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25B1 -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 Google Patents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25B1
KR102246325B1 KR1020200057763A KR20200057763A KR102246325B1 KR 102246325 B1 KR102246325 B1 KR 102246325B1 KR 1020200057763 A KR1020200057763 A KR 1020200057763A KR 20200057763 A KR20200057763 A KR 20200057763A KR 102246325 B1 KR102246325 B1 KR 1022463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itter
weight
gel
gel composition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7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미숙
이대범
Original Assignee
이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미숙 filed Critical 이미숙
Priority to KR1020200057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1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5Polyes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3/00Manicure or pedicure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에 관한 것으로서, 발명에 따른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글리터가 날리지 않으면서 용기에 보관이 용이한 적정한 점도를 가지며,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도 겔이 굳지 않아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UV 경화시 반응열이 높아지지 않아 시술이 용이하고, 경화 후 강도가 적당하여 표면 불량이 발생하거나 묻어나지 않고,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GEL COMPOSITION FOR STORAGE OF GLITTER AND GLITTER GEL USING SAME}
본 발명은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글리터가 날리지 않도록 겔 형태로 보관할 수 있으며 장기안정성이 우수한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손톱 미용은 패션의 한 부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없어서는 안 되는 매우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멋을 부리기 위한 수단으로서 자신의 손과 손톱을 아름답게 가꾸고 보존하여 타인에게 매력적인 호감을 주고 스스로는 만족감을 가지게 된다.
매니큐어는 손톱 및 발톱을 아름답게 꾸미기 위한 일종의 화장품으로서, 취향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상을 갖도록 형성된다. 매니큐어는 점착성을 갖는 용액으로 매니큐어 용기에 보관되어 사용된다.
현대의 미용 산업의 발달로 인하여 단순한 매니큐어 대신 다양한 모양이나 문자 등을 인쇄하거나, 인조 손톱을 이용하여 자신만의 개성과 아름다움을 연출하는 네일아트(nail art)가 인기를 끌고 있다.
최근에는 단순히 매니큐어 용액을 이용하여 손발톱을 꾸미는데 그치지 않고, 그 위에 반짝이는 조각들인 글리터(glitter)를 덧붙여 주어 다양한 형상의 무늬를 갖도록 해주는 네일아트도 유행하고 있다.
글리터를 이용한 네일아트는 먼저 매니큐어를 바른 후 글리터를 덧붙이고 다시 매니큐어를 덧발라 글리터가 매니큐어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이 이용되고 있다. 그런데, 매니큐어를 바른 후 글리터를 덧붙일 경우, 글리터를 추출할 수 있는 별도의 추출도구를 더 구비해야 하므로 휴대가 불편할 뿐 아니라 글리터 가루 날림이 많이 발생하고, 사용 또는 이동 중 쏟아질 우려가 크다. 또한, 글리터 가루가 보관 용기의 주변에 붙어서 시술 및 관리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자외선에 경화되는 겔 조성물을 글리터와 혼합하여 용기 내에 보관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이와 같은 방식은 글리터 조각이 날리지 않고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지만, 겔 조성물 내에 포함된 광개시제로 인하여 보관 중에 쉽게 경화되어 장기간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기존의 겔 조성물과 같이 글리터가 날리지 않도록 보관 가능하면서 장기간의 저장안정성이 보장된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547345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04991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글리터가 날리지 않도록 하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상기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글리터를 포함하는 글리터 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UV 반응성 올리고머 10 내지 50중량%, UV 반응성 모노머 35 내지 85중량% 및 요변성 조절제 1 내지 10중량%를 포함하는, 글리터(glitter) 보관용 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silicon modified acrylat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및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를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중량%,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요변성 조절제는 유기 벤토나이트계, 산화폴리에틸렌계, 흄드 실리카계, 아마이드계 및 아크릴 고분자계 조절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UV 흡수제(UV absorber) 0.1 내지 0.25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점증제 1 내지 3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가소제 1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글리터를 포함하는 글리터 겔(glitter gel)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글리터가 날리지 않으면서 용기에 보관이 용이한 적정한 점도를 가지며,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도 겔이 굳지 않아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UV 경화시 반응열이 높아지지 않아 시술이 용이하고, 경화 후 강도가 적당하여 표면 불량이 발생하거나 묻어나지 