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847B1 -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847B1
KR102246847B1 KR1020200023021A KR20200023021A KR102246847B1 KR 102246847 B1 KR102246847 B1 KR 102246847B1 KR 1020200023021 A KR1020200023021 A KR 1020200023021A KR 20200023021 A KR20200023021 A KR 20200023021A KR 102246847 B1 KR102246847 B1 KR 10224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try
movable part
pressing piece
entry module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0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성호
Original Assignee
정성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성호 filed Critical 정성호
Priority to KR10202000230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8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4/0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 B05B14/40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 B05B14/43Arrangements for collecting, re-using or eliminating excess spraying material for use in spray booths by filtering the air charged with excess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40Filters located upstream of the spraying outlets

Landscapes

  • Details Or Accessories Of Spraying Plant Or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으로서, 케이스(1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에 구획된 필터장착부(14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각 분진흡입공(121) 내부에 구동모터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휀(122’)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141)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00)을 포함하는 대상물은 유체 분사기를 통해 도장, 코팅, 세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공이 수행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표면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작업실 내부의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제공하되, 처리장치 내부에 오염물질 여과와 정화된 공기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의 유입에 따른 부착과, 기타 오염방지 억제가 가능하여 흡기 처리장치 자체의 유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종국적으로 흡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Paint dust suction device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분진 흡기 처리장치 제작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표면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작업실 내부의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제작하되, 처리장치 내부에 오염물질 여과와 정화된 공기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의 유입에 따른 부착과, 기타 오염방지 억제가 가능하여 흡기 처리장치 자체의 유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종국적으로 흡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장치는 오염물질들의 특성상 페인트가 뿌려지면 도장 작업실 바닥 쪽에 모이게 되고, 주로 천장 쪽에 위치하는 턱트는 오염된 공기를 배출하려면 다시 바닥쪽에 모인 공기를 끌어올려 배출해야 하기 때문에 효과인 오염물질을 배출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어느 정도 개선의 효과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공기 정화와 배출에 있어 내부에 잔존하는 이물이 발생하게 되어 배출을 위한 흡기 배출 전반에 미세하게 효율을 저하시키고, 오염도는 점차 증가되어 본연의 동작을 온전하게 수행하기 어려워 결국 이른 교체를 수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48332호
본 발명은 표면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작업실 내부의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제작하되, 처리장치 내부에서 오염물질 여과와 정화된 공기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의 유입에 따른 부착과, 기타 오염방지 억제가 가능하여 흡기 처리장치 자체의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종국적으로 흡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은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으로서, 케이스(1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에 구획된 필터장착부(14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각 분진흡입공(121) 내부에 구동모터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휀(122’)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141)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적어도 상기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22’)을 포함하는 대상물은 유체 분사기를 통해 도장, 코팅, 세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공이 수행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면도장을 실시하는 도장 작업실 내부의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를 수행하기 위한 처리장치를 제작하되, 처리장치 내부에 오염물질 여과와 정화된 공기 배출을 수행함에 있어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의 유입에 따른 부착과, 기타 오염방지 억제가 가능하여 흡기 처리장치 자체의 유치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종국적으로 흡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 내지 도 1e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에 사용되는 유체 분사기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 내지 도 13은 유체 분사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은 종래 사용되고 있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b 내지 도 1e는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1a 내지 도 1e를 참조하면, 분진 흡기 처리장치는 상측프레임(110)과 전측프레임(120)이 구비되는 길다란 함체의 양측면에 연결용 체결공(130)을 형성하여 연결배관부재(200)를 연속적으로 연결될수 있게 하고, 전측프레임(120)에 다수의 분진흡입공(121)이 구비되며, 분진흡입공(121)과 분진흡입공(121) 사이에 필터장착부(140’)가 구획되어 구비된 케이스(100’)를 갖는다. 그리고 케이스(100’)의 각 분진흡입공(121) 내부에 설치되며, 구동모터(123)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휀(122’),과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141)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흡입구(310)가 파이프 연결용 엘보우배관부재(210)에 의해 연결배관부재(200)와 연결되어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케이스(100’) 내의 공기를 출구(320)와 연결된 집진실(400)로 배출시키는 배기구동모터(30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는 일면에 필터 인출 및 인입구(143)를 형성하여 필터(141)를 탈착시킬수 있도록 하고 필터 인출 및 인입구(143)는 커버판재(144)로 개폐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케이스(100’)의 양측면 하단에는 바닥고정용 고정프레임(150)을 설치하여 케이스(100’)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차량 표면의 도장 작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흡기휀(122’)이 작동하면 지면 상으로 낙하된 페인트 입자들은 흡기휀(122’)에 의한 흡기력에 의해 케이스(100’)로 흡입된다. 이렇게 흡입된 페인트 분진은 외부에 구비된 배기구동모터(300)에 의해 빨려나가는 과정에서 흡기휀(122’) 사이에 구비된 필터(141)를 통해 걸러지게 된다. 필터장착부(140’)에 구비된 필터(141)를 통해 걸러진 내부공기는 케이스(100’) 측면에 형성된 연결용 체결공(130)을 통해 도장 작업실 외부에 위치한 배기구동모터(300)와 연결배관부재(200) 및 엘보우배관부재(210)로 연결되어 내부공기를 외부의 집진실로 보내게 된다. 참고로 배기구동모터(300)와 케이스(100’)를 연결하는 연결배관부재(200)와 엘보우배관부재(210)는 각각의 도장작업실의 구조와 크기에 맞게 조절이 가능 하다.
