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6036B1 -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 Google Patents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6036B1
KR102246036B1 KR1020190128850A KR20190128850A KR102246036B1 KR 102246036 B1 KR102246036 B1 KR 102246036B1 KR 1020190128850 A KR1020190128850 A KR 1020190128850A KR 20190128850 A KR20190128850 A KR 20190128850A KR 102246036 B1 KR102246036 B1 KR 102246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air
filter plate
support platform
adsorption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8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633A (ko
Inventor
이두열
Original Assignee
이태홍
이두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홍, 이두열 filed Critical 이태홍
Publication of KR202001456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6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6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6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01D50/006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Abstract

본 발명은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고, 다수의 흡입홀(111)이 형성되는 천장구조물(100); 상기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일측면에 송풍덕트(220)를 구비하는 지지플랫폼(200); 상기 지지플랫폼(200)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천장구조물(100)의 흡입홀(111)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1 팬유닛(300); 상기 지지플랫폼(200)의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의 유동경로를 가로막게 결합되는 흡착필터판(400); 상기 흡착필터판(4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필터판(40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한 쌍의 송풍덕트(220) 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2 팬유닛(500); 상기 송풍덕트(220)의 외표면을 덮도록 식재되는 여과식물부(600); 및 상기 송풍덕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식물부(600) 상에 물을 박무(mist) 형태로 분사하는 안개분사부(7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Roof type air purification facility in city}
본 발명은 공기정화 설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심에 지붕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를 광범위하게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안개/여과식물을 통해 복합적으로 정화하는 공기정화 설비에 관한 것이다.
이제 중국발 미세먼지는 매년 반복되는 국가적인 문제가 되었다. 중국발 미세먼지가 국민건강에 막대한 피해를 주고 있으나 이를 저감시키는 대책은 뚜렷히 없는 실정이다.
중국에서 오는 미세먼지 외에도, 유동인구가 많은 도심지 도로 주변에는 차량의 매연과 타이어 주행로 인한 자체적인 미세먼지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미세먼지를 저감시키는 시설은 거의 전무하다.
최근에 서울 노원구청에서 안개분무 노즐이 장착된 살수차 7대를 개발하여 안개분무를 하여 일부 미세먼지를 줄이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평가이다.
미세먼지 저감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등록특허 제10-1281110호('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81110호(2013년07월02일 등록 공고, 발명의 명칭 :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심의 공기를 광범위하고 복합적으로 정화할 수 있고, 도심의 미관 향상에 도움이 되며, 유지보수 부담이 적은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는, 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고, 다수의 흡입홀(111)이 형성되는 천장구조물(100); 상기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일측면에 송풍덕트(220)를 구비하는 지지플랫폼(200); 상기 지지플랫폼(200)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천장구조물(100)의 흡입홀(111)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1 팬유닛(300); 상기 지지플랫폼(200)의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의 유동경로를 가로막게 결합되는 흡착필터판(400); 상기 흡착필터판(4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필터판(40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한 쌍의 송풍덕트(220) 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2 팬유닛(500); 상기 송풍덕트(220)의 외표면을 덮도록 식재되는 여과식물부(600); 및 상기 송풍덕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식물부(600) 상에 물을 박무(mist) 형태로 분사하는 안개분사부(7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200)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하측에서 상기 흡착필터판(400)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서로 응집된 후 자연낙하되며, 자연낙하된 이물질이 담기도록, 상기 지지플랫폼(200)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이물질수집판(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지면에 서로 마주보게 세워져 상기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상기 천장구조물(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한 쌍의 벽체덕트(210)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덕트(210)는, 