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717B1 - 우산 보관함 - Google Patents

우산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717B1
KR102247717B1 KR1020200146266A KR20200146266A KR102247717B1 KR 102247717 B1 KR102247717 B1 KR 102247717B1 KR 1020200146266 A KR1020200146266 A KR 1020200146266A KR 20200146266 A KR20200146266 A KR 20200146266A KR 102247717 B1 KR102247717 B1 KR 102247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box
umbrella storage
umbrella
pai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46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김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지영 filed Critical 김지영
Priority to KR1020200146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7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7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BWALKING STICKS; UMBRELLAS; LADIES' OR LIKE FANS
    • A45B25/00Details of umbrellas
    • A45B25/28Drip receptacles for umbrellas; Attaching devic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5/00Household implements used in connection with wearing apparel; Dress, hat or umbrella holders
    • A47G25/12Cane or umbrella stands or holders

Landscapes

  • Walking Sticks, Umbrellas, And F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판상의 전면부;판상의 후면부;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며, 폴딩이 가능한 한 쌍의 측면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바닥부;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커버부;상기 후면부에 연결된 손잡이부; 및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우산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우산 보관함.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우산 보관함{umbrella storage case}
본 발명은 우산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행정기관이나 금융기관, 학교와 같이 많은 사람들이 출입하게 되는 공공장소에서는 우천시에 많은 사람들이 사용한 우산에서 떨어지는 빗물로 인한 바닥의 오염과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출입구에 우산을 보관할 수 있는 우산 보관함을 마련하고 있다.
통상의 우산 보관함은 단순한 사각형 또는 원형의 함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우산 보관함은 사람들의 우산들이 뒤섞여 본인의 우산을 구분하기가 쉽지 않고, 상기 플라스틱통에 많은 우산이 수용될 경우, 무게중심이 일정하지 않아 쓰러지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8-2983호(2008년 07월 30일 공개)에는 사각형의 함체에 우산을 꽂을 수 있는 복수개의 홀이 다단 구조로 형성되어 있는 우산 보관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공개실용신안공보의 우산 보관함을 비롯한 기존의 우산 보관함은 조립식이 아닌 일체형이 대부분이며, 함체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므로 함체 설계 및 제작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함체와 우산 거치대의 분리가 불가능하거나 어려워 함체에 고인 빗물을 배출시키는데 어려움이 따르고, 사용자가 장우산 거치대와 단우산 거치대의 조합을 변경하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으며, 우산 보관함을 이동시키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미사용 시 보관이 용이하며,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판상의 전면부; 판상의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며, 폴딩이 가능한 한 쌍의 측면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바닥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커버부; 상기 후면부에 연결된 손잡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우산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는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접힌 경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펼쳐진 경우, 상기 측면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는 중앙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는 ,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중앙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물받이부를 더 포함하는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접힌 경우, 상기 바닥부는 상기 후면부의 전면에 보관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후면부의 후면에서 상기 손잡이부 사이 공간에 보관되는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부는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은 미사용 시 보관이 용이하며, 이동시키는 것이 용이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이 펼처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되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 방안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발명의 구성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근거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여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있더라도 동일 참조번호를 부여하였으며 당해 도면에 대한 설명 시 필요한 경우 다른 도면의 구성요소를 인용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이 펼처지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이 사용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를 설명하기 위한 배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에서, 커버부를 제거한 상태의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우산 보관함은 전면부(110), 후면부(120), 측면부(130), 바닥부(140), 손잡이부(150), 바퀴부(160), 커버부(170) 및 물받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전면부(110)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우산 보관함의 전면 측에 배치될 수 있다.
후면부(120)는 판상으로 구성되며, 우산 보관함의 후면 측에 배치되며, 전면부(110)에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측면부(130)는 한 쌍으로 구성되어 전면부(110)의 양 측면과 후면부(120)의 양측면 각각을 연결하며, 폴딩 가능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측면부(130)가 접힌 경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는 인접하게 맞닿을 수 있고, 측면부(130)가 펼쳐진 경우 전면부(110)와 후면부(120)가 상호 이격되어, 우산 보관함의 박스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를 통해, 우산 보관함을 사용 시에는 측면부(130)가 펼쳐져 박스 구조를 이루고, 우산 보관함을 비사용 시에는 측면부(130)가 접혀져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우산 보관함의 보관이 용이하다.
바닥부(14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및 측면부(13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우산 보관함의 박스 구조에서 바닥을 이룰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140)는 일측이 후면부(120)의 하단에 연결되며, 측면부(130)가 접히는 경우 기립되어 전면부(110)와 후면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바닥부(140)는 중앙 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141)을 포함하고, 배수홀(141)을 통해 우산(10)의 잔여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바닥부(140)는 측면에서 부터 중앙 영역까지 형성된 경사를 가질 수 있어, 배수가 용이할 수 있다.
손잡이부(150)는 후면부(120)의 후면 측에 배치되며, 다단으로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이로써 비사용 시에는 접혀져 있고, 사용 시에는 펼쳐져 길이가 연장될 수 있다.
바퀴부(160)는 후면부(120)의 하단에 연결되며, 회전축(161)과 회전축(161)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바퀴부(160)는 평지는 물론 계단과 같은 지형에서도 구동될 수 있다.
커버부(170)는 전면부(110), 후면부(120) 및 측면부(130)에 결합 및 분리될 수 있으며, 우산 보관함의 박스 구조에서 상단 커버를 수행할 수 있다.
커버부(170)는 복수의 삽입홀(171)이 형성되며, 삽입홀(171)을 따라 각각의 우산(10)이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다.
또한, 커버부(170)는 측면에서 돌출된 걸림돌기(172)를 포함하고, 걸림돌기(172)는 전면부(110)에 형성된 걸림홀(11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커버부(170)는 비사용시 전면부(110)에 고정되어 보관될 수 있다.
물받이부(180)는 바닥부(140)의 하부에서 중앙 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배수홀(141)을 통해 배수되는 물을 받아 보관할 수 있다.
또한, 물받이부(180)는 비사용 시 후면부(120)의 후면 측에서, 손잡이부(150)가 수용되는 돌출부 사이 공간에 배치되어 보관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우산
110 : 전면부
111 : 제1고정부
112 : 걸림홀
120 : 후면부
130 : 측면부
131 : 제2고정부
140 : 바닥부
141 : 배수홀
150 : 손잡이부
160 : 바퀴부
161 : 회전축
170 : 커버부
171 : 삽입홀
172 : 걸림돌기
180 : 물받이부

