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7378B1 -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7378B1
KR102247378B1 KR1020210003688A KR20210003688A KR102247378B1 KR 102247378 B1 KR102247378 B1 KR 102247378B1 KR 1020210003688 A KR1020210003688 A KR 1020210003688A KR 20210003688 A KR20210003688 A KR 20210003688A KR 102247378 B1 KR102247378 B1 KR 102247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air
supply
flow path
passa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036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달
유재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문이앤지
금정건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문이앤지, 금정건설(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문이앤지
Priority to KR10202100036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7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7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7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2Cleaning pipes or tubes or systems of pipes or tubes
    • B08B9/027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 B08B9/04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 B08B9/04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 B08B9/0433Cleaning the internal surfaces; Removal of blockages using cleaning devices introduced into and moved along the pipes moved by externally powered mechanical linkage, e.g. pushed or drawn through the pipes provided exclusively with fluid jets as cleaning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3/00Details of cleaning machines or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2203/02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2209/00Details of machines or methods for cleaning hollow articles
    • B08B2209/02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 B08B2209/024Details of apparatuses or methods for cleaning pipes or tubes by creating a shock wave in the cleaning liquid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내부에 투입되며,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고압공기를 통해 내벽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A device for removing foreign substances for cleaning pipelines using high-pressure air}
본 발명은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내부에 투입되며,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 및 수압에 의해 회전하면서 고압공기를 통해 내벽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돗물 등의 유체를 공급 및 배출하는 관로는 대형 직경의 송수관을 통해 중형 및 소형 관로를 따라 분기될 수 있도록 지하에 매설된다.
그리고 장기간 사용함에 따라 관로의 노후, 부식 등에 의해 발생된 이물질과 유체에 함유된 이물질이 내부에 고착되어 스케일층이 발생하여, 유체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지하에 매설된 관로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 및 시간이 투자되며, 단수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원활한 작업이 어려워 관로 내의 스케일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또한, 장시간 단수가 이루어진 경우, 주변 지역에 원활하게 유체의 공급 및 배출이 원활하지 않아 많은 불편한 문제가 발생하고 있어 단시간 내에 신속하게 관로 세척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 기술로 "관로 세척장치"가 제시된 바 있다.
종래기술은 관로에 투입되는 세척몸체에 세척노즐이 경사지게 설치된 상태로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세척몸체가 관로를 따라 전진하면서 관로를 세척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세척몸체의 외주면에 다수개의 이동안내수단이 형성되며, 상대적으로 큰 구조로 이루어짐에 따라, 소형 관로에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수돗물을 배출하는 좁은 관로로 삽입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어, 관로를 유지보수 및 점검 위한 맨홀이 설치된 장소에서 유입할 수 있어 관로의 내부 세척작업이 한정적으로 이루어지며, 건물 등과 같이 맨홀이 구비되지 않은 관로의 내부를 세척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리고 관로의 절곡 및 굴곡 부분을 원활하게 통과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867006호(2018.06.0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의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고압공기 및 와류를 통해 제거할 수 있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켜 관로내에 흐르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키며, 분사된 고압공기가 와류에 혼합되면서 기포를 발생시켜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와류 및 고압공기를 개별 또는 동시에 작동할 수 있도록 내부를 구성하여 관로내에 흡착된 이물질의 상태에 따라 고압 및 와류를 조절할 수 있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고압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몸체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결합된 공급호스를 통해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로부에 전달하는 공급부가 형성된 덮개부; 상기 몸체의 타측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로부에서 분사된 고압공기를 통해 회전하는 임펠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로부는, 상기 유로부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공급부에서 고압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와, 상기 제1유로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향해 분사하는 제2유로와, 상기 제1유로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의 타측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임펠러를 회전시키는 제3유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가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공급부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체결밸브와, 상기 결합판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가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공급부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체결밸브와, 상기 결합판의 타측에서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부는,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획판의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3유로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급관과, 