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971B1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Google Patents
Mask With Replacable Filt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45971B1 KR102245971B1 KR1020200115927A KR20200115927A KR102245971B1 KR 102245971 B1 KR102245971 B1 KR 102245971B1 KR 1020200115927 A KR1020200115927 A KR 1020200115927A KR 20200115927 A KR20200115927 A KR 20200115927A KR 102245971 B1 KR102245971 B1 KR 1022459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er
- inner skin
- skin
- mask
- filter hous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23/00—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 A62B23/02—Filters for breathing-protection purposes for respirat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내피부를 메쉬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원할한 호흡이 유도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replaceable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replaceable mask in which smooth breathing of a user is induced by configuring the inner skin of the mask with a mesh fabric.
사람이 생활하는 환경대기에는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이 대거 포함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세먼지와 황사는 사람의 호흡기로 유입되어 각종 질병을 야기하는 등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에게 치명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다.The environmental atmosphere in which humans live contains a large number of foreign substances such as fine dust, and these fine dust and yellow dust enter the human respiratory tract and cause various diseases, causing a fatal adverse effect on people living in modern times.
여기서, 상기 미세먼지라 함은 우리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가늘고 작은 먼지 입자로, 아황가스, 질소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탄소 등과 함께 수많은 대기오염물질을 포함하며, 이러한 배출원인은 자동차나 공장에서 발생하는 인위적인 발생과, 모래바람 먼지의 황사, 화산재, 산불로 인한 먼지 등의 자연적인 발생으로 구분된다.Here, the fine dust refers to dust particles that are thin and small enough to be invisible to our eyes, and includes a number of air pollutants along with sulfur dioxide gas, nitrogen oxides, lead, ozone, and carbon monoxide, and such emission sources are generated from automobiles or factories. It is divided into an artificial occurrence, and natural occurrence such as yellow sand, volcanic ash, and dust from forest fires.
이러한 미세먼지를 사람이 흡입하면 폐포까지 깊숙하게 침투해 각종 호흡기 질환 천식, 두통, 아토피 등을 유발하게 되고, 특히 노약자가 지속적으로 흡입을 하면 면역 기능을 떨어뜨려 폐질환으로 사망에 이르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person inhales such fine dust, it penetrates deep into the alveoli, causing various respiratory diseases such as asthma, headache, and atopy. In particular, if the elderly and the elderly continuously inhale, there is a problem of lowering the immune function and leading to death due to lung disease. .
따라서, 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경우 국립환경과학원에서는 되도록 외출을 삼가하고, 부득이 외출시에는 마스크의 착용을 권장하고 있다.Therefore, if the concentration of fine dust is high, the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Sciences recommends refraining from going out and wearing a mask when going out inevitably.
상기와 같이 착용하는 마스크는 천으로 형성된 일반 마스크가 있다. 이러한 천으로 된 마스크는 신축성이 있어 착용자의 코와 입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지만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는 여과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서 적합하지 못하다.The mask worn as described above is a general mask formed of cloth. Such a cloth mask is elastic and can effectively block the wearer's nose and mouth, but it is not suitable because it has a problem in that it cannot filter fine dust with small particles.
이를 위하여, 미세먼지를 효과적으로 여과를 할 수 있도록 필터기능을 갖는 일회용 마스크가 제공되었으나, 상기 일회용 마스크는 신축성이 약하여 사람의 굴곡 형상이 다른 안면에 적합하게 밀착되지 못하며, 일회용으로 사용하기에는 그 가격이 비싸 경제적인 부담이 있는 단점이 있었다.To this end, a disposable mask having a filter function has been provided to effectively filter fine dust, but the disposable mask is weak in elasticity, so that the curved shape of a person cannot be properly adhered to other faces, and its price is low for disposable use. It was expensive and had the disadvantage of having an economic burden.
또한,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입과 코에 밀착되어 착용되므로, 호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such a mask is worn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mouth and nose, breathing is difficult.
본 발명은 마스크의 내피부를 메쉬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원할한 호흡이 유도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ilter-replaceable mask in which smooth breathing of a user is induced by configuring the inner skin of the mask with a mesh fabric.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안면에 착용되도록 양측 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110)를 포함하는 외피부(100);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에 형성되는 내피부(200); 상기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에 형성되어 필터부재(F)가 삽입되는 필터수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내피부(200)는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이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의 중심선(100c)에 접하도록 외피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피부(200)는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내피부(210)와, 상기 제1내피부(21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내피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수납부(30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에 형성되는 제1필터수납부(310)와,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에 형성되는 제2필터수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수납부(31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1필터수납부(311)와, 상기 제1-1필터수납부(3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2필터수납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수납부(320)는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1필터수납부(321)와, 상기 제2-1필터수납부(32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2필터수납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를 제시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본 발명에 따르면, 탁월한 미세먼지 차단효과를 가지면서도 사용자의 원할한 호흡이 유도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mooth breathing of the user is induced while having an excellent fine dust blocking effec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시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필터수납부에 필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필터수납부에 필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to 5 are views for explaining a movement path of air when a use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reathes.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7 to 10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mounted in the first filter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mount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특허청구범위 기재에 의하여 파악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는 공지기술의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ased on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grasped by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In addition, descriptions of known techniques that obscur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omitted.
