는 페로브스카이트의 XRD를 측정하여 MAPbI3의 결정크기를 추정하여 계산한 결과, 정공수송층에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증가하여도 결정크기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에 최적화되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나노복합체를 정공수송체에 사용할 수 있다면, 이에 특별히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태양전지는 제 1 전극, 정공수송층, 광활성층, 및 제 2 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전자수송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전극, 정공수송층, 광활성층, 전자수송층, 및 제 2 전극은 순차적으로 적층된 구조일 수 있으나, 이 순서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층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입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구조의 태양전지의 양극과 음극이 역방향으로 구성된 인버터드 구조일 수도 있다.
제 1 전극은 불소 함유 산화주석, 인듐 함유 산화주석, 알루미늄 함유 산화아연, 인듐 함유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 2 전극은 금(Au), 은(Ag), 백금(Pt), 팔라듐(Pd), 구리(Cu), 루미늄(Al), 탄소(C), 황화코발트(CoS), 황화구리(CuS), 산화니켈(NiO)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광활성층은 전자공여체 및/또는 전자수용체와 같은 광활성 물질을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용액을 스핀 코팅, 딥코팅, 스크린 프린팅, 스프레이 코팅, 닥터 블레이드, 브러쉬 페인팅 등의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으나, 이들 방법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광활성층은 유기물, 양자점, 페로브스카이트 구조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전자수송층은 플러렌 (fullerene, C60), 플러렌 유도체로서 PCBM(((6,6)-phenyl-C61-butyric acid-methylester) 또는 PCBCR ((6,6)-phenyl-C61-butyric acid cholesteryl ester), 페릴렌(perylene), PBI(polybenzimidazole) 및 PTCBI(3,4,9,10-perylene-tetracarboxylic bis-benzimidazole)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화합물로서 일 실시예로서, 도 6에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구조를 도시하였다.
<실시예 1> 정공수송층의 제조예
질산니켈 헥사하이드레이트(nickel nitrate hexahydrate(Ni(NO3)2·6H2O) 0.291g을 ethylene glycol 1ml, ethylenediamine 50μl 에 녹여 60℃의 교반기에서 2시간이상 교반시켜 산화니켈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화니켈 전구체용액에 99%의 순도인 탄소나노튜브가 0.01mg/ml의 농도로 분산된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상기 산화니켈 전구체 용액 부피 대비 1부피%, 5부피%, 10부피%, 20부피%의 비율로 첨가하여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대상체로서 ITO가 코팅된 유리 기판을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콜(IPA), 탈이온수 순서로 각각 10분씩 초음파세척한 뒤, 오븐에서 건조한 후, 20분 동안 자외선 처리를 하여 표면에 -OH기가 생성된 친수성 기판을 준비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준비된 친수성 기판 상에 상기 제조한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4000rpm의 속도로 90초 동안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코팅된 기판을 150℃에서 5분, 30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하였다.
<실시예 2> 태양전지의 제조예
페로브스카이트 전구체 용액 (MAI:PbI2:DMSO = 1:1:1; 1.8 M in DMF)을 교반하고, 0.45um 사이즈의 구멍을 가진 polyvinylidene fluoride (PVDF) 막을 통해 여과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공수송층 상에 상기 제조된 MAPbI3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여과한 물질을 100℃의 핫플레이트 위에서 10분 동안 구운 다음, 반용매인 0.5ml 의 ether와 함께 5000rpm의 속도로 60초 동안 스핀코팅하여,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을 형성하였다.
다음으로 전자수송층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페로브스카이트 광활성층 상에 1500rpm 속도로 35초동안 PCBM (20 mg mL-1 in CBZ)을 스핀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 Ag 금속 진공 증착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정공수송층에서, 도 1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가 산화니켈 매트릭스 내에 성공적으로 내장(embedded)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하여도 정공수송층의 투과율이 거의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정공수송층이 조밀하게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전도도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정공수송층 표면의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가 감소하며, 전기전도도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태양전지에서, 도 7 및 하기 표 1을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의 함량비가 증가함에 따라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직렬저항 및 전하전달저항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126202502-pat00001
도 8 및 하기 표 2를 참조하면,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의 부피비가 산화니켈 전구체 용액 대비 5부피%로 첨가되었을 때, 최고 효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126202502-pat00002
도 9(a) (b)및 하기 표 3을 참조하면, 산화니켈층을 정공수송층으로 적용한 경우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따르는 나노복합체를 적용한 정공수송층이 정공을 더 쉽고 빠르게 수송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112019126202502-pat00003

Claims (23)

