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8749B1 -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 Google Patents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8749B1
KR102248749B1 KR1020200074516A KR20200074516A KR102248749B1 KR 102248749 B1 KR102248749 B1 KR 102248749B1 KR 1020200074516 A KR1020200074516 A KR 1020200074516A KR 20200074516 A KR20200074516 A KR 20200074516A KR 102248749 B1 KR102248749 B1 KR 1022487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device
excrement
receiving member
length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4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명진
Original Assignee
황명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명진 filed Critical 황명진
Priority to KR1020200074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87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87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8749B1/ko
Priority to PCT/KR2021/007354 priority patent/WO202125678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01K15/021Electronic train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dogs or c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mean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2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e.g. mazes or labyrinths for animals ; Electric shock devices ; Toys specially adapted for anima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01K23/005Manure or urine collecting devices used independently from the animal, i.e. not worn by the animal but operated by a pers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는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애완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수용하도록,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위치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POTTY TRAINING DEVICE AND POTTY TRAIN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애완동물의 배변 활동을 훈련시킬 수 있는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에 관한 것이다.
1인 가구 증가와 더불어 애완동물 산업이 급성장하면서 점점 더 많은 가정에서 개, 고양이 등의 애완동물을 기르고 있는 추세인데, 애완동물 관리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가 배설물의 처리이다.
고양이는 별도의 교육을 시키지 않아도 모래 또는 자갈을 찾아 배변을 하는 특성이 있다. 그러나 고양이 발에 모래가 묻어 집안 다른 곳으로 옮겨지거나 먼지가 발생하고 모래에서 냄새가 나는 등 모래 관리의 문제가 있다.
또한, 위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특수 모래가 시중에 유통되고 있으나 고양이의 그루밍 특성으로 인해 발에 묻은 모래먼지가 몸으로 흡수되는 문제도 있다.
또한, 모래 사용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세식 좌변기를 이용하는 기구가 개발되기도 하였으나, 이는 모래판을 단순히 변기 위에 올려 놓았거나 모래판의 넓이를 점진적으로 줄이는 훈련 방식이지만, 실제 고양이들은 위 방법으로 쉽게 교육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10-2018-0136178(2018.12.24)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배경에서 발명된 것으로서, 애완동물이 배설물 흡수체 없이도 배변 활동을 하도록 유도하는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는 상기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애완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에는 상기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하면 및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매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수용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지지몸체부의 둘레면과 다른 크기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중 다른 연결부재의 하단 둘레면 또는 상기 맞물림부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된 상단을 가지는,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면 또는 상기 맞물림부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자바라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될 경우, 상기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신축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축소될 경우, 상기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재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길이조절부는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부 및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은 배설물 흡수체가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몸체에 수용하는 단계, 상기 배변 훈련 장치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킨 후에도 수용부재에 상기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수용부재에 상기 배설물 흡수체를 미 수용하는 단계 및 상기 배설물 흡수체가 미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애완동물이 발로 상기 배설물 흡수체를 미접촉할 때까지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고양이가 좋아하는 풍성한 배설물 흡수체(2)를 제공하여 고양이에게 배변 훈련 장치 사용의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또한, 배설물 흡수체의 양이나 배변통의 넓이가 줄어들지 않으면서 훈련이 진행되므로 고양이가 받는 스트레스가 적을 수 있다.
또한, 수용부의 길이가 증가됨에 따라 고양이가 모래 확인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수용부에 모래가 수용되지 않아도 고양이는 수용부에 배변활동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기에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 진행에 따라 배변통의 길이가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지지', '접촉'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지지, 접촉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측, 하측, 측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는 몸체(10)에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몸체(10)는 배설물을 수용할 수 있도록, 물이 구비된 배설물받이(12)를 포함하는 일반 변기로 형성될 수 있다. 배변 훈련 장치(100)는 후술할 배변 훈련을 위해 상하 길이 방향으로 증감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변 훈련 장치(100)는 애완동물(1)의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애완동물(1)은 일 예로 고양이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람과 같이 생활할 수 있는 동물로 여겨질 수 있다. 배설물 흡수체(2)는 예를 들어, 모래, 자갈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애완동물의 배설물을 흡수할 수 있는 물체로도 형성될 수 있다.
