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81B1 - 카플린 - Google Patents

카플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81B1
KR102246081B1 KR1020210010121A KR20210010121A KR102246081B1 KR 102246081 B1 KR102246081 B1 KR 102246081B1 KR 1020210010121 A KR1020210010121 A KR 1020210010121A KR 20210010121 A KR20210010121 A KR 20210010121A KR 102246081 B1 KR102246081 B1 KR 1022460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guide
guide member
end opening
crown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엄인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나로드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나로드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나로드니
Priority to KR1020210010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60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4Soft caps; Hoods
    • A42B1/045Soft caps; Hoods fastened under the chin, e.g. bonne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04Decorative arrangements or effect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019Hats; Caps; Hood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16Millinery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A42B1/24Hats; Caps; Hoods with means for attaching articles thereto, e.g. memorandum tablets or mirrors
    • A42B1/248Insignia, logos, emblems or the like

Landscapes

  • Buck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플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플린의 일 양태는, 착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크라운, 크라운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브림, 크라운의 일측 또는 크라운에 인접하는 브림의 일측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띠 부재, 및 띠 부재에 체결된 삽입 안내부재를 포함하고, 띠 부재는 브림의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크라운에 형성되는 슬롯을 관통하여 브림의 상방에 위치되며, 삽입 안내부재는 띠 부재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띠 부재에 체결된다.