  1.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로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입자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값은 3.5nm 이하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탄소나노튜브 구조체가 상기 산화니켈 결정격자 내외의 원자층 사이에 균일하게 분포된,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대비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함량이 1 내지 10 중량%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의 결정화도가 174, 1340, 1595, 1746 및 2677 cm-1 에서 피크(peak)가 나타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라만 분광법(Raman Spectroscopy)의 결정화도인 D 밴드 강도 대비 G 밴드 강도(Ig/Id)가 1 내지 500 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의 평균 외경은 0.1 내지 10.0nm 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정공수송층은 표면에 친수성기가 배치되는 대상체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대상체 상에 단일층으로 증착된 것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나노튜브는 상기 대상체 상에 수직으로 배향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기판, 투명 전극, 광활성층, 전자수송층, 및 금속 전극 또는 이들의 조합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13.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로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입자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값은 3.5nm 이하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에 있어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20 내지 70℃ 에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물질과 용매를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20 내지 70℃에서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첨가제로서 에틸렌디아민(ethylenediamine)을 첨가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는 질산니켈 헥사수산화물(nickel nitrate hexahydrate, Ni(NO3)2·6H2O) 을 0.1 내지 0.8g/mL의 농도로 용매에 용해시켜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에 0.01 내지 1mg/ml의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1 내지 20부피%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에 0.01 내지 1mg/ml의 농도의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2 내지 8부피%로 혼합하여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조성물 제조방법.
  19.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로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및 탄소나노튜브가 혼합된 나노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는 상기 산화니켈(NiOx(0<x<3)) 입자 및 상기 탄소나노튜브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상기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상기 정공수송층 표면의 원자간력현미경(Atomic Force Microscope, AFM)에서 측정된 거칠기(RMS: root mean square)값은 3.5nm 이하인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제조방법으로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준비된 산화니켈(NiOx(0<x<3, x는 실수)) 전구체 용액에 탄소나노튜브 분산용액을 혼합하여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조된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및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열처리하여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제조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을 대상체 상에 증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제조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친수화하는 단계는 아세톤, 이소프로필알코올, 탈이온수 순서로 각각 초음파 세척 후, 자외선 처리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제조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정공수송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나노복합체 전구체 용액이 증착된 대상체를 130 내지 170℃에서 4-6분, 280 내지 320℃에서 40분 내지 80분 동안 가열하여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정공수송층 제조방법.
  23. 제 1 항의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을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0190161329A 2019-12-06 2019-12-06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KR102248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329A KR102248780B1 (ko) 2019-12-06 2019-12-06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1329A KR102248780B1 (ko) 2019-12-06 2019-12-06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80B1 true KR102248780B1 (ko) 2021-05-06

Family

ID=75916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1329A KR102248780B1 (ko) 2019-12-06 2019-12-06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8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3973A (zh) * 2021-10-15 2022-02-25 华南理工大学 一种火焰修饰碳纳米管/氧化镍/砷化镓太阳电池及其制备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581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태양전지
KR20100031727A (ko) * 2007-07-09 2010-03-24 페로 코포레이션 알루미늄과 보론, 티타늄, 니켈, 주석, 은, 갈륨, 아연, 인듐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 컨택
KR20150084702A (ko) 2015-05-22 2015-07-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전자소자,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56581A (ko) * 2005-11-30 2007-06-04 삼성전자주식회사 태양전지용 전극,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태양전지
KR20100031727A (ko) * 2007-07-09 2010-03-24 페로 코포레이션 알루미늄과 보론, 티타늄, 니켈, 주석, 은, 갈륨, 아연, 인듐 및 구리 중 적어도 하나를 함유하는 태양 전지 컨택
KR20150084702A (ko) 2015-05-22 2015-07-22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유기 전자소자, 태양전지 및 그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jid Sajid et al., Nano Energy 2019, 55, 470(2018.11.3.)* *
Zenghui Qiu et al., RSC Adv., 2017, 7, 7843(2017.1.23.)*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93973A (zh) * 2021-10-15 2022-02-25 华南理工大学 一种火焰修饰碳纳米管/氧化镍/砷化镓太阳电池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un et al. Recent progress in solar cells based on one-dimensional nanomaterials
Ahmed et al. A comprehensive review on counter electrodes for dye sensitized solar cells: a special focus on Pt-TCO free counter electrodes
Wu et al. Multifunctional nanostructured materials for next generation photovoltaics
Sgobba et al. Carbon nanotubes as integrative materials for organic photovoltaic devices
Landi et al. Single‐wall carbon nanotube–polymer solar cells
Zhu et al. Anthocyanin-sensitized solar cells using carbon nanotube films as counter electrodes
Chen et al. Polymer photovoltaic wires based on aligned carbon nanotube fibers
Huang et al. Enhancing performance of organic–inorganic hybrid solar cells using a fullerene interlayer from all-solution processing
KR20100093473A (ko) 투명한 전도성 나노 복합재
WO2011021982A1 (en) Integrated electrode architectures for energy generation and storage
KR101124618B1 (ko) 탄소나노튜브가 침입된 금속산화물 복합막,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광전변환효율 및 수명이 향상된 유기태양전지
CN108012568A (zh) 使用石墨烯作为导电透明电极的钙钛矿基太阳能电池
Uddin et al. A high efficiency 3D photovoltaic microwire with carbon nanotubes (CNT)‐quantum dot (QD) hybrid interface
Hussain et al. Conductive glass free carbon nanotube micro yarn based perovskite solar cells
Tan et al. Electrodepostied polyaniline films decorated with nano-islands: Characterization and application as anode buffer layers in solar cells
JPWO2018056295A1 (ja) 太陽電池
Dasari et al. Calligraphic solar cells: acknowledging paper and pencil
Castrucci Carbon nanotube/silicon hybrid heterojunctions for photovoltaic devices
KR101251718B1 (ko) 유기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이를 이용한 유기 태양전지의 제조방법 및 그에 따라 제조된 유기 태양전지
Zhang et al. Wire-supported CdSe nanowire array photoelectrochemical solar cells
KR102248780B1 (ko) 산화니켈-탄소나노튜브 나노복합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용 정공수송층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태양전지
Fakharan et al. Fabrication of non-fullerene P3HT/Agx-TiO2 based polymer solar cells with high open circuit voltage
Grissom et al. Three-dimensional carbon nanotube yarn based solid state solar cells with multiple sensitizers exhibit high energy conversion efficiency
Li et al. Overcoming intrinsic defects of the hole transport layer with optimized carbon nanorods for perovskite solar cells
Bauld et al. Solution processed graphene thin films and their applications in organic solar cel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