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858B1 - 피하주사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피하주사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858B1
KR102247858B1 KR1020190121985A KR20190121985A KR102247858B1 KR 102247858 B1 KR102247858 B1 KR 102247858B1 KR 1020190121985 A KR1020190121985 A KR 1020190121985A KR 20190121985 A KR20190121985 A KR 20190121985A KR 102247858 B1 KR102247858 B1 KR 102247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upport
injection
skin
pat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581A (ko
Inventor
김용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화메디텍
Priority to KR1020190121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858B1/ko
Publication of KR20210039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62Needle sets, i.e. connections by puncture between reservoir and tube ; Connections between reservoir and tube
    • A61M5/1626Needle protecto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05Apparatus for removing or disposing of used needles or syringes, e.g. containers; 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from used needles
    • A61M5/321Means for protection against accidental injuries by used need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42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having means for desensitising skin, for protruding skin to facilitate piercing, or for 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 A61M5/427Locating point where body is to be pierced, e.g. vein location means using ultrasonic waves, injection site temp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5Needle inser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6Holding accessories for holding infusion needles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58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 A61M2005/1587Needles for infusions; Accessories therefor, e.g. for inserting infusion needles, or for holding them on the body suitable for being connected to an infusion line after insertion into a pati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61M2039/1066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having protection means, e.g. sliding sleeve to protect connector itself, shrouds to protect a needle present in the connector, protective housing, isolating shea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하주사 시 사용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편하면서 정확한 각도로 주사바늘을 환자에게 삽입할 수 있게 보조하고,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환자의 피부에서 제거할 때, 주사수단(예들 들어,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환자의 피부에서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제거할 때, 고정 테이프의 전방 선단 부분이 전방 이형지에 의해 환자 피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고정 테이프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주사수단(예들 들어,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고정 테이프와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일거에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피하주사용 커넥터{connector for assisting subcutaneous injection}
본 발명은 피하 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사수단과 약액공급튜브를 연결하고 환자의 피하주사 부위에 정확한 각도로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주사바늘과 같은 주사수단을 찌를 수 있도록 보조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환자에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환자의 피부에서 제거할 때, 주사수단(예들 들어,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된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인체 내부로 항생제, 진통제나 항암제와 같은 약액이나 혈액 등을 공급할 때, 약액주입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약액주입장치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약액을 공급할 때, 약액이 주입되기 전에는 약액공급튜브 말단을 엔드캡으로 막아 놓았다가 약액을 주입할 때는 엔드캡을 제거한 후 인체로 직접 연결되는 부재, 예를 들면, 카테터나 주사바늘의 입구를 약액공급튜브의 끝단과 연결하여 사용한다.
환자에게 약액을 피하주사할 때에는 약액공급튜브의 끝단과 연결된 주사바늘을 환자의 피부에 대해 일정한 각도로 깊숙이 찔러야 한다. 환자에게 약액을 피하주사할 때, 환자 피부에 대해 일정한 각도, 예를 들어, 대략 45°각도로 피부 깊숙이 주사바늘을 찔러야 주사바늘이 쉽게 이탈하지 않고 약액이 피하로 잘 주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피하주사 시 주사바늘을 일정 각도로 유지하며 환자에게 찌르는 작업은 의료진의 경험과 숙련도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다. 피하주사 시 주사바늘을 환자의 피부에 대해 얕게 찌르면 환자 피부로부터 주사바늘이 이탈하게 되고 너무 깊숙이 주사바늘을 찌르면 환자에게 고통을 준다. 피하주사 시 의료진이 주사바늘과 같은 주사수단을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환자의 피부에 찌를 수 있도록 도와 주는 보조 수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발명의 출원인은 피하주사 시 주사수단과 약액공급튜브를 연결하고 간편하면서 정확하게 주사수단을 환자의 피부에 찌를 수 있도록 보조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개발하여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58772호로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8-0058772호의 피하주사용 커넥터가 우수한 기술임에도 다른 우수한 기술과 마찬가지로 끊임없는 개선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종래기술은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피부에 고정하기 위한 접착 테이프가 피부에 밀착(즉, 단단히 부착)되어 있어,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커넥터와 함께 접착 테이프를 피부로부터 떼어내기 어렵다. 