특히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 상부에는 필터 인출 및 인입구(143)를 커버판재(144)로 개폐되게 하여 장시간 도장 작업실 내부 공기 정화장치를 사용하였을 때 오염된 필터(141) 교환을 용이하게 하였다. 또한 케이스(100’)의 양측면 하단에는 바닥고정용 고정프레임(150)을 설치하여 케이스(100’)를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자와의 접촉으로 케이스가(100) 움직여 연결배관부재(200)나 엘보우배관부재(21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 하였다. 뿐만 아니라 각 케이스(100’)가 엘보우배관부재관 등을 통해 상호 연결 및 분리 가능한 구조이기 때문에,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도장 작업장의 면적이나 구조에 따라 케이스(100’)의 연결개수 및 형태를 다양하게 변형시켜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 2를 참조하면,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으로서, 다수의 분진흡입공(121)을 갖는 케이스(1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에 구획된 필터장착부(14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각 분진흡입공(121) 내부에 구동모터로 구동되어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휀(122’)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141)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를 통해 구비하는 상기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22’)을 포함하는 대상물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는 유체 분사기를 통해 도장, 코팅, 세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공이 수행된다.
상기 유체 분사기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를 제작시 분진 흡기 처리장치를 구성하는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22’)을 포함하는 대상물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대해 도장액, 코팅액, 세척수 중에서 어느 하나의 유체를 분사함에 의해 표면처리하여 제작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분진 흡기 처리장치에서의 분진을 포함하는 각종 이물의 유입에 따른 부착과 기타 오염방지 억제를 가능하게 함으로써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사용에 따른 자체의 유지 보수 관리를 용이하게 하여 종국적으로 흡기 처리장치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유체 분사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후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하며 구동장치가 내설된 노즐제어본체(2)를 구성하되 일측 노즐제어본체(2)의 상부에는 구동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다수의 작동스위치(2a)가 설치된다. 전후 노즐제어본체(2) 간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상기 전후 노즐제어본체(2) 간의 이격 거리는 대상물의 폭 보다 다소 넓게 형성하여 전후 노즐제어본체(2) 사이에 대상물을 충분히 진입하여 위치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전후 노즐제어본체(2) 간의 상측에는 구동장치에 의해 축 회전하는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를 수직으로 나란히 마주하여 설치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서로 대칭되도록 “ㄷ”자 형태로서 구성하여 도 4에서와 같이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가 전후 노즐제어본체(2)를 축으로 하여 양측으로 나누어 회전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전후 노즐제어본체(2)를 중심으로 하여 양측으로 축 회전시켜 전후 노즐제어본체(2) 사이에 대상물이 위치한 상태에서 도장, 코팅, 세척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가공을 위한 유체의 분사가 이루어지므로 기존의 터널식 또는 이동식 에 비해 공간의 활용을 최소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전후 노즐제어본체(2)로부터 수직으로 서로 마주한 상태에서의 대상물을 전후 노즐제어본체(2) 사이로 진입이 용이하도록 함과 아울러 대상물을 중앙에 두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스윙하면서 중앙에 대상물가 위치하게 되므로 부딪침에 전혀 간섭없이 회전과 함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동장치가 설치된 전후 노즐제어본체(2)로부터 축회전되게 결합하여 유체(예: 버블 세제수, 물 세척수, 코팅액, 도장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받아 고압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노즐(8)을 장착되게 구성한다.
