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666B1 - Variable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Variable display devi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6666B1 KR102246666B1 KR1020140089831A KR20140089831A KR102246666B1 KR 102246666 B1 KR102246666 B1 KR 102246666B1 KR 1020140089831 A KR1020140089831 A KR 1020140089831A KR 20140089831 A KR20140089831 A KR 20140089831A KR 102246666 B1 KR102246666 B1 KR 10224666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wire
- display device
- panel module
-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H04N5/645—Mounting of picture tube on chassis or in hous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탄도가 향상된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 배면으로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을때,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특히, 백커버시스템에 평탄도조절부를 더욱 구비하여, 평탄도조절부의 와이어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모듈로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가변형 표시장치의 중앙부에서 소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by being variable in a flat mode and a curved m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flatness.
A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ri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being selectively variable in a flat mode and a curved mode by mounting a back cover system including an angle block module on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rough this, when it is installed in an open space such as an outdoor plaza or an indoor plaza such as an airport or terminal, a wide viewing radius can be implemented if you want to deliver the contents of news, advertisements, etc., which are delivered to many viewers. It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flat-type mode that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curved mode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 and make the image more realistic, and to make the user feel comfortabl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considered.
In particular, the back cover system is further equipped with a flatness control unit, by applying pulling force from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 the display panel module through the wire of the flatness control unit, plastic deformation at the center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Even if this occurs, the flatness can be improv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탄도가 향상된 가변형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used by being variable in a flat mode and a curved mode, and more particularly, to a variable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flatness.
근래에 들어 사회가 본격적인 정보화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대량의 정보를 처리 및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 분야가 급속도로 발전해 왔고, 이에 부응하여 여러 가지 다양한 평판형 표시장치(flat display device)가 개발되어 각광받고 있다. In recent years, as society enters the era of full-scale information, the field of display processing and displaying a large amount of information has rapidly developed, and in response to this, various flat display devices have been developed. Be in the spotlight.
이 같은 평판형 표시장치의 구체적인 예로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평판형 표시장치는 박형화, Specific examples of 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LCD), a plasma display panel device (PDP), a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FED), and an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s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EL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etc. These flat panel display devices are thinner,
경량화, 저소비전력화의 우수한 성능을 보여 기존의 브라운관(Cathode Ray Tube : CRT)을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It is rapidly replacing the existing cathode ray tube (CRT) due to its excellent performance in light weight and low power consumption.
이러한 평판형 표시장치는 고화질, 초박형, 경량화 및 대면적화에 유리한 장점을 가지며, 공간활용성, 인테리어 및 디자인의 장점을 가지며, 다양한 응용분야를 가질 수 있다.Suc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has advantages in high-definition, ultra-thin, lightweight, and large-area, space utilization, interior and design advantages, and can have various application fields.
그리고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가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표시장치(curved display device)가 차세대 표시장치로 급부상 중인데, 곡면형 표시장치는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까지 느끼게 한다. And recently, a curved display device, in which flat panel display devices form a curved surface, is rapidly emerging as a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 Makes you feel comfortable.
곡면형 표시장치는 시청자의 눈에서부터 화면 중심부와 측면까지의 각 거리가 동일해 화면 왜곡과 시야각 끝 부분이 흐려지는 외곽부 인지도 감소 현상이 최소화된다. In the curved display device, since each distance from the viewer's eyes to the center and the side of the screen is the same, distortion of the screen and the reduction of the perception of the outer part where the end of the viewing angle is blurred are minimized.
한편, 최근에는 평판형 표시장치의 장점과 함께 몰입도 향상 및 편안함을 느끼게 하는 곡면형 표시장치의 장점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어지고 있다. Meanwhile, in recent years,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a vari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satisfying all of the advantages of a flat display device, as well as the advantages of a curved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immersion and makes people feel comfortable.
가변형 표시장치는 넓은 시청반경을 필요로 할 때에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감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다.
When a wide viewing radius is required,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flat mod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 the variable display device is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curved mode, so that the user's convenience can be consider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를 모두 구현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1 목적으로 한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o provide a variable display device capable of implementing both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 curved display device.
또한, 곡면형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곡률을 갖도록 구현하고자 하는 것을 제 2 목적으로 하며, 평판형 표시장치와 곡면형 표시장치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소음 및 진동이 최소화되고, 경량 및 박형의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제 3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a curved display device, the second purpose is to implement it so as to have an accurate curvature, and noise and vibration are minimized in the process of changing to a flat panel display device and a curved display device. It is a third object to provide a variable display device.
또한, 평판형 모드에서 평탄도를 향상시키고자 하는 것을 제 4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it is a fourth object to improve the flatness in the flat plate mode.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나,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가변(variable)되는 가변형 표시장치에 있어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다수개의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앵글블럭모듈과; 상기 앵글블럭모듈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앵글블럭모듈의 끝단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평탄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을 잡아 당겨,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중심부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is variable in a flat mode forming a plane or a curved mode forming a curved surface,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It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consists of a drive system including a motor, and a drive system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round the drive system and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angle blocks, so that the angl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s An angle block module to adjust; It is provided in the angle block modu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latness adjustment unit including a wi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ngle block module, the wire is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module By pulling out, it provides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improves the flat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module.