않고,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글리터 겔의 예시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글리터를 포함하는 겔 조성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글리터 겔을 보관한 용기 및 뚜껑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글리터 겔을 이용한 네일아트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글리터 겔을 이용한 네일아트를 휴지에 문지른 결과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에 따른 글리터 겔을 이용한 네일 시트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네일 시트를 비교하여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 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네일아트 등에 사용되는 글리터를 안정적으로 저장하고 유통할 수 있는 글리터 저장용 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겔 타입으로 글리터가 날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저장할 수 있으며, 광 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아 겔이 굳지 않고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글리터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종래기술에 따르면 글리터 가루를 사용하기 위해 용기의 뚜껑을 열고 닫을 때 글리터 가루가 날리거나 용기의 주변에 묻어 사용이 불편하였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이하여 UV LED 겔 조성물에 글리터를 혼합하여 보관 및 유통하는 방법이 제안되었지만, 상기 겔 조성물에 광 개시제가 포함되어 있어 장기 보관시 겔이 굳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글리터 겔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글리터 겔은 적당한 점도와 점착력을 가져 글리터가 날리지 않고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며,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아 장기 보관시에도 겔이 굳지 않고 오랫동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UV 반응성 올리고머, UV 반응성 모노머 및 요변성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는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acrylate),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silicon modified acrylat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및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는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diacrylate) 또는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aliphatic urethane triacrylate)일 수 있으며, 이들의 혼합물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를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겔 조성물의 점도와 경화 후의 강도에 있어서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 점도가 묽어져 흐름성이 심해져 용기에서 누액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경화 후 강도가 약해지고 도막간 부착력이 약해져 대도장성이 나오기 어렵다. 또한, 상기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함량이 과도한 경우 점도가 높아져 용기에 충전이 어렵고 사용이 불편하며, 경화 후 강도가 과도하여 표면 크랙현상이 발생하고 경화시 반응열도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UV 반응성 올리고머로서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를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1 내지 1:2의 중량비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10 내지 50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15 내지 30중량% 포함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UV 반응성 모노머를 포함한다.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35 내지 85중량%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60 내지 75중량%가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rimethylolpropane triacrylate),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1,6-hexanediol diacrylate),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ydroxyethyl meth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중량%,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는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5 내지 25중량%,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3 내지 7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35 내지 5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가 소량 첨가되고,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과량 첨가되는 경우 점도가 묽어져 용기 충전이 어렵고, 단관능성 모노머의 함량 증가로 UV 반응 속도가 늦어져 경화 후에 표면이 덜 마르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상기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가 과량 첨가되고,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가 소량 첨가되는 경우 다관능성 모노머 함량의 증가로 UV 경화시 반응속도가 빨라져 반응열이 증가하게 되고, 레벨링성 저하로 핀홀 현상이 심해져 표면 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또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를 과량 첨가하는 경우 경화시 반응열이 높아져 손톱에 열감이 생겨 시술시 어려움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또한, 요변성(thixotropic) 조절제를 1 내지 10중량% 포함한다.