상기 결합판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의 중심에서 양측면이 개방된 제1개방홈이 형성되어 파이프형상의 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방홈과 외주면 사이에 상기 유로부가 형성되되, 상기 개방홈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덮개부는, 상기 몸체의 제1개방홈과 연동되는 제2개방홈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관로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부와 동일한 형상의 공급부가 형성된 결합판과, 상기 공급부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가 연결되는 체결밸브와, 상기 결합판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로부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부는, 상기 결합판의 타면에 상기 유로부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제3공급관과, 상기 제3공급관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일면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체결밸브가 체결되는 제4공급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몸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따라 외주면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판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돌출판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로부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임펠러는, 상기 몸체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내면에서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배치되어 상기 유로부에서 분사된 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따르면, 유체가 흐르는 관로의 내부에 흡착된 이물질을 고압공기 및 와류를 발생시켜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개별적으로 배출하는 유로를 통해 관로의 내부에 직접 분사하여 고압공기를 통해 이물질을 제거하며, 임펠러를 향해 분사된 고압공기를 통해 관로에 흐르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임펠러를 향해 분사된 고압공기는 임펠러를 회전시킴과 동시에 충돌에 의해 기포를 생성하여 와류와 함께 내벽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로의 내부를 선택적으로 구획하여 관로 및 임펠러를 향해 각각 배출되는 고압공기의 압력을 동시 또는 개별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무게 및 부력을 조절하여 몸체가 관로에 충돌에 의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몸체의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여 유체의 흐름을 따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과 함께 더불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임펠러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부력조절부재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작동상태를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관로 내부에 투입되며, 관로에 흐르는 유체의 유속에 의해 회전하면서 고압공기를 통해 내벽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유체가 흐르는 관로에 투입되어 고압공기 및 와류를 통해 내벽에 흡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도록 몸체(10), 덮개부(20) 및 임펠러(30)로 구성된다.
이에 앞서 상기 관로(100)는 지하에 매설되어 상수도, 하수도 등으로 유체를 운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 관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내부에 고압공기가 이동하는 유로부(11)가 형성된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결합된 공급호스(26)를 통해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로부(11)에 전달하는 공급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로부(11)에서 분사된 고압공기를 통해 회전한다.
이와 같이 몸체(10)에 상기 덮개부(20)를 결합한 후,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유입된 고압공기를 분사하여 공기에 의해 관로의 내벽에 흡착된 이물질 등을 제거하며, 상기 임펠러(30)의 회전을 통해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를 통해 상기 관로 내부의 유체를 별도의 제거 없이 상기 몸체를 투입하여 이물질 제거가 가능하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각 구성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상기 관로(100)의 내부에 투입되어 유체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 원통형상을 가지며,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공기를 전면 및 외주면으로 분사할 수 있는 유로부(11)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유로부(11)는 상기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공기를 전반 및 외주면을 향해 분사할 수 있도록 제1유로(11a), 제2유로(11b) 및 제3유로(11c)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유로(11a)는 상기 유로부(1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공급부(25)에서 고압공기가 유입된다.
이러한 상기 제1유로(11a)는 원통형상의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서 함몰되어 상기 덮개부(20)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충분한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유로(11b)는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향해 분사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11b)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형성된 제1유로(11a)에서 외주면을 향해 형성되되, 선택적으로 일정한 각도 경사지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제2유로(11b)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수직 또는 경사지게 분사하여 고압공기에 의해 발생한 기포를 통해 상기 관로(100)의 내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상기 제3유로(11c)는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임펠러(30)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3유로(11c)는 상기 제1유로(11a)에서 상기 몸체(10)의 타면으로 노출되되, 일정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된다.
이를 통해 상기 제3유로(11c)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는 상기 임펠러(30)가 회전가능하도록 분사한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에 결합되며,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10)에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판(21), 체결밸브(22) 및 삽입판(2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판(21)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25)가 형성다.
상기 체결밸브(22)는 상기 공급부(2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26)가 연결된다.
상기 삽입판(23)은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11a)의 내부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외부에서 상기 제1유로(11a)로 유체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고압공기가 공급한다.
