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312B1 -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 Google Patents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312B1
KR102246312B1 KR1020200190011A KR20200190011A KR102246312B1 KR 102246312 B1 KR102246312 B1 KR 102246312B1 KR 1020200190011 A KR1020200190011 A KR 1020200190011A KR 20200190011 A KR20200190011 A KR 20200190011A KR 102246312 B1 KR102246312 B1 KR 102246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ce
unit
logistics
drone
fixedly conne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900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우현
윤현식
배성철
민경주
박준형
김지훈
Original Assignee
윤현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식 filed Critical 윤현식
Priority to KR10202001900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3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3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18Special structures in or on roofs, e.g. dorme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F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IRCRAFT; DESIGNING, MANUFACTURING, ASSEMBLING, CLEANING, MAINTAINING OR REPAIRING 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HANDLING, TRANSPORTING, TESTING OR INSPECTING AIRCRAFT COMPON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F1/00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 B64F1/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 B64F1/222Ground or aircraft-carrier-deck installations installed for handling aircraft for storing aircraft, e.g. in hang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80/00Transport or storage specially adapted for UAV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3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 E04B1/34315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 E04B1/34331Structures characterised by movable, separable, or collapsible parts, e.g. for transport characterised by separable parts mainly constituted by three-dimensional elements
    • B64C2201/128
    • B64C2201/2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 B64U2101/6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for transporting passengers; for transporting goods other than weapons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정류소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으로서, 버스와 같은 공용 이동 수단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도록 도로 위 일측면에 마련된 정류장의 상단에 안착하도록 디자인되는 공간활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SYSTEM OF REMOVABLE MODULAR SPACE FOR SPACE UTILIZATION OF ROOF OF BUS STOPS AND SUBWAY STATIONS}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도심 내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박스 형태의 공간을 배송하는 것으로서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서 발생되는 여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제안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과거부터 현재까지 도시는 인구의 밀집으로 인한 여러 문제를 겪어오며 공간의 활용도에 관한 고민은 건축적, 도시 계획적 고민으로 이어지며 유휴 공간에 관한 관심도가 크게 늘었다.
유휴 공간을 보다 활용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대안들이 나왔으나 실질적으로 적용되기에 무리인 부분이 있어 적용되지 못하고 있어 실생활에 적용할 수 있는 이동식 공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88567호
본 발명은 인구가 이동하는 거점인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입구, 아파트 정문 등 천장 혹은 지붕에 있어서 단층으로 사용되거나 단순히 비바람을 막는 용도로 사용되는 곳을 탈부착이 가능한 박스형 공간을 배송 및 설치하여 도심 내 공간을 더욱 밀도있게 활용할 수 있는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은, 버스와 같은 공용 이동 수단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도록 도로 위 일측면에 마련된 정류장의 상단에 안착하도록 디자인되는 공간활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은, 원동기를 구비하여 상기 원동기의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 지면 위를 이동하며 네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고, 후면 또는 후면 상단에 상기 공간활용부를 운송하는 운송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활용부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물류보관부;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및 상단의 외측 가로 변 및 세로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높이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되는 골격지지대; 및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격지지대의 외측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수 개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 및 상기 물류보관부를 형성하는 외부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활용부는, 상단 외측 타측면에 위치하고, 드론의 이륙 및 착륙이 가능한 제1 랜딩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랜딩패드에 의하여 착륙한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드론충전부; 및 상단 외측 일측면에 위치하고, 일측면에 상기 드론의 착륙이 가능한 제2 랜딩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랜딩패드에 의하여 착륙한 상기 드론에 의하여 안착되는 상기 물류를 하단의 상기 물류보관부로 이동시키는 물류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공간활용부는,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드론충전부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소형 물류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롤러모듈;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롤러모듈은, 일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상단에 상기 소형 물류가 안착되는 경우, 기울어진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소형 물류를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회전부; 및 상기 이송회전부가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구동하는 기둥이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단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공간을 개방하도록 일단으로 이동하는 하단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으로서, 인구가 이동하는 거점인 버스정류장, 지하철역 입구, 아파트 정문 등 천장 혹은 지붕에 있어서 단층으로 사용되거나 단순히 비바람을 막는 용도로 사용되는 곳을 탈부착이 가능한 박스형 공간을 배송 및 설치하여 도심 내 공간을 더욱 밀도있게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공간활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롤러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충격흡수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부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 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체결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체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10)은 정류장(500), 공간활용부(100) 및 운송수단(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정류장(500)은 버스와 같은 공용 이동 수단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도록 도로 위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나, 도로 위에 마련된 정류장 뿐만 아니라, 지하철 정류장을 포함할 수도 있고 단층으로 되어 있으나 지붕 상단은 활용되지 않는 장치라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공간활용부(100)는 버스와 같은 공용 이동 수단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도록 도로 위 일측면에 마련된 정류장(500)의 상단에 안착하도록 디자인될 수 있다.
