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695B1 -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695B1
KR102247695B1 KR1020180064326A KR20180064326A KR102247695B1 KR 102247695 B1 KR102247695 B1 KR 102247695B1 KR 1020180064326 A KR1020180064326 A KR 1020180064326A KR 20180064326 A KR20180064326 A KR 20180064326A KR 102247695 B1 KR102247695 B1 KR 1022476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unit
user
intak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43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38147A (ko
Inventor
김동군
유제광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800643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695B1/ko
Publication of KR20190138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81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6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6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03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testing the shape, pattern, colour, size or movement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for diagnostic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섭취하는 음식을 촬영하여 입력하면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한 칼로리, 영양소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몸무게, 체중을 포함하는 체형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섭취 음식의 종류,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와 영양소를 추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섭취데이터로 출력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저장하고 누적되는 섭취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리스트화하며 날짜별로 기록하는 다이어리생성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와 체질량지수에 적합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하는 칼로리산출부; 상기 칼로리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분석부에서 추정된 섭취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에 대한 권장 섭취량을 안내하는 코칭설정부; 및 상기 분석부 및 다이어리생성부의 처리 결과와 코칭설정부의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Food diary device using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섭취하는 음식을 촬영하여 입력하면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한 칼로리, 영양소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한국인의 35%가 비만인구이고 미국의 50%가량은 비만으로 분류되고 있다. 그리고 서구유럽의 경우도 국가별로 차이는 있지만 50~60%정도가 비만인구로 분류되고 있다.
급기야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비만을 만병의 원인으로 규정할 만큼 심각한 상황이다. 이는 단지 비만으로만 그치지 않고 각종 병을 유발하는 에너지원으로 사용되어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우리나라도 비만인구가 급속도로 늘어나고 있어 국가차원에서 비만을 치료해주는 제도를 도입했다. 효율적인 다이어트를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정확한 분석이 중요한데 일반적으로 매일 자신의 체중증감 상황에 따라 체중분석 관리정보 및 식단관리정보와 운동량에 대한 체계적인 카운슬링을 받을 수 없는 상황에서 구체적인 목표나 프로그램도 없이 절식, 금식, 약물, 다이어트 식품 등으로 체중감량을 무리하게 시도하나 곧 여러가지 원인으로 도중에 포기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장시간 지속하는 무조건적인 절식과 금식은 건강을 해치고, 약물요법은 대상자가 제한적이며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으며 기타 다이어트 식품은 다이어트에 큰 효과가 없으며 간혹 금지약물이 포함되는 등 다양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97432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섭취하는 음식을 촬영하여 입력하면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한 칼로리, 영양소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는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몸무게, 체중을 포함하는 체형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섭취 음식의 종류,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와 영양소를 추정하고 이를 섭취데이터로 출력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저장하고 누적되는 섭취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리스트화하며 날짜별로 기록하는 다이어리생성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와 체질량지수에 적합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하는 칼로리산출부; 상기 칼로리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분석부에서 추정된 섭취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에 대한 권장 섭취량을 안내하는 코칭설정부; 및 상기 분석부 및 다이어리생성부의 처리 결과와 코칭설정부의 안내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하나의 예로써, 다종의 음식 종류와 음식 종류별 이미지, 음식 종류별 칼로리, 음식 종류별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는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저장된 다종의 음식 종류를 검색하도록 하며 검색된 하나의 음식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음식 종류를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선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음식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및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음식 사진 중 선택된 하나의 음식 사진을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업로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카메라부의 음식 사진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정보생성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음식 사진과, 상기 이미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와, 상기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전달받아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기간별, 음식종류별, 위치별, 계절별, 이벤트별로 분류하는 유형분류부; 상기 유형분류부에서 분류된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 및 외부의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 중 선택된 하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명령하는 