이때,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다수개의 앵글블럭의 일측 또는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평탄도조절홈에 가이드되어 위치하며, 상기 평탄도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한다. At this time, the wire is guided and positioned in a flatness adjusting groove provi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r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angle blocks, and the flatness adjusting part is a part of the wire in a double structure of a spring and the wire. It includes a tension control unit made.
그리고,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타부분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원상태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서부터 상기 와이어의 타부분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가지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곡면형 모드 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tension control unit has one end of the spring connected to a part of the wir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 of the wire, and the original length of the spring is from a part of the wire to the other part of the wire. It has a length shorter than the length of, and the wire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n the curved mode.
여기서,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 당기는 힘은 상기 앵글블럭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가하는 힘에 비해 작으며,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상기 스프링이 늘어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을 따라 팽팽하게 당겨진다. Here, in the curved mode, the pulling force of the wire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s smaller than the force applied by the angle block module to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in the curved mode, the spring It is stretched, and the wire is pulled tight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그리고,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늘어났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평판형 모드에서는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는 처짐이 발생하며, 상기 처짐이 발생된 와이어를 뺀 나머지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평판형 모드로 구현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의 길이방향과 대응된다. In addition, the spring that was stretched in the curved mod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flat mode, the wire is sagging, and the length of the wire remaining after the wire on which the sagging has occurred is implemented in the flat mode. It corresponds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이때, 상기 평판형 모드에서 상기 모터를 더욱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을 따라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며, 상기 와이어에는 턴버클(turnbuckle)이 구비된다. In this case, the motor is further rotated in the flat-panel mode so that the wire is pulled tightly along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a turnbuckle is provided on the wire.
여기서,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다수개의 블럭유닛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유닛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며 한쌍의 링크(link)와, 상기 한쌍의 링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앵글블럭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럭유닛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이 위치하며, 상기 앵글블럭은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된다. Here, the angle block module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ock units, each block unit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system and including a pair of links and the angle block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inks, each A shaft bearing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nks and mounted with a roller is positioned between the block units of the angle block, and the angle block is formed by protruding a protruding end from the first edge, and the protruding from the second edge. A stepped jaw into which the step is inserted is formed.
그리고, 상기 돌출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단턱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베어링은 상기 롤러가 상기 단턱 상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홈에 끼움되어 가이드된다. In addition, the protruding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play panel module toward the end, and stepped side surfaces with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and the shaft bearing includes the roller on the stepped. It is located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groove and guided.
또한, 상기 단턱에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끝단에는 상기 샤프트베어링의 걸림턱이 구비되며,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일단은 연장되어 베어링홈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블럭유닛의 서로 밀착되는 링크의 상기 베어링홈이 형성된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In addition, a groove for guiding the roller is formed in the stepped jaw, and a locking jaw of the shaft bearing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tep, and each end of the pair of links is extended to form a bearing groove, and a neighboring block One end of the link of the unit in which the bearing groove is formed is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이때, 상기 구동시스템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한쌍의 링크로 전달하는 기어(gear)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the drive system includes the motor and a gear for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pair of links, and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nks is formed in the gear.
위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패널모듈 배면으로 앵글블럭모듈을 포함하는 백커버시스템을 장착하여,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는 가변형 표시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을때,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ack cover system including an angle block module is mounted on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ereby provid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can be selectively variable in a flat mode and a curved mode. By doing so, when it is installed in an open space such as an outdoor plaza, or an indoor plaza such as an airport or terminal, a wide viewing radius can be implemented if you want to deliver the contents of news, advertisements, etc., which are delivered to many viewers. It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flat-panel mode, and to improve the immersion and make the image more realistic to the user, and to make the user feel comfortable, it can be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curved mode, which increases the user's convenience. There are effects that can be considered.
또한, 백커버시스템에 평탄도조절부를 더욱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가변형 표시장치의 중앙부에서 소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by further including a flatness adjusting unit in the back cover system, even if plastic deformation occurs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there is an effect of improving the flatness.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장착된 백커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앵글블럭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5a ~ 5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1A to 1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show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surfac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ck cover system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a display panel modul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the angle block module.
5A to 5G are diagram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driving stat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a flat mode to a curved mod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a ~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배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1A to 1B are perspective views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rear surfac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크게 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과,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수용하는 외장케이스(120)와, 외장케이스(120)의 하단부나 배면부에 연결되어 책상이나 벽면에 고정되도록 형성된 받침대(13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LCD), 플라즈마표시장치(Plasma Display Panel device : PDP), 전계방출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 FED), 전기발광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ELD), 유기발광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 OLED) 중의 하나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을 포함하는데, 종이처럼 휘어져도 표시성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플렉서블(flexible) 표시장치의 대표주자인 OLED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OLED는 자발광소자로서, 비발광소자인 액정표시장치에 사용되는 백라이트가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경량 박형이 가능하다. OLED is a self-luminous device, and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backlight used in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that is a non-light-emitting device, it is possible to have a lightweight and thin form.
그리고, 액정표시장치에 비해 시야각 및 대비비가 우수하며, 소비전력 측면에서도 유리하며, 직류 저전압 구동이 가능하고, 응답속도가 빠르며, 내부 구성요소가 고체이기 때문에 외부충격에 강하고, 사용 온도범위도 넓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In addition, it has superior viewing angle and contrast ratio compared to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power consumption, is capable of direct current low voltage drive, has a fast response speed, and is resistant to external shocks because the internal components are solid, and has a wide operating temperature range. It has an advantage.