공간활용부(100)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은 후술하는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운송수단(300)은 원동기를 구비하여 원동기의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 지면 위를 이동하며 네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고, 후면 또는 후면 상단에 공간활용부(100)를 운송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공간활용부의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부(100)는 내부공간(110), 물류보관부(130), 골격지지대(150) 및 외부패널(170)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공간(110)은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배송되는 물류, 쉼터 등 도심 속 공간을 활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꾸밀 수 있고, 물류보관부(130)는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어 상단에 안착하는 물류 등을 보관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골격지지대(150)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하단 및 상단의 외측 가로 변 및 세로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되어 골격을 형성할 수 있고,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높이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외부패널(170)은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골격지지대(150)의 외측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수 개가 고정 연결될 수 있고, 내부공간(110) 및 물류보관부(13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패널(170)은 이동식 컨테이너와 같은 건축물의 외장재 패널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골격지지대(150)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되어 내부공간(110) 및 물류보관부(130)를 형성할 수 있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부(100)는 드론(700)과 드론(700)으로부터 배송되는 물류를 내부공간(110)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드론충전부(191), 물류분리부(193) 및 롤러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드론충전부(191)는 공간활용부(100)의 상단 외측 타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드론(700)의 이륙 및 착륙이 가능한 제1 랜딩패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1 랜딩패드(미도시)에 의하여 착륙한 드론을 충전할 수 있다.
물류분리부(193)는 상단 외측 일측면에 위치할 수 있고, 일측면에 드론(700)의 착륙이 가능한 제2 랜딩패드(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으며, 제2 랜딩패드(미도시)에 의하여 착륙한 드론(700)에 의하여 안착되는 물류를 하단의 물류보관부(13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롤러모듈(600)은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드론충전부(191)의 일측면에 마련될 수 있으며, 소형 물류를 내부공간(110)으로 이동시키도록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물류의 무게가 일정 무게 이상인 경우 물류보관부(130)로 통하는 물류분리부(193)로 이동시킬 수 있고, 물류의 무게가 일정 무게 미만인 경우 내부공간(110)으로 통하는 롤러모듈(6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드론(700)을 사용하여 물류를 배송시키는 배송자는 배송되는 물류의 종류에 따라 물류분리부(193) 또는 롤러모듈(600)로 드론(700)을 운전할 수 있다.
이는 일정 무게 이상인 물류는 물류보관부(130)에 수용하도록 형성하고, 일정 무게 미만인 소형 물류를 내부공간(110)에 수용하도록 내부공간(110)을 형성한 경우에만 해당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물류분리부(193) 및 롤러모듈(600)의 위치, 내부공간(110) 및 물류보관부(130)의 위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위치하도록 마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롤러모듈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롤러모듈(600)은 이송회전부(400) 및 하단개방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회전부(400)는 회전롤러부(410), 완충지지부(430), 중앙연결부(450) 및 충격흡수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회전부(400)는 일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도록 마련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회전롤러부(410)는 기울어진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소형 물류(A)를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회전롤러부(41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회전 구동함으로서 상단에 마련된 소형 물류(A)를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양단은 충격흡수부(490)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회전롤러부(410)는 회전 구동하는 롤러를 의미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양단에 고정되되 상단에 마련된 소형 물류(A)를 일단의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회전 구동하는 장치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 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회전롤러부(410)는 상단에 소형 물류(A)가 안착되는 것을 감지하여 일단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도 있고, 상단에 소형 물류(A)가 안착되자마자 기울어지도록 형성됨에 의하여 일단으로 이동하는 소형 물류(A)에 의하여 일단 방향으로 회전 구동할 수도 있다.
