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278B1 -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 Google Patents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278B1
KR102246278B1 KR1020200112842A KR20200112842A KR102246278B1 KR 102246278 B1 KR102246278 B1 KR 102246278B1 KR 1020200112842 A KR1020200112842 A KR 1020200112842A KR 20200112842 A KR20200112842 A KR 20200112842A KR 102246278 B1 KR102246278 B1 KR 1022462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ic cable
cable
rung
circumferential surface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2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대진
Original Assignee
(주)한양기술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양기술단 filed Critical (주)한양기술단
Priority to KR1020200112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2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2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2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56Ladders or other sup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26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the pipes all along their length, e.g. pipe channels or duc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8Cable junctions
    • H02G15/10Cable junctions protected by boxes, e.g. by distribution,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4Protective tubing or conduits, e.g. cable ladders or cable troughs
    • H02G3/0406Details thereof
    • H02G3/0418Covers or lids; Their fasten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건축물의 천정, 벽면 등에 설치되어 가설되는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는 트레이본체(10); 트레이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해주는 케이블연결조립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케이블의 처짐이 예상되거나 전기케이블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받침대를 진퇴이동시켜 전기케이블을 지지하면 되므로 가설된 전기케이블의 처짐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Electrical cable tray for buildings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상세하게는 가설된 전기케이블의 처짐을 완화하여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에 관한 것이다.
인구의 증가로 인해 주거와 업무 및 생활공간이 상대적으로 줄어들어 공동주택인 아파트와 대형 건축물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물은 실내에 모든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사용이 매우 편리하므로 대부분의 사람이 살고 싶어하는 주택의 한 형태가 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실내에는 각종 전자장치를 사용하기 위해 많은 전선이나 전화선 등의 배선이 복잡하게 설치된다.
종래 건축물을 시공할 때에는 전기선만 배선되면 되었으나, 최근에는 매체의 활용이 다양화, 고속화되면서 건축물을 시공함에 있어 전화선, 초고속 인터넷 전용선, CATV/MATV용 케이블 등 전기선을 제외한 다양한 약전용 전선들의 설치가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를 위해 각층 마다 통신 EPS실이나 피트(PIT)를 마련하고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선하는 방식으로 설계하고 있다.
이러한 트레이는 사이드레일과 렁으로 구성되며, 렁은 일정간격으로 사이레일에 설치되어 전기케이블을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렁과 렁 사이가 서로 떨어져 있어 가설된 케이블에 처짐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케이블이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위에 부하(인장력)가 걸리게 되므로 고정성 및 안전성이 약회되면서 연결부위가 쉽게 단선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연구가 지금도 활발히 진행중이다.
1.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14812호(2020.05.25)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가설된 전기케이블의 처짐을 완화하여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케이블의 피복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에 도선과 피복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전기케이블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이 관통된 피침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과,
양단이 사이드레일의 내면에 고정되어 가설되는 전기케이블을 지지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결합공이 형성된 렁과,
제1결합공에 관통되게 끼워져 사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이동되는 슬라이드봉, 슬라이드봉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케이블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슬라이드봉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렁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단속하는 스토퍼로 이루어진 케이블받침대로 구성된 트레이본체;
제1결합공과 상호 연통되는 제2결합공을 갖추고서 렁의 상면과 양측면에 맞대어지게 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결합공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봉에 의해 구속되는‘ㄷ’자 형상의 브라켓과,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몸체부와 제2몸체부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몸체부는 브라켓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본체와,
양단을 통해 전기케이블이 각각 삽입되어 본체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본체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케이블소켓과,
본체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패킹재와,
케이블소켓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케이블소켓과 패킹재 사이에 개입되되, 본체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케이블소켓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패킹재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 호판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홀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전기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혀져 전기케이블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으로 구성되어 전기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구와,
본체에 설치되어 제1·2몸체부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기구로 이루어진 케이블연결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전기케이블의 처짐이 예상되거나 전기케이블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렁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받침대를 진퇴이동시켜 전기케이블을 지지하면 되므로 가설된 전기케이블의 처짐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연결조립체의 피침이 전기케이블의 피복을 관통해 도선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전기케이블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이 피침과 함께 전기케이블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전기케이블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침이 피복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의 둘레면이 피복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에서 케이블연결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해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에서 케이블연결조립체를 따로 발췌하여 보인 분해사시도 및 결합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는 트레이본체(10)와 케이블연결조립체(20)로 구성된 것으로서, 이에 의하면 전기케이블(L)을 쉽고 간편하게 가설해 줄 수 있음은 물론 가설된 전기케이블(L)의 처짐을 완화하여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고,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제거하지 않고도 설치 및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해 작업의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켜줄 수 있으며, 피침(25b)에 도선(La)과 피복(Lb)이 함께 구속되는 구조이므로 전기케이블(L)의 이탈을 보다 확실하게 담보할 수 있으며, 피복(Lb)이 관통된 피침(25b)을 감싸 줌에 따라 자연스럽게 실링되는 기술적인 특징이 있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트레이본체(10)는 건축물의 천정, 벽면 등에 설치되어 가설되는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트레이본체(10)는 사이드레일(11)과 렁(12) 및 케이블받침대(13)로 구성된다.