이때, 상기 체결밸브(22)는 상기 공급호스(26)와 체결되어 공급되는 고압공기를 안정적으로 공급하며, 공급된 고압공기는 상기 공급부(25)를 통해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삽입판(23)은 상기 제1유로(11a)의 내경에 밀착되는 직경으로 이루어지며, 일정간격 돌출됨에 따라 상기 결합판(21)이 상기 몸체에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가이드함과 동시에 상기 몸체(10)와 상기 결합판(21) 사이의 공간을 통해 외부의 유체가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공급호스(26)는 상기 관로(100)의 외부에 배치된 콤프레샤 등에서 발생된 고압공기를 상기 덮개부(2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하여 상기 관로(100)에 흐르는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러한 상기 임펠러(30)는 고압공기를 받아 와류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30)는 회전부재(31)와 가이드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31)는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정한 간격을 따라 외주면으로 돌출된 다수개의 돌출판(31a)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돌출판(31a)의 외면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유로부(11)에서 분사된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즉, 상기 회전부재(31)는 중앙부분이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외주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상기 돌출판(31a)이 형성됨에 따라, 상기 돌출판(31a)과 상기 돌출판(31a) 사이로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회전부재(31)의 전면에는 상기 돌출판(31a)에 맞춰 다수개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중앙에서 외주면을 향하도록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어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된 고압공기가 충돌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회전부재(31)에서 상기 제3유로(11c)의 분사방향에 맞춰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3유로(11c)에서 배출된 고압공기는 상기 가이드부재(32)를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임펠러(30)는 회전부재(31), 가이드부재(32)로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부재(31)는 상기 몸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31b)이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회전부재(31)의 내면에서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31b)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1)에서 분사된 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1)는 원판형상을 가지며, 중앙에서 외주면을 향하도록 형성된 상개 배출공(31b)이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몸체(1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재(31)의 일면으로 돌출된 간격돌기(31c)를 통해 상기 몸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로 결합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배출공(31b)과 상기 배출공(31b)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회전부재(31)의 중앙에서 외주면을 향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된 고압공기가 충돌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32)는 상기 회전부재(31)에서 상기 제3유로(11c)의 분사방향에 맞춰 일정각도를 가지도록 비스듬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3유로(11c)에서 배출된 고압공기는 상기 가이드부재(32)를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회전부재(31)의 일면 또는 타면에 상기 가이드부재(32)가 형성되어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되는 고압공기에 의해 회전하여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몸체(10)의 양측 외주면에는 둘레를 따라 결합레일(1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레일(13)에 결합되는 일정크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무게추(15)와, 상기 결합레일(13)에 결합되는 일정크기로 이루어진 다수개의 부력부재(17)가 더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관로의 직경, 유체의 공급량 등에 따라 상기 몸체가 관로의 중앙부분, 하단부분 또는 상단부분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무게 및 부력을 제어한다.
즉, 상기 무게추(15) 및 상기 부력부재(17)는 상기 결합레일(13)에 다수개를 교차 또는 선택적으로 체결하여 상기 몸체(10)가 유체의 내부에서 부유할 수 있도록 부력 및 무게를 조절한다.
이때, 상기 무게추(15) 및 상기 부력부재(17)는 끼움결합 또는 나사결합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도록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는 상기 관로(100)의 상단, 중단 또는 하단 중 어느 한 곳에 위치할 수 있도록 조절이 가능하여, 상기 관로(100) 내에 상대적으로 많은 양이 이물질이 흡착된 위치와 근접하여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다음으로는 본 발명에 따른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상기 덮개부(20)를 결합하고, 타측에 상기 임펠러(30)가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외부에서 발생된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몸체(10)로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각 구성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수도, 하수도 등의 지하에 매립된 상기 관로(100)에 투입한다.
그리고 상기 관로(100)는 내부에서 흐르는 유체는 별도의 차단 없이 그대로 공급하되, 상기 관로(100)의 끝 또는 중간지점에서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상기 관로(100)의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제어한 후 상기 몸체(10)를 상기 관로(100)에 투입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10)는 상기 무게추(15) 및 상기 부력부재(17)를 통해 부력을 조절함에 따라 유체 내에 부유시켜 상기 관로(100)와 접촉되는 충격 등에 의한 상기 관로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10)가 상기 관로(100)에 투입된 후,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고압공기를 공급한다.
이렇게 공급된 고압공기는 상기 공급부(25)를 통과하여 상기 유로부(11)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유로부(11)는 상기 제1유로(11a)를 통해 상기 공급부(25)에서 전달받은 공기를 상기 제2유로(11b)와 상기 제3유로(11c)로 각각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제2유로(11b)는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으로 분사되어 고압공기의 분사력을 통해 상기 관로 내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제3유로(11c)는 상기 몸체(10)의 타측으로 분사되는 고압공기를 통해 상기 임펠러(30)를 회전시키며, 상기 임펠러(30)는 회전력을 통해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아울러 상기 제3유로(11c)에서 분사된 고압공기는 상기 임펠러(30)와 충돌하여 기포를 발생시키되 발생된 기포는 와류에 혼합된다.