상기 요변성 조절제는 겔 조성물의 레올로지(rheology)를 조절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유기 벤토나이트계, 산화폴리에틸렌계, 흄드 실리카계, 아마이드계, 아크릴 고분자 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유기 벤토나이트계 조절제로서 스테아랄코늄 벤토나이트(stearalkonium bentonite)가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요변성 조절제로서, 얇은 판 형태의 변성 알루미노 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요변성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요변성 조절제로서 시판되는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IXOGEL MPZ, TIXOGEL VP, TIXOGEL LG, BYK-7411ES, BYK-337, BYK-323, BYK-331, BYK-333, BYK-373, BYK-375, BYK-377, BYK-378(상품명; BYK Additives GmbH 제조); 디스파론 4200-20, 디스파론 A630-20X(상품명;쿠스모토 화성(주) 제조); AEROSIL R-972, AEROSIL A200, AEROSIL A300(상품명; EVONIK 제조)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을 복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요변성 조절제는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의 일부와 먼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에 5 내지 20중량% 용액으로 혼합한 후 교반하여 분산시킨 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또한, UV 흡수제(UV absorber)를 0.1 내지 0.25중량% 포함할 수 있다. UV 흡수제를 0.25중량% 보다 많이 첨가하는 경우 경화 후 황변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UV 흡수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 트리아진(triazine)계,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 및 벤조페논(benzophenone)계 자외선 흡수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업적으로 구입할 수 있는 자외선 흡수제의 예로는, 벤조사지논(benzoxazi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3853S; 트리아진(triazi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1164, 바스프사의 TINUVIN 1577, TINUVIN P, TINUVIN 234, TINUVIN 326, TINUVIN 328, TINUVIN 329, TINUVIN 571, TINUVIN 400, TINUVIN 479;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계는 시바사의 CYASORB UV-2337, CYASORB UV-5411, 바스프사의 TINUVIN 360, TINUVIN 213, TINUVIN 99-2, TINUVIN 171, TINUVIN 328, TINUVIN 384-2, TINUVIN 900, TINUVIN 928, TINUVIN 1130, 송원산업의 SONGSORB 1000, SONGSORB 2340, SONGSORB 3200, SONGSORB 3260, SONGSORB 3270, SONGSORB 3280; 벤조페논(benzophenone)계는 사이텍사의 CYASORB UV-9, CYASORB UV-24, CYASORB UV-531, 시바사의 CHIMASSORB 81, 송원산업의 SONGSORB 8100 등이 있으며, 각각의 UV 흡수제를 단독 또는 2종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또한, 점증제를 1 내지 3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글리터가 조성물 내에서 침전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점증제는 실리카를 사용할 수 있으며, 흄 형태의 실리카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또한, 가소제를 1 내지 3중량%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예컨대 수크로오스 에스테르, 프탈레이트, 벤조에이트, 술폰아미드 등의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수크로오스 아세테이트 이소부티레이트(sucrose acetate isobutyrate), 오르토-/파라-톨루엔 술폰아미드(ortho-/para-toluene sulfonamide), N-에틸-오르토-톨루엔 술폰아미드(N-ethyl-ortho-toluene sulfonamide) 등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UV 반응성 올리고머 10 내지 50중량%, UV 반응성 모노머 35 내지 85중량%, 요변성 조절제 1 내지 10중량%, UV 흡수제(UV absorber) 0.1 내지 0.25중량%, 점증제 1 내지 3중량%, 및 가소제 1 내지 3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네일아트용 글리터와 혼합되어 겔 상태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글리터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우레탄(polyurethane), 알루미늄(aluminium) 등의 소재에 유색 코팅된 플레이크(flake) 타입의 글리터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은 글리터가 날리지 않으면서 용기에 보관이 용이한 적정한 점도를 가지며, 광개시제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장기간 보관시에도 겔이 굳지 않아 저장안정성이 우수하다.
또한, UV 경화시 반응열이 높아지지 않아 시술이 용이하고, 경화 후 강도가 적당하여 표면 불량이 발생하거나 묻어나지 않고, 황변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겔 조성물은 이미 사용 중인 글리터 제품 용기에 첨가하여 글리터가 날리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내에 글리터가 포함된 글리터 겔(glitter gel) 형태의 제품으로 제조될 수도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제조
아래의 표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IXOGEL MPZ의 경우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에 10중량%로 첨가하여 3,000rpm으로 10분간 교반 후 3단 롤밀(roll-mill)로 3회 분산하여 사용하였다.