상기 사이드레일(11)은 나란하게 이격배치되어 고정수단(예:앵커볼트)을 매개로 건축물의 천정, 벽면 등에 설치된다.
상기 렁(12)은 양단이 사이드레일(11)의 내면에 맞대어지게 사이드레일(11) 사이에 배치되어 체결수단(예:나사볼트)을 매개로 사이드레일(11)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렁(12)의 양 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결합공(12a)이 관통되게 형성되며, 이 제1결합공(12a)에는 케이블받침대(13)의 슬라이드봉(13a)이 관통되게 끼워진다.
상기 케이블받침대(13)는 슬라이드봉(13a)과 지지부재(13b) 및 스토퍼(13c)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렁(12)에 진퇴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설된 전기케이블(L)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슬라이드봉(13a)은 제1결합공(12a)에 진퇴이동가능하게 끼워져 지지부재(13b)를 사이드레일(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시켜 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부재(13b)는 소정의 폭과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로서, 슬라이드봉(13a)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가설된 전기케이블(L)을 지지해 전기케이블(L)의 처짐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13c)는 일종에 나사볼트로, 슬라이드봉(13a)의 타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렁(12)으로부터 슬라이드봉(13a)이 이탈되지 않게 단속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슬라이드봉(13a)으로부터 스토퍼(13c)를 분리하면 렁(12)으로부터 슬라이드봉(13a)을 이탈(분리)시킬 수 있지만, 슬라이드봉(13a)에 스토퍼(13c)가 결합된 상태에서는 렁(12)에 스토퍼(13c)가 걸리게 되므로 렁(12)으로부터 슬라이드봉(13a)을 이탈(분리)시킬 수 없게 된다.
일 예로서, 상기 트레이본체(10)의 렁(12)에 전기케이블(L)이 얹혀져 지지되도록 가설하게 되는데, 렁(12)과 렁(12) 사이가 서로 떨어져 있어 전기케이블(L)에 처짐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전기케이블(L)이 케이블연결조립체(2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되어 있는 경우 연결부위에 부하(인장력)가 걸리게 되므로 전기케이블(L)의 연결에 대한 고정성 및 안전성을 약화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상기 렁(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받침대(13)를 슬라이드봉(13a)을 매개로 이동시켜 지지부재(13b)를 렁(12)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지지부재(13b)가 전기케이블(L)이 처지지 않게 지지하게 되므로 상기에서 언급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연결에 대한 고정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블연결조립체(20)는 브라켓(21)과 본체(22), 케이블소켓(23), 패킹재(24), 연결구(25) 및 잠금기구(26)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트레이본체(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전기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 및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브라켓(21)은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며, 제1결합공(12a)과 상호 연통되는 제2결합공(21a)을 구비하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렁(12)의 상면과 양측면에 맞대어지게 렁(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결합공(12a,21a)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봉(13a)에 의해 구속된다.
