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5658B1 -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5658B1
KR102245658B1 KR1020200166261A KR20200166261A KR102245658B1 KR 102245658 B1 KR102245658 B1 KR 102245658B1 KR 1020200166261 A KR1020200166261 A KR 1020200166261A KR 20200166261 A KR20200166261 A KR 20200166261A KR 102245658 B1 KR102245658 B1 KR 1022456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facility
code
power generation
user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6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솔
Priority to KR1020200166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56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5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56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50/00Monitoring or testing of PV systems, e.g. load balancing or fault ident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ultimedia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시설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는 QR코드를 출력하는 관리자단말, 상기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QR코드를 상기 관리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시설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SYSTEM OF MANAGING SOLAL POWER PLANT USING BY QR CODE}
본 발명은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파손 및 오염에 의한 효율저하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취약지점에 대한 정보를 QR코드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2000년대 이후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사회적·경제적·환경적 피해는 점점 더 커지고 있다.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에 대응하기 위해 전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높이려는 노력이 시도되고 있고, 다양한 신재생에너지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그 중 태양광 발전은 가정이나 소규모 발전소에까지 보급이 이루어질 정도로 빠른 확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태양광 발전 설비의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등록특허공보 제10-2056290호는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관리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선행기술은 태양광발전설비의 발전량 및 현재의 전력 소모량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태양광발전설비의 유지관리와 관련된 정보를 실시간으로 통합 관리하고 해당 정보들을 사용자 단말을 통해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관리 시스템을 개시한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발전량을 기반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의 이상유무를 판단함에 그치고 있어, 노출된 전선의 누전 위험성, 먼지 등에 의한 화재 위험성 등 외력에 의한 파손우려를 예방할 수 있는 구성이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보다 개선된(enhanced)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등록특허공보 제10-2056290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외력에 의한 파손가능성이 있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취약포인트를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취약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QR코드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QR코드에 내재된 정보를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은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시설정보를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는 QR코드를 출력하는 관리자단말, 상기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QR코드를 상기 관리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로 상기 시설정보를 전송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자단말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스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성능정보를 추출하는 성능점검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하나 이상의 취약포인트에 대한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스펙정보, 상기 성능정보, 상기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부착된 상기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취약포인트에 대한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QR코드 및 사용자단말의 계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QR코드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시설정보저장부, 상기 시설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설정보의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 및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안전여부를 분석하는 설비안전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계정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시설정보에 대한 접근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설비안전분석부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설비안전분석부는,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 및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비교하여 안전위해요소를 추출하는 영상분석부 및 상기 안전위해요소의 개수 및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안전여부를 판단하는 안전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선된(enhanced)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는 측면에서 기술적인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외력에 의한 파손가능성이 있는 태양광 발전 설비의 취약포인트를 주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취약포인트에 대한 정보 등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QR코드를 기반으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QR코드에 내재된 정보를 허가받은 사용자만 접근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코드를 생성하고 부착하는 실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QR코드를 인식하고, 시설정보를 제공받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위해요소를 추출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의 안전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상기 도면들을 통해, 유사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혹은 유사한 엘리먼트들과, 특징들 및 구조들을 도시하기 위해 사용된다는 것에 유의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특정 시스템의 예를 주된 대상으로 할 것이지만, 본 명세서에서 청구하고자 하는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 및 서비스에도 본 명세서에 개시된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관리자단말(120), 사용자단말(130) 및 관리서버(110)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관리를 주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점검하기 위해서는 전문관리요원이 주기적으로 파견을 나가 해당 설비의 안전여부를 판단해야 하나,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점검을 전문관리요원만 수행하게 될 경우 인건비가 과도하게 지출될 우려가 있고, 스케줄링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100)은 전문관리요원이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1차적으로 점검을 실시하고,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정보를 QR코드(20)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스스로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대한 안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취약포인트(150)는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이루는 구성요소 및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위해를 가할 수 있는 주변 환경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자단말(120)은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시설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는 QR코드(20)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자단말(120)은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관한 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해당 정보를 기반으로 생성된 QR코드(20)를 출력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하여, 사용자가 해당 QR코드(20)를 통해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관한 정보를 제공받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관리자단말(120)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스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1),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성능정보를 추출하는 성능점검부(123),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부(125),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20)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부(127) 및 상기 스펙정보, 상기 성능정보, 상기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QR코드(20)는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10)마다 구분할 수 있다. 또한, QR코드(20)는 대외적으로 공개될 수 있어, 제3자가 자신의 단말로 인식할 수 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와 상기 식별정도를 비교하여 특정 사용자단말(130)만 해당 QR코드(20)에 내재된 정보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이 때, 관리자단말(120)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일 수 있으며, 따라서, 상기 입력부(121)는 스마트단말에 포함된 터치디스플레이일수 있고, 제1 카메라부(125)는 스마트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일 수 있다.