좌,우측 노즐분사대(4)(6)는 내식성을 갖는 알루미늄 재질로서 각각“ㄷ”자 형태로서 한 쌍을 이루도록 구성하되,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는 사각 내지 둥근 안내바(10)를 빙둘러 고정 설치하고 안내바(10)에 분사노즐(8)이 장착된 고정편(12)이 볼트로서 체결되게 구성하여 줌으로서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 다수의 분사노즐(8)이 위치하도록 함과 아울러 안내바(10)를 따라 분사노즐(8)의 위치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안내바(10)에 체결되는 고정편(12)에는 분사노즐(8)이 결합하도록 함에 분사노즐(8)이 고정편(12) 상에서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하여 분사방향을 자유롭게 조절하여 줄 수 있도록 장착한다. 그리고 좌,우측 노즐분사대(4)(6) 내에 장착되는 분사노즐(8)에는 외부의 고압펌프(미도시)와 연결하되 상기 유체를 공급하는 제1 호스(8a)와 제2 호스(8b)가 각각 연결되게 구성하여 이를 고압펌프와 솔레노이드밸브(미도시)의 제어 작동에 의하여 분사노즐(8)을 통해 유체(예: 버블 세제수, 물 세척수, 코팅액, 도장액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고압 분사가 이루어지게 한다.
또한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양측으로 회전시켜 대상물을 가공토록 함에 있어,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내측에는 다수의 근접센서(14)를 장착하여 대상물과의 이격거리를 감지하도록 하여 줌으로서 대상물 가공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작동에 따른 부딪힘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한편 상기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전후 노즐제어본체(2)에 축 결합하여 양측으로 회전하는 구동장치를 구성함에,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장치는 전후 노즐제어본체(2) 내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지지하여 양측으로 회전작동하도록 구동축(16)과 피동축(18)을 통해 축 지지하도록 연결하고,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각각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장착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노즐분사대(6)가 서로 연동하에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설치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전후 노즐제어본체(2)의 일측 구동축(16)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정역회전이 이루어지도록 감속모터(20)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감속모터(20)의 구동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를 감속 회전시켜 좌측 노즐분사대(4)와 우측 노즐분사대(6)의 회전이 비교적 저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구동축(16) 상에는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감지봉(22)을 더 구비하여 감지봉(22)이 구동축(16)을 따라 회전하면서 상하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된 리밋스위치(22a)와의 접촉에 의하여 구동축(16)과 피동축(18)에 축 결합하여 회전하는 좌,우측 노즐분사대(4)(6)의 회전각도를 제어해 주도록 한다. 또한 피동축(18) 상에는 링크대(24)를 축 결합하여 구성하되, 링크대(24)는 일측에 설치된 가스 쇽 업소버(26)와 연결되게 결합하여 구동기어(16a)와 피동기어(18a)가 서로 맞물려 회전시에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회전케하는 감속모터(20)의 구동력을 가스 쇽 업소버(26)가 완화시켜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좌,우측노즐분사대(4)(6)가 정역회전시 서로 무게균형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유체 분사기(A)는 구동장치가 장착된 전후 노즐제어본체(2)에 축 결합하도록 하며 수직으로 마주하는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구비하여 전후 노즐제어본체(2) 사이로 대상물를 진입되게 한 후, 대상물을 중심으로 수직상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양측으로 펼쳐지듯이 회전하여 도 10에서와 같이 좌,우측 노즐분사대(4)(6)가 대상물를 중앙에 두고 바깥으로 회전시 내측에 갖는 분사노즐(8)들이 대상물의 상면, 측면, 전,후면에 위치되게 이동하면서 표면 전체에 걸쳐 유체를 고압으로서 골고루 분사한다.
도 11a 내지 도 13은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에 사용되는 유체 분사기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구성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내용을 기반으로 기술적 특징이 있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유체 분사기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노즐제어본체(111);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노즐제어본체(112); 상기 제1 노즐제어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 상기 제2 노즐제어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노즐제어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노즐제어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 일측에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구동시키는 연동몸체(150)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한다.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된다.
도 11은 도 10의 변형예로서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일측 단부에 제1-1 영역체(L11)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1 영역체(L1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1-3 연장영역체(L13)가 구비되며,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와 상기 제1-3 연장영역체(L13)에는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1 수용공간(S1)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일측 단부에 제2-1 영역체(L21)와, 상기 제 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1 영역체(L2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2-3 연장영역체(L23)가 구비된다.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와 상기 제2-3 연장영역체(L23)에는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의 복수로 구비되는 제2 수용공간(S2)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일측 단부에 제3-1 영역체(L31)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는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1 영역체(L31)에서 상기 제1 가동부(121)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3-3 연장영역체(L33)가 구비되며,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와 상기 제3-3 연장영역체(L33)에는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3 수용공간(S3)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일측 단부에 제4-1 영역체(L41)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는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1 영역체(L41)에서 상기 제2 가동부(122)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의 하방에 위치되는 제4-3 연장영역체(L43)가 구비된다.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와 상기 제4-3 연장영역체(L43)에는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 가동부(122)에 복수로 구비되는 제4 수용공간(S4)으로 진입되어 장착된다.