배변 훈련 장치(100)는 지지부재(110) 및 수용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변 훈련에 따라 지지부에서 수용부재의 하면까지의 상하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지지부재(110)는 배설물이 수용부재(120)로 낙하할 수 있도록 배설물이 관통하는 홀(111)이 형성되고, 애완동물(1)에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부재(110)는 몸체(10)에 지지되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애완동물(1)이 지지부재(110)의 상면에 위치함에 따라 배변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는 지지부재(110)가 원형 플레이트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애완동물(1)이 지지부재(110)의 상면으로 올라가 배변활동을 할 수 있다면 지지부재(110)는 사각형 플레이트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재(120)는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도록, 지지부재(110)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수용부재는 몸체(10)의 배설물받이(12)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애완동물(1)의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2)는 지지부재(110)의 홀(111)을 관통함에 따라 수용부재(120)에 수용될 수 있다.
수용부재(120)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후술할 배변 훈련 방법에 따라 몸체(10)에 수용되는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를 증감시킴에 따라 수용부재(120)에 수용되는 배설물 흡수체(2)에 대한 인식을 줄이고 애완동물(1)이 배설물 흡수체(2) 확인을 생략하게 됨으로써, 수용부재(120)에 배설물 흡수체(2)를 수용하지 않아도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유도할 수 있다.
몸체에 수용되는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만 연장되므로 배설물 흡수체(2)의 양이나 수용부재(120)의 넓이가 줄어들지 않으므로 애완동물(1)이 받는 스트레스가 적을 수 있다.
이외에도, 수용부재(120)에는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126)가 형성될 수 있어, 애완동물(1)이 특성에 의해 배변활동 후 배설물 흡수체(2)를 애완동물(1)이 발로 움직일 경우, 배설물이 개구부(126)를 통해 배설물받이(12)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용부재(120)는 측벽(122) 및 하면(124)을 포함할 수 있다. 측벽(122)에는 개구부(126)가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26)는 하면(124)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하면(124)은 매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어 배설물이 묻은 배설물 흡수체(2)가 잘 마를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배설물 중 오줌은 매쉬 형상으로 형성된 수용부재(120)의 하면(124)을 통해 배설물받이(12)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로 형성된 배변 훈련 장치(110)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의 수용부재(120)는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수용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지지부재에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가 복수의 수용부재(120) 중 어느 하나가 지지부재(110)에 체결됨에 따라 배변 훈련 장치(100)는 상하 길이가 서로 다른 제1 배변 훈련 장치(100a), 제2 배변 훈련 장치(100b), 제3 배변 훈련 장치(100c) 및 제4 배변 훈련 장치(100d)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어 몸체(10)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할 배변 훈련 장치(100)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에 따라 기존에 몸체(10)에 수용된 수용부재를 다른 수용부재로 교체함에 따라 몸체(10)에 수용되는 수용부재(120)의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길이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는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하 방향으로 형성된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조절 가능하도록 지지부재(110) 및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복수의 연결부재(130)가 지지부재(110) 및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30)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가 증가되고,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에 위치하는 연결부재(130)의 수가 감소함에 따라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훈련 장치(100)은 2개의 연결부재(130)를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될 수도 있고, 연결부재(130) 없이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만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 상세한 예시로, 지지부재(110)는 지지몸체부 및 맞물림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몸체부는 맞물림부(112)보다 상측에 배치되어 홀(111)이 형성되고, 맞물림부(112)는 지지몸체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지지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지지몸체부의 둘레면과 다른 크기의 둘레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맞물림부(112)의 둘레면은 지지몸체부의 둘레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반대로 지지몸체부의 둘레면이 맞물림부의 둘레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재(130)가 복수의 연결부재(130)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면 또는 맞물림부(112)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연결부재(130)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부재(120)도 복수의 연결부재(130)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면 또는 맞물림부(112)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수용부재(120)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 형성된 연결부재(130)의 상단의 내측면이 또 다른 연결부재(130)의 하단 둘레면에 접촉되어 복수의 연결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고, 연결부재(130)의 상단 내측면이 맞물림부(112)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연결부재(130)와 지지부재(110)와 결합될 수 있고, 단차 형성된 수용부재(120)의 상단 내측면이 맞물림부(112)의 둘레면에 접촉되어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고, 수용부재(120)의 상단 내측면이 연결부재(130)의 하단 둘레면에 접촉되어 연결부재(130)와 수용부재(120)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30)의 홀의 폭은 지지부재(110)의 홀(111) 폭과 동일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폭은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는 상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신축조절부(128)가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20)는 자바라 방식으로 형성된 신축조절부(128)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신축조절부(128)는 신축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상하 길이가 증감됨에 따라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가 증감될 수 있다.
신축조절부(128)의 길이가 증가될 경우,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고, 신축조절부(128)의 길이가 감소될 경우,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가 감소될 수 있다.