단,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However, since 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ose shown in the drawings, and the thickness is enlarged to clearly express various parts and regions. I got it.
본 발명은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스크의 내피부를 메쉬 원단으로 구성함으로써, 사용자의 원할한 호흡이 유도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replaceable mask, and more particularly, to a filter-replaceable mask in which smooth breathing of a user is induced by configuring the inner skin of the mask with a mesh fabric.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사용자가 착용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를 착용한 사용자가 호흡시 공기의 이동경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5의 A부 확대도이고,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제1필터수납부에 필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제2필터수납부에 필터를 장착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showing a user wearing a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2 to 3 are exploded perspective views of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5 are users wearing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view for explaining the movement path of air during breathing, FIG. 6 is an enlarged view of part A of FIG. 5, and FIGS. 7 to 10 are 11 to 14 are views for explaining a state in which a filter is mounted in the second filter hous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필터 교체형 마스크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피부(100)와, 내피부(200)와, 필터수납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lter-replaceabl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상기 외피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면에 착용되도록 양측 단부에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귀걸이부(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외피부(100)는 외부공기를 1차적으로 필터링하기 위하여, 일반 섬유나 부직포와 같은 천 원단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원단은 조직이 막혀 있어 통기성이 나쁘기 때문에, 호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In order to primarily filter the external air, the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에 통기성이 우수한 내피부(200)를 형성시킨 점에 특징이 있는 바, 이하에서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이란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면을 의미한다.The inner surface (100a) of the
내피부(200)에 대해 설명한다. 내피부(200)는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에 형성되는 부분으로서,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여기서, 메쉬 원단은 다수의 구멍으로 조직이 열려있어 우수한 통기성을 가지는 원단으로서, 샌드위치 메쉬 원단, 모노 메쉬 원단 기타 여하의 메쉬 원단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정의한다.Here, the mesh fabric is a fabric having excellent air permeability because the structure is opened with a plurality of holes, and is defined as a concept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sandwich mesh fabric, a mono mesh fabric, and any other mesh fabric.
내피부(200)를 이와 같은 메쉬 원단으로 구성함에 따른 효과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내뱉은 공기(W1)가 외피부(100)로 빠져나가지 않더라도 않고, 내피부(200)를 통해 쉽게 빠져나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의 원할한 호흡이 유도되는 장점이 있다.As an effect of configuring the
상기 내피부(200)는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이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의 중심선(100c)에 접하도록 외피부(100)에 결합되어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상기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이란 사용자의 안면에 맞닿는 면의 반대측 면으로서,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과 마주보는 면을 의미한다.The
상기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이란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을 세로지르는 선을 의미한다 (도 2 참조).The center line 200c of the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의 중심선(100c)이란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의 중심을 세로지르는 선을 의미한다 (도 3 참조).The
상기 내피부(200)는 상기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내피부(210)와, 상기 제1내피부(21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내피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즉, 내피부(200)는 제1,2내피부(210,220)가 날개와 같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는 것이다.That is, in the
필터수납부(300)에 대해 설명한다. 필터수납부(300)는 상기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에 형성되고 필터부재(F)가 삽입되는 부분이다.The
여기서, 필터부재(F)는 프리필터(Pre Filter), 헤파필터(HEPA Filter), 카본필터(Carbon Filter), 및 헤사필터(HESA Filter)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카본필터를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카본필터는 미세먼지, 세균 등은 물론, 유독가스와 악취, 방사능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Here, the filter member F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pre filter, a HEPA filter, a carbon filter, and a HESA filter, and includes a carbon filter. It is desirable to do it. This is because the carbon filter can effectively remove toxic gases, odors, and radioactivity, as well as fine dust and bacteria.
상기 프리필터, 헤파필터, 카본필터, 헤사필터는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는 필터이므로, 각 필터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pre-filter, hepa filter, carbon filter, and hesa filter are already known and used filters, detailed description of each filter will be omitted.