상기 천장구조물(1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와, 상기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로 구분되며,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상기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의 상부를 연결하고, 하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흡입홀(261)이 형성되는 상부연결덕트(26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상기 한 쌍의 벽체덕트(21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덕트(230)와, 상기 하부덕트(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덕트(230)와 연통되는 흡입덕트(2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흡착필터판(400)은, 상기 하부덕트(230)와 상기 흡입덕트(240) 사이를 가로막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덕트(230)의 내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덕트(230)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전체영역으로 분산하는 기류분산부(9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따르면, 많은 사람이 모이는 광장 또는 거리에 천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이므로, 도심의 미세먼지를 광범위하게 흡입·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플랫폼 내에 공기정화장치들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의 벽면에 식재된 여과식물을 통해 공기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도심의 미관 향상과 공기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통해 1차 여과되고, 수분에 흡착되어 2차 여과되며, 여과식물부의 호흡작용에 의해 3차 여과됨으로써, 공기 정화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는 구조로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필터판의 하면에 퇴적된 후 자연낙하됨으로써, 청소 부담은 최소화되고 공기흐름은 원활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에 공기흡입팬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에 별도의 공기유동팬이 설치됨으로써, 충분한 공기 흡입력과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플랫폼의 상부연결덕트에 다수의 보조흡입홀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팬 없이도 지지플랫폼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된 기류분산부가 흡착필터판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흡착필터판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분리·낙하 현상이 촉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포함된 천장 구조물의 실례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포함된 여과식물부 및 안개분사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의한 공기 정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과정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공지된 기술에 대한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공지된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와 도 2b는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포함된 천장 구조물의 실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포함된 여과식물부 및 안개분사부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부분확대도이고, 도 4a와 도 4b는 도 1의 공기정화 설비에 의한 공기 정화 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과정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는 도심에 지붕 형태로 설치되어 공기를 광범위하게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를 필터/안개/여과식물을 통해 복합적으로 정화하는 공기정화 설비로서, 천장구조물(100), 지지플랫폼(200), 복수의 제1 팬유닛(300), 흡착필터판(400), 복수의 제2 팬유닛(500), 여과식물부(600)와 안개분사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천장구조물(100)은 내부가 빈 다수의 빔(110)이 지면에 일정높이로 수평 배열되고, 다수의 빔(110)에 일정간격으로 흡입홀(111)이 형성되는 구조물이다.
흡입홀(111)은 하늘과 마주보는 빔(110)의 상반부보다는 지면과 마주보는 빔(110)의 하반부에 형성하는 것이 빗물 유입 방지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빔(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공기가 양방향에서 흡입될 수 있도록, 빔(110)의 하반부 양측을 따라 2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장구조물(100)의 형태는 도 2a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선 형태로 된 다수의 빔(110)의 양단부가 양측 건물의 벽면에 각각 고정되고, 다수의 빔(110)끼리 서로 교차되어 내부공간이 서로 연통되는 평지붕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평지붕 형태의 천장구조물(100)은 수직하중에 취약하므로, 후술되는 지지플랫폼(200)이 천장구조물(100)에 균등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각 교차점은 보강골조(120)로 연결되는 것이 구조 보강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일정공간 내에 지지플랫폼(200)이 균등배치된 시설이므로, 휴게 공간에 적합한 유형이다.
천장구조물(100)의 형태는 도 2a의 하측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 형태로 된 다수의 빔(110')의 양단부가 양측 건물의 벽면에 각각 고정되는 아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아치 형태의 천장구조물(100)은 일렬로 배치되어 서로 교차되지 않으므로, 다수의 보강골조(120')로 연결되는 것이 열방향으로의 구조 보강 차원에서 바람직하다. 지지플랫폼(미도시)이 천장구조물(100)의 양단부를 지지하면서 양측 건물의 벽면에 배치되므로, 개방된 공간이 필요한 놀이터 및 체육시설에 적합한 유형이다.
