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84B1 -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 Google Patents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84B1
KR102246084B1 KR1020190104395A KR20190104395A KR102246084B1 KR 102246084 B1 KR102246084 B1 KR 102246084B1 KR 1020190104395 A KR1020190104395 A KR 1020190104395A KR 20190104395 A KR20190104395 A KR 20190104395A KR 102246084 B1 KR102246084 B1 KR 102246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rojector module
beam projector
slot
optic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4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168A (ko
Inventor
이준엽
강영규
서정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무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무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무가
Priority to US16/573,229 priority Critical patent/US11150330B2/en
Publication of KR20200033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53Intensity control of illuminating ligh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일 실시예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기판; 상기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광을 투과하는 광학기판; 및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광학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Beam projector module providing eye protection}
본 실시예는 빔프로젝터모듈에 관한 것이다.
레이저(LASER)는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의 약자로서, 집중적이고 응축적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레이저는 단색성 및 지향성을 가질 수 있는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레이저는 광학적 센서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레이저는 거리측정장치의 광원으로 활용될 수 있고, 3차원 뎁스 카메라(3D Depth Camera)의 광원으로 활용될 수 있다. ToF(Time of Flight) 방식의 거리측정장치는 광원에서 출력된 펄스(pulse) 형태의 광파가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이동거리를 위상차이를 통해 측정하고 이러한 위상차이와 주파수의 정보를 통해 거리를 측정하며, 구조광(SL: Structure Light) 또는 하이브리드 스테레오 타입(hybrid stereo type)은 레이저 광원을 소스로 하여 디퓨저를 통하여 규칙 또는 비규칙적인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거리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레이저는 고출력 및 지향성의 특성으로 인해 거리측정 및 3차원 뎁스 카메라의 광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한편, 레이저의 고출력 특성은 광의 비행거리를 증가시키고, 되돌아온 광의 출력도 일정 이상을 유지시킬 수 있다는 측면에서 장점으로 인식될 수 있으나, 안전의 측면에서는 단점으로 인식될 수 있다. 고출력의 광이 사람의 안구로 직접 조사되는 경우, 안구에 손상을 주고, 극단적인 경우 실명을 초래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레이저를 광원으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항상 안전상의 문제가 고려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각국에는 눈보호(eye-safety) 기준이 있어서, 장치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는 기준 값 이하로 조절된다.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는 광의 출력경로 상에 광의 세기를 줄여줄 수 있는 디퓨저(diffuser)를 배치하는 것이다. 디퓨저는 집중되어 있는 광을 빛의 속성을 이용하여 굴절 및 회절 등의 효과로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일정 FOV(field of view)로 분산시키기 때문에 디퓨저를 통과한 광은 단위 면적당의 세기가 줄어들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디퓨저를 이용하여 광의 세기를 조절하는 장치에서, 디퓨저가 탈착되는 경우, 고출력의 광이 그대로 출력되기 때문에 안전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눈보호(eye-safety)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에 대한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실시예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기판; 상기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광을 투과하는 광학기판; 및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광학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의 내측으로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을 관통하여 투입되는 상기 광학장치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의 내측으로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광학장치는 광학적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을 통한 상기 광학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광학장치의 광학적특성이 상이한 각 영역이 상기 광원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1슬롯은 실링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1슬롯의 외측 일부, 및 상기 프레임의 상기 제1측면의 외측 일부분이 상기 실링부재에 의해 추가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2슬롯은 상기 제2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각각 실링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 사이의 제3측면을 관통하도록 제3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슬롯은 실링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광학기판에서,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부분의 일면에는 곡선형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곡선형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슬롯의 일면에 주름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광을 분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른 실시예는,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기판; 상기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광학장치; 및 상기 광학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광을 투과하는 광학기판;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1프레임부, 및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광학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전도성 접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합부의 저항 값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저항 값이 미리 정해진 일정 저항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에폭시일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광을 분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2접합면에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1접합면에 상기 소켓에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2프레임부는 제2접합면에 하나 이상의 상기 소켓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1접합면에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2접합면에 배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된 비아필을 통해 상기 접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지지부는, 미리 설정된 화각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광학기판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접합면은 곡선형의 요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빔프로젝터모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항 값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상기 변화율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빔프로젝터모듈에 이상에 발생하여도 사용자의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9a, 9b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다양한 소켓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화각 조절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이 저항 값에 따라 작동모드를 변경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100)은 광원(110), 기판(120), 광학장치(130), 광학기판(140), 프레임(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은 기판(12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광을 출력할 수 있다. 광원(110)의 애노드전극은 기판(120)의 애노드배선과 연결되고 캐소드전극은 기판(120)의 캐소드배선과 연결될 수 있다.