필터수납부(300)가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에 형성됨에 따른 효과로서, 외피부(100)에 의해 1차적으로 필터링된 외부 공기(W2)가 필터수납부(300)에 삽입되는 필터부재(F)에 의해 2차적으로 필터링되기 때문에, 탁월한 미세먼지 차단효과를 가지게 되는 장점이 있다 (도 5 내지 도 6 참조).As an effect of the
상기 필터수납부(30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에 형성되는 제1필터수납부(310)와,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에 형성되는 제2필터수납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상기 제1필터수납부(31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1필터수납부(311)와, 상기 제1-1필터수납부(3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2필터수납부(3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first
제1필터수납부(310)에 필터부재(F)가 수납되는 모습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1-1필터수납부(311)에 필터부재(F)의 일측을 밀어넣은 다음에 제1-2필터수납부(312)에 필터부재(F)의 타측을 말어넣는 방식으로 필터부재(F)가 수납되는 것이다.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mber F is accommodated in the
제1필터수납부(310)에 필터부재(F)가 완전히 수납된 후에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피부(210)를 M1 방향으로 펼쳐서 도 4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다.After the filter member F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상기 제2필터수납부(320)는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1필터삽입부(321)와, 상기 제2-1필터삽입부(32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2필터삽입부(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제2필터수납부(320)에 필터부재(F)가 수납되는 모습은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제2-1필터수납부(321)에 필터부재(F)의 일측을 밀어넣은 다음에 제2-2필터수납부(322)에 필터부재(F)의 타측을 말어넣는 방식으로 필터부재(F)가 수납되는 것이다.A state in which the filter member F is accommodated in the
제2필터수납부(320)에 필터부재(F)가 완전히 수납된 후에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내피부(220)를 M2 방향으로 펼쳐서 도 4와 같은 형태가 되도록 한 후에 사용자가 착용할 수 있다.After the filter member F is completely accommodated in the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not limited by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various substitution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obvious to those who have knowledge.
100 : 외피부
110 : 귀걸이부
200 : 내피부
210 : 제1내피부
220 : 제2내피부
300 : 필터수납부
310 : 제1필터수납부
311 : 제1-1필터수납부
312 : 제1-2필터수납부
320 : 제2필터수납부
321 : 제2-1필터수납부
322 : 제2-2필터수납부
100a : 외피부의 내측면
100c : 외피부의 내측면의 중심선
200a : 내피부의 외측면
200c : 외피부의 외측면의 중심선
210a : 제1내피부의 외측면
220a : 제2내피부의 외측면
F : 필터부재
W1, W2 : 공기100: outer skin
110: earring part
200: inner skin
210: first inner skin
220: second inner skin
300: filter storage unit
310: first filter storage unit
311: 1-1 filter storage unit
312: 1-2 filter storage unit
320: second filter storage unit
321: 2-1 filter storage unit
322: 2-2 filter storage unit
100a: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100c: center line of the inner side of the outer skin
200a: outer surface of inner skin
200c: Center lin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skin
210a: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ner skin
220a: outer surface of the second inner skin
F: filter member
W1, W2: air
Claims (4)
상기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에 형성되는 내피부(200);
상기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에 형성되고 필터부재(F)가 삽입되는 필터수납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내피부(200)는
메쉬 원단으로 이루어지되,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이 외피부(100)의 내측면(100a)의 중심선(100c)에 접하도록 외피부(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내피부(200)는
내피부(200)의 외측면(200a)의 중심선(200c)을 기준으로 일측에 형성되는 제1내피부(210)와,
상기 제1내피부(210)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내피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수납부(30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에 형성되는 제1필터수납부(310)와,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에 형성되는 제2필터수납부(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필터수납부(310)는
제1내피부(210)의 외측면(21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1-1필터수납부(311)와,
상기 제1-1필터수납부(31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1-2필터수납부(3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필터수납부(320)는
제2내피부(220)의 외측면(220a)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제2-1필터수납부(321)와,
상기 제2-1필터수납부(321)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제2-2필터수납부(32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교체형 마스크.An outer skin portion 100 including a pair of earring portions 110 formed symmetrically at both ends to be worn on the face;
An inner skin 200 formed on the inner surface 100a of the outer skin 100;
Including; a filter receiving portion 30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00a of the inner skin 200 and into which the filter member F is inserted,
The inner skin 200 is
Made of a mesh fabric, the center line (200c) of the outer surface (200a) of the inner skin portion (200) is coupled to the outer skin portion (100) so as to contact the center line (100c) of the inner surface (100a) of the outer skin portion (100) Characterized by,
The inner skin 200 is
A first inner skin 210 formed on one side based on the center line 200c of the outer surface 200a of the inner skin 200,
Including a second inner skin 220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inner skin 210,