천장구조물(100)의 형태의 또 다른 일례로서,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자 형태로 된 다수의 빔(110'')이 일렬로 서로 독립적으로 배치되고, 빔(110'')의 양단부가 후술되는 지지플랫폼(200)을 통해 지면에 고정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플랫폼(2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도록 지면에 세워지고, 일측면에 나란하게 결합된 송풍덕트(220)를 구비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지지플랫폼(2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서로 마주보게 세워져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천장구조물(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한 쌍의 벽체덕트(210)와, 한 쌍의 벽체덕트(210)의 외측과 나란하게 결합되고 외표면을 따라 다수의 송풍홀(221)이 형성되는 한 쌍의 송풍덕트(220)와, 한 쌍의 벽체덕트(21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덕트(230)와, 하부덕트(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하부덕트(230)와 연통되는 흡입덕트(240)와, 하반부가 흡입덕트(240)의 상부와 연통되게 결합되고 양단부는 한 쌍의 벽체덕트(210)를 가로질러 한 쌍의 송풍덕트(220)에 각각 연결되는 분기덕트(250)로 구분된다.
벽체덕트(210)는 천장구조물(1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와,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의 하단부와 연통되고 송풍덕트(220)가 결합·지지되는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로 다시 구분된다.
도 1과 같이, 지지플랫폼(200)의 벽체덕트(210)를 한 쌍으로 구성하고 그 사이를 이격시킨 것은, 공기정화의 처리용량을 2배로 늘림과 동시에, 벤치나 디지털 광고판 등을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
복수의 제1 팬유닛(300)은 한 쌍의 벽체덕트(210) 내에 각각 설치되어, 빔(110)의 흡입홀(111)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부덕트(230) 측으로 송풍하는 팬이다.
천장구조물(100)에 의해 공기흡입의 범위가 광범위해지고 공기흡입의 개소가 많아진 만큼, 요구되는 공기 흡입 및 송풍 용량이 커지게 됨에 따라, 본 실시예와 같이, 제1 팬유닛(300)은 천장구조물(100)에 설치되는 공기흡입팬(301)과, 벽체덕트(210)에 설치되는 공기유동팬(302)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필터판(400)은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이 걸러지는 판 형상의 필터로서, 하부덕트(230)와 흡입덕트(240) 사이를 가로막게 결합된다.
흡착필터판(400)은 하부덕트(230)로 유입되어 흡입덕트(240) 측으로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경로를 가로막으면서, 공기 중에 포함된 일정입도 이상의 이물질을 거르는 기능을 한다.
다만, 하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벽체덕트(210)와 하부덕트(230)가 만나는 코너 구역에서 90도로 그 방향이 바뀌면서 하부덕트(230)로 유입되는 바, 흡착필터판(400)의 전체영역 중, 공기가 유입되는 양측영역에만 공기가 집중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덕트(230)의 내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는 평판 형상으로, 하부덕트(230)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여 흡착필터판(400)의 전체영역으로 분산하는 기류분산부(900)가 더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제2 팬유닛(500)은 흡입덕트(240) 상에 설치되어, 하부덕트(230) 측으로 송풍된 공기를 흡입하여 한 쌍의 송풍덕트(220) 측으로 송풍하는 송풍력을 제공하는 팬이다.
여과식물부(600)는 송풍덕트(220)의 외표면을 덮도록 식재되는 식물로서, 이끼류 혹은 담쟁이덩굴과 같은 등반형 식물들이 적용될 수 있다.
안개분사부(700)는 송풍덕트(220)에 결합되어 여과식물부(600) 상에 물을 박무(mist) 형태로 분사하고, 이를 순환하여 재사용하는 구성이다. 여과식물부(600) 상에 분사된 수분은 잔류 이물질(초미세먼지 등)의 침전, 식물 생육, 주변 습도 조절 등의 작용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개분사부(7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식물부(600)의 하측에서 떨어지는 물을 받을 수 있도록 지면에 설치되는 수조(710), 수조(710)에 담긴 물을 일정수두 이상으로 펌핑하는 펌프(720), 일단부가 펌프(720)의 출구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송풍덕트(220)의 일측을 따라 세로로 연장되는 수직공급관(730), 수직공급관(730)의 단부에서 송풍덕트(220)의 상단부를 따라 가로로 연장되는 수평공급관(740), 수평공급관(74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물을 박무(mist) 형태로 변환하여 여과식물부(600)를 향해 분사하는 분무노즐(750)을 구비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다음의 과정을 통해 공기를 정화하게 된다.