완충지지부(430)의 타단은 충격흡수부(490)의 하단 중앙 또는 하단 양측에 고정 연결되고, 일단은 하단개방부(200)의 외측 타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양단이 충격흡수부(490)와 하단개방부(200)에 연결된 완충지지부(430)는 이송회전부(400)의 상단에 소형 물류(A)가 안착되는 충격을 흡수하여 이송회전부(400)의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송회전부(400)가 더욱 견고하게 위치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다.
중앙연결부(450)는 회전롤러부(410)의 하단 일측, 충격흡수부(490)의 일단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송회전부(400)를 하단개방부(200)의 상단 타측에 고정 연결시킬 수 있다.
이송회전부(400)는 중앙연결부(450)에 의하여 상단에 소형 물류(A)가 안착됨에 따라 흔들림이 발생하는 경우에도 이송회전부(400)가 하단개방부(200)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도록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송회전부(400)와 하단개방부(200)를 서로 고정 연결할 수 있는 소재라면 그 명칭에 구애됨없이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충격흡수부(490)는 후술하는 도 6 및 도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하단개방부(200)는 감지이동부(210), 이동기둥부(230), 내부공간(110) 및 이동레일부(290)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이동부(210)는 하단개방부(2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양단이 하단개방부(200)의 상단 양측에 가로 방향으로 마련된 이동레일부(290)에 삽입하여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감지이동부(210)는 이동레일부(290)에 삽입 가능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동레일부(290)를 따라 일단으로 이동할 수 있되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이동기둥부(230)를 중심으로 하여 둥글게 말리며 일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감지이동부(210)는 이송회전부(400)의 회전롤러부(410)의 상단에 소형 물류(A)가 안착되어 일단 방향으로 회전 구동하는 것이 감지되는 경우, 일단의 방향으로 이동하여 하단의 내부공간(110)으로 통하도록 개방할 수 있다.
이동기둥부(23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단이 하단개방부(200)의 일단 양측에 고정 연결될 수 있고, 감지이동부(210)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된 이동기둥부(230)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기둥부(230)를 감싸며 이동할 수 있도록 부드러운 소재와 같이 평평한 형상 및 둥근 형상 모두 가능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의 일부 구성인 충격흡수부(490)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충격흡수부(490)는 케이스부(4905), 제1 반동부(491), 제2 반동부(493), 제3 반동부(495), 제4 반동부(497) 및 지탱부(49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는 제3 반동부(495) 및 제4 반동부(497)가 관통할 수 있는 너비의 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3 반동부(495) 및 제4 반동부(497)는 케이스부(4905)를 관통하여 각각 제1 반동부(491) 및 제2 반동부(493)과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케이스부(4905)의 내측면에는 가로 길이 방향을 따라 이송지지부(410a)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송지지부(410a)는 내측면의 회전롤러부(410)의 중앙을 고정시킬 수 있고, 회전롤러부(410)의 회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회전롤러부(410)는 이송지지부(410a)에 양단이 고정되어 있을 수 있고, 상단에 물류(A)가 안착된 것이 감지되는 경우 회전함으로 물류(A)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이송지지부(410a)의 양단에는 연결홈(410b, 410c)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홈(410b, 410c)을 이용하여 기둥부(4915, 4935)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기둥부(4915, 4935)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단에는 연결홈(410b, 410c)과 동일한 크기의 홀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이송지지부(410a)의 양단의 연결홈(410b, 410c)과 기둥부(4915, 4935)의 상단은 서로 맞닿은 채 연결핀(491a, 493a)이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즉, 이송지지부(410a)와 기둥부(4915, 4935)는 연결홈(410b, 410c)에 삽입 가능한 크기의 핀 형상으로 형성되는 연결핀(491a, 493a)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제1 반동부(491)는 타단 기둥부(4915)가 내부로 삽입하며 이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반동부(495)는 타단 기둥부(4915)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반동부(491)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타단 기둥부(4915)의 형상에 따라 타단 기둥부(4915)가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타단 기둥부(4915)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타단 기둥부(4915)가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타단 기둥부(4915)가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타단 