특히, 주사바늘이 장착된 커넥터를 잡고 바로 피부로부터 떼어내면 커넥터에 장착된 주사바늘에 환자나 의료진이 찔릴 위험이 있어 조심스럽게 접착 테이프를 떠어내고 커넥터를 제거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기술은 접착 테이프를 피부에 붙인 다음, 접착 테이프 상에 고정된 클램프 내에 커넥터 본체를 끼우는 방식도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커넥터 본체를 클램프 내에 인입시킨 후 클램프의 고정 장치를 회전시켜 커넥터 본체를 고정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커넥터 본체 고정작업은 불편하고, 환자 피부에 쿠션이 있기 때문에 클램프의 고정 장치를 회전시킨 후 클램프에 커넥터 본체를 결합시키기 위해 억지로 힘을 가하면 환자의 피부에 통증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한편,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선행 기술"로서 이용될 수 있다는 승인으로서 인용한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62930호 (2000.08.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07593호 (2005.08.10)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피하주사용 커넥터가 가진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피하주사 시 사용자의 숙련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편하면서 정확한 각도로 주사바늘을 환자에게 삽입할 수 있게 보조하고,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환자의 피부에서 제거할 때, 주사수단(예들 들어,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고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된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하주사 시 환자의 피부에 대해 주사수단의 고정이 용이하고 환자의 피부로부터 주사수단의 이탈을 방지하는 구조를 가진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들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주사수단과 약액공급튜브를 연결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로서,
환자의 피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대; 일측 선단에 상기 주사수단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에 상기 약액 공급튜브가 연결되며, 상기 주사수단이 환자의 피부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 상면에 상기 지지대를 부착하고, 저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피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 및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영역의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의 저면에 부착된 전방 이형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에 대한 상기 주사수단의 각도는 0° 보다는 크고 90° 보다는 작은 각도이고, 예를 들어 대략 4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지지대는, 저면이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중심축이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결합구멍을 가진 슬리브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주사수단이 결합되는 주사수단 결합부와, 상기 지지대의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와, 상기 주사수단 결합부가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주사수단 결합부를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는, 상기 커넥터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의 내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홈과, 상기 지지대 결합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의 홈에 맞물려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부가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결합구멍의 외측 선단 벽면에 걸려서 상기 지지대 결합부를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은 주사수단 결합부가 지지부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있으므로 주사수단 결합부에 연결된 주사바늘도 항상 정해진 일정한 각도로 환자의 피부에 주사할 수 있어 사용하기 편리하며, 피하주사를 안정적으로 주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환자에 피하주사를 완료한 후, 환자의 피부에서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제거할 때, 고정 테이프의 전방 선단 부분이 전방 이형지에 의해 환자 피부에 부착되어 있지 않으므로, 이러한 고정 테이프가 부착되지 않은 부분에서 고정 테이프를 쉽게 제거할 수 있어, 주사수단(예들 들어, 주사바늘)에 찔리지 않으면서 간편하게 고정 테이프와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일거에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은 효과들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의 결합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위에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길이방향 결합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결합 장착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주사수단을 결합하고, 피부에 부착하여 환자에 피하주사를 주사한 후,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피부에서 떼어내기 위하여 검지와 중지 사이에 커넥터부의 연결부를 끼우고 전방 이형지를 들어 올리는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피하주사용 커넥터에 주사수단을 결합하고, 피부에 부착하여 환자에 피하주사를 주사한 후,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피부에서 떼어내기 위하여 검지와 중지 사이에 커넥터부의 연결부를 끼우고 전방 이형지를 들어 올리는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화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거나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것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자의 피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대(50); 일측 선단에 주사수단(80)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에 약액 공급튜브(도시 생략함)가 연결되며, 상기 주사수단(80)이 환자의 피부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50)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60); 상면에 상기 지지대(50)를 부착하고, 저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대(50)를 피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10); 및 상기 고정 테이프(10)의 점착층을 덮어서 보호하기 위한 보호 시트(40)로서 고정 테이프(10)의 점착층 위에 제거가능하게 부착된 보호 시트(40)를 포함한다.