광원(110)은 기판(120)에 와이어 본딩 형태로 연결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는, 광원(110)은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 방식으로 기판(120)에 와이어 없이 배치될 수 있다. 광원(110)이 플립칩 본딩(flip chip bonding)을 통하여 기판(120)과 연결되는 경우에는, 와이어 선이 필요하지 않고, 그에 따라, 보다 소형의 빔프로젝터 모듈을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광원(110)은 레이저 등의 광을 출력할 수 있는 광원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나, 광원(110)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광원(110)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120)에는 배선이 패터닝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2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전력을 각 배선을 통해 광원(110)에 공급할 수 있다.
광학장치(130)는 광원(110)에서 출력되는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광의 세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장치(130)는 광을 확산시켜 광이 도달하는 영역을 넓게 만드는데, 이에 따라, 단위 면적에 공급되는 광의 세기가 감소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장치(130)는 광학기판(140)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장치(130)는 광을 확산시켜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장치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나, 디퓨저, 회절광학소자(Diffraction Optical Element: DO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광학기판(140)은 복수의 광학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기판(140)은 제1광학기판과 제2광학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광학기판과 제2광학기판은 각각의 광학기판 사이에 이격된 공간을 형성하면서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장치(130)는 이격된 공간에 제1광학기판 또는 제2광학기판에 부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는 광학기판(140)에 광학장치(130)가 배치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광학기판(140) 상에 광학장치(130)가 배치되지 않고, 광학기판(140) 없이 광학장치(130)가 직접 프레임(150)에 의해 지지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퓨저 또는 회절광학소자(Diffraction Optical Element: DOE)가 프레임(150)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빔프로젝터모듈(100)은 광학기판(140)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프레임(150)은 기판(120)상에 배치될 수 있고, 광학장치(130)를 광원(110)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50)에는 삽입슬롯(10, 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은 빔프로젝터모듈(100)이 광학기판(140)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 광학장치(130)를 지지할 수 있고, 광학기판(140)을 포함하는 경우, 광학장치(130) 또는 광학기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광학장치(130)와 광학기판(140)을 동시에 지지할 수도 있다.