기둥부(4915)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타단 기둥부(4915)와 제3 반동부(495)는 제1 연결부(492)에 의하여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제3 반동부(495)는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홀(미도시)을 관통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연결부(492)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홀(미도시)과 동일한 너비를 갖는 제1 원형 공간(492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단에는 케이스부(4905)와 고정 연결할 수 있는 제1 고정홈(492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1 고정홈(4929)를 관통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제1 고정나사(492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고정나사(4921)는 제1 고정홈(4929)에 삽입 가능한 너비를 갖는 나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고정홈(4929)은 제1 고정나사(492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1 고정나사(492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1 연결부(492)로 인하여 서로 맞닿아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1 반동부(491)와 제3 반동부(495)는 케이스부(4905)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 연결부(492)는 상단의 이동회전부(400)에 물류(A)가 안착하여 수축되는 타단 기둥부(4915)와 제3 반동부(495)가 케이스부(4905)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반동부(493)는 일단 기둥부(4935)가 내부로 삽입하며 이동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4 반동부(497)는 일단 기둥부(4935)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반동부(493)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일단 기둥부(4935)의 형상에 따라 일단 기둥부(4935)가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일단 기둥부(4935)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일단 기둥부(4935)가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일단 기둥부(4935)가 내부로 관통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내부가 비어 있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일단 기둥부(4935)의 너비보다 넓은 너비를 갖는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반동부(493)와 제4 반동부(497)는 제2 연결부(494)에 의하여 서로 고정 연결될 수 있고, 제4 반동부(497)는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홀(미도시)을 관통할 수 있는 너비를 갖는 원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연결부(494)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마련되어 있는 홀(미도시)과 동일한 너비를 갖는 제2 원형 공간(494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일단에는 케이스부(4905)와 고정 연결할 수 있는 제2 고정홈(4949)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제2 고정홈(4949)를 관통하며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회전하면서 피고정물에 고정되는 제2 고정나사(4941)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고정나사(4941)는 제2 고정홈(4949)에 삽입 가능한 너비를 갖는 나사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2 고정홈(4949)은 제2 고정나사(4941)와 맞물려 회전하는 제2 고정나사(4941)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내측면에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케이스부(4905)의 하단에 고정 연결되는 제2 연결부(494)로 인하여 서로 맞닿아 고정 연결되어 있는 일단 기둥부(4935)와 제4 반동부(497)는 케이스부(4905)에 고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연결부(494)는 상단의 이동회전부(400)에 물류(A)가 안착하여 수축되는 제2 반동부(493)와 제4 반동부(497)가 케이스부(4905)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반동부(491)는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지지부(410a)와 이송지지부(410a)에 고정 연결된 회전롤러부(410)의 상단에 안착되는 물류(A)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타단 기둥부(4915)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반동부(491)는 타단 기둥부(4915)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타단 기둥부(4915)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타단 기둥부(4915)의 하단은 제1 연결부(492)에 의하여 제2 반동부(493)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제1 반동부(491)의 외측면의 너비는 제1 연결부(492)에 형성된 제1 원형 공간(4925)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어 제1 원형 공간(4925)을 관통할 수 없어 타단 기둥부(4915)는 외측면에 고정된 제1 반동부(491)가 케이스부(4905)의 하단과 맞닿는 