Figure 112020048819231-pat00001
상기 표에서 사용된 제품들에 대한 설명은 아래와 같다.
- polygomer PN-3337(폴리네트론社):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polygomer PN-3260(폴리네트론社):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
- T153(KPX 그린케미칼社): 트리메틸올프로판 (EO)15 트리아크릴레이트
- 2-HEMA(니폰 쇼쿠바이社):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 M200(미원에스씨社):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HDDA)
실험예: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의 물성 시험
상기 제조예에서 제조된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에 시판되는 플레이크 타입 글리터를 첨가하여 글리터 겔을 제조하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리터 겔은 요변성 조절제의 높은 함량으로 배합 후 흐름성이 생겼다가 약 1시간 후부터 겔화가 시작되므로 겔화 이전에 용기에 주입하였으며, 주입 후 약 72시간 후부터 흐름성이 없어지기 시작하였다. 도 2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글리터 겔은 겔화로 인해 내용물이 흐르지 않아 용기 내에 안정적으로 보관이 가능하며, 누액이 되질 않아 용기 주변이나 뚜껑에 과도하게 묻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gomer PN-3260)를 과량 사용하고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gomer PN-3337)를 소량 사용한 비교예 1의 글리터 겔의 경우, 도 3에서 확인 가능한 바와 같이, 점도가 묽고 흐름성이 심해 용기에 누액이 발생하였고, 용기 주변과 뚜겅 부분에도 글리터 젤이 묻어 사용성이 불량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UV 경화 후에 강도가 약하고 도막간 부착력이 약해 재도장성이 나오지 않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gomer PN-3260)를 소량 사용하고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Polygomer PN-3337)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2의 글리터 겔의 경우, 점도가 너무 높아 용기 내에 충전이 어려웠다. 또한, UV 경화시 반응열이 높아 시술이 어려웠으며,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화 후에도 표면에 크랙이 발생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UV 반응성 모노머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153)를 소량 사용하고,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3의 글리터 젤은 점도가 너무 묽어 용기내 보관이 어려웠으며,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UV 경화 후에도 표면이 완전히 굳어지지 않고 휴지에 묻어나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UV 반응성 모노머로서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T153)를 과량 사용하고,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2-HEMA)를 소량 사용한 비교예 4의 글리터 젤의 경우, UV 반응 속도가 과도하게 빨라 반응열이 발생하여 시술이 어려웠으며, 도 6과 같이 네일 시트의 표면에 핀홀이 발생하여 표면 불량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UV 반응성 모노머로서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M200)을 과량 사용한 비교예 5의 경우 제형상의 문제는 없었으나 UV 반응속도가 빨라 반응열이 높아 시술에 어려움이 있었다.
한편, 실시예 1의 글리터 겔과 UV 흡수제를 과량 사용한 비교예 6의 글리터 겔을 이용하여 네일 시트를 제작한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네일 시트(좌)는 깨끗한 흰색을 나타내지만, 비교예 6의 네일 시트(우)는 황변 현상이 발생한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0)

  1.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UV 반응성 올리고머 10 내지 50중량%, UV 반응성 모노머 35 내지 85중량%, 요변성 조절제 1 내지 10중량% 및 UV 흡수제(UV absorber) 0.1 내지 0.25중량%를 포함하고,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가 지방족 우레탄 디아크릴레이트 및 지방족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를 3:1 내지 1:3의 중량비로 포함하며,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가,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10 내지 30중량%, 1,6-헥산디올 디아크릴레이트 1 내지 10중량% 및 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10 내지 60중량%를 포함하는,
    글리터(glitter) 보관용 겔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올리고머가 실리콘 변성 아크릴레이트(silicon modified acrylate), 에폭시 아크릴레이트(epoxy acrylate) 및 폴리에스터 아크릴레이트(polyester 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UV 반응성 모노머가 이소보닐 아크릴레이트(isobonyl acrylate) 및 테트라하이드로퍼퓨릴 메타크릴레이트(tetrahydrofurfuryl methacrylate)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변성 조절제가 유기 벤토나이트계, 산화폴리에틸렌계, 흄드 실리카계, 아마이드계 및 아크릴 고분자계 조절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점증제 1 내지 3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가소제 1 내지 3 중량%를 더 포함하는,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10. 제 1 항, 제 2 항, 제 4 항, 제 6 항, 제 8 항 및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글리터를 포함하는 글리터 겔(glitter gel).