위 경우, 몸체(10)로 배설물을 배출하기 위한 개구부(126)는 신축조절부(128)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는 슬라이드 방식으로 상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부재(120)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길이조절부(210, 220, 230)는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가 감소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어 상호 포개지거나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가 증가하도록 서로에 대해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길이조절부 중 좌우 방향으로 형성된 폭이 제일 작은 길이조절부는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2)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길이조절부(210, 220, 230)중 어느 하나가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수용부재(120)의 길이는 증가되고, 복수의 길이 조절부(210, 220, 230) 중 어느 하나가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될 경우, 수용부재(120)의 길이는 감소될 수 있다.
복수의 길이 조절부는 제1 길이조절부(210), 제2 길이조절부(220), 제3 길이조절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길이조절부(210)는 지지부재(110)에 연결되고, 제2 길이 조절부(220)는 제1 길이 조절부(21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고, 제3 길이 조절부(230)는 제2 길이 조절부(220)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3 길이 조절부(230)에는 배설물, 모래(2) 및 자갈 중 어느 하나가 수용될 수 있으며, 제3 길이 조절부(230)의 하면(124)은 매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만약, 제3 길이 조절부(230)가 없다면 제2 길이 조절부(220)의 하면이 매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길이 조절부(210)는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걸림부(212)는 제1 길이조절부(210)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길이 조절부(220)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제1 길이조절부(210)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지지부재(110) 및 제1 걸림부(212)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부(222)와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부(224)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슬라이드부(222)는 제2 길이조절부(22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될 수 있고, 제1 길이조절부(210)의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제2 걸림부(224)도 제2 길이조절부(220)의 내주연을 따라 돌출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슬라이드부(22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2 길이 조절부(220)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제3 길이조절부(230)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제2 길이조절부(220)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지지부재(110) 및 제2 걸림부(224)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제2 슬라이드부(23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슬라이드부(232)는 제3 길이조절부(230)의 외주연을 따라 돌출될 수 있고, 제2 길이조절부(220)의 내주연에 접촉됨에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슬라이드부(232)의 상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제3 길이조절부(230)가 상하 슬라이드 이동될 수 있다.
이하,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7을 참고해보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은 배변 훈련 장치(100)를 몸체(10)에 수용하는 단계(S100),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 배변 훈련 장치(100)에 상기 배설물 흡수체(2)를 미 수용하는 단계(S300) 및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변 훈련 장치(100)를 몸체(10)에 수용하는 단계(S100)는 배설물 흡수체(2)가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100)의 적어도 일부를 몸체(10)에 수용하는 단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완동물(1)은 배설물 흡수체(2)가 있어야 배변 활동을 한다. 따라서, 수용부재(120)에 배설물 흡수체(2)를 구비하여 몸체(10)에 수용함에 따라 배변 훈련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 흡수체(2)는 애완동물(1)이 좋아하는 풍성한 모래 및 자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에 따라 애완동물(1)에게 배변 훈련 장치 사용의 만족감을 줄 수 있다.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앞서 몸체(10)에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100)에 애완동물(1)의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2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또한,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애완동물(1)이 발로 배설물 흡수체(2)를 미접촉할 때까지 배변 훈련 장치(12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배변 훈련 장치(120)의 길이는 한번에 애완동물(1)의 발이 미 첩촉되도록 상하 길이를 증가시킬 수도 있지만,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설물이 수용되어 있는지 여부를 매번 배변 훈련 장치(120)의 길이가 증가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배설물 흡수체(2)를 미 수용하는 단계(S30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킨 후에도 배변 훈련 장치(12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설물 흡수체(2)를 미 수용하는 단계이다. 즉, 배변 훈련 장치(120)의 길이 증가에 따라 애완동물(1)의 발이 배설물 흡수체(2)에 접촉되지 않거나, 접촉하는 것이 힘들어지더라도 애완동물(1)이 배변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단계이다.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는 배설물 흡수체(2)가 미 수용된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이는, 배변 훈련 장치(100)에서 배설물 흡추체(2)를 제거하더라도 애완동물(1)이 배변 활동을 원활하게 수행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단계이다.
또한,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가 증가시킴에 따라 애완동물(1)의 배설물 흡수체(2)에 대한 인식을 점진적으로 줄여 최종적으로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설물 흡수체(2)가 수용되지 않아도 애완동물(1)이 배변 훈련 장치(100)에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배설물 흡수체(2)의 양이나 배변 훈련 장치(100)의 넓이가 줄어들지 않으면서 훈련이 진행되므로 고양이가 받는 스트레스가 적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배변 훈련 장치(100)는 제1 내지 제4 실시예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수용부재(120)가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되어 복수의 수용부재(120) 중 어느 하나가 지지부재(110)에 채결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몸체(10)에 수용된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큰 상하 길이로 형성된 수용부재를 지지부재(110)에 채결하는 단계이다.