정보제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정보제공부는, 일간, 주간, 월간 중 선택된 하나의 기간 단위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의 종류, 음식량, 칼로리와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초과 또는 미달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월간 단위를 달력으로 표시하되, 일별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칼로리의 초과 또는 미달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록 명령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상기 체형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를 통해 입력되며, 상기 칼로리산출부는 상기 체형정보에 있어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하고, 상기 표시부는 상기 칼로리산출부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하여 하루동안 누적되는 섭취 칼로리를 함께 표시하여 비교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나의 예로써,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식 사진과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기등록한 계정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상에 공유되도록 설정하는 공유설정부; 복수 사용자로부터 SNS상에 공유된 음식 사진에 대하여 추천을 입력하기 위한 추천입력부; 및 상기 추천입력부에서 입력된 추천수와 공유 조회수를 기록하고, 추천수 및 공유 조회수에 따라 기설정된 상위 랭크 결과를 안내하는 랭크결과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모바일 기기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실제 섭취하는 음식을 촬영하여 입력하면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한 칼로리, 영양소와 같은 다양한 정보들을 다이어리 형태로 제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형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사진 공유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의 모바일 앱 구현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의 기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유형별 데이터를 제공하는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식 사진 공유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의 모바일 앱 구현 화면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모바일 기기에서 실행되는 모바일 앱(App) 환경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입력부(100), 분석부(110), 다이어리생성부(120), 칼로리산출부(130), 코칭설정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사용자의 연령, 성별, 몸무게, 체중을 포함하는 체형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을 입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설정값을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앱 환경에서 사용자가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인터페이스(UI ; user interface)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인터페이스는 공지기술을 통해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입력부(100)를 통한 섭취 음식의 입력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된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음식 사진을 입력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직접 사용자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한 음식 중 하나일 수 있다.
일 예로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며 음식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200) 및 상기 카메라부(200)에서 촬영된 음식 사진 중 선택된 하나의 음식 사진을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100)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업로드부(21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한 이미지가 분석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부(200) 및 음식업로드부(210)의 구성을 통한 입력방법은 모바일 앱 환경에서 도 5a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 발명은 다종의 음식 종류와 음식 종류별 이미지, 음식 종류별 칼로리, 음식 종류별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는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00) 및 상기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00)에 접근하여 저장된 다종의 음식 종류 중 하나를 검색하도록 하며 검색된 하나의 음식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음식 종류를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선택부(310)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가 섭취 음식에 대한 검색과 검색 결과를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검색된 하나의 음식에 대하여 복수의 종류가 검색될 경우 종류별 이미지와 칼로리, 영양소 등을 안내하는 리스트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적합한 하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검색 결과로서 선택된 음식의 인분과 량 등을 사용자가 수정하여 반영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300)와 음식선택부(310)의 구성을 통한 입력방법은 모바일 앱 환경에서 도 5b 및 도 5c와 같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분석부(110)는 상기 입력부(100)에 의해 입력되는 섭취 음식의 종류,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를 추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섭취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먼저 상기 분석부(110)는 상기 입력부(100)에 의해 입력되는 섭취 음식을 인식하고, 해당 음식에 대한 량, 칼로리, 영양소를 추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섭취데이터로 출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에게 음식의 칼로리뿐 아니라 음식량에 따른 영양 성분을 함께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본인이 영양 상태를 고려한 음식의 선택, 량 등을 용이하게 하여 건강 관리를 보다 효율적으로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분석부(110)는 딥러닝 뉴럴 네트워크(deep learning neural network) 방식을 통해 다양한 음식 종류과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와 영양소 등을 학습하고,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음식 사진 등을 학습된 데이터와 비교 분석하여 근접하는 하나 이상의 음식을 인식하고, 인식된 음식의 종류,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와 영양소를 추정할 수 있다.
상기 다이어리생성부(120)는 상기 분석부(110)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저장하고 누적되는 섭취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리스트화하며 날짜별로 기록할 수 있다.