Description

카플린{CAPELINE}
본 발명은 카플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미감을 유지하면서 보다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카플린에 관한 것이다.
카플린(capeline)이란 모자의 일종으로, 브림(brim)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고, 크라운(crown)이 반구형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은 카플린은, 차양의 기능보다는 꾸밈의 목적으로 착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카플린에는, 착용자에게 고정하기 위한 고정끈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다.
그런데, 카플린의 경우, 브림의 폭이 넓으므로, 바람 등에 의하여 착용자의 머리에서 벗겨질 우려가 많다. 따라서, 종래의 카플린의 경우에는, 착용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벗겨지거나 분실될 우려가 발생한다.
또한, 카플린에는 장식용으로 기능하기 위한 다양한 부재, 예를 들면, 리본 형상 등이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리본 형상 등을 카플린에 고정하는 경우에는, 착용자의 취향에 따라서 리본 형상 등을 제거하지 못하게 되고, 반대로 이를 착착탈식으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이에 따른 가격 상승이나 의도와 무관하게 리본 형상 등이 카플린으로부터 분리되어 분실될 수도 있다.
나아가, 종래에는, 필요에 따라서 리본 형상 등을 위한 부재와 고정끈을 위한 부재가 각각 구비되어야 하므로, 재료의 낭비가 우려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0-0008342호(명칭: 고정끈이 체결된 일회용 조립식 모자)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12-0005132호(명칭: 고리끈이 부착된 모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간간하게 미감을 유지하면서 보다 견고한 착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카플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착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크라운(100); 상기 크라운(10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브림(200); 상기 크라운(100)의 일측 또는 상기 크라운(100)에 인접하는 브림(200)의 일측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띠 부재(300); 및 상기 띠 부재(300)에 체결된 삽입 안내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띠 부재(300)는 상기 브림(200)의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크라운(100)에 형성되는 슬롯(210)을 관통하여 상기 브림(200)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는 상기 띠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띠 부재(300)에 체결되는 카플린이 제공된다.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는 선단부 개구(o1), 상기 선단부 개구(o1)에 대향하는 후단부 개구(o2) 및 상기 선단부 개구(o1) 및 상기 후단부 개구(o2)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홀(H)을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띠 부재(300)는 선단부 방향(D1)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천으로 성형되되,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은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잇다.
상기 띠 부재(300)는 제1 지점(P1) 및 상기 제1 지점(P1)보다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지점(P2)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 방향(D1)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이하,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1 지점(P1)상 제1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크되, 상기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2 지점(P2)상 제2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띠 부재(300)는 상기 제1 지점(P1) 및 상기 제2 지점(P2) 사이에 위치하는 기준 지점(Px)을 포함하고, 상기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기준 지점(Px)상 기준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띠 부재(300)에 내첨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는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2 지점(P2)보다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선단부 방향(D1)과 수직한 방향(D2)으로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의 길이(500_r)는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직경(o1_r)보다 크되,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직경(o2_r)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는 카플린에서는, 크라운 또는 브림에 고정된 상태에서 브림의 하방 또는 슬롯을 통하여 브림의 상방에 위치되는 띠 부재가 고정끈의 기능을 하거나 장식용 리본으로 묶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1개의 띠 부재를 사용하여 고정 끈 또는 장식용 리본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띠 부재가 천과 같이 유연한 재질로 성형되어 크라운 또는 브림에 고정된 상태에서 그 일단에서 선단을 향하여 폭이 점차적으로 증가되고, 띠 부재의 선단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띠 부재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단단한 재질로 성형되는 삽입 안내부가 구비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띠 부재가 리본으로 묶여진 상태에서 충분한 미감을 발휘함과 동시에 보다 용이하게 슬롯을 통과할 수 있게 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의한 카플린의 사용상태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플린의 저면도를 예시적으로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플린을 구성하는 띠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플린을 구성하는 삽입 안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카플린을 구성하는 띠 부재에 삽입 안내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게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게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될 수 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카플린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카플린의 저면도이며, 도 4는 상기 카플린을 구성하는 띠 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고, 도 5는 상기 카플린을 구성하는 삽입 안내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며, 도 6 및 도 7은 상기 카플린을 구성하는 띠 부재에 삽입 안내부재가 결합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카플린(1)은, 크라운(100), 브림(200), 한쌍의 띠 부재(300), 삽입 안내부재(400) 및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를 포함한다.