먼저, 도 4a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구조물(100)에 설치된 공기흡입팬(301)이 가동되면서, 천장구조물(100) 주변의 공기가 흡입홀(111)을 통해 천장구조물(100) 내부로 흡입된다.
그 다음, 도 4a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장구조물(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벽체형성덕트(212)에 설치된 공기유동팬(302)의 가동에 의해 벽체덕트(210)를 따라 하측으로 송풍된다.
하측으로 송풍된 공기는 도 4b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벽체덕트(210)와 하부덕트(230)가 만나는 코너 구역에서 90도로 그 방향이 바뀌면서 하부덕트(230)로 유입된다.
하부덕트(230)로 유입된 공기는 흡착필터판(400)의 하측에서 흡착필터판(400)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되고,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m)은 흡착필터판(4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서로 응집된 후 자연낙하된다.
자연낙하된 이물질(m)이 자연스럽게 담길 수 있도록, 하부덕트(230)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이물질수집판(800)이 더 포함된다.
이물질수집판(800)은 상부가 개방된 납작한 육면체 형상으로 제작되고, 부식에 강한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되며, 하부덕트(230)에 서랍식으로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착필터판(400)을 통해 1차 여과된 공기는 복수의 제2 팬유닛(500)의 송풍 작용에 의해 분기덕트(250)를 거쳐 송풍덕트(220)로 유동된다.
송풍덕트(220)로 유동된 공기는 도 4b의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덕트(220)에 형성된 다수의 송풍홀(221)을 통해 여과식물부(600) 측으로 나가게 되며, 공기 중의 잔류 이물질이 안개분사부(700)에 의해 뿌려진 안개, 그리고 여과식물부(600)에 맺어진 수분에 흡착되면서 2차 여차된다.
또한, 공기 중의 잔류 이물질이 여과식물부(600)의 기공으로 흡수되고, 뿌리 부분으로 이동된 후, 뿌리 부분에 존재하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3차 여과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광장 또는 거리에 천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이므로, 도심의 미세먼지를 광범위하게 흡입·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플랫폼 내에 공기정화장치들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의 벽면에 식재된 여과식물을 통해 공기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도심의 미관 향상과 공기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통해 1차 여과되고, 수분에 흡착되어 2차 여과되며, 여과식물부의 호흡작용에 의해 3차 여과됨으로써, 공기 정화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는 구조로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필터판의 하면에 퇴적된 후 자연낙하됨으로써, 청소 부담은 최소화되고 공기흐름은 원활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에 공기흡입팬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에 별도의 공기유동팬이 설치됨으로써, 충분한 공기 흡입력과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지지플랫폼(200)은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의 상부를 연결하고, 하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흡입홀(261)이 형성되는 상부연결덕트(260)를 더 구비한다.
베르누이 원리에 따라, 상부연결덕트(260)의 양단부는 공기가 빠르게 흐르기 때문에 압력이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고, 중앙부는 공기가 정체되기 때문에 압력이 상대적으로 높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부연결덕트(260)의 중앙부에 형성된 보조흡입홀(261)에 음압이 형성되고, 이 음압에 의해 상부연결덕트(260)의 아랫공간에 존재하는 공기가 흡입됨으로써, 천장구조물 주변의 공기 뿐만 아니라 지지플랫폼(200) 주변의 공기도 정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지지플랫폼(200)의 상부연결덕트(260)에 다수의 보조흡입홀(261)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팬 없이도 지지플랫폼(200)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지금부터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에 대해 설명한다. 앞 실시예와 중복되는 구성은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흡착필터판(400)은 격자 형상으로 구성되는 격자프레임(410)과, 일정크기 이상의 이물질을 거르기 위해 격자프레임(410)의 상부를 덮게 결합되는 필터망(420)으로 구성된다.