이에 따라 기포가 혼합된 와류는 상기 관로(100)의 내벽에 충돌하여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한다.
또한, 상기 몸체(10)는 상기 무게추(15) 및 상기 부력부재(17)를 통해 상기 관로(100)의 내부에서 부력에 의해 상기 몸체(1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상기 관로(100) 내의 흡착된 이물질이 많은 쪽과 인접하여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간격이 조절하여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관로(100)에 유체가 흐르는 상태에서 상기 몸체(10)를 투입하여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하며, 제거된 이물질은 유체에 의해 외부로 간편하게 배출하여 상기 관로(100) 내부를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와류 및 고압공기를 통해 상기 관로(100) 내부에 손상을 방지하며, 상기 몸체(10)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관로와 충돌에 의한 손상 및 파손등을 예방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덮개부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제1유로(11a)를 구획하여 상기 제2유로(11b) 및 상기 제3유로(11c)에 각각 고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결합판(21), 체결밸브(22), 구획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판(21)은 상기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25)가 형성된다.
상기 체결밸브(22)는 상기 공급부(2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26)가 연결된다.
상기 구획판(24)은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에서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11a)의 내부를 구획한다.
이와 같이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으로 돌출된 상기 구획판(24)을 통해 상기 제1유로(11a)의 중간부분을 구획한다.
따라서 상기 제1유로(11a)는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서 상기 제2유로(11b)와 상기 제3유로(11c)로 고압공기를 각각 공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공급부(25)는 구획된 상기 제1유로(11a)에 각각 고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제1공급관(25a)과 제2공급관(25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공급관(25a)은 상기 결합판(21)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획판(24)의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3유로(11c)에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1유로(11a)로 공급된다.
상기 제2공급관(25b)은 상기 결합판(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11b)로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도록 제1유로(11a)로 공급한다.
즉,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제1유로(11a)의 중간부분을 구획한 후, 상기 제1공급관(25a)과 상기 제2공급관(25b)을 통해 구회된 제1유로(11a)에 각각 고압공기를 공급한다.
이를 통해 상기 제2유로(11b) 및 상기 제3유로(11c)로 분사되는 고압공기는 제1실시예보다 상대적으로 높은압력의 고압공기로 분사되어 이물질 제거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체결밸브(22)는 상기 제1공급관(25a)과 상기 제2공급관(25b)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개별적으로 고압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상기 공급호스(26)는 상기 제1공급관(25a)과 상기 제2공급관(25b)에 고압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각각 또는 타측이 분기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공급호스(26)가 각각 형성되는 경우, 2개의 상기 공급호스(26)를 설치하여 외부에서 유입된 고압공기를 제1공급관(25a)과 상기 제2공급관(25b)에 개별적으로 연결하여 고압공기를 공급한다.
또한, 상기 공급호스(26)가 분기되는 경우, 하나의 공급호스(26)를 통해 외부에서 고압공기가 유입되되 중간부분에서 분기되어 상기 제1공급관(25a)과 상기 제2공급관(25b)에 고압공기를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공급호스(26)를 통해 상기 제1유로(11a)의 구획된 각각의 공간에 고압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제2유로(11b) 및 상기 제3유로(11c)를 통해 고압공기가 분사된다.
이를 통해 상기 몸체(10) 내부에서 구획된 상기 제1유로(11a)에 각각 고압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상기 제2유로(11b) 및 상기 제3유로(11c)를 통해 분사되는 고압공기는 높은 압력을 통해 상기 관로(100)에 흡착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11b)와 상기 제3유로(11c)로 분사되는 고압공기를 개별적으로 조작하여 서로 다른 압력의 고압공기를 분사할 수 있어 상기 관로(100)의 내부 상황에 맞춰 다양한 조작이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내부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를 포함하되, 상기 몸체(10) 및 상기 덮개부(20)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10)는 상기 몸체(10)의 중심에서 양측면이 개방된 제1개방홈(12)이 형성되어 파이프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방홈(12)과 외주면 사이에 상기 유로부(11)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방홈(12)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즉, 상기 몸체(10)는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상기 제1개방홈(12)을 통해 개방된 파이프형상으로 이루어져, 유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개방홈(12)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 사이에 상기 유로부(11)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유로부(11)는 상기 몸체(10)의 일면에서 타측방향을 향해 도넛형상으로 함몰된 제1유로(11a)와, 상기 제1유로(11a)에서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향하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 배치된 제2유로(11b)와, 상기 제1유로(11a)에서 상기 제1개방홈(12)을 향해 상기 임펠러(30)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둘레를 따라 다수개 배치된 제3유로(11c)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제1개방홈(12)의 내주면에는 상기 임펠러(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4)가 형성된다.