상기 제1-1 연장영역체(L11)와 상기 제1-2 연장영역체(L12)는 상기 제1-1 영역체(L1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1 고정체(1321)가 상기 제1 수용공간(S1)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2-1 연장영역체(L21)와 상기 제2-2 연장영역체(L22)는 상기 제2-1 영역체(L2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 고정체(1331)가 상기 제2 수용공간(S2)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3-1 연장영역체(L31)와 상기 제3-2 연장영역체(L32)는 상기 제3-1 영역체(L3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3 고정체(1421)가 상기 제3 수용공간(S3)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4-1 연장영역체(L41)와 상기 제4-2 연장영역체(L42)는 상기 제4-1 영역체(L41)상에서 일정범위로 상하 유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4 고정체(1431)가 상기 제4 수용공간(S4)에 장착된 상태에서 고정력이 작용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2a : 작동스위치
4 :좌측 노즐분사대
6:우측 노즐분사대
8 : 분사노즐
8a : 제1 호스
8b : 제2 호스
10 : 안내바
12 : 고정편

Claims (8)

  1. 삭제
  2. 다수의 분진흡입공(121)을 갖는 케이스(10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에 구획된 필터장착부(140’)를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각 분진흡입공(121) 내부에 구동모터의 구동을 통해 외부 공기를 케이스(100’) 내부로 흡입하는 흡기휀(122’)을 구비하는 단계; 상기 케이스(100’)의 필터장착부(140’)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필터(141)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분진 흡기 처리장치를 제작하기 위한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22’)을 포함하는 대상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는 유체 분사기를 통해 도장 가공을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케이스(100’), 상기 필터장착부(140’), 상기 흡기휀(122’)을 포함하는 대상물 중에서 적어도 하나에 도장 가공을 수행하기 위한 유체 분사기는,
    다수의 분사노즐(8)이 내측에 장착된 “ㄷ”형태의 좌,우측 노즐분사대(4)(6)를 포함하는 몸체(110); 상기 몸체(110)의 일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1 노즐제어본체(111); 상기 몸체(110)의 타측 하방에 구비되는 제2 노즐제어본체(112); 상기 제1 노즐제어본체(111)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1 연장체(113); 상기 제2 노즐제어본체(112)의 하방에 구비되는 제2 연장체(114); 상기 제1 연장체(113)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1 연장체(113)를 기반으로 상기 제1 노즐제어본체(111)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1 가동부(121); 상기 제2 연장체(114)를 수용하며 수용된 상기 제2 연장체(114)를 기반으로 상기 제2 노즐제어본체(112)를 슬라이딩 방식으로 전후유동시키기 위한 제2 가동부(122);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1 구동부(130);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가동부(121)와 상기 제2 가동부(122) 사이에 당기는 힘을 발생시키거나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도록 구동되는 제2 구동부(140); 일측에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가 일측에 수용되어 연동되며 타측에 상기 우측 노즐분사대(6)가 수용되어 연동되며 상기 좌측 노즐분사대(4)와 상기 우측노즐분사대(6)사 상호간의 거리를 멀어지게 하거나 가까워지게 하도록 구동시키는 연동몸체(150); 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구동부(13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1 수용공간(S1)을 매개로 장착되는 제1 진입모듈(13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2 수용공간(S2)매개로 장착되는 제2 진입모듈(133)과, 양측에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이 연동되며 상기 제1 진입모듈(132)과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1 가동모듈(131)을 포함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은,
    제1 진입축(1321a)과, 상기 제1 진입축(13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1 가압편(13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1 수용공간(S1)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1 돌출구동부(1321c)를 포함하는 제1 고정체(13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1 수용공간(S1)상에서 상기 제1 진입축(13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1 내장가압편(1211)이 구비되며,
    상기 제1 가압편(1321b)은 상기 제1 진입모듈(13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1 내장가압편(1211)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며,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은,