프레임(150)의 제1측면(1)에는 프레임(150)의 제1측면(1)을 관통하도록 삽입슬롯(1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측면(1)의 삽입슬롯(10)의 폭 및 두께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폭 및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슬롯(10)으로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프레임(150)의 제2측면(2)의 내측으로도 삽입슬롯(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측면(2)의 삽입슬롯(20)은 관통 형상이 아니고 프레임(150)의 면에 오목하게 들어가 있는 형상일 수 있다. 광학장치(130)는 이러한 제2측면(2)의 삽입슬롯(20)까지 슬라이딩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프레임(150)에 슬라이딩되면서 삽입된 후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면 이후 삽입슬롯(10)이 실링부재(60) 등으로 마감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슬롯(10) 외측 일부, 및 프레임(150)의 제1측면(1)의 외측 일부분이 실링부재(60)에 의해 추가로 마감될 수 있다.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슬라이딩되어 삽입되어 프레임(150)에 고정되는 전술한 과정 중에 광학장치(130)의 정확한 배열을 위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위치를 조절하면서 실링부재(60)로 마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110)에서 출력되는 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키기 위하여 광학장치(130)의 위치 또는 광원(110)과의 상대적인 배열이 중요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장치(130)를 슬라이딩 삽입하면서 삽입되는 정도를 미세하게 조절하여 도 1에 도시된 'X' 방향으로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할 수 있고, 정확한 위치에 광학장치(130)를 위치시킨 후에 실링부재(60)를 통하여 최종적으로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링부재(60)에 의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최종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실링부재(60)는 접착성을 가지고 삽입슬롯(10)을 마감시킬 수 있는 물질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나,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열경화성 에폭시 수지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정확하게 조절한 후에, 경화공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레임(150)은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지지하는 지지부(155a, 155b)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은 삽입슬롯(10)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지지부(155a, 155b)와 접촉되도록 프레임(150)에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일부는 프레임(150)의 상측 지지부(155a) 및 하측 지지부(155b)와 접촉되도록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고, 상측 지지부(155a) 및 하측 지지부(155b)에 의해서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종래 빔프로젝터모듈에서는 광학장치(또는 광학장치가 배치된 광학기판)가 프레임의 상측면에 부착됨으로써 외부의 힘에 의해 탈착될 가능성이 높았다. 하지만,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에서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프레임(150)의 제1측면(1)을 통해 슬라이딩 방식으로 장착되어 지지부(155a, 155b)에 의해 지지되므로 광학장치의 탈착 가능성을 줄일 수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빔프로젝터모듈은 광학장치의 도 1의 'Z' 방향의 움직임에 대해 광학장치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이 적어 'Z' 방향으로 탈착될 가능성이 높았다. 그러나,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에서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Z' 방향으로 움직일 경우 삽입슬롯(10, 20)이 형성된 프레임(150)의 상측 지지부(155a)에 의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움직임이 억제되어 해당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탈착할 가능성을 현저하게 낮출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프레임(150)은 제1슬롯(10), 제2슬롯(20), 제3슬롯(30), 제4슬롯(4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50)에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프레임(130)의 제1측면(1)에 제1측면(1)을 관통하도록 제1슬롯(10)이 형성되고, 제1측면(1)과 대향되는 제2측면(2)의 내측으로 제2슬롯(2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측면(1)과 제2측면(2)을 연결시키는 측면들에 제3슬롯(30)과 제4슬롯(4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슬롯(10), 제2슬롯(20), 제3슬롯(30), 제4슬롯(40)의 폭 및 두께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폭 및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슬라이딩 삽입된 후에 프레임(150)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2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200)은 광원(110), 기판(120), 광학장치(130), 광학기판(140), 프레임(15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슬롯(20)은 프레임의 제2측면(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슬롯(10) 및 제2슬롯(20)이 각각 실링부재로 마감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슬롯(20)이 프레임의 제2측면(2)을 관통하도록 형성됨에 따라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은 제1슬롯(10) 또는 제2슬롯(20)에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즉, 프레임의 제1측면(1)과 제2측면(2) 모두에서 삽입되거나 제1측면(1)과 제2측면(2) 중 선택적으로 관통 및 고정부로 설정하여 실링부재가 한 방향에서만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빔프로젝터모듈의 공정과정이 좀 더 유연해질 수 있다.