크라운(100)은, 착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고, 상기 브림(200)은, 상기 크라운(100)의 테두리에서 연장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크라운(100) 및 브림(200)은, 일반적인 카플린을 구성하는 그것과 대동소이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상기 크라운(100) 또는 브림(200), 예를 들면, 양자의 경계부에 인접하는 상기 브림(200)의 일부가 절개되어 한쌍의 슬롯(210)이 정의된다. 상기 슬롯(210)은, 착용자가 상기 카플린(1)을 착용한 상태에서, 착용자의 양측면을 향하도록 배치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크라운(100) 또는 브림(200)의 내면, 예를 들면, 상기 크라운(100)의 내면에 개폐 부재(220)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 부재(220)는, 상기 슬롯(2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것으로, 예를 들면, 상기 크라운(100)의 내면에 그 일단이 고정되어 상기 슬롯(210)을 개폐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슬롯(210)을 차폐한 상태에서, 상기 슬롯(210)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상기 개폐 부재(220)의 일면은, 상기 크라운(100)과 동일한 색상으로 채색되거나 상기 크라운(100)과 동일한 모양으로 도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띠 부재(300)는, 상기 크라운(100)의 일측 또는 상기 크라운(100)에 인접하는 브림(200)의 일측에 그 일단이 각각 고정된다. 실질적으로, 상기 슬롯(210)에 인접하는 상기 크라운(100) 또는 브림(200)의 일측에 상기 띠 부재(30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띠 부재(300)가, 상기 브림(200)의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크라운(100)에 형성되는 슬롯(210)을 관통하여 상기 브림(200)의 상방에 위치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브림(200)의 하방으로 연장되는 상기 띠 부재(300)를 묶어서 고정 끈으로 기능하게 하거나, 상기 브림(200)의 상방에 위치되는 상기 띠 부재(300)를 소정의 형상, 예를 들면, 리본 형상으로 묶어서 장식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띠 부재(300)를 그 위치에 따라서 고정 끈 또는 장식용 리본 등으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띠 부재(300)는, 그 선단을 향하여 폭이 증가되는 천으로 성형되고, 상기 띠 부재(300)의 선단에는, 적어도 1개의 삼각형상을 포함하는 형상으로 절개될 수 있다. 이는 통상적으로 장식용으로 사용되는 리본의 경우, 그 풀럭임 등에 따른 미감을 최대화하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이 상기 띠 부재(300)가 천으로 성형되는 경우에는, 상기 띠 부재(300)의 선단이 상기 슬롯(210)을 통과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게 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띠 부재(300)에 체결되는 삽입 안내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삽입 안내부재(400)는 선단부 개구(o1) 및 선단부에 대향하는 후단부 개구(o2)를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삽입 안내부재(400)는, 띠 부재(300)의 길이 방향(D1)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띠 부재(300)에 체결될 수 있다. 즉, 띠 부재(300)를 이루는 천이 접힙되며 삽입 안내부재(400)의 관통홀(H)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띠 부재(300)는 상술한 것처럼 선단부 방향(D1)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구조를 가지며, 그에 따라 선단부 방향(D1)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이하, D1 법선평면)에서의 총 면적 또한 선단부 방향(D1)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4에 도시된 P1 영역에서의 D1 법선평면 총 면적은 P2 영역에서의 D1 법선평면 총 면적보다 크다.
관련하여,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은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전제로, 선단부 방향(D1)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이하,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띠 부재(300)의 제1 지점(P1)상 제1 면적은 삽입 안내부재(400)의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크되, 상기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띠 부재(300)의 제2 지점(P2)상 제2 면적은 삽입 안내부재(400)의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즉, 띠 부재(300)의 제1 지점(P1) 및 제2 지점(P2) 사이에 위치하는 기준 지점(Px) 상에서의 면적이, 삽입 안내부재(400)의 선단부 개구(o1)의 면적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삽입 안내부재(400)는 기준 지점(Px)보다 후단 방향(즉, -D1 방향)으로만 슬라이딩 가능하고, 기준 지점(Px)보다 선단 방향(즉, D1 방향)으로는 슬라이딩 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단순한 구조를 통해 삽입 안내부재(400)가 띠 부재(300)의 선단 방향으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띠 부재(300)에는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가 내첨될 수 있다.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로는 플렉서블(flexible)하게 형태가 변형 가능하되 형태가 한번 변형되면 그대로 고정이 잘되는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로는 금속성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는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2 지점(P2)보다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선단부 방향(D1)과 수직한 방향(D2)으로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의 길이(500_r)는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직경(o1_r)보다 크되,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직경(o2_r)보다 작을 수 있다.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가 카플린을 착용한 상태에서 삽입 안내부재(400)가 거추장스럽게 덜렁거리며 슬라이딩 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삽입 안내부재(400)를 띠 부재(300)의 최후단으로 슬라이딩 하면, 플렉서블한 소재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는 후단부 개구(o2) 안으로 인입된 이후 테이퍼진 관통홀(H)을 경유하며 후단부 개구(o2)를 통과하게 되고, 이후 사용자는 손가락 등을 사용하여 휘어진 상태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를 펼침으로서, 삽입 안내부재(400)가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보다 선단부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와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기된 기재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방법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카플린
100: 크라운
200: 브림
210: 슬롯
220: 개폐 부재
300: 띠 부재
400: 삽입 안내부재
500: 삽입 안내부재 홀더