기류분산부(900')는 격자프레임(410)의 격자점에서 하측으로 연장형성되는 다수의 행거로드(910)와, 단면이 에어포일(airfoil) 형상으로 구성되고 행거로드(910)의 단부에 결합되어 지지되는 다수의 윙(920)으로 구성된다. 즉, 기류분산부(900')는 흡착필터판(400)에 매달려 허공에 떠 있는 구조이다.
기류분산부(900')는 윙(920)의 둥근 앞부분(leading edge)이 공기가 유입되는 방면을 향해 배치된다.
지지플랫폼(200)의 벽체덕트(210)와 하부덕트(230)가 만나는 코너 구역으로 흐른 공기는, 그 흐름이 90도 바뀌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의 흐름은 불규칙하게 변하게 된다.(층류 → 난류)
불규칙한 흐름으로 바뀐 공기가 기류분산부(900')의 윙(920)을 지나는 과정에서, 윙(920)의 유선형 상부표면과 직선형 하부표면 간에 발생되는 상하기압차가 실시간으로 달라지게 되고, 기류분산부(900')가 받는 양력도 실시간으로 달라지게 된다.
결과적으로, 기류분산부(900')가 결합되어 있는 흡착필터판(400)에 상하방향 진동이 발생됨으로써, 흡착필터판(400)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분리·낙하 현상이 촉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는, 많은 사람이 모이는 광장 또는 거리에 천장 구조물이 설치되고 이를 이용하여 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이므로, 도심의 미세먼지를 광범위하게 흡입·처리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을 지지하는 지지플랫폼 내에 공기정화장치들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의 벽면에 식재된 여과식물을 통해 공기정화가 이루어짐으로써, 도심의 미관 향상과 공기질 개선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통해 1차 여과되고, 수분에 흡착되어 2차 여과되며, 여과식물부의 호흡작용에 의해 3차 여과됨으로써, 공기 정화의 효율이 극대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흡입된 공기가 흡착필터판을 하측에서 상측으로 통과하는 구조로서,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이 흡착필터판의 하면에 퇴적된 후 자연낙하됨으로써, 청소 부담은 최소화되고 공기흐름은 원활하게 유지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장구조물에 공기흡입팬이 설치되고 지지플랫폼에 별도의 공기유동팬이 설치됨으로써, 충분한 공기 흡입력과 송풍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지플랫폼의 상부연결덕트에 다수의 보조흡입홀이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팬 없이도 지지플랫폼 주변의 공기를 흡입하여 여과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에어포일 형상의 단면으로 구성된 기류분산부가 흡착필터판에 매달린 형태로 결합되어 진동을 유발함으로써, 흡착필터판에 붙어있는 이물질의 분리·낙하 현상이 촉진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 및 변형례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00 : 천장구조물
200 : 지지플랫폼
300 : 복수의 제1 팬유닛
400 : 흡착필터판
500 : 복수의 제2 팬유닛
600 : 여과식물부
700 : 안개분사부

Claims (4)

  1. 지면에 일정높이로 설치되고, 다수의 흡입홀(111)이 형성되는 천장구조물(100);
    상기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일측면에 송풍덕트(220)를 구비하는 지지플랫폼(200);
    상기 지지플랫폼(200) 내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천장구조물(100)의 흡입홀(111)을 통해 대기 중의 공기를 흡입하여 하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1 팬유닛(300);
    상기 지지플랫폼(200)의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의 유동경로를 가로막게 결합되는 흡착필터판(400);
    상기 흡착필터판(40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흡착필터판(400)를 통과한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한 쌍의 송풍덕트(220) 측으로 송풍하는 복수의 제2 팬유닛(500);
    상기 송풍덕트(220)의 외표면을 덮도록 식재되는 여과식물부(600); 및
    상기 송풍덕트(220)에 결합되어 상기 여과식물부(600) 상에 물을 박무(mist) 형태로 분사하는 안개분사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지면에 서로 마주보게 세워져 상기 천장구조물(100)을 지지하고 상기 천장구조물(100)의 내부와 연통되는 한 쌍의 벽체덕트(210)를 구비하고,