추가적인 예로, 광학장치는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광학설계영역을 복수로 포함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동일한 광원을 이용하면서도 광학장치의 위치만을 변화시켜 상이한 광학적 특성을 가진 빔프로젝터모듈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장치 및 광학기판에 있어서, 원거리 정밀도가 우수한 TOF 방식에서 사용되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일정영역과, 단거리 정밀도가 우수한 구조광(SL:Srtucture Light) 방식에서 사용되는 구조광 패턴을 포함하는 타영역을 구비한 광학장치가 포함된 광학기판을 프레임에 고정시키지 않고, 제1측면과 제2측면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 또는 프로세서의 알고리즘을 통하여, 단거리에 대상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구조광 패턴을 포함하는 광학 장치의 타영역이 광원의 상측에 위치되어 빔프로젝터모듈이 구조광 방식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고, 장거리에 대상 물체가 있는 경우에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광학 장치의 일정영역이 광원의 상부에 위치되어 빔프로젝터 모듈이 TOF방식으로 광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상 물체의 거리에 따라 광학장치 및 광학 기판을 슬라이딩 이동시켜 빔프로젝터모듈의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는 다양한 광학적특성을 가진 광을 광학기판의 슬라이딩 이동만을 통해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2슬롯(20)이 프레임의 제2측면(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므로, 광학장치(130)를 슬라이딩 삽입한 후에 광학장치(130)를 더욱 용이하게 정확히 위치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학장치(130)를 프레임(150)에 슬라이딩 삽입한 후에, 프레임의 제1측면(1) 및 제2측면(2)에서 동시에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광학장치(130)를 정확한 위치에 배치시키는 것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도 3 내지 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3슬롯(30) 또는 제4슬롯(40)은 프레임의 제1측면(1) 및 제2측면(2) 사이의 제3측면(3) 또는 제4측면(4)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슬롯(30) 또는 제4슬롯(40)은 프레임의 제1측면(1), 제1측면(1)에 대향되는 제2측면(2), 제1측면(1) 및 제2측면(2) 사이의 제3측면(3) 또는 제4측면(4)이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슬롯(30) 또는 제4슬롯(40)이 제3측면(3) 또는 제4측면(4)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 빔프로젝터모듈 제조공정에서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더 효과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슬롯(10) 및 제2슬롯(20)이 프레임(150)의 제1측면(1) 및 제2측면(2)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경우에는 'X' 방향으로만 광학장치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제3측면(3) 또는 제4측면(4)이 관통된 경우에는 'Y' 방향으로의 광학장치(130)의 위치를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여, 광학장치(130)의 정확한 위치 조정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5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광학기판(140)에는 주름부(51)가 형성될 수 있다. 주름부(51)에는 곡선형의 요철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곡선형 요철은 삽입슬롯(10, 20, 30, 40)에도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슬롯(10), 제2슬롯(20), 제3슬롯(30) 및 제4슬롯(40)에 광학기판(140)의 주름부(51)의 곡선형 요철 형상에 대응되도록 삽입슬롯 일면에 곡선형 요철(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주름부(51)와 이에 대응되는 곡선형 요철(52)에 의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과 프레임 사이(150)의 고정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빔프로젝터모듈 제조과정에서 프레임(150)에 광학장치(130) 또는 광학기판(140)을 슬라이딩 삽입하는 경우에, 적절한 고정력을 갖춘 주름부(51) 및 곡선형 요철(52)을 통해 광학장치(130)를 올바른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더욱 용이할 수 있다.
도 7은 제3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3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300)은 광원(110), 기판(120), 광학장치(130), 광학기판(140), 프레임(350), 센서(370), 프로세서(3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110)으로의 전력공급은 프로세서(3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380)는 정상모드와 눈보호모드에서 광원(110)으로 공급하는 전력을 다르게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80)는 정상모드에서만 광원(110)으로 전력을 공급하고 눈보호모드에서는 광원(110)으로 전력을 공급하지 않을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380)는 정상모드에서 보다 눈보호모드에서 상대적으로 적은 전력을 광원(110)에 공급할 수 있다.
기판(120)은 광원(110)을 지지할 수 있다. 기판(120)에는 배선이 패터닝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120)은 외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고, 전력을 각 배선을 통해 광원(110), 센서(370), 프로세서(380) 등으로 공급할 수 있다.
프레임(350)은 제1프레임부(351) 및 제2프레임부(3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레임부(351)는 광학장치(130)를 광원(110)으로부터 일정거리 이격시킬 수 있다. 제2프레임부(352)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지지하는 지지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는 지지부(미도시)와 접촉되도록 프레임(35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부(351) 및 제2프레임부(352)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부(360)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접합부(360)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전도성 물질은 접착성과 전도성이 있는 물질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는다.