    제2 진입축(1331a)과 상기 제2 진입축(13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2 가압편(13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2 수용공간(S2)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2 돌출구동부(1331c)를 포함하는 제2 고정체(13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2 수용공간(S2)상에서 상기 제2 진입축(13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2 내장가압편(1212)이 구비되며,
    상기 제2 가압편(1331b)은 상기 제2 진입모듈(13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2 내장가압편(1212)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구동부(140)는
    일측 단부에 상기 제1 가동부(121)의 제3 수용공간(S3)매개로 장착되는 제3 진입모듈(142)과,
    일측 단부에 상기 제2 가동부(122)의 제4 수용공간(S4)매개로 장착되는 제4 진입모듈(143)과,
    양측에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이 연동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과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을 진퇴시키기 위한 제2 가동모듈(141)을 포함하며,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은,
    제3 진입축(1421a)과 상기 제3 진입축(142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3 가압편(1421b)을 돌출시켜 상기 제3 수용공간(S3)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3 돌출구동부(1421c)를 포함하는 제3 고정체(1421)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동부(121)는 상기 제3 수용공간(S3)상에서 상기 제3 진입축(142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3 내장가압편(1213)이 구비되며,
    상기 제3 가압편(1421b)은 상기 제3 진입모듈(142)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3 내장가압편(1213)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은,
    제4 진입축(1431a)과 상기 제4 진입축(1431a)에서 상방과 하방으로 제4 가압편(1431b)을 돌출시켜 상기 제4 수용공간(S4)의 내벽을 고정하는 제4 돌출구동부(1431c)를 포함하는 제4 고정체(1431)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가동부(122)는 상기 제4 수용공간(S4)상에서 상기 제4 진입축(1431a)의 상방과 하방을 가압하는 제4 내장가압편(1214)이 구비되며,
    상기 제4 가압편(1431b)은 상기 제4 진입모듈(143)의 후퇴에 기반하여 상기 제4 내장가압편(1214)의 측면부에 걸려 고정 접촉되는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KR1020200023021A 2020-02-25 2020-02-25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KR10224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21A KR102246847B1 (ko) 2020-02-25 2020-02-25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21A KR102246847B1 (ko) 2020-02-25 2020-02-25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847B1 true KR102246847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21A KR102246847B1 (ko) 2020-02-25 2020-02-25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8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381A (ko) * 2010-11-02 2012-05-10 (주)선농 자동 세차장치
KR101548332B1 (ko) 2015-02-03 2015-08-28 유재준 페인트 분진 집진장치
KR20180017785A (ko) * 2016-08-11 2018-02-21 함세용 표면 도장작업용 실내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장치
KR101880717B1 (ko) * 2017-08-18 2018-07-20 (주)티씨에스모터스 친환경 세차 및 에코팅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6381A (ko) * 2010-11-02 2012-05-10 (주)선농 자동 세차장치
KR101548332B1 (ko) 2015-02-03 2015-08-28 유재준 페인트 분진 집진장치
KR20180017785A (ko) * 2016-08-11 2018-02-21 함세용 표면 도장작업용 실내 페인트 분진 흡기 처리장치
KR101880717B1 (ko) * 2017-08-18 2018-07-20 (주)티씨에스모터스 친환경 세차 및 에코팅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88011B (zh) 一种空气净化器
KR102246847B1 (ko) 분진 흡기 처리장치의 제작방법
CN115069678A (zh) 一种可调式激光清洗设备及调节方法
CN116078151B (zh) 一种自动化喷涂线废气处理装置
CN208357345U (zh) 一种连续通过式清洗机
CN101020166A (zh) 一种净化漆雾的喷漆房
CN218078597U (zh) 一种带防护水幕的自动喷涂设备
CN209952506U (zh) 一种低成本高效率的除尘装置
US3813042A (en) Spray booth
CN212855140U (zh) 一种市政房建用防尘装置
CN208049649U (zh) 一种用于聚合物轻质墙板生产的除尘装置
CA2338338A1 (en) Central vacuum cleaning system
CN109746214A (zh) 一种节能环保的金属零件清洗装置
CN109999593B (zh) 一种低成本高效率的除尘装置
CN106110789A (zh) 一种工业除尘装置
RU2161074C1 (ru) Окрасочная камера
CN1915158A (zh) 湿式清洁装置
CN205495096U (zh) 排污组件及采用该排污组件的自清洗过滤器
CN215785077U (zh) 一种制冷设备的防尘装置
CN217490282U (zh) 一种水帘机
CN221062078U (zh) 一种工业用节能环保大气污染治理装置
CN213494567U (zh) 一种汽车喷涂流水线自动喷涂装置
CN221107584U (zh) 一种净化工程用空气净化装置
CN218339350U (zh) 一种空滤除尘器
CN213193066U (zh) 一种市政施工粉尘凝降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