Claims (6)

  1. 착용자의 머리가 위치되는 공간을 정의하는 크라운(100);
    상기 크라운(100)의 테두리에서 연장되는 브림(200);
    상기 크라운(100)의 일측 또는 상기 크라운(100)에 인접하는 브림(200)의 일측에 그 일단이 고정되는 한쌍의 띠 부재(300); 및
    상기 띠 부재(300)에 체결된 삽입 안내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띠 부재(300)는 상기 브림(200)의 하방으로 연장되거나 상기 크라운(100)에 형성되는 슬롯(210)을 관통하여 상기 브림(200)의 상방에 위치되며,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는 상기 띠 부재(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방식으로 상기 띠 부재(300)에 체결되고,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는 선단부 개구(o1), 상기 선단부 개구(o1)에 대향하는 후단부 개구(o2) 및 상기 선단부 개구(o1) 및 상기 후단부 개구(o2) 사이에서 연장되는 관통홀(H)을 포함하는 관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띠 부재(300)는 선단부 방향(D1)으로 갈수록 폭이 증가되는 천으로 성형되되,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은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플린.
  2. 삭제
  3. 삭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띠 부재(300)는 제1 지점(P1) 및 상기 제1 지점(P1)보다 후단에 위치하는 제2 지점(P2)을 포함하고,
    상기 선단부 방향(D1)을 법선으로 하는 평면(이하,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1 지점(P1)상 제1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크되,
    상기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2 지점(P2)상 제2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플린.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띠 부재(300)는 상기 제1 지점(P1) 및 상기 제2 지점(P2) 사이에 위치하는 기준 지점(Px)을 포함하고,
    상기 D1 법선평면을 기준으로 한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기준 지점(Px)상 기준 면적은 상기 삽입 안내부재(400)의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면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플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띠 부재(300)에 내첨된 플렉서블(flexible)한 소재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는 상기 띠 부재(300)의 상기 제2 지점(P2)보다 후단에 고정되며,
    상기 선단부 방향(D1)과 수직한 방향(D2)으로의 삽입 안내부재 홀더(500)의 길이(500_r)는 상기 선단부 개구(o1)의 직경(o1_r)보다 크되, 상기 후단부 개구(o2)의 직경(o2_r)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플린.
KR1020210010121A 2021-01-25 2021-01-25 카플린 KR1022460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21A KR102246081B1 (ko) 2021-01-25 2021-01-25 카플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121A KR102246081B1 (ko) 2021-01-25 2021-01-25 카플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6081B1 true KR102246081B1 (ko) 2021-04-29

Family

ID=75728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121A KR102246081B1 (ko) 2021-01-25 2021-01-25 카플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8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593U (ja) * 1994-07-12 1995-03-20 モリト株式会社 靴 紐
KR20090008426U (ko) * 2008-02-18 2009-08-21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20100008342A (ko) 2008-07-15 2010-0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부산석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방법
KR20120005132A (ko) 2010-07-08 2012-01-16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이동형 석재 가공장치
JP3177298U (ja) * 2012-05-17 2012-07-26 直孝 炭谷 靴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08593U (ja) * 1994-07-12 1995-03-20 モリト株式会社 靴 紐
KR20090008426U (ko) * 2008-02-18 2009-08-21 임창선 마스크용 리본이 달린 모자
KR20100008342A (ko) 2008-07-15 2010-01-25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부산석고를 이용한 이산화탄소 고정화 방법
KR20120005132A (ko) 2010-07-08 2012-01-16 한화엘앤씨 주식회사 이동형 석재 가공장치
JP3177298U (ja) * 2012-05-17 2012-07-26 直孝 炭谷 靴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8155B2 (en) Headwear with interwoven gripping fibers
US6044527A (en) Cord end stopper
US4029111A (en) Artificial eyeliner and eyelash structure
US5216757A (en) Knot simulating neck tie clasp
US3249949A (en) Ear-muffs
US20040231030A1 (en) Sport cap
US20190037952A1 (en) Pigtail cap
KR20190103287A (ko) 조절 가능한 이어 루프들을 포함하는 페이스 마스크
WO2015054568A1 (en) Jewel shell clasp protector
JP3693219B2 (ja) 帽子
US3237204A (en) Disposable sun vizor
KR102246081B1 (ko) 카플린
US5456094A (en) Clasp for pierced earrings
GB2342563A (en) Supporter for tie knot of a knotting-free necktie
JP2009082690A (ja) ヘアークリップ
US4955710A (en) Adjustable headband assembly attached to spectacles frame stems
US2936600A (en) Adhesive earring construction
US4183101A (en) Replaceable visor
US1123376A (en) Eye-protector.
KR20210059108A (ko) 마스크의 걸이끈 조절 기구
US1652723A (en) Hat
KR100857836B1 (ko) 차양모
US2241530A (en) Pocket protector
JP3226214U (ja) 帽子
KR101052741B1 (ko) 뒷목 가리개를 갖는 모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