특히, 제조공정이 단순하기 때문에 생산원가를 기존의 액정표시장치 보다 많이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particular, sinc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simpl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production cost can be reduced more than that of the existing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이러한 OLED로 이루어지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기판과, 제 1 기판과 마주하는 제 2 기판으로 구성되며, 제 1 및 제 2 기판은 접착성을 갖는 보호층을 통해 서로 이격되어 합착된다. A display panel made of such an OLED is composed of a first substrate and a second substrate facing the first substrate, and the first and second substrat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rough a protective layer having adhesive properties and are bonded to each other.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를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제 1 기판의 상부에는 각 화소영역 별로 구동 박막트랜지스터가 형성되어 있고, 각각의 구동 박막트랜지스터와 연결되는 제 1 전극과 제 1 전극의 상부에 특정한 색의 빛을 발광하는 유기발광층과, 유기발광층의 상부에는 제 2 전극이 구성된다. Although not shown, if you look at this in more detail,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are formed for each pixel area on the top of the first substrate, and light of a specific color is emitted above the first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each of the driving thin film transistors.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and a second electrode are formed on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유기발광층은 적, 녹, 청의 색을 표현하게 되는데,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각 화소마다 적, 녹, 청색을 발광하는 별도의 유기물질을 패턴하여 사용한다.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expresses the colors of red, green, and blue. As a general method, a separate organic material emitting red, green, and blue light is patterned and used for each pixel.
이들 제 1 및 제 2 전극과 그 사이에 형성된 유기발광층은 발광다이오드를 이루게 된다. 이때, 이러한 구조를 갖는 디스플레이패널은 제 1 전극을 양극(anode)으로 제 2 전극을 음극(cathode)으로 구성하게 된다. Thes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and the organic light emitting layer formed therebetween constitute a light emitting diode. In this case, a display panel having such a structure includes a first electrode as an anode and a second electrode as a cathode.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은 백커버와 커버윈도우를 통해 모듈화되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이루게 되는데, 백커버는 디스플레이패널의 배면과 측면 일부를 덮는 형상으로, 전면이 개구되어 디스플레이패널에서 구현되는 화상을 표시하도록 구성한다. Such a display panel is modularized through a back cover and a cover window to form the
그리고, 백커버의 개구된 전면에는 디스플레이패널을 보호할 수 있는 커버윈도우가 조립 체결된다. In addition, a cover window capable of protecting the display panel is assembled and fastened to the opened front surface of the back cover.
이러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판형으로 이루어지는 평판형 모드(flat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넓은 시청반경을 갖게 되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에서 구현되는 화상에 의한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게 된다. In the
이와 반대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도 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만곡(彎曲)된 곡면부를 갖는 곡면형 모드(curved mode)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시청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게 되고 화상 또한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할 수 있다. On the contrary, the
즉,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variable)할 수 있어,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의 표시장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That is, the
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 즉,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backcover system : 200)에 의한 것으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200)에 의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This is due to a
이에 대해 이하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We will look at this in more detail below.
도 3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에 장착된 백커버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앵글블럭모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back cover system mounted on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n angle block module.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의 배면에 장착되는데, 백커버시스템(200)은 크게 앵글블럭(angle block)모듈(210)과 앵글블럭모듈(210)에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시스템(220) 그리고 평탄도조절부(300)로 이루어진다. As shown, the
여기서, 앵글블럭모듈(210)에는 앵글블럭(213)과, 구동시스템(220)으로부터 전달되는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키는 한쌍의 링크(link : 215)를 포함하는 블럭유닛(211)이 다수개 나란하게 배열되며, 각각의 블럭유닛(211) 사이에는 각 링크(215)를 연결하면서 서로 맞닿는 다수의 앵글블럭(213)의 가장자리를 상승 및 하강시키는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 : 217, 도 4 참조)이 위치한다. Here, the
그리고, 구동시스템(220)은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motor : 221)와 모터(221)의 회전운동을 링크(215)로 전달하는 기어(gear : 223)로 이루어진다. And, the
이러한 앵글블럭모듈(21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도 4를 참조하여 앵글블럭모듈(210)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앵글블럭모듈(210)은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이 나란하게 배열되어 위치하며, 각각의 블럭유닛(211a, 211b)은 앵글블럭(213a, 213b)과 앵글블럭(213a, 213b)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쌍의 링크(215a, 215b)를 포함한다. The
즉, 한쌍의 제 1 링크(215a) 사이로 제 1 앵글블럭(213a)이 위치하는 제 1 블럭유닛(211a)이 위치하며, 제 1 블럭유닛(211a)의 일측으로는 한쌍의 제 1 링크(215a)와 연결되는 제 2 링크(215b)와 제 2 링크(215b) 사이에 위치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을 포함하는 제 2 블럭유닛(211b)이 위치한다. That is, a
그리고, 제 1 및 제 2 블럭유닛(211a, 211b) 사이 즉, 제 1 및 제 2 앵글블럭(213a, 213b) 사이에는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길이방향에 수직하게 샤프트베어링(217)이 위치하는데,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은 샤프트베어링(217)을 통해 연결된다. 즉,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에는 서로 대응되는 베어링홈(219)이 형성되어 있다. In addition, between the first and
따라서, 샤프트베어링(217)이 베어링홈(219)에 모두 끼움 삽입됨으로써,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은 샤프트베어링(217)을 통해 연결되게 된다. Therefore, the shaft bearing 217 is inserted into the bearing