거리까지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반동부(493)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타단 기둥부(4915)가 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타단 기둥부(4915)의 하단과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2 반동부(493)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수축 및 이완과 같은 탄성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타단 기둥부(4915)가 물류(A)의 무게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반동부(495)는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이송지지부(410a)와 이송지지부(410a)에 고정 연결된 회전롤러부(410)의 상단에 안착되는 물류(A)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는 일단 기둥부(4935)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3 반동부(495)는 일단 기둥부(4935)의 외측면에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일단 기둥부(4935)가 하단 방향으로 이동하되 일정 거리 이상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일단 기둥부(4935)의 하단은 제1 연결부(492)에 의하여 제4 반동부(497)와 고정 연결되어 있을 수 있는데 제3 반동부(495)의 외측면의 너비는 제2 연결부(494)에 형성된 제2 원형 공간(4945)보다 넓은 너비로 형성될 수 있어 제2 원형 공간(4945)을 관통할 수 없어 일단 기둥부(4935)는 외측면에 고정된 제3 반동부(495)가 케이스부(4905)의 하단과 맞닿는 거리까지만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반동부(497)는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실린더 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일단 기둥부(4935)가 하단 방향으로 일정한 거리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일단 기둥부(4935)의 하단과 고정 연결되어 있는 제4 반동부(497)의 내부에 마련되어 있는 수축 및 이완과 같은 탄성이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어 일단 기둥부(4935)가 물류(A)의 무게에 의하여 하단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지탱부(499)는 다수 개의 회전롤러부(410)가 이격 배치된 너비 및 길이보다 큰 너비 및 큰 길이를 갖는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공간활용부(100)의 상단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지탱부(499)의 양단에는 공간활용부(100)의 상단에 고정 연결되기 위하여 제1 너트(4961), 제1 볼트(4969), 제2 너트(4981) 및 제2 볼트(4989)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너트(4961) 및 제2 너트(4981)는 외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나사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지탱부(499) 및 공간활용부(100)를 관통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볼트(4969) 및 제2 볼트(4989)는 제1 너트(4961) 및 제2 너트(4981)의 외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나선형의 돌기와 맞물려 고정 가능하도록 내측면을 따라 나선형의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간활용부(100)의 내측면 상단으로부터 관통하여 지탱부(499)의 양단을 관통한 제1 너트(4961) 및 제2 너트(4981)는 상단에 제1 볼트(4969) 및 제2 볼트(4989)가 회전하며 맞물리면서 고정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간활용부가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의 지붕 공간에 설치된 일 예가 도시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은 일반적인 형상으로 형성된 정류장(500)의 상단에 공간활용부(100)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내지 도 13은 각진 형상으로 형성된 정류장(500')의 상단에 공간활용부(100)가 설치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공간활용부(100)는 정류장(500')의 크기 및 형상에 따라 다수 개가 서로 이격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도 있고, 일정한 각도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버스정류소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Claims (2)

  1. 운송수단; 및
    버스와 같은 공용 이동 수단이 사람을 태우거나 내려 주기 위하여 머무르도록 도로 위 일측면에 마련된 정류장의 상단에 안착하도록 디자인되는 공간활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운송수단은,
    원동기를 구비하여 상기 원동기의 동력으로 바퀴를 굴려 지면 위를 이동하며 네 개 이상의 바퀴를 구비하고, 후면 또는 후면 상단에 상기 공간활용부를 운송하고,
    상기 공간활용부는,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내부공간;
    상기 내부 공간의 일측면에 위치하고, 비어 있는 공간으로 형성되는 물류보관부;
    사각 기둥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 및 상단의 외측 가로 변 및 세로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되어 골격을 형성하고, 상단 및 하단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 개의 높이 변을 이루며 서로 고정 연결되는 골격지지대; 및
    사각 판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골격지지대의 외측면에 서로 이격 배치되어 다수 개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내부공간 및 상기 물류보관부를 형성하는 외부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공간활용부는,