보호 시트(40)는 단일의 시트로 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고정 테이프(10)의 점착층을 절반씩 덮어주도록 2개의 보호시트편(40a, 40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각 보호시트편(40a, 40b)은 손으로 잡고 고정 테이프(10)에서 분리할 수 있도록 일부를 접어서 손잡이부(41a, 41b)를 형성할 수 있다(도 1 참조).
도 1,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하주사 후 고정 테이프(10)의 제거가 용이하도록 고정 테이프(10)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11)의 저면에는 전방 이형지(30)가 부착되어 있다. 전방 이형지(30)는 고정 테이프(10)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11)를 따라 일정한 영역에서 고정 테이프(10)가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비접착부(U)를 형성한다.
커넥터부(60)는, 전방 선단에 주사수단(80)이 결합되는 주사수단 결합부(62)를 구비하고, 후방 선단에는 주사수단 결합부(62)에 결합된 주사수단(80)의 내부통로와 연통되도록 약액 공급튜브의 일단이 결합되는 약액공급튜브 연결부(61)를 구비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수단 결합부(62)에는 주사수단(80)이 길이방향으로 결합되고, 주사수단 결합부(62)의 외측에는 조임너트(70)가 제공된다. 주사수단(80)을 주사수단 결합부(62)에 결합시키고, 조임너트(70)를 돌려서 주사수단(80)의 결합돌기를 조임으로써 내부에 장착된 주사수단(80)을 견고하게 조여서 고정하게 된다. 약액 공급튜브 연결부(61)에는 약액 공급튜브(도시생략)가 결합된다.
도 1,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50)는 양면 테이프(20)를 이용하여 (또는 초음파 접착 등의 공지의 접착 기술을 이용하여) 고정 테이프(10)의 상면(12)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51)와, 중심축이 베이스부(51)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결합구멍(53)을 가진 슬리브부(52)를 포함한다. 슬리브부(52)는 베이스부(51)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분리된 별개의 부품들로 구성하여 서로 조립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의 내벽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54a, 54b)이 형성된다. 여기서,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에는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가 끼워져 결합된다.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는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의 홈(54a, 54b)에 맞물려 결합되는 복수의 레그(65a, 65b)를 포함한다.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를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에 결합할 때, 지지대 결합부(64)의 레그(65a, 65b)가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의 홈(54a, 54b)에 맞물려 결합됨으로써,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 궁극적으로는 커넥터부(60)가 지지대(50)에 대하여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레그(65a, 65b)의 선단에는 후크(66a, 66b)가 구비된다.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가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후크(66a, 66b)는 결합구멍(53)의 외측 선단 벽면에 걸려서 지지대 결합부(64)를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결합 장착하는 과정을 도 1,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커넥터부와 지지대가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b는 도 6a의 지지대에 커넥터부를 일부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c는 도 6b의 상태에서 커넥터부를 지지대에 완전히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손잡이부(41a, 41b)를 잡고 보호시트편(40a, 40b)을 고정 테이프(10)의 저면에서 제거하여, 노출된 고정 테이프(10)의 저면(점착층)을 피부에 부착시킨다(도 6a). 이 때,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테이프(10)의 전방 가장자리(11)의 저면에는 전방 이형지(30)가 부착되어 있으므로, 고정 테이프(10)는 전방 가장자리(11)의 비접착부(U)에서는 피부에 접착되지 않고 떨어져 있게 된다.