이때,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은 링크(215a, 215b)의 내측과 외측으로부터 링크(215a, 215b)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를 갖도록 연장되어 형성되어, 서로 밀착되는 각 링크(215a, 215b)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된다. At this time,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즉, 제 1 링크(215a)의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연장부는 제 1 링크(215a)의 외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 1 링크(215a)와 밀착되는 제 2 링크(215b)의 베어링홈(219)이 형성된 연장부는 제 2 링크(215b)의 내측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That is, the extension portion in which the
따라서,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제 2 링크(215b)의 타단은 서로 맞물리는 구조를 갖게 되는데, 이를 통해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는 서로 일직선을 이루도록 장착되어, 이의 연결부에 의한 앵글블럭모듈(210)의 부피가 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one end of the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은 각각 링크(215a, 215b)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장변의 두 가장자리와, 장변의 두 가장자리에 수직하며 두 가장자리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단변의 두 가장자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형 형태로 이루어지며, 단변의 일 가장자리에는 돌출단(212)이 돌출되어 형성된다. Each of the plurality of
돌출단(212)은 앵글블럭(213a, 213b)의 두께에 비해 얇은 두께로 이루어지며, 앵글블럭(213a, 213b)의 폭에 비해 얇은 폭을 갖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끝단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를 향해 일정각 기울어져 형성된다. The
여기서,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형성된 일 가장자리를 제 1 가장자리라 정의하고, 제 1 가장자리와 대향되는 타 가장자리를 제 2 가장자리라 정의하면, 단변의 제 2 가장자리에는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끼움 조립되는 단턱(214)이 구비된다.Here, if one edge on which the protruding ends 212 of the angle blocks 213a and 213b are formed is defined as a first edge, and the other edge facing the first edge is defined as a second edge, the second edge of the short side is adjacent to the second edge. A stepped
단턱(214)은 돌출단(212)의 폭과 두께에 대응하여 계단형태로 단차져 형성되는데, 단턱(214)의 양측으로 단턱측면(214a)이 구비된다. The stepped 214 is stepped in a stepp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width and thickness of the
이때, 앵글블럭(213a, 213b)에는 다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앵글블럭모듈(21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어,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경량을 구현할 수 있다. In this case,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in the angle blocks 213a and 213b. Through this, the weight of the
이웃하는 블럭유닛(211a, 211b) 사이에 위치하는 샤프트베어링(217)은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일단 및 타단을 연결한다. The
이때, 샤프트베어링(217)은 단턱(214) 상에 위치하여 이의 양단은 앵글블럭(215a, 215b)의 단턱측면(214a)에 구비되며 단턱측면(214a)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214b)에 끼움되어 가이드된다. At this time, the shaft bearing 217 is located on the stepped 214, and both ends thereof are provided on the stepped
즉, 샤프트베어링(217)은 양단이 단턱측면(214a)에 형성된 홈(214b)에 끼움 삽입된 상태로 양단은 각각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의 베어링홈(219)에 끼움 삽입된다. That is, the shaft bearing 217 has both ends inserted into the
이러한 샤프트베어링(217)에는 롤러(217a)가 장착구비되어, 샤프트베어링(217)은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되도록 가이드하는 역할과 함께, 한쌍의 제 1 및 제 2 링크(215a, 215b)로 전달되는 직선운동에 의한 구동력을 전달받아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된 이웃하는 앵글블럭(213a, 213b)의 각 제 1 및 제 2 가장자리를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리는 역할을 하게 된다. The
이때, 단턱(214)에는 롤러(217a)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214c)이 더욱 형성될 수 있으며, 단턱(214)의 끝단에는 걸림턱(214d)이 구비되어 샤프트베어링(217)과 롤러(217a)가 단턱(214)의 외부로 빠짐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At this time, a
이러한 앵글블럭모듈(210)은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의 양측 가장자리가 상승 및 하강하게 됨에 따라, 백커버시스템(200)은 전체적으로 만곡(彎曲)된 형태를 갖게 되거나 평평한 형태를 갖게 된다. Such an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 배면에 장착되는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해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선택적으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in FIG. 2) is in a flat mode and a curved mode through the
여기서,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각 앵글블럭모듈(210)에는 평탄도조절부(300)가 구비되는데, 평탄도조절부(300)는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가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에서,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Here, each
이러한 평탄도조절부(300)는 와이어(310)를 포함하는데, 와이어(310)는 앵글블럭모듈(210)의 다수의 앵글블럭(213)의 일측 또는 양측으로 다수개의 앵글블럭(21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평탄도조절홈(320, 도 5f 참조)에 가이드되어 위치한다. The
와이어(310)는 일단이 모터(221)와 연결되며 타단은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된 앵글블럭모듈(210)의 끝단과 연결되며, 이러한 평탄도조절부(300)는 와이어(310)의 일부분이 스프링(330)과 와이어(310)의 2중구조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절부(A)를 포함한다. The
즉, 앵글블럭모듈(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평탄도조절홈(320, 도 5f 참조)에 가이드되는 평탄도조절부(300)는 와이어(310)의 일부분에 스프링(330)의 일단이 연결되고, 와이어(310)의 타부분에 스프링(330)의 타단이 연결되는데, 스프링(330)의 길이는 와이어(310)의 일부분에서부터 와이어(310)의 타부분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That is, the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는 앵글블럭모듈(210)에 구비된 와이어(310)는 만곡(彎曲)된 형태의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배면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구비된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는 이러한 평탄도조절부(300)를 통해 평판형 모드로 동작하는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평탄도를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The variable display device (100 in FIG. 2) according to the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mproves the flatness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100 in FIG. 2) operating in the flat-panel mode through the
여기서, 백커버시스템(200)을 통한 가변형 표시장치(도 2의 100)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모습과 함께 평판형 모드에서 평탄도가 더욱 향상되는 모습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Here, let's take a closer look at a state in which the flatness of the variable display device (100 in FIG. 2) through the
이에 대해 도 5a ~ 5g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다.