또한, 제1 실시예에 따라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는 몸체(10)에 수용된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보다 작은 상하 길이로 형성된 수용부재를 지지부재(110)에 채결하는 단계이다.
제2 실시예와 같이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 가능하도록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지지부재(110) 및 수용부재(120) 사이에 연결부재(130)를 배치시켜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지지부재(110)와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되는 연결부재(130)의 개수에 많을 수록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이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수용부재(120)에 배설물이 수용되어 있지 여부를 매번 연결부재(130)의 수가 증가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는 지지부재(110) 및 수용부재(120) 사이에 배치된 연결부재(130)를 제거하여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제3 실시예와 같이, 수용부재(120)가 자바라 방식으로 형성된 신축조절부(128)를 포함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신축조절부(128)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켜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이다. 이때, 신축조절부(128)의 길이는 단계적으로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에서는 수용부재(120)에 배설물이 수용되어 있지 여부를 매번 신축조절부(128)의 상하 길이가 증가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는 신축조절부(128)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켜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이다. 이 경우에도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에서는 수용부재(120)에 배설물이 수용되어 있지 여부를 매번 신축조절부(128)의 상하 길이가 감소될 때마다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 실시예와 같이 수용부재(120)가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210, 220, 230)로 형성될 경우, 배변 훈련 장치(100)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S200)는 복수의 길이조절부(210, 220, 230) 중 적어도 하나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길이조절부가 제1 내지 제3 길이 조절부(210, 220, 230)를 포함할 경우, 제3 길이 조절부(23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제2 길이조절부(220)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동된 후에도 애완동물(1)의 배변활동에 따라 제3 길이조절부(23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제3 길이조절부(230)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수용부재(120)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위와 달리, 수용부재(120)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3 길이조절부(230)를 먼저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제2 길이조절부(220)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배변 훈련 장치(100)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S400)는 복수의 길이 조절부(210, 220, 230) 중 적어도 하나를 하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제3 길이조절부(23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제2 길이조절부(220)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이동 후 애완동물(1)의 배변 활동에 따라 제3 길이조절부(230)에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제3 길이조절부(230)를 상측 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용부재(120)의 길이를 감소시킬 수 있다.
위와 달리, 수용부재(120)의 길이를 증가시키기 위해 제3 길이조절부(230)를 먼저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킨 후 제2 길이조절부(220)를 상측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애완동물 2: 모래
10: 몸체 12: 배설물 받이
100: 배변통 110: 지지부재
111: 지지부재의 홀 112: 맞물림부
120: 수용부재 122: 측벽
124: 하면 126: 개구부
128: 신축조절부 130: 연결부재
210: 제1 길이조절부 212: 제1 걸림부
220: 제2 길이조절부 222: 제1 슬라이드부
224: 제2 걸림부 230: 제3 길이조절부
232: 제2 슬라이드부

Claims (13)

  1.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애완동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및
    상기 배설물 및 배설물 흡수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지지부재의 하측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의 길이가 증감될 수 있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배변 훈련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에는 상기 배설물이 배출되도록 적어도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하면 및 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상기 배설물, 배설물 흡수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하기 위한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하면은 매쉬 형상으로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의 상기 수용부재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상기 지지부재에 체결되고,
    상기 복수의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는 서로 다르게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관통할 수 있는 홀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수용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배변 훈련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는,
    지지몸체부, 및
    상기 지지몸체부의 하면 형상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되 상기 지지몸체부의 둘레면과 다른 크기의 둘레면을 포함하는 맞물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중 다른 연결부재의 하단 둘레면 또는 상기 맞물림부의 둘레면에 결합되도록,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된 상단을 가지는,
    상기 수용부재가 상기 복수의 연결부재 중 어느 하나의 하단 둘레면 또는 상기 맞물림부의 둘레면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도록 상기 수용부재의 상단은 외측 방향으로 단차되도록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자바라 방식으로 상하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구성된 신축조절부를 포함하고,
    상기 신축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신장될 경우, 상기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신축조절부가 상하 방향으로 축소될 경우, 상기 수용부재의 상하 길이가 감소되는,
    배변 훈련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재는 서로에 대해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복수의 길이조절부로 형성되는,
    배변 훈련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길이 조절부는
    상기 지지부재에 연결되는 제1 길이조절부; 및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내측면을 따라 상하 슬라이드 이동되는 제2 길이조절부를 포함하는,
    배변 훈련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길이조절부는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1 걸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길이조절부는
    외측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제1 길이 조절부의 내측면에 접촉됨에 따라 상기 지지부재 및 상기 제1 걸림부 사이에서 상하 이동되는 제1 슬라이드부; 및
    내측면에서 돌출 형성된 제2 걸림부를 포함하고,
    배변 훈련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에 있어서,
    배설물 흡수체가 수용된 상기 배변 훈련 장치에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킨 후에도 상기 배변 훈련 장치에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배변 훈련 장치로부터 상기 배설물 흡수체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배설물 흡수체가 제거된 상기 배변 훈련 장치에 상기 애완동물의 배설물이 수용될 경우,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는
    상기 애완동물이 발로 상기 배설물 흡수체를 미접촉할 때까지 상기 배변 훈련 장치의 상하 길이를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변 훈련 장치를 이용한 배변 훈련 방법.