도 6은 상기 다이어리생성부(120)에서 기록되는 누적 섭취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리스트화한 것을 나타내며, 모바일 앱 상에서 리스트 정보와 함께 이하에서 설명하는 칼로리산출부(130)의 처리 결과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칼로리산출부(130)는 상기 입력부(100)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와 체질량지수에 적합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체질량 지수는 보건복지부에서 제공되는 기준표에 사용자의 체형 즉 연령, 나이, 키, 체중을 대입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상기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는 사용자의 체형에 따른 일일 칼로리 요구량으로서 표준체중과 활동량에 따른 필요열량을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체형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를 포함하여 상기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될 수 있으며, 상기 칼로리산출부(130)는 상기 체형정보에 있어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코칭설정부(140)는 상기 칼로리산출부(130)에서 산출되는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분석부(110)에서 추정된 섭취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하여 입력한 섭취 음식에 대한 권장 섭취량을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코칭설정부(140)는, 상기 분석부(110)에서 분석되는 사용자의 섭취 음식과 음식량이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도록 음식량의 조절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나, 두 종류 이상의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특정 음식의 섭취를 제한할 수 있는 안내메시지 등을 생성하고 이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분석부(110) 및 다이어리생성부(120)의 처리 결과와 코칭설정부(130)의 안내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50)에서 표시되는 데이터는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에서 시각화될 수 있도록 다양한 영상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시부(150)는 상기 칼로리산출부(140)에서 산출된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하여 하루동안 누적되는 섭취 칼로리를 함께 표시하여 비교정보를 제공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된 음식 사진과 섭취데이터를 취합하여 이를 유형별로 관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이미지정보생성부(220), 유형분류부(160),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170) 및 정보제공부(18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정보생성부(220)는 상기 카메라부(200)의 음식 사진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를 생성하는 것으로, 모바일 기기에 구비되는 GPS모듈과 연동하여 상기 GPS모듈로 사진 촬영 생성되는 위치정보와 일시정보를 요청하고 이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유형분류부(160)는 상기 카메라부(200)에서 촬영한 음식 사진과, 상기 이미지정보생성부(220)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와, 상기 분석부(110)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전달받아 이들을 취합한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기간별, 음식종류별, 위치별, 계절별, 이벤트별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170)는 분류된 유형에 따라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유형분류부(160)에서 유형별로 분류된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각각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정보제공부(180)는 외부의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170) 중 선택된 하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170)의 정보를 제공하고 상기 표시부(180)를 통해 표시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외부의 요청신호는 사용자가 상기 입력부(100)를 통한 입력한 요청 데이터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정보제공부(17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간, 주간, 월간 중 선택된 하나의 기간 단위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의 종류, 음식량, 칼로리와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초과 또는 미달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고 이를 상기 표시부(150)를 통해 표시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정보제공부(170)의 정보 제공은 유동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형 등 통상의 챠트 중 적합한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그래픽화하여 표시부를(180) 통해 표시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정보제공부(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표시부(180)를 통해 월간 단위를 달력으로 표시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일별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칼로리의 초과 또는 미달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록 명령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칼로의 초과 시에 미달 시 각각 색상을 달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촬영된 음신 사진과 음식의 종류, 위치 정보 등을 포함하는 정보를 타 사용자와 공유할 수 있다.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는 공유설정부(400)와 추천입력부(410) 및 랭크결과안내부(4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공유설정부(410)는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식 사진과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기등록한 계정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상에 공유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공유설정부(410)는 트위터나 페이스북, 인스타그램과 같은 통상의 SNS 서비스와 연동할 수 있으며, 모바일 기기의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식 사진과 위치정보 등을 공유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추전입력부(420)는 복수 사용자로부터 SNS상에 공유된 음식 사진에 대하여 추천은 물론 다양한 이모티콘과 코멘트 등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랭크결과안내부(430)는 상기 추천입력부(420)를 통해 복수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추천수와 공유 조회수를 기록하고 이를 설정된 기간 동안 통계화하며, 추천수 및 공유 조회수에 따라 기설정된 상위 랭크 결과를 안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한달동안 수집된 공유물 중 상위 5위에 랭크된 공유물을 지정하고 그 결과 정보를 사용자들에게 표시 및 안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들이 모임이나 데이트 코스를 결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사용자가 SNS상에 음식 사진을 공유할 경우 소정의 포인트를 지급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보상을 통하여 사용자 참여를 적극 유도할 수 있도록 한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만 할 것이다.