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5A to 5G.
도 5a ~ 5g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의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구동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앵글블럭모듈을 중점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5A to 5G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a driving state of a variabl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the driving mode is changed from a flat mode to a curved mode,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 angle block module will be focused. .
도 5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의 배면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는데, 백커버시스템(도 4의 200)의 앵글블럭모듈(210)은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어 장착된다. As shown in FIG. 5A, the
이때, 앵글블럭모듈(210)의 각 블럭유닛(211a, 211b, 211c)이 각각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에 고정되어 있다. At this time, each of the
여기서, 모터(221)를 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기어(223)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기어(223)의 회전력이 앵글블럭모듈(210)의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Here, when the
이때, 기어(223)에는 회전력에 대응하는 가이드홈(223a)이 형성되어 있으며, 가이드홈(223a)에 한쌍의 제1 링크(215a)가 연결되어, 기어(223)가 회전함에 따라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가이드홈(223a)의 일단으로부터 타단으로 이동되어지면서 기어(223)의 회전력이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 At this time, a guide groove (223a)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al force is formed in the
이때, 앵글블럭모듈(210)이 구동시스템(220)의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어 장착됨에 따라, 기어(223)에는 서로 대향되는 2개의 가이드홈(223a)이 형성되며, 각 가이드홈(223a)에 구동시스템(220)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앵글블럭모듈(210)의 한쌍의 제 1 링크(215a)가 각각 연결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된 회전력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도 5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링크(215a)는 구동시스템(220)으로부터 반대측,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 X축 방향으로 전진하게 되는데, 이때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게 됨에 따라 발생되는 힘과 제 1 및 제 2 앵글블럭(213a, 213b)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에 고정된 힘이 상충되어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연결되는 제 2 링크(215b)의 타단의 연결부는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인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pair of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이 제 1 링크(215a)가 전진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한쌍의 제 1 링크(215a)의 일단과 한쌍의 제 2 링크(215b)의 타단을 연결하는 샤프트베어링(217)도 함께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게 된다. As one end of the pair of
이때, 샤프트베어링(217)이 들어올려지게 됨에 따라 샤프트베어링(217)에 의해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은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 끼움 삽입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shaft bearing 217 is lifted, the
또한,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이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 끼움 삽입되는 과정에서 샤프트베어링(217)이 계속해서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도 5c ~ 5d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이 형성된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이 형성된 제 2 가장자리도 함께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In addition, while the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짐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As the second edge of the
이때, 돌출단(212)은 끝단으로 갈수록 디스플레이패널모듈(도 2의 110)의 백커버를 향해,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Z축 방향으로 일정각 기울어져 형성됨에 따라, 돌출단(212)이 단턱(214)에 끼움 삽입될 경우 돌출단(212)에 의해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는 눌림이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따라서,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더욱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Accordingly, the first edge of the
이때,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내려감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에 이웃하며,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에 형성된 돌출단(212)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214)이 형성된 제 3 앵글블럭(213c)의 제 2 가장자리도 -Z축 방향으로 내려가게 된다. At this time, as the first edge of the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제 2 가장자리가 -Z축 방향으로 내려간 제 3 앵글블럭(213c)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Z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되며, 이와 같은 현상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에 모두 연계되어 작용되게 된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first edge of the
이와 같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제 1 및 제 2 가장자리가 상승 및 하강하게 됨에 따라,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상승된 각도 및 하강된 각도만큼 앵글블럭(213a, 213b, 213c)이 고정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각도도 조절되게 된다. In this way, as the first and second edges of the plurality of
그리고, 구동시스템(220)의 타측에 장착된 앵글블럭모듈(210) 또한 위와 같이 구동됨에 따라, 이와 같은 백커버시스템(200)이 배면에 장착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도 5e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수직방향을 기준으로 만곡(彎曲)된 형태를 갖게 된다. In addition, as the
따라서,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Therefore, a curved mode is implemented.
여기서, 본 발명의 백커버시스템(200)은 앵글블럭모듈(210)을 각각 앵글블럭(213a, 213b, 213c)을 포함하는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 211c)으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블럭유닛(211a, 211b, 211c)이 각각 하나의 관절 역할을 하게되어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는 과정에서 정확한 곡률을 갖도록 할 수 있다. Here, the
즉, 각각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의 상승 및 하강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원하는 곡률을 구현할 수 있다.That is,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rising and falling angles of each of the angle blocks 213a, 213b, 213c, so that a desired curvature can be realized.