KR1020200057763A 2020-05-14 2020-05-14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KR1022463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63A KR102246325B1 (ko) 2020-05-14 2020-05-14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7763A KR102246325B1 (ko) 2020-05-14 2020-05-14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25B1 true KR102246325B1 (ko) 2021-04-29

Family

ID=75728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7763A KR102246325B1 (ko) 2020-05-14 2020-05-14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2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991A (ko) 2003-07-01 2005-01-13 황호일 글리터가 함유된 접착스티커가 부착된 인조손톱
KR20130097065A (ko) * 2010-04-14 2013-09-02 마이콘 덴탈 서플라이 코., 인크. 쉽게 도포할 수 있고 저장안정적인 방사선-경화성의 유색 인공네일 겔 코팅제
KR101547345B1 (ko) 2013-12-06 2015-08-25 민영구 매니큐어 용기
JP2017066041A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美爪料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04991A (ko) 2003-07-01 2005-01-13 황호일 글리터가 함유된 접착스티커가 부착된 인조손톱
KR20130097065A (ko) * 2010-04-14 2013-09-02 마이콘 덴탈 서플라이 코., 인크. 쉽게 도포할 수 있고 저장안정적인 방사선-경화성의 유색 인공네일 겔 코팅제
KR101547345B1 (ko) 2013-12-06 2015-08-25 민영구 매니큐어 용기
JP2017066041A (ja) * 2015-09-28 2017-04-06 株式会社サクラクレパス 美爪料組成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93178C (en) Method of preparation of radiation-curable colored artificial nail gels
KR101700010B1 (ko) 저 감작성을 갖는 손톱래커 조성물
CN102595961B (zh) 涂布指(趾)甲的可去除凝胶组合物及其使用方法
US20130263875A1 (en) Curable nail enhancements
EP2510920A1 (en) Curable resin composition for covering a fingernail or artificial fingernail
KR101508734B1 (ko) 광 및 온도에 따라 변색되는 자외선 경화형 매니큐어
US20150224045A1 (en) Radiation curable nail preparations, post-processing nail finisher and methods of application
CN104027261A (zh) Uv光固化蓝色指甲油
US8367045B2 (en) Method of preparation of radiation-curable colored artificial nail gels
KR102246325B1 (ko) 글리터 보관용 겔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글리터 겔
JP6673660B2 (ja) 美爪料組成物
KR100199552B1 (ko) 필름에 고내스크래치성 박막코팅을 부여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조성물
CN104042452A (zh) Uv光固化红色指甲油
CN108299886A (zh) 一种无溶剂uv喷涂面漆涂料及其制备方法
JP2016141639A (ja) 水性美爪料組成物
CN111035575A (zh) 一种uv固化改性硫醇树脂指甲油及其制备方法
CN112592435A (zh) 一种生物基水性光固化指甲油及其制备方法
CN103265872A (zh) 一种uv格丽斯及其施工方法
US20130025617A1 (en) Method of preparation of radiation-curable colored artificial nail gels
WO2015049523A1 (en) Uv curable nail coating compositions
US11000469B1 (en) Nail gel builder composition
KR101362391B1 (ko) 유리병 차광용 코팅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차광유리병 제조방법
US20190374449A1 (en) Metallic gel nail polish and method of application
KR100369840B1 (ko) 변성 알키드수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방법에 의해제조된 변성 알키드수지를 함유하는 우드실라용 도료
CN108641580A (zh) 一种免擦洗钢化封层及其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