일 예로, 상기 브라켓(21)을 렁(12)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슬라이드봉(13a)에 체결된 스토퍼(13c)를 우선 분리한 다음 제1·2결합공(12a,21a)에 끼워진 슬라이드봉(13a)을 제1·2결합공(12a,21a)으로부터 이탈시키게 되면, 렁(12)으로부터 케이블받침대(13)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본체(22)는 브라켓(21)과 일체를 이루는 부재로서,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몸체부(22a)와 제2몸체부(22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도 4c 및 도 4d 참조)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며,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벌어지거나, 오므려져 관 형상을 이루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제1몸체부(22a)와 제2몸체부(22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22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어 있어 내측으로 수용되는 패킹재(24) 및 연결구(25)의 이탈을 제한한다. 여기서 상기 제1몸체부(22a)는 브라켓(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소켓(23)은 내부 중간에 일체로 형성된 분할판(23c)에 의해 공간이 분할되어 분할판(23c)을 기준으로 양단으로 개구된 원통형상의 절연재질의 부재로서,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전기케이블(L)을 인입하더라도 분할판(23c)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촉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케이블소켓(23)의 양단 외주면에는 원판형상의 플런지(23a)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런지(23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며,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23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런지(23a)는 본체(22)의 양단에 마련된 플런지부(22c)의 외측으로 배치되어 본체(22)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관통홀(23b)은 연결구(25)의 피침(25b)에 상하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킹재(24)는 실리콘, 고무 등과 같이 소프트하면서도 탄성이 있는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본체(22)의 내면에 부착되며, 본체(22)의 가압시 연결구(25)의 둘레면에 기밀하게 밀착되어 외부로부터 침투수가 유입되는 것을 막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구(25)는 호판(25a)과 피침(25b)으로 구성된 전도성재질의 부재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케이블소켓(23)과 패킹재(24) 사이에 개입되며, 본체(22)의 가압에 의해 이동되어 전기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전기케이블(L)의 이탈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호판(25a)은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부재로, 케이블소켓(23)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케이블소켓(23)과 패킹재(24) 사이에 개입되고, 이렇게 배치된 호판(25a)은 본체(22)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케이블소켓(2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패킹재(24)의 내주면에 밀착된다. 상기 피침(25b)은 원뿔형상의 부재로, 호판(25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관통홀(23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지며, 본체(22)의 가압에 의한 호판(25a)의 이동에 의해 함께 관통홀(23b)을 따라 이동되어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힘(박힘)으로써 전기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면서 전기케이블(L)을 물어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일 예로, 상기 전기케이블(L)을 케이블소켓(23)에 삽입한 상태에서 본체(22)로 연결구(25)를 가압하게 되면, 본체(22)의 가압에 의한 호판(25a)의 이동에 의해 피침(25b)이 자연스럽게 이동하게 되고, 피침(25b)은 관통홀(23b)을 따라 이동되어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케이블(L)의 도선(La)은 피침(25b)과 호판(25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피침(25b)이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전기케이블(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25b)과 함께 전기케이블(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전기케이블(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상기 피침(25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25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상기 잠금기구(26)는 제1·2몸체부(22a,22b)의 회동을 단속하는 공지의 결합구로서, 제1몸체부(22a)의 외주면에는 후크형상의 걸고리(26a)가 설치되고, 제2몸체부(22b)의 외주면에는 체결부(26b)가 설치되며, 이러한 잠금기구(26)는 해당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기술이므로, 더 이상의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해 케이블을 연결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a를 참조하면, 우선 도선(La)의 말단까지 피복(Lb)이 감싸진 전기케이블(L)을 케이블소켓(23)의 양단을 통해 내측으로 밀어 넣어 준다.
도 4b 및 도 4c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케이블소켓(23)에 전기케이블(L)이 삽입되면, 케이블소켓(23)의 외주면으로 연결구(25)를 각각 배치하여 연결구(25)의 피침(25b)이 관통홀(23b)에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본체(22)를 구성하는 제1몸체부(22a)의 내측으로 케이블소켓(23)을 삽입한다.
상기와 같이 제1몸체부(22a)의 내측으로 케이블소켓(23)이 삽입되면, 개방되어 있던 제2몸체부(22b)를 힌지를 매개로 회동시켜 연결구(25)를 가압한다.
이때, 상기 본체(22)의 가압에 의한 호판(25a)이 이동하게 되고, 호판(25a)의 이동에 의해 피침(25b)도 함께 관통홀(23b)을 따라 이동되어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되며, 이에 따라 전기케이블(L)의 도선(La)은 피침(25b)과 호판(25a)을 매개로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된다.