여기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만곡(彎曲)된 형태로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되면, 도 5f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된 각 앵글블럭모듈(210)에 구비되어, 일단이 구동시스템(220)의 모터(221)와 연결되고 타단은 앵글블럭모듈(210)의 끝단과 연결되는 와이어(310)를 포함하는 평탄도조절부(300)는 스프링(330)이 탄성력에 의해 늘어남과 동시에 와이어(310)가 만곡(彎曲)된 형태의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을 따라 팽팽하게 당겨지게 된다. Here, when the
따라서,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로는 장력이 부여되게 되는데, 이를 통해 평탄도조절부(300)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Therefore, tension is applied to the
이를 통해 가변형 표시장치(100)가 곡면형 모드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만곡(彎曲)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중앙부의 평탄도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urther improve the flatness of the central portion of the
이때, 평탄도조절부(300)를 통해 가해지는 와이어(310)의 장력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만곡(彎曲)되도록 앵글블럭모듈(210)을 통해 가하는 힘에 비해 적어,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곡면형 모드를 구현하면서도 중앙부의 평탄도만이 향상되게 된다. At this time, the tension of the
이와 반대로, 곡면형 모드에서 평판형 모드로 가변하고자 할 경우에는, 구동시스템(220)의 모터(221)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기어(2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가이드홈(223a)의 타단에 위치하던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가이드홈(223a)의 일단으로 이동되어지면서 기어(223)의 회전력이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되게 된다. On the contrary, in the case of changing from the curved mode to the flat mode, when the
한쌍의 제 1 링크(215a)로 전달된 회전력은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한쌍의 제 1 링크(215a)는 구동시스템(220)측 즉, 도면상으로 정의한 -X축 방향으로 후진하게 된다.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pair of
한쌍의 제 1 링크(215a)가 후진함에 따라 +Y 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졌던 샤프트베어링(217)이 하강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제 1 앵글블럭(213a)의 돌출단(212)은 이웃하는 제 2 앵글블럭(213b)의 단턱(214)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제 1 앵글블럭(213a)의 제 1 가장자리와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도 하강하게 된다. As the pair of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2 가장자리가 하강함에 따라 제 2 앵글블럭(213b)의 제 1 가장자리는 반작용에 의해 +Y축 방향으로 들어올려지게 된다. As the second edge of the
이와 같은 현상이 다수의 앵글블럭(213a, 213b, 213c)에 모두 연계되어 작용되어, 앵글블럭모듈(210)은 모두 일직선 상에 위치하게 된다. This phenomenon is operated in connection with all of the plurality of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전체적으로 평평한 평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Accordingly, the
이때,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이 평평한 평면형 모드를 구현하게 되면, 도 5g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탄도조절부(300)의 늘어났던 스프링(330)은 원상태로 복원되게 되고, 만곡(彎曲)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을 따라 팽행하게 당겨졌던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는 처짐이 발생하게 된다. At this time, when the
와이어(310)는 스프링(330)에 의해 장력조절부(도 3의 A)에서만 처짐이 발생하게 되어, 와이어(310)의 처짐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와이어(310)가 모터(221) 등으로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
여기서, 스프링(330)의 일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10)의 일부분과 스프링(330)의 타단이 연결되는 와이어(310)의 타부분을 제외한 와이어(310)의 길이와 탄성력이 부여되지 않아 늘어나지 않은 스프링(330)의 길이는 평평하게 평면형 모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의 길이방향과 대응되게 된다. Here, the length and elastic force of the
이때, 모터(221)를 반시계방향으로 더욱 구동시키면, 평탄도조절부(300)의 늘어나지 않은 스프링(330)과 와이어(310)로 장력이 부여되게 된다.At this time, when the
이를 통해, 평탄도조절부(300)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 당기는 힘을 가하게 된다. 따라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은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당기는 힘에 의해 평탄도가 향상된 평판형 모드를 구현하게 된다. Through this, the
이에 대해 좀더 자세히 살펴보면,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곡면형 모드와 평판형 모드로 반복하여 가변하게 되면, 앵글블럭모듈(210)이 구동시스템(22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됨에 따라 구동시스템(220)이 장착되는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중앙부에는 피로에 의한 응력이 집중되게 된다. Looking at this in more detail, when the
따라서, 응력이 집중된 이러한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계속해서 곡면형 모드와 평판형 모드로 가변하게 되면, 응력이 집중된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중앙부에서는 강성 저하로 인하여 가변형 표시장치(100) 자체의 휨과 같은 소성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이러한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중앙부에서의 소성변형에 의해 곡면형 모드 또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되는 과정에서, 중앙부에서의 평탄도가 낮아지게 된다. When th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시스템(200)에 평탄도조절부(300)를 구비하여,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중앙부에서 소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Therefore, the
한편,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에는 턴버클(turnbuckle : 340)과 같은 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조임기구가 구비될 수 있는데, 턴버클(340)은 길이방향의 양끝단으로 나사막대를 가진 부품으로 일단의 수나사는 오른나사로, 타단의 수나사는 왼나사로 되어 있어, 암나사가 있는 부품, 즉 조절너트를 회전하면 2개의 수나사는 서로 접근하고, 회전을 반대로 하면 멀어지도록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이를 통해,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를 장시간 사용하여 와이어(310)의 장력이 떨어지게 되면, 이때 턴버클(340)을 통해 와이어(31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rough this, when the tension of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배면으로 백커버시스템(200)을 장착함으로써,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을 선택적으로 평면을 이루는 평판형 모드로부터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여 사용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즉, 실외의 광장과 같은 개방된 공간 또는 공항, 터미널 등의 실내 광장에 설치되었어 많은 시청자들에게 구현되는 화상이 전달하는 뉴스, 광고 등의 내용을 전달하고자 할 경우에는 넓은 시청반경을 구현할 수 있는 평판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며, 사용자로 하여금 몰입도를 보다 향상시키고 화상이 보다 실감나도록 하여,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게 하기 위해서는 곡면형 모드로 구현하여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f it is installed in an open space such as an outdoor plaza or an indoor plaza such as an airport or terminal and wants to deliver the contents of news, advertisements, etc., which are delivered to many viewers, a reputation that can realize a wide viewing radius It is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type mode, and in order to improve the user's immersion and make the image more realistic, and to make the user feel comfortable, it is implemented and operated in a curved mode.