이러한 상기 연결부(14)는 상기 제1개방홈(12)의 일측, 타측 또는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임펠러(30)가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제1개방홈(12)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결합판(21), 체결밸브(22) 및 삽입판(23)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상기 결합판(21)에는 상기 몸체(10)의 제1개방홈(12)과 연동되는 제2개방홈(27)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유로(11a)와 동일한 형상의 공급부(25)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판(23)은 상기 제1유로(11a)에 삽입할 수 있는 단면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상기 결합판(21)은 상기 몸체의 타측단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며, 상기 공급부(25) 및 상기 체결밸브(22)는 상기 결합판(21)의 외측에 위치하게 된다.
이때, 상기 공급부(25)는 상기 결합판(21)의 타면에 상기 유로부(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제3공급관(25c)과, 상기 제3공급관(25c)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일면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체결밸브(22)가 체결되는 제4공급관(25d)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공급부(25)는 상기 제2개방홈(27)과 간섭이 발생하지 않으며, 상기 체결밸브(22)를 통해 유입된 공기를 상기 제1유로(11a)에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제3실시예는 제1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2유로(11b)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하고, 상기 제3유로(11c)는 상기 임펠러(30)를 향해 고압공기를 분사한다.
이때,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몸체(10)의 외부로 노출되거나 상기 제2개방홈(27)의 내부에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관로(100) 내에 형성된 유체에 와류를 발생시킨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10: 몸체 11: 유로부 11a: 제1유로
11b: 제2유로 11c: 제3유로
12: 제1개방홈 13: 결합레일
14: 연결부 15: 무게추
16: 부력부재
20: 덮개부 21: 결합판 22: 체결밸브
23: 삽입판 24: 구획판
25: 공급부 25a: 제1공급관
25b: 제2공급관 25c: 제3공급관
25d: 제4공급관 26: 공급호스
27: 제2개방홈
30: 임펠러 31: 회전부재 31a: 돌출판
31b: 배출공 31c: 간격돌기
32: 가이드부재
100: 관로

Claims (8)

  1. 내부에 고압공기를 이동하는 유로부(11)가 형성된 몸체(10);
    상기 몸체(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면에 결합된 공급호스(26)를 통해 고압공기를 공급받아 상기 유로부(11)에 전달하는 공급부(25)가 형성된 덮개부(20);
    상기 몸체(10)의 타측외면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유로부(11)에서 분사된 고압공기를 통해 회전하는 임펠러(30);로 이루어지되,
    상기 임펠러(30)는,
    상기 몸체(1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내면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공(31b)이 형성된 회전부재(31)와,
    상기 회전부재(31)의 내면에서 다수개의 상기 배출공(31b)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돌출배치되어 상기 유로부(11)에서 분사된 고압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가이드부재(3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부(11)는,
    상기 유로부(11)의 일측에서 타측을 향해 함몰되어 상기 공급부(25)에서 고압공기가 유입되는 제1유로(11a)와,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10)의 외주면을 향해 분사하는 제2유로(11b)와,
    상기 제1유로(11a)로 유입된 고압공기를 상기 몸체(10)의 타측면으로 분사하여 상기 임펠러(30)를 회전시키는 제3유로(11c)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중앙에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25)가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공급부(2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26)가 연결되는 체결밸브(22)와,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11a)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23)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외주면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몸체(10)의 일측면에 밀착되며, 양측면을 관통하여 상기 공급부(25)가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공급부(2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26)가 연결되는 체결밸브(22)와,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에서 일정간격 이격 돌출되어 상기 제1유로(11a)의 내부를 구획하는 구획판(24)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부(25)는,
    상기 결합판(21)의 일측면에서 상기 구획판(24)의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 배치되어 상기 제3유로(11c)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제1공급관(25a)과,