이어서, 커넥터부(60)의 지지대 결합부(64)를 지지대(50)의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안으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한다(도 6b). 이 때, 지지대 결합부(64)의 레그(65a, 65b)가 슬리브부(52)의 결합구멍(53)의 홈(54a, 54b)에 결합되도록 하면서 레그(65a, 65b)의 후크(66a, 66b)가 결합구멍(53)을 통과하여 선단면에 고정될 때까지 밀어넣는다(도 6c).
이와 같이, 주사수단(80)이 결합되는 주사수단 결합부(62)와 환자피부(S)에 고정되는 지지대(50)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기 때문에, 지지대(50)를 환자 피부(S)에 고정 테이프(10)로 고정하면 주사수단 결합부(62)는 환자 피부(S)에 대하여 자연스럽게 소정 각도를 유지하게 되고, 이 상태로 주사수단 결합부(62)에 결합된 주사수단(80)을 소정 각도로 정확하게 피하에 주사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피하 주사를 하고 나면, 환자 피부에 부착된 본 발명의 일 구체예의 피하주사용 커넥터를 아래와 같은 순서와 방법으로 제거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검지(f1)와 중지(f2)를 약간 벌어지게 한 상태에서,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커넥터부(60)의 연결부(63)가 배치되게 하고, 검지(f1)와 중지(f2)를 환자의 피부에 부착된 피하주사용 커넥터의 커넥터부(60)의 아래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리고 나서, 고정 테이프(10)의 전방 가장자리(11)의 저면에 부착된 전방 이형지(30)를 검지(f1)와 중지(f2)로 들어 올린다. 검지(f1)와 중지(f2)를 이용하여 고정 테이프(10)의 전방 가장자리(11)의 비접착부(U)부터 고정 테이프(10)를 분리하기 시작하고, 검지(f1)와 중지(f2)를 도 8의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 테이프(10)와 피하주사용 커넥터 및 주사수단(80)을 환자의 피부로부터 일거에 제거한다.
이와 같이, 커넥터부의 연결부(63)를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끼우면서 고정 테이프(10)를 떼어내면 고정 테이프(10)를 제거하기가 용이하면서도 검지(f1)와 중지(f2) 사이에 주사바늘(80)이 장착된 커넥터부(60)를 끼워서 안정되게 고정 테이프(10)와 피하주사용 커넥터 및 주사수단(80)을 일거에 제거할 수 있으므로 주사바늘에 찔릴 위험이 줄어들고 사용이 간편한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구체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 변경을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정과 변경 또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 고정 테이프 11: 고정 테이프의 전방 가장자리
12: 상면 U: 비접착부
20: 양면 테이프 30: 전방 이형지
40: 보호 시트 40a, 40b: 보호시트편
41a, 41b: 손잡이부 50: 지지대
51: 베이스부 52: 슬리브부
53: 결합구멍 54a, 54b: 홈
60: 커넥터부 61: 약액 공급튜브 연결부
62: 주사수단 결합부 63: 연결부
64: 지지대 결합부 65a, 65b: 레그
66a, 66b: 후크 70: 조임 너트
80: 주사 수단 S: 환자의 피부
f1: 검지 f2: 중지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주사수단과 약액공급튜브를 연결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로서,
    환자의 피부에 대하여 고정되는 지지대;
    일측 선단에 상기 주사수단이 탈착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 선단에 상기 약액 공급튜브가 연결되며, 상기 주사수단이 환자의 피부를 향하여 일정한 각도를 유지하도록 상기 지지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넥터부; 및
    상면에 상기 지지대를 부착하고, 저면에 점착층을 구비하여 환자의 피부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지지대를 피부에 대하여 고정하는 고정 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저면이 상기 고정 테이프의 상면에 부착되어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중심축이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진 결합구멍을 가진 슬리브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부는, 상기 주사수단이 결합되는 주사수단 결합부와, 상기 지지대의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대 결합부와, 상기 주사수단 결합부가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상기 주사수단 결합부를 상기 지지대 결합부에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부를 상기 지지대에 대하여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회전 방지 수단을 더 구비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방지 수단은,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의 내벽에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홈과, 상기 지지대 결합부의 외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의 홈에 맞물려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레그를 포함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레그의 선단에는, 상기 지지대 결합부가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 완전히 결합하였을 때, 상기 결합구멍의 외측 선단 벽면에 걸려서 상기 지지대 결합부를 상기 슬리브부의 결합구멍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후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를 따라 일정한 영역의 피부에 부착되지 않는 비접착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고정 테이프의 길이방향 전방 가장자리의 저면에 부착된 전방 이형지를 더 포함하는, 피하주사용 커넥터.