센서(370)는 프로세서(380)와 통신할 수 있고, 접합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합부(360)의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는 저항 센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380)는 센서(370)의 저항 값에 따라 광원(110)의 작동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80)는 센서(370)의 저항 값이 미리 정해진 일정 저항 값 이상인 경우 광원(110)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킬 수 있다.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에서 프로세서(380)는 광원(110)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줄일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80)는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에서 광원(110)이 눈보호 프리대역의 파장을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눈보호 프리대역의 파장은 1050nm일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350)은 제1프레임부(351) 및 제2프레임부(352)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는 접합부(36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351)는 제1접합면(353)을 통해 접합부(360)와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제1접합면(353)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배선이 패터닝 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부(352)는 제2접합면(354)을 통해 접합부(360)와 맞닿을 수 있다. 그리고, 제2접합면(354)의 일부 또는 전부에는 배선이 패터닝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접합면(353), 제2접합면(354), 전도성 물질이 포함된 접합부(360)를 통하여 제1프레임부(351), 제2프레임부(352), 및 접합부(3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부(351), 제2프레임부(352), 접합부(3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에 따라, 제2프레임부(352)가 외부의 충격 등으로 인해 제1프레임부(351) 및 접합부(360)와 이격되게 되면, 접합부(360)의 저항 값이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제1접합면(353) 및 제2접합면(354)은 배선이 형성되지 않고, 금속으로 도금될 수 있다. 따라서, 금속도금을 통해 제1접합면(353), 제2접합면(354), 접합부(3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금속은 전도성이 있는 것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리, 금,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제2프레임부(352)는 지지부(355a, 355b)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는 상측 지지부(355a) 및 하측 지지부(355b)를 포함할 수 있고, 상측 지지부(355a) 및 하측 지지부(355b)는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각각 위와 아래방향에서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은 제2프레임(352)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지지부(355a, 355b)와 접촉되도록 프레임(35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프레임부(352)는 제2접합면(354)에 형성된 소켓(357)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부(351)는 제1접합면(353)에 소켓(357)에 대응되는 요철구조(358)를 포함할 수 있다. 소켓(357) 및 요철구조(358)는 제1프레임부(351) 및 제2프레임부(352)가 접합부(360)를 통해서 연결되는 경우, 그 결합력을 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351)가 요철구조(358)를 포함하고 제2프레임부(352)가 이에 대응하는 소켓(357)을 포함하는 경우, 제1프레임부(351) 또는 제2프레임부(352)가 외부의 충격을 받는 경우에 소켓(357)과 요철구조(358)가 제1프레임부(351)과 제2프레임부(352)의 접촉면적을 넓히고, 서로 간의 맞물림을 통해 서로 이격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리고 도 7 내지 도 8에는 제1프레임부(351)가 요철구조를 포함하고, 제2프레임부(352)가 소켓을 포함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프레임부(351)가 소켓을 포함하고, 제2프레임부(352)가 요철구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1프레임부(351)는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부(36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제1프레임부(351) 내외부에 배선이 형성될 수 있다. 혹은, 제1프레임부(351) 내부에 형성된 비아필(359)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프레임부(351) 내외부에 형성된 배선 또는 비아필(359)을 통해 센서(370)와 접합부(36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접합부(360)의 저항 값이 변화하는 경우, 센서(370)는 제1접합면(353), 제2접합면(354)에 형성된 배선과 제1프레임부(351)의 내외부에 형성된 배선 또는 비아필(359)을 통해서 접합부(360)와 전기전으로 연결되고, 접합부(360)의 저항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비아필(359)은 전기적으로 전도성인 물질이면 이를 제한하지 않으나, 구리, 금, 니켈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9b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이 다양한 소켓을 나타내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a 및 9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프레임(350)은 다양한 구조의 소켓(359)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350)은 직각 구조가 아닌 경사면을 포함하는 소켓(357a) 및 요철구조(358a)를 포함할 수 있고,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의 결합력을 고려하여 하나 이상의 소켓(357b) 및 요철구조(358b)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10은 제3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에 이상이 생긴 경우를 나타내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빔프로젝터모듈(300)은 외부의 충격 등의 요인으로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가 이격될 수 있다.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가 이격되면, 광학장치(130)가 부착된 광학 기판(140)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나 제1프레임부(351)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110)에서 출력되는 광의 세기가 감소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자의 눈에 도달하면서 눈에 손상을 일으킬 수 있다.