관리자단말(120)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단말(130)은 상기 QR코드(20)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20)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단말(130)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된 상기 QR코드(20)를 인식하고, 상기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생성하는 제2 카메라부 및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QR코드(20) 및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상기 QR코드(20)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상기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단말(130)은 디스플레이장치와 입력장치를 포함하는 스마트단말일 수 있으며, 따라서, 제2 카메라부는 스마트단말에 포함된 카메라일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단말(130)은 사용하는 사용자가 로그인(login)과 같이 계정정보를 수집하는 전과정을 사전에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의 계정정보를 QR코드(20)와 함께 관리서버(110)로 전송하여, QR코드(20)에 기반하는 시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단말(130)은 수신한 시설정보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10)는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20)를 생성하고, 상기 QR코드(20)를 상기 관리자단말(120)로 전송하고, 상기 사용자단말(130)로 상기 시설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관리서버(110)는,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시설정보저장부, 상기 시설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설정보의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20)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기반으로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분석하는 설비안전분석부 및 상기 사용자단말(130)의 상기 계정정보와 상기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사용자단말(130)의 상기 시설정보에 대한 접근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130)로 전송하고, 상기 설비안전분석부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130)로 경고메시지를 전송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QR코드생성부는 상기 시설정보의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QR코드(20)를 생성하 수 있다. 예를 들면, 관리서버(110)는 웹페이지와 같이 외부에서 접속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QR코드생성부는 해당 웹페이지의 주소로 접속할 수 있는 QR코드(20)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QR코드(20)는 상기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웹페이지의 주소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도 있으나, 제3자에게 공개될 수 있다는 QR코드(20)의 특성이 있어서, 상기 QR코드생성부는 1차적으로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식별정보와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사용하는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를 확인하는 제1 웹페이지로 연결되도록 QR코드(20)를 생성하고, 제3 제어부는 상기 제1 웹페이지에서 상기 식별정보와 상기 계정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상기 시설정보를 포함하는 제2 웹페이지로 포워딩시킬 수 있다.
이 때, 설비안전분석부는 관리자단말(120)이 전송한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사용자단말(130)이 전송한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비교하여, 파손이나 기타 문제점들을 추출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100)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관리서버(110)는 제1 제어 모듈(210), 제1 통신 모듈(220), 제1 입력 모듈(230), 제1 출력 모듈(240), 및/또는 저장 모듈(25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관리서버(1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QR코드(20)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플랫폼을 운용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관리자단말(120) 및 사용자단말(130) 각각은 제2 제어 모듈(260), 제2 통신 모듈(270), 제2 입력 모듈(280), 및/또는 제2 출력 모듈(29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 모듈(210, 26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단계/과정을 구현할 수 있도록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을 직/간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는 적어도 하나의 중앙 처리 유닛(CPU)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그래픽 처리 디바이스(GPU)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IoT(Internet of Things), IIoT(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CT(Information & Communication Technology) 기술에 기반하여 제어 정보(예; 명령어) 등을 생성하거나 및/또는 관리할 수 있다.
통신 모듈(220, 27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 등과 각종 데이터, 신호,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무선 통신 모듈(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20, 270)은 제1 네트워크(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2 네트워크(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이런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예: 단일 칩)로 통합되거나, 또는 서로 별도의 복수의 구성 요소들(예: 복수 칩들)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통신 모듈(220)은 통신표준 기술에 기반하여 동작할 수 있다.
입력 모듈(230, 28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의 구성요소(예: 제어 모듈(210) 등)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의 외부(예: 사용자(예; 제1 사용자, 제2 사용자 등), 관리서버(110)의 관리자 등)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입력 모듈(230, 28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에 설치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 음성인식센서,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인식가능 디스플레이, 터치패드, 버튼형 인식 모듈은 감압식 및/또는 정전식 방식을 통하여 사용자의 신체(예; 손가락)를 통한 터치를 인식할 수 있다.