따라서, 사용자는 하나의 본원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를 통해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를 모두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user can selectively implement and use both the flat type mode and the curved type mode according to convenience through the variable
여기서,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로 가변하는 과정에서 진동과 소음이 거의 발생되지 않으며, 백커버시스템(200)이 구동시스템(220)과 앵글블럭모듈(210)로만 이루어지며, 앵글블럭모듈(210)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백커버의 배면에 직접 장착됨에 따라 백커버시스템(200)이 가변형 표시장치(100) 내에서 차지하는 부피 및 무게가 최소화되어, 본 발명의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평판형 모드와 곡면형 모드를 가변하면서도 경량 및 박형을 구현할 수 있다. Here, in the
여기서, 백커버시스템(200)은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양측 길이방향을 따라 장착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표시장치(100)는 백커버시스템(200)에 평탄도조절부(300)를 더욱 구비하여, 평탄도조절부(300)의 와이어(310)를 통해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디스플레이패널모듈(110)로 잡아당기는 힘을 가하게 됨으로써, 가변형 표시장치(100)의 중앙부에서 소성변형이 발생하더라도 평탄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In particular, the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가변형 표시장치
110 : 디스플레이패널
200 : 백커버시스템
300 : 평탄도조절부(310 : 와이어, 320 : 평탄도조절홈, 330 : 스프링, 340 : 턴버클)100: variable display device
110: display panel
200: back cover system
300: flatness adjustment unit (310: wire, 320: flatness adjustment groove, 330: spring, 340: turnbuckle)
Claims (18)
디스플레이패널모듈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으로 장착되며, 모터(motor)를 포함하는 구동시스템과, 상기 구동시스템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대향 배치되며 다수개의 앵글블럭(angle block)으로 이루어져,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각도를 조절하는 앵글블럭모듈과;
상기 앵글블럭모듈에 구비되며, 일단이 상기 모터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앵글블럭모듈의 끝단과 연결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평탄도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을 잡아 당겨,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중심부의 평탄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와이어는 상기 다수개의 앵글블럭의 일측 또는 양측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평탄도조절홈에 가이드되어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In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is variable in a flat mode forming a plane or a curved mode forming a curved surface,
A display panel module;
The display panel module is moun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e driving system including a motor, and the driving system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and are composed of a plurality of angle blocks, so that the angl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s adjusted. An angle block module to adjust;
It is provided in the angle block modul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motor and the other end includes a flatness control unit including a wi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angle block module,
The wire pulls both ends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reby improving the flatness of the center of the display panel module,
The wire is guided and positioned in a flatness adjusting groove provid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one or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angle blocks.
상기 평탄도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이 스프링과 상기 와이어의 2중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력조절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flatness control unit includes a tension control unit in which a portion of the wire is formed of a double structure of a spring and the wire.
상기 장력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 상기 스프링의 일단이 연결되고, 상기 와이어 타부분에 상기 스프링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스프링의 원상태의 길이는 상기 와이어의 일부분에서부터 상기 와이어의 타부분까지의 길이에 비해 짧은 길이를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tension control unit has one end of the spring connected to a part of the wire, the other end of the spring is connected to the other part of the wire, and the original length of the spring is a length from a part of the wire to the other part of the wire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has a shorter length than that of.
상기 와이어는 상기 곡면형 모드 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의 길이방향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wire is a variable display device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a length direction of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n the curved mode.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상기 와이어가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길이방향의 양측 끝단에서 잡아 당기는 힘은 상기 앵글블럭모듈이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에 가하는 힘에 비해 작은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In the curved mode, a force that the wire pulls at both end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s smaller than a force applied by the angle block module to the display panel module.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상기 스프링이 늘어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을 따라 팽팽하게 당겨지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3,
In the curved mode, the spring is stretched, and the wire is tensioned alo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상기 곡면형 모드에서 늘어났던 상기 스프링은 상기 평판형 모드에서는 원상태로 복원하게 되고, 상기 와이어는 처짐이 발생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7,
The spring extended in the curved mode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in the flat mode, and the wire sags.