KR1020190121985A 2019-10-02 2019-10-02 피하주사용 커넥터 KR102247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85A KR102247858B1 (ko) 2019-10-02 2019-10-02 피하주사용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985A KR102247858B1 (ko) 2019-10-02 2019-10-02 피하주사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81A KR20210039581A (ko) 2021-04-12
KR102247858B1 true KR102247858B1 (ko) 2021-05-04

Family

ID=75439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985A KR102247858B1 (ko) 2019-10-02 2019-10-02 피하주사용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8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25B1 (ko) 2014-12-26 2015-05-12 최형찬 혈관 접속용 기구 고정장치
KR101830593B1 (ko) 2017-01-09 2018-02-21 최형찬 카테터 안전 고정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00026A (en) * 1973-11-19 1975-08-19 William H Wagner Device for holding and protecting intravenous injection needles
US6837875B1 (en) * 1993-03-19 2005-01-04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KR970000982A (ko) * 1995-06-13 1997-01-21 한승준 자동차용 페달의 충격흡수 구조
KR100262930B1 (ko) 1997-06-19 2000-08-01 이영규 의약품주입기
KR100507593B1 (ko) 2002-02-08 2005-08-10 주식회사 이화양행 액체공급장치
US7524307B2 (en) * 2004-06-28 2009-04-28 Perry Ventures, Inc. Adhesive tape for an intravascular cathet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8225B1 (ko) 2014-12-26 2015-05-12 최형찬 혈관 접속용 기구 고정장치
KR101830593B1 (ko) 2017-01-09 2018-02-21 최형찬 카테터 안전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581A (ko) 2021-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973565A (en) Winged cannula with skin securing means
RU2447907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ливания
US3330278A (en) Hypodermic needle for a cannula placement unit
JP5085152B2 (ja) 直立型挿入安全注入セット
US4380234A (en) Infusion needle attachment
JP3579056B2 (ja) 保護装置
US7214215B2 (en) Puncture device with a flexible catheter tube for connecting to a medical infusion line
US20040143216A1 (en) Adapter connector for an infusion set and inserter system
JP2008508962A (ja) 医療又は薬学用途用の挿入ヘッド
KR200491366Y1 (ko) Iv 카테터 고정부재
US10842940B1 (en) Adhesive thumb ring and syringe assembly, and an adhesive thumb ring for a syringe
JPH067441A (ja) 輸液針
KR102247858B1 (ko) 피하주사용 커넥터
CN211659007U (zh) 一种连续神经丛阻滞套件
US6197006B1 (en) Syringe handle
JP6960686B2 (ja) 液体投与具
JP6842102B2 (ja) 液体投与具
CN211187292U (zh) 一种新型头皮针式静脉采血针
CN105498032B (zh) 一种穿刺式连接件专用输液针
JP2019072234A (ja) 皮内注射用補助具
CN105498031B (zh) 一种输液针
KR200195392Y1 (ko) 나비 손잡이를 갖는 안전주사기
CN105498030B (zh) 一种一次性使用输液针
CN205598342U (zh) 一种连接式输液针
KR200245064Y1 (ko) 나비손잡이를 갖는 안전주사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