도 4d를 참조하면, 상기와 같이 힌지를 중심으로 회동되어 말단이 서로 맞대어지면, 본체(22)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고리(26a)와 체결부(26b)로 구성된 잠금기구(26)로 본체(22)가 벌어지지 않게 고정하면 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본체(10)의 렁(12)에 전기케이블(L)이 얹혀져 지지되도록 가설하게 되는데, 렁(12)과 렁(12) 사이가 서로 떨어져 있어 전기케이블(L)에 처짐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에 따라 케이블연결조립체(20)를 매개로 상호 연결된 전기케이블(L)의 연결부위에 부하(인장력)가 걸리게 되므로 전기케이블(L)의 연결에 대한 고정성 및 안전성을 약화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전기케이블(L)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렁(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받침대(13)를 슬라이드봉(13a)을 매개로 이동시켜 지지부재(13b)를 렁(12) 사이의 중간에 위치되도록 하게 되면, 지지부재(13b)가 전기케이블(L)이 처지지 않게 지지하게 되므로 연결에 대한 고정성 및 안전성을 담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전기케이블(L)의 처짐이 예상되거나 전기케이블(L)의 처짐이 발생할 경우 렁(12)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된 케이블받침대(13)를 진퇴이동시켜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면 되므로 가설된 전기케이블(L)의 처짐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기적 연결상태의 지속성 및 안전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연결조립체(20)의 피침(25b)이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히게(박히게) 됨에 따라 전기케이블(L)에 외력(인장력)이 작용하더라도 외부로의 이탈을 최대한 억제할 수 있으며, 더욱이 피복(Lb)이 피침(25b)과 함께 전기케이블(L)의 이동을 제한하게 되므로 전기케이블(L)의 이탈을 더욱더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피침(25b)이 피복(Lb)을 관통함에 있어 피침(25b)의 둘레면이 피복(Lb)에 의해 자연스럽게 감싸지면서 실링하게 되는 부수적인 효과도 기대해 볼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 있어서 당연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 트레이본체 11: 사이드레일 12: 렁
12a: 제1결합공 13: 케이블받침대 13a: 슬라이드봉
13b: 지지부재 13c: 스토퍼 20: 케이블연결조립체
21: 브라켓 21a: 제2결합공 22: 바디
22a: 제1몸체부 22b: 제2몸체부 22c: 플런지부
23: 케이블소켓 23a: 플런지 23b: 관통홀
23c: 분할판 24: 패킹재 25: 연결구
25a: 호판 25b: 피침 26: 잠금기구
26a: 걸고리 26b: 체결부

Claims (1)

  1. 나란하게 이격배치되는 사이드레일(11)과,
    양단이 사이드레일(11)의 내면에 고정되어 가설되는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며,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제1결합공(12a)이 형성된 렁(12)과,
    제1결합공(12a)에 관통되게 끼워져 사이드레일(11)의 길이방향으로 진퇴이동되는 슬라이드봉(13a), 슬라이드봉(13a)의 일단에 일체로 형성되어 전기케이블(L)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3b), 슬라이드봉(13a)의 말단에 착탈가능하게 체결되어 렁(1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단속하는 스토퍼(13c)로 이루어진 케이블받침대(13)로 구성된 트레이본체(10);
    제1결합공(12a)과 상호 연통되는 제2결합공(21a)을 갖추고서 렁(12)의 상면과 양측면에 맞대어지게 렁(12)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제1·2결합공(12a,21a)에 관통되게 끼워지는 슬라이드봉(13a)에 의해 구속되는‘ㄷ’자 형상의 브라켓(21)과,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제1몸체부(22a)와 제2몸체부(22b)로 각각 분할형성되어 힌지를 매개로 상호 결합되되, 제1·2몸체부(22a,22b)의 양단 내주면에는 반원형의 플런지부(22c)가 중심을 향해 연장되고, 제1몸체부(22a)는 브라켓(21)의 상면에 일체로 형성되는 관형상의 본체(22)와,
    양단을 통해 전기케이블(L)이 각각 삽입되어 본체(22)의 내부에 삽탈가능하게 수용되고, 양단 외주면에는 본체(22)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원판형상의 플런지(23a)가 일체로 형성되며, 플런지(23a) 사이에는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일렬배치되어 각각이 내부와 연통되는 관통홀(23b)이 상호 대향되게 형성된 절연재질의 케이블소켓(23)과,
    본체(22)의 내면에 형성되는 탄성을 갖춘 패킹재(24)와,
    케이블소켓(23)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게 배치되어 케이블소켓(23)과 패킹재(24) 사이에 개입되되, 본체(22)의 가압에 의해 내주면은 케이블소켓(23)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외주면은 패킹재(24)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반원형의 단면을 갖는 호판(25a), 호판(25a)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며 관통홀(23b)에 승강가능하게 끼워져 전기케이블(L)의 피복(Lb)을 관통해 도선(La)에 꽂혀져 전기케이블(L)을 물어 고정하는 피침(25b)으로 구성되어 전기케이블(L)을 전기적으로 상호 연결하는 전도성재질의 연결구(25)와,
    본체(22)에 설치되어 제1·2몸체부(22a,22b)의 회동을 단속하는 잠금기구(26)로 이루어진 케이블연결조립체(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0200112842A 2020-09-04 2020-09-04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2462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42A KR102246278B1 (ko) 2020-09-04 2020-09-04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2842A KR102246278B1 (ko) 2020-09-04 2020-09-04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278B1 true KR102246278B1 (ko) 2021-04-29

Family