    상단 외측 타측면에 위치하고, 드론의 이륙 및 착륙이 가능한 제1 랜딩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1 랜딩패드에 의하여 착륙한 상기 드론을 충전하는 드론충전부; 및
    상단 외측 일측면에 위치하고, 일측면에 상기 드론의 착륙이 가능한 제2 랜딩패드가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제2 랜딩패드에 의하여 착륙한 상기 드론에 의하여 안착되는 상기 물류를 하단의 상기 물류보관부로 이동시키는 물류분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공간활용부는,
    상단에 마련되어 있는 상기 드론충전부의 일측면에 마련되어 있으며, 소형 물류를 상기 내부공간으로 이동시키도록 상단을 개방 또는 폐쇄하는 롤러모듈;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모듈은,
    일단 방향으로 일정한 각도로 기울어져 있어 상단에 상기 소형 물류가 안착되는 경우, 기울어진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소형 물류를 일단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회전부; 및
    상기 이송회전부가 일단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일단에 마련되어 있는 회전 구동하는 기둥이 일단 방향으로 회전하고, 하단의 상기 내부공간으로 통하는 공간을 개방하도록 일단으로 이동하는 하단개방부;를 포함하는, 버스정류소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2. 삭제
KR1020200190011A 2020-12-31 2020-12-31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KR1022463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11A KR102246312B1 (ko) 2020-12-31 2020-12-31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90011A KR102246312B1 (ko) 2020-12-31 2020-12-31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312B1 true KR102246312B1 (ko) 2021-04-30

Family

ID=75740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90011A KR102246312B1 (ko) 2020-12-31 2020-12-31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3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289U (ja) * 1984-01-09 1985-08-03 大橋 精一 公衆電話ボツクスの屋根設置用広告塔
KR101588567B1 (ko) 2014-01-20 2016-01-26 권영종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KR20180058959A (ko) * 2016-11-25 2018-06-04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지붕 분리형 컨테이너 하우스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289U (ja) * 1984-01-09 1985-08-03 大橋 精一 公衆電話ボツクスの屋根設置用広告塔
KR101588567B1 (ko) 2014-01-20 2016-01-26 권영종 이동 가능한 컨테이너형 자동 물류창고
KR20180058959A (ko) * 2016-11-25 2018-06-04 이엔후레쉬 주식회사 지붕 분리형 컨테이너 하우스
KR20200135118A (ko) * 2019-05-23 2020-12-02 서울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드론의 무선 충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8496B2 (en) Parking garage for motor vehicles, in particular multistory parking garag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parking garage
CN206785050U (zh) 一种垂直移动式圆形立体车库
KR101064628B1 (ko) 휴대용 간이 바리케이트
US20090093922A1 (en) Automated infrastructure delivery system
TW200526487A (en) Modular storage system for logistical management of operational units
BRPI0708168A2 (pt) processo e sistema de transporte coletivo
US3999702A (en) Mailbox standard
KR102246312B1 (ko) 버스정류장 및 지하철역 지붕 공간활용을 위한 탈착식 모듈러 공간 시스템
Duvanova et al. Optimize the use of a parking space in a residential area
US1682679A (en) Subterranean building
US7784228B2 (en) Mixed-use pedestrian-oriented parking structure
US20200071075A1 (en) Fully Automated Autonomous Self Storage System
JP6784719B2 (ja) 乗客及び車両エレベータ・システム
JP7449774B2 (ja) 戸別宿泊コンテナ
CN208220273U (zh) 一种防撞的候车公交站台
RU2562994C1 (ru) Горизонтальный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й паркинг
RU2304207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стоянка для легковых автомобилей
US3142271A (en) Fallout shelter
Petroski Technology and architecture in an age of terrorism
CN204826803U (zh) 一种大中型车辆的立体充电停车库
WO2010103149A1 (es) Sistema de almacenamiento
JP2015090005A (ja) 小型車両駐車設備
KR101161281B1 (ko) 이동식 방갈로
US2022012010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rive-up condominiums and commercial units
CN1603555A (zh) 环形拱式高架停车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