100 : 입력부 110 : 분석부
120 : 다이어리생성부 130 : 칼로리산출부
140 : 코칭설정부 150 : 표시부
160 : 유형분류부 170 :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
180 : 정보제공부 200 : 카메라부
210 : 음식업로드부 220 : 이미지정보생성부
300 : 음식정보데이터베이스부 310 : 음식선택부
400 : 공유설정부 410 : 추천입력부
420 : 랭크결과안내부

Claims (8)

  1. 사용자의 연령, 성별, 몸무게, 체중을 포함하는 체형정보와,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을 입력하되, 상기 체형정보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을 포함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에 의해 입력되는 섭취 음식의 종류, 음식량, 음식량에 따른 칼로리와 영양소를 추정하고 이를 사용자의 섭취데이터로 출력하는 분석부;
    상기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저장하고 누적되는 섭취데이터를 시간순으로 리스트화하며 날짜별로 기록하는 다이어리생성부;
    상기 입력부에서 입력되는 사용자의 체형정보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체질량 지수와 체질량지수에 적합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하되, 상기 체형정보에 있어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산출하는 칼로리산출부;
    상기 칼로리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분석부에서 추정된 섭취데이터를 반영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섭취 음식에 대한 권장 섭취량을 안내하며, 상기 분석부에서 분석되는 사용자의 섭취 음식과 음식량이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를 초과하지 않을 수 있도록 음식량의 조절을 유도하는 안내메시지나 두 종류 이상의 음식을 섭취하는 경우 특정 음식의 섭취를 제한할 수 있는 안내메시지를 생성하는 코칭설정부;
    상기 분석부 및 다이어리생성부의 처리 결과와 코칭설정부의 안내정보를 표시하고, 상기 칼로리산출부에서 산출되는 사용자의 현재 체중과 감량목표 체중 각각에 대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와, 사용자의 섭취 음식에 대하여 하루 동안 누적되는 섭취 칼로리를 함께 표시하여 비교 정보로 제공되게 하는 표시부;
    음식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된 음식 사진 중 선택된 하나의 음식 사진을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업로드부;
    GPS와 연동하여 상기 카메라부의 음식 사진 촬영 시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를 생성하는 이미지정보생성부;
    상기 카메라부에서 촬영한 음식 사진과, 상기 이미지정보생성부에서 생성되는 위치정보 및 일시정보와, 상기 분석부에서 출력되는 섭취데이터를 전달받고 이들 데이터를 취합한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기간별, 음식종류별, 위치별, 계절별, 이벤트별로 분류하는 유형분류부;
    상기 유형분류부에서 분류된 유형에 따라 복수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음식 섭취 기록을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 및
    외부의 요청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복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부 중 선택된 하나의 유형별데이터베이스의 정보를 제공하고, 선택된 하나의 유형이 기간별일 경우 일간, 주간, 월간 중 선택된 하나의 기간 단위동안 섭취한 모든 음식의 종류, 음식량, 칼로리와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초과 또는 미달된 칼로리 정보를 제공하며 이를 상기 표시부를 통해 표시되도록 명령하는 정보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다종의 음식 종류와 음식 종류별 이미지, 음식 종류별 칼로리, 음식 종류별 영양소 정보가 저장되는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음식정보 데이터베이스부에 접근하여 저장된 다종의 음식 종류를 검색하도록 하며 검색된 하나의 음식 종류를 선택하도록 하고, 선택된 음식 종류를 사용자의 섭취 음식으로 지정하여 상기 입력부에 입력되도록 하는 음식선택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제공부는,
    상기 표시부를 통해 월간 단위를 달력으로 표시하되, 일별로 일일 권장 섭취 칼로리 대비 칼로리의 초과 또는 미달 여부를 식별 가능하게 표시되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음식 사진과 위치정보를 사용자가 기등록한 계정의 SNS(Social Networking Service) 상에 공유되도록 설정하는 공유설정부;
    복수 사용자로부터 SNS상에 공유된 음식 사진에 대하여 추천을 입력하기 위한 추천입력부; 및
    상기 추천입력부에서 입력된 추천수와 공유 조회수를 기록하고, 추천수 및 공유 조회수에 따라 기설정된 상위 랭크 결과를 안내하는 랭크결과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KR1020180064326A 2018-06-04 2018-06-04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KR1022476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26A KR102247695B1 (ko) 2018-06-04 2018-06-04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4326A KR102247695B1 (ko) 2018-06-04 2018-06-04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47A KR20190138147A (ko) 2019-12-12
KR102247695B1 true KR102247695B1 (ko) 2021-05-03

Family