KR1020200074516A 2020-06-18 2020-06-18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KR1022487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16A KR102248749B1 (ko) 2020-06-18 2020-06-18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PCT/KR2021/007354 WO2021256786A1 (ko) 2020-06-18 2021-06-11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4516A KR102248749B1 (ko) 2020-06-18 2020-06-18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8749B1 true KR102248749B1 (ko) 2021-05-07

Family

ID=75916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4516A KR102248749B1 (ko) 2020-06-18 2020-06-18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48749B1 (ko)
WO (1) WO20212567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86A1 (ko) * 2020-06-18 2021-12-23 황명진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KR102619188B1 (ko) * 2023-01-30 2023-12-27 황명진 배변 훈련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789B2 (ko) * 1980-06-17 1988-05-13 Iseki Agricult Mach
CN201178625Y (zh) * 2007-11-26 2009-01-14 毕荣华 宠物用马桶培训箱
KR101586384B1 (ko) * 2015-06-25 2016-01-19 권오서 고양이용 변기시트
KR20180136178A (ko) 2017-06-14 2018-12-24 유도훈 고양이용 용변기구
JP6656205B2 (ja) * 2017-05-22 2020-03-04 進展工業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424311A4 (en) * 2016-03-01 2019-04-10 Daiki Co., Ltd. BATHROOM
KR102248749B1 (ko) * 2020-06-18 2021-05-07 황명진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2789B2 (ko) * 1980-06-17 1988-05-13 Iseki Agricult Mach
CN201178625Y (zh) * 2007-11-26 2009-01-14 毕荣华 宠物用马桶培训箱
KR101586384B1 (ko) * 2015-06-25 2016-01-19 권오서 고양이용 변기시트
JP6656205B2 (ja) * 2017-05-22 2020-03-04 進展工業株式会社 ペット用トイレ
KR20180136178A (ko) 2017-06-14 2018-12-24 유도훈 고양이용 용변기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56786A1 (ko) * 2020-06-18 2021-12-23 황명진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KR102619188B1 (ko) * 2023-01-30 2023-12-27 황명진 배변 훈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256786A1 (ko) 2021-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49B1 (ko) 배변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EP1879446B1 (en) Animal toileting system and method
US20130298840A1 (en) Pet urinal
US20070283895A1 (en) Portable toilet
US11044886B2 (en) Cat litter box mat
AU2018316342A1 (en) Cat litter box
US4294195A (en) Hog farrowing module
WO2021095306A1 (ja) 動物用トイレ
NL2007691C2 (nl) Veestal met mestkelder.
WO1993019588A1 (en) Hog pen flooring
NL2019898B1 (en) Underlayment for dampening a top floor.
WO2021220572A1 (ja) 動物用トイレ
KR100583375B1 (ko) 애완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KR102619188B1 (ko) 배변 훈련 장치
JP4510684B2 (ja) 愛玩動物用トイレ
NL1018903C2 (nl) Stalvloer.
TWI655899B (zh) High bed breeding sewage channel
CN113133413B (zh) 一种兔用养殖系统
KR100692181B1 (ko) 축분 발효축사
US20200045928A1 (en) Pet potty pod
KR20210001656U (ko) 반려견 화장실
KR20210103335A (ko) 배변이끼판
KR20030053483A (ko) 애완동물용 용변기
NL2025642B1 (nl) Zelfreinigende vloer voor een stal
KR20230143425A (ko) 반려동물 화장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