출력 모듈(240, 29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의 제어 모듈(210, 260)에 의해 생성되거나 통신 모듈(220, 270)을 통하여 획득된 신호(예; 음성 신호), 정보, 데이터, 이미지, 및/또는 각종 객체(object) 등을 표시하는 모듈이다. 예를 들면, 출력 모듈(240, 290)은 디스플레이, 스크린, 표시부(displaying unit), 스피커 및/또는 발광장치(예; LED 램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모듈(25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모듈은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 모듈(250)은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을 사용하는 고객(제1 사용자)의 개인정보, 관리자(제2 사용자)의 개인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는 이름, 아이디(ID; identifier), 패스워드, 도로명 주소, 전화 번호, 휴대폰 번호, 이메일 주소, 및/또는 관리서버(110)에 의해 생성되는 QR코드(20) 등을 나타내는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 모듈(210, 260)은 상기 저장 모듈(250)에 저장된 각종 이미지,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QR코드(20)를 생성하고 부착하는 실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관리자단말(120)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스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121),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성능정보를 추출하는 성능점검부(123),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부(125),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20)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부(127) 및 상기 스펙정보, 상기 성능정보, 상기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관리서버(110)로 전송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입력부(121)는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스펙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이 때,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규모, 수, 발전량, 제품명, 설치장소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성능점검부(123)는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성능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성능점검부(123)는 외부로 노출된 하나 이상의 단자를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접촉시켜,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출력전압, 출력전류 및 시간당 발전량 등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성능을 판단할 수 있는 모든 파라미터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성능점검부(123)는 태양광 발전 설비(10) 전체에 대해서 측정할 수도 있고, 태양광 발전 설비(10)를 구성하는 태양광 패널마다 구분하여 측정할 수도 있다.
이 때, 제1 카메라부(125)는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하나 이상의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를 생성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태양광 발전 설비(10)에서 파손의 우려가 있거나, 주기적으로 점검을 해야할 부분을 취약포인트(150)로 정의하여, 제1 카메라부(125)는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위치정보와, 취약포인트(150)를 시각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화각 및 구도를 확인할 수 있는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주기적으로 점검해야 하는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같은 화각 및 같은 구도로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10)로 하여금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판단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출력부(127)는 QR코드(20)가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QR코드(20)를 인쇄물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 QR코드(20)가 인쇄된 출력물이 바로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될 수 있도록 후면에 접착성 물질이 도포된 상태로 출력될 수 있다.
이 때, 제1 제어부는 상기 스펙정보, 상기 성능정보, 상기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시설정보를 생성하여 관리서버(1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는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관한 총체적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함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예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취약포인트(150)는 태양광 패널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 패널 지지대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 패널 지지대가 고정된 지지 기반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 인버터를 확인할 수 있는 지점, 접속함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 및 노출된 전선을 확인할 수 있는 지점 등일 수 있고, 관리자단말(120)은 상기 취약포인트(150)를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화각 및 구도로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를 생성할 수 있다.
이 때, 취약포인트(150)는 태풍 등에 의한 외력에 의해 태양광 발전 설비(10)가 파손되었는지 확인하고, 기타 사용기간에 따른 노후화에 의해 설비가 파손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설정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 단말에서 QR코드(20)를 인식하고, 시설정보를 제공받는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단말(130)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부착된 상기 QR코드(20)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20) 및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를 관리서버(110)로 전송하고, QR코드(20)에 기반하는 시설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시설정보는 도 5의 우측 표에 도시된 바와 같이, 취약포인트(150),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누적 이상상황횟수, 우선점검순위, 최근검사일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관리서버(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QR코드(20)로 접속한 모든 사용자단말(130)에 해당 시설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보안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QR코드(20)에 접속한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와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서로 상응하는 경우에만 해당 시설정보를 사용자단말(13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QR코드(20)는 사용자단말(130)의 