상기 처짐이 발생된 와이어를 뺀 나머지 상기 와이어의 길이는 상기 평판형 모드로 구현된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의 길이방향과 대응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8,
A variable display device having a length of the remaining wires obtained by subtracting the sagging wires corresponding to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implemented in the flat-panel mode.
상기 평판형 모드에서 상기 모터를 더욱 회전시켜 상기 와이어를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의 배면을 따라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9,
In the flat-panel mode, the motor is further rotated so that the wire is pulled tightly along a rea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module.
상기 와이어에는 턴버클(turnbuckle)이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A variable display device provided with a turnbuckle on the wire.
상기 앵글블럭모듈은 다수개의 블럭유닛으로 이루어지는데, 각각의 블럭유닛은 상기 구동시스템과 연결되며 한쌍의 링크(link)와, 상기 한쌍의 링크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앵글블럭을 포함하며, 각각의 블럭유닛 사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를 연결하며 롤러가 장착된 샤프트베어링(shaft bearing)이 위치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angle block module consists of a plurality of block units, each block unit being connected to the driving system and including a pair of links and the angle block positioned between the pair of links, each block A variable display device that connects the plurality of links between units and a shaft bearing on which a roller is mounted is located.
상기 앵글블럭은 상기 제 1 가장자리에 돌출단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제 2 가장자리에 상기 돌출단이 끼움 삽입되는 단턱이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The angle block is formed with a protruding end protruding from the first edge, and a stepped portion through which the protruding en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dge.
상기 돌출단은 끝단으로 갈수록 상기 디스플레이패널모듈을 향해 기울어져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protruding end is formed to be inclined toward the display panel module toward an end.
상기 단턱의 양측으로는 길이방향을 따라 홈이 형성된 단턱측면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베어링은 상기 롤러가 상기 단턱 상에 위치하며 양단이 상기 홈에 끼움되어 가이드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The stepped side surfaces having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tepped, and the shaft bearing is guided by the rollers being positioned on the stepped and both ends of the shaft being inserted into the grooves.
상기 단턱에는 상기 롤러를 가이드하기 위한 홈이 형성되며, 상기 단턱의 끝단에는 상기 샤프트베어링의 걸림턱이 구비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3,
A variable display device in which a groove for guiding the roller is formed in the stepped step, and a locking step for the shaft bearing is provided at an end of the stepped step.
상기 한쌍의 링크의 각 일단은 연장되어 베어링홈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블럭유닛의 서로 밀착되는 링크의 상기 베어링홈이 형성된 일단은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가변형 표시장치.
The method of claim 12,
Each end of the pair of links is extended to form a bearing groove, and one end of the link of adjacent block units on which the bearing groove is formed is formed to engage with each other.
상기 구동시스템은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한쌍의 링크로 전달하는 기어(gear)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에는 상기 다수의 링크와 연결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된 가변형 표시장치.The method of claim 12,
The drive system includes the motor and a gear that transmits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the pair of links, and the gear has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links.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9831A KR102246666B1 (en) | 2014-07-16 | 2014-07-16 | Variable display device |
EP14197145.7A EP2940552B1 (en) | 2014-04-29 | 2014-12-10 | Adjustable display device |
TW103144150A TWI555943B (en) | 2014-04-29 | 2014-12-17 | Adjustable display device |
JP2014257138A JP5947366B2 (en) | 2014-04-29 | 2014-12-19 | Variable display device |
US14/577,516 US9123290B1 (en) | 2014-04-29 | 2014-12-19 | Adjustable display device |
CN201410817866.1A CN105047090B (en) | 2014-04-29 | 2014-12-24 | adjustable display devi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9831A KR102246666B1 (en) | 2014-07-16 | 2014-07-16 | Variable display devic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775A KR20160009775A (en) | 2016-01-27 |
KR102246666B1 true KR102246666B1 (en) | 2021-04-30 |
Family
ID=55309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9831A KR102246666B1 (en) | 2014-04-29 | 2014-07-16 | Variable display devi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666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75623B1 (en) * | 2018-11-30 | 2023-09-05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module |
WO2021049688A1 (en) * | 2019-09-11 | 2021-03-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WO2022255501A1 (en) * | 2021-05-29 | 2022-12-08 | (주)에이유플렉스 | Variable display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01196B1 (en) * | 2011-12-19 | 2014-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
2014
- 2014-07-16 KR KR1020140089831A patent/KR102246666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9775A (en) | 2016-01-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947366B2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KR102273718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flat mode and curved mode the same | |
KR102068769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flat mode and curved mode the same | |
CN104112399B (en) | Flexible display device and its control method | |
US9818335B2 (en) | Display with apparatus for compensating image and display assembly | |
US20080303982A1 (en) | Double-side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493577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US20140232757A1 (en) |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 |
KR102409701B1 (en) | Foldable display device | |
KR102246666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KR102209411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a flat mode and curved mode the same | |
CN102708760A (en) | Device for eliminating joints of mosaic display screen | |
CN108878493A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KR102262773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JP6263747B2 (en) | Imag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mage display device | |
KR102217995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CN109817667A (en) | OLED display panel and OLED display | |
KR20230089174A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KR102199172B1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KR102173903B1 (en) | Laminate apparatus | |
WO2021077328A1 (en) | Backlight module and display device | |
KR20220072346A (en) | Variable display device | |
KR20160059836A (en) | Display apparatu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