The filter housing 300 is
A first filter housing 31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10a of the first inner skin 210,
Including a second filter housing 320 formed on the outer surface (220a) of the second inner skin 220,
The first filter housing 310 is
The 1-1 filter receiving part 311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210a of the first inner skin 210,
Including a 1-2 filter housing portion 31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1-1 filter housing portion 311,
The second filter housing 320 is
A 2-1 filter receiving part 321 formed at one end of the outer surface 220a of the second inner skin 220,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second-second filter receiving portion 322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first filter receiving portion 321
Filter replaceable mask.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5927A KR102245971B1 (en) | 2020-09-10 | 2020-09-10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PCT/KR2021/012303 WO2022055281A1 (en) | 2020-09-10 | 2021-09-09 | Filter-replaceable mask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15927A KR102245971B1 (en) | 2020-09-10 | 2020-09-10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45971B1 true KR102245971B1 (en) | 2021-04-29 |
Family
ID=75728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15927A KR102245971B1 (en) | 2020-09-10 | 2020-09-10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245971B1 (en) |
WO (1) | WO2022055281A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5281A1 (en) * | 2020-09-10 | 2022-03-17 | 김복규 | Filter-replaceable mask |
KR20220166886A (en) | 2021-06-10 | 2022-12-20 | 한국과학기술원 | Self-cleaning filter containing photothermal conversion carbon material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8708A (en) * | 2007-03-30 | 2008-10-06 | 박경수 | Filter inserting mask |
JP2011125596A (en) * | 2009-12-21 | 2011-06-30 | Meiko Shoji Kk | Filter for mask, filter package for mask and method of using mask with filter |
KR200479660Y1 (en) | 2014-06-25 | 2016-02-22 | 성 엽 이 | Replacment filter mask |
KR102069374B1 (en) * | 2019-06-20 | 2020-01-22 | (주)피앤티디 | Mask having pocket |
KR102127942B1 (en) * | 2020-04-24 | 2020-06-30 | 이강후 | Antibacterial mask with anti-fog function |
KR20200086150A (en) * | 2019-01-08 | 2020-07-16 | 아세아도 주식회사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5971B1 (en) * | 2020-09-10 | 2021-04-29 | 김복규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
2020
- 2020-09-10 KR KR1020200115927A patent/KR102245971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21
- 2021-09-09 WO PCT/KR2021/012303 patent/WO202205528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88708A (en) * | 2007-03-30 | 2008-10-06 | 박경수 | Filter inserting mask |
JP2011125596A (en) * | 2009-12-21 | 2011-06-30 | Meiko Shoji Kk | Filter for mask, filter package for mask and method of using mask with filter |
KR200479660Y1 (en) | 2014-06-25 | 2016-02-22 | 성 엽 이 | Replacment filter mask |
KR20200086150A (en) * | 2019-01-08 | 2020-07-16 | 아세아도 주식회사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KR102069374B1 (en) * | 2019-06-20 | 2020-01-22 | (주)피앤티디 | Mask having pocket |
KR102127942B1 (en) * | 2020-04-24 | 2020-06-30 | 이강후 | Antibacterial mask with anti-fog functio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55281A1 (en) * | 2020-09-10 | 2022-03-17 | 김복규 | Filter-replaceable mask |
KR20220166886A (en) | 2021-06-10 | 2022-12-20 | 한국과학기술원 | Self-cleaning filter containing photothermal conversion carbon material and cleaning method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2055281A1 (en) | 2022-03-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31245B1 (en) | A mask with solid oxygen | |
US20080223370A1 (en) | Dustproof mask | |
KR20200086150A (en)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
KR102245971B1 (en) | Mask With Replacable Filter | |
KR20150125905A (en) | An anti-gas dustproof mask for escape from a fire | |
KR20160111675A (en) | Mask | |
CN111358084A (en) | Mask | |
KR20190030427A (en) | Mouthpiece and mask with the same | |
KR20190133527A (en) | Ozone mask with exhalation valve | |
KR20170003790U (en) | Multi Functional Mask | |
KR200285213Y1 (en) | Simplified mask device | |
KR200304097Y1 (en) | mask | |
KR102065578B1 (en) | Mask having e-film filter | |
KR102422737B1 (en) | Mask | |
KR102422736B1 (en) | Mask | |
US10987527B1 (en) | Nasal air filtration device | |
KR102474269B1 (en) | Next-generation mask with improved air-tightness structure | |
KR200492402Y1 (en) | Variable mask of multifunction | |
CN114631657A (en) | Mask with separated hangers | |
CN204050716U (en) | Horizontal filter face mask | |
KR102398355B1 (en) | Dust mask and gas mask with excellent filtration and ease of use | |
KR102599338B1 (en) | Functional mask with wood-filter | |
CN104014084A (en) | Isolation type mask with inspiration cavity and expiration cavity | |
KR20210124617A (en) | Replaceable mask housing on front of filter and mask using it | |
CN220477000U (en) | Personal protection filter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