한편,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가 물리적으로 이격되면, 제1프레임부(351)와 제2프레임부(352)가 더 이상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이에 따라 센서(370)에서 측정되는 접합부(360)의 저항 값이 증가하게 된다. 이때, 프로세서(380)는 센서에서 측정된 저항 값을 미리 정해진 일정 저항 값과 그 크기를 비교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380)는 센서(370)에서 측정된 저항 값이 미리 정해진 일정 저항 값보다 크다고 판단하면, 광원(110)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킬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380)는 저항 값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변화율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광원(110)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킬 수 있다.
즉, 프로세서(380)는 접합부(360)에서 측정되는 저항 값에 따라 광학장치(130)가 정상적인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지 판단하여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를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눈보호모드가 작동되면 프로세서(380)가 광원(110)으로의 전력공급을 중지시켜 광을 출력시키지 않거나, 정상구동 시 보다 전력을 적게 공급하여 광의 세기를 줄여 광학장치(130)가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나더라도 출력된 광이 그대로 사용자의 눈으로 도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다.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4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화각 조절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빔프로젝터모듈(400)의 프레임(450)에 포함된 지지부(455a, 455b)가 광원(110)의 화각(90)을 조절하도록, 프레임(450)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지지부(455a, 455b)의 길이는 빔프로젝터모듈(400)의 미리 설정된 화각(90)을 고려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빔프로젝터모듈에 요구되는 화각은 광원의 특성, 빔프로젝터모듈이 설치되는 기기의 환경,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이때 빔프로젝터모듈은 요구되는 화각에 맞추어 정확하게 광을 출력하는 것이 중요하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력되는 광의 화각이 올바르게 설정되지 못한 빔프로젝터모듈(1100)에서는, 거리측정모듈(1000)이 설치된 기기의 송신부 개구(93)와 화각이 올바르게 정렬되지 않기 때문에, 방출된 일부 광(92)은 송신부 개구(93)를 통과하지 않거나 송신부 개구(93) 주변에서 회절되어 대상 물체에 반사되지 않고 수신부(1200)에 도달할 수 있다. 이때, 일부 광(92)은 이동한 거리가 대상 물체에 반사된 광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일부 광(92) 때문에 수신부(1200)가 대상의 거리를 잘못 측정하게되는 오류가 생길 수 있고, 따라서, 거리측정 결과에 노이즈가 발생할 수 있다.
반면, 화각이 올바르게 설정된 도 11의 빔프로젝터모듈(400)의 경우에는 도 12의 빔프로젝터모듈과 다르게 설치된 기기의 송신부 개구에 맞추어 화각이 올바르게 정렬되어 출력된 광이 송신부 개구를 통과하지 않거나 회절되는 현상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거리측정 결과의 오류와 노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렇듯 빔프로젝터모듈은 미리 설정된 화각으로 광을 정확하게 출력하는 것이 중요하고, 도 11에 도시된 빔프로젝터모듈(400)은 지지부(455a, 455b)가 화각(90)을 고려하여 일정 길이 연장되기 때문에, 미리 설정된 화각(90)으로 광을 정확하게 출력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부(455a, 455b)가 연장되는 길이는 개개의 빔프로젝터의 설정된 화각에 따라 다르게 조정될 수 있다.