Claims (6)

  1. 판상의 전면부;
    판상의 후면부;
    상기 전면부와 상기 후면부를 연결하며, 폴딩이 가능한 한 쌍의 측면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바닥부;
    상기 전면부, 후면부, 측면부에서 결합 및 분리 가능한 커버부;
    상기 후면부에 연결된 손잡이부; 및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연결된 바퀴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우산이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삽입홀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접힌 경우, 상기 전면부와 후면부를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펼쳐진 경우, 상기 측면부가 접히는 것을 방지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는 중앙영역에 형성된 복수의 배수홀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의 하부에서 상기 배수홀이 형성된 중앙영역에 대응되도록 배치된 물받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측면부가 접힌 경우,
    상기 바닥부는 상기 후면부의 전면에 보관되고,
    상기 물받이부는 상기 후면부의 후면에서 상기 손잡이부 사이 공간에 보관되는 우산 보관함.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퀴부는 상기 후면부의 하단에 연결된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 이격되어 외부로 돌출된 복수의 연장부를 통해 연결된 복수의 바퀴를 포함하는 우산 보관함.
KR1020200146266A 2020-11-04 2020-11-04 우산 보관함 KR1022477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266A KR102247717B1 (ko) 2020-11-04 2020-11-04 우산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46266A KR102247717B1 (ko) 2020-11-04 2020-11-04 우산 보관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717B1 true KR102247717B1 (ko) 2021-05-03

Family

ID=7591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46266A KR102247717B1 (ko) 2020-11-04 2020-11-04 우산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7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421Y (zh) * 1998-08-14 1999-12-22 福炬股份有限公司 具载物篮的行李车
KR101080822B1 (ko) * 2009-09-03 2011-11-07 주식회사 성강 우산꽂이
CN205706750U (zh) * 2016-04-22 2016-11-23 韶关学院 一种运载车
KR101758629B1 (ko) * 2016-09-09 2017-07-17 주식회사 지나테크 우산 꽂이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354421Y (zh) * 1998-08-14 1999-12-22 福炬股份有限公司 具载物篮的行李车
KR101080822B1 (ko) * 2009-09-03 2011-11-07 주식회사 성강 우산꽂이
CN205706750U (zh) * 2016-04-22 2016-11-23 韶关学院 一种运载车
KR101758629B1 (ko) * 2016-09-09 2017-07-17 주식회사 지나테크 우산 꽂이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88681A (en) Foot apparel storage assembly
US4688685A (en) Rack assembly for elongated objects
EP0451012A1 (fr) Système de rayonnage à plateaux amovibles
US4328899A (en) Crockery and glassware stand
KR102247717B1 (ko) 우산 보관함
US20150351534A1 (en) Two-Tiered Boot Tray with Umbrella Drip Tray Stand
US10271710B2 (en) Drying rack
US20190298148A1 (en) Draining System for Wet Objects on Single and Multi Level Trays
KR101046420B1 (ko) 집단시설용 우산꽂이
GB2346392A (en) Foldable portable toilet cubicle
JP2001112349A (ja) 植木鉢用受皿
KR200185109Y1 (ko) 우산꽂이
KR200393189Y1 (ko) 우산 꽂이함
US20180340347A1 (en) Automatic instant tent frame
CN210077085U (zh) 一种日常生活用杂物收集存放装置
TWI802513B (zh) 植栽盆組(二)
KR200301349Y1 (ko) 신발 보관대
TWM651672U (zh) 可串接折疊式植栽箱及植栽盤
KR200334654Y1 (ko) 우산 꽂이대
KR200287200Y1 (ko) 우산 꽂이대
CN209808254U (zh) 一种酒店管理用多功能清洁推车
JPH0245439Y2 (ko)
KR20180002555U (ko) 우산꽂이
CN216338801U (zh) 一种公园专用路砖
FR2699725A1 (fr) Module unitaire de rangement, en particulier pour coffret de compact disque la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