계정정보와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식별정보를 확인하는 제1 웹페이지의 주소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제1 웹페이지는 상기 계정정보와 상기 식별정보가 상응하는 경우에만 시설정보가 포함된 제2 웹페이지로 포워딩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시설정보를 사용자단말(130)에게 제공할 때, 취약포인트(150)마다 우선점검순위를 설정하여 먼저 점검할 필요가 있는 취약포인트(150)를 강조하여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누적된 이상상황 즉, 파손, 고장 또는 효율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안전위해요소(155)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상황의 발생횟수를 기반으로 이상상황이 자주 발생한 취약포인트(150)를 우선적으로 점검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안전위해요소(155)는 상기 취약포인트(150)에 파손, 고장 또는 효율저하를 발생시킬 수 있는 요소로써, 크랙(Crack), 먼지, 오염물질, 지반의 기울기변화, 형태변화, 변색, 부식정도 등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안전위해요소(155)를 추출하여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판단하는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서버(110)에 포함된 상기 설비안전분석부는 사용자단말(130)로부터 전송받은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기반으로 해당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판단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비교하여 안전위해요소(155)를 추출하는 영상분석부, 상기 안전위해요소(155)의 개수 및 면적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기설정된 임계치를 비교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10)의 안전여부를 판단하는 안전판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영상분석부는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추출할 수 있다. 이 때,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와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는 동일 화각 및 동일 구도로 촬영될 수 있어, 영상분석부는 차이점을 안전위해요소(155)로 추출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영상분석부는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를 비교했을 때,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에만 포함된 오염물질(155-1), 크랙(155-2)을 안전위해요소(155)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분석부는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또는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 내에 포함되는 객체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함으로써 안전위해요소(155)를 추출할 수 있다. 영상분석부는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Co-occurrence HOG, LBP(local binary pattern),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등과 같은 객체 특징 추출을 위한 다양한 알고리즘을 통하여,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1) 및/또는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 내 객체의 윤곽선을 식별함으로써 오염물질(155-1) 및/또는 크랙(155-2)을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안전판단부는 해당 취약포인트(150)의 안전위해요소(155)의 개수가 기설정된 임계치를 초과하는 경우에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예를 들면, 임계치가 1이고,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153)에서 추출된 안전위해요소(155)가 2개인 경우, 해당 취약포인트(150)는 현재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때, 도 5에서 상술한 누적 이상상황횟수는 안전판단부가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한 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서 우선점검순위는 상이 이상상황횟수가 높은 순으로 우선순위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각 취약포인트(150)마다 우선점검값을 할당하고, 상기 우선점검값이 높은 순으로 우선점검순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우선점검값은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정해질 수 있다.
Figure 112020130223917-pat00001
이 때, PN_n(Priority Number)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우선점검값을 의미하고, K_n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의미하고, total SFN_n(unSafety Factor Number)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누적 안전위해요소(155)의 수를 의미하고, total SC_n(Safety Check)는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누적 점검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이 때,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중요도는 안전위해요소(155)가 발생한 경우, 태양광 발전 설비(10)에 치명적인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지 여부 또는 안전위해요소(155)가 자주 발생하는지 여부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취약포인트(150)는 1) 태양광 패널, 2) 패널 지지대, 3) 지지 기반, 4) 인버터, 5) 접속함, 6) 노출 전선인지 여부에 따라 (관리서버(110)에 의해)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1) 태양광 패널'은 태양광 발전에 직접적인 연관이 있고, 균열이 발생하거나 먼지 등이 발생한 경우 발전효율이 낮아질 수 있으므로, 상기 취약포인트(150)가 상기 '1) 태양광 패널'인 경우, 태양광 발전에 직접적인 연관이 없는 상기 '2) 패널 지지대', 상기 '3) 지지 기반'인 경우보다 중요도가 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4) 인버터', 상기 '5) 접속함', 상기 '6) 노출 전선'도 화재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상기 취약포인트(150)가 '4) 인버터', 상기 '5) 접속함', 상기 '6) 노출 전선'인 경우, 상기 '2) 패널 지지대', 상기 '3) 지지 기반'인 경우보다 중요도가 더 높게 설정되나, 상기 '1) 태양광 패널'인 경우보다는 중요도가 낮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각 취약포인별로 중요도가 달라질 수 있어서, 상이하게 가중치를 주기 위함이고, 누적 점검횟수에 비해서 추출된 안전위해요소(155)의 수가 많다면, 자주 점검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관리서버(110)는 아래 수학식 2에 기반하여 우선점검값을 산출할 수도 있다.
Figure 112020130223917-pat00002
여기서 PN_n(Priority Number)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우선점검값을 의미하고, K_n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의미하고, total SFN_n(unSafety Factor Number)은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누적 안전위해요소(155)의 수를 의미하고, total SC_n(Safety Check)는 n번째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누적 점검횟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ASN_n(number of abnormal situations)은 영상분석부에 의해 식별되는 안전위해요소(155)의 수에 상응할 수 있다.