    상기 결합판(21)의 일측면에서 타측면을 관통 형성되도록 중심에서 이탈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유로(11b)에 고압공기를 공급하는 제2공급관(25b)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중심에서 양측면이 개방된 제1개방홈(12)이 형성되어 파이프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개방홈(12)과 외주면 사이에 상기 유로부(11)가 형성되되,
    상기 제1개방홈(12)의 내부에 상기 임펠러(30)가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20)는,
    상기 몸체(10)의 제1개방홈(12)과 연동되는 제2개방홈(27)이 형성된 파이프 형상의 관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유로부(11)와 동일한 형상의 공급부(25)가 형성된 결합판(21)과,
    상기 공급부(2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상기 공급호스(26)가 연결되는 체결밸브(22)와,
    상기 결합판(21)의 타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유로부(11)의 내부에 삽입되는 삽입판(2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공급부(25)는,
    상기 결합판(21)의 타면에 상기 유로부(11)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함몰된 제3공급관(25c)과, 상기 제3공급관(25c) 중 어느 한 부분에서 일면을 향해 개방되어 상기 체결밸브(22)가 체결되는 제4공급관(25d)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210003688A 2021-01-12 2021-01-12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247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88A KR102247378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03688A KR102247378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7378B1 true KR102247378B1 (ko) 2021-05-03

Family

ID=759106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03688A KR102247378B1 (ko) 2021-01-12 2021-01-12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73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191B1 (ko) * 2022-09-14 2023-0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690A (ja) * 1997-05-21 1998-12-02 Toshiba Corp 管内洗浄機
KR20090071919A (ko) * 2007-12-28 2009-07-02 이창신 관로 청소형 하수관 보수장치
KR20160045244A (ko) * 2014-10-17 2016-04-27 정광목 배관 청소로봇
KR101867006B1 (ko) 2017-10-31 2018-06-12 (주)서용엔지니어링 관로 세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14690A (ja) * 1997-05-21 1998-12-02 Toshiba Corp 管内洗浄機
KR20090071919A (ko) * 2007-12-28 2009-07-02 이창신 관로 청소형 하수관 보수장치
KR20160045244A (ko) * 2014-10-17 2016-04-27 정광목 배관 청소로봇
KR101867006B1 (ko) 2017-10-31 2018-06-12 (주)서용엔지니어링 관로 세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4191B1 (ko) * 2022-09-14 2023-02-06 주식회사 대현이엔씨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4686B1 (ko) 브러쉬를 이용한 관로용 세척장치
KR102247378B1 (ko) 고압공기를 이용한 관로세척용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68554B1 (ko) 관로의 스케일 제거장치
KR101073842B1 (ko)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KR102061685B1 (ko) 조립식 펌프 스테이션 유닛 및 물 분배 유닛
KR20140098474A (ko) 배관세척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배관세척방법
JP2009066522A (ja) 上水道管の清掃方法
JP4185815B2 (ja) 地盤改良工法に使用するモニター装置
CN216896319U (zh) 一种分体式预埋体上排污盖
RU2435989C2 (ru) Устройство струйно-кольцевого эжектора для откачки (выгрузки) загрязненных жидкостей, донных отложений, сыпучих веществ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0745658B1 (ko) 와류형성용 노즐
KR20090034213A (ko) 유체 분사 장치
KR101314436B1 (ko) 개방형 관로 세정용 이종 2 유체 세정장치
KR200385537Y1 (ko) 옥내배관용 관 세척장치
US20220305447A1 (en) Apparatus for dissolving gas into a liquid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100641264B1 (ko) 방사형 관로세척장치
KR102432874B1 (ko) 다기능 관세척 시스템 및 방법
KR102485926B1 (ko) 관로 세척 장치 및 이를 이용한 관로 세척 방법
KR102494191B1 (ko) 상수도 관로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척공법
KR102521078B1 (ko) 근접 회전분사 방식의 상수도 관로 세척공법을 이용한 세척장치
RU233073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полости трубопроводов
KR102527369B1 (ko) 상수도관 금속제거장치
JP2007181776A (ja) 給水管洗浄システム、給水管洗浄装置、給水管洗浄方法
KR102514821B1 (ko) 상수도관 세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관 세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