ID=69003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4326A KR102247695B1 (ko) 2018-06-04 2018-06-04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6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47B1 (ko) 2023-07-24 2023-12-19 주식회사 쏘렐라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음식의 칼로리 추정 및 사용자 맞춤형 신체 변화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30724A1 (ko) * 2020-05-14 2021-11-18 주식회사 누비랩 식사 보조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13316B1 (ko) * 2020-07-30 2021-02-08 이승주 활동제한요법을 이용한 겨울잠 다이어트 서비스 제공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05B1 (ko) 2005-03-24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중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체중 관리 방법
US20120094258A1 (en) * 2010-05-12 2012-04-19 Zipongo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and community-specific eating and activity planning, linked to tracking system with automated multimodal item identification and size estim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13999A (ko) * 2000-08-11 2002-02-25 최혜미 맞춤 다이어트 정보제공 시스템 및 방법과 그 프로그램소스를 저장한 기록매체
KR100638162B1 (ko) * 2004-12-18 2006-10-26 주식회사 에이치앤디네트워크 인터넷을 이용한 맞춤형 개별 운동서비스방법
KR20120097432A (ko) 2010-10-13 2012-09-04 조재필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다이어트를 위한 앱 어플리케이션의 구성
KR101890989B1 (ko) * 2016-09-02 2018-09-28 변규리 딥러닝 알고리즘을 이용한 사물인식을 사용하여 칼로리 측정 및 소비를 위한 o2o 방식의 칼로리 관리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98305B1 (ko) 2005-03-24 2007-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체중 관리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체중 관리 방법
US20120094258A1 (en) * 2010-05-12 2012-04-19 Zipongo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ed personalized and community-specific eating and activity planning, linked to tracking system with automated multimodal item identification and size estimation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5747B1 (ko) 2023-07-24 2023-12-19 주식회사 쏘렐라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음식의 칼로리 추정 및 사용자 맞춤형 신체 변화 정보 시각화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8147A (ko) 2019-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59058A1 (en) Meal service management system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US20200243202A1 (en) Real-time or just-in-time online assistance for individuals to help them in achieving personalized health goals
KR102513337B1 (ko) 체중 관리 및 활동성 추적 시스템
KR102247695B1 (ko) 모바일을 이용한 푸드 다이어리 장치
JP6412429B2 (ja) 栄養摂取量のユーザ特異的な調整の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9483957B1 (en) Methods, systems, and computer readable media for promoting behavioral intervention via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and game mechanics
CN105793887A (zh) 用于捕获用户的食物消耗信息的方法和系统
KR101876147B1 (ko) 잔반 감소유도 시스템
KR20200072444A (ko) 급식관리 시스템
JP2010224990A (ja) 献立自動バランスシステム
US20190221134A1 (en) Meal Management System
CN112002388A (zh) 饮食推荐方法及装置
KR101580016B1 (ko) 식단 평가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22530263A (ja) 食べ物測定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210052123A (ko) 사용자 맞춤형 식품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서버
JP2018010446A (ja) 健康指導支援装置、健康指導支援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48922A (ko) 스마트 테이블 및 스마트 테이블의 제어방법
JP2012168857A (ja) 管理装置、管理システム、および管理システムでの表示方法
KR101732495B1 (ko) 맞춤형 샘플링을 통한 식사 정보 기록 시스템
JP7411176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94439B2 (ja) 給食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運営方法
Probst et al. mHealth diet and nutrition guidance
US11663927B2 (en) Food quantum tracking tool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Probst et al. mHealth diet and nutrition guidance
KR20240061453A (ko) 플랫폼 기반의 영유아 식단 관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