따라서, 관리서버(110)는 취약포인트(150)에 대한 우선점검값이 높은 순으로 우선점검순서를 설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든 실시예는 일부분들이 서로 조합되어 시스템(100),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00), 관리서버(110), 관리자단말(120) 및/또는 사용자단말(130) 등을 제어하는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특정 관점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에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computer readable code)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리드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이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의 예들은 읽기 전용 메모리(read only memory: ROM)와, 랜덤-접속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와, 컴팩트 디스크- 리드 온니 메모리(compact disk-read only memory: CD-ROM)들과, 마그네틱 테이프(magnetic tape)들과, 플로피 디스크(floppy disk)들과, 광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들, 및 캐리어 웨이브(carrier wave)들(인터넷을 통한 데이터 송신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리드 가능 기록 매체는 또한 네트워크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들을 통해 분산될 수 있고, 따라서 컴퓨터 리드 가능 코드는 분산 방식으로 저장 및 실행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성취하기 위한 기능적 프로그램들,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숙련된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쉽게 해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실현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소프트웨어는 예를 들어, 삭제 가능 또는 재기록 가능 여부와 상관없이, ROM 등의 저장 장치와 같은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저장 장치, 또는 예를 들어, RAM, 메모리 칩, 장치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메모리, 또는 예를 들어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k: CD), DVD, 자기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등과 같은 광학 또는 자기적으로 기록 가능함과 동시에 기계(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제어부(제어 모듈(210, 260)) 및 메모리를 포함하는 컴퓨터 또는 휴대 단말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메모리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현하는 명령들을 포함하는 프로그램 또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하기에 적합한 기계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의 한 예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의 청구항에 기재된 장치 또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코드를 포함하는 프로그램 및 이러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계(컴퓨터 등)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를 포함한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은 유선 또는 무선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통신 신호와 같은 임의의 매체를 통해 전자적으로 이송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이와 균등한 것을 적절하게 포함한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태양광 발전 설비
20 : QR코드
100 :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110 : 관리서버
120 : 관리자단말
121 : 입력부
123 : 성능점검부
125 : 제1 카메라부
127 : 출력부
130 : 사용자단말
150 : 취약포인트
151 :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
153 :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
155 : 안전위해요소

Claims (5)

  1. 태양광 발전 설비의 시설정보를 관리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는 QR코드를 출력하는 관리자단말;
    상기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QR코드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출력하는 사용자단말; 및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를 생성하고, 상기 QR코드를 상기 관리자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전송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자단말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스펙정보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성능정보를 추출하는 성능점검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하나 이상의 취약포인트에 대한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제1 카메라부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부착될 수 있도록, 상기 QR코드를 인쇄물로 출력하는 출력부와,
    상기 스펙정보, 상기 성능정보, 상기 취약포인트위치정보 및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상응하는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1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단말은,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에 부착된 상기 QR코드를 인식하고, 상기 취약포인트에 대한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생성하는 제2 카메라부와,
    상기 제2 카메라부를 통해 인식된 상기 QR코드 및 사용자단말의 계정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고, 상기 QR코드에 기반하는 상기 시설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시설정보에 기반하여 생성된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를 상기 관리서버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식별정보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시설정보저장부와,
    상기 시설정보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시설정보의 주소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QR코드를 생성하는 QR코드생성부와,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 및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안전여부를 분석하는 설비안전분석부와,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계정정보와 상기 식별정보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단말의 상기 시설정보에 대한 접근여부를 판단하고, 판단결과에 기반하여 상기 시설정보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전송하고, 상기 설비안전분석부의 분석결과에 기반하여 경고메시지를 상기 사용자단말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제3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설비안전분석부는,