ID=75728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2842A KR102246278B1 (ko) 2020-09-04 2020-09-04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27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668784B1 (ko)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631A (ko) * 2008-11-26 2010-06-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085588B1 (ko) * 2011-09-28 2011-11-25 (주)주원이엔지 송전선로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JP2017037747A (ja) * 2015-08-07 2017-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用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884013B1 (ko) * 2018-04-27 2018-07-31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941085B1 (ko) * 2018-11-08 2019-01-23 (주)골드이엔지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배선연결 장치
KR101993454B1 (ko) * 2019-02-26 2019-06-26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114814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감전사고 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14812B1 (ko)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9631A (ko) * 2008-11-26 2010-06-04 동아대학교 산학협력단 전선 연결용 커넥터
KR101085588B1 (ko) * 2011-09-28 2011-11-25 (주)주원이엔지 송전선로 누전차단을 위한 케이블 절연대
JP2017037747A (ja) * 2015-08-07 2017-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アース用のジョイントコネクタ
KR101884013B1 (ko) * 2018-04-27 2018-07-31 주식회사 한국전기설계감리기술단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KR101941085B1 (ko) * 2018-11-08 2019-01-23 (주)골드이엔지 케이블 트레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배선연결 장치
KR101993454B1 (ko) * 2019-02-26 2019-06-26 주식회사 이노플라텍 처짐을 방지하고 확장성을 높인 조립식 케이블 트레이
KR102114814B1 (ko) *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감전사고 방지용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기구
KR102114812B1 (ko) 2019-12-10 2020-05-25 (주) 여명기술단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고정트레이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31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누전경고기능을 갖춘 건축물의 배전선 지지장치
KR102323134B1 (ko) * 2021-05-14 2021-11-08 최규섭 전기케이블 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트레이
KR102326004B1 (ko) * 2021-05-14 2021-11-15 주식회사 세광티이씨 전선보호가 가능한 건축물용 전선지지기구
KR102324856B1 (ko) * 2021-05-20 2021-11-11 (주)단에이앤씨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에 구비되는 전선이탈방지용 전선트레이
KR102494116B1 (ko) * 2022-07-22 2023-02-06 (주)제이티엔지니어링 연결이 편리한 지중송전라인 접속장치
KR102672261B1 (ko) 2023-04-25 2024-06-04 김선미 점검작업이 편리한 지중배전라인 연결용 접속장치
KR102668784B1 (ko)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집합건물용 적산전력량계에서 복수의 인입케이블을 취부하는 방법
KR102668781B1 (ko) *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옥내 전기 설비의 전원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668783B1 (ko) *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전력량계 파워 코드의 전기적 연결 장치
KR102668782B1 (ko) * 2023-08-28 2024-05-23 (주)신덕엔지니어링 다세대주택용 적산전력계의 전력선 접속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6278B1 (ko) 안전성이 향상된 건축물용 전기케이블 트레이
KR102246276B1 (ko) 합선방지기능을 갖춘 배전선용 건축물트렌치
KR101987085B1 (ko) 공동주택 건축물용 전기 케이블 트레이
RU2406806C2 (ru) Электропроводность в системе подвесного потолка
US5618192A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RU2542714C2 (ru) Внутренняя токопроводящая шина и средство электрического взаимного соединения для нее
KR100918224B1 (ko) 커넥터 엔디드 케이블용 플러그인 커넥터
WO1987001524A1 (en) Electrical supply rail system
KR101884013B1 (ko) 내진 설계를 갖춘 공동주택 전기시설물
US10566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KR102243944B1 (ko) 지중배전선 지지장치
EP0597980A4 (en) Flexible conductive track.
CN206022688U (zh) 用于连接电缆的连接器
JPH0556544A (ja) 光フアイバ複合電力ケーブル終端部
WO2017093711A1 (en) An improved electrical connector
US3839696A (en) Connector for electric installation systems
KR102594766B1 (ko) 건축용 동축케이블 커넥터
DE69804524T2 (de) Isolations-Perforierverbinder
RU56731U1 (ru) Разводка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аппаратуры управления лифтом к шкафу управления
JPH0139408Y2 (ko)
KR102015843B1 (ko) 견고한 결선구조를 갖는 공동주택 배전선로 케이블 접속구
JPH0244457Y2 (ko)
JPH04131862U (ja) 集中結線コネクタ
JPH11348610A (ja) 電流接触線のための入口給電装置
JPH032114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