또한, 도11의 지지부는 상측 지지부(455a)와 하측 지지부(455b)가 모두 연장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하측 지지부(455b)만 연장될 수 있고, 또는 상측 지지부(455a)만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측 지지부(455a)와 하측 지지부(455b)의 각각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또한, 지지부(455a, 455b)가 연장됨에 따라, 지지부(455a, 455b)가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을 지지하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어지고, 이에 따라 광학장치(130) 및/또는 광학기판(140)이 탈착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은 제5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의 단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레임(550)의 제1접합면 및 제2접합면은 곡선형 요철을 포함하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접합부가 곡선형 요철을 포함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제1프레임부(551) 및 제2프레임부(552)와 접착되는 부분의 표면적을 넓힐 수 있어, 제1프레임부(551)와 제2프레임부(552) 사이의 접착력을 높혀 이들을 보다 견고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 14는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빔프로젝터모듈이 저항 값에 따라 작동모드를 변경하는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프로세서는 센서로부터 저항 값을 획득할 수 있다(S102). 여기서 저항 값은, 접합부에서 측정되는 저항 값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측정된 저항 값이 기준 저항 값에 비해 작은 값인지 판단할 수 있다(S104). 여기서 프로세서는 저항 값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저항 값이 일정 비율이상으로 증가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저항 값이 기준 저항 값보다 낮으면 광원을 정상모드로 구동할 수 있다. (S106) 그리고, 프로세서는 저항 값이 기준 저항 값보다 높으면 광원을 눈보호모드(eye-sasfety mode)로 구동할 수 있다(S108). 눈보호모드에서 프로세서는 광원을 턴오프시킬 수 있거나, 광원으로의 전력공급을 줄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빔프로젝터모듈에 이상에 발생하여도 사용자의 눈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기판;
    상기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광학장치;
    상기 광학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광을 투과하는 광학기판; 및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고, 상기 광학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광학기판은 상기 프레임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미리 정해진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의 내측으로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을 관통하여 투입되는 상기 광학장치의 일측 모서리가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빔프로젝터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슬롯은 실링부재로 마감되는, 빔프로젝터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에 대향되는 제2측면의 내측으로 제2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광학장치는 광학적특성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슬롯 및 상기 제2슬롯을 통한 상기 광학기판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 상기 광학장치의 광학적특성이 상이한 각 영역이 상기 광원의 상측에 배치되는, 빔프로젝터모듈.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슬롯은 상기 제2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슬롯 및 제2슬롯이 각각 실링부재로 마감되는, 빔프로젝터모듈.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제1측면 및 상기 제2측면 사이의 제3측면을 관통하도록 제3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제3슬롯은 실링부재로 마감되는, 빔프로젝터모듈.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판에서,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는 부분의 일면에는 곡선형의 요철이 형성되는, 빔프로젝터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곡선형의 요철 형상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슬롯의 일면에 주름부가 형성되는, 빔프로젝터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광을 분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빔프로젝터모듈.
  10. 광을 출력하는 광원;
    상기 광원이 지지되는 기판;
    상기 광에 대하여 일정 공간으로 출력되는 상기 광의 세기를 감소시키는 광학장치; 및
    상기 광학장치가 배치되고, 상기 광을 투과하는 광학기판;
    상기 광학장치를 상기 광원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키는 제1프레임부, 및 전도성 물질을 포함하는 접합부를 통하여 상기 제1프레임부와 연결되고 상기 광학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2프레임부를 포함하는 프레임;
    상기 전도성 접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접합부의 저항 값을 측정하는 센서; 및
    상기 저항 값이 미리 정해진 일정 저항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키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물질은 전도성 에폭시인, 빔프로젝터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광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cavity surface-emitting laser)를 포함하고,
    상기 광학장치는 상기 광을 분산시키는 디퓨저를 포함하는, 빔프로젝터모듈.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2접합면에 형성된 소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1접합면에 상기 소켓에 대응되는 구조가 형성된, 빔프로젝터모듈.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프레임부는 제2접합면에 하나 이상의 상기 소켓을 포함하는, 빔프로젝터모듈.