    상기 제1 취약포인트화상정보에 HOG(Histogram of Oriented Gradient), Haar-like feature, LBP(local binary pattern) 또는 FAST(features from accelerated segment test)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반하는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1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2 취약포인트화상정보에 상기 객체 추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제2 객체를 추출하고, 상기 제1 객체와 상기 제2 객체를 비교함으로써 식별되는 오염물질 또는 크랙 적어도 어느 하나를 안전위해요소로 설정하는 영상분석부와,
    상기 안전위해요소의 개수가 제1 임계치를 넘고, 상기 안전위해요소의 면적이 제2 임계치를 넘는 경우 상기 태양광 발전 설비의 안전여부를 불안전한 것으로 판단하는 안전판단부를 포함하는,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166261A 2020-12-02 2020-12-02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22456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61A KR102245658B1 (ko) 2020-12-02 2020-12-02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6261A KR102245658B1 (ko) 2020-12-02 2020-12-02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5658B1 true KR102245658B1 (ko) 2021-04-29

Family

ID=75728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6261A KR102245658B1 (ko) 2020-12-02 2020-12-02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565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21B1 (ko) * 2022-10-17 2023-02-27 박기주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650B1 (ko) * 2023-03-06 2023-10-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전기설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64B1 (ko) * 2011-03-07 2011-06-28 박기주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5876A (ko) * 2011-12-06 2013-06-20 오정은 큐알코드를 이용한 시설물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544410B1 (ko) * 2015-04-08 2015-08-13 대한기술(주)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이상 징후 발견 및 사고 예방을 위한 하이브리드 컨트롤 태양광 발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컨트롤 방법
KR20160073238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80128263A (ko) * 2017-05-23 2018-12-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리드 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1983680B1 (ko) * 2018-09-10 2019-06-04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056290B1 (ko) 2018-02-09 2019-12-1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2082152B1 (ko) * 2019-09-23 2020-02-27 주식회사 코텍에너지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109573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휴대용 프린터 및 휴대용 프린터의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4264B1 (ko) * 2011-03-07 2011-06-28 박기주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30065876A (ko) * 2011-12-06 2013-06-20 오정은 큐알코드를 이용한 시설물의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160073238A (ko) * 2014-12-16 2016-06-24 주식회사 디케이아이테크놀로지 Qr코드를 이용한 인증서비스 제공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544410B1 (ko) * 2015-04-08 2015-08-13 대한기술(주) 태양광 모듈 어레이의 이상 징후 발견 및 사고 예방을 위한 하이브리드 컨트롤 태양광 발전 시스템, 그리고 이를 위한 컨트롤 방법
KR20180128263A (ko) * 2017-05-23 2018-12-03 단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스마트 그리드 장비의 위치를 관리하는 장치 및 방법
KR102056290B1 (ko) 2018-02-09 2019-12-16 한국교통대학교산학협력단 태양광 발전설비 유지관리 시스템
KR101983680B1 (ko) * 2018-09-10 2019-06-04 주식회사 두빛나래소프트 Qr 코드를 이용한 정보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00109573A (ko) * 2019-03-13 2020-09-23 주식회사 에스티유니타스 휴대용 프린터 및 휴대용 프린터의 제어 방법
KR102082152B1 (ko) * 2019-09-23 2020-02-27 주식회사 코텍에너지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장치 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04121B1 (ko) * 2022-10-17 2023-02-27 박기주 Qr코드를 이용한 위치기반의 태양광 발전시스템 운영유지보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85650B1 (ko) * 2023-03-06 2023-10-13 한방유비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소의 전기설비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5658B1 (ko) Qr코드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 설비 관리 시스템
KR101653736B1 (ko) 건설현장 재해방지시스템 및 방법
CN108985057B (zh) 一种webshell检测方法及相关设备
CN104346566A (zh) 检测隐私权限风险的方法、装置、终端、服务器及系统
CN114237087A (zh) 监控系统预警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20200001938A (ko) 건설 현장의 안전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CN110414603B (zh) 用于检测移动设备的方法、装置、计算机系统和介质
CN111611439A (zh) 消防安全监测方法、装置、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US20200394600A1 (en) Fire protection inspection method, fire protection inspection device, and remote device
CN113066254A (zh) 核电设备工作环境异常预警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03810428A (zh) 一种宏病毒检测方法及装置
CN104601524A (zh) 一种安全检查方法和系统
CN107291487A (zh) 系统配置文件修改方法和系统
KR101256468B1 (ko) 악성 파일 진단 장치 및 방법
CN114238330A (zh) 一种数据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6720197B (zh) 一种对漏洞优先级排列的方法及装置
KR20160090566A (ko) 유효마켓 데이터를 이용한 apk 악성코드 검사 장치 및 방법
CN109102144B (zh) 作业风险可能性等级的确定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4200164B (zh) 一种加载器Loader病毒的查杀方法、装置及终端
CN113704102A (zh) 应用程序合规检测方法、装置、设备和介质
KR102231648B1 (ko) 소방시설의 점검 이력 정보 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판독가능 기록 매체
JP7235126B2 (ja) バックドア検査装置、バックドア検査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336741A (zh) 电力二次系统的操作系统稳定性测试方法及装置
CN116389148A (zh) 一种基于人工智能的网络安全态势预测系统
CN116310521A (zh) 异常检测方法、装置、存储介质、电子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