    상기 벽체덕트(210)는, 상기 천장구조물(100)를 지지하는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와, 상기 한 쌍의 천장지지덕트(211)의 하단부와 연통되는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로 구분되며,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상기 한 쌍의 벽체형성덕트(212)의 상부를 연결하고, 하반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의 보조흡입홀(261)이 형성되는 상부연결덕트(260)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200) 하측으로 유동된 공기는,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하측에서 상기 흡착필터판(400)을 통과하여 상측으로 유동되고,
    상기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은,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하면에 부착되어 서로 응집된 후 자연낙하되며,
    자연낙하된 이물질이 담기도록, 상기 지지플랫폼(200)의 바닥면에 놓여지는 이물질수집판(8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플랫폼(200)은, 상기 한 쌍의 벽체덕트(210)의 하부를 연결하는 하부덕트(230)와, 상기 하부덕트(230)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하부덕트(230)와 연통되는 흡입덕트(240)를 더 구비하고,
    상기 흡착필터판(400)은, 상기 하부덕트(230)와 상기 흡입덕트(240) 사이를 가로막게 결합되며,
    상기 하부덕트(230)의 내부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결합되어, 상기 하부덕트(230)로 유입된 공기의 흐름을 수평방향으로 안내하여 상기 흡착필터판(400)의 전체영역으로 분산하는 기류분산부(9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4. 삭제
KR1020190128850A 2019-06-21 2019-10-17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KR102246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73842 2019-06-21
KR1020190073842 2019-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33A KR20200145633A (ko) 2020-12-30
KR102246036B1 true KR102246036B1 (ko) 2021-04-29

Family

ID=740884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8850A KR102246036B1 (ko) 2019-06-21 2019-10-17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603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110B1 (ko) * 2011-08-17 2013-07-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2926B1 (ko) * 2002-05-03 2005-04-14 박미애 세정식 공기정화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1110B1 (ko) * 2011-08-17 2013-07-0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기 강제투입형 벽면식 식물이용 공기정화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633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930299B (zh) 微尘清除装置
CN102658251B (zh) 侧抽风文氏喷漆室
WO2021172885A1 (ko) 공기정화용 식물재배장치가 마련된 에어커튼 시스템
CN107345701A (zh) 一种净化加湿单元及新型空气净化环保产品
KR102246036B1 (ko) 지붕형 도심 공기정화 설비
CN207786317U (zh) 一种金纳德箱式空气净化器
CN205549921U (zh) 一种粉尘处理设备
CN105498424B (zh) 一种除尘装置
CN210303086U (zh) 一种流体除雾用脱附装置
CN202605946U (zh) 大型空气净化器及其构成的城市空气净化布局系统
KR101591226B1 (ko) 공기먼지의 세정장치
CN211098415U (zh) 一种油漆废气处理系统
CN208727836U (zh) 一种干式漆雾净化系统
CN102641638A (zh) 大型空气净化器及其构成的城市空气净化布局系统
CN114206473A (zh) 废气净化塔
CN207146769U (zh) 空气净化设备联控雾化系统
CN208373337U (zh) 一种湿式电除尘器
CN102211088B (zh) 屋顶自然通风除尘器
CN206695251U (zh) 一种植物空气净化器
CN105604258A (zh) 一种雾霾净化的防水的楼道结构
KR20210020587A (ko) 잔디를 이용한 실내 공기질 개선 장치
KR100457738B1 (ko) 초미세 물입자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N204121910U (zh) 吸入式强制流动灰霾治理的装置
KR20210022350A (ko) 미세먼지 저감장치
CN205659528U (zh) 一种喷涂废气排放净化柜用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