  15.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는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1접합면에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2프레임부는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2접합면에 배선을 포함하는, 빔프로젝터모듈.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상기 제1프레임부 내부에 형성된 비아필을 통해 상기 접합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빔프로젝터모듈.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미리 설정된 화각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내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된, 빔프로젝터모듈.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기판은 상기 제2프레임의 제1측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제1슬롯을 통해 슬라이딩 삽입되어, 상기 광학기판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의 일부가 상기 지지부와 접촉되도록 상기 프레임에 장착되는, 빔프로젝터모듈.
  19.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1접합면 및 상기 제2프레임부와 상기 접합부가 맞닿는 제2접합면은 곡선형의 요철을 포함하는, 빔프로젝터모듈.
  20.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저항 값의 변화율을 측정하여 상기 변화율이 일정 값 이상인 경우, 상기 광원을 눈보호모드(eye-safety mode)로 작동시키는, 빔프로젝터모듈.
KR1020190104395A 2018-09-18 2019-08-26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KR102246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573,229 US11150330B2 (en) 2018-09-18 2019-09-17 Beam projector module for sliding insertion of an optical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1279 2018-09-18
KR20180111279 2018-09-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68A KR20200033168A (ko) 2020-03-27
KR102246084B1 true KR102246084B1 (ko) 2021-04-30

Family

ID=69959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4395A KR102246084B1 (ko) 2018-09-18 2019-08-26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43221B2 (en) 2020-03-30 2023-12-12 Namuga, Co., Ltd. Light source module for emitting high density bea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9141A (ja) * 2010-07-26 2012-02-09 Konica Minolta Opto Inc 画像投影機能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
KR101853268B1 (ko) * 2017-10-26 2018-05-02 주식회사 나무가 레이저를 이용하는 빔프로젝터모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29141A (ja) * 2010-07-26 2012-02-09 Konica Minolta Opto Inc 画像投影機能を有するモバイル機器
KR101853268B1 (ko) * 2017-10-26 2018-05-02 주식회사 나무가 레이저를 이용하는 빔프로젝터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168A (ko) 2020-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3268B1 (ko) 레이저를 이용하는 빔프로젝터모듈
US9470857B2 (en) Optical module with beam splitter on reflecting surface
CN102193295B (zh) 用于光学投影的集成光子学模块
US7427748B2 (en)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witch
WO2020062909A1 (zh) 控制方法与装置、飞行时间设备、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7502566B2 (en) Light-emitting module
US11418262B2 (en) Optical module comprising a reflective surface at a preset angle for reflecting light from light transmitting lenses to light receiving lenses
WO2020038053A1 (zh) 飞行时间模组及其控制方法、控制器和电子装置
US20170031118A1 (en) Optoelectronic components housed in a to-can package
US10866375B2 (en) Light source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US11073440B2 (en) Hermetic sealed beam projector modul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46084B1 (ko)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US20120121272A1 (en) Opto-electronic assembly for high speed transmission
US11467260B2 (en) Hermetically sealed distance measuring apparatus
US11150330B2 (en) Beam projector module for sliding insertion of an optical device
KR102548859B1 (ko) 눈 보호 기능을 제공하는 빔프로젝터모듈
CN217766830U (zh) 激光发射模块和激光雷达装置
CN112393691B (zh) 光发射模组、深度相机及电子设备
KR102087519B1 (ko) 눈보호기능의 오동작을 방지하는 빔프로젝터모듈 및 그 제어방법
JP6968901B2 (ja) 特定の事前組立モジュールを有する自動車両の光センサ装置用の送信装置、光センサ装置、及び自動車両
JP5823419B2 (ja) 光モジュールの製造方法
KR20200107749A (ko) 거리 측정 장치
CN114096884A (zh) 光发射模组、光接收模组、深度相机和电子设备
US9547126B2 (en) Optical waveguide sheet, optical uni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524380B1 (ko) 실